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9130A -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9130A
KR20040049130A KR1020020076976A KR20020076976A KR20040049130A KR 20040049130 A KR20040049130 A KR 20040049130A KR 1020020076976 A KR1020020076976 A KR 1020020076976A KR 20020076976 A KR20020076976 A KR 20020076976A KR 20040049130 A KR20040049130 A KR 20040049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hoisting
moving
hook
hoo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0569B1 (ko
Inventor
강승익
엄태승
이희로
천춘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5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슬라브(slab)의 권상시 그 권상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는, 크레인 훅크바디(122)내에 형성된 안착부 (10)에 제공되는 케이싱(20);과, 상기 훅크바디(122)의 슬라브 밀착면(122a)을 통하여 슬라브 밀착시 전후 이동토록 상기 안착부(10)내에 배치되는 이동수단(30);과, 상기 케이싱(20)내에 이동수단(30)의 이동에 따라 훅크바디 (122)의 하부로 돌출토록 배치되는 이동축수단(40); 및, 상기 이동축수단(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50);를 포함하여 권상시 슬라브 덧붙음을 감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된 슬라브를 크레인의 훅크로서 권상시키는 때에 권상되는 슬라브들의 중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열간상태인 슬라브들이 덧붙으면서 필요이상으로 슬라브가 권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어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특히 권상시 발생되는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슬라브의 덧붙음을 감지하도록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AN APPARATUS FOR SENSING LIFTING SLABS}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공정을 통하여 생산된 슬라브(slab)의 권상시 그 권상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로는 생산된 슬라브를 크레인의 훅크로서 권상시키는 때에 권상되는 슬라브들의 중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열간상태인 슬라브들이 덧붙으면서 필요이상으로 슬라브가 권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어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고, 특히 권상시 발생되는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슬라브의 덧붙음을 감지하도록 한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의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되는 슬라브(salb)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850℃ 정도의 고온상태에서 천정크레인(110)에 연결된 훅크(120)로서 권상 이송되는데, 통상 슬라브 적치장에는 1 ~ 16 매의 슬라브(100)를 산적한다.
그리고, 산적된 슬라브(100)는 일정시간이 지난 후 다시 권상 이송되는데, 이때 1차적으로 산적되는 슬라브(100)들이 고온상태이므로 서로 융착부위가 붙게되는 덧붙음현상이 발생되게 되고, 이와 같은 덧붙음현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훅크(120)가 크램핑하는 최하측 슬라브(100a)의 아래에 또 다른 클램핑되지 않은 텃붙은 슬라브(100b)가 같이 권상되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 훅크(120)를 통한 슬라브 권상 이동시 슬라브(100b)의 덧붙음이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중에 상기 덧붙은 슬라브(100b)와 훅크(120)로서 클램핑된 최하측 슬라브(100a)사이의 융착부위가 슬라브(100b)의 중량을 견디지 못하고 권상 이동중에 덧붙은 슬라브(100b)가 낙하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사고나 설비파손등의 대형안전사고를 초래한다.
이에, 종래에는 크레인(110)의 조정실(112)에 권상되는 슬라브(100)의 총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기(114)가 제공되어 있고, 이와 같은 중량감지기(114)는 사전에 권상되는 슬라브(100)의 중량정보를 제공받고, 크레인(110)의 휠(116)측에서 중량신호를 받는 피엘시(P.L.C)(11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크레인 운전자는 상기 중량감지기(114)를 온시킨 상태에서 슬라브 권상기 사전에 결정된 슬라브 권상량에 일치하여 권상되는 가를 감지하고, 만약 덧붙은 슬라브(100b)에 의하여 중량감지기에서 이상을 나타내면, 작업자가 권상대기중에 덧붙은 슬라브(100b)를 치구등을 이용하여 사전에 분리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브 권상시 그 덧붙음을 감지하는 중량감지기 (114)를 이용하는 슬라브 권상작업에 있어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산적된 상태에서 슬라브(100)를 크레인 훅크(120)로서 권상하는 때에, 흔들림이 발생되고, 결국 초기 권상시 발생되는 흔들림현상 때문에, 상기 크레인 조정실(112)내 설치된 중량감지기(114)는 권상되는 슬라브의 중량이 초과되지 않아도 슬라브의중량이 초과된 것으로 감지하여 슬라브 권상시 크레인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수반되는데, 실제 상당한 높이의 조정실(112)에서 운전자가 슬라브의 권상량 즉, 권상되는 슬라브의 수를 확인하여 그 권상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작업장의 작업자를 통하여 다시 슬라브의 권상상태를 확인한후, 슬라브(100)의 권상 이송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만큼 슬라브의 원활한 공정투입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권상시 흔들림에 의한 슬라브의 권상중량 감지오차를 방지하기 위하여, 크레인 운전자는 흔들림이 없어질때 까지 기다린후, 슬라브의 권상 중량을 감지기(114)로서 확인하기 때문에, 그 만큼 슬라브의 권상 이송이 지연되고, 크레인 운전자중에는 이와 같은 지연과 번거로운 작업을 피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중량감지기(114)의 작동은 오프(off)시키고 슬라브의 권상작업은 육안으로 개략적으로 확인하면서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슬라브의 낙하에 의한 대형 안전서고를 초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온상태로 산적된 슬라브를 크레인의 훅크로서 권상시키는 때에 권상되는 슬라브들의 중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슬라브의 덧붙음상태를 정확하게 감지시키는 한편, 권상초기에 발생되는 크레인 훅크의 흔들림상태에서도 슬라브의 덧붙음을 안정적으로 감지하도록 하여 슬라브의 권상 이송을 가일층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적된 슬라브 권상시 발생되는 슬라브의 덧붙음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권상 이송시 덧붙은 슬라브가 작업장으로 낙하하여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설비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 슬라브 권상작업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슬라브 권상작업시 발생되는 흔들림에 의한 중량측정 오차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요부 정면 구성도
(b)는 요부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요부 정면 구성도
(b)는 요부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도 4 및 도 5의 제 1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작동대기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b)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c)는 작동에 따른 슬라브 권상량 감지작동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
1.... 슬라브 감지장치10.... 안착부
12.... 바닥20.... 케이싱
22.... 고정볼트24.... 수평판
26.... 원통체30.... 이동수단
32.... 개구34.... 밀착단
36.... 이동축38.... 삼각이동블록
38a.... 경사면40.... 이동축수단
42.... 축몸체42a.... 걸림봉
44.... 스프링46.... 걸림부
50,70.... 센서부재60,90.... 제 1,2 감지부
72...,. 레일74....구동실린더
76.... 이동블록80.... 텃치바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크레인 훅크를 통한 슬라브의 권상시 슬라브의 덧붙음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바디내에 형성된 안착부에 제공되는 케이싱;과,
상기 훅크바디의 슬라브 밀착면을 통하여 슬라브 밀착시 전후 이동토록 상기 안착부내에 배치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케이싱내에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라 훅크바디의 하부로 돌출토록 배치되는 이동축수단; 및,
상기 이동축수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를 포함하여 권상시 슬라브 덧붙음을 감지토록 구성된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부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도 4 및 도 5의 제 1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슬라브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부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슬라브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인데, 슬라브 권상용 크레인 훅크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의 전체 구성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는 제 1 감지부(60)와 추가로 구비되는 제 2 감지부(9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이들 제 1,2 감지부(60)(9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감지부(60)는 도 4 내지 도 6에서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감지부(60)는, 크레인 훅크(120)를 통한 슬라브 (100)의 권상시 슬라브(100)의 덧붙음(100b)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훅크바디(122)내에 형성된 안착부(10)에 제공되는 케이싱(20)과, 상기 훅크바디(122)의 슬라브 밀착면(122a)을 통하여 슬라브 밀착시 전후 이동토록 상기 안착부(10)내에 배치되는 이동수단(30)과, 상기 케이싱(20)내에 이동수단(30)의 이동에 따라 클램핑바디(122)의 하부로 돌출토록 배치되는 이동축수단(40) 및, 상기 이동축수단(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50)를 갖추고 있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훅크바디(122)의 단부내측으로 본 발명의 제 1 감지부(60)를 설치하기 위한 빈공간인 안착부(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0)는 크레인 훅크(120)로서 슬라브(100)를 권상하는 경우에는 커버 (124)로서 덮여진다.
그리고, 상기 훅크바디(122)의 안착부(10)에 제공되는 제 1 감지부(60)의 케이싱(20)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케이싱(20)은, 상기 안착부(10)의 바닥(12)에 형성된 고정홈 (12a)을 통하여 삽입되고 상,하단부가 너트(14a)로서 고정되는 고정볼트(22)에 고정되는 3단의 수평판(24a)(24b)(24c)들과, 상기 수평판(24a)(24b) (24c)사이에 조립되는 2단의 원통체(26a)(26b)로 구성되는데,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각각의 수평판들에는 상기 원통체(26)들의 상,하면이 밀착 지지되기 위한 고정턱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지부(60)의 이동수단(30)은, 상기 훅크바디(122)의 슬라브 밀착면(122a)에 형성된 개구(32)를 통하여 삽입되고, 슬라브 밀착단(34)이 제공되며 스프링(36a)이 탄성 지지되는 이동축 (36) 및, 상기 이동축(36)의 단부에 설치된 삼각이동블록(38)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바디(122)에 형성된 개구(32)는 실제로는 상기 스프링(36a)을 지지하기 위한 턱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축(36)은 유동없이 이를 통하여 유동되고, 상기 밀착단(34)은 상기 이동축(36)에 나사 조립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지부(60)의 이동축수단(40)은, 상기 케이싱(20)의 2단 원통체(26a)(26b)에 삽입되고 상단부에 상기 삼각이동블록(38)의 하부경사면(38a)이 밀착되는 걸림봉(42a)이 일체로 설치되는 축몸체(42) 및, 상기 축몸체(42)상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측 수평판(24b)에 걸리어 지지되고 하측의 수평판(24c)사이에 스프링(44)이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46)로서 이루어 진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측 원통체(26a)의 내주면에는 상기 축몸체(42)의 양측으로 일체로 돌출되는 가이드봉(43a)이 삽입되는 가이드홈 (4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상기 이동축수단 (40)의 축몸체(42)가 상하 이동할 때 유동없이 일정하게 상하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지부(60)의 센서부재(50)는, 상기 축몸체(42)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42b)에 삽입되는데, 도 10에서 되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센서부재(50)는 제 1 감지부(60)의 양측 이동축수단 (40)의 축몸체(42)가 훅크바디(122)의 안착부(10) 바닥(12)에 형성된 개구(12b)를 통과하여 돌출되는 때에, 덧붙음 슬라브(100b)가 없는 경우 신호를 발광 및 수광하여 그 감지작동을 수행하는 발광 및 수광센서(50a)(50b)로 이루어 진다.
다음, 도 3, 도 7 및 도 8에서는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에서 제 1 감지부(60)에 더하여 추가로 구비되는 제 2 감지부(9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감지부(90)는, 상기 훅크바디(122)의 중앙측에 설치되는 레일(72)을 따라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센서부재(70)와, 상기 레일(72)을 통하여 최상측 슬라브(100c)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센서부재(70)를 텃지시키는 텃치바아(80)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센서부재(70)는 상기 텃치바아 (80)가 권상되는 슬라브(100)의 최상측 슬라브(100c)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상기 텃치바아(80)로서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 (70)는 상기 레일(72)의 상부에 브라켓트(74a)로서 수직하게 설치된 구동실린더(74)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72)에 삽입되는 이동블록(76)의 전방에 설치되어 슬라브권상시 최상측의 슬라브(100c)가 텃치바아(80)에 접촉하여 텃치바아(80)가 상승하면 그 상단부의 텃치부(82)가 제 2 센서부재인 리미트스위치(70)의 작동편(70a)을 텃치하여 작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된 슬라브(100)를 크레인(110)의 훅크(120)로서 권상시키는 때에 권상되는 슬라브(100)들의 중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열간상태인 슬라브들이 덧붙으면서 필요이상으로 슬라브가 권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어 슬라브의 권상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면서 흔들림에도 안정적으로 슬라브의 덧붙음을 감지하는 본 발명의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지장치(1)는 제 1,2 감지부(60)(90)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제 1 감지부(60)는 도 4, 도 5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덧붙은 슬라브(100b)가 없는 경우 발광 및 수광센서 (50a)(50b)의 제 1 센서부재(50)가 신호를 감지하여 덧붙은 슬라브(100b)가 없음을 감지하고, 제 2 감지부(90)는 슬라브의 권상량에 따라 사전에 결정된 두께보다 텃치바아(80)가 더 상승하면 텃치되는 제 2 센서부재 즉, 리미트 스위치(70)에 의하여 덧붙음 슬라브(100b)가 있다는 것을 감지하는데, 본 발명의 감지장치(1)의 특징은 도 9에서와 같이, 초기 권상시 흔들림이 발생되어도 종래 충량검지설비(114)에서 발생되는 오작동이 없이 안정적으로 감지하고, 2차에 걸쳐 덧붙은 슬라브(100b)의 유무를 감지하기 때문에, 그 만큼 감지작동이 정확한데, 필요에 따라서는 제 1 감지부(60)만 사용하고, 추가로 제 2 감지부(90)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먼저, 제 1 감지부(60)의 작동을 살펴보면, 도 4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인훅크(120)의 바디(122) 밀착면(122a)에 슬라브(100)중 최하측 슬라브( 100a)가 밀착 클램핑되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수단(30)의 이동축(36)은 스프링(36a)을 압축시키면서 훅크바디(122)내측의 안착부(10)로 밀착단(34)이 밀리면서 일체로 이동하고, 결국 상기 이동축(36)에 설치된 삼각이동블록(38)은 그 저부 경사면(38a)이 이동축수단(40)의 축몸체(42)상에 설치된 걸림봉(42a)을 아래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봉(42a)과 일체로 된 이동축수단(40)의 축몸체(42)는 걸림부(46)가 하측의 스프링(44)을 압축시키면서 케이싱(20)의 하측 수평판(24a)에 형성된 개구(24a')를 통하여 훅크바디(122)의 안착부 바닥(12) 개구(12b)를 통하여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몸체(42)의 하단부 고정홈(42b)에 삽입된 제 1 센서부재(50) 즉, 도 10에서와 같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하강돌출된 축몸체(42)에 제공된 발광센서(50a)와 수광센서(50b)는 자외선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만약 도 9에서와 같이, 필요없는 텃붙음 슬라브(100b)가 있으면, 적신호가 수광센서(50b)에서 감지되지 목하기 때문에, 상기 센서(50a)(50b)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크레인(110)의 운전실에는 슬라브(100b)가 덧붙여 진것을 나타내고, 운전자는 훅크(120)를 하강시키어 작업장의 작업자에게 텃붙은 슬라브(100b)를 분리시키도록 조치한다.
한편, 상기 이동축수단(40)의 축몸체(42)는 그 길이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하강한 경우에도 덧붙은 슬라브(100b)에 의하여 센서신호가 차단되도록 그 길이가 조정되어야 하고, 슬라브의 권상이 완료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정상적으로 권상되는 최하측 슬라브(100a)가 없을 때에는 상기 이동수단(30)의 이동축(36)이 스프링(36a)의 탄성력으로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삼각이동블록(38)이 이동하여 걸림봉(42a)이 상승하면 이동축수단(40)의 축몸체(42)는 걸림부(46) 하측의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센서부재(50)는 훅크바디(122)내의 케이싱(20)내측으로 복귀된다.
다음,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감지부(9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슬라브(100)의 권상량이 정해지면, 작업자는 장치(1)의 조작판넬 예를 들어, 크레인 운전실(112)내에 제공된 조작판넬(미도시)을 조작하여 구동실린더 (74)로서 이동블록(76)과 일체로 제 2 센서부재(70) 즉, 리미트스위치(70)의 위치를 훅크바디(122)의 중앙측에 설치된 레일(7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브(100)의 총 권상량은 슬라브(100)의 두께로 환산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70)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슬라브(100)의 두께가 100mm라할때 총 10개의 슬라브(100)를 권상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70)는 텃치바아(80)가 100mm 이상 이동하는 경우에 텃치되도록 즉, 105mm정도 텃치바아(80)가 이동하면 텃치되도록 그 위치가 조정된다.
따라서, 도 8b 및 도 8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덧붙은 슬라브(100b)가 발생되면, 상기 텃치바아(80)는 슬라브(100)의 권상시 최상측 슬라브(100c)에 접촉하면서 상승되고, 정상적인 상승폭인 100mm보다 더 상승되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70)를 텃치 작동시키게 된다.
결국, 사전에 위치조정된 리미트스위치(70)가 텃치바아(80)로서 텃치 작동되면, 이는 덧붙은 슬라브(100b)가 있음을 감지하게 되기때문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 (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크레인 조정실(112)내의 조작판넬(미도시)에서는 2차적으로 덧붙은 슬라브(100b)가 있음을 나타내고, 운전자는 덧붙은 슬라브(100b)를 권상전에 분리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2 감지부(60)(90)의 제 1,2 센서부재(50)(70)인 발,수광센서(50a)(50b)와 리미트스위치(70)는 크레인 훅크의 이동을 감안하여 설치된 케이블을 통하여 크레인 운전실의 조작판넬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감지작동시 이를 운전자에세 알리도록 하는데, 작업장의 조작판넬보다는 크레인의 운전실 조작판넬과 연결하는 것이 조업상 편리할 것이다.
또한, 권상되는 슬라브(100)의 두께는 사전에 조작판넬에 입력되어 제 2 감지부(90)의 리미트스위치(70) 위치를 사전에 실린더(74)로서 조정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1)에 의하면, 제 1,2 감지부 (60)(90)로서 권상시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설비파손의 원인이 되는 덧붙은 슬라브 (100b)를 권상시 흔들림이 발생되어도 안정적으로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에 의하면, 고온상태로 산적된 슬라브를 크레인의 훅크로서 권상시키는 때에 권상되는 슬라브들의 중량을 측정하지 않고도 슬라브의 덧붙음상태를 정확하게 감지시키는 한편, 초기 권상시 발생되는 크레인 훅크의 흔들림상태에서 슬라브의 덧붙음을 안정적으로 감지하도록 하여 슬라브의 권상 이송을 가일층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산적된 슬라브 권상시 발생되는 슬라브의 덧붙음을 정확하게 감지하도록 하기 때문에, 권상 이송시 덧붙은 슬라브가 작업장으로 낙하하여 발생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설비파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크레인 훅크(120)를 통한 슬라브(100)의 권상시 슬라브(100)의 덧붙음(100b)을 감지하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훅크바디(122)내에 형성된 안착부(10)에 제공되는 케이싱(20); 과,
    상기 훅크바디(122)의 슬라브 밀착면(122a)을 통하여 슬라브 밀착시 전후 이동토록 상기 안착부(10)내에 배치되는 이동수단(30); 과,
    상기 케이싱(20)내에 이동수단(30)의 이동에 따라 클램핑바디(122)의 하부로 돌출토록 배치되는 이동축수단(40); 및,
    상기 이동축수단(4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센서부재(50);를 포함하여 권상시 슬라브 덧붙음을 감지토록 구성된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바디(122)의 중앙측에 설치되는 레일(72)을 따라 수직 이동토록 설치된 제 2 센서부재(70)와, 상기 레일(72)을 통하여 최상측 슬라브 (100c)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센서부재(70)를 텃지시키는 텃치바아(80)를 구비하는 제 2 감지부(90);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바디(122)의 안착부(10)에 제공되는 케이싱(20)은, 상기 안착부(10)의 바닥(12)에 형성된 고정홈(12a)을 통하여 삽입되고 너트(14a)로서 고정되는 고정볼트(22)에 고정되는 3단의 수평판(24a)(24b)(24c);들과, 그 사이에 조립되는 2단의 원통체(26a)(26b);들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수단(30)은, 상기 훅크바디(122)의 슬라브 밀착면(122a)에 형성된 개구(32)를 통하여 삽입되고, 슬라브 밀착단(34)이 제공되며 스프링(36a)이 탄성 지지되는 이동축(36);및, 상기 이동축(36)의 단부에 설치된 삼각이동블록(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수단(40)은, 상기 케이싱(20)의 원통체(26a)(26b)에 삽입되고 상단부에 상기 삼각이동블록(38)의 하부경사면(38a)이 밀착되는 걸림봉(42a)이 일체로 설치되는 축몸체(42);및, 상기 축몸체(42)상에 형성되고, 상기 중앙측 수평판(24b)에 걸리어 지지되고 하측의 수평판(24c)사이에 스프링(44)이 탄성 지지되는 걸림부(46);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재(50)는, 상기 축몸체(42)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42b)에 삽입되며, 양측의 축몸체(42)가 훅크바디(122)의 안착부(10) 바닥(12)에 형성된 개구(12b)를 통과하여 덧붙음 슬라브(100b)가 없는 경우 신호를 감지하는 발광 및 수광센서(50a)(50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센서부재(70)는, 상기 텃치바아(80)가 권상되는 슬라브(100)의 최상측 슬라브(100c)와 접촉하여 이동하는 상기 텃치바아(80)로서 작동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70)는 상기 레일(72)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실린더(74)에 연결되고, 상기 레일(72)에 삽입되는 이동블록(76)상에 설치되어 그 위치가 권상되는 슬라브의 두께에 맞추어 조정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KR1020020076976A 2002-12-05 2002-12-05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KR100920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976A KR100920569B1 (ko) 2002-12-05 2002-12-05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976A KR100920569B1 (ko) 2002-12-05 2002-12-05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130A true KR20040049130A (ko) 2004-06-11
KR100920569B1 KR100920569B1 (ko) 2009-10-08

Family

ID=3734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976A KR100920569B1 (ko) 2002-12-05 2002-12-05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56A (ko)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CN109607373A (zh) * 2018-12-06 2019-04-12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吊装夹具、吊装装置及拱架台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040B1 (ko) * 2013-10-24 2015-10-08 주식회사 포스코 적재물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9557A (en) * 1975-10-15 1977-04-20 Nippon Steel Corp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while grasping the same
JPH04121391A (ja) * 1990-09-10 1992-04-22 Nisshin Steel Co Ltd 金属帯コイルの自動運搬用コイルリフター
JPH06127887A (ja) * 1992-10-12 1994-05-10 Nippon Steel Corp 積重スラブ吊り上げ装置
KR200180819Y1 (ko) * 1995-10-20 2000-05-15 이구택 천정 크레인 집게의 집음 감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856A (ko) 2015-06-24 2017-01-04 주식회사 포스코 슬라브 이동장치 및 그 이동방법
CN109607373A (zh) * 2018-12-06 2019-04-12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吊装夹具、吊装装置及拱架台车
CN109607373B (zh) * 2018-12-06 2023-10-13 湖南五新隧道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吊装夹具、吊装装置及拱架台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0569B1 (ko) 200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2553A (ko) 승강기 및 이 승강기의 감시 방법
KR100920569B1 (ko) 권상 슬라브 감지장치
CN104511486A (zh) 位置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CN114368700B (zh) 一种防坠器制动性能检测装置及方法
CN103197651A (zh) 一种电梯试验用的三余度冗余计算机测控系统
CN216764090U (zh) 超重检测装置
CN105523457A (zh) 一种电梯称重方法及称重装置
SK287206B6 (sk) Zariadenie na kontrolu zaťaženia stúpadiel
CN108444733B (zh) 一种多功能叉车调试试验器具
KR200260914Y1 (ko) 픽업 크레인
CN219914904U (zh) 一种桥式采样机小车的保护装置及桥式采样机小车
CN114290374B (zh) 防压篮检测装置
KR102383803B1 (ko) 크레인용 후크 장치
MX9603632A (es) Dispositivo de indicacion direccional para detectar la orientacion inadecuada de una linea de levantamiento de una grua.
CN220231535U (zh) 一种带两级升降机构的成像板支撑装置
JPH061563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検出装置
CN216880488U (zh) 一种齿轮轴的齿圈厚度检测装置
CN213259523U (zh) 一种用于多规格铸件抓取、搬运、装配的机器人抓手
JPH0396728A (ja) 緩衝器
CN219520463U (zh) 链条式铁水包升降倾倒系统
CN216830993U (zh) 一种悬挂链上机械手自动挂件的检测与控制装置
CN219341687U (zh) 一种正面吊防挂箱机构
CN112476388B (zh) 一种龙门钩组合存放装置及使用方法
CN216444826U (zh) 一种施工升降机齿条侧边检测仪
CN220201336U (zh) 一种载货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