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413B1 - 매트 성형용 목형 - Google Patents

매트 성형용 목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413B1
KR102319413B1 KR1020200009949A KR20200009949A KR102319413B1 KR 102319413 B1 KR102319413 B1 KR 102319413B1 KR 1020200009949 A KR1020200009949 A KR 1020200009949A KR 20200009949 A KR20200009949 A KR 20200009949A KR 102319413 B1 KR102319413 B1 KR 102319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mat
fixing frame
line cuttin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460A (ko
Inventor
황인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00009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4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또는 각종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부프레스기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평판형의 고정 틀에 칼날이 형성된 매트외곽라인절단구가 설치되고, 그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 고정 틀 상에는 칼날이 형성된 홀 천공구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 홀 천공구의 주위 고정 틀에는 칩 수용구가 설치되며, 상기 홀 천공구과 칩 수용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 내측 고정 틀 상에 발포부재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매트 성형용 목형{Wooden Pattern For Mat Form}
본 발명은 자동차용 또는 각종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부프레스기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의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을 천공할 때에 그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이 자동으로 인출되어 매트를 연속 성형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트렁크 바닥 또는 내부 바닥에는 다양한 형태의 매트가 깔려지게 되고, 이와 같은 매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는 고무 또는 수지가 마련되고, 그 고무 또는 수지의 표면에는 부직포와 같은 연질의 재료가 덧 데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매트에는 자동차의 해당 개소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전기케이블 홀을 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홀을 천공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이 목형으로부터 자동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누적되게 되어 매트생산의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참고로 상기 목형을 이용하여 매트를 성형하는 방법은, 매트 성형용 목형을 도 2에 나타낸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에 창작하고, 매트원단을 공급부(11)로부터 공급하며 상부프레스기(12)를 일정 시간마다 작동시켜 홀이 천공된 매트를 성형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홀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이 목형으로부터 분리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홀을 천공하는 관 형태의 홀 천공구에 누적되므로 상기 상부프레스기(12)를 수회 작동시킨 후에는 상부프레스기(12)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홀 천공구에 누적된 홀 칩을 분리 제거한 후 상부프레스기(12)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그에 따른 생산성 저하는 물론 노동력 낭비의 원인이 되었다.
선행문헌 1 : 한국특허등록번호 10-1020140(2011.02.28.) 선행문헌 2 :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09-0070897(2009.07.01.)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이 천공 형성되는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기 홀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거되어 매트를 연속 성형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매트 성형용 목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에 장착하여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 등을 배선하기 위한 홀(21)이 천공되는 매트(20)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스기의 하단 면에 고정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 틀(100);
상기 고정 틀의 하면에 하향하도록 설치되고 매트의 외곽 라인을 따라 절단하도록 선단에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11)을 형성시켜 된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매트의 홀을 천공하도록 상기 고정 틀(100)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에 공간이 없는 핀 형태의 고정부(123)와, 상기 고정 틀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의 천공부(122)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선단은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21)이 형성되며, 칩 수용구(130)의 공간(131)을 향하는 부분에는 칩(C)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장 홀의 배출구(122b)가 형성되고, 상기 장 홀의 내측 고정부(123)와 천공부(122)가 만나는 경계부분에는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a)을 형성시켜 된 홀 천공구(12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내측 홀 천공구(120)의 주위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2b)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용하는 공간(131)이 확보된 상기 홀 천공구(120)와 일체로 형성된 칩 수용구(130);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 고정 틀 상에 설치되고, 높이는 상기 각 칼날(111.121)이 형성되는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발포부재(140); 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매트 성형용 목형은,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이 천공 형성되는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기 홀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거되어 매트를 연속 성형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성형완료된 매트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매트를 성형하는 프레스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 일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 요부를 확대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 요부를 확대 발췌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을 프레스장치에 적용하여 매트를 성형한 상태의 평면 개략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또는 각종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부프레스기에 고정 설치하여 사용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의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을 천공할 때에 그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이 자동으로 인출되어 매트를 연속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의 구성은,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에 장착하여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 등을 배선하기 위한 홀(21)이 천공되는 매트(20)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스기의 하단 면에 고정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 틀(100);
상기 고정 틀의 하면에 하향하도록 설치되고 매트의 외곽 라인을 따라 절단하도록 선단에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11)을 형성시켜 된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매트의 홀을 천공하도록 상기 고정 틀(100)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에 공간이 없는 핀 형태의 고정부(123)와, 상기 고정 틀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의 천공부(122)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선단은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21)이 형성되며, 칩 수용구(130)의 공간(131)을 향하는 부분에는 칩(C)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장 홀의 배출구(122b)가 형성되고, 상기 장 홀의 내측 고정부(123)와 천공부(122)가 만나는 경계부분에는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a)을 형성시켜 된 홀 천공구(12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내측 홀 천공구(120)의 주위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2b)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용하는 공간(131)이 확보된 상기 홀 천공구(120)와 일체로 형성된 칩 수용구(130);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 고정 틀 상에 설치되고, 높이는 상기 각 칼날(111.121)이 형성되는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발포부재(140); 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고정 틀(10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으로 형성되어 도 2의 매트성형장치(10) 구성인 상부프레스기(12) 하부 저면에 고정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고정 틀(100)을 평판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고정 틀(100)이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 하부에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매트(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동일하게 하여 매트의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이하 "홀"이라 통칭함)의 천공과 매트(20)의 외곽을 정밀하고 정확하게 절단 가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고정 틀(100)의 재질은, 경질의 나무, 금속, 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무가 좋다.
본 발명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는, 상기 고정 틀(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매트(20)의 외곽 라인을 따라 절단하는 것으로, 선단에 칼날(111)이 형성됨으로써 매트(20)의 외곽 라인을 정밀하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 외곽 형상은, 절단 성형되는 매트(20)의 외곽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매트(20)의 외곽 형상은 사용대상의 설치 개소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됨으로 그 다양하게 형성되는 매트(20)의 외곽과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는, 금속 띠를 이용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철(F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매트(20)를 절단할 때에 변형되지 않는 경질의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홀 천공구(120)는,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 틀(100)에 고정 설치되어 매트(20)의 홀(21)을 천공하는 것으로, 선단에는 매트(20)의 홀(21)이 용이하게 천공되도록 칼날(1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홀 천공구(12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홀 천공구(120)가 고정 틀(100)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에 공간이 없는 핀 형태의 고정부(123)와, 상기 고정 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의 천공부(122)로 양분되고, 상기 천공부(122)의 선단에는 칼날(121)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칩 수용구(130)의 공간(131)을 향하는 부분에는 칩(C)이 배출되는 배출구(122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홀 천공구(120)는, 금속재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철(F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매트(20)의 홀을 천공하는데 변형되지 않는 경질의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천공부(122)를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매트(20)의 홀(21) 형상 및 크기를 정확하게 천공함을 물론, 그 홀(21)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칩(C)이 관 형태의 천공부(122)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밀려들어가며 적층 되면서 다음 매트(20)의 홀(21)을 천공할 때에 상기 이미 천공되고 발생한 칩(C)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천공부(122)의 후방 칩 수용구(130)의 공간(131)을 향하는 부분에는 배출구(122b)가 형성되는데, 그 배출구(122b)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천공부(122)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적층 되는 칩(C)이 밀려나와 공간(131)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배출구(122b)는, 상기 홀 천공구(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 홀이고, 그 장 홀의 내측 고정부(123)와 천공부(122)가 만나는 경계부분에는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a)이 형성되는데, 그 경사면(122a)을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관 형태의 천공부(122)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칩(C)이 용이하게 밀려나오며 공간(131)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배출구(122b)의 형상은, 장 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칩(C)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칩(C)이 관 형태의 천공부(122)에 가득 차게 되면 그 다음 매트(20)의 홀(21)이 천공되며 발생하는 칩(C)에 의해 천공부(122)의 최후방에 위치한 칩(C)이 밀려나며 배출구(122b)를 통하여 공간(131)으로 배출되고, 그 공간(131)으로 배출된 침(C)은 성형 완료된 매트(20)의 표면으로 배출되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트(20)와 함께 외부를 인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칩 수용구(130)는,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내측 홀 천공구(120)의 주위 고정 틀(10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홀 천공구(120)에서 배출되는 칩(C)을 수용하는 공간(131)이 확보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공간(131)은 칩(C)을 수용하며 그 수용되는 칩을 성형 완료된 매트(20)의 표면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간(131)의 형상은 제한을 두지 않으며 공간(131)의 크기는 칩(C)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크기면 된다.
상기와 같은 칩 수용구(130)는, 금속 띠를 이용하여 형성시킴이 바람직하고, 재질은 철(F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매트(20)를 절단할 때에 변형되지 않는 경질의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포부재(140)는, 상기 홀 천공구(120)과 칩 수용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 내측 고정 틀(100) 상에 설치되는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부재(140)를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하는 이유는,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가 매트(20)를 절단 성형하고자 가압할 때는 매트(20)와 접촉되면서 매트를 보호하며 압축되고, 매트(20)가 절단 완료되어 상부프레스기(12)가 다음 동작을 하고자 원위치 될 때에는 복원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신축성을 갖는 발포부재(140)의 재질은, 발포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압을 받으면 수축되고, 압이 해제되면 복원되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매트(20)가 절단 완료되고 발포부재(140)가 수축된 상태에서 상기 각 칼날(111,121)의 선단은 도 2의 매트성형장치(10) 구성인 하부프레스기(13) 표면과 접촉되지 않는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그 이유는, 상기 각 칼날(111,121)이 상기 하부프레스기(13) 표면과 접촉되면 마모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매트(20)의 두께는 동일함으로 상기 각 칼날(111,121)이 형성된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는 동일 선상을 유지하도록 형성시켜 매트(20)의 외곽과 홀(21)이 동시에 천공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발포부재(140)의 표면 높이 즉 발포부재(140)의 두께는, 상기 각 칼날(111,121)이 형성되는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시켜 매트(20)의 외곽과 홀(21)이 천공될 때에 상기 각 칼날(111,121)이 용이하게 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취급이 용이함은 물론,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를 고정 틀(100)에 공정함에 있어 고정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또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간의 위치가 정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는 일체로 형성시키기 않고 분리되게 형성시켜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을 이용하여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 등을 배선하기 위한 홀(21)이 천공되는 매트(20)를 성형하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을 상부프레스기(12)의 하부 저면에 견고하게 장착하고 매트(20)를 공급부(11)에서 공급하며 상기 매트성형장치(10)의 상/하부프레스기(12,13) 사이를 진행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스기(12)를 상/하로 작동시키면 상기 각 칼날(111,121)이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 등을 배선하기 위한 홀(21)과 매트(20)의 외곽을 동시에 절단하면서 매트를 성형 완료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홀(21)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칩(C)은 관 형태의 천공부(122)를 통하여 배출구(122b)와 공간(131)으로 배출되며 이미 성형 완료된 매트(20)의 표면으로 상기 칩(C)이 자동 배출되어 원하는 매트가 성형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매트 성형용 목형은,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홀이 천공 형성되는 매트를 성형할 때에 상기 홀이 천공되면서 발생하는 홀 칩을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제거하지 않고 자동으로 제거되어 매트를 연속 성형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은 물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00 : 고정 틀 110 : 매트외곽라인절단구
111 : 칼날 120 : 홀 천공구
121 : 칼날 122 : 천공부
122a : 경사면 122b : 배출구
123 : 고정부 130 : 칩 수용구
131 : 공간 140 : 발포부재

Claims (7)

  1. 매트성형장치(10)의 상부프레스기(12)에 장착하여 핀 홀 또는 고정피스 홀이나 전기케이블 등을 배선하기 위한 홀(21)이 천공되는 매트(20)를 성형하는 매트 성형용 목형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스기의 하단 면에 고정 설치되는 평판형의 고정 틀(100);
    상기 고정 틀의 하면에 하향하도록 설치되고 매트의 외곽 라인을 따라 절단하도록 선단에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11)을 형성시켜 된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에 위치한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매트의 홀을 천공하도록 상기 고정 틀(100)에 삽입 고정되는 내부에 공간이 없는 핀 형태의 고정부(123)와, 상기 고정 틀의 외부로 노출되는 내부가 중공인 관 형태의 천공부(122)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의 선단은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칼날(121)이 형성되며, 칩 수용구(130)의 공간(131)을 향하는 부분에는 칩(C)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장 홀의 배출구(122b)가 형성되고, 상기 장 홀의 내측 고정부(123)와 천공부(122)가 만나는 경계부분에는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122a)을 형성시켜 된 홀 천공구(120);
    상기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내측 홀 천공구(120)의 주위 고정 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122b)에서 배출되는 칩을 수용하는 공간(131)이 확보된 상기 홀 천공구(120)와 일체로 형성된 칩 수용구(130);
    상기 홀 천공구(120)와 칩 수용구(1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매트외곽라인절단구의 내측 고정 틀 상에 설치되고, 높이는 상기 각 칼날(111.121)이 형성되는 매트외곽라인절단구(110)의 선단 높이와 홀 천공구(120)의 선단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신축성을 갖는 발포부재(1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성형용 목형.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 틀의 재질은, 나무, 금속, 수지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 성형용 목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09949A 2020-01-28 2020-01-28 매트 성형용 목형 KR10231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49A KR102319413B1 (ko) 2020-01-28 2020-01-28 매트 성형용 목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949A KR102319413B1 (ko) 2020-01-28 2020-01-28 매트 성형용 목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60A KR20210096460A (ko) 2021-08-05
KR102319413B1 true KR102319413B1 (ko) 2021-10-29

Family

ID=7731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949A KR102319413B1 (ko) 2020-01-28 2020-01-28 매트 성형용 목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41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12B1 (ko) * 2002-12-04 2005-06-22 김창수 목금형
KR200408000Y1 (ko) * 2005-08-26 2006-02-07 박선후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JP2007083395A (ja) * 2004-11-05 2007-04-05 Takahashi Keisei:Kk 抜き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89B1 (ko) 2007-12-27 2014-05-2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20140B1 (ko) 2010-03-25 2011-03-07 엔피에프(주) 자동차 트렁크용 매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12B1 (ko) * 2002-12-04 2005-06-22 김창수 목금형
JP2007083395A (ja) * 2004-11-05 2007-04-05 Takahashi Keisei:Kk 抜き型
KR200408000Y1 (ko) * 2005-08-26 2006-02-07 박선후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60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1178B2 (en) Punching tool with re-usable, neutral structural groups
JP5779450B2 (ja) 目打ち装置を備える裁断機、およびその目打ち屑除去方法
KR102319413B1 (ko) 매트 성형용 목형
KR100626171B1 (ko) 초음파 천공장치
KR102295938B1 (ko) 공압식 폐지 제거장치가 구비된 톰슨 금형장치
KR20190141761A (ko) 깔창을 성형하고 절단하기 위한 몰드 어셈블리
CN211941204U (zh) 一种驾驶室内饰冲压模具
KR200408000Y1 (ko) 홀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KR20080109484A (ko)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100736732B1 (ko) 목형 조립체
CN107214243A (zh) 一种u型件组合模具及u型件加工工艺
KR20100003834U (ko) 천연피혁 및 합성피혁 천공기의 구조
KR102496086B1 (ko) 강도보완판이 형성된 롤러 통과식 프레스 펀칭 장치
CN218283419U (zh) 一种左右后门锁扣加强板加工用连续模
JPH0775735B2 (ja) 複数部品成形金型
KR102511302B1 (ko) 롤러 통과식 프레스 펀칭 장치
KR102511303B1 (ko) 강도보완판이 형성된 롤러 통과식 프레스 펀칭 장치
KR200493620Y1 (ko) 자동차 통풍시트커버용 천연피혁 및 합성피혁 천공기
KR102108388B1 (ko) 복수 개의 펀칭핀을 조작하여 각종원단에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펀칭기
KR20070024175A (ko) 홀 가공 펀칭치구가 장착된 목금형
KR200419502Y1 (ko) 초음파 천공장치
KR940002203Y1 (ko) 우산받침살의 제조장치
CN217070369U (zh) 型材定位支架和冲孔机
KR200339125Y1 (ko) 홀가공 금형조립체
KR100593413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의 하우징 자동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