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4949A -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4949A
KR20040054949A KR1020020081291A KR20020081291A KR20040054949A KR 20040054949 A KR20040054949 A KR 20040054949A KR 1020020081291 A KR1020020081291 A KR 1020020081291A KR 20020081291 A KR20020081291 A KR 20020081291A KR 20040054949 A KR20040054949 A KR 20040054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k
feed
weight
ginseng
m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946B1 (ko
Inventor
송동익
Original Assignee
송동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동익 filed Critical 송동익
Priority to KR10-2002-008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9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Abstract

본 발명의 오리 사육용 사료는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사료 20∼60 중량%, 인삼 5∼25 중량%, 방아풀 5∼25 중량%, 및 솔잎분말 10∼40 중량%로 혼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리 사육용 사료를 부화된 병아리 때부터 55 내지 60 일간 사육하여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오리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Feed for Duck and Method of Feeding Duck with the Feed}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오리 사육용 사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인삼, 방아풀 및 솔잎을 함유시킨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예로부터 오리는 고급요리의 재료로 사용되어 왔는데, 동의보감, 본초강목, 본초구진, 십약선서 등의 문헌에 따르면 오리는 해독 작용이 있고, 고혈압, 동맥경화,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특히 효과적이며, 고단백, 고열량 식품으로서 산후 조리 및 환자의 회복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리고기의 기름은 인체에 꼭 필요한 필수지방산인 리놀산, 아라키톤산, 리노레인산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 속의 콜레스테롤을 억제하게 하여 체내의 산소 공급을 수월하게 하여 준다. 또한 오리고기는 필수아미노산과 무기질, 비타민 C, E, B1, B2, 칼슘, 인, 철, 칼륨 등 양질의 광물질 함량이 높아 최상의 영양공급원이다.
오리의 해독 기능은 독성물질이 오리 체내의 글리세린, 메티오닌, 구리, 고론산 등과 결합하거나 효소작용에 의해 중화됨으로써 나타난다.
오리가 가진 다양한 해독능력, 병에 강한 저항력 및 자연 치유력을 이용하여 독성은 매우 강하나 다양한 효능을 지닌 약재를 먹이고 오리로 하여금 이를 해독하면서 약의 효능은 더욱 배가시키도록 하여 그 오리를 요리해 사람이 섭취하도록 하면 그 효과를 크게 볼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0-74632호에는 유황을 오리에게 먹여 사육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오리고기는 특유의 냄새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한다면 더 많이 애용될 수 있고, 또한 육질을 개선한다면 더 많은 수요를 창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자는 오리에 섭취시켜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료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리에게 사육함으로써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있는 오리 사육용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리에게 사육함으로써 오리고기의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오리 사육용 사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삼, 방아풀 및 솔잎을 함유하는 사료를 오리에게 사육하여 이들 약재들의 효능인 신진대사 촉진, 원기 회복, 항암 효과, 노화 방지, 및 면역기능 강화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오리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오리 사육용 사료는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사료 20∼60 중량%, 인삼 5∼25 중량%, 방아풀 5∼25 중량%, 및 솔잎분말 10∼40 중량%로 혼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리 사육용 사료를 부화된 병아리 때부터 55 내지 60 일간 사육하여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오리고기를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오리 사육용 사료는 일반 사료 20∼60 중량%, 인삼 5∼25 중량%, 방아풀 5∼25 중량%, 및 솔잎분말 10∼40 중량%로 혼합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방아풀은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솔잎분말은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인삼은 인삼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인삼은 예로부터 한방의학에서 수천년 동안의 경험에 의하여 그 약효가 특출한 것으로 인정받아 왔다. 인삼에서는 사포닌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유용성분이다. 사포닌은 화학적으로 배당체라 불리는 화합물의 일종으로 지방 분해력이 크고 영양분흡수, 소화 촉진, 세포 내의 효소활성화로 신진대사촉진, 원기회복, 및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인삼에 존재하는 폴리아세틸렌 화합물은 항암 효과, 항혈소판작용, 및 항산화활성을 가지고 폴리페놀(polyphenol) 화합물은 노화억제와 관련된 지질과 산화 억제활성을 가진다. 또한, 인삼의 산성 다당체는 지방분해를 촉진하는 독소의 하나인 톡소호르몬-L(toxohormone-L)의 활성을 억제하며, 면역기능을 증강시켜주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아풀은 남부지방에서 자생하고 있는 다년생 풀로서 방아풀의 어린순과 잎은 오래 전부터 민간에서 비린내나 노린내가 나는 보신탕, 생선찌개 등에 넣어 먹어왔고 한방에서는 폐렴·경풍·활혈 등의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 잎에서는 박하향이나 향료 및 박하사탕의 제조에 쓰이고 배가 아프거나 체했을 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위장의 상태를 좋아지게 해서 입맛을 돋구어 줄뿐만 아니라 더위를 먹어 설사를 일으키는 증세에도 효과가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방아풀은 노화방지와 암 예방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항산화성 물질 '로즈마린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고 한다. 로즈마린산은 인체 내에서 생성되는 독성물질인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인체의 노화와 암·동맥경화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해주는 천연 항산화 물질이다.
한방적으로 솔잎은 맛이 쓰지만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으며 주로 심경과 비에 작용한다. 최근의 중국과 북한의 약리 실험에서는 생체조직의 산화환원과정의 촉진작용, 수렴성 염증 없애기 작용, 피멈춤 작용 등이 있음이 밝혀졌다. 솔잎은 체열을 높이거나 낮추는 약재들과 달리 사람들의 체질과는 무관하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솔잎에는 노화와 암을 예방하는 베타카로틴을 비롯해 우리 몸에 좋은 영양소인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솔잎의 철분은 빈혈 예방에 좋다. 특히 솔잎의 사계절 푸른빛(상록수)의 원인인 테레빈유는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고 동맥경화를 방지하며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뇌세포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외에도 솔잎에는 여러 가지 방향물질과, 병원균이 침입했을 때 그 번식을 막기 위해 식물이 분비하는 항균성 물질인 피토알렉신(phytoalexin)의 원료물질이 들어 있다. 솔잎의 엽록소는 조혈작용, 육아조직(피부 상처를 치료 복원시키는 입자)이 뛰어나기 때문에 상처의 치료, 빈혈, 위궤양 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삼은 그 값이 비싸기 때문에 인삼 정품이 아닌 인삼 재배농가에서 버려지는 부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인삼, 방아풀 및 솔잎은 분말로 만들어서 상기 비율로 혼합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오리고기는 그 우수한 영양 및 약리 효능에도 불구하고 그 독특한 냄새로 인하여 닭에 비하여 기호도가 높지 않았고 조리방법도 극히 제한되어왔다. 이에 본 발명자는, 오리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그 약리 효능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인삼, 방아풀, 및 솔잎을 사료로 오리를 사육하였으며 그 결과 냄새가 제거되고 육질 및 영양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약리 효능을 갖는 오리고기를 생산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갓 부화한 오리에게 상기 조성의 사료를 먹여 사육하는데, 부화 후 55∼60일 정도로 무게가 3 kg 내외가 되면 출하한다.
실험군
갓 부화된 오리에게 일반 사료 40%, 인삼, 15%, 방아풀 15%, 솔잎 30%의 비율로 혼합된 사료를 먹여 생후 55일간 사육하고, 그 오리고기를 구워 육질, 맛, 및 냄새를 평가하였다.
대조군
갓 부화된 오리에게 일반 사료만을 먹여 생후 55일간 사육하였고, 그 오리고기의 육질, 맛, 및 냄새를 평가하였다.
55일 후 실험군 및 대조군의 오리고기를 구워 20 인의 관능검사단에게 육질, 고기의 맛, 냄새를 비교하게 하였다. 그 결과 관능검사단 중 90%인 18인이 실험군의 오리고기가 육질 및 맛이 더 우수하다고 평가하였고, 오리고기의 특유한 비린내가 대조군에 비해 훨씬 적어 느끼지 못할 정도이며, 굽기 전의 오리고기에 대한 외관이 선명하고 먹음직스럽다고 평가하였다.
본 발명은 오리에게 사육함으로써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오리고기의 육질을 개선할 수 있는 오리 사육용 사료를 제공하고, 인삼, 방아풀 및 솔잎을 함유하는 사료를 오리에게 사육하여 이들 약재들의 효능인 신진대사 촉진, 원기 회복, 항암 효과, 노화 방지, 및 면역기능 강화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오리고기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

  1.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사료 20∼60 중량%, 인삼 5∼25 중량%, 방아풀 5∼25 중량%, 및 솔잎분말 10∼40 중량%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사육용 사료.
  2. 오리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육질 및 맛을 개선하여 기호성을 증가시키고, 약재의 약리 성분을 오리 체내에 다량 축적시킴으로써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사료 20∼60 중량%, 인삼 5∼25 중량%, 방아풀 5∼25 중량%, 및 솔잎분말 10∼40 중량%로 혼합된 사료를 부화된 오리 병아리 때부터 55 내지 60 일간 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 사육 방법.
KR10-2002-0081291A 2002-12-18 2002-12-18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KR100466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91A KR100466946B1 (ko) 2002-12-18 2002-12-18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291A KR100466946B1 (ko) 2002-12-18 2002-12-18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949A true KR20040054949A (ko) 2004-06-26
KR100466946B1 KR100466946B1 (ko) 2005-01-24

Family

ID=3734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291A KR100466946B1 (ko) 2002-12-18 2002-12-18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9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25B1 (ko) * 2006-12-29 2008-05-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을 이용한 동물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기능성 산물
KR101143070B1 (ko) * 2009-03-04 2012-05-08 강영수 산자나무를 이용한 오리사육용 급수첨가제 제조방법
CN103549163A (zh) * 2013-09-09 2014-02-05 开原市凯祥鸭业有限责任公司 一种樱桃谷肉食鸭中鸭阶段饲料
CN104041694A (zh) * 2014-05-24 2014-09-1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富含微量元素的肉鸭复合饲料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63B1 (ko) 2011-12-08 2013-05-31 장기영 산양 산삼을 이용한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오리의 사육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25B1 (ko) * 2006-12-29 2008-05-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을 이용한 동물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기능성 산물
KR101143070B1 (ko) * 2009-03-04 2012-05-08 강영수 산자나무를 이용한 오리사육용 급수첨가제 제조방법
CN103549163A (zh) * 2013-09-09 2014-02-05 开原市凯祥鸭业有限责任公司 一种樱桃谷肉食鸭中鸭阶段饲料
CN104041694A (zh) * 2014-05-24 2014-09-17 蚌埠味多多学生营养餐有限公司 一种富含微量元素的肉鸭复合饲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946B1 (ko) 2005-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5926B1 (ko) 마늘을 함유하는 닭 사료 조성물
KR100730291B1 (ko) 양파와 생약제를 함유한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761377B1 (ko) 닭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213743B1 (ko) 한약재를 함유하는 동물 면역력 증강 성장촉진용 보조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510641A (ja) 発毛促進、脱毛緩和及び改善、血糖調節、胃腸障害の症状緩和及び改善用健康補助食品
KR100346394B1 (ko) 마늘 및/또는 한약재를 섭취시켜 사육된 오리고기 및 그사육방법
KR101148006B1 (ko) 인삼 및 해삼을 포함하는 양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그 양삼계탕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08771016A (zh) 一种猪用中药饲料添加剂及其应用
KR101764306B1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66946B1 (ko)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CN112056459A (zh) 大蒜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复合天然植物提取物添加剂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KR101642176B1 (ko) 성장촉진 조성물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KR100585970B1 (ko) 솔잎과 마늘에 의한 오리 사육방법 및 그 오리고기
KR20210142545A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KR102082115B1 (ko) 굼벵이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20220006183A (ko) 한약재를 이용하여 제조한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6875B1 (ko) 어성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1169A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N107889963A (zh) 一种可生产薄荷香鸡肉的中草药复合剂
Eliseeva et al. Wormwood (lat. Artemí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