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0453A -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사용한 흡수체 제품 - Google Patents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사용한 흡수체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0453A
KR20040040453A KR10-2004-7003299A KR20047003299A KR20040040453A KR 20040040453 A KR20040040453 A KR 20040040453A KR 20047003299 A KR20047003299 A KR 20047003299A KR 20040040453 A KR20040040453 A KR 2004004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ultilayer structure
absorber
absorption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6925B1 (ko
Inventor
스즈끼미가꾸
스기야마가쯔히꼬
다께마쯔사또미
모리가즈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혼규슈다이기쥬쓰겡뀨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혼규슈다이기쥬쓰겡뀨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혼규슈다이기쥬쓰겡뀨쇼
Publication of KR2004004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942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having an absorbent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40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 A61F13/534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having a folded core having an undulated or corrugate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는 시트형 기재의 길이방향으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띠형으로 교대로 평행하게 형성된 시트형 흡수체로 구성되고,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상기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내의 절곡선을 따라 상기 시트형 기재가 되접어지며, 상기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복수층으로 겹쳐져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띠형의 다층 구조 부분을 갖는다.

Description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 사용한 흡수체 제품 {ABSORBENT RENDERED THREE-DIMENSIONAL IN CENTRAL REGION BY WATER ABSORPTION, AND ABSORPTIVE ARTICLE USING THE SAME}
액투과성 톱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백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로 이루어지는 흡수체 제품은, 여러 가지 용도, 예컨대 소변 패드, 요실금 제품, 기저귀 등에 종래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흡수체 제품은 최근, 흡수체의 두께에 따른 뻣뻣함이나 뭉침을 해소하기 위해서 그 두께를 저감하여 박형화하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박형 흡수체 제품은 착용자가 움직이기 쉬운 반면에, 신체 배출 부위에 대한 밀착성이 불충분해지기 쉽기 때문에, 배설 직후에 체액이 신체를 따라 흘러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를 동반하기 쉽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연속 사용한 경우에는 누설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어가 되는 흡수체의 중앙부에 별도로 준비한 고부피 흡수층을 더하여 밀착성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1269호에는, 펄프층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폭이 좁은 폴리머 시트층을 적층함으로써, 피트성의 향상을 도모한 흡수체 제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흡수체의 주체인 흡수층에 여전히 체적이 큰 면상펄프가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체의 두툼함을 해소할 수 없다. 또한, 흡수한 액의 유지 능력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톱시트에 달라붙는 느낌이 남아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다.
또한, 중앙부에 입체형상을 부여시키기 위해 시트형 흡수체를 새롭게 적층해야 하기 때문에, 재료의 비용 상승에 더하여 장치의 비용 상승으로도 이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인체로부터의 배설액을 흡수하여 거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흡수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시에 인체의 3 차원적인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입체화하는 이(易)입체화 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를 흡수 요소로서 구비하는 흡수체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2A, 도 2B 는 도 1 의 이입체화 흡수체를 구성하는 시트형 흡수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 는 다층 구조 부분의 일례의 미흡액상태 및 흡액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4A, 도 4B 는 다층 구조 부분의 일례의 미흡액상태 및 흡액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5A, 도 5B 는 다층 구조 부분의 일례의 미흡액상태 및 흡액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의 모식도이다.
도 6A, 도 6B 는 제 2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미흡액상태 및 흡액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 은 제 3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 은 제 4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9 는 제 5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A, 도 10B 는 제 6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사시도이다.
도 11A, 도 11B 는 제 7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제 8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9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A, 도 14B, 도 14C 는 제 10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A, 도 15B, 도 15C, 도 15D 는 제 11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6A, 도 16B, 도 16C 는 제 12 실시예에서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다층 구조 부분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를 사용하여 구성된 흡수체 제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F-F' 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를 사용하여 구성된 다른 흡수체 제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게 시트형 흡수체를 더하지 않고 간편한 방법에 의해 중앙부 다층 구조 부분을 형성하여 사용전에는 얇고 컴팩트하며, 체액 흡수후에는 자발 융기에 의해 더욱 우수한 신체 배출부에 대한 밀착성을 갖는 흡수체 및 이 흡수체를 사용한 흡수성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형 기재의 길이방향으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띠형으로 교대로 평행하게 형성된 시트형 흡수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상기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내의 절곡선을 따라 상기 시트형 기재가 되접어지며, 상기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복수층으로 겹쳐져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띠형의 다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이에 따라 상기 고흡수성분이 건조 상태에 있을 때에는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표면과 다른 부분의 표면은 거의 평탄하지만, 흡액에 따라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게 융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의 전체에 걸쳐 존재한다.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시트형 흡수체의 전체 길이의 거의 1/2 혹은 그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만 존재한다.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폭방향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에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폭방향의 구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흡액 융기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중앙부에 있어서,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간된 두 개의 슬릿을 형성하여 중앙 존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중앙 존 (zone) 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의 구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흡액 융기할 수 있다.
시트형 흡수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를, 각 절곡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골 접기로 절곡됨으로써, 시트형 흡수체의 중앙부에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3 중으로 되어 있는 다층 구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호 마주한 골 접기의 절곡부의 사이가 5 ㎜ 이상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흡액시에 두 개의 봉우리형으로 융기한다.
시트형 흡수체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시트형 흡수체를 접어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앙부 다층 구조 부분과 각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사이에 액의 통로가 되는 골 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의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띠형의 획득 (acquisition) 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중앙부 다층 구조 부분과 각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다층 구조 부분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형의 획득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시트형 흡수체에 형성된 상기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50 % 이상의 고흡액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흡수성층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가 상기 시트형 기재(基材)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트형 흡수체의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교대로 연속하는 가는 폭의 라인 형상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흡수체를 흡수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는 흡수체 제품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시트형 흡수체 (1) 는 부직포와 같은 액체 투과성인 시트형 기재 (11) 의 표면에 띠형으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 (12) 와 비존재 부위 (13) 가 교대로 형성된 것으로, 그 폭방향의 중앙부에 시트형 흡수체 (1) 를 접어올림으로써 형성된 다층 구조 부분 (20) 이 시트형 흡수체 (1) 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에서는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로서, 시트형 흡수체 (1) 의 고흡수성분 띠 (12)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표면으로부터 기립하도록 다층 구조 부분 (20)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고흡수성분을 시트형 기재 (11) 의 하면측에 형성하고, 그 상면측으로부터 기립하도록 다층 구조 부분 (20) 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형 흡수체 (1) 는 고흡수성분을 시트형 기재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띠형으로 평행 배치하고, 각 고흡수성분 띠 사이를 열 봉합 등에 의해 접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에 나타낸 이입체화 흡수체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된 시트형 흡수체 (1) 의 일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시트형 흡수체 (1) 는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고부피성과 통기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형 기재 (11) 의 표면에, 라인 코팅 기술을 적용하여 시트형 기재 (1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한 띠형으로 고흡수성분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고흡수성분 띠로 이루어지는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 (12) 와 고흡수성분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 즉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13) 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 (12) 는 이입체화 흡수체의 흡수의 주체를 이루는 부분이다. 또한, 비존재 부위 (13) 는 확산/획득 (acquisition) 영역으로서 기능하여 시트형 흡수체 (1) 가 액을 흡수하기 전 및 흡수 후에도, 자유롭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기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형 흡수체 (1) 에 형성되는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 (12) 는 바람직하게는 고흡수성분과 마이크로피브릴상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흡수성분과 마이크로피브릴상 셀룰로오스를 프로필렌글리콜이나 메탄올과 같은 유기 용매와 물의 혼합 용매로 분산하여 형성하고 있는 도공액(塗工液)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스테르계, 기타 열가소성수지 혹은 레이온, 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으로 부직포에 사용되고 있는 섬유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에 띠형으로 도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피브릴상 셀룰로오스는 목재 펄프를 높은 셰어화로 개섬하여 얻어지는 평균 섬유길이 0.1 % 이하인 극미세섬유이다. 시트형 흡수체는 고흡수성분을 부직포에 코팅하여 얻어지기 때문에, 임의의 폭의 라인코트가 가능하다. 도공 패턴은 전면 코트와 라인 코트의 조합, 라인 코트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시트형 흡수체의 형태는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비존재 부위가 상호 접하는 연속상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비존재 부위가 시트형 기재만으로 된 경우를 예로 들면, 비존재 부위는 존재 부위와 비교하여 매우 유연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어올릴 수 있고, 그렇게 함으로써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끼리를 겹쳐 접어 상호 접촉시킬 수 있다.
이렇게, 비존재 부위에서 접어올려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끼리를 겹쳐 접어도, 시트형 기재 자체는 매우 얇기 때문에 상기 겹쳐 접은 부분의 두께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적고, 또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의 경우에도 고흡수성분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펄프/고흡수성분 혼합계와 비교하여 1/2 내지 1/5 정도로 매우 얇으며, 상기와 같이 겹쳐 접어도 그에 따라 생기는 볼록부는 그다지 두드러지지 않아 전체적으로 얇고 컴팩트한 이입체화 흡수체를 형성할 수 있다.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는 폭방향으로는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는 흡수체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함으로써, 비존재 부위 내에 위치하는 절곡선에서 접어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속한 다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업적 생산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플레이트 등의 간단한 장치에 의해 연속적으로 용이하게 접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에 있어서, 시트형 흡수체에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를 복수 배치해도 반드시 이들을 모두 접어올릴 필요는 없다.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는 임의의 폭으로 임의의 개수를 배치할 수 있다. 다층 구조 부분 내에서도 그 최상층은 고흡수성분 만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고 비존재 부위가 혼재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는 단일의 시트형 흡수체를 절곡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장의 시트형 흡수체를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층 이상의 시트형 흡수체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중첩한 후에 접어올릴 수도 있고, 시트형 흡수체를 접어올린 후에 하층에 시트를 중첩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 에 있어서, 다층 구조 부분 (20) 의 형성은 시트형 흡수체 (1) 를 그 폭방향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적당한 폭 (W) 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13) 내에서 절곡선 (S1 및 S2) 에서 산 접기로 접고, 양 절곡선 (S1 및 S2) 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13, 13) 내의 절곡선 (S3 및 S4) 에서 각각 골 접기로 절곡함으로써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절곡의 결과, 절곡선 (S3) 과 절곡선 (S4) 은 간격 (g) 을 두고 대향하게 되고, 다층 구조 부분 (20) 에서는 시트형 흡수체 (1) 는 간격 (g) 의 폭을 제외한 대부분에서 3 층 구조가 되어 다른 부분의 3 배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절곡선 (S3 과 S4) 의 간격 (g) 을 작게 함으로써 3 층 구조는 거의 균일한 두께가 되며, 이 경우에는 다층 구조 부분 (20) 은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융기하여 신체에 대한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간격 (g) 의 폭을 5 ㎜ 이상으로 떨어뜨린 경우에는 중앙이 1 층, 그 양 사이드가 3 층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다층 구조 부분 (20) 은 흡액에 의한 중앙부의 융기보다도 그 양측에서의 융기가 높아져 단면 형상으로서 M 형이 된다. 이에 따라, 중앙의 오목부가 액체의 통로가 되어 액의 확산성이 양호해진다.
도 3 의 모식도는 이렇게 폭방향의 중앙부에 다층 구조 부분 (20) 을 가지는이입체화 흡수체의 흡액전의 상태 (3A) 와, 흡액에 의해 전체가 팽윤·팽화하여 두께를 증가시킨 상태 (3B) 를 나타내고 있다. 3A 및 3B 에 있어서, 특히 중앙의 다층 구조 부분 (20) 은 이 부분이 아치형으로 융기하여 입체화하여, 착용자의 신체의 배설부의 홈형 부분을 따라 밀착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운동 등에 의해서도 소정의 위치에서 벗어날 우려는 없고, 그 흡수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접어올림을 복수회에 걸쳐 실시하여 중앙부에 임의의 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어올림이 다중이 될 수록 흡액에 의해 더욱 용이하게 팽화, 융기하여 자립적으로 입체화 상태에 이른다. 이렇게 중앙부가 자립적으로 융기하여 용이하게 입체화 상태에 이르는 구조의 흡수체를 본 명세서에서는 「이입체화 흡수체」라 칭한다.
이러한 자발적으로 입체화하는 기능은 그 융기의 방향을 규정함으로써 보다 현저해지고, 더구나 그 정도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 는 신장되지 않은 시트형 기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한 띠형으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교대로 형성된 시트형 흡수체 (1) 를 사용하여, 그 절곡선의 위치나 간격 등을 바꾸어 상이한 형상의 다층 구조 부분 (20) 을 형성한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A 는 미흡수상태, B 는 액을 흡수하여 전체가 팽윤·팽화에 의해 두께를 증가시킨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이입체화 흡수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입체화 흡수체는 SB, SMS 와 같은 부직포 재료, OE, PP 등의 필름 혹은 그 적층체 등의 비신장성 시트형 재료 (30) 를 사용하고, 그 위에 다층 구조 부분 (20) 을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를 중첩하여 다층 구조 부분 (20) 의 양측에서 핫멜트 (31) 로 비신장성의 시트형 재료 (30) 에 고정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 경우에는 핫 멜트로 고정되어 있어 다층 구조 부분 (20) 의 폭방향에서의 시트형 흡수체 (1) 의 신장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다층 구조 부분 (20) 의 팽화 방향은 상방만으로 가능해져 매우 빠르고 안정된 입체화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에 있어서는, 시트형 흡수체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다층 구조 부분에 더하여, 그 양측부에도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례를 도 7 에 나타낸다. 이 예의 이입체화 흡수체를 구성하는 시트형 흡수체 (1) 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고흡수성분을 배치한 면을 하향으로 하고, 도 1 에 나타낸 이입체화 흡수체와 동일한 센터 다층 구조 부분 (20) 이 상향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양측부에 시트형 흡수체 (1) 의 측가장자리부의 일부를 센터 다층 구조 부분 (20) 과는 반대측 (이입체화 흡수체의 사용 상태에서의 이면측) 으로 되접어 이중으로 한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4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은 다층 구조 부분 (20) 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동일 표면에 시트형 흡수체 (1) 를 되접음으로써 형성된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50) 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의 이입체화 흡수체에 있어서는, 센터 다층 구조 부분 (20) 과 각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50) 사이에 표면측으로 개구하는 채널 (51) 이 형성된다. 이 채널 (51) 은 다층 구조 부분 (20) 에서 흡수되지 않은 액을 채널(51) 내에 유입시키고, 이 채널 (51) 내의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 (12) 에 빠르게 흡수, 고정시킨다.
도 9 는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50) 은 도 8 의 예와 동일하지만, 센터 다층 구조 부분 (20) 이 시트형 흡수체 (1) 의 폭방향의 중앙부에서 그 이면측으로 접어올림으로써 형성되고, 이로써 센터 다층 구조 부분 (20) 의 중앙부에 채널 (52) 이 형성된다. 이 채널 (52) 은 이입체화 흡수체에 액이 공급되었을 때에 이 액을 일단 채널 (52) 내에 저장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 채널 (52) 을 둘러싸는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에 흡수, 고정된다. 또한,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50) 은 상방으로 기립하여 측가장자리부에서의 누설방지벽의 역할을 다한다.
여기까지 설명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의 구성은, 시트형 흡수체를 접어올림으로써 폭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층 구조 부분을 갖는 것이지만,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띠형으로 연장하도록 복수의 다층 구조 부분을 형성하고, 이입체화 흡수체의 흡수의 주체를 이루는 영역, 즉 길이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다층 구조 부분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 이러한 다층 구조 부분을 형성한 이입체화 흡수체의 몇가지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A 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선에 복수 (이 예에서는 4 개) 의 상호 평행한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를 나타내고, 도 10B 는 그 중앙부에 위치하여 서로 연접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시트형 흡수체 (1) 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서만 서로 모아 결합하여 다층구조 부분 (60) 을 형성한 이입체화 흡수체를 나타내고 있다.
인접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서로 모아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복수 (본 예에서는 4 개) 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에, 형성해야 할 센터 다층 구조 부분의 폭방향 양측의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내의 위치에 있어서 슬릿커트 (61) 를 형성하고,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슬릿커트 (61) 사이에 끼워진 부위에 있는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서로 접촉시키고, 핫멜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면 (62) 에서 결합하고, 이에 따라 센터 다층 구조 부분 (60) 을 형성하고 있다.
혹은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형성된 복수 (이 예에서는 4 개) 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에 형성해야 할 센터 다층 구조 부분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위치에 있어서,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간된 두 개의 평행한 슬릿커트 (71, 71) 를 형성하고, 이 슬릿커트 (71, 71) 에서 기타 부분으로부터 잘려나온 부위에서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서로 접촉시켜 핫멜트 등을 사용하여 결합선 (72) 으로 결합하고, 이에 따라 센터 다층 구조 부분 (70) 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슬릿커트를 갖는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에서는 그 다층 구조 부분이 그에 인접하는 부위의 구속으로부터 해방되기 때문에, 흡액시의 융기가 더욱 용이해진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또한, 슬릿커트를 형성함으로써, 이것을통하여 배출 체액이 하층부로 물리적으로 투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이입체화 흡수체의 이면에 배치되는 액불투과성 이면 시트와의 사이에서 양호하게 액을 확산시킬 수 있고, 이입체화 흡수체의 표리 양면으로부터의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는 시트형 기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한 띠형의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평탄한 시트형 흡수체와 비교하여, 중앙부에 다층 구조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우수한 흡액·고정 성능을 가지지만, 추가로 다량의 액이 단시간에 집중하여 공급되는 조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액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이른바 획득 기능을 가지는 층을 추가할 수 있다.
도 12 는 도 1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다층 구조 부분 (20) 을 갖는 이입체화 흡수체에 있어서 이 다층 구조 부분 (20) 의 양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 획득층 (73) 을 형성한 이입체화 흡수체를 나타내고 있다.
이 획득층 (73) 은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Ω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다층 구조 부분 (20) 의 공간부 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 내지 도 16 은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기타 접어올림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4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상호 평행한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에 중앙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의 외측의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인 시트형 기재 (11) 에 슬릿커트 (81) 를 형성하고, 이 두 개의 슬릿커트 (81)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있어서, 도14B 및 14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의 하면끼리가 서로 접하도록 접착제 (82) 등을 사용하여 접합하고, 이에 따라 이입체화 흡수체 (1) 는 그 중앙부에 기타 부분으로부터 융기한 센터 다층 구조 부분 (80)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열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를 적당한 위치에 있는 인접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1 및 12-2) 에 걸쳐 연장하도록, 그 길이방향 중앙부에 적당한 거리만큼 이간된 두 개의 슬릿커트 (91, 91)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릿커트 사이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1) 의 내측 (12-1 과 12-2 의 사이) 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절곡선 (92) 을 따라 골 접기로, 반대측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2) 의 외측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내의 절곡선 (93) 을 따라 산 접기로 절곡하여, 도 15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1) 을 거기에 인접하는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2) 위로 겹쳐 접어 전체적으로 3 층 중첩된 적층 구조가 형성되며, 또한 도 15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중이 된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1 및 12-2) 를 두 개의 슬릿커트 (91, 91) 사이의 부분에서 기립시킴으로써, 기타 부분으로부터 융기한 센터 다층 구조 부분 (90)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6 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열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형성한 시트형 흡수체 (1) 에 인접하는 복수개 (이 예에서는 두 개) 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를 길이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만큼 떨어뜨린 부분에서 잘려나오도록두 개의 슬릿커트와, 한쪽의 슬릿커트의 일단으로부터 다른쪽의 슬릿커트의 일단에 달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커트로 이루어지는 ㄷ자형 슬릿커트 (101a) 를 형성함으로써 플랩 (102a) 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플랩 (102a) 으로부터 적당한 거리만틈 폭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대칭형의 제 2 슬릿커트 (10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두 개의 플랩 (102a 및 102b) 은 도 1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위에 중첩되고, 이에 따라 도 16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형 흡수체 (1) 의 중앙부에 있어서 2 열의 고흡수성분 존재 부위 (12) 가 3 층으로 중첩된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00) 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시트형 흡수체 (1) 는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00) 이 흡액한 경우에 높게 융기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00) 에 인접하는 플랩 (102a 및 102b) 이 형성되어 있던 부분이 개구부가 되어 있으며, 이 개구부를 통하여 배출 체액이 하층부로 물리적으로 투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하층부에 있어서 배출 체액의 저장, 확산, 흡수가 용이하게 실시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다층 구조 부분을 갖는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는 통상의 시트형 흡수체로서 여러 가지 흡수체 제품에 내장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흡수 성능을 발휘한다.
도 17 및 도 18 은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20) 을 형성한 이입체화 흡수체 (121) 를 사용하여 구성된 흡수체 제품 (122) 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 에 있어서, 부호 123 은 톱시트, 124 는 백시트, 125 는 탄성부재, 126은 티슈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흡수체 제품 (122) 은 액체가 공급됨으로써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20) 의 큰 흡수 용량에 의해 효과적인 흡수를 실시함과 동시에, 이 센터 다층 구조 부분 (120) 이 융기하고 인체의 요철면에 피트하여 우수한 누설 방지 작용을 발휘한다.
또한, 도 19 는 동일한 이입체화 흡수체 (131) 를 사용하여 구성된 다른 형태의 흡수체 제품 (132) 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체 제품은 액투과성 톱시트와 액불투과성 백시트와 이들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된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체 본체로 이루어지고, 폭방향 중앙부는 접어올림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어올림 구조는 흡수체 본체를 접어올린 후에 톱시트, 백시트를 적층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흡수체 본체, 백시트를 적층한 후에 접어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는 그 폭방향의 중앙부에 이입체화 흡수체를 구성하고 있는 시트형 흡수체를 적어도 이중으로 한 다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급된 액을 흡수했을 때 이 다층 구조 부분이 빠르게 흡액함과 동시에, 다른 부분보다도 높게 융기하여 자발 입체화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하여 액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입체화 흡수체는 인체로부터의 배출액을 흡수하고 고정하는 흡수체 제품에 적합하다.

Claims (13)

  1. 시트형 기재의 길이방향으로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띠형으로 교대로 평행하게 형성된 시트형 흡수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상기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 내의 절곡선을 따라 상기 시트형 기재가 되접어지며, 상기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복수층으로 겹쳐져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띠형의 다층 구조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의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전체 길이의 거의 1/2 혹은 그 이하의 길이를 가지고, 또한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에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폭방향의 양측방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에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폭방향의 구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흡액 융기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중앙부에 있어서, 시트형 흡수체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간된 두 개의 슬릿을 형성하여 중앙존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중앙 존이 다른 부분으로부터 길이방향의 구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흡액 융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를 각 절곡부가 상호 마주하도록 골 접기로 절곡됨으로써,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중앙부에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삼중으로 되어 있는 다층 구조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마주한 골 접기의 절곡부의 사이가 5 ㎜ 이상의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이 흡액시에 두 개의 봉우리형으로 융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다층 구조 부분의 양측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상기 시트형 흡수체를 접어올려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을 가지고 있고, 상기 중앙부 다층 구조 부분과 각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 사이에 액의 통로가 되는 골 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의 양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띠형의 획득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다층 구조 부분과 각 사이드 다층 구조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다층 구조 부분의 하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형의 획득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흡수체에 형성된 상기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가 50 % 이상인 고흡액성 수지를 포함하는 고흡수성층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고흡수성분의 비존재 부위가 상기 시트형 기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고흡수성분의 존재 부위와 그 비존재 부위가 교대로 연속하는 가는 폭의 라인 형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하는 이입체화 흡수체를 흡수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체 제품.
KR1020047003299A 2001-09-07 2002-09-06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사용한 흡수체 제품 KR100926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1832 2001-09-07
JP2001271832A JP4229309B2 (ja) 2001-09-07 2001-09-07 吸水により中央部で立体化する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PCT/JP2002/009099 WO2003022193A1 (fr) 2001-09-07 2002-09-06 Element absorbant rendu tridimensionnel dans sa zone centrale par absorption d'eau, et article absorbant faisant appel a celui-ci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453A true KR20040040453A (ko) 2004-05-12
KR100926925B1 KR100926925B1 (ko) 2009-11-17

Family

ID=19097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299A KR100926925B1 (ko) 2001-09-07 2002-09-06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사용한 흡수체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44522B2 (ko)
EP (1) EP1457185A1 (ko)
JP (1) JP4229309B2 (ko)
KR (1) KR100926925B1 (ko)
CN (1) CN100434056C (ko)
BR (1) BR0212690A (ko)
MX (1) MXPA04002150A (ko)
WO (1) WO20030221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6413B2 (ja) * 2001-07-23 2009-04-02 王子製紙株式会社 シート状吸収体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体製品
JP4050920B2 (ja) * 2002-03-20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07022486A1 (en) * 2005-08-19 2007-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7682554B2 (en) 2005-08-30 2010-03-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mechanically shape a composite structure
US7687012B2 (en) 2005-08-30 2010-03-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to shape a composite structure without contact
CA2949821C (en) 2005-09-06 2021-05-18 Smith & Nephew, Inc.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JP4972335B2 (ja) * 2006-02-09 2012-07-1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物品
EP2092922A4 (en) * 2006-12-07 2012-12-05 Uni Charm Corp ABSORBENT ARTICLE
US20090112175A1 (en) * 2007-10-30 2009-04-30 Kofi Ayensu Bissah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n absorbent layer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beam elements
JP5331331B2 (ja) 2007-12-06 2013-10-30 花王株式会社 伸縮性吸収体
US9044359B2 (en) 2008-04-29 2015-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distributed for improved isolation of body exudates
JP5302612B2 (ja) * 2008-10-03 2013-10-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08781B2 (ja) * 2009-01-19 2013-06-1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TWI496565B (zh) 2009-03-30 2015-08-21 Livedo Corp 吸收元件
JP5414099B2 (ja) 2009-03-31 2014-02-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86348B2 (ja) * 2010-02-27 2014-05-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782251B2 (ja) * 2010-11-30 2015-09-2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5963074B (zh) 2011-07-14 2020-01-17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和治疗方法
JP6005916B2 (ja) * 2011-08-29 2016-10-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2586410A1 (en) * 2011-10-24 2013-05-01 Bostik S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an absorbent article
US9636264B2 (en) * 2011-12-13 2017-05-02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U2013264934B2 (en) 2012-05-23 2017-07-20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JP5995313B2 (ja) * 2012-06-29 2016-09-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15001520A (es) 2012-08-01 2015-08-20 Smith & Nephew Apósito para heridas.
US10667955B2 (en) 2012-08-01 2020-06-02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treatment
JP6062707B2 (ja) * 2012-10-19 2017-01-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パッド
US9375507B2 (en) 2013-04-10 2016-06-28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9302248B2 (en) 2013-04-10 2016-04-05 Evonik Corporation Particulate superabsorbent polymer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US10369246B2 (en) 2013-06-14 2019-08-06 Krp U.S., Llc Absorbent articles having pockets and related methods therefor
CN103584958A (zh) * 2013-11-22 2014-02-19 常熟南师大发展研究院有限公司 透气卫生巾
JP6586431B2 (ja) 2014-06-18 2019-10-02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ピーエルシーSmith & Nephew Public Limited Company 創傷包帯および治療方法
CN104434407B (zh) * 2014-12-26 2018-03-23 梁亮胜 一种吸收制品
CN104546305A (zh) * 2014-12-31 2015-04-29 广东百顺纸品有限公司 一次性吸湿用品及其制作方法
JP5975552B2 (ja) * 2015-05-25 2016-08-2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54920B2 (ja) * 2016-04-01 2018-07-1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8042558A1 (ja) * 2016-08-31 2018-03-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折り方法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01818829D0 (en) * 2018-11-19 2019-01-02 Smith & Nephew Absorbent component
CA3121616A1 (en) * 2018-12-05 2020-06-11 Attends Healthcare Products, Inc. Absorbent articles having an absorbent core configured to define a containment zone
CN113558868B (zh) * 2021-07-30 2022-05-27 福建惠安县和成日用品有限公司 一种女性防潮型悬浮芯体可降解安心裤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2157A (ja) * 1982-01-31 1983-08-06 ユニ・チヤ−ム株式会社 植毛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4880419A (en) * 1983-08-24 1989-11-14 Chicopee Absorbent article with internal wicking means
US4670011A (en) * 1983-12-01 1987-06-02 Personal Products Company Disposable diaper with folded absorbent batt
JPH0286521A (ja) 1988-09-20 1990-03-27 Konica Corp 給紙装置
GR1001048B (el) * 1988-10-24 1993-04-28 Mcneil Ppc Inc Απορροφητικη κατασκευη εχουσα πολλα καναλια.
JPH0727930Y2 (ja) * 1988-12-22 1995-06-28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おしめ
JPH0549658A (ja) 1991-08-27 1993-03-02 Honshu Paper Co Ltd 使い捨ておむつ
CA2116953C (en) * 1993-10-29 2003-08-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hich includes super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elongate pockets placed in selected patterns
US5643238A (en) * 1995-09-29 1997-07-01 Paragon Trade Brands, Inc. Absorbent core structure comprised of storage and acquisition cells
EP0806195A1 (en) 1996-04-29 1997-1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reatha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being capable of self-shaping in use
CN1125624C (zh) * 1996-05-28 2003-10-29 花王株式会社 具有吸水收缩体的吸收性物品
JP3442929B2 (ja) * 1996-05-28 2003-09-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016367B2 (ja) * 1996-12-13 2000-03-06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高吸水性三次元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25026A (en) * 1997-03-10 1999-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absorbent pads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TW538745U (en) * 1997-05-29 2003-06-21 Kao Corp Absorbent article
JPH1149658A (ja) * 1997-07-31 1999-02-23 Pentel Kk 液状化粧料
US6066775A (en) * 1997-10-09 2000-05-23 Amir Paper Products Absorbent core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reof
US6316688B1 (en) * 1998-04-27 2001-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JP3926042B2 (ja) 1998-08-06 2007-06-0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673418B1 (en) * 1998-12-23 2004-01-06 Mcneil-Ppc, Inc. Absorbent product having a non-woven fabric cover with a three-dimensional profile region
JP3090266B2 (ja) * 1999-01-12 2000-09-18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複層構造を有する多機能シート状吸収体とそれを一要素とする吸収体製品
US6610038B1 (en) * 1999-08-31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conforming bladder insert for an absorbent article with a body-fitting mechanism
US6700034B1 (en) * 1999-10-01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unitary absorbent layer for center fill performance
JP3450781B2 (ja) 2000-02-07 2003-09-29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吸収体製品
JP3933847B2 (ja) * 2000-06-19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730068B2 (en) * 2001-07-12 2004-05-04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9309B2 (ja) 2009-02-25
JP2003070843A (ja) 2003-03-11
KR100926925B1 (ko) 2009-11-17
BR0212690A (pt) 2004-10-19
US7344522B2 (en) 2008-03-18
CN1551752A (zh) 2004-12-01
CN100434056C (zh) 2008-11-19
US20040243081A1 (en) 2004-12-02
WO2003022193A1 (fr) 2003-03-20
MXPA04002150A (es) 2004-07-23
EP1457185A1 (en) 200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925B1 (ko) 흡수에 의해 중앙부에서 입체화되는 흡수체 및 그것을사용한 흡수체 제품
RU2706413C2 (ru) Растягивающаяся структура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его изделия и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нижнего белья
JP4416431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EP3272322B1 (en) Absorbent article
AU2017443609B2 (en)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KR20040101392A (ko) 바이패스 채널 부재를 구비한 흡수체 및 이를 사용한흡수체 제품
EP3727256B1 (en)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RU2744851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питывающего изделия
EP3727262B1 (e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trong channel sealing bonds
EP3727260B1 (en)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sealing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CN212166012U (zh) 一次性尿布
CN111374836A (zh) 吸收性物品
JP3183363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379774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KR20210045350A (ko) 흡수성 물품
SE519572C2 (sv) Absorberande alster med förbättrad passform och förhöjd absorptionskapacitet samt metod för framställning av ett absorptionsskikt till alstr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9

Effective date: 2009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