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484A -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 Google Patents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484A
KR20080109484A KR1020070057872A KR20070057872A KR20080109484A KR 20080109484 A KR20080109484 A KR 20080109484A KR 1020070057872 A KR1020070057872 A KR 1020070057872A KR 20070057872 A KR20070057872 A KR 20070057872A KR 20080109484 A KR20080109484 A KR 2008010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strip
mold
die
guide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267B1 (ko
Inventor
이충호
황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
Priority to KR102007005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26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8Dies with different parts for several steps in a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5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specially adapted for multi-stage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Abstract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이 개시된다. 그러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원자재를 가압하여 인너스트립의 보강부를 형성하는 포밍부(forming portion)와, 상기 포밍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공급된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피보팅부(pivoting portion)와, 그리고 상기 인너스트립의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trimming portion)를 포함한다.
프로그래시브, 금형, 포밍, 피보팅, 트리밍, 인너스트립, 연속

Description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PROGRESSIVE METALLIC MOULD FOR MANUFACTURING THE INNERSTRIP}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의하여 제조된 인너스트립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A-A" 단면도이다.
도3 은 도1 에 도시된 인너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 는 도3 에 도시된 프로그래시브 금형중 포밍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5 는 도4 에 도시된 포밍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6 은 도3 에 도시된 프로그래시브 금형중 피보팅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7 는 도6 에 도시된 피보팅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8 은 도3 에 도시된 프로그래시브 금형중 트리밍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9 는 도8 에 도시된 트리밍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다.
본 발명은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밍, 피보팅, 트리밍 금형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속공정에 의하여 차량용 인너스트립을 생산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래시브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너스트립(Inner Strip;이하, 인너스트립)는 적재함의 측면에 설치되며 강도보강을 위해 내부에 부착되는 일종의 보강재이다.
이러한 인너스트립은 철판 원자재를 절단 한 후에 블랭킹작업을 수행하고 포밍작업과 벤딩작업, 피어싱(피보팅)작업, 트림작업 등을 거쳐 생산한다. 그리고, 각 공정은 독립된 금형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너스트립의 제조공정은 원자재를 각각의 금형에 별도로 공급하여 가공하게 되므로 인너스트립을 제조하기까지 제조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포밍, 피보팅, 트리밍 금형을 하나로 연결하여 연속공정에 의하여 인너스트립을 생산함으로써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공정을 연속공정으로 함으로써 원자재를 자동 이송시켜 생산하게 되므로 프레스 작업 시 무인작업 또는 인력투입을 줄일 수 있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자재를 가압하여 인너스트립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밍부(forming portion); 상기 포밍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밍부에서 포밍된 상기 인너스트립을 이송받아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피보팅부(pivo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피보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밍부에서 포밍되고 피보팅부에서 피보팅된 상기 인너스트립을 이송받아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trimming portion)를 포함하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스트립(1)은 베이스(Base;3)와, 상기 베이스(3)에 형성되어 강도를 향상시키는 보강부(5)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베이스(3)의 소정 위치에 나사홀(h)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나사홀(h)을 통하여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차량에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3)의 가장자리에는 테두리(e)가 남아 있으며, 이 테두리(e)는 후술하는 트리밍부(13)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5)는 베이스(3)를 포밍부(9)의 펀치(19)에 의하여 가압 함으로써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부(5)는 베이스(3)상에 적어도 한 곳, 바람직하게는 2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인너스트립(1)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보강부(5)에 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인너스트립(1)은 연속적으로 배치된 프로그래시브 금형(7)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래시브 금형(7)은 도2 및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재(f)를 가압하여 베이스(3)상에 보강부(5)를 형성하는 포밍부(forming portion;9)와, 상기 인너스트립(1)에 나사홀(h)을 천공하는 피보팅부(pivoting portion;11)와, 상기 인너스트립(1)의 테두리(e)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trimming portion;13)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포밍부(9)는 입측에 설치된 피더(18)로부터 공급되는 원자재(f)를 가압하여 인너스트립(1)의 형상을 성형하는 상형(17) 및 하형(19)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15)에는 원자재(f)를 직접 가압하는 펀치(21)와, 가이드 부시(23)가 구비된다. 상기 펀치(21)의 상부면에는 인너스트립(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가압구(2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구(25)는 펀치(21)의 내부에서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펀치(21)가 하형(19)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이 가압구(25)가 하강함으로써 다이(27)상에 적치된 원자재(f)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형(17)은 축(P1)에 의하여 프레스(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하형(17)에는 다이(27)가 구비되며, 상기 다이(27)의 상면에는 원자재(f)를 정확한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가이드(G1)가 구비된다. 따라서, 피더(18)로부터 공급된 원자재(f)는 제1 가이드(G1)에 의하여 정확한 포밍위치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이(27)의 상면에는 인너스트립(1)과 동일한 형상의 음각부(29)가 형성된다. 또한, 하형(19)의 양측에는 가이드 포스트(30)가 돌출되어 상기 상형(17)의 가이드 부시(23)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상형(17)이 프레스(도시안됨)에 의하여 하강하는 경우, 상기 펀치(21)의 가압구(25)가 다이(27)상에 안착된 원자재(f)를 가압함으로써 원자재(f)가 음각부(29)로 침입하여 인너스트립(1)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보팅부(11)는 포밍된 인너스트립에 나사홀(h)을 형성한다. 즉, 이러한 피보팅부(11)는 상기 포밍부(9)로부터 공급되는 인너스트립(1)에 나사홀(h)을 천공하기 위하여 상형(31) 및 하형(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31)에는 펀치(35)가 구비되며, 이 펀치(35)에는 나사홀(h)을 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랭킹 펀치(43)가 구비된다. 이 블랭킹 펀치(43)는 펀치(35)상에 형성된 삽입홀(4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랭킹 펀치(43)는 원형단면 형상을 갖음으로써 적정한 직경의 나사홀(h)을 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형(31)은 축(P2)에 의하여 프레스(도시안됨)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상기 하형(33)에는 다이(39)가 구비되며, 다이(39)의 일측에는 제2 가이드(G2)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포밍부(9)로부터 공급되는 인너스트립(1)은 제2 가이드(G2)를 통하여 안내되어 정확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이(39)의 상면에는 블랭킹 펀치(43)과 동일한 관통홀(45)이 음각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45)은 상기 블랭킹 펀치(3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형(31)이 프레스에 의하여 하강하는 경우, 상기 블랭킹 펀치(43)가 다이(39)상에 안착된 인너스트립(1)을 가압함으로써 관통홀(45)의 내부로 침입하여 인너스트립(1)의 나사홀(h)이 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홀(h)이 천공된 인너스트립(1)은 트림부(13)로 이송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림부(13)는 인너스트립(1)의 테두리(e)를 제거하기 위한 절단날(57)이 구비된 상형(51)과, 상기 인너스트립(1)이 안착된 하형(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형(51)에는 인너스트립(1)의 테두리(e)를 절단하는 절단날(57)과, 가이드 부시(59)가 구비된다. 상기 절단날(57)은 상형(51)에 형성된 홀(56)의 내측에 승하강이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단날(57)은 필요시 승하강 함으로써 인너스트립(1)의 테두 리(e)를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날(47)은 인너스트립(1)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형(53)에는 다이(61)가 구비되며, 상기 다이(61)의 입측에는 제3 가이드(G3)가 돌출되며, 반대편의 타측에는 제4 가이드(G4)가 돌출 된다. 따라서, 피보팅부(11)를 통과한 인너스트립(1)은 제3 가이드(G3)를 통하여 트리밍부(13)로 공급되며, 트리밍 후 제4 가이드(G4)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다이(53)의 상면에는 수납홀(63)이 형성되며, 양측에는 가이드 포스트(6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수납홀(63)은 상기 절단날(57)과 대응됨으로써 절단날(57)이 다이(61)에 안착된 인너스트립(1)의 테두리(e)를 절단하는 경우, 전단력에 의하여 인너스트립(1)이 수납홀(63)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단날(57)의 각도는 장시간의 절단작업에도 무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너스트립(1)이 제조된 후, 잔여물은 출측에 구비된 제4 가이드(G4)에 의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래시브 금형은 포밍, 피보팅, 트리밍하는 공정을 연속공정으로 진행함으로써 인너스트립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일체로 배치함으로써 금형설비의 유지보수를 간 단히 할 수 있고, 생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실시 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Claims (9)

  1. 원자재를 가압하여 인너스트립의 외관을 형성하는 포밍부(forming portion);
    상기 포밍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밍부에서 포밍된 상기 인너스트립을 이송받아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피보팅부(pivoting portion); 그리고
    상기 피보팅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밍부에서 포밍되고 피보팅부에서 피보팅된 상기 인너스트립을 이송받아 가장자리를 트리밍하는 트리밍부(trimming portion)를 포함하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입측에 설치된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원자재를 가압하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대응되며, 상기 원자재가 적치됨으로써 상기 상형의 가압시 상기 인너스트립이 성형되는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은 원자재를 가압하는 펀치와, 상기 펀치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인너스트립의 형상과 동일한 가압부와, 상기 펀치의 양측에 돌출되는 가이드 부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형은 다이와, 상기 다이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원자재를 안내하기 위한 제1 가이드와, 상기 다이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펀치에 대응되는 음각부와, 상기 가이드 부시에 삽입되는 가이드 포스트 로 이루어지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보팅부는 상기 포밍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대응되어 상기 인너스트립이 적치되는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은 인너스트립을 가압하는 펀치와, 상기 펀치에 구비되어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천공하는 블랭킹 펀치와, 상기 펀치의 양측에 돌출되는 가이드 부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형은 다이와, 상기 다이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블랭킹 펀치가 상기 인너스트립을 관통한 후 삽입되는 관통홀과, 상기 인너스트립을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 부시에 삽입되는 가이드 포스트를 포함하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킹 펀치는 원형 혹은 사각형 단면을 갖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피보팅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너스트립에 나사홀을 형성하는 상형과, 상기 상형에 대응되어 상기 인너스트립이 적치되는 하형으로 이루어지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는 인너스트립의 테두리를 절단하는 절단날과, 가이드 부시가 구비되고, 상기 하형에는 다이와, 상기 다이의 입측에 구비되어 인너스트립을 안내하는 제3 가이드 및 제4 가이드와, 상기 다이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절단날과 대응되는 수납홀과, 상기 가이드 부시에 삽입되는 가이드 포스트를 포함하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날은 상기 수납홀의 내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전단력에 의하여 인너스트립의 테두리를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1020070057872A 2007-06-13 2007-06-13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100894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2A KR100894267B1 (ko) 2007-06-13 2007-06-13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872A KR100894267B1 (ko) 2007-06-13 2007-06-13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484A true KR20080109484A (ko) 2008-12-17
KR100894267B1 KR100894267B1 (ko) 2009-04-21

Family

ID=40368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872A KR100894267B1 (ko) 2007-06-13 2007-06-13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2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1128A (zh) * 2010-04-07 2011-10-12 (株)进荣精机 内条带用冲压装置
KR102033100B1 (ko) 2019-04-05 2019-10-16 주식회사 극동프레스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368B1 (ko) 2016-09-27 2018-08-02 (주) 에이 에스 티 2형 프레스 성형품의 공용 성형구조를 갖는 프레스 금형
KR101895588B1 (ko) 2016-11-24 2018-10-18 (주) 에이 에스 티 도어 잠금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 성형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375B2 (ja) 1984-08-17 1994-03-23 黒田精工株式会社 回転電機の鉄心製造用順送り金型装置
KR20050010454A (ko) * 2003-07-18 2005-01-27 주식회사신우 자동차의 장대형 보강 판넬 제작 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제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1128A (zh) * 2010-04-07 2011-10-12 (株)进荣精机 内条带用冲压装置
CN102211128B (zh) * 2010-04-07 2013-12-18 (株)进荣精机 内条带用冲压装置
KR102033100B1 (ko) 2019-04-05 2019-10-16 주식회사 극동프레스 프로그래시브 다이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267B1 (ko) 200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833B1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용 텝 가공 금형 및 이를 이용한차량 혼 바디 성형용 프로그레시브 금형장치
KR100894267B1 (ko) 인너스트립의 제조를 위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KR101657147B1 (ko) 단조 성형방법 및 단조 성형장치
CN202239241U (zh) 联合模具
CN104438859A (zh) 端板级进模设备
KR20080109485A (ko)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이용한 인너스트립 제조방법
CN217252164U (zh) 一种设有自动脱模机构的五金件加工用冲压机床模具
CN203764789U (zh) 一种汽车b柱内板冲压模具
KR100655456B1 (ko) 링크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CN212190786U (zh) 一种模具修边切断装置
CN212703898U (zh) 一种家用梯踏板冲切一体机
KR100585514B1 (ko) 프레스 금형 조립체
CN210435169U (zh) 用于汽车b柱加强板成型的多工位复合模
JPH01193197A (ja) 非金属材料のための片側または両側の打ち抜きカッタ
CN210231192U (zh) 一种侧面边壁孔的冲孔模具结构
CN219025630U (zh) 高强度钢件热成形冲压机构
CN111687299A (zh) 一种家用梯踏板冲切一体机
CN209792412U (zh) 一种冲压模具
CN218425169U (zh) 一种圆形衬套的冲压模具
KR100610623B1 (ko) 절단칼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절단금형 및 그 제조방법
CN211437736U (zh) 抽屉托板级进模
CN220261278U (zh) 一种医用橡胶瓶塞模切装置
CN108043951A (zh) 一种电子锁通道拨头级进模
KR200355328Y1 (ko) 프레스 금형 조립체
CN103658404B (zh) 汽车座椅调高齿板连续成形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