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8582A - 목금형 - Google Patents

목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8582A
KR20040048582A KR1020020076494A KR20020076494A KR20040048582A KR 20040048582 A KR20040048582 A KR 20040048582A KR 1020020076494 A KR1020020076494 A KR 1020020076494A KR 20020076494 A KR20020076494 A KR 20020076494A KR 20040048582 A KR20040048582 A KR 20040048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hole
support
cut
pu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6812B1 (ko
Inventor
김창수
Original Assignee
김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10-2002-0076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8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48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142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using press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목적 : 본 발명은 펀치에 의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편리하게 처리하는 목금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성 : 이 목금형은 판 상태의 지지대(31), 이 지지대(31)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칼(33)과 펀치(35), 이 칼(33)과 펀치(35)가 끼워지는 지지대(31)의 주위에 부착되어 신축 작용하는 신축부재(37)를 포함하고 있으며, 펀치(35)를 중공 구조로 형성하고, 이 펀치(35)를 지지대(31)의 관통홀(43)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하여, 이 펀치(35)의 중공 통로(45)를 스크랩 챔버(47)에 연결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목금형 {dieboard}
본 발명은 목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펀치에 의하여 풀 커팅(full cutting)된 홀 스크랩을 편리하게 처리하는 목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금형(dieboard)은 목형, 톰슨(Thomson)목형 또는 칼금형으로 불리어지며 판 상태의 지지대와 이 지지대에 조합되는 다수의 칼과 펀치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지대는 철판이나 나무 또는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밑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레이저 또는 스카시로 커팅 가공된다. 그리고 칼은 커팅머신 및 벤딩머신 등으로 커팅 및 벤딩 형성되어 커팅 가공된 지지대의 밑그림 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펀치와 함께 억지 끼움 된다.
이 목금형은 종이박스나 인쇄물과 같은 단순한 제품의 가공 분야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정밀한 제품의 가공 분야에까지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며, 기존의 금형으로는 가공되지 않는 하프 커팅(half cutting) 및 특수원단 커팅 분야에서는 오히려 기존의 금형보다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기존의 금형에 비하여 하측 다이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짧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따라서 저 비용으로 샘플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다 품목 소량 생산 및 대량생산에 모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목금형의 일 예로서, 단순한 밑그림을 형성하는 목금형의 저면도를 보여 주고 있다. 즉 판 상태의 지지대(1) 외곽에 커팅 및 벤딩 과정을 거쳐 형성된 칼(3)이 대략 사각형을 형성하고 있고, 그 중간 부분 양측에 소경의 펀치(5)가 2개의 작은 원형을 형성하고 있다. 이 칼(3)과 펀치(5)가 지지대(1)에서 형성하는 밑그림은 제품의 종류에 따라 각양 각색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여기서는 단순한 형상으로 나타난 것이 예시되어 있다.
한편, 칼(3)과 펀치(5)가 위치하는 주위의 지지대(1) 및 펀치(5) 내의 지지대(1)에는 스펀지(7, 7a)가 부착되어 있다. 이 스펀지(7, 7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를 하강시켜 도마(9)에 안장되어 있는 가공 대상물(11)을 커팅 후 지지대(1)를 상승시킬 때, 압축되었다가 팽창되면서 대상물(11)을 눌러줌으로서대상물(11)이 칼(3)이나 펀치(5)에 끼여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 목금형은 펀치(5) 내에 스펀지(7a)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팅된 홀 스크랩(11a)이나 대상물(11)이 지지대(1)를 따라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대상물(11)을 커팅한 후 풀 커팅된 홀 스크랩(11a)이 대상물(11)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않고 커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물(11)로부터 홀 스크랩(11a)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대상물(11)이 도 2에서와 같이 접착제(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대지(11b)와 스티커(11c)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접착제의 접착력 때문에 하프 커팅 후 스티커(11c)를 대지(11b)로부터 분리한 후에도 커팅된 홀 스크랩(11a)이 스티커(11c)에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그리고 펀치(5)의 직경이 약 3mm이하로 소경일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되기 때문에 스티커(11c)로부터 홀 스크랩(11a)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홀 스크랩(11a)의 처리가 어렵고, 비용이 상승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한 것으로서, 펀치에 의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편리하게 처리하고, 특히 접착제를 개재하여 부착된 대지와 스티커에서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더욱 편리하게 처리하는 목금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금형은 판 상태의 지지대, 이 지지대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칼과 펀치, 이 칼과 펀치가 끼워지는 지지대의 주위에 부착되어 신축 작용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펀치가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대의 관통홀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고, 이 펀치에 의하여 풀 커팅되어 펀치의 중공 통로로 상승되는 홀 스크랩을 일정 기간 저장하도록 펀치의 중공 통로가 스크랩 챔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펀치는 수직하게 형성되는 중공 통로의 내경과 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외경의 교차점에서 그 선단이 날을 형성하며, 내경을 선단측 소경부와 이 소경부에 계단 구조로 연결되는 상측의 대경부로 형성하여, 이 내경을 스크랩 챔버에 연결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선단의 소경부에서 대경부를 통하여 스크랩 챔버로 배출되게 한다.
이 펀치는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등으로 형성되어 대상물의 밑그림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대상물로부터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홀 스크랩을 커팅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지지대의 관통홀은 각각의 펀치가 억지 끼움 될 수 있는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커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크랩 챔버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를 체결부재로 지지대에 고정시킴으로서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지지대의 관통홀 상측에 제공되어 홀 스크랩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펀치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지지대의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펀치의 중공 통로와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대상물로부터 커팅된 홀 스크랩이 유입되게 한다. 측면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두께만큼 베이스 플레이트와 커버 플레이트를 이격시키게 된다. 커버 플레이트는 측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공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덮어 베이스 플레이트 및 측면 플레이트와함께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목금형은 판 상태의 지지대, 이 지지대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중공 구조의 펀치, 이 펀치가 끼워지는 지지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지지대에 설치되는 가이드와 펀치가 관통되는 스트리퍼, 이 스트리퍼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칼, 상기 펀치에 의하여 풀 커팅되어 펀치의 중공 통로로 상승되는 홀 스크랩을 일정 기간 저장하도록 펀치의 중공 통로에 연결되는 스크랩 챔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목금형은 지지대의 홀을 관통홀로 커팅하고, 이 관통홀에 중공의 펀치를 억지 끼움으로 조립하여, 이 펀치의 중공 통로를 스크랩 챔버에 연결하는 구성을 이룸으로서, 펀치의 커팅 작용에 의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커팅 작동과 동시에 펀치의 내경이 형성하는 중공 통로를 통하여 스크랩 챔버로 안내하여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하므로 대상물에 필요한 모양을 커팅한 후 대상물로부터 홀 스크랩을 제거하는 별도의 공정을 불필요하게 하고, 대지로부터 스티커를 떼어 낼 때 스티커의 홀 부분이 떨어져 나간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홀 스크랩의 처리를 더욱 편리하게 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목금형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금형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펀치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a는 원기둥 펀치의 부분 단면도.
도 6b는 사각기둥 펀치의 부분 단면도.
도 6c는 삼각기둥 펀치의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금형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목금형의 칼이 대상물을 하프 커팅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목금형의 편치가 대상물을 풀 커팅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목금형의 칼이 대상물을 풀 커팅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지지대33, 63 : 칼
35, 35a, 35b, 35c, 57, 59 : 펀치37 : 신축부재
39 : 도마41 : 대상물
41a : 홀41b : 홀 스크랩
41c : 대지41d : 스티커
43 : 관통홀45 : 중공 통로
45a : 소경부45b : 대경부
47 : 스크랩 챔버49 : 베이스 플레이트
49a : 관통홀51 : 측면 플레이트
53 : 커버 플레이트55 : 체결부재
61 : 가이드65 : 스트리퍼
67 : 탄성부재69 : 관통홀
71 : 삽입구73, 75, 77 : 제1, 2, 3 스토퍼
H1, H2, H3 : 높이
본 발명의 이점과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함으로서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금형의 저면도로서, 지지대(31)에 칼(33)과 펀치(35)를 구비하고 이 칼(33)이나 펀치(35) 주위의 지지대(31)에 신축부재(37)를부착하여 목금형을 이루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대(31)는 판 상태로 형성되어 목금형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칼(33)과 펀치(35)는 지지대(31)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지지대(31)의 커팅 공간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된다. 그리고 신축부재(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33)과 펀치(35) 주위의 지지대(31)에 부착되어 칼(33)과 펀치(35)가 하강하면서 도마(39) 위에 안장되어 있는 대상물(41)을 커팅할 때 압축되었다가 칼(33)과 펀치(35)가 상승하면서 대상물(41)의 커팅을 완료할 때 다시 팽창되면서 대상물(41)을 눌려 줌으로서 대상물(41)이 칼(33)과 펀치(35)에 끼여 따라 올라 오지 않고 도마(39) 위에 그대로 안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 주는 것으로서, 통상적인 목금형에서와 같이 스펀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신축성이 큰 고무판으로 대치될 수도 있다.
한편, 펀치(35)는 대상물(41)의 일부를 커팅해 내어 대상물(41)에 홀(41a)을 형성하도록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대(31)의 관통홀(43)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어 있다.
이 펀치(35)의 중공 통로(45)는 스크랩 챔버(47)에 연결된다. 즉 펀치(35)가 지지대(31)에 형성된 관통홀(43)에 억지 끼움 됨에 따라 중공 통로(45)는 지지대(31)의 하측과 상측을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펀치(35)에 의하여 대상물(41)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41b)은 홀(41a)에서 중공 통로(45)를 통하여 스크랩 챔버(47)로 이송되어 일정 시간동안 저장된다.
펀치(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중공 통로(45)의 내경과 이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외경의 교차점에서 그 선단으로 날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펀치(35)에 의하여 대상물(41)로부터 커팅된 홀 스크랩(41b)은 펀치(35)의 중공 통로(45) 선단에 끼여 대상물(41)로부터 분리되어 중공 통로(45)로 안내된다. 이 중공 통로(45)를 형성하는 내경은 선단측 소경부(45a)와 이 소경부(45a)의 상측에 계단 구조로 연결되는 대경부(45b)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물(41)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41b)은 선단의 소경부(45a)에서 대경부(45b)를 통하여 스크랩 챔버(47)로 배출된다. 또한 소경부(45a)와 대경부(45b)로 이루어지는 계단 구조는 커팅된 홀 스크랩(41b)이 소경부(45a)에서는 끼인 상태로 압축 상승하다가 대경부(45b)에서는 끼이지 않는 자유 상태로 스크랩 챔버(47)로 안내되게 한다.
또, 이 펀치(35)는 하강하면서 대상물(41)을 절단할 때 신축부재(37)가 대상물(41)을 압축하다가 상승하면서 신축부재(37)가 대상물(41)을 내리 눌러 주도록 그 선단이 신축부재(37)의 선단보다 일정 높이(H1)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높이(H1)는 대지(41c)와 스티커(41d)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대상물(41)에서 스티커(41d)만 커팅하는 하프 커팅 시 유용하게 적용되며, 대지(41c)의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스티커(41d)와 대지(41c)가 같이 절단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펀치(35)는 도 6a, 6b,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대상물(41)의 밑그림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인 경우 이에 따라 각각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대상물(41)에 커팅해야할 홀(41a)이 원형인 경우 원기둥 펀치(35a)가 사용되고, 대상물(41)에 커팅해야 할 홀(41a)이 사각형인 경우 사각기둥 펀치(35b)가 사용되며, 대상물(41)에 커팅해야 할 홀(41a)이 삼각형인 경우 삼각기둥 펀치(35c)가 사용된다. 이들 펀치(35a, 35b, 35c)는 각각 그 형상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 내경이 형성하는 중공 통로(45)를 모두 선단의 소경부(45a)와 이 소경부(45a) 상측에 계단 구조로 이어지는 대경부(45b)로 구성하고 있다. 또 이들 펀치(35a, 35b, 35c)는 지지대(31)의 관통홀(43)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어 있고, 이 각각의 억지 끼움을 위하여 지지대(31)의 관통홀(43)은 각 펀치(35a, 35b, 35c)의 형상과 같은 원형, 사각형 또는 삼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펀치(35)에 의하여 대상물(41)로부터 커팅된 홀 스크랩(41b)은 펀치(35)의 계속되는 커팅 작업에 의하여 펀치(35)의 중공 통로(45)로 유입 및 상승되어 스크랩 챔버(47)로 안내되어 상당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이렇게 저장되는 기간은 대상물(41)로부터 커팅되는 홀 스크랩(41b)의 크기와 두께에 의하여 결정된다. 즉 홀 스크랩(41b)의 크기와 두께가 작을 경우 저장 기간은 길어지고, 반대로 홀 스크랩(41b)의 크기와 두께가 클 경우에 저장 기간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팅된 홀 스크랩(41b)을 저장하여 처리케 하는 스크랩 챔버(47)는 베이스 플레이트(49), 측면 플레이트(51) 그리고 커버 플레이트(53)를 체결부재(55)로 상호 체결하여 지지대(31)에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서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먼저, 베이스 플레이트(49)는 지지대(31)의 관통홀(43) 상측에 판 상태로 제공되어 펀치(35)의 중공 통로(45)로 상승되는 홀 스크랩(41b)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대상물(41)을 커팅하는 펀치(35)가 지지대(31)의 상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펀치(35)의 상단을 지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49)는 지지대(31)의 관통홀(43)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홀(49a)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관통홀(49a)은 펀치(43)의 중공 통로(45)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대상물(41)로부터 커팅된 홀 스크랩(41b)이 스크랩 챔버(47)로 원활히 유입되게 한다.
측면 플레이트(51)는 베이스 플레이트(49)의 상면 가장자리에 제공되어 그 두께만큼 베이스 플레이트(49)와 커버 플레이트(53)를 이격시키게 된다. 이 측면 플레이트(51)의 두께는 베이스 플레이트(49)와 측면 플레이트(51)의 크기가 결정된 상태에서 스크랩 챔버(47)의 용량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53)는 측면 플레이트(51)의 상면에 제공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9)를 전체적으로 덮은 상태로 체결부재(55)에 의하여 측면 플레이트(51)의 상측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9)와 함께 스크랩 챔버(47)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커팅 공정이 수백 내지 수천 회를 거치게 되면, 홀 스크랩(14b)은 스크랩 챔버(47) 내에 채워진다. 이 체결부재(55)를 풀고 스크랩 챔버(47)를 형성하는 커버 플레이트(53), 측면 플레이트(51)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49)를 분해하게 되면 스크랩 챔버(47)는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홀 스크랩(14b)은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팅 시, 대상물(41)의 상면으로 떨어지지 않은 홀 스크랩(14b)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고, 대지(41c)에서 분리된 스티커(41d)로부터 떨어지지 않은 홀 스크랩(41b)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7은 도 3의 B-B선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도 4의 목금형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4의 목금형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도 4의 목금형과 비교 설명한다.
도 4의 목금형은 펀치(35)의 선단이 신축부재(37)의 선단보다 상기 높이(H1)만큼 높게 위치하는 데 반하여, 도 7의 목금형은 펀치(57)의 선단이 신축부재(37)의 선단보다 높이(H2)만큼 낮게 위치하는 차이가 있다. 이 높이(H2)에 해당하는 펀치(57)는 스티커(41d)는 물론이고 대지(41c)를 같이 커팅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4의 목금형은 대상물(41)의 스티커(41d)만 커팅하여 스티커(41d)에만 홀(41a)을 형성하는 데 비하여, 도 7의 목금형은 스티커(41c)와 대지(41d)로 이루어진 대상물(41) 전체를 커팅하여 대상물(41)에 홀(41a)을 형성하는 차이가 있다.
이 도 7의 목금형은 대지(41c)와 스티커(41d)의 이중 구조를 이루는 대상물(41)에서 스티커(41c)와 대지(41c)를 같이 커팅하는 풀 커팅 시 적용되며, 상기와 같이 스티커(41c)만 커팅하는 하프 커팅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스티커(41c)만 커팅하는 하프 커팅의 경우 커팅 후 대지(41c)를 폐기 처분하기 때문에 대지(41c)를 스티커(41c)와 같이 커팅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금형의 또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로서, 그 전체적인 구성 및 작용은 도 4의 목금형과 유사 내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도 4의 목금형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도 4의 목금형과 비교 설명한다.
도 4의 목금형에서는 칼(33)과 펀치(35)가 지지대(3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칼(35)과 펀치(35)는 항상 지지대(31)와 일체로 승강 작동된다. 그리고 지지대(31)에 신축부재(37)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커팅 후, 지지대(31) 상승 시, 이 신축부재(37)의 팽창력이 대상물(41)을 눌러준다. 따라서 대상물(41)이 칼(3)이나 펀치(5)에 끼여 따라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비하여, 도 8의 목금형에서는 펀치(59) 및 가이드(61)가 지지대(31)에 설치되고, 칼(63)이 스트리퍼(65)에 설치되며, 탄성부재(67)가 스트리퍼(65)와 지지대(31)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67)는 스트리퍼(65)를 지지대(31)에 현수하고 있다. 따라서 펀치(59)와 칼(63)은 기본적으로 지지대(31)와 일체로 승강 작동되고 이에 더하여 스트리퍼(65)와 칼(63)은 지지대(31)의 작동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상승 작동되는 경우도 있다. 이 작동이 원활하도록 펀치(59) 및 가이드(61)의 선단 대향측 스트리퍼(65)에는 관통홀(69)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트리퍼(65)의 관통홀(69)이 가이드(61)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스트리퍼(65)는 탄성부재(67)를 압축시키게 된다. 커팅 후, 지지대(31) 상승 시, 이 탄성부재(67)의 탄성력이 스트리퍼(65)로 대상물(41)을 눌러준다. 따라서 대상물(41)이 칼(63)이나 펀치(59)에 끼여 따라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4의 목금형은 대상물(41)을 안장시키는 판상의 도마(39)를 필요로 한다. 이에 비하여 도 8의 목금형은 대상물(41)을 안장시키고 대상물(41)을 커팅한 펀치(59)와 가이드(61)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71)가 형성된 도마(39)를필요로 한다. 그리고 제1 스토퍼(73)는 스트리퍼(65) 외주의 대향측인 도마(39)에 구비되고, 제2, 3 스토퍼(75, 77)는 서로 대향하는 지지대(31)와 스트리퍼(65)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제1 스토퍼(7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는 지지대(31)와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는 스트리퍼(65)의 하강 한계를 제한한다. 이 때 스트리퍼(65)에 구비된 칼(63)은 대상물(41)을 하프 커팅한다. 칼(36)에 의한 하프 커팅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는 화살표 방향으로 계속 하강된다. 이 때 지지대(31)에 구비된 펀치(59)는 대상물(41)을 풀 커팅한다. 펀치(59)에 의한 풀 커팅 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1)는 화살표 방향으로 더 하강된다. 따라서 지지대(31)에 구비된 제2 스토퍼(75)는 제3 스토퍼(77)를 친다. 따라서 제3 스토퍼(77)가 구비된 스트리퍼(65)는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하고 스트리퍼(65)의 하측에 구비된 칼(63)은 대상물(41)을 풀 커팅 한다. 이 때 제1 스토퍼(73)는 높이(H3)만큼 압축되어 칼(63)의 추가 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스토퍼(73)는 탄성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대상물(41)로는 플랙서블 인쇄회로기판(FPCB)에서 절연층을 형성하는 커버 레이어 또는 이 커버 레이어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를 예로 들 수 있다. 즉 커버 레이어 또는 양면 테이프의 접점부를 원형, 사각형, 삼각형, 그리고 필요한 형상으로 타발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목금형은 지지대의 홀을 관통홀로 커팅 형성하고, 이관통홀에 중공의 펀치를 억지 끼움으로 조립하여, 이 펀치의 중공 통로를 스크랩 챔버에 연결하는 구성을 이룸으로서, 펀치의 커팅 작용에 의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커팅 동작과 동시에 펀치의 내경이 형성하는 중공 통로로 유입하여 이 중공 통로에 연결되는 스크랩 챔버로 안내하여 일시적으로 저장되게 하므로, 대상물을 커팅한 후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이 대상물로부터 떨어져 나오지 않고 커팅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대상물로부터 홀 스크랩을 별도의 공정을 거쳐 홀 스크랩을 제거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대상물로부터 풀 커팅된 홀 스크랩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고, 이 홀 스크랩을 처리하는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상물을 풀 커팅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판 상태의 지지대, 이 지지대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칼과 펀치, 이 칼과 펀치가 끼워지는 지지대의 주위에 부착되어 커팅 후 대상물이 칼과 펀치에 끼여 따라 올라 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 팽창 작용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는 목금형에 있어서,
    상기 펀치가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대의 관통홀에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며, 이 펀치의 중공 통로가 스크랩 챔버에 연결되는 목금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챔버는 지지대의 관통홀 상측에 제공되어 홀 스크랩의 배출을 안내하면서 펀치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관통홀에 상응하는 위치에 펀치의 중공 통로와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가장자리에 제공되는 측면 플레이트, 이 측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제공되어 베이스 플레이트를 전체적으로 덮은 상태로 체결부재에 의하여 측면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플레이트와 함께 지지대에 고정되는 커버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목금형.
  3. 판 상태의 지지대, 이 지지대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중공 구조의 펀치, 이 펀치가 끼워지는 지지대에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되고 지지대에 설치되는 가이드와 펀치가 관통되는 스트리퍼, 이 스트리퍼의 밑그림에 상응하도록 커팅된 공간에 억지 끼움 되는 칼, 상기 펀치에 의하여 풀 커팅되어 펀치의 중공 통로로 상승되는 홀 스크랩을 일정 기간 저장하도록 펀치의 중공 통로에 연결되는 스크랩 챔버로 구성되는 목금형.
KR10-2002-0076494A 2002-12-04 2002-12-04 목금형 KR100496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494A KR100496812B1 (ko) 2002-12-04 2002-12-04 목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6494A KR100496812B1 (ko) 2002-12-04 2002-12-04 목금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245U Division KR200307710Y1 (ko) 2002-12-04 2002-12-04 목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582A true KR20040048582A (ko) 2004-06-10
KR100496812B1 KR100496812B1 (ko) 2005-06-22

Family

ID=3734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494A KR100496812B1 (ko) 2002-12-04 2002-12-04 목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81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131B1 (ko) * 2007-10-08 2009-01-07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스크랩배출창테이프가 장착된 목금형 구조
KR100900567B1 (ko) * 2007-09-20 2009-06-02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패드코팅층이 형성된 목금형 구조
KR101307085B1 (ko) * 2011-11-15 2013-09-11 김희창 목금형
KR20190136527A (ko) * 2018-05-31 2019-12-10 (주)파인테크 필름 타발 장치 및 방법
KR20190136528A (ko) * 2018-05-31 2019-12-10 (주)파인테크 필름 타발 장치 및 방법
KR20230134715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측지지판이 구비된 oled 패널용 봉지재(fspm)의 프레스 재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525B1 (ko) 2006-11-14 2008-03-07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목금형 및 피나클금형에 적용할 수 있는 스크랩수집카트리지 장착용 금형의 구조
KR101040604B1 (ko) 2008-11-11 2011-06-10 김범회 톰슨금형장치
KR102319413B1 (ko) * 2020-01-28 2021-10-29 주식회사 대림 매트 성형용 목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0155Y2 (ja) * 1989-12-11 1994-12-21 俊明 角谷 粘着紙片の打抜き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567B1 (ko) * 2007-09-20 2009-06-02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패드코팅층이 형성된 목금형 구조
KR100877131B1 (ko) * 2007-10-08 2009-01-07 주식회사 케이디에스인텍 스크랩배출창테이프가 장착된 목금형 구조
KR101307085B1 (ko) * 2011-11-15 2013-09-11 김희창 목금형
KR20190136527A (ko) * 2018-05-31 2019-12-10 (주)파인테크 필름 타발 장치 및 방법
KR20190136528A (ko) * 2018-05-31 2019-12-10 (주)파인테크 필름 타발 장치 및 방법
KR20230134715A (ko) *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측지지판이 구비된 oled 패널용 봉지재(fspm)의 프레스 재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6812B1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812B1 (ko) 목금형
KR100666828B1 (ko) 스크랩 수집공간부 장착용 피나클 금형의 구조
JP2006150579A (ja) 抜き型用切断刃及び抜き型
KR20190000153A (ko) 종이트레이의 패턴 타공 장치
JP2006150579A6 (ja) 抜き型用切断刃及び抜き型
JP2002103479A (ja) ブランク型
KR200307710Y1 (ko) 목금형
KR100811525B1 (ko) 목금형 및 피나클금형에 적용할 수 있는 스크랩수집카트리지 장착용 금형의 구조
JP4172028B2 (ja) 抜き型
KR101382349B1 (ko) 프레스용 스크랩 취출장치
JP3555982B2 (ja) ゴム製環状品製造用加硫シート、ゴム製環状品の製造方法およびゴム製環状品の製造装置
KR200261934Y1 (ko) 프레스 금형
JPH10156597A (ja) 可変式プレス金型構造
KR100644090B1 (ko) 자석이 장착된 목금형의 구조
JPH08243996A (ja) 打抜き屑排出装置付き打抜き装置およびその打抜き方法
JP4512086B2 (ja) 抜き型
KR200408000Y1 (ko)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CN113967946B (zh) 冲切模具
CN217478682U (zh) 一种带回弹矮柱的标签冲切模具
JP2003211242A (ja) プレス装置
JP2796519B2 (ja) 紙器打抜装置における打抜屑の外脱装置
CN216578251U (zh) 一种pvc开关盒冲盲孔模具
KR20060009461A (ko) 천공 다이컷터의 제품 취출장치
RU2202936C2 (ru) Способ перфорирования деталей верха обуви
JPS5997726A (ja) トリムピアス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