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959A -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959A
KR20040044959A KR10-2004-7004039A KR20047004039A KR20040044959A KR 20040044959 A KR20040044959 A KR 20040044959A KR 20047004039 A KR20047004039 A KR 20047004039A KR 20040044959 A KR20040044959 A KR 2004004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mene
cyclohexanol
oxidation
propylene oxide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230B1 (ko
Inventor
츠지준페이
이시노마사루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8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87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8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960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8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28732B2/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2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02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 C07D301/03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 C07D301/19Synthesis of the oxirane ring by oxid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or of mixtures of unsaturated and saturated compounds with organic hydro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1/00Preparation of oxiranes
    • C07D301/32Separation; Pur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부생되는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시클로헥산올 및/또는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
산화 공정: 쿠멘을 산화함으로써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얻는 공정 ;
에폭시화 공정: 산화 공정에서 얻은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와 프로필렌을 반응시킴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쿠밀알콜을 얻는 공정 ; 및
수소화 분해 공정: 에폭시화 공정에서 얻은 쿠밀알콜을 수소화 분해함으로써 쿠멘을 얻어, 상기 쿠멘을 산화 공정의 원료로서 산화 공정에서 재사용하는 공정.

Description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ATION OF PROPYLENE OXIDE}
쿠멘을 산화하여 얻어지는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산소 캐리어로서 이용하여 프로필렌을 프로필렌옥사이드와 쿠밀알콜로 변환시키고, 또한 쿠밀알콜을 수소화 분해하여 쿠멘을 얻어, 상기 쿠멘을 반복 사용하는 방법은 WO01/05778A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쿠멘으로부터 얻어지는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산소 캐리어로서 이용하여 프로필렌을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환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쿠멘을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더구나 각 공정의 반응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유기산 및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우수한 특징을 갖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바에 의하면 상기한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에 있어서는 경시적으로 촉매의 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것에 관하여, 더욱 검토한 결과, 반응을 저해하는 원인 물질의 하나로서 유기산을 들 수 있는 것과, 제조시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시클로헥산올 및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이 부생되고 축적됨에 따라서, 이들 불필요한 유기산 및 과산화물이 많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산화물은 또한 유기산을 생성하는 원인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적 성분이 많아짐으로써 각 공정의 반응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게 된다는 것도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실을 기초로 예의 검토의 결과 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쿠멘으로부터 얻어지는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산소 캐리어로서 이용하여 프로필렌을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환시키고, 또한 상기 쿠멘을 반복 사용할 수 있어서, 불필요한 유기산 및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더구나 각 공정의 반응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부생되는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시클로헥산올 및/또는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갖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
산화 공정:쿠멘을 산화시킴으로써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얻는 공정 ;
에폭시화 공정:산화 공정에서 얻은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와 프로필렌을 반응시킴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쿠밀알콜을 얻는 공정 ; 및
수소화 분해 공정:에폭시화 공정에서 얻은 쿠밀알콜을 수소화 분해함으로써 쿠멘을 얻어, 상기 쿠멘을 산화 공정의 원료로서 산화 공정에 재사용하는 공정.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 공정은 쿠멘을 산화함으로써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얻는 공정이다. 쿠멘의 산화는 통상, 공기나 산소 농축 공기 등의 산소 함유 가스에 의한 자동 산화로 수행된다. 이 산화 반응은 첨가제를 이용하지 않고 실시하여도 좋고, 알칼리와 같은 첨가제를 이용하여도 좋다. 반응 온도는 통상 50∼200℃이며, 반응 압력은 통상 대기압으로부터 5 MPa 사이이다. 첨가제를 이용한 산화법의 경우, 알카리성 시약으로서는 NaOH, KOH와 같은 알칼리금속 화합물, 알칼리토류금속 화합물, Na2CO3, NaHCO3와 같은 알칼리금속 탄산염, 암모니아, (NH4)2CO3또는 알칼리금속 탄산암모늄염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폭시화 공정은 산화 공정에서 얻은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와 프로필렌을 반응시킴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쿠밀알콜을 얻는 공정이다. 에폭시화 공정은 목적물을 고수율 및 고선택율하에 얻는다는 관점에서 티탄 함유 규소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촉매의 존재하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촉매는 규소 산화물과 화학적으로 결합한 티탄을 함유하는, 소위 티탄-실리카 촉매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티탄 화합물을 실리카 담체에 담지한 것, 공침법이나 졸-겔법으로 규소 산화물과 복합시킨 것, 또는 티탄을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폭시화 공정의 원료 물질로서 사용되는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는 희박 또는 농후한 정제물 또는 비정제물이어도 좋다.
에폭시화 반응은 프로필렌과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촉매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반응은 용매를 이용하여 액상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반응시의 온도 및 압력을 기본으로 액체이어야 하며, 또한 반응물 및 생성물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것이어야 한다. 용매는 사용되는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용액 중에 존재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가 그 원료인 쿠멘으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에는 특별히 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것을 용매의 대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유용한 용매로서는 방향족의 단고리형 화합물(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오르토디클로로벤젠) 및 알칸(예를 들면 옥탄, 데칸, 도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화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200℃이지만, 25∼20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압력은 반응 혼합물을 액체의 상태로 유지하는 데 충분한 압력이 좋다. 일반적으로 압력은 100∼10000 kPa인 것이 유리하다.
에폭시화 반응은 슬러리 또는 고정상 형태의 촉매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대규모인 공업적 조작의 경우에는 고정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분법, 반연속법 또는 연속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원료를 함유하는 액을 고정상에 통과시킨 경우에는 반응 대역으로부터 나온 액상 혼합물에는 촉매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소화 분해 공정은 에폭시화 공정에서 얻은 쿠밀알콜을 수소화 분해함으로써 쿠멘을 얻어, 상기 쿠멘을 산화 공정의 원료로서 산화 공정에 재사용하는 공정이다. 즉, 수소화 분해에 의해 산화 공정에서 이용한 쿠멘과 동일한 것이 재생된다. 수소화 분해 반응은 통상, 쿠밀알콜과 수소를 촉매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반응은 용매를 이용하여 액상 또는 기상 중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매는 반응물 및 생성물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활성인 것이어야 한다. 용매는 사용되는 쿠밀알콜 용액 중에 존재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쿠밀알콜이 생성물인 쿠멘과의 혼합물인 경우에는 특별히 용매를 첨가하지 않고, 이것을 용매의 대용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외에, 유용한 용매는 알칸(예를 들면 옥탄, 데칸, 도데칸)이나, 방향족의 단고리형 화합물(예를 들면 벤젠, 에틸벤젠, 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수소화 분해 반응 온도는 일반적으로 0∼500℃이지만, 30∼400℃의 온도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압력은 100∼10000 kPa인 것이 유리하다. 수소화 분해 반응은 슬러리 또는 고정상 형태의 촉매를 사용하여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촉매로서는 수소화가 가능한 임의의 촉매를 이용할 수 있다. 촉매의 예로서는 코발트, 니켈, 팔라듐 등과 같은 원소 주기율표(IUPAC 무기화학명명법 개정판 1989)의 9족 및 10족 금속계 촉매, 구리, 아연 등과 같은 11족 및 12족 금속계 촉매를 들 수 있지만, 부생성물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말하면 구리계 촉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계 촉매로서는 구리, 라니-구리, 구리·크롬, 구리·아연, 구리·크롬·아연, 구리·실리카, 구리·알루미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회분법, 반연속법 또는 연속법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반응 원료를 함유하는 액 또는 가스를 고정상에 통과시킨 경우에는, 반응 대역으로부터 나온 액상 혼합물에는 촉매가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및시클로헥산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부생물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마련한다.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이하, 「알콜 제거 공정」이라고 기록하는 경도 있음)을 마련하는 경우, 산화 공정, 에폭시화 공정 및 수소화 분해 공정의 적어도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이다.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유기과산화물의 분해나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축차 반응 등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알콜 화합물은 계내 축적 성분이며, 재사용을 계속하면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가하고, 각 공정의 반응 유효 용적이 감소되는 동시에 산화 공정에서 일부가 산화되어 유기산이 되어, 에폭시화 촉매의 피독 물질로서 작용하거나, 제품인 프로필렌옥사이드 중의 불순물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알콜 제거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 상기 공정은 산화 공정, 에폭시화 공정 및 수소화 분해 공정의 적어도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 통상 증류탑 또는 추출탑을 설치하는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제거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쿠멘 중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농도를 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은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쿠멘의 핵수소 첨가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이다.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은 계내 축적 성분으로서, 재사용을 계속하면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가하여, 각 공정의 반응 유효 용적이 감소되는 동시에 산화 공정에서 일부가 산화되어 불필요한 유기산이나 과산화물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반응 용적의 유효 이용 및 부생성물의 억제를 고려하면, 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쿠멘 중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농도를 5 중량% 이하의 범위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농도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핵수소 첨가 반응이 진행하기 어려운 수소화 분해 반응 조건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 증류, 추출 등에 의해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본 발명의 공정에서 이루어지는 계밖으로 제거하는 방법, 반응에 의해 별도의 화합물로 변환하는 방법, 흡착제 등에 의해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계밖으로 제거하는 경우,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제거하는 공정(이하,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제거 공정」이라고 기록하는 경우도 있음)은 산화 공정, 에폭시화 공정 및 수소화 분해 공정의 적어도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 통상 증류탑 또는 추출탑을 설치하는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지만, 부생성물의 농도를 저수준으로 억제하고 또한 유효 성분의 손실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산화 공정 전에 증류 제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시클로헥산올의 제거 공정을 마련하는 경우,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쿠멘 중 시클로헥산올의 농도를 5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올은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페놀의 핵수소 첨가 반응에 의해서 생성하는 화합물이다. 페놀은 주로 에폭시화 공정에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의 분해 반응에 의하여 생성하는 화합물이다. 시클로헥산올은 계내 축적 성분으로서, 재사용을 계속하면 농도가 경시적으로 증가하여 각 공정의 반응 유효 용적이 감소되는 동시에, 산화 공정에서는 일부가 산화되어 불필요한 유기산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반응 용적의 유효 이용 및 부생성물의 억제를 고려하면, 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쿠멘 중 시클로헥산올의 농도를 5 중량% 이하의 범위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올의 농도를 억제하는 방법으로서는, 핵수소 첨가 반응이 진행되기 어려운 수소화 분해 반응 조건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시클로헥산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본 발명의 공정이 수행되는 계밖으로 증류, 추출 등에 의해 제거하는 방법, 반응에 의해 별도의 화합물로 변환시키는 방법, 흡착제 등에 의해 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계밖으로 제거하는 경우, 시클로헥산올을 제거하는 공정(이하, 「시클로헥산올 제거 공정」이라고 기록하는 경우가 있다.)은 산화 공정, 에폭시화 공정 및 수소화 분해 공정의 적어도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 통상 증류, 추출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지만, 산화 공정 전에 증류 제거를 하는 것이 부생성물의 농도를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고, 또한 유효 성분의 손실을 적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 및 시클로헥산올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 중 어느 하나를 마련함으로써 각 공정의 반응 유효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들의 적어도 2개의 공정을 마련함으로써 각 공정의 반응 유효 용적을 더욱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및 시클로헥산올의 제거에 있어서는 불필요한 유기산 생성의 억제,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제거에있어서는 불필요한 유기산 및 과산화물 생성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각 부생물중 적어도 2개를 제거하는 경우, 제거 공정을 각각 별개로 수행하거나, 하나의 제거 공정에서 2개의 부생물을 제거하는 것, 하나의 제거 공정에서 3개의 부생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하나의 제거 공정에서 3개의 부생물중 2개를 제거하는 등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2개 이상의 부생물을 하나의 공정으로 하는 경우는 예컨대, 증류에 의해 각 부생물을 함께, 또는 분류에 의해 각 부생물을 별개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산화 공정
수소화 분해 공정으로부터 재사용되는 이소프로필벤젠(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이소프로필벤젠을 포함하는 용액 중 에틸벤젠의 농도는 10 중량% 이하임)을 공기와 혼합하여 압력 300 kPa, 온도 150℃의 조건하 5시간 반응시켰다. 생성된 산화액의 조성은 이하와 같았다.
산화액 조성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35 중량%
쿠밀알콜 2 중량%
이소프로필벤젠 60 중량%
탄소수 2∼3의 알콜 0.03 중량%
이소프로필헥산 0.01 중량%
시클로헥산올 0.01 중량%
그 외 나머지
에폭시화 공정
산화 공정에서 얻어진 산화액을, 티탄 함유 규소 산화물 촉매 존재하, 고정상 유통 반응기에 세정 산화액 중 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옥사이드 1몰에 대하여 10배몰인 프로필렌과 함께 연속적으로 반응기내에 통과시켰다.
입구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쿠멘하이드록퍼옥사이드 변환율을 99%로 유지시켜 정상 안정화시켰다. 이 때의 반응 온도는 60℃였고, 선택율은 95%였다. 얻어진 에폭시화액으로부터 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경비 성분을 더 분리 회수하였다. 얻어진 반응액의 조성은 이하와 같았다.
에폭시화액 조성 ;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4 중량%
쿠밀알콜 33.5 중량%
이소프로필벤젠 62.3 중량%
탄소수 2∼3의 알콜 0.02 중량%
이소프로필헥산 O.01 중량%
시클로헥산올 0.01 중량%
그 외 나머지
수소화 분해 공정
에폭시화 공정에서 얻어진 반응액을 구리크롬 촉매 존재하에, 고정상 유통반응기에 반응액 중 쿠밀알콜 1몰에 대하여 2배몰의 수소와 함께 연속적으로 반응기내에 통과시켰다. 입구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쿠밀알콜을 거의 100% 변환시켰다. 이 때의 반응 온도는 180℃이었다. 얻어진 수소화 분해액의 조성은 이하와 같았다.
수소화 분해액 조성 ;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O 중량%
쿠밀알콜 0 중량%
이소프로필벤젠 96.1 중량%
탄소수 2∼3의 알콜 0.40 중량%
이소프로필헥산 0.05 중량%
시클로헥산올 O.15 중량%
그 외 나머지
탄소수 2∼3의 알콜, 이소프로필헥산, 시클로헥산올의 제거 공정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얻어진 수소화 분해액으로부터 증류에 의해 탄소수 2∼3의 알콜, 이소프로필헥산, 시클로헥산올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유층의 조성은 이하와 같았다.
에틸벤젠 제거액 조성 ;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0 중량%
쿠밀알콜 0 중량%
이소프로필벤젠 96.6 중량%
탄소수 2∼3의 알콜 0.00 중량%
이소프로필헥산 0.01 중량%
시클로헥산올 0.01 중량%
그 외 나머지
비교예 1
탄소수 2∼3 알콜, 이소프로필헥산, 시클로헥산올의 제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에서 산화, 에폭시화, 수소화 분해를 하면, 재사용되는 유층 중 에틸벤젠 농도는 계속 상승하여, 100회의 재사용으로 산화 공정에 재사용되는 이소프로필벤젠을 포함하는 용액 중에서 에틸벤젠중 탄소수 2∼3의 알콜, 이소프로필헥산 및 시클로헥산올의 전체 농도가 50 중량%을 넘게 되어, 각 공정의 반응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유기산이 많이 생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쿠멘으로부터 얻어지는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산소 캐리어로서 이용하여 프로필렌을 프로필렌옥사이드로 변환시키고, 또한 상기 쿠멘을 반복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공정의 반응 용적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불필요한 유기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특징을 갖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하기의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내 또는 각 공정 사이의 적어도 한 곳에서 부생되는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시클로헥산올 및/또는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
    산화 공정: 쿠멘을 산화시킴으로써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를 얻는 공정 ;
    에폭시화 공정: 산화 공정에서 얻은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와 프로필렌을 반응시킴으로써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쿠밀알콜을 얻는 공정 ; 및
    수소화 분해 공정: 에폭시화 공정에서 얻은 쿠밀알콜을 수소화 분해함으로써 쿠멘을 얻어, 상기 쿠멘을 산화 공정의 원료로서 산화 공정에 재사용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을 계밖으로 제거시키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헥산올 및/또는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시키는 것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을 계밖으로 제거시키는 것인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헥산올을 계밖으로 제거시키는 것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 및 시클로헥산올을 계밖으로 제거시키는 것인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2∼3의 알콜 화합물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프로판올인 것인 방법.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분해 공정으로부터 산화 공정에서 재사용되는 쿠멘 중 이소프로필시클로헥산의 농도가 5 중량% 이하인 것인 방법.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분해 공정에서 산화 공정으로 재사용되는 쿠멘 중 시클로헥산올의 농도가 5 중량% 이하인 것인 방법.
KR1020047004039A 2001-09-21 2002-09-12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KR100911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88715 2001-09-21
JP2001288717A JP5028733B2 (ja) 2001-09-21 2001-09-21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JP-P-2001-00288717 2001-09-21
JPJP-P-2001-00288716 2001-09-21
JP2001288715A JP2003096065A (ja) 2001-09-21 2001-09-21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1288716A JP5028732B2 (ja) 2001-09-21 2001-09-21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PCT/JP2002/009320 WO2003027087A1 (fr) 2001-09-21 2002-09-12 Procede de preparation d'oxyde de propyl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959A true KR20040044959A (ko) 2004-05-31
KR100911230B1 KR100911230B1 (ko) 2009-08-06

Family

ID=27347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039A KR100911230B1 (ko) 2001-09-21 2002-09-12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49590B2 (ko)
EP (1) EP1437350B1 (ko)
KR (1) KR100911230B1 (ko)
CN (1) CN1589267A (ko)
AT (1) ATE404547T1 (ko)
BR (1) BR0212664A (ko)
CA (1) CA2460791A1 (ko)
DE (1) DE60228296D1 (ko)
ES (1) ES2310218T3 (ko)
WO (1) WO2003027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3093B2 (en) 2003-06-30 2007-03-2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alkylene oxide
WO2005016903A1 (en) * 2003-08-19 2005-02-24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kylene oxide
JP2008266304A (ja) * 2007-03-22 2008-11-06 Sumitomo Chemical Co Ltd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PL2462130T3 (pl) 2009-08-05 2013-11-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posób wytwarzania tlenku propylenu
TWI523689B (zh) 2010-03-25 2016-03-01 陶氏全球科技公司 使用預處理環氧催化劑製備環氧丙烷之方法
WO2011118823A1 (en) * 2010-03-26 2011-09-2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Method of producing propylene oxide
CN102453003B (zh) * 2010-10-29 2014-05-2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用甲基环己基过氧化氢氧化丙烯制备环氧丙烷的方法
CN105367520B (zh) * 2014-08-27 2018-02-1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制备环氧丙烷的方法
EP3023402A1 (en) 2014-11-20 2016-05-2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Improvements relating to hydrogenolysis of phenyl alcohols
EP3023401A1 (en) 2014-11-20 2016-05-25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Improvements relating to hydrogenolysis of phenyl alcohols
JP7018880B2 (ja) * 2016-07-29 2022-02-14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1635A (en) * 1966-03-14 1967-11-07 Halcon International Inc Epoxidation process
JPS611678A (ja) 1984-06-14 1986-01-07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スチレンオキシド類の製造法
JP3301245B2 (ja) * 1994-03-24 2002-07-15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ロピレンオキシドの回収方法
JP2001031662A (ja) * 1999-07-14 2001-02-06 Sumitomo Chem Co Ltd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4386A1 (en) 2004-12-16
EP1437350A1 (en) 2004-07-14
CN1589267A (zh) 2005-03-02
DE60228296D1 (de) 2008-09-25
ES2310218T3 (es) 2009-01-01
BR0212664A (pt) 2004-08-24
CA2460791A1 (en) 2003-04-03
EP1437350A4 (en) 2006-01-04
EP1437350B1 (en) 2008-08-13
US7449590B2 (en) 2008-11-11
KR100911230B1 (ko) 2009-08-06
WO2003027087A1 (fr) 2003-04-03
ATE404547T1 (de) 200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163B1 (ko)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KR100729162B1 (ko)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0783303B1 (ko)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0911230B1 (ko)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제조 방법
JP4013444B2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4013443B2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1270880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KR20040050057A (ko)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제조방법
JP5347426B2 (ja) アルキルベンゼンハイドロパー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5028733B2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4096582B2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5028732B2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5097185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EP1471061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propylene oxide
JP2005097175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5097183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3096065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5097178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JP2005097211A (ja) プロピレンオキサイド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