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655A -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 Google Patents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655A
KR20040055655A KR1020030093245A KR20030093245A KR20040055655A KR 20040055655 A KR20040055655 A KR 20040055655A KR 1020030093245 A KR1020030093245 A KR 1020030093245A KR 20030093245 A KR20030093245 A KR 20030093245A KR 20040055655 A KR20040055655 A KR 2004005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
optical device
cover
mounting case
cooling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마히로유키
사이토히로미
미야시타도모아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6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2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 G02F1/133385Heating or cooling of liquid crystal cells other than for activation, e.g. 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emperature control, stabilisation or uniform distribution over the cell with cooling means, e.g. f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는,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의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냉각풍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을 향해 흘려 보내기 위한 냉각풍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장착 케이스{ELECTRO-OPTICAL DEVICE ENCASED IN MOUNTING CASE,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AND MOUNTING CASE}
본 발명은 액정 프로젝터 등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 라이트 밸브로서 사용되는 액정 패널 등의 전기 광학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케이스, 또한 상기 장착 케이스에 상기 전기 광학 장치가 장착 또는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이러한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을 액정 프로젝터에서의 라이트 밸브로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액정 패널은 액정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등에 말하자면 노출된 상태에서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액정 패널을 적절한 장착 케이스에 장착 내지 수용한 후에, 이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액정 패널을 상기 하우징 등에 설치하는 것이 실행된다.
이것은 상기 장착 케이스에 적절한 나사 구멍 등을 설치해 둠으로써, 액정 패널의 상기 하우징 등에 대한 고착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 등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액정 프로젝터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원 광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액정 패널에 대하여 집광된 상태에서 투사되게 된다. 그리고, 액정패널을 투과한 광은, 스크린상에 확대 투사되어 화상의 표시가 실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프로젝터에 있어서는, 확대 투사가 일반적으로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광원 광으로는, 예컨대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비교적 강력한 광이 사용되게 된다.
그러면, 우선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액정 패널, 특히 액정 패널의 온도 상승이 문제가 된다. 즉, 이러한 온도 상승이 생기면, 액정 패널내에 있어서, 한쌍의 투명 기판 사이에 협지되어 있는 액정의 온도도 상승하여, 상기 액정의 특성 열화를 초래한다. 또한 특히 광원 광에 판차(deviation)가 있던 경우에는, 부분적으로 액정 패널이 가열되어 소위 핫 스폿(hot spot)이 발생하여, 액정의 투과율의 불균일이 생겨 투사 화상의 화질이 열화한다.
이러한 액정 패널의 승온을 방지하는 기술로는, 예컨대 국제 공개 공보 제 WO 98/36313 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국제 공개 공보 제 WO 98/36313 호에는, 액정 패널 및 상기 액정 패널을 수용 유지하는 동시에 방열판이 구비된 패키지(본 명세서에 말하는 "장착 케이스"에 해당함)로 구성되는 액정 표시 모듈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 및 상기 방열판 사이에 방열 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액정 패널의 승온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 그 밖에도 액정 패널의 광 입사측에 위치하는 기판에 차광막을 설치하는 것, 액정 패널을 장착 또는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장착 케이스를 광 반사성 재료로 구성하는 등의 기술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의 액정 패널의 승온 방지 대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광원 광으로부터의 강력한 광이 투사되는 한, 액정 패널의 온도 상승의 문제는 항상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고 화질화 등을 한층 더 도모하기 위해서는, 상기 각종 대책을 대신하여 또는 부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온도 상승의 방지 대책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방열 시트를 이용하는 대책으로는, 확실히 액정 패널에 축적되게 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는 판단되지만, 방열 시트가 기판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면, 반사형의 액정 패널에는 이용할 수 있어도, 투과형의 액정 패널에 대해서는 무력하다.
또한, 차광막 및 장착 케이스에 의한 광 반사 대책으로는, 그것들의 면적을 증대시키면 반사광량이 증대되므로, 확실히 액정 패널의 온도 상승의 방지에 상응하도록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반사광량을 증대시키면,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액정 패널을 수납하는 하우징내의 미광(stray light)을 증가시키게 되어, 화상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차광막에 대해서는, 그 면적을 넓히면 넓힐수록, 액정 패널에 본래 입사·투과될 광원 광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화상이 어두워지게 된다고 판단된다. 이것으로는, 보다 밝은 화상을 표시하고자, 강력한 광원 광을 사용하고 있는 취지에 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대책은 전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는 할 수 없는 점에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성립된 것으로, 비교적 강력한 투사광이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에서의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사용되어 적절한 장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본체부 및 상기 커버 본체부로부터 연장 설치 또는 상기 커버 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산일 방지부(cooling air scattering prevention portion)를 구비고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가 커버 및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장착 케이스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전기 광학 장치로는, 예컨대 투사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라이트 밸브로서 설치되는 액정 장치 또는 액정 패널을 들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장착 케이스에는, 전기 광학 장치의 주변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음으로써, 상기 주변 영역에서의 광 노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주변 영역으로부터 화상 표시 영역내에 미광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부 및 냉각풍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산일 방지부를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커버의 방열 능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전기 광학 장치의 효과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이것은 이하의 상황에 기인한다.
우선, 전기 광학 장치에는 상기 투사광이 입사됨으로써,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온도는 상승한다. 이렇게 하면, 이 전기 광학 장치의 열은 상기 주변 영역을 유지하는 플레이트 및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고, 또는 플레이트에 전달된 열은 상기 접촉하는 부분을 거쳐 커버에 간접적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경우, 이러한 플레이트 및 커버는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한 히트 싱크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냉각풍이 이송되어 오게 되어 있다. 이 냉각풍은, 예컨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투사형 표시 장치내에 설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내에 함께 설치되는 냉각 팬으로부터 송출되도록 해두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냉각풍 도입부는 상술한 바와 같은냉각풍 산일 방지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은 전기 광학 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본체부로 효율적으로 흐르게 되기 때문에, 우선 상기 전기 광학 장치 그 자체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황은 동시에 커버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가 상술한 히트 싱크로서의 기능을 보다 양호하게 발휘한다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장치의 효과적인 냉각이 실현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 광학 장치의 온도 상승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예컨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구성할 수 있는 액정층의 특성 열화, 또는 상기 액정층중에 있어서의 핫 스폿의 발생 등)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고품질의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냉각풍 도입부가 커버 본체부로부터 "연장 설치"된다는 것은, 전형적으로는 양자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냉각풍 도입부가 커버 본체부의 연장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등의 경우가 해당된다. 또한, 냉각풍 도입부가, 커버 본체부에 "따라 설치"된다는 것은, 전형적으로는 양자가 별도의 개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냉각풍 도입부가 커버 본체부에 별도로 장착되는 등의 경우가 해당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도풍판(baffle plate)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도풍판을 포함한다. 여기에 도풍판이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의흐름을 일정 정도 저해하는 동시에, 그 저해에 의해, 냉각풍을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는 기능을 갖는 판을 말한다.
이러한 도풍판을 구비함으로써, 본 형태에 있어서는, 커버 본체부를 향해 냉각풍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기 광학 장치 그 자체의 냉각, 또는 커버의 냉각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냉각풍의 흐름 방향으로 그 선단부가 대향하는 첨예 형상(pointed shape)을 갖는 슬로프부(slop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상기 슬로프부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슬로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로프부란,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풍의 흐름 방향으로 그 선단부가 대향하는 첨예 형상을 갖는 부분이다. 이 슬로프부의 존재에 의하면, 냉각풍은 우선 선단부에 도달한 후,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넘어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가도록 하여 상기 슬로프부를 빠져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전형적으로는 상정되게 된다.
여기서 가령, 상기 선단부 내지 슬로프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예컨대 소정 두께를 갖는 블럭 형상의 부재가 상기 슬로프부 등을 대신하여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냉각풍의 흐름은 상기 블럭 형상의 부재로 일정 정도 저해된 다음, 저해된 냉각풍의 흐름은 그 블럭 형상의 부재의 면을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상기 냉각풍이 커버 본체부를 향하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 말하는 "슬로프부"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면, 냉각풍산일 방지부의 기능을 더 높일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 그 자체의 냉각, 또는 커버의 냉각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첨예 형상"이란 테이퍼 형상, 웨지 형상, 유선 형상 등등의 형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도풍판은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상기 도풍판이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으로서, 전형적으로 상정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풍이 넘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우에 있어서의, 그 넘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대상이 된 면이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이러한 면을 둘러싸도록 도풍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본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도달한 냉각풍이 상기 면을 넘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대상이, 보다 빈도가 높아지도록 대향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본체부로의 냉각풍의 송출은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둘러싸도록"이란, 도풍판의 구체적 형상의 여하, 또한 슬로프부의 구체적 형상의 여하의 조합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각종 구체적 형태를 포함한다. 예컨대, 슬로프부가 테이퍼형 형상의 일종이라 판단되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삼각 기둥 형상의 양쪽 바닥면에 부착된 사변형상의 판이 "도풍판"에 해당한다는 형태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변형상의 면적이, 상기 바닥면의 면적보다도 크면, 상기 사변형상의 잉여 부분이 상기 삼각 기둥의 측면과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세워진 것 같은 상태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인 상기 삼각 기둥의 측면은 상기 사변형상의 잉여 부분에 의해 양측에서 둘러싸여 있는 모양으로 된다. 또한, 이 형태에 부가하여, 양쪽 바닥면에 부착된 사변형상의 판의 사이를 걸치도록, "도풍판"에 해당하는 별도의 판을 설치하면, 상기 판과 상기 사변형상의 판은 상기 삼각 기둥의 측면을 확실히 둘러싸고 있는 상태가 나타난다. 본 형태의 "둘러싸도록"은 이러한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 본체부에는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을 외부에 노출하는 윈도우부(window)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윈도우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상기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면은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과 연속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커버 본체부에 상기 윈도우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윈도우부를 거쳐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 대하여 상기 투사광을 입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특히 윈도우부로부터 노출된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면은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과 연속되어 있다. 여기서,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이란, 상술한 바와 같은 면, 즉 냉각풍이 넘어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가는 형상으로서의 면이 전형적으로는 상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러한 면과 전기 광학 장치의 면이 "연속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넘어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간 냉각풍은, 양면 사이의 단 영역에서 그 진행을 방해받는 일이 거의 없이, 전기 광학 장치의 면으로 유입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 그 자체의 냉각을, 상기에도 증가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연속하고 있다"라는 것은, 예컨대 정방형상의 면(A, B)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면(A, B)이 서로 직각이 아닌 각도로 교차되는 동시에, 면(A)의 한변이 면(B)의 한변에 접합하고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면(A, B)의 사이에 별도의 면(C, D, …)이 존재하고, 또한 이러한 각각의 면 사이에도 상기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 또한 면(A, B)이 "연속되어 있다"에 포함된다.
단, 본 형태에서 말하는 "연속되어 있다"라는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풍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작용 효과를 얻는 것에 그 본질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정의를 기계적으로 적용하면, "연속"의 범위내에 있는지 어떤지가 완전히 판별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술한 기호를 사용하여, 면(A, B) 사이에 면(ζ)이 존재하고, 면(ζ, B)은 직각으로 교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면(A)과 면(B)은 "연속"되지 않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면(ζ)이 직사각형상이고, 면(A), 및 면(B)에 비해 매우 작은 면적밖에 갖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이들 면(A), 면(ζ) 및 면(B)을 지나가는 냉각풍의 진행이 방해받는다는 것을 거의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면(A) 및 면(B)은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연속되어 있다"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윈도우부의 가장자리는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상기 면(A)과,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면을 상기 면(B)과, 그리고 윈도우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면을 상기 면(C)라 각각 고려함으로써, 상술한 "연속되어 있다"를 적절히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한 불필요한 광의 입사를 방지하는 등의 목적 때문에, 윈도우부가 형성되는 커버 본체부의 면과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의 면은, 통상 동일 평면상에 탑재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기 광학 장치의 면이, 상기 윈도우부가 형성되는 커버 본체부의 면으로부터 약간 들어간 장소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도, 본 형태의 구성은 적절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테이퍼 형상"의 각도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냉각풍이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넘어 올라가고, 본 형태의 "테이퍼 형상"의 면을 내려가서, 전기 광학 장치의 면에 이른다는 구체적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 테이퍼 형상이 15° 이상의 각도를 가지면,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넘어 올라간 냉각풍이, 그 후에 비교적 급격한 슬로프부를 내려가 전기 광학 장치의 면에 이르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단, 테이퍼 형상이 15° 이상 90° 미만의 각도를 갖는다고 해도, 윈도우부의 가장자리의 면과 전기 광학 장치의 면은 상기 "연속되어 있다"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부로부터 흘러나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로부터 도출하는 냉각풍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배출부는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 1 표면적 증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커버에는, 상기 냉각풍 도입부에 대응하도록 냉각풍 배출부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냉각풍 배출부에는 제 1 표면적 증대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커버의 방열 능력 또는 냉각 능력은 개선된다. 따라서, 커버는 거의 항상 적절히 냉각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의 냉각도 매우 효율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 2 표면적 증대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커버에는 측벽부가 포함되고, 또한 상기 측벽부에는 제 2 표면적 증대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커버의 방열 능력 또는 냉각 능력은 개선된다. 따라서, 커버는 거의 항상 적절히 냉각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의 냉각도 매우 효율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부는 전기 광학 장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커버 전체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율은 원래 당초부터 클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이러한 커버 전체 중에서 비교적 광범한 면적을 갖고 있는 측벽부에 상기 제 2 표면적 증대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전체의 면적 증대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냉각풍을 상기 측벽부로 이송하기 위한 도풍부(baff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상기 도풍부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냉각풍 도입부 및 냉각풍 산일 방지부에 포함되는 도풍부가 냉각풍을 측벽부로 이송한다. 이에 의해, 상기 측벽부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제 2 표면적 증대부의 작용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 1 표면적 증대부 및 상기 제 2 표면적 증대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핀(fin)과, 상기 커버의 표면에 홈을 내도록 형성된 딤플(dimpl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비교적 용이하게 커버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핀(fin)"은, 커버 본체를 형성하는 것에 더불어 또는 그 후에, 예컨대 절삭 가공, 단조 가공, 프레스 가공, 사출 성형 또는 주조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딤플(dimple)"과 상기 "핀(fin)"의 상이점은, "커버의 표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돌출되어 있는지, 또는 패어 있는지에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본 형태에서 말하는 "딤플"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이송되어 온 냉각풍의 흐름을 완전히 저해하지 않는다"는 속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이 관점에서 보면, 상기 핀은, 상기 냉각풍의흐름을 완전히 저해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는 속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한 후에, 이 점에 대하여, 딤플 및 핀 사이의 상이점을 설정한다는 생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홈(concave)을 내도록"이란, 상기 딤플을 커버의 표면에 실제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실제 "홈을 내도록"과 같은 가공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기 딤플의 형성 방법으로는, 상기 핀과 같이 커버 본체를 형성하는데 더불어 또는 그 후에, 예컨대 절삭 가공, 단조 가공, 프레스 가공, 사출 성형 또는 주조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핀은 상기 냉각풍의 흐름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핀은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이송되어 온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핀에 기인하는 커버의 냉각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
즉 가령, 핀이 냉각풍의 흐름을 저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면, 상기 냉각풍은, 그 이후의 부분으로 흐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커버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핀이 냉각풍을 따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핀이 냉각풍의 흐름을 정지시키지 않고, 커버 전체에 냉각풍을 널리 퍼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형태에 의하면 커버의 냉각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형태의 "핀은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란,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각 경우를 포함한다. 예컨대 첫째로, 냉각풍이 커버 주위를 직선적으로 흐르고 있는 경우에는, 핀이 상기 방향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둘째로, 냉각풍이 커버 주위를 소용돌이치도록 흐르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핀의 커버상의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핀이 그 방향을 변경하여 형성되어 있는 등의 경우를 포함한다. 그 밖에,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냉각풍이 약간 불규칙한 흐름을 보이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핀의 커버상의 설치 장소에 따라, 상기 핀이 상기 불규칙한 흐름 방향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일치하도록, 그 방향을 변경하여 형성되어 있는 등의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핀은 제 1 열의 핀과, 이것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열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의 핀과 상기 제 2 열의 핀 사이의 간격이 1㎜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상기 핀은, 제 1 열의 핀과 제 2 열의 핀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러한 "제 1 열의 핀" 및 "제 2 열의 핀"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비교적 긴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핀 등이 그것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2열의 핀의 간격이 1㎜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2열의 핀 사이에도 무리없이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투사형 표시 장치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장착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에 별도로 설치되는냉각 팬과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란, 통상 다른 구성 요소를 배치 등 하지 않으면 안되는 관계로부터, 상당 정도 거리를 두어 설치해야 하거나, 양자간의 위치 관계를 완전히 대향시키도록 배치하기 어려운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는, 정압이 낮고 풍량이 작은 냉각풍밖에 이송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여기서 본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열의 핀 사이의 거리가 1㎜ 이상으로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2열의 핀 사이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정압이 낮고 풍량이 작은 냉각풍을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하면 냉각풍에 노출되게 되는 핀의 표면적이 증대하게 되므로, 상기 핀의 방열성은 더 향상하게 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커버 전체의 방열 능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커버는 고 열전도율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커버가 고 열전도율 재료로 구성되므로,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 제 1 및 제 2 표면적 증대부 등에 기인하는 작용 효과와 더불어, 커버의 방열 능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 말하는 "고 열도전율 재료"란,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또는 이들 각각의 합금 등을 적절히 열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부 및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첨예 형상을 갖는 슬로프부를 갖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전술한 슬로프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와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는,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을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부 및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산일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사용되어 적절한 장착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단, 그 각종 형태를 포함함)와, 상기 광원과, 상기 투사광을 상기 전기 광학 장치로 안내하는 광학계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로부터 출사된 투사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냉각풍을 송출하는 냉각풍 송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하게 되므로,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또한 상기 투사형 표시 장치에는 상기 냉각풍 송출부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의 효과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품질인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러한 작용 및 다른 이점은 다음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부터 분명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액정 장치의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 형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H-H′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를 전기 광학 장치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X1-X1' 단면도,
도 7은 도 5의 Y1-Y1' 단면도,
도 8은 도 5의 Z1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의 정면도,
도 10은 도 9의 Z2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11은 도 9의 Z3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부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Z4 방향에서 본 배면도,
도 14는 도 12의 Z5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한 바람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15에 대한 비교예의 도면,
도 17은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리어 핀부(rear fin portion)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프론트 핀부(front fin portion)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도풍판의 형태가 다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2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냉각풍 도입부에 도풍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대하여 다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냉각풍 도입부에 도풍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대하여 다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도 12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냉각풍 배출부에서 리어 핀부를 대신하여 딤플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대하여 다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도 22의 W-W'선 단면도로서, 특히 리어 핀부를 구성하는 직선형의 핀 및 딤플의 단면 형상만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FT 어레이 기판 20 : 대향 기판
50 : 액정층 400 : 방진용 기판
500 : 전기 광학 장치
500F : 전기 광학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면
601 : 장착 케이스 610 : 플레이트부
620 : 커버부 622 : 냉각풍 도입부
622T : 테이퍼부 622T2 : 선단부
622TF : 테이퍼부의 측면 622P, 622PC : 도풍판
623 : 커버 본체부 62W : 측벽부
627 : 사이드 핀부 624 : 냉각풍 배출부
624F : 리어 핀부 624T : 테이퍼부
624D : 딤플 625 : 윈도우부
628 : 도풍부
100R, 100G, 100B : 라이트 밸브
1100 : 액정 프로젝터 1102 : 램프 유닛
1300 : 시로코 팬(sirocco fa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투사형 액정 장치의 실시 형태)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투사형 액정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그 광학 유닛에 내장되어 있는 광학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일예인 액정 라이트 밸브가 3장 사용되고 있는 복판식 컬러 프로젝터로서 구축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복판식 컬러 프로젝터의 일예인, 액정 프로젝터(1100)는, 구동 회로가 TFT 어레이 기판상에 탑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포함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를 3개 준비하여, 각각 RGB용의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서 사용한 프로젝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액정 프로젝터(1100)에서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의 백색 광원의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 투사광이 발생되면, 3장의 미러(1106) 및 2장의 다이크로익 미러(1108)에 의해, RGB의 3원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R, G, B)으로 나뉘고, 각 색에 대응하는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 각각 유도된다. 이때, 특히 B광은 긴 광로에 의한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사 렌즈(1122), 릴레이 렌즈(1123) 및 출사 렌즈(1124)로 이루어지는 릴레이 렌즈계(1121)를 거쳐 유도된다. 그리고,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 의해 각각 변조된 3원색에 대응하는 광 성분은 다이크로익 프리즘(1112)에 의해 다시 합성된 후, 투사 렌즈(1114)를 거쳐 스크린(1120)에 컬러 화상으로서 투사된다.
본 실시 형태의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는, 예컨대 후술한 바와 같은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장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액정 프로젝터(1100)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 냉각풍을 보내기 위한 시로코 팬(1300)(본 발명에서 말하는 "냉각풍 송출부"의 일예에 해당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시로코 팬(1300)은 그 측면에 복수의 블레이드(1301)를 구비한 대략 원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원통 형상의 부재가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1301)가 바람을 생성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원리에서, 시로코 팬(1300)으로 만들어진 바람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소용돌이치게 된다.
이러한 바람은 도 1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은 풍로를 통해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 공급되고,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의 근방에 설치된 취출구(100RW, 100GW, 100BW)로부터 이러한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 대하여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시로코 팬(1300)을 사용하면, 정압이 높고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 주위의 좁은 공간에도 바람을 보내기 쉽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는, 강력한 광원인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의 투사광에 의해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에서 온도가 상승한다. 이 때, 과도하게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를 구성하는 액정이 열화하거나, 광원 광의 불균일에 의한 부분적인 액정 패널의 가열에 의한 핫 스폿의 발생에 의해 투과율에 불균일이 생기거나 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를 냉각하는 능력을 갖는 장착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의 온도 상승은 효율적으로 억제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액정 프로젝터(1100)의 하우징내에는, 각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의 주변 공간에 냉각 매체를 흘려보내는 순환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각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열 작용을 갖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로부터의 방열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전기 광학 장치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전기 광학 장치에 관한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전기 광학 장치의 일예인 구동 회로 내장형의 TFT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 방식의 액정 장치를 예로 든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상술한 액정 프로젝터(1100)에 있어서의 액정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TFT 어레이 기판을 그 위에 형성한 각 구성 요소와 함께 대향 기판측에서 본 전기 광학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H-H'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로는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이 대향 배치되어 있다.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에 액정층(50)이 봉입되어 있고,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은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위에 위치하는 밀봉 영역에 설치된 밀봉재(52)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밀봉재(52)는 양쪽 기판을 접합하기 위한, 예컨대 자외선 경화 수지, 열경화 수지 등으로 구성되고,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TFT 어레이기판(10)상에 도포된 후, 자외선 조사, 가열 등에 의해 경화된 것이다. 또한, 밀봉재(52)중에는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의 간격(기판 사이 간격)을 소정값으로 하기 위한 유리 섬유 또는 유리 비드(glass bead) 등의 갭재가 산포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전기 광학 장치는 프로젝터의 라이트 밸브용으로서 소형으로 확대 표시를 실행하기에 적합하다.
밀봉재(52)가 배치된 밀봉 영역의 내측에 병행하여, 화상 표시 영역(10a)의 프레임 영역을 규정하는 차광성의 프레임 차광막(frame light shielding film)(53)이 대향 기판(20)측에 설치되어 있다. 단, 이와 같은 프레임 차광막(53)의 일부 또는 전부는 TFT 어레이 기판(10)측에 내장 차광막으로서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으로 확장되는 영역중 밀봉재(52)가 설치된 밀봉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및 외부 회로 접속 단자(102)가 TFT 어레이 기판(10)의 한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주사선 구동 회로(104)가 이 한변에 인접하는 두변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TFT 어레이 기판(10)의 나머지 한변에는 화상 표시 영역(10a)의 양측에 설치된 주사선 구동 회로(10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 기판(20)의 4개의 코너부에는 양쪽 기판 사이의 상하 도통 단자로서 기능하는 상하 도통재(106)가 배치되어 있다. 그 밖에, TFT 어레이 기판(10)에는 이러한 코너에 대향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하 도통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TFT 어레이 기판(10)과 대향 기판(20) 사이에서 전기적인 도통이 이뤄질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화소 스위칭용 TFT나 주사선, 데이터선 등의 배선이 형성된 후의 화소 전극(9a)상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그 밖에, 대향 기판(20)상에는 대향 전극(21) 외에, 격자 형상 또는 스트라이프 형상(stripe shape)의 차광막(23), 또한 최상층 부분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층(50)은, 예컨대 일종 또는 수종류의 네마틱 액정(nematic liquid crystal)을 혼합한 액정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한쌍의 배향막 사이에 소정의 배향 상태를 취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TFT 어레이 기판(10)상에는, 이러한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주사선 구동 회로(104) 등에 부가하여, 화상 신호선상의 화상 신호를 샘플링하여 데이터선에 공급하는 샘플링 회로, 복수의 데이터선에 소정 전압 레벨의 프리 차지 신호를 화상 신호에 선행하여 각각 공급하는 프리 차지 회로, 제조 도중이나 출하시의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품질,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회로 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 광학 장치의 경우, 그 동작시에는, 도 3의 상측으로부터 강력한 투사광이 조사된다. 그렇게 하면, 대향 기판(20), 액정층(50), TFT 어레이 기판(10) 등에 있어서의 광 흡수에 의한 발열에 의해,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온도 상승은 액정층(50) 등의 열화를 조속히 하는 동시에, 표시 화상의 품질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이하에 설명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해 이러한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제 1 실시 형태-)
다음에,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먼저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를, 상술한 전기 광학 장치와 함께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X1-X1'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Y1-Y1'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Z1 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은 전기 광학 장치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의 장착 케이스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상기 장착 케이스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9의 Z2 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Z3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상기 장착 케이스를 구성하는 커버부의 정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Z4 방향에서 본 배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Z5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 케이스(601)는 플레이트부(610)와 커버부(620)를 구비한다. 장착 케이스(601)내에 수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5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전기 광학 장치에 부가하여, 그 표면에 중첩된 반사 방지판 등의 다른 광학 요소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그 외부 회로 접속 단자에 가요성 커넥터(501)가 접속되게 된다. 한편,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은 액정 프로젝터(1100)의 광학계에 구비할 수도 있고, 전기 광학 장치(500)의 표면에 중첩시킬 수도 있다.
또한, TFT 어레이 기판(10) 및 대향 기판(20) 각각의 액정층(50)에 대향하지 않은 측에는 방진용 기판(400)이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6 및 도 7 참조). 이 방진용 기판(4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500)의 주위를 표류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표면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확대 투사된 화상상에 이러한 티끌이나 먼지의 상이 맺히는 불량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것은, 방진용 기판(400)이 소정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광원 광의 초점 내지 그 근방이, 상기 티끌이나 먼지가 존재하는 위치, 즉 방진용 기판(400) 표면으로부터 편향되는 것에 의한 디포커스작용(defocusing function)을 이룬다.
이와 같이 TFT 어레이 기판(10) 및 대향 기판(20) 및 방진용 기판(400) 등을 구비한 전기 광학 장치(500)는, 도 4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로 이루어지는 장착 케이스(601)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이러한 전기 광학 장치(500) 및 장착 케이스(601) 사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몰드재(630)가 충전되어 있다. 이 몰드재(630)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500) 및 장착 케이스(601) 사이의 접착이 확실히 실행되는 동시에, 전자의 후자의 내부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커버부(620)측으로부터 광이 입사되고, 전기 광학 장치(500)를 투과하여, 플레이트부(610)의 측으로부터 출사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도 1로 말하면, 다이크로익 프리즘(1112)에 대향하는 것은 커버부(620)가 아니고, 플레이트부(610)로 된다.
그런데, 이하에는 장착 케이스(601)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의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한다.
우선 첫째로, 플레이트부(610)는, 도 4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보았을때 보아 대략 사변형상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전기 광학 장치(500)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플레이트부(610)와 전기 광학 장치(500)는 서로 직접 접촉하고, 후자가 전자에 탑재되는 것과 같은 상태가 채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부(610)는 윈도우부(615), 강도 보강부(614), 굽힘부(613), 커버부 고정 구멍(612) 및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 및 611e)을 갖는다.
윈도우부(615)는, 대략 사변형상을 갖는 부재의 일부가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컨대 도 6중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광의 투과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전기 광학 장치(500)를 투과해온 광의 출사는 이 윈도우부(615)에 의해 가능해진다. 또한, 이에 의해, 플레이트부(610)상에 전기 광학 장치(500)를 탑재한 경우에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이, 윈도우부(615)의 가장자리에 접촉되는 상태로 된다. 플레이트부(610)는 이와 같이 하여 전기 광학 장치(500)의 유지를 실현한다.
강도 보강부(614)는 대략 사변형상을 갖는 부재의 일부를 다른 부분의 평면적으로 보아 쌓아올리는 듯한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입체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이다. 이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부(614)의 강도는 보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강도 보강부(614)는 전기 광학 장치(500)의 한변에 대략 접하지만 동일한 위치에 형성하면 좋다. 도 7을 참조한다. 단, 도 7에서는 양자는 엄밀하게는 접하지 않는다.
굽힘부(613)는 대략 사변형상을 갖는 부재의 대향하는 2변 각각의 일부가 상기 사변형상의 내측을 향해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 굽힘부(613)의 외측면은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의 장착시 상기 커버부(6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굽힘부(613)의 내측면은 몰드재(630)를 거쳐 전기 광학 장치(5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다(동일하게 도 6 참조). 이에의해, 플레이트부(610)상에 있어서의 전기 광학 장치(500)의 어느 정도의 위치 결정이 실현되게 된다.
부가하여, 굽힘부(613)의 내측면이 몰드재(630)를 거쳐 전기 광학 장치(5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되어 있는 것은 후자로부터 전자로의 열의 흡입을 가능하게 한다. 즉, 플레이트부(610)를 전기 광학 장치(500)에 대한 히트 싱크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하면, 램프 유닛(1102)에 의한 전기 광학 장치(500)에 대한 강력한 광 조사에 의해,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에 있어서의 열의 축적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굽힘부(613)의 외측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620)의 내측면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로부터 후자로의 열의 전달도 실현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500)로부터의 열의 탈취는, 원리적으로는,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의 쌍방에 있어서 고려되는 열용량 만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의 냉각은 매우 효과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커버부 고정 구멍(612)은 커버부(620)에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621)와 결합하기 위한 구멍부이다.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는 이 커버부 고정 구멍(612) 및 볼록부(621)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호 고정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부 고정 구멍(612)은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멍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러한 구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부 고정 구멍(612a, 612b)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것에 대응하도록, 상기 볼록부(621)도 또한 2개의 볼록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러한 구별이필요한 경우에는, 볼록부(621a, 621b)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정 프로젝터(1100)내에 설치할 때에 이용된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은 대략 사변형상을 갖는 부재의 네 모서리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 이외에 부착 구멍(611e)이 설치되어 있다. 이 부착 구멍(611e)은, 상기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중 부착 구멍(611c, 611d)과 함께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부착 구멍(611e, 611c, 611d)은 삼각형의 "각 정점"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네 모서리의 부착 구멍(611a 내지 611d)을 사용한 4점 고정을 실시하는 것과, 부착 구멍(611e, 611c, 611d)을 사용한 3점 고정을 실시하는 것의 쌍방이 가능해지고 있다.
다음에, 둘째로 커버부(620)는 도 4 내지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입방체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전기 광학 장치(500)의 다른 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 커버부(620)는 전기 광학 장치(500)의 주변 영역에서의 광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주변 영역으로부터 미광이 화상 표시 영역(10a)내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차광성의 수지, 금속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버부(620)는 플레이트부(610), 또는 전기 광학 장치(500)에 대한 히트 싱크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620)는 열 전도율이 비교적 큰 재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또는 이들 각각의 합금 등으로 구성하도록 하면 무방하다.
커버부(620)에는 또한 볼록부(6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621)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610)와의 고정시에 사용되고, 상기 커버부 고정 구멍(612a, 612b)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2개의 볼록부(621a, 621b)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볼록부(621)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로 후에 설명하는 냉각풍 도입부(622) 또는 후술하는 테이퍼부(622T)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시점에서는, 원래 볼록부(621)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5에는 특히 이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커버부(620)가 냉각풍 도입부(622), 커버 본체부(623) 및 냉각풍 배출부(624)를 갖는다. 또,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들 세개의 부분(622, 623, 624)은 모두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로, 냉각풍 도입부(622)는 도 4, 도 5, 도 7, 도 12, 또는 도 14 등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냉각풍 산일 방지부" 또는 "냉각풍 안내부"의 일예를 구성하는 테이퍼부(622T) 및 도풍판(622P)으로 이루어진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슬로프부"의 일예를 구성하는 테이퍼부(622T)는, 개략적으로 그 바닥면이 직각 삼각형으로 되는 삼각 기둥과 같은 외형을 갖고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622T)는 커버 본체부(623)의 일측면에상기 삼각 기둥의 일측면이 부착된 바와 같은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삼각 기둥의 일측면은 상기 삼각 기둥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직각부와 이것에 인접하는 각부의 사이에 낀 변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테이퍼부(622T)는 커버 본체부(623)의 측면상에 있어서 최대 높이로 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622T1)를 갖는다. 단, 여기서 말하는 "높이"란 도 7중 상하 방향의 거리를 말한다. 도 7에는 표시로서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베이스부(622T1)로부터 점차 높이를 줄인 선단부(622T2)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로 되는 테이퍼부(622T)는 "첨예 형상"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첨예 형상을 갖고 있는 테이퍼부(622T)를 포함하는 커버부(620)는 상기 첨예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선단부(622T2)가 냉각풍의 흐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후술하는 도 15 및 그것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한편, 도풍판(622P)은 상기 삼각 기둥의 바닥면에 있어서 직각부를 제외한 다른 두각에 낀 한변을 따라 세워 설치된 벽과 같은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높이"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상기 도풍판(622P)의 높이는 상기 루트부(622T1)로부터 상기 선단부(622T2)를 향해 테이퍼부(622T)의 높이가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루트부(622T1) 및 선단부(622T2) 사이의 어떤 부분에 있어서도 일정하다.
이와 같은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도풍판(622P)은 상기 테이퍼부(622T)에서의 하나의 측면(622TF)을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다. 또한, 이 측면(622TF)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으로서 전형적으로 상정되지만 일예이다.
계속해서 둘째로, 커버 본체부(623)는 도 4 내지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상술한 냉각풍 도입부(622) 및 후술하는 배출부(624) 사이에 끼이도록 하여 존재하고 있다.
단, 상기 직방체 형상의 내측은 전기 광학 장치(500)를 수용하기 위해 말하자면 도려내진 것 같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커버 본체부(623)는 보다 정확히 말하면, 커버 없는 박스형과 같은 형상을 갖는 부재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표현에 의하면, 여기서 말하는 "커버"로는 상기 플레이트부(610)가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커버 본체부(623)는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부(625) 및 사이드 핀부(627)를 갖고 있다. 또한, 사이드 핀부(627)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표면적 증대부" 또는 "핀"의 일예에 해당한다.
이중 우선, 윈도우부(625)는, 상기 박스형 형상의 바닥면(도 4 또는 도 6 등에서는, "상면"이라 칭하게 된다)이 개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중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의 광의 투과를 가능하게 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나타낸 액정 프로젝터(1100)내의 램프 유닛(1102)으로부터 발생된 광은 이 윈도우부(625)를 통과하여 전기 광학 장치(500)에 입사 가능해진다. 또한, 이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을 갖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테이퍼부(622T)에서의 측면(622TF)과, 전기 광학 장치(500)의 도 7중 상방의 면(500F)은 "연속"되어 있다. 즉, 첫째로, 상기 측면(622TF)은 윈도우부(625)가형성되어 있는 커버 본체부(623)의 도 7중 상방의 면(623F)과 직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하고, 둘째로 이 면(623F)은 상기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의 테이퍼 형상을 구성하는 면(625F)과 직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하며, 셋째로 이 면(625F)은 상기 면(500F)과 역시 직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면(622TF, 623F, 625F, 500F) 사이에 단차 등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각 면은 말하자면 완만히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윈도우부(625)를 갖는 커버 본체부(623)에 있어서는, 플레이트부(610)에 있어서의 윈도우부(615)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500)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영역(10a)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한다. 이에 의하면, 커버 본체부(623), 특히 그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에 의해서도 전기 광학 장치(500)의 유지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사이드 핀부(627)는 커버 본체부(623)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양측면이란 상술한 냉각풍 도입부(622) 및 후술하는 냉각풍 배출부(624)가 존재하는 측면 이외의 측면을 말한다. 또한, 이 양측면(이하에는, 이러한 양측면을 "측벽부(62W)"라 칭하기로 함)의 각각은, 예컨대 도 6 등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기 광학 장치(500)의 일측면 및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에 각각 대향한다. 또한, 측벽부(62W)의 내측면에는 커버부(620) 및 플레이트부(610)의 장착시 플레이트부(610)에 있어서의 굽힘부(613)의 외측면이 접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한다. 이상에서,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측벽부(62W)는, 특히 상기 굽힘부(613)를 거쳐 전기 광학 장치(500)의 상기 일측면 및 다른 측면에 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사이드 핀부(627)는, 보다 상세히는, 도 4 또는 도 6 및 도 13 등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각풍 도입부(622)로부터 냉각풍 배출부(624)를 향해, 상기 측면으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복수 병렬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직선 형상의 핀이 2열 병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사이드 핀부(627)의 존재에 의해, 커버 본체부(623)나 커버부(620)의 표면적은 증대하게 된다. 특히,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핀부(627)가 커버부(620) 전체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큰 측벽부(62W)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표면적 증대 효과는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사이드 핀부(627)는 커버부(620)를 형성하는데 더불어 또는 그 후에, 예컨대 절삭 가공, 단조 가공, 사출 성형 또는 주조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핀부(627)를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셋째로, 냉각풍 배출부(624)는, 도 4, 도 5, 도 8, 도 12 또는 도 13 등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요성 커넥터 도출부(624C) 및 리어 핀부(624F)로 이루어진다. 이중 가요성 커넥터 도출부(624C)는 상기 테이퍼부(622T)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본체부(623)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8 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상에, 단면이 U자형으로 되는 부재가 상기 U자형 단면의 개구부를 도 8 또는도 13 중 하방을 향해 장착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 광학 장치(500)에 접속된 가요성 커넥터(501)는, 이 U자로 둘러싸인 공간에서 벗어나 외부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표면적 증대부", 또는 "핀"의 일예에 해당하는 리어 핀부(624F)는 가요성 커넥터 도출부(624C)에 있어서의 상기 U자형 단면의 이른바 천정판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리어 핀부(624F)는, 보다 상세히는 도 4, 도 5, 도 8, 도 12 또는 도 13 등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핀부(627)인 직선 형상의 핀이 연장되는 방향과 부호를 맞추도록, 상기 천정판으로부터 직선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이 복수 병렬된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리어 핀부(624F)는 상기 각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개"의 직선 형상의 핀이 병렬되어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들 네개의 핀은, 냉각풍의 흐름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의 도 15 및 또한 그것에 관한 설명을 참조한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 8 및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네개의 직선 형상의 핀 사이의 간격(g)은 각각 1㎜ 이상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리어 핀부(624F)에 의해, 냉각풍 배출부(624) 또는 커버부(620)의 표면적은 증대하게 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리어 핀부(624F)는 커버부(620)를 형성하는데 더불어 또는 그 후에, 예컨대 절삭 가공, 단조 가공, 사출 성형 또는 주조 등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사이드 핀부(624F)를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어 핀부(624F)를 구성하는 네개의 직선 형상의 핀 사이의 간격(g)은 "전부" 전술한 바와 같이 1㎜ 이상으로 되어 있다. 즉, 예컨대 도 15의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직선 형상의 핀과, 그 우측 측방에 위치하는 핀은 1㎜ 이상의 간격이 나 있고, 상기 우측 측방의 핀과, 또한 그 우측 측방에 위치하는 핀은, 1㎜ 이상의 간격이 나 있으며, 이하 동일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열의 핀"과 "제 2 열의 핀"은, 예컨대 상기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핀과 그 우측 측방의 핀을 의미하고, 또는 상기 우측 측방의 핀과 또한 그 우측 측방의 핀 등을 의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열의 핀"과 "제 2 열의 핀"은 실제 형성되어 있는 핀의 열수에 관계없이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그런데, 커버부(620)가 이상과 같은 구성을 취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정 프로젝터(1100)에 구비된 시로코 팬(1300)으로부터 송출되어 온 바람은, 장착 케이스(601) 또는 커버부(620)의 주위에 있어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흐르게 된다. 여기서 도 15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사시도로서,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한 전형적인 바람의 흐름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액정 프로젝터(1100)에 있어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냉각풍의 흐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취출구(100RW, 100GW, 100BW)가 커버부(620)를 구성하는 냉각풍 도입부(622)와 대향하도록,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즉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우선, 냉각풍은, 냉각풍 도입부(622)의 테이퍼부(622T)를 마치 넘어 오르도록 하여, 전기 광학 장치(500)의 면(500F)이 노출되는 커버 본체부(623)로 빠져나가게 된다(참조부호(W1) 참조). 여기서 가령, 테이퍼부(622T), 또는 이것을 구성하는 일부인 선단부(622T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도 15에 대한 비교예의 도면인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블럭 형상 부재(622X)가, 상기 테이퍼부(622T)를 대신하여 존재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냉각풍(W1X)의 흐름은 이 블럭 형상 부재(622X)로 일정 정도 저해된 다음, 냉각풍(W1X)의 흐름은 그 블럭 형상 부재(622X)의 면을 따라 진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풍(W1X)이 커버 본체부(623)를 향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이와 같은 대비로부터 분명하듯이,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620)가 테이퍼부(622T)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커버 본체부(623)를 향해 냉각풍을 효율적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냉각풍 도입부(622)에는 도풍판(622P)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냉각풍이 어떤 방향으로부터 와도, 그 대부분을 테이퍼부(622T)상으로, 나아가서는 커버 본체부(623)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5 중 참조부호(W2) 참조).
이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풍판(622P)이 효율적으로 냉각풍을 집적함으로써도, 커버 본체부(623)를 향해 바람을 효율적으로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특히,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정 프로젝터(1100)에 구비된 냉각풍 송출부의 일예인 시로코 팬(1300)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으로 소용돌이치는 바람을 송출한다(도 1 참조). 따라서,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칙적인 방향으로 부는 냉각풍(W2)이 비교적 많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도풍판(622P)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변칙적으로 부는 냉각풍(W2) 등도 효율적으로 커버 본체부(623)로 송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게다가,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이 도풍판(622P)은 테이퍼부(622T)에서 냉각풍이 넘어 올라오는 측면(622TF)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본체부(623)로의 냉각풍의 송출은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냉각풍 도입부(622)를 통과한 냉각풍은 다음에 커버 본체부(623)에 이른다. 이 커버 본체부(623)는 전기 광학 장치(500)를 수용하고 있고, 또한 윈도우부(625)를 거쳐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의 면(500F)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은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 그 자체를 효율적으로 냉각하게 된다. 게다가,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장치(500)의 면(500F)과 테이퍼부(622T)의 측면(622TF)이 연속함으로써, 상기 전기 광학 장치(500)의 냉각 효과는 보다 효과적으로 된다. 즉, 도 15의 참조부호(W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622)의 측면(622TF)을 넘어 올라온 냉각풍은 그 진행을 거의 방해받지 않고, 윈도우부(625)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본체부(623)의 면(623F) 및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면(625F)(모두 도 7 참조)을 빠져나감으로써, 전기 광학 장치(500)의 면(500F)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5중 참조부호(W1') 참조).
또한, 냉각풍 도입부(622)를 통과한 냉각풍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광학장치(500) 그 자체를 냉각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커버 본체부(623) 또는 커버부(620)도 냉각한다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히 커버 본체부(623)에는 사이드 핀부(62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그 표면적 증대 효과에 의해, 상기 커버 본체부(623) 또는 커버부(620), 또는 전기 광학 장치(500)의 보다 효율적인 냉각이 실현되게 된다.
그런데, 커버 본체부(623)를 통과한 냉각풍은 다음에 냉각풍 배출부(624)에 이른다. 이 냉각풍 배출부(624)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어 핀부(624F)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어 핀부(624F)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핀이 구비되고, 냉각풍 배출부(624)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냉각풍 배출부(624) 또는 커버부(620)의 효율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직선 형상의 핀이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직선 형상의 핀 사이의 간격(g)이 1㎜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우선, 리어 핀부(624F)가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어 핀부(624F)가 냉각풍의 흐름을 과도히 저해하지 않고, 상기 냉각풍을 후단으로 후단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5중 참조부호(W1') 참조).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리어 핀부(624F)에 기인하는 커버부(620)의 냉각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도 15의 냉각풍(W2)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직선 형상의 핀의 연장 방향과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냉각풍이 부는 경우도 당연히 있을 수있다. 또한, 액정 프로젝터(1100)에 구비된 시로코 팬(1300)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소용돌이치는 바람을 송출한다(도 1 참조). 따라서, 엄밀히 말하면, 냉각풍은 라이트 밸브(100R, 100G 또는 100B)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반드시 직선적인 방향으로 흐른다고는 한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어 핀부(624F)는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포함된다. 이것은, 상기 사정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도 15에 도시하는 냉각풍의 흐름의 대부분은 냉각풍 도입부(622), 커버 본체부(623) 및 냉각풍 배출부(624)의 순서로 흐르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핀은 냉각풍의 흐름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라는 것은 핀이 냉각풍의 흐름에 엄밀히 또는 완전히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중심으로 하여, 핀이 냉각풍의 흐름의 많은 방향에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그 밖에, 리어 핀부(624F)를 구성하는 직선 형상의 핀 사이의 간격(g)이 1㎜ 이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15에 나타내는 냉각풍(W1')의 정압이 낮고 풍량이 낮은 경우에도, 상기 냉각풍(W1')을 상기 직선 형상의 핀 사이에 무리 없이 잘 미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액정 프로젝터(1100)의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로서 장착되게 되므로,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즉 라이트 밸브(100R, 100G, 100B)와 시로코 팬(1300)은, 다른 구성 요소, 예컨대 입사 렌즈(1122), 또는 릴레이 렌즈(1123) 등을 배치해야 하는 관계에서, 상당 정도 거리를 두어 설치해야 하거나, 양자간의 위치 관계를 완전히 대향시키도록 배치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경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는 정압이 낮고, 풍량이 작은 냉각풍만 이송되어 온다고 판단된다.
여기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핀 사이의 간격(g)이 1㎜ 이상으로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격(g)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정압이 낮고 풍량이 작은 냉각풍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하면, 냉각풍에 노출되는 핀의 표면적이 증대하게 되므로, 상기 핀의 방열성은 더욱 향상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버부(620) 전체의 방열 능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601)에는, 대개 전기 광학 장치(500) 그 자체의 효율적인 냉각, 또는 냉각풍에 의한 커버부(620)의 효율적인 냉각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광학 장치(500), 플레이트부(610) 및 커버부(620)의 순서로 전달되는 열을 최종적으로 외부로 방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커버부(620)가 효율적으로 냉각된다는 것은, 전기 광학 장치(500)로부터 굽힘부(613) 등을 거쳐 플레이트부(610)에, 또는 커버부(620)로의 열의 흐름을 언제나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커버부(620)는 현 상태에 있어서 적절히 냉각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히트 싱크로서의 기능을 언제나 효과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커버부(620)로부터 보면,플레이트부(610)로부터의 열의 탈취, 나아가서는 전기 광학 장치(500)로부터의 열의 탈취를 언제나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것에 부가하여,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커버부(6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마그네슘, 동 또는 이들 각각의 합금 등과 같은 고 열전도율 재료로 구성되도록 구성하면, 상기 작용 효과는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기 광학 장치(500)가 과잉으로 열을 축적해 넣지 않기 때문에, 액정층(50)의 열화, 또는 핫 스폿의 발생 등은 미연에 방지되게 되어, 이것에 근거한 화상의 열화 등을 초래할 우려가 매우 저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냉각풍 배출부(624)에 리어 핀부(624F)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7은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리어 핀부(624F)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도 17에서는, 냉각풍 배출부(624)에 리어 핀부(624F)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대신에, 테이퍼부(622T)와 대략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는 테이퍼부(624T)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624T)의 존재에 의하면,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테이퍼부(622T)의 측면(622TF), 커버 본체부(623)의 면(623F) 및 윈도우부(625)의 가장자리의 면(625F) 사이에서 실현되고 있던 각 면의 "연속"이 냉각풍 배출부(624)에 있어서도 실현되게 된다. 따라서, 도 17과 같은 구조에 의하면, 커버 본체부(623)로부터 냉각풍 배출부(624)로 빠져나가는 냉각풍의 흐름을 도 15보다도 유연하게할 수 있다(도면 중 참조부호(W1'') 참조).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커버부(620) 전체에 있어서 냉각풍이 정체하지 않는 흐름을 실현함으로써, 커버부(620)의 효율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단, 이 도 17과 같은 형태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에 있어서, 커버부(620)의 냉각 효율의 점에서 어느 쪽이 우수한지를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 즉, 도 17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부(624T)에 의해 커버부(620)의 주위를 흐르는 냉각풍의 흐름을 유연하게 함으로써, 커버부(620)의 냉각을 도모하고 있는 것에 반해, 도 15에서는 리어 핀부(624F)에 의해 커버부(620) 전체의 표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커버부(620)의 냉각을 도모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조 및 작용은, 서로 상보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절대적으로 우수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즉, 리어 핀부(624F)를 설치하면 냉각풍의 흐름의 유연함이 희생되어, 테이퍼부(624T)를 설치하면 표면적 증대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관계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액정 프로젝터(1100)내에서의 설치 위치, 또는 냉각풍의 성질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보다 바람직한 형태를 채용하도록 하면 무방하다.
덧붙여서 말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리어 핀부(624F)와 테이퍼부(624T)의 관계는 냉각풍 도입부(622)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맞추어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되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풍 도입부(622)에 있어서도, 프론트 핀부(622F)를 형성함으로써, 커버부(620) 전체의 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지만, 이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냉각풍의 도입 효과는 상응하여감쇄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있어서도, 어느쪽 구조 및 작용이 우수한지를 일률적으로 결정할 수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은 고려를 한 후에, 적절히 보다 바람직한 형태를 채용하도록 하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풍판(622P)은 테이퍼부(622T)의 측면(622TF)을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 되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622TF)의 양측에 기립 설치되는 도풍판(622P) 사이에, 별도의 도풍판(622PC)을 걸치는 형태로 설치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도 있다. 단, 윈도우부(625)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 본체부(623)의 면(623F)과 상기 별도의 도풍판(622PC)의 하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측면(622TF)은 2장의 도풍판(622P) 및 도풍판(622PC)에 의해 거의 완전히 둘러싸인 상태로 되기 때문에, 커버 본체부(623)로의 냉각풍의 송출은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게 된다(도 19 중 참조부호(W1''') 참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 제 2 실시 형태-)
다음에,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도 12 및 도 15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서, 냉각풍 도입부(622T)에 도풍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대하여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투사형 표시 장치", "전기 광학 장치" 및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의 주요 부분에 관한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는, 이러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는 것으로 하고, 주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부(620)의 냉각풍 도입부(622T)는 냉각풍을 상기 사이드 핀부(627)가 형성된 측벽부(62W)로 이송하기 위한 도풍부(62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도풍부(628)는, 도풍판(622P), 테이퍼부(622T) 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냉각풍 산일 방지부"의 일예에 해당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풍부(628)는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풍판(622P)에서의 테이퍼부(622T)의 측면(622TF)에 대향하지 않는 면(이하, "도풍판(622P)의 외측면"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과, 측벽부(62W)의 외측면을 부드럽게 연결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풍부(620)를 구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도풍부(628)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는, 도풍판(622P)의 외측을 향해 불어 들어 온 냉각풍은 도풍판(622P)의 외측면에서 그 진행이 저해된 다음, 이것이 커버 본체부(623)로 향하기 위해서는 어려운 상황이 생긴다(도 16 중의 참조부호(W3) 참조). 그런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풍판(622P)의 외측면을 향해 불어 들어온 냉각풍(W3)은 도풍부(628)를 전달하도록 하여, 사이드 핀부(627)가 형성된 측벽부(62W)에 효과적으로 이송되어 오게 된다. 이에 의해, 사이드 핀부(627)의 효과적인 이용이 도모되게 되어, 상기 사이드 핀부(627)의 작용 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더하여, 커버부(620)의 방열 능력을 보다 높일 수 있고, 또는 전기 광학 장치(500)의 냉각 효과를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표면적 증대부"의 구체예로는, 핀에 대해서만 언급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22 및 도 23과 같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2는 도 12와 동일 취지의 도면으로서, 냉각풍 배출부(624)에 있어서, 딤플이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3은 도 22의 W-W'선 단면도이고, 특히 딤플의 단면 형상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는, 냉각풍 배출부(624)에 있어서, 리어 핀부(624F) 대신에 딤플(62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딤플(624D)은 가요성 커넥터 도출부(624C)의 천정면을 가득채우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딤플(624D)을 구비함으로써, 커버부(620) 표면적은 증대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변형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와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커버부(620)의 효과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 광학 장치(500)의 효과적인 냉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딤플(624D)과, 상술한 리어 핀부(624)를 구성하는 직선 형상의 핀의 차이점은, "커버의 표면"을 기준면(F)(도 23 참조)으로 하여 돌출되어 있는지, 또는 패어 있는지에 있다. 도 23에 있어서는, 가령 상기 핀이 형성된 경우에 있어서의 단면도의 모양을 파선으로 아울러 나타냈다.
또는,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서 말하는 "딤플"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이송되어 온 냉각풍의 흐름을 완전히 저해하지 않는다"라는 속성을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변형 형태에 따른 딤플(624D)은 이러한 속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도면에 있어서 지면의 배면에서 정면으로 흐르는 냉각풍(W4)은 딤플(624D)의 존재에 의해 그 흐름이 저해되는 일이 전혀 없다. 그 밖에, 이 관점에서 보아, 도 23에 함께 나타낸 직선 형상의 핀은 냉각풍의 흐름을 완전히 저해하지 않는다고는 할 수 없는 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특히, 도 23의 냉각풍(W5)을 참조한다. 단, 이 냉각풍(W5)은 지면 배면에서 차단되어 있음]. 따라서, "딤플" 및 "핀" 사이의 차이점은, 이러한 점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딤플"의 구체적 형상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평면적으로 보아 원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홈이 내어진 형태의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 장치 및 장착 케이스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전기 광학 장치로는 액정 패널 외에, 전기 이동 장치(electrophoresis apparatus)나 전자 발광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및 표면-전도 전자-이미터 디스플레이(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의 전자 방출 소자를사용한 장치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의하면,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가 커버 및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장착 케이스내에 장착되며, 이러한 장착 케이스는 전기 광학 장치의 주변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음으로써, 주변 영역에서의 광 노출을 방지하거나 또는 주변 영역으로부터 화상 표시 영역내에 미광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 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용하는 커버 본체부 및 상기 커버 본체부로부터 연장 설치 또는 상기 커버 본체부를 따라 설치되는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산일 방지부(cooling air scattering prevention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도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냉각풍의 흐름 방향으로 그 선단부가 대향하는 첨예 형상(pointed shape)을 갖는 슬로프부(slop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상기 슬로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풍판은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부에는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을 외부에 노출하는 윈도우부(window)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윈도우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상기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면은 상기 슬로프부를 구성하는 면과 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부의 가장자리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부로부터 흘러나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로부터 도출하는 냉각풍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배출부는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 1 표면적 증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본체부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측면에 대향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벽부는 그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제 2 표면적 증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냉각풍을 상기 측벽부로 이송하기 위한도풍부(baff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풍 산일 방지부가 상기 도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면적 증대부 및 상기 제 2 표면적 증대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핀(fin)과, 상기 커버의 표면에 홈을 내도록 형성된 딤플(dimple)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상기 냉각풍의 흐름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은 제 1 열의 핀과, 이것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 2 열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의 핀과 상기 제 2 열의 핀 사이의 간격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고 열전도율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4.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부 및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첨예 형상을 갖는 슬로프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5.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있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는 장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을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16. 장착 케이스에 있어서,
    화상 표시 영역에 광원으로부터 투사광이 입사되는 전기 광학 장치의 일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덮고 상기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부분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케이스는 상기 전기 광학 장치에서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커버중 적어도 한쪽에 유지하여 상기 전기 광학 장치를 수납하며,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부 및 냉각풍 도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냉각풍 도입부는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를 향해 이송되어 온 냉각풍을 상기 커버 본체부를 향해 흘려보내기 위한 냉각풍 산일 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 케이스.
  17. 투사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또는 제 14 항에 기재된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와,
    상기 광원과,
    상기 투사광을 상기 전기 광학 장치로 안내하는 광학계와,
    상기 전기 광학 장치로부터 출사된 투사광을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와,
    상기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하여 냉각풍을 송출하는 냉각풍 송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KR1020030093245A 2002-12-20 2003-12-18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20040055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0076 2002-12-20
JP2002370076 2002-12-20
JP2003384072A JP3722141B2 (ja) 2002-12-20 2003-11-13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JP-P-2003-00384072 2003-11-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533U Division KR200343514Y1 (ko) 2002-12-20 2003-12-19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655A true KR20040055655A (ko) 2004-06-26

Family

ID=32396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245A KR20040055655A (ko) 2002-12-20 2003-12-18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20-2003-0039533U KR200343514Y1 (ko) 2002-12-20 2003-12-19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533U KR200343514Y1 (ko) 2002-12-20 2003-12-19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93960B2 (ko)
EP (1) EP1431802A3 (ko)
JP (1) JP3722141B2 (ko)
KR (2) KR20040055655A (ko)
CN (2) CN1313868C (ko)
TW (1) TWI2365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76B1 (ko) * 2004-12-17 2007-07-3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용 실장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141B2 (ja) * 2002-12-20 2005-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US7365821B2 (en) * 2004-07-02 2008-04-29 Sony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dummy bump connected to dummy lead for heat reduction
US8145748B2 (en) * 2004-12-13 2012-03-27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Remote monitoring system
JP2006301256A (ja) * 2005-04-20 2006-11-02 Sony Corp 回路基板を用いた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926426B2 (ja) 2005-08-12 2012-05-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7894583B2 (en) * 2005-08-19 2011-02-22 Elmobile Inc. Method for automatic information capturing of communication events
US7808573B2 (en) * 2008-08-14 2010-10-05 Himax Display, Inc. Display (LCOS) panel module having an adhesive on a subtrate with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having an opening so that the LCOS panel may be adhesive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PC through the opening
JP5487704B2 (ja) * 2009-04-27 2014-05-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533001B2 (ja) * 2010-02-16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372900B2 (ja) 2010-12-15 2013-12-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JP5834402B2 (ja) 2010-12-15 2015-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696328B2 (en) * 2010-12-16 2014-04-15 Tai-Her Yang Photothermal source of fluid pumping device driven by self photovoltaic power
JP2013073185A (ja) * 2011-09-29 2013-04-2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6550829B2 (ja) * 2015-03-24 2019-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JP6604745B2 (ja) * 2015-05-15 2019-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変調素子ユニット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6361939B2 (ja) * 2016-03-08 2018-07-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JP6269749B2 (ja) * 2016-08-18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10398876A (zh) * 2018-04-25 2019-11-01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承载结构及其形成方法及光学投影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5425A3 (en) * 1988-12-22 1991-09-18 Seiko Instruments Inc. Projection pad incorporating a liquid crystal panel
JPH0667143A (ja) 1992-08-17 1994-03-11 Sony Corp 液晶式プロジェクタ
JP3767047B2 (ja) 1996-04-26 2006-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WO1998036313A1 (fr) 1997-02-12 1998-08-20 Hitachi, Ltd. Afficheur a cristaux liquides
JPH10319381A (ja) 1997-05-20 1998-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トバルブ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ライトバルブ装置を用いた液晶投写装置
JPH11109871A (ja) 1997-09-30 1999-04-23 Sanyo Electric Co Ltd 投写型表示装置
JP3319996B2 (ja) * 1997-10-20 2002-09-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表示機構及び映像表示装置
US6290360B1 (en) * 1997-11-20 2001-09-18 Hitachi, Ltd. Liquid crystal projector, and projection lens unit, optical unit and cooling system for the same
JP3448492B2 (ja) 1998-11-17 2003-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該液晶パネルを用いた投写装置
JP2001318361A (ja) 2000-05-11 2001-11-16 Seiko Epson Corp 光変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ジェクタ
JP3583062B2 (ja) 2000-09-29 2004-10-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素子およ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4045680A (ja) 2002-07-11 2004-02-12 Sony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JP3736522B2 (ja) * 2002-12-20 2006-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3722141B2 (ja) * 2002-12-20 2005-1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3698139B2 (ja) * 2002-12-20 2005-09-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76B1 (ko) * 2004-12-17 2007-07-30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용 실장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기기
US7263269B2 (en) 2004-12-17 2007-08-28 Seiko Epson Corporation Mounting case for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mounting case for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699326Y (zh) 2005-05-11
TW200412468A (en) 2004-07-16
CN1510493A (zh) 2004-07-07
EP1431802A2 (en) 2004-06-23
EP1431802A3 (en) 2004-10-06
TWI236570B (en) 2005-07-21
JP3722141B2 (ja) 2005-11-30
US20040130897A1 (en) 2004-07-08
CN1313868C (zh) 2007-05-02
US7093960B2 (en) 2006-08-22
KR200343514Y1 (ko) 2004-03-02
JP2004212956A (ja) 2004-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3514Y1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200350806Y1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100582320B1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20040055659A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3711987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KR100614724B1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장치 및 장착 케이스
KR100600225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KR20040055658A (ko) 장착 케이스에 내장된 전기 광학 장치 및 투사형 표시 장치
JP2006171566A (ja) 電気光学装置用実装ケ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325188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2006119169A (ja) 電気光学装置用実装ケース、及び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4215029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4378945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4385598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4168801B2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2004294895A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JP2004198938A (ja) 実装ケース入り電気光学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並びに実装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612

Effective date: 2007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