KR20040055662A - 시트 활주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활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62A
KR20040055662A KR1020030093498A KR20030093498A KR20040055662A KR 20040055662 A KR20040055662 A KR 20040055662A KR 1020030093498 A KR1020030093498 A KR 1020030093498A KR 20030093498 A KR20030093498 A KR 20030093498A KR 20040055662 A KR20040055662 A KR 20040055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rail
locking
rail
pivot
latch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쯔모또다다시
사이또오다까시
오사나이아끼라
Original Assignee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02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043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0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535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48925A external-priority patent/JP4291662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7J-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60N2/073Reinforcement members preventing slide dislo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43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상부 레일은 그 사이에 길게 포위된 공간을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레일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킹판은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하부 레일에 고정된다. 래칭 레버는 폴부 및 입력 아암을 포함하며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래칭 레버는 폴부가 하부 및 상부 레일 사이의 로킹 결합을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일부와 결합되는 로킹 위치와, 폴부가 로킹 결합을 해제하도록 로킹판으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래칭 레버는 입력 아암에 외력이 인가될 때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된다. 스프링 부재는 래칭 레버를 편의시켜 로킹 위치를 향해 피벗되도록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개구는 입력 아암의 소정부가 그를 통해 외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시트 활주 장치{SEAT SLIDE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 활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소형인 개선된 로킹 기구를 갖는 형태의 시트 활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시트 활주 장치가 차륜이 특히 장착된 자동차의 분야에서 제안되었으며 실용화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차량 저부(vehicle floor)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과, 하부 레일 상에서 그리고 하부 레일을 따라 활주되며 시트를 그 위에 장착하는 상부 레일 사이에 소형으로 설치되는 로킹 기구를 갖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시트 활주 장치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평)10-309965호 및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5435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그 고유 구조로 인해, 공보에 기재된 시트 활주 장치는 제조업자 및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이들 중 일부는 로킹 기구의 열악한 로킹 성능을 나타내며 이들 중 일부는 번거로운 작업 즉, 시트 활주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시간이 소비되는 조립 작업을 필요로 한다. 나아가, 이들 중 일부는 만족스러운 소형 구조를 제공하지 못하며, 이들 중 일부는 매우 비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결점이 없는 시트 활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르면, 채널 구조를 갖는 하부 레일과; 채널 구조를 갖는 상부 레일로서, 길게 포위된 공간을 상부 및 하부 레일 사이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레일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과,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기다란 로킹판과; 폴부 및 입력 아암을 포함하며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부 레일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소정 축에 대해 피벗되도록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폴부가 하부 및 상부 레일 사이의 로킹 결합을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일부와 결합되는 로킹 위치 및 폴부가 상기 로킹 결합을 해제하도록 로킹판으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되고, 입력 아암에 외력이 인가될 때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래칭 레버와; 래칭 레버를 편의시켜 로킹 위치를 향해 피벗되도록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와; 입력 아암의 소정부가 외향 관통 돌출되도록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시트 활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갖는 하부 레일과; 대체로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상부 레일로서, 길게 포위된 공간을 상부 및 하부 레일 사이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레일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과;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하부 레일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정렬된 로킹 개구가 형성되는 기다란 로킹판과; 폴부 및 입력 아암을 포함하며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폴이 하부 및 상부 레일 사이의 로킹 결합을 성립시키도록 로킹 개구의일부 내로 삽입되는 로킹 위치 및 폴이 로킹 결합을 해제하도록 로킹 개구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입력 아암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될 때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래칭 레버와;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부 레일에 고정되고, 래칭 레버의 폴이 래칭 레버의 로킹 위치를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로킹 개구와 결합되는 보유 개구가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과; 래칭 레버가 로킹 위치를 취할 때 래칭 레버의 폴의 전단부가 결합되는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보유 개구와; 상부 레일의 내측벽에 대해 가압된 대향 단부 및 래칭 레버에 대해 가압된 팽창된 중심부를 가져 로킹 위치를 향해 피벗되도록 래칭 레버를 편의시키는 곡선형 바아 스프링과; 입력 아암의 소정부가 외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부 레일 상에 장착되며, 작동될 때 소정 방향으로 입력 아암의 소정부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시트 활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질 때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의 분해도.
도2는 시트(도시되지 않음)가 최후방 위치를 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조립 상태의 제1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화살표 "Ⅲ"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의 필수부의 확대도.
도4는 로킹 기구가 로킹 위치를 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5는 도3의 선 "Ⅴ-Ⅴ"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
도6은 시트가 최전방 위치를 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2와 유사한 수직 단면도.
도7은 로킹 기구가 로킹 해제 위치를 취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4와 유사한 단면도.
도8은 제1 실시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로킹 해제 기구의 제1 변형예의 확대 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화살표 "Ⅸ"에 의해 표시되는 제1 실시예의 필수부의 확대도.
도10은 제1 실시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로킹 해제 기구의 제2 변형예의 확대 사시도.
도11은 도10의 로킹 해제 기구의 제2 변형예의 분해도.
도12는 제1 실시예에서 실시될 수 있는 로킹 해제 기구의 제3 변형예의 정면 사시도.
도13은 로킹 해제 기구의 제3 변형예의 측면도.
도14는 도12에 도시된 화살표 "ⅩⅣ"에 의해 표시되는 로킹 해제 기구의 제3 변형예의 일부의 확대도.
도15는 도12에 도시된 화살표 "ⅩⅤ"에 의해 표시되는 로킹 해제 기구의 제3 변형예의 다른 부분의 확대도.
도16은 제1 실시예에서 실시된 활주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17 및 도18은 활주 레일 유닛을 조립하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를 도시하는 도1과 유사한 분해도.
도20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2와 유사한 수직 단면도.
도21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3과 유사한 확대도.
도22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4와 유사한 단면도.
도23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5와 유사한 단면도.
도24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6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
도25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단면도.
도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를 도시하는 도1과 유사한 분해도.
도27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2와 유사한 수직 단면도.
도28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3과 유사한 확대도.
도29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4와 유사한 단면도.
도30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7과 유사한 단면도.
도31은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5와 유사한 단면도.
도32는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6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레일
2 : 상부 레일
3 : 보유판
4 : 롤러
5 : 안내 볼
6 : 로킹 기구
7 : 폴
8 : 래칭 레버
9 : 로킹 개구
10 : 로킹판
11 : 바아 스프링
12 : 지지 브래킷
13 : 리벳
14 : 보유 개구
다음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100A, 100B, 100C)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해의 용이를 위해, 우측, 좌측, 상부, 하부, 우향 등의 다양한 방향 용어가 다음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는 대응부가 도시되는 도면에 대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1 내지 도7 특히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시트 활주 장치(100A)가 도시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활주 장치(100A)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볼트(22)에 의해 차량 저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하부 레일(1)과, 대체로 역 U자형 단면을 가지며 하부 레일(1) 상에서 그리고 하부 레일(1)을 따라 활주되는 상부 레일(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시트(구체적으로, 시트의 착석부)는 상부 레일(2) 상에 장착되어, 시트는 상부 레일(2)과 함께 하부 레일(1) 상에서 그리고 하부 레일(1)을 따라 활주될 수 있다.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지겠지만, 장치(100A)와 구조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또 다른 시트 활주 장치가 장치(100A)와 함께 시트를 운반하거나 지지하도록 장치(100A) 옆에 배열된다.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도록, 2쌍의 활주 장치(SL)가 하부 레일(1) 내에 수용되며, 각각의 활주 장치(SL)는 2개의 상호 대면 보유판(3)과, 보유판(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각각 보유되는 2개의 롤러(4)와, 보유판(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각각 보유되는 2쌍의 안내 볼(guide ball)(5)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유판(3)은 롤러(4)가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기부 하부벽(3a), 안내 볼(5)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높은 수직 측벽(3d) 그리고 하부 수직 측벽(3b)을 포함한다.
하부 레일(1)은 하부 기부(1e), 기부(1e)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각각 상승되는 2개의 측벽부(1c) 그리고 측벽부(1c)의 상부 모서리 상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내향으로 말려진 상부(1a)를 포함하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갖는다. 이후에 명백해질 목적을 위해, 하부 기부(1e)와 각각의 측벽부(1c) 사이에, 하부 기부(1e)로부터 일부(1f)에서 약간 상승되는 계단부(1d)가 형성된다.
상부 레일(2)은 상부 기부(2e), 기부(2e)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2개의 측벽부(2b, 2c) 그리고 측벽부(2c)의 하부 모서리 상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외향으로 말려진 하부(2d)를 포함하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외향으로 말려진 하부(2d)는 측단부(2a)를 갖는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및 상부 레일(1, 2)의 조립시, 상부 레일(2)의 외단부(2a)는 하부 레일(1)의 대응하는 내향으로 말려진 상부(1a) 내에 수용된다. 각각의 보유판(3)은 하부 및 상부 레일(1, 2) 사이에 자유롭게 수용되며, 보유판(3)에 의해 보유된 각각의 롤러(4)는 상부 레일(2)의 대응하는 외향으로 말려진 하부(2d)를 지지하도록 하부 레일(1)의 대응하는 계단부(1d) 상에 배치된다. 보유판(3)에 의해 보유된 쌍을 이룬 안내 볼(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1)의 대응하는 측벽(1c)과 상부 레일(2)의 대응하는 측단부(2e)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하부 레일(1) 상에서의 그리고 하부 레일(1)을 따른 상부 레일(2)의 이동 중, 롤러(4)는 상부 레일(2)의 외향으로 말려진 하부(2d)를 지지하는 하부 레일(1)의 계단부(1d) 상에서 진행되며, 동시에, 안내 볼(5)은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 이동을 안내한다.
다시 도1을 참조하면, 로킹 기구(6)는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로킹을 선택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부 및 상부 레일(1, 2) 사이에 배치된다.
로킹 기구(6)는 일반적으로 하부 레일(1)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복수개의 정렬된 로킹 개구(9)를 갖는 긴 로킹판(10), 상부 레일(2)에 고정되며 4개의 정렬된 보유 개구(14)를 갖는 지지 브래킷(12), 상부 레일(2)에 의해 피벗식으로 보유되면 4개의 폴(pawl)(7)을 갖는 래칭 레버(8) 그리고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와 래칭 레버(8)의 폴(7)의 결합을 성립시키는 방향으로 래칭 레버(8)를 편의시키는 바아 스프링(11)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브래킷(12)은 리벳(13)에 의해 상부 레일(2)의 상부 기부(2e)의 내부면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 러그(connecting lug)(12a, 12b), 연결 러그(12a)들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 안에 형성된 4개의 보유 개구(14)를 갖는 수직 벽부(12c) 그리고 수직 벽부(12c)의 하부 모서리로부터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평 하부 모서리부(15)를 포함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의 완전 로킹 상태에서, 래칭 레버(8)의 폴(7)은 지지 브래킷(12)의 보유 개구(14),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 그리고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 내에 형성되는 4개의 보유 개구(26)를 통과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후에 설명된 바와 같이, 4개의 보유 개구(26)는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에 고정되는 별개의 판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도1을 재참조하면, 래칭 레버(8)는 대체로 U자형 구조를 가지며 폴(7)이 일체로 형성되는 브릿지부 그리고 동일한 방향으로 브릿지부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측면 아암을 포함한다. 측면 아암은 각각 브래킷(16) 그리고 스토퍼구조체(17)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브래킷(16)은 리벳(13)에 의해 상부 레일(2)에 고정되며, 스토퍼 구조체(17)는 2개의 리벳(13)에 의해 상부 레일(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브래킷(16)에 의해 보유된 핀부(19)는 래칭 레버(8)의 측면 아암들 중 하나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되며, 스토퍼 구조체(17)에 의해 보유된 핀부(20)는 스토퍼 구조체(17)의 측면 아암들 중 다른 하나 내에 형성된 개구 내에 배치된다. 래칭 레버(8)가 피벗되는 전술된 소정 축은 엠보싱 작업에 의해 제조되는 2개의 핀부(19, 20)에 의해 보유된 공통 축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구조체(17)는 상부 레일(2)의 상부 기부(2e)의 내부면에 대해 맞닿는 상부벽부(17a), 상부벽부(17a)의 하나의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말려진 측벽부(17b) 그리고 상부벽부(17a)로부터 연장되며 그에 고정된 핀부(20)를 갖는 브래킷부(21)를 포함한다. 브래킷부(21)는 리벳(13)이 상부 레일(2)에 브래킷부(21)를 고정하도록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다. 또 다른 브래킷부(도면 부호 없음)가 다른 리벳(13)이 상부 레일(2)에 브래킷부를 고정하도록 통과하는 개구를 갖는 상부벽부(17a)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레버(8)의 측면 아암들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되며 둥근 헤드(18)를 갖는다.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지겠지만, 헤드(18)를 구비한 긴 측면 아암은 입력 아암(18)으로서 역할한다. 즉, 헤드(18)가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면, 로킹 기구(6)의 로킹 상태는 해제된다.
바아 스프링(11)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곡선형이며 상부 레일(2)의상부 기부(2e)의 내부벽에 끼워지는 대향 단부를 갖는다. 즉, 바아 스프링(11)의 각각의 단부는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에 의해 제공된 돌출부(도면 부호 없음)에 의해 보유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바아 스프링(11)의 곡선형 중심부는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와 폴(7)의 결합을 성립시키는 방향으로 래칭 레버(8)를 편의시키도록 래칭 레버(8)의 브릿지부의 치형부(7)와 결합된다.
도1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구조체(17)는 상부 레일(2)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다음으로부터 이해되겠지만, 조립시, 스토퍼 구조체(17)의 말려진 측벽부(17b)는 로킹판(10)의 파지부(catch portion)(23)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스토퍼 구조체(17)의 말려진 측벽부(17b)와 로킹판(10)의 파지부(23) 사이의 이러한 결합으로써, 시트가 후방 위치를 취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상부 레일(2)이 하부 레일(1)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하게 상승하는 현상(lifting phenomena)이 억제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된다. 이러한 결합은 관련된 자동차의 정면 충돌의 경우에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사실상, 이러한 충돌시, 상당한 힘이 하부 레일(1)로부터 상부 레일(2)을 결합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부 레일(2)에 인가된다. 그러나, 결합으로써, 상부 레일(2)의 이러한 결합 해제 이동은 억제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된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판(10)은 대체로 L자형 단면을 갖는다. 로킹판(10)은 하부 레일(1)의 하부 기부(1e)의 내부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는하부 기부(10a) 그리고 하부 기부(10a)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상승되며 그 내에 형성된 정렬된 로킹 개구(9)를 갖는 수직 벽부(10b)를 포함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수직 벽부(10b)는 지지 브래킷(12)의 수직 벽부(12c)와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 사이에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6)는 그 로킹 위치를 취하며, 래칭 레버(8)의 폴(7)은 지지 브래킷(12)의 보유 개구(14),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 그리고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의 보유 개구(26)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b)의 보유 개구(26)는 측벽부(2b)의 내향 오목부(25) 내에 형성된다.
측벽부(2b)의 4개의 보유 개구(26) 그리고 지지 브래킷(12)의 4개의 보유 개구(14)는 각각 정렬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1을 재참조하면, 로킹판(10)의 수직 벽부(10b)에는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전술된 파지부(23)가 그 후방부에서 형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파지부(23)는 하부 레일(1)로부터의 상부 레일(2)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승 이동을 억제하도록 상부 레일(2)의 스토퍼 구조체(17)와 결합 가능하다. 이러한 상승 억제 기능은 도5에서 볼 때 용이하게 이해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2)(따라서 시트)이 하부 레일(1)에 대해 후방 위치를 취할 때, 스토퍼 구조체(17)는 파지부(23)와 실제로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부 레일(2)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승 이동은 억제된다. 한편,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2)(따라서 시트)이 전방 위치를 취할 때, 스토퍼구조체(17)는 파지부(23)로부터 떨어져 유지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상승 방지 기능은 예측되지 않는다.
도1을 재참조하면, 로킹판(10)의 하부 기부(10a)에는 지지 브래킷(12)의 수평 하부 모서리부(15)가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 축 방향 활주 이동을 제한하도록 맞닿는 전방 및 후방 스토퍼(24a, 24b)가 그 전방 및 후방부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부(15)가 전방 스토퍼(24a)에 대해 맞닿을 때, 시트는 그 최전방 위치를 취하며,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모서리(15)가 후방 스토퍼(24b)에 대해 맞닿을 때, 시트는 그 최후방 위치를 취한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2)에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이 상향으로 돌출되는 개구(27)가 그 중앙부에서 형성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아래에 배치된 U자형 핸들(28)이 상향으로 견인될 때 입력 아암(18)을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기능하는 로킹 해제 기구(30)가 돌출된 입력 아암(18)과 결합된다.
U자형 핸들(28)은 장치(100A) 옆에 배열되는 또 다른 시트 활주 장치의 로킹 기구의 일부인 입력 아암(도시되지 않음) 뿐만 아니라 입력 아암(18)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기구(30)는 상부 레일(2)에 고정된 스탠드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부 레일(2)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피벗 레버(29)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벗을 위해, 스탠드 부재에 의해 보유된 피벗 핀(도시되지 않음)이 피벗 레버(29)의 개구(29b)를 통과한다. 피벗 레버(29)는 입력 아암의 돌출된 헤드(18) 위에 배치되는 가압 러그(29a)를 그 후방 단부에서 갖는다. 피벗 레버(29)에는 U자형 핸들(28)의 하나의 측면부의 후방 단부가 견고하게 삽입되는 2개의 정렬된 개구(29c, 29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8)은 상향으로 견인되며, 피벗 레버(29)의 가압 러그(29a)는 입력 아암의 돌출된 헤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는데, 이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6)의 로킹 해제 상태(도7 참조)를 가져온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편의 스프링은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의 돌출된 헤드로부터 피벗 레버(29)의 가압 러그(29a)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U자형 핸들(28)을 편의시키도록 채용된다.
이와 같이, U자형 핸들(28)이 조작자의 손으로부터 해제될 때, 가압 러그(29a)는 편의 스프링의 힘으로 인해 입력 아암의 돌출된 헤드(18)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되므로, 이러한 상태 하에서, 로킹 기구(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스프링(11)의 편의력으로 인해 로킹 위치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이제, 핸들(28)이 편의 스프링의 힘에 대해 상향으로 견인될 때, 피벗 레버(29)의 가압 러그(29a)는 입력 아암(18)의 헤드를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로킹 기구(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스프링(11)의 편의력에 대해 로킹 해제 위치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상부 레일(2)은 시트의 전후 위치를 변경하도록 하부 레일(1) 상에서 그리고 하부 레일(1)을 따라 자유롭게 활주하게 된다.
U자형 핸들(28)의 조작시, 다른 활주 장치(도시되지 않음) 내에 설치된 다른 로킹 기구(도시되지 않음)는 전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용이를 위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6)가 로킹 상태에 있는 정상 또는 로킹 상태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러한 상태 하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바아 스프링(11)의 편의력으로 인해, 래칭 레버(8)의 폴(7)은 지지 브래킷(12)의 보유 개구(14),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 그리고 상부 레일(2)의 측벽(2b)의 보유 개구(26)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상부 레일(2) 따라서 그 상에 장착된 시트는 하부 레일(1)에 대한 소정 위치에 로킹되어 유지된다.
이제, 시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핸들(28)이 조작자에 의해 상향으로 견인될 때,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헤드는 피벗 레버(29)의 가압 러그(29a)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로킹 기구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해제 위치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핸들(28)이 상향으로 견인되어 유지된 상태에서, 시트는 전방 또는 후방을 가압되며, 이는 하부 레일(1)에 대한 원하는 위치[구체적으로, 하부 레일(1)]까지 활주된다. 시트가 원하는 위치에 올 때, 핸들(28)은 조작자의 손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때, 핸들(28)을 위한 편의 스프링의 편의력으로 인해, 핸들은 하방으로 피벗되도록 가압되어,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헤드로부터 가압 러그(29a)를 분리한다. 이 때, 바아 스프링(11)의 편의력으로 인해, 래칭 레버(8)의 폴(7)은 보유 개구(14), 로킹 개구(9) 그리고 보유 개구(26) 내로 삽입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킹 기구(6)의 로킹 상태를 성립시킨다. 보유 개구[14(26)]와 로킹 개구(9)가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폴(7)이 로킹판(10)의 수직 벽부(10b)의 랜드 영역에 대해 맞닿아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 내로 삽입되지 못하면, 시트는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약간 이동되어야 한다. 이 때, 서로 일치되어 로킹 기구(6)의 로킹 상태를 가져온다.
도16을 참조하면, 활주 장치(SL)의 상세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장치(SL)는 롤러(4)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직사각형 개구를 갖는 기부 하부벽(3a), 2개의 안내 볼(5)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말려진 상단부를 갖는 높은 수직 측벽(3d) 그리고 하부 수직 측벽(3b)을 포함하는 대체로 L자형 단면을 갖는 보유판(3)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수직 측벽(3b)에는 돌출부(3c)가 그 내측면에서 형성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돌출부(3c)는 하부 및 상부 레일(1, 2) 모두에 대해 활주 장치(SL)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도록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 또는 2c)의 내부면과 접촉된다.
다음에,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활주 레일 유닛(SRU)을 조립하는 단계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7 및 도18은 뒤집힌 상태로 하부 레일(1), 상부 레일(2) 및 활주 장치(SL)를 도시하는 도면이라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이미 끼워진 로킹 기구(6)의 부분을 갖는 상부 레일(2)이 뒤집힌 상태로 배치된다. 다음에, 4개의 활주 장치(SL)는 외향으로 말려진 하부(2d) 상에 배치된다. 즉, 각각의 활주 장치(SL)는 보유판(3)의 높은 그리고 낮은 수직 측벽(3d, 3b)이 그 사이에 배치되며 롤러(4)를 갖는 측벽(2b,2c)이 말려진 하부(2d) 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말려진 하부(2d) 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활주 장치(SL)가 로킹 기구(6)의 부분들에 대해 상부 레일(2)의 우측 위치에 배열되며 다른 쌍의 활주 장치(SL)가 로킹 기구(6)의 부분들에 대해 좌측 위치에 배열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다음에,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1)은 상부 레일(2)(도5 참조)의 측단부(2a)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된 측벽부(1c)를 갖는 상부 레일(2)의 일단부로부터 상부 레일(2) 상에서 활주된다. 물론, 이처럼 조립된 활주 레일 유닛(SRU)은 역할하기 전에 뒤집혀진 상태로 회전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시트 활주 장치(100A)의 장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레버(8)는 상부 레일(2)을 따라 연장되는 핀부(19, 20)의 공통 축에 대해 피벗된다. 따라서, 래칭 레버(8)는 로킹판(10)에 대해 증가된 피벗 각도 범위를 갖게 된다. 이는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와 래칭 레버(8)의 폴(7)의 확실한 결합의 성립을 가져와 하부 레일(1)(또는 차량 저부)에 대한 상부 레일(2)(또는 시트)의 로킹 상태를 보증한다.
둘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헤드가 돌출 가능한 개구(27)는 상부 레일(2)의 축 방향 중간부에서 제공된다. 이는 로킹 해제 기구(30)의 배치가 용이하게 수행되는 용이함을 의미한다. 즉, 상부 레일(2)의 상부 기부(2e)는 피벗 레버(29)에 전방부 및 후방부 모두에서 큰 장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6)의 실질적으로 모든 부분은 하부 및 상부 레일(1, 2) 사이에 한정된 포위된 공간 내에 소형으로 설치된다. 이와같이, 시트 활주 장치(100A)는 깔끔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동일한 이유로, 시트 아래의 2개의 시트 활주 장치(100A)들 사이에 한정된 공간은 용기 공간으로서 널리 그리고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넷째, 로킹판(10)은 용접 등을 통해 하부 레일(1)에 고정되는 별도의 판이다. 이와 같이,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 위치 변경 범위는 로킹판(10)의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하부 레일(1)은 로킹 개구를 가질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기계적 강도는 영향을 받지 않지만, 그것으로의 로킹판(10)의 견고한 연결로 인해 증가된다.
다섯째, 하부 레일(1)에 대한 상부 레일(2)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스토퍼(24a, 24b)는 로킹판(10)의 일체부이다. 나아가, 스토퍼(24a, 24b)에 대해 맞닿는 하부 모서리부(15)는 상부 레일(2)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12)의 일체부이다. 이러한 구성 및 배열은 시트 활주 장치(100A)를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부품의 감소를 가져온다.
여섯째, 상부 레일(2)에 고정된 스토퍼 구조체(17)와 로킹판(10)에 의해 보유된 파지부(23) 사이의 결합 때문에, 시트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위치를 취할 때 발생되는 경향이 있는 상부 레일(2)의 바람직하지 못한 상승 현상이 억제되거나 적어도 최소화된다. 이러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레일(2)이 하부 레일(1)에 대한 이러한 후방 위치를 취할 때, 상부 레일(2)의 긴 후방부는 하부 레일(1)로부터 인출된다. 이러한 경우에, 하부 및 상부 레일(1, 2) 사이의 상호 결합은 상부 레일(2)의 전방부에서만 영향을 받아, 그 사이의 열악한 기계적 연결을 남긴다. 이와 같이, 스토퍼 구조체(17)와 파지부(23) 사이의 결합의 사용은 이러한 열악한 연결을 보상한다.
일곱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6)의 로킹 상태 하에서, 래칭 레버(8)의 폴(7)은 지지 브래킷(12)의 보유 개구(14) 그리고 로킹판(10)의 로킹 개구(9)뿐만 아니라 상부 레일(2)의 측벽부(2b)의 보유 개구(26)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로킹 상태 하에서, 래칭 레버(8)의 각각의 폴(7)은 상당한 응력이 상부 레일(2)로 인가될 때에도 변형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내향 오목부(25)의 제공은 래칭 레버(8)의 폴(7)의 선단부와 측벽부(2b)의 보유 개구(26)의 결합을 보증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전술된 로킹 해제 기구(30)의 제1 변형예(30A)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변형예의 로킹 해제 기구(30A)는 특히 시트 아래에 작은 공간 또는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로킹 해제 기구(30A)는 상부 레일(2)에 용접된 수평 벽부(33a) 그리고 상향으로 상승된 수직 벽부(33b)를 포함하는 지지판(33)을 포함한다. 수평 및 수직 벽부(33a, 33b) 사이에 오목 수평 벽부(33d)가 형성되거나 한정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는 시트(도시되지 않음) 아래에 배치되는 수직 벽부(33b)가 상부 레일(2)에 대해 비교적 낮은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직 벽부(33b)에는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백해지겠지만 스토퍼로서 역할하는 돌출부(33c)가 그 후방 단부에서 형성된다.
대체로 U자형 홀더(35)가 수직 벽부(33b)에 고정된 샤프트(34)를 통해 지지판(33)의 수직 벽부(33b)에 그 전방 하부에서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홀더(35)는 래칭 레버(8)의 전술된 입력 아암(18)의 돌출된 헤드 위에 배치된 헤드를 갖는 가압 아암(35a), 내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및 후방 구멍 형성 브래킷(35b, 35c) 그리고 지지판(33)의 돌출부(33c)와 접촉 가능한 돌출부(35d)를 포함한다.
홀더(35)에 고정된 일단부 그리고 샤프트(34)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37)에 고정된 타단부를 갖는 복귀 코일 스프링(31)이 샤프트(34)에 대해 배치된다. 이로써, 홀더(35)는 도9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즉 입력 아암(18)의 돌출된 헤드로부터 가압 아암(35a)의 헤드부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샤프트(34)에 대해 피벗되도록 편의된다. 돌출부(33c)와 돌출부(35d)의 접촉으로 인해, 스프링(31)의 힘으로 인한 홀더(35)의 상승 피벗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핸들(36)의 하나의 측면부의 후방 단부는 전방 및 후방 브래킷(35b, 35c)의 구멍 내로 견고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핸들(36)이 스프링(31)의 편의력에 대해 상향으로 견인될 때, 홀더(35)는 시계 방향으로 샤프트(34)에 대해 피벗되므로, 홀더(35)의 가압 아암(35a)의 헤드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때, 로킹 기구(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스프링(11)의 힘에 대해 로킹 해제 위치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시트는 하부 레일(1)(하나만 도시됨)에 대해 자유롭게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핸들(36)이 해제될 때, 홀더(35)는 스프링(31)의 힘으로 인해 후방으로 피벗된다. 이와 같이, 전술된 바와 같은 이유로,로킹 기구(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상태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로킹 해제 기구(30)의 제2 변형예(30B)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변형예의 로킹 해제 기구(30B)는 특히 시트가 비교적 높게 배치되거나 우측 및 좌측 활주 레일 유닛이 상이한 높이를 갖는 차량 저부의 영역 상에 장착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변형예의 로킹 해제 기구(30B)는 상부 레일(2)에 고정된 하부 모서리를 갖는 활주판(40) 그리고 시트(도시되지 않음)를 지지하는 상부 모서리(도면 부호 없음)를 포함한다. 피벗 레버(42)는 측면판(40)에 고정된 핀(41)을 통해 측면판(40)에 그 전방 단부에서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피벗 레버(42)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돌출된 헤드(도시되지 않음) 위에 배치되는 가압 러그(42a)를 그 후방부에서 갖는다.
도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 홀더(44)는 측면판(40)에 고정된 샤프트(43)를 통해 측면판(40)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피벗 레버(42) 위에 배치된다. 샤프트(43)와의 피벗 결합을 위해, 피벗 홀더(44)에는 샤프트(43)의 작은 직경 단부가 삽입되는 개구(44a)가 형성된다. 피벗 홀더(44)에는 내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및 후방 천공 브래킷(44b, 44c)이 형성된다.
연결 레버(47)는 피벗 홀더(44)의 후방 단부에 핀(48)을 통해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상단부 그리고 피벗 레버(42)의 중앙부에 핀(49)을 통해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하단부를 갖는다.
복귀 코일 스프링(45)은 측면판(40)에 후크 결합된(hooked) 일단부 그리고 피벗 홀더(44)에 후크 결합된 타단부를 갖는 샤프트(43)에 대해 배치된다. 이로써, 피벗 홀더(44)는 피벗 레버(42)를 상방으로 견인하는 도10의 시계 반대 방향으로 샤프트(43)에 대해 피벗되도록 편의된다. 이와 같이, 이러한 상태 하에서, 가압 러그(42)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돌출된 헤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분리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46)의 하나의 측면부의 후방 단부는 피벗 홀더(44)의 전방 및 후방 브래킷(44b, 44c)의 구멍 내에 견고하게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핸들(46)이 스프링(45)의 편의력에 대해 상향으로 견일될 때, 피벗 홀더(44)는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샤프트(43)에 대해 피벗되므로, 연결 레버(47)를 통해 피벗 홀더(44)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 레버(42)의 가압 러그(42a)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도시되지 않음)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때, 로킹 기구(6)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 스프링(11)의 힘에 대해 로킹 해제 위치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이제, 핸들(46)이 해제될 때, 피벗 홀더(44)는 스프링(45)의 힘에 대해 재피벗되므로, 로킹 기구(6)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상태를 취하도록 가압된다.
도12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로킹 해제 기구(30)의 제3 변형예(30C)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된 로킹 해제 기구(30, 30A, 30B)에서, 소위 루프 형태(loop type)의 핸들(28, 36 또는 46)이 사용된다. 한편, 제3 변형예(30C)에서, 턴 레버 형태(turn lever type)의 핸들이 사용된다.
우측 및 좌측 활주 레일 유닛(RSRU, LSRU)을 도시하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활주 유닛을 따라 그리고 이들 활주 유닛 옆에, 각각 제1 및 제2 샤프트(51, 52)가 연장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및 제2 샤프트(51, 52)는 상부 레일(2)에 고정되는 전방 및 후방 홀더(53, 5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된다. 시트를 지지하는 활주판(50)은 상부 레일(2)에 고정되므로, 시트는 하부 레일(1)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제2 샤프트(52)는 턴 레버(52a)를 구성하도록 대체로 직각으로 굽혀진 전방부(52a)를 갖는다.
도12를 재참조하면, 제1 및 제2 가압 레버(55, 56)는 각각 제1 및 제2 샤프트(51, 52)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 가압 레버(55, 56)는 래칭 레버(8)의 입력 아암(18)의 헤드와 접촉 가능한 외측 아암을 갖는다. 제1 가압 레버(55)는 연결 로드(58)의 일단부가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내측 아암을 갖는다. 연결 로드(58)의 타단부는 제2 샤프트(52)에 고정되는 보조 레버(57)에 피벗식으로 연결된다.
제2 샤프트(52), 제2 샤프트에 고정된 보조 레버(57) 그리고 제2 샤프트(52)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하는 후방 홀더(54)를 구성하는 유닛이 도15에 도시되어 있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9)이 샤프트(51)를 편의시켜 도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샤프트(51)의 후방 단부에 대해 배치되며, 또 다른 코일 스프링(59)이 도12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2 샤프트(52)의후방 단부에 대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 레버(52a)가 해제될 때, 제1 및 제2 가압 레버(55, 56)는 코일 스프링(59)의 편의력으로 인해 래칭 레버(8)의 결합된 입력 아암(18)으로부터 분리되어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각각의 활주 레일 유닛(RSRU 또는 LSRU)의 로킹 기구(6)는 전술된 바와 같은 이유로 로킹 상태를 취한다.
이제, 턴 레버(52a)가 상방으로 견인되거나 코일 스프링(59)의 힘에 대해 도1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 제1 및 제2 가압 레버(55, 56)는 연결 로드(58)를 통해 그 사이에서의 피벗 연결로 인해 각각 시계 반대 방향 및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된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압 레버(55, 56)는 우측 및 좌측 활주 레일 유닛(RSRU, LSRU)의 래칭 레버(8)의 결합된 입력 아암(18)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이 때, 전술된 바와 같은 이유로, 각각의 로킹 기구(6)는 로킹 해제 상태를 취하도록 가압되므로, 시트는 하부 레일(1)에 대해 자유롭게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턴 레버(52a)가 해제될 때, 로킹 기구(6)는 로킹 상태를 취하도록 복귀된다.
도19 내지 도25 특히 도19 내지 도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시트 활주 장치(100B)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 활주 장치(100B)는 제1 실시예의 전술된 시트 활주 장치(100A)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제1 실시예(100A)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장치(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1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100B)에서, 로킹판(10)은 볼트(22)에 의해 하부 레일(1)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을 위해, 로킹판(10)의 긴 하부 기부(10a)는 볼트(22)가 통과하는 각각의 볼트 개구(도면 부호 없음)를 그 길이 방향 단부에서 갖는다. 각각의 볼트(22)는 차량 저부(도시되지 않음) 내에 형성된 나사 형성 볼트 개구(도시되지 않음)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하부 레일(1) 내에 형성된 개구(1b)를 통과한다.
이와 같이,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하부 기부(10a)의 구멍 형성 단부는 하부 레일(1)의 구멍 형성 단부 상에 직접 배치된다. 이러한 직접 결합으로 인해, 하부 레일(1)로의 로킹판(10)의 견고한 연결이 성취된다.
도19 및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장치(SL)의 보유판(3)은 제1 실시예(100A)(도1 참조)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즉, 제2 실시예(100B)에 채용된 각각의 보유판(3)은 롤러(4)가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기부 하부벽(3a), 안내 볼(5)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높은 수직 측벽(3d) 그리고 기부 하부벽(3a)으로부터 하향으로 굽혀진 하부 리지(ridge)(3e)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100A)와 유사한 구조 때문에, 제2 실시예(100B)는 전술된 제1 실시예(1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제2 실시예(100B)에서, 하부 레일(1)에 로킹판(10)을 연결하기 위한 볼트(22)의 사용으로 인해, 이러한 연결을 위해 용접을 채용할 필요성이 없다.
도26 내지 도32 특히 도26 내지 도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시트 활주 장치(100C)가 도시되어 있다.
시트 활주 장치(100C)는 제2 실시예의 전술된 시트 활주 장치(100B)와 구성이 유사하므로, 제2 실시예(100B)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100C)에서, 바아 스프링(11)은 오목부(11b)가 한정되는 2개의 정렬된 돌출부(11a)를 그 중앙부에서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11a)와의 결합을 위해, 래칭 레버(8)의 브릿지부의 치형부(7)는 스프링 파지부(17)를 갖는다.
도2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파지부(17)는 오프셋된 돌출부(17b)가 한정되는 2개의 정렬된 돌출부(17a)를 포함한다. 조립시, 래칭 레버(8)의 스프링 파지부(17)의 이들 3개의 돌출부(17a, 17b)는 일대일 결합 방식으로 바아 스프링(11)의 중앙부의 3개의 부분(11a, 11b)을 매끄럽게 수용한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래칭 레버(8)의 스프링 파지부(17)에 대한 바아 스프링(11)의 축 방향 변위는 억제된다.
도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판(10)의 긴 하부 기부(10a)는 경사면(23a)을 그 후방 단부에서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은 근접한 볼트(22)의 헤드보다 높은 상부를 갖는다.
경사면(23a)의 제공으로 인해, 라이터, 활주 레일 유닛의 내부 공간의 후방 위치 내로 우연히 활주되는 담배 등의 작은 물품이 용이하게 꺼내질 수 있다. 즉, 도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시트는 전술된 방식으로 후방으로 활주된다. 이러한 후방 이동으로 인해, 활주 장치(SL)는 후방으로 물품(L)을 가압하는 상부 레일(2)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시트가 최후방 위치에 도달될 때,물품(L)은 경사면(23a) 상으로 상방으로 가압된 다음에 레일 유닛의 외부로 가압된다.
2002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2-369252호; 2003년 10월 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348925호; 2003년 6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172736호; 2003년 9월 3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340293호; 그리고 2003년 9월 30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340292호의 전체 내용은 참조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바와 같은 그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예 및 변화예가 전술된 것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 활주 장치에 따르면,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값싸고 만족스러운 소형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채널 구조를 갖는 하부 레일과,
    채널 구조를 갖는 상부 레일로서, 길게 포위된 공간을 상부 및 하부 레일 사이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레일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과,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기다란 로킹판과,
    폴부 및 입력 아암을 포함하며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부 레일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소정 축에 대해 피벗되도록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폴부가 하부 및 상부 레일 사이의 로킹 결합을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일부와 결합되는 로킹 위치 및 폴부가 상기 로킹 결합을 해제하도록 로킹판으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되고, 입력 아암에 외력이 인가될 때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래칭 레버와,
    래칭 레버를 편의시켜 로킹 위치를 향해 피벗되도록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와,
    입력 아암의 소정부가 외향 관통 돌출되도록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로킹판은 하부 레일에 고정된 하부 기부 그리고 복수개의 정렬된 로킹 개구가 형성된 수직 벽부를 포함하는 대체로 L자형 단면을 가지며, 래칭 레버의 폴부는 래칭 레버가 로킹 위치를 취할 때 로킹판의 정렬된 로킹 개구들중 일부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부 레일에 고정되고, 래칭 레버의 폴이 래칭 레버의 로킹 위치를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로킹 개구와 결합되는 보유 개구가 형성된 지지 브래킷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 레일에는 래칭 레버가 로킹 위치를 취할 때 래칭 레버의 폴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보유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로킹판의 수직 벽부는 보유 개구가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의 일부와, 보유 개구가 형성되는 상부 레일의 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래칭 레버의 폴은 래칭 레버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지지 브래킷의 보유 개구, 로킹판의 로킹 개구 그리고 상부 레일의 보유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래칭 레버는 폴이 일체로 형성되는 브릿지부와; 브릿지부의 대향 단부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중 하나는 입력 아암을 구성하는 2개의 측면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래칭 레버의 2개의 측면 아암은 상부 레일에 고정된 각각의 브래킷 부재에 의해 정렬되며 제공되는 제1 및 제2 핀부에 의해 피벗식으로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부 레일에 고정되고, 제1 핀 및 제1 채널부를 갖는 스토퍼 구조체와; 로킹판의 일단부 상에 형성되며, 그 사이의 수직 분리를 억제하기 위한 방식으로 제1 채널부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채널부를 갖는 파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는 곡선형 바아 스프링이며, 곡선형 바아 스프링은 상부 레일의 내측벽에 대해 가압된 대향 단부, 및 래칭 레버의 브릿지부와 결합된 팽창된 중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곡선형 바아 스프링의 중심부에는 래칭 레버의 브릿지부 상에 형성된 돌출부와 맞물리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로킹판의 전방부에 의해 제공되는 전방 스토퍼와; 로킹판의 후방부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 스토퍼와; 지지 브래킷에 의해 제공되며, 상부 레일이 하부 레일에 대해 최전방 및 최후방 위치에 각각 오게 될 때 전방 및 후방 스토퍼와 맞닿게 되는 모서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도록 길게 포위된 공간의 전방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 활주 장치와; 하부 레일에 대한 상부 레일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도록 길게 포위된 공간의 후방부 내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 활주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래칭 레버는 전방 및 후방 활주 장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활주 장치는
    기부 하부벽 및 수직 측벽을 포함하는 단면이 대체로 L자형인 보유 장치와,
    기부 하부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롤러와,
    수직 측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안내 볼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 및 안내 볼 각각은 하부 및 상부 레일 모두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활주 장치는 보유 장치에 의해 보유되는 또 다른 수직 측벽과; 또 다른 수직 측벽에 의해 보유되며 상부벽과 활주 가능하게 접촉되는 돌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로킹판은 용접에 의해 하부 레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로킹판은 볼트에 의해 하부 레일을 통해 차량 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로킹판에는 볼트가 관통하는 볼트 개구가 그 길이 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로킹판에는 경사면이 볼트 부근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상부가 볼트의 헤드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작동될 때 입력 아암의 소정부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기구는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부 레일의 개구를 통해 돌출된 입력 아암의 소정부 위에 배치된 가압 러그를 갖는 피벗 부재와,
    함께 피벗되도록 피벗 부재에 연결되는 핸들과,
    입력 아암의 돌출된 소정부로부터 가압 러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피벗 부재를 편의시키도록 핸들과 결합되는 편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기구는
    상부 레일에 고정되며, 그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피벗 부재를 갖는 스탠드와,
    핸들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피벗 부재에 의해 보유되는 정렬된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기구는
    상부벽에 고정된 수평 벽부 그리고 수평 벽부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상향으로 상승된 수직 벽부를 포함하는 지지판과,
    수직 벽부에 고정된 샤프트를 통해 수직 벽부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부 레일의 개구를 통해 돌출된 입력 아암의 소정부 위에 배치된 가압 아암을 갖는 피벗 홀더와,
    함께 피벗되도록 피벗 홀더에 연결된 핸들과,
    입력 아암의 돌출된 소정부로부터 가압 아암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피벗 홀더를 편의시키도록 샤프트 주위에 배치된 복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기구는
    상부 레일에 고정된 하부 모서리를 갖는 측면판과,
    측면판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상부 레일의 개구로부터 돌출되는 입력 아암의 소정부 위에 배치되는 가압 러그를 갖는 피벗 레버와,
    피벗 레버 위에 배치되며 측면판에 고정된 샤프트를 통해 측면판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피벗 홀더와,
    피벗 레버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하단부 및 피벗 홀더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상단부를 갖는 연결 레버와,
    함께 피벗되도록 피벗 홀더에 연결된 핸들과,
    입력 아암의 돌출된 소정부로부터 피벗 레버의 가압 러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피벗 홀더 및 그에 따른 피벗 레버를 편의시키도록 샤프트 주위에 배치된 복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로킹 해제 기구는
    상부 레일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 레일에 고정된 전방 및 후방 홀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전방부를 굽힘으로써 제공되는 핸들과,
    함께 피벗되도록 샤프트에 고정되며, 상부 레일의 개구로부터 돌출되는 입력 아암의 소정부 주위에 배치되는 가압 레버를 갖는 날개 구조체와,
    입력 아암의 돌출된 소정부로부터 가압 레버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샤프트 및 그에 따른 날개 구조체를 편의시키도록 샤프트 주위에 배치된 복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샤프트의 피벗 운동이 파트너 시트 활주 장치에서 실시된 로킹 해제 기구의 일부인 또 다른 샤프트로 전달되는 연결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26.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갖는 하부 레일과,
    대체로 역 U자형 단면을 갖는 상부 레일로서, 길게 포위된 공간을 상부 및 하부 레일 사이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부 레일과 활주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레일과,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하부 레일에 고정되고, 복수개의 정렬된 로킹 개구가 형성되는 기다란 로킹판과,
    폴부 및 입력 아암을 포함하며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고, 폴이 하부 및 상부 레일 사이의 로킹 결합을 성립시키도록 로킹 개구의 일부 내로 삽입되는 로킹 위치 및 폴이 로킹 결합을 해제하도록 로킹 개구로부터 해제되는 로킹 해제 위치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상부 레일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며, 입력 아암이 소정 방향으로 가압될 때 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해제 위치의 방향으로 피벗되는 래칭 레버와,
    길게 포위된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부 레일에 고정되고, 래칭 레버의 폴이 래칭 레버의 로킹 위치를 성립시키도록 로킹판의 로킹 개구와 결합되는 보유 개구가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과,
    래칭 레버가 로킹 위치를 취할 때 래칭 레버의 폴의 선단부가 결합되는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보유 개구와,
    상부 레일의 내측벽에 대해 가압된 대향 단부 그리고 래칭 레버에 대해 가압된 팽창된 중심부를 가져 로킹 위치를 향해 피벗되도록 래칭 레버를 편의시키는 곡선형 바아 스프링과,
    입력 아암의 소정부가 외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레일 내에 형성되는 개구와,
    상부 레일 상에 장착되며, 작동될 때 소정 방향으로 입력 아암의 소정부를 가압하는 로킹 해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활주 장치.
KR1020030093498A 2002-12-20 2003-12-19 시트 활주 장치 KR20040055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69252 2002-12-20
JP2002369252 2002-12-20
JPJP-P-2003-00340292 2003-09-30
JPJP-P-2003-00340293 2003-09-30
JP2003340293A JP2005104304A (ja) 2003-09-30 2003-09-30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3340292A JP4253554B2 (ja) 2003-09-30 2003-09-30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JP-P-2003-00348925 2003-10-08
JP2003348925A JP4291662B2 (ja) 2002-12-20 2003-10-08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62A true KR20040055662A (ko) 2004-06-26

Family

ID=323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498A KR20040055662A (ko) 2002-12-20 2003-12-19 시트 활주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69057B2 (ko)
EP (1) EP1431104B1 (ko)
KR (1) KR20040055662A (ko)
CN (1) CN100377917C (ko)
DE (1) DE60336044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91B1 (ko) * 2005-12-27 2007-06-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WO2008153229A1 (en) * 2007-06-13 2008-12-18 Austem Co., Ltd. Seat track for use in vehicle with locking assembly of insert type
KR101529029B1 (ko) * 2011-05-07 2015-06-16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메모리 장치를 갖춘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차량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471Y1 (ko) * 2004-02-23 2004-07-30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로킹장치의 로크가이드
JP4631327B2 (ja) * 2004-06-28 2011-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05003032B4 (de) * 2004-07-28 2017-06-29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Längsführ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mit einer Arretiereinheit
JP4291795B2 (ja) * 2005-03-31 2009-07-0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070023604A1 (en) * 2005-07-28 2007-02-01 Ching-Hai Chou Slide seat adjusting device
JP4984471B2 (ja) * 2005-09-29 2012-07-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939810B2 (ja) * 2006-01-27 2012-05-30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20090051208A1 (en) * 2006-02-27 2009-02-26 Szybisty Robert J Leaf Spring Track Latch
EP2008863A4 (en) * 2006-04-14 2017-11-2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GB0616733D0 (en) * 2006-08-23 2006-10-04 Accuride Int Ltd A sliding support assembly
JP2008049891A (ja) * 2006-08-25 2008-03-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202006016652U1 (de) * 2006-10-31 2008-03-13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US7597398B2 (en) * 2006-12-31 2009-10-06 Honda Motor Co., Ltd. Vehicular seat with adjustable thigh support
US7850137B2 (en) * 2007-02-23 2010-12-14 Lear Corporation Latch system for an adjustable vehicle seat
EP2269860A4 (en) * 2008-04-03 2014-11-05 Shiroki Corp SEAT GUIDE
KR20100044775A (ko) * 2008-04-18 2010-04-30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래치 메커니즘
US8215602B2 (en) * 2008-05-23 2012-07-10 Lear Corporation Longitudi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eat
US8251336B2 (en) * 2008-07-09 2012-08-28 Shiroki Corporation Seat track mechanism for vehicle
JP5428275B2 (ja) * 2008-10-09 2014-02-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287129B2 (ja) * 2008-10-15 2013-09-1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347643B2 (ja) * 2008-10-15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347651B2 (ja) * 2009-03-30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948632B1 (fr) 2009-07-28 2011-08-26 Attax Systeme d'accrochage d'un siege d'aeronef
US20110139843A1 (en) * 2009-12-11 2011-06-16 Thomas Barry H Motorcycle seat-back adjustement device and method
DE102009060431B4 (de) * 2009-12-22 2017-07-06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Verriegelungsvorrichtung, Schienenverstellsystem, Fahrzeug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ienenverstellsystems
JP5509977B2 (ja) * 2010-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509979B2 (ja) * 2010-03-25 2014-06-0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1245956A (ja) * 2010-05-26 2011-12-08 Imasen Electric Ind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0063615B4 (de) * 2010-08-23 2021-07-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ver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trennbarer Ober- und Unterschiene
US9393883B2 (en) 2010-09-29 2016-07-19 Lear Corporation Adjustable seat track having track engagement structure
US8398144B2 (en) * 2010-10-01 2013-03-19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Longitudinal adjustment device
DE102010042008B4 (de) * 2010-10-05 2021-09-0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Längs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N103180169B (zh) * 2010-10-27 2015-12-02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机动车辆座椅纵向调整装置的包括锁定销的锁定装置
JP5816000B2 (ja) * 2010-12-14 2015-11-17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3298648B (zh) * 2010-12-30 2016-04-13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适于机动车辆座椅的包括两对导轨的纵向调节装置
JP5691542B2 (ja) * 2011-01-18 2015-04-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シート用スライド装置
US8887974B2 (en) * 2011-02-14 2014-11-18 Kuryakyn Holdings, LLC Adjustable accessory support assembly
KR101206802B1 (ko) * 2011-04-21 2012-11-30 주식회사 오스템 시트트랙
DE102012006060B4 (de) * 2011-12-20 2019-08-22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das Verriegelungsmittel einer Sitzschiene
DE102012009235B4 (de) * 2012-05-09 2021-01-1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Sitzschien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12015288B4 (de) * 2012-07-31 2014-04-10 Johnson Controls Gmbh Entriegelungs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und Fahrzeugsitz
JP6195746B2 (ja) * 2012-08-14 2017-09-13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983295B2 (ja) * 2012-10-19 2016-08-3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FR2999123B1 (fr) * 2012-12-10 2016-12-30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ere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glissiere.
CN103625315A (zh) * 2013-11-01 2014-03-12 浙江龙生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座椅前后调节的滑道装置及其调节方法
KR101500211B1 (ko) * 2013-12-03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장치
CN103612575B (zh) * 2013-12-09 2016-02-17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滑道解锁机构
CN103909841B (zh) * 2014-04-23 2016-07-20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滑轨机构
JP6239436B2 (ja) * 2014-04-25 2017-11-2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
KR20160083210A (ko) * 2014-12-30 2016-07-12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및 그 조립방법
US9937821B2 (en) * 2015-05-22 2018-04-10 AISIN Technical Center of America, Inc. Center seat stopper control
CN108136939B (zh) * 2015-08-03 2021-02-05 延锋安道拓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用于可纵向调节的座椅的轨道的止动件
US9738180B2 (en) * 2016-01-27 2017-08-22 Brose Fahzeugteile GmbH & Co. KG, Coburg Adjuster track assembly for a vehicle seat
JP6702121B2 (ja) * 2016-09-27 2020-05-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7202518B4 (de) * 2017-01-09 2018-11-22 Adient Engineering and IP GmbH Längseinsteller und Fahrzeugsitz
DE102017204884A1 (de) 2017-03-23 2018-09-27 Lear Corporation Schieneneinstellvorrichtung
US10308148B2 (en) * 2017-06-23 2019-06-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second row load floor auto rollup air mattress with pump
US10882420B2 (en) 2019-03-08 2021-01-05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DE102019206304B4 (de) 2018-05-04 2022-01-27 Lear Corporation Schienenanordnung
US11040639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040638B2 (en) 2018-05-04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906431B2 (en) 2018-05-04 2021-02-0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850645B2 (en) 2018-05-04 2020-12-01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358497B2 (en) 2018-05-04 2022-06-14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having a rolling member
US10926667B2 (en) 2018-05-04 2021-02-2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0562409B2 (en) * 2018-07-05 2020-02-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ounting hardware for vehicle structures
ES2902532T3 (es) * 2018-09-05 2022-03-28 Martur Italy Srl Dispositivo de deslizamiento para un asiento de vehículo provisto de una disposición de bloqueo mejorada
JP7017490B2 (ja) * 2018-09-27 2022-0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US11225201B2 (en) 2018-12-10 2022-01-18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440482B2 (en) 2018-12-10 2022-09-13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KR102527253B1 (ko) * 2018-12-17 2023-04-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US10855037B2 (en) 2018-12-17 2020-12-01 Lear Corporation Support assembly with a support member and a track assembly
US11613220B2 (en) 2018-12-17 2023-03-2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117538B2 (en) 2018-12-17 2021-09-1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0950977B2 (en) 2018-12-18 2021-03-16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for a vehicle component
US11975665B2 (en) 2019-02-20 2024-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040653B2 (en) 2019-02-25 2021-06-22 Lear Corporation Track assembly
US11807142B2 (en) 2019-03-06 2023-11-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rack assembly
US11299075B2 (en) 2019-03-06 2022-04-1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US11634101B2 (en) 2019-10-04 2023-04-25 Lear Corporation Removable component system
US11463083B2 (en) 2019-10-04 2022-10-04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US11323114B2 (en) 2019-10-04 2022-05-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DE102019215628A1 (de) * 2019-10-11 2021-04-15 Lear Corporation Sitzschienenmechanismus
US20210262173A1 (en) 2020-02-21 2021-08-26 Lear Corporation Track system with a support member
US11505141B2 (en) 2020-10-23 2022-11-22 Lear Corporation Electrical system with track assembly and support assembly
US11718204B2 (en) 2021-03-05 2023-08-08 Camaco, Llc. Anti-chuck mechanism for seat track assembly
EP4082826B1 (en) * 2021-04-28 2024-03-20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seat rail system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a seat rail system
CN113829966A (zh) * 2021-11-08 2021-12-24 重庆飞适动力汽车座椅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座椅的内外滑轨防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7909A1 (de) * 1981-07-28 1983-03-10 Aisin Seiki K.K., Kariya, Aichi Fahrzeugsitz
JPS6291335A (ja) * 1985-10-18 1987-04-25 Oi Seisakusho Co Ltd シ−トスライド装置
JPH0613269B2 (ja) * 1990-09-13 1994-02-23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088449B2 (ja) * 1990-10-26 2000-09-18 テイ・エス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等の位置調節装置
JP3501431B2 (ja) * 1995-10-31 2004-03-02 株式会社タチエス ロングスライドレール
FR2740743B1 (fr) * 1995-11-08 1997-12-26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Glissiere verrouillable, notamment pour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3970978B2 (ja) 1997-05-13 2007-09-0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装置
EP0943484A3 (en) * 1998-03-17 2000-08-16 Ohi Seisakusho Co., Ltd. Seat slide unit
JP2000168409A (ja) 1998-12-09 2000-06-20 Gifu Auto Body Industry Co Ltd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機構
JP4090677B2 (ja) * 2000-08-28 2008-05-28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JP3614098B2 (ja) * 2000-09-25 2005-01-26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542254B2 (ja) 2000-11-21 2010-09-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0384315B1 (ko) 2000-12-18 2003-05-16 대부기공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킹시스템
JP3880313B2 (ja) 2000-12-27 2007-02-14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4249931B2 (ja) * 2002-02-28 2009-04-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104969B2 (ja) * 2002-12-19 2008-06-18 富士機工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991B1 (ko) * 2005-12-27 2007-06-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의 로크장치
WO2008153229A1 (en) * 2007-06-13 2008-12-18 Austem Co., Ltd. Seat track for use in vehicle with locking assembly of insert type
KR101529029B1 (ko) * 2011-05-07 2015-06-16 존슨 컨트롤즈 컴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메모리 장치를 갖춘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차량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1104A2 (en) 2004-06-23
US6869057B2 (en) 2005-03-22
CN1513695A (zh) 2004-07-21
DE60336044D1 (de) 2011-03-31
US20040124683A1 (en) 2004-07-01
EP1431104B1 (en) 2011-02-16
EP1431104A3 (en) 2009-03-11
CN100377917C (zh)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55662A (ko) 시트 활주 장치
US7210699B2 (en) Foldable stroller with a control cable operable to allow for folding of the stroller
US8459706B2 (en) Door handle apparatus for vehicle
JP508017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165884B1 (ko) 의자에 있어서의 가동 부재의 로크 장치
US6302613B1 (en) Pivot connector for a foldable stroller frame
EP2901894A1 (en) Head rest
JPH11321403A (ja) 車両用シ―トのスライド、および同スライドを含むシ―ト
EP2902256A1 (en) Head rest
JP491898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10837206B2 (en) Lock device for vehicles
US20050269854A1 (en) Vehicle seat latch assembly having a pivoting anti-chuck hook for engaging a floor-mounted striker plate
JP2007176220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65047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어셈블리
US20220346556A1 (en) Sofa bed
US20220346560A1 (en) Sofa bed
US20220346558A1 (en) Sofa bed
KR101956264B1 (ko)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US20220346557A1 (en) Sofa bed
US20220346555A1 (en) Sofa bed
JP200522526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734999B2 (ja) サスペンションレール機構
JP4740680B2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635159B2 (en) Collapsing device and child seat using the same
CN212827989U (zh)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