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715A -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715A
KR20040034715A KR10-2004-7003451A KR20047003451A KR20040034715A KR 20040034715 A KR20040034715 A KR 20040034715A KR 20047003451 A KR20047003451 A KR 20047003451A KR 20040034715 A KR20040034715 A KR 20040034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e
sock
socks
fabric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036B1 (ko
Inventor
다케다스스무
구로이와마사루
Original Assignee
다케다 레구웨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40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825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7403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47013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레구웨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레구웨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4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양말 편물기에 의해 제편하여 얻어진 양말(10)의 발끝부(14)의 최선단 위치(G)가,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의 양말(10)로서, 이 발끝부(14)에는,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긴 사람의 발의 형상에 근사하도록,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짜 넣어져,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18)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22)과, 제 1 이음천(22)에 계속하여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발끝부(14)의 새끼발가락측(18)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16)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말 및 그 제조 방법{SOCK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OCKS}
일반적으로,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은, 발의 입구부로부터 발뒤꿈치부(102)의 방향으로 통편(筒編)하여 통편부(106a)를 뜬 후, 발뒤꿈치부(102)를 뜬다. 더욱이, 발뒤꿈치부(102)로부터 발끝부(104)의 방향으로 통편하여 통편부(106b)를 뜬 후, 통편부(106b)의 발등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단부를 봉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개구부를 봉합한 부분을 도 12에서는, 봉합선(108)으로서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은, 공업적으로는 양말 편물기, 예를 들면 복수개의 뜨개질 바늘이 주위에 배열설치된 바늘 홀더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가는 회전동작과, 이 바늘 홀더를 정역 방향으로 번갈아 터닝하여 뜨가는(knitting) 터닝동작을 겸비한 원편물기를 사용하여 제편된다. 이러한 뜨개질 바늘은,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에 설치된 훅부(52)를 일단부에서 개폐하는 텅부(54)의 타단부가, 훅부(52)의 목부에 설치된 샤프트(56)에 터닝 자유롭게 피벗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 바늘 홀더는,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형상부재(62)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세로홈(64, 64‥)이 형성되고, 이 세로홈(64)의 각각에 도 13A에 도시하는 뜨개질 바늘(50)이 상하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 바늘 홀더(6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소정 개소에서 뜨개질 바늘(50)이 순차로 들어 올려져서 뜨기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양말 편물기에 의해 제편된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좌우 어느 쪽의 발에도 신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에서는, 그 발끝부(104)도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최선단의 위치가 엄지발가락측에 위치하는 비대칭형의 사람의 발에 착용하면, 엄지발가락에 의해 양말 천이 끌어당겨짐으로 인해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에 압박감이 느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의 한사람은, 먼저, 미국특허 제 6,000,247호 명세서에서,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발끝부를 구비하는 양말을 제안했다.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양말(200)의 발끝부(204)는, 그 최선단 위치(G)가 중심선(X) 보다도 엄지발가락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이며,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 보다도 증가하는 이음천(220)이,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져(knitted) 있는 것이다.
이 도 14A는, 양말(200)의 발등측으로부터 본 발끝부(204)를 도시하고, 양말(200)의 발등측에 봉합선(208)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B는 양말(200)의 선단측에서 본 발끝부(204)를 도시하고, 도 14C는 양말(200)의 발바닥측에서 본 발끝부(204)를 도시한다.
또한,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양말(200)의 이음천(220)은, 발바닥측의 이음천(220a)과 발등측의 이음천(220b)이 일체로 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양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양말 편물기로 제편(製編)하여 얻어진 양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도 1C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의 1예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양말의 발뒤꿈치부의 부분측면도, 도 4A는 도 3의 발뒤꿈치부를 화살표(D) 방향으로 본 측면도, 도 4B는 도 3의 발뒤꿈치부를 화살표(E) 방향으로 본 바닥면도, 도 5는 사람의 발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A는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일방측에서 본 측면도, 도 6B는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타방측에서 본 부분사시도, 도 7A는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B)방향으로 본 부분측면도, 도 7B는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C)방향으로 본 부분 바닥면도, 도 8은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9는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10은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11은 개량된 왼쪽용의 양말의 발뒤꿈치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 도 12는 종래의 양말의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양말 편물기로서의 원편물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A∼도 14C는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의 양말의 개량례를 도시하는 설명도, 및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개량된 양말의 발끝부의 불량을 설명하는 설명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발끝부(204)를 구비하는 양말(200)은,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은 사람의 발에 근사해 있고, 신었을 때,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의 양말(100)에 비해 신었을 때의 느낌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발끝부(204)라도,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의 발끝에 대해서는,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의 길이, 즉 발끝부(204)와 발바닥부(206a) 또는 발등부(206b)와의 경계(발끝부(204)가 최대폭이 되는 위치)로부터 최선단 위치(G)까지의 길이, 구체적으로는 봉합선(208)과 최선단 위치(G) 사이의 길이가 짧은 것이 밝혀졌다.
이 때문에,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대하여, 양말(200)의 착용감을 더욱 향상하기 위해서는, 발끝부(204)의 최선단 위치(G)를 엄지발가락측에 유지하면서, 봉합선(208)과 최선단 위치(G) 사이의 길이를, 사람의 발의 엄지발가락측에 맞도록 길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최선단 위치(G)를 엄지발가락측에 유지하고 또한 봉합선(208)과 최선단 위치(G) 사이의 길이를,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발끝부(204)의 형상을 유지(상사형)하여 길게 한 경우는, 도 15에 도시하는 발끝부(204')와 같이,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 뿐만아니라 새끼발가락측의 길이(사람의 발이 삽입되는 부위의 최외단 가장자리와 봉합선(208) 사이의 길이)도 길어진다. 이 때문에, 발끝부가 발끝부(204')의 형상에 형성된 양말을 신으면, 새끼발가락측에 천이 남아, 착용감이 뒤떨어지게 된다.
다른 한편, 발끝부(204)의 새끼발가락측의 에지와 봉합선(208) 사이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엄지발가락측의 에지와 봉합선(208) 사이의 길이를 길게 한 도 15에 도시하는 발끝부(204”)에서는, 발끝부(204”)의 최선단 위치(G)가 중심선(X)측에 접근하여, 발끝부(204”)의 형상이 좌우 대칭형에 비슷해진다. 이 때문에, 발끝부가 발끝부(204”)의 형상에 형성된 양말을 신었을 때, 발의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에 압박감을 느끼게 된다.
또,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양말을 착용했을 때에도, 양말의 발뒤꿈치부는,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이 끌어당겨져 긴장하기 쉽기 때문에, 양말의 신었을 때의 느낌이 저하되어,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을 형성하는 천도 손상되기 쉬운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 과제는,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근사하여, 착용감이 우수한 양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양말을 신고 걸을 때에, 양말의 신었을 때의 느낌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손상되기 어려운 양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제 1 및 제 2 과제를 해결하고자 검토한 결과, 양말의 발끝부내에 2개의 이음천을 형성하는 것, 즉 발끝부내에 형성한,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가하는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제 2 이음천을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형성함으로써, 양말의 발끝부의 최선단 위치를 엄지발가락측에 유지하면서,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을, 사람의 발의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에 맞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는 것, 및 양말의 발뒤꿈치부에 이음천을 치우쳐서 떠넣음으로써, 양말을 신고 걸을 때에, 양말의 신었을 때의 느낌이 양호하고 또한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손상되기 어려운 것을 발견하고, 제 1 및 제 2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제 1 본 발명은, 양말 편물기에 의해 제편하여 얻은 양말의 발끝부의 최선단 위치가,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의 양말에 있어서, 이 발끝부에는,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긴 사람의 발의 형상에 근사하도록,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 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과, 상기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에 있다.
더욱이, 제 1 본 발명은, 양말 편물기에 의해 양말을 제편하는 경우에, 이 양말의 발끝부를 제편할 때,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과, 상기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떠넣어지고, 상기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을, 상기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상기 양말 편물기의 뜨기 방향을 발끝부의 엄지발가락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제조방법이기도 하다.
또, 제 2 본 발명은, 양말 편물기로 제편하여 얻어진 양말이, 그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이음천이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뒤꿈치부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양말로서, 상기 양말을 신었을 때,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으로 상기 이음천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이음천이 발뒤꿈치부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에 있다.
더욱이, 제 2 본 발명은, 양말 편물기에 의해 양말을 제편하는 경우에, 이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제편할 때, 이음천을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상기 양말 편물기의 뜨기 방향을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제조 방법이기도 하다.
이러한 제 1 본 발명에서, 양말의 발끝부를, 그 선단을 제 2 이음천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측면부를,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을 다른 발가락측보다도 더욱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사람의발에 더욱 근사한 발끝부와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양말의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을,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의 각각의 에지를, 상기 엄지발가락측의 선단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V자 형상의 각 에지를 상기 엄지발가락측의 선단방향으로 순차 배열함으로써, 양말 편물기에 의해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의 각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더욱 한층 더 발에 근사한 발끝부로 할 수가 있다.
또,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그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을 치우쳐서 떠넣어 비대칭형으로 형성한 양말로 하고, 상기 양말을 신었을 때,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3 이음천을 발뒤꿈치부에 치우쳐서 떠넣음으로써, 양말을 신고 걸을 때에, 양말의 신었을 때의 느낌을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손상되기 어려운 양말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을 제편하는 경우에, 양말 편물기의 뜨기에 관여하는 뜨개질 바늘의 바늘수를 증감하여 발끝부의 엄지발가락 방향으로 시프트하면서 제편함으로써,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을 용이하게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을 수 있다.
제 1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에 의하면, 양말의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진,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가하는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않고 엄지발가락측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이,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양말의 발끝부를, 제 1 이음천에 의해,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대하고, 이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진 제 2 이음천에 의해, 발끝부의 최선단 위치를 엄지발가락측에 유지하면서,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을, 사람의 발의 엄지발가락측 및 새끼발가락측에 맞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은,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근사하여, 우수한 착용감을 보인다.
또, 종래의 양말에서는, 발뒤꿈치부도 좌우 대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사람의 발의 발뒤꿈치부는 비대칭형이다. 이 때문에, 발뒤꿈치부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양말을 신고 걸었을 때,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끌어당겨져 긴장하고, 양말의 신었을 때의 느낌 등을 저하시켜, 발뒤꿈치부의 천도 손상되기 쉽다.
이 점에서, 제 2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은, 양말을 신었을 때,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이음천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이음천이 발뒤꿈치부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고, 발뒤꿈치부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을 신고 걸었을 때,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끌어당겨져 긴장되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고, 양말의신었을 때의 느낌 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발뒤꿈치부의 천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의 발끝부의 1예를 도 1A∼도 1C에 도시한다. 도 1A는 왼발용의 양말(10)의 통형상부(12)를 발등부(12b)측에서 본 발끝부(14)를 도시하고, 발등부(12b)측에 봉합선(20)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B는 양말(10)의 선단측에서 본 발끝부(14)를 도시하고, 도 1C는 양말(10)의 통형상부(12)를 발바닥부(12a)측에서 본 발끝부(14)를 도시한다.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양말(10)의 발끝부(14)에서는, 도면에 도시하는 발끝부(14)의 좌측부는, 사람의 발의 엄지발가락이 삽입되는 엄지발가락측(16)이며, 도면에 도시하는 발끝부(14)의 우측부는, 사람의 발의 새끼발가락이 삽입되는 새끼발가락측(18)이다.
도 1A 및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말(10)은 발끝부(14)의 최선단 위치(G)가 중심선(Y)보다도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이다. 이 형상은 사람의 발의 형상에 흉내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양말(10)의 발끝부(14)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이음천(22)이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더욱이 제 1 이음천(22)에 계속하여 제 2 이음천(24)이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다.
이 제 1 이음천(22)과 제 2 이음천(24)중, 제 1 이음천(22)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불룩한 부분을새끼발가락측(18)보다도 증대하고, 제 2 이음천(24)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끝부(14)의 새끼발가락측(18)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16)을 신장한다.
그 결과, 도 11A∼도 11C에 도시하는 양말(10)은, 그 발끝부(14)의 최선단 위치(G)가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으로서,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근사시킬 수 있어, 도 14에 도시하는 양말(200)보다도 착용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이음천(22)은 발바닥측 제 1 이음천(22a)과 발등측 제 1 이음천(22b)이 일체화되어 형성되어 있고, 제 2 이음천(24)도 발바닥측 제 2 이음천(24a)과 발등측 제 2 이음천(24b)이 일체화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양말(10)의 발끝부(14)에서는, 그 선단부를 제 2 이음천(24)에 의해 형성하는 동시에,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측면부를 제 1 이음천(22) 및 제 2 이음천(24)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양말(10)에 의하면,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을 다른 발가락측보다도 더욱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16)을 새끼발가락측(18)보다도 더욱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사람의 발에 더욱 근사한 발끝부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양말(10)의 발끝부(14)를, 엄지발가락측(16)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도 1B의 화살표(A)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 1 이음천(22) 및 제 2 이음천(24)의 각 에지는, 발끝부(14)의 선단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엄지발가락측(16)에 불룩한 부분을 부여하고 있다.
더욱이, 제 1 이음천(22) 및 제 2 이음천(24)의 V자 형상의 각 에지는, 발끝부(14)의 선단방향으로 순차 배열되고, 엄지발가락측(16)의 길이를 새끼발가락측(18)보다도 길게 한다.
이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양말(10)은, 양말 편물기로서 범용되고 있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원편물기에 의해 제편할 수 있다.
이러한 제편 때는, 양말(10)의 발끝부(14)를 제편할 때,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22)과, 제 1 이음천(22)에 계속하여 떠넣고, 발끝부(14)의 새끼발가락측(18)을 실질적으로 신장하는 일 없이 엄지발가락측(16)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24)을,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원편물기의 바늘 홀더(60)의 뜨기 방향을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원편물기의 바늘 홀더(6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정 길이의 통편부(12)를 뜬 후, 바늘 홀더(60)를 정역 방향으로 번갈아 터닝시켜, 뜨기에 관여하는 뜨개질 바늘(50)의 바늘수를 증감시킴으로써 양말(10)의 발끝부(14)를 뜬다. 이러한 바늘수의 증감은, 정역 방향으로 터닝하는 바늘 홀더(60)가 터닝방향을 변경할 때에 행한다.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발끝부(14)를 뜰 때는, 양말(10)의 통형상부(12)의 발바닥측(12b)을 도시하는 도 1C의 HI위치까지 뜬 후, 뜨기에 관여하는 뜨개질 바늘(50)의 바늘수(이하, 간단히 바늘수라고 칭함)를 순차로 감소시켜서 JK위치까지뜬다. 이 경우, 바늘 홀더(60)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가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더욱, JK위치까지 뜬 후, J위치측으로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H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K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L위치측까지 뜬다.
HL위치까지 뜬 후, 계속하여,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MN위치까지 뜬다. 이 경우, 바늘 홀더(60)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는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이와 같이, JK위치로부터 MN위치까지 바늘 홀더(60)를 터닝하면서, 그 바늘수를 증감하여 뜸으로써, 뜨기 방향을 양말(10)의 엄지발가락측(16)의 방향으로 시프트시켜서 뜰 수 있다. 그 결과, 발끝부(12)의 발바닥측(10a)에, 발바닥측 제 1 이음천(22a)을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떠넣을 수 있다.
이어서, MN위치까지 뜬 바늘 홀더(60)를, M위치측으로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O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N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P위치까지 뜬다. 이러한 뜨기에 의해, 발바닥측 제 2 이음천(24a)을, 발바닥 제 1 이음천(22a)에 계속하여 엄지발가락측(16)에 치우쳐서 뜰 수 있다. 이 O위치는, M위치와 H위치와의 중간에 위치해 있다.
OP위치까지 뜬 바늘 홀더(60)를 계속하여 O위치측으로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Q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P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N위치까지 뜬다. 이와 같이, OP위치로부터 QN위치까지 뜸으로써, 발등부측 제 2 이음천(24b)을 형성할 수 있어, 발바닥측 제 2 이음천(24a)과 일체로 되어서 제 2 이음천(24)을 형성한다.
더욱이, QN위치까지 뜬 후, 계속하여,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HL위치까지 뜬다. 이 경우, 바늘 홀더(60)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와는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또한, Q위치측으로 터닝하는 바늘 홀더(60)의 터닝 끝의 궤적은, O위치를 통과해서 H위치에 이른다.
IIL 위치까지 뜬 후, H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R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L위치측으로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K위치측까지 뜬다. 이와 같이, QN위치로부터 RK위치까지의 뜨기에 의해, 발등측 제 2 이음천(24b)에 계속하여 발등측 제 1 이음천(22b)을 형성할 수 있어, 발바닥측 제 1 이음천(22a)과 일체로 되어서 제 1 이음천(2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RK위치까지 뜬 바늘 홀더(60)를,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HI위치까지 뜬다. 이 경우, 바늘 홀더(60)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와는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이 HI위치에는, 양말(10)의 발등부측(12b)에 형성된 최종단이 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봉합함으로써 봉합선(20)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발끝부(14)를 형성하는 부분의 각 에지에는, 각 부분의 가장자리부를 형성하는 루프의 일부가 서로 뒤얽혀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연결선(HJ, IK,KLN, HOM, NP, QOH, RH)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결선은 바늘 홀더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터닝끝이기도 하다.
이러한 연결선중, 연결선 QOM은, 엄지발가락측(16)의 선단부 및 측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이음천(24)의 에지이며,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측면[도 1B의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엄지발가락측(16)의 선단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V자 형상이다. 또, 연결선 RHJ도, 엄지발가락측(16)의 측면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이음천(22)의 에지이며, 발끝부(14)의 엄지발가락측(16)의 측면[도 1B의 화살표(A)의 방향]에서 보았을 때, 엄지발가락측(16)의 선단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V자 형상이다.
이러한 제 1 이음천(22) 및 제 2 이음천(24)의 V자 형상의 각 에지(연결선 RHJ, 연결선 QOM)는, 엄지발가락측(16)의 선단방향으로 순차 배열되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도 1A∼도 1C에 대한 설명에서 말하는 「실질적으로 동수」란, 바늘 홀더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 또는 증가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와 증가수 사이에, 뜨기에 관여하는 뜨개질 바늘의 바늘수의 약 10% 정도가 달라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하여 떠진 양말(10)의 발끝부(14)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양말(200)의 발끝부(204)에 비해, 발끝부(14)의 새끼발가락측(18)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16)을 신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양말(10)은 그 발끝부(14)를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의 발끝부에 근사해도, 새끼발가락측(18)에 천이 남지 않고 엄지발가락측(16)을 신장할 수 있어, 그 착용감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A∼도 1C 및 도 2에 도시하는 양말(10)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발뒤꿈치부(26)는, 도 12에 도시하는 통상의 양말(10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도 13에 도시하는 원편물기로 발뒤꿈치부(26)를 뜰 때에, 바늘 홀더(6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정 길이의 통편부(11)를, 도 4A에 도시하는 XY위치까지 뜬 후, 바늘 홀더(60)를 정역 방향으로 터닝시키면서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도 4A에 도시하는 ZW위치까지 뜬다.
계속하여, 도 4A에 도시하는 ZW위치까지 뜬 후, 양말(10)의 발등부를 형성하는 통형상부(12)를 도시하는 도 4B의 XY위치까지, 바늘 홀더(60)를 정역 방향으로 터닝시키면서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뜸으로써, 발뒤꿈치부(26)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도 4B에 도시하는 YX위치까지 뜬 후, 바늘 홀더(60)의 바늘수를 소정개수로 유지하면서, 바늘 홀더(6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통편부(1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양말(10)의 발뒤꿈치부(26)는,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의 발의 발뒤꿈치는 외견상으로는 좌우 대칭인 것처럼 보여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의 골격을 형성하는 발꿈치뼈(30)는, 종아리뼈의 말단에 위치하는 바깥 복사뼈(32)의 근처(이하, 단지 바깥 복사뼈측이라고 칭함)에치우쳐 있고, 정강이뼈의 말단에 위치하는 안쪽 복사뼈(34)의 근처(이하, 단지 안쪽 복사뼈측이라고 칭함)에는, 발바닥의 장심이 존재하여, 걸을 때는, 발뒤꿈치부(26)의 바깥 복사뼈측에 힘이 가해지기 쉽다.
또, 사람의 양쪽 발은, 다소 X자 다리 또는 O자 다리이기 때문에, 걸을 때에, 발뒤꿈치부(26)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에 힘이 가해지기 쉬운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26)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양말(10)을 신고 걸을 때에, 양말(10)의 발뒤꿈치부(26)는,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이 잡아 당겨져서 긴장되어, 양말(10)의 신었을 때의 느낌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발뒤꿈치부(26)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을 형성하는 천도 손상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양말(10)의 발뒤꿈치부(26)도 사람의 발뒤꿈치의 형상에 근사시킴으로써,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근사시킨 발끝부(14)와 더불어, 양말(10)의 신었을 때의 느낌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사람의 발뒤꿈치의 형상에 근사한 형상의 발뒤꿈치부(36)의 1예를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다. 도 6A는 왼발용의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를 바깥 복사뼈측에서 본 부분측면도이며, 도 6B는 왼발용의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를 안쪽 복사뼈측에서 본 부분측면도이다.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에, 제 3 이음천(28)이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양말(10)을 신었을 때,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에 제 3 이음천(28)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제 3 이음천(28)이 발뒤꿈치부(36)에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발뒤꿈치부(36)의 안쪽 복사뼈측으로부터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이음천(28)의 에지는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에 대하여, 발뒤꿈치부(36)를 후방[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방향]에서 본 부분측면도를 도 7A에 도시하고, 발뒤꿈치부(36)를 발바닥 방향[도 6A에 도시하는 화살표(C) 방향]에서 본 부분 바닥면도를 도 7B에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에는, 그 바깥 복사뼈 방향에 치우쳐서 제 3 이음천(28)이 떠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양말(10)을 신으면,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에는, 치우쳐서 떠넣어진 제 3 이음천(28)에 의한 여유가 생긴다.
따라서, 바깥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발꿈치뼈(30)(도 5) 등에 기인하여, 걸을 때에,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의 천이 끌어당겨져서 긴장되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어, 양말(10)의 신었을 때의 느낌 등을,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26)가 형성된 양말(10)보다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발뒤꿈치부(36)의 천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원편물기를 사용하여, 제 3 이음천(28)을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원편물기의 뜨기 방향을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사용하여,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원편물기에 의해, 제 3 이음천(28)이 바깥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진 발뒤꿈치부(36)를 뜨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바늘 홀더(60)를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소정 길이의 통편부(11)를 뜬 후, 바늘 홀더(60)를 정역 방향으로 번갈아 터닝하고, 바늘 홀더(60)의 바늘수를 증감시켜서 발뒤꿈치부(36)를 뜬다. 이러한 바늘수의 증감은 정역 방향으로 터닝하는 바늘 홀더(60)가 터닝방향을 변경할 때에 행한다.
이와 같이, 바늘 홀더(60)의 정역 방향으로의 터닝 및 바늘수를 증감시켜서 발뒤꿈치부(36)를 제편하는 경우에, 소정 길이의 통편부(11)를 뜬 바늘 홀더(60)가 ab위치에 도달한 후,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cd위치까지 뜬다. 이 경우, 바늘 홀더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감소수가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더욱이, cd위치까지 뜬 후, c위치측로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e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d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순차 감소시켜서 f위치측까지 뜸으로써, 뜨기 방향을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뜰 수 있다. 그 결과, 발뒤꿈치부(36)의 후방부에, 제 3 이음천(28)의 후방부를 형성하는 후방 제 3 이음천(28a)을, 바깥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떠넣을 수 있다.
이어서, f위치측에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증가시켜서 d위치까지 뜨는 동시에, e위치측으로 바늘 홀더(60)가 터닝할 때에, 바늘수를 감소시켜서 h위치[도 7B]까지 뜸으로써, 뜨기 방향을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뜰 수 있다. 그 결과, 발뒤꿈치부(36)의 전방측에, 제 3 이음천(28)의 전방측을 형성하는 전방 이음천(28b)을 바깥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떠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한 후방 이음천(28a)과 전방 이음천(28b)은 일체화되어서 제 3 이음천(28)을 형성하고, 이 제 3 이음천(28)의 전체는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발뒤꿈치측에 치우쳐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hd위치까지 뜬 후, 바늘수를 순차 증가시켜서 ab위치까지 뜸으로써 발뒤꿈치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hd위치부터 ab위치까지의 뜨기에서는, 바늘 홀더(60)가 정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와, 역방향으로 터닝했을 때의 바늘수의 증가수가 실질적으로 동수이다.
또, 발뒤꿈치부(36)의 소정 개소의 코를, 발뒤꿈치부(36)의 다른 부의 코보다도 성기게 함으로써, 제 3 이음천을 형성할 수 있다. 코가 성긴 제 3 이음천은 발뒤꿈치부(36)의 다른 부보다도 신장되기 쉽기 때문이다.
더욱이,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제 3 이음천(28)을, 발뒤꿈치부(36)의 것 다른 부보다도 성긴 코로 형성함으로써, 제 3 이음천(28)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발뒤꿈치부(36)의 다른 부보다도 거친 코로 형성된 제 3 이음천(28)은 발뒤꿈치부(36)의 다른 부보다도 신장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발뒤꿈치부(36)에 제 3 이음천(28)이 형성된 양말(10)에는, 걸을 때에, 양말(10)에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12)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발뒤꿈치부(12)와 발끝부(14) 사이에도 이음천을 형성해도 좋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에는, 바깥 복사뼈측에 제 3 이음천(28)이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데, 걸을 때에, 양말의 안쪽 복사뼈측에 힘이 가해져, 발뒤꿈치부의 안쪽 복사뼈측이 손상 등을 받을 경우에는, 제 3 이음천(28)을 발뒤꿈치부의 안쪽 복사뼈측에 치우쳐서 떠넣어도 좋다.
더욱이,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하는 제 3 이음천(28)은, 그 대부분이 발바닥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이음천(28)의 V자 형상의 에지(연결선 ec, eh)를 복사뼈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제 3 이음천(28)의 전체를 복사뼈측으로 시프트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제 3 이음천(28)의 V자 형상의 에지를 복사뼈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에, 도 6A에 도시하는 제 3 이음천(28)보다도 큰 제 3 이음천(2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이음천(28)의 형상은, 양말(10)을 신는 사람의 발뒤꿈치에 맞추어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V자 형상의 연결선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복수의 제 3 이음천(28, 28)을 방사상으로 형성해도 좋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V자 형상의 연결선을 직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 3 이음천(28)내에 제 3 이음천(28)을 형성해도 좋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V자 형상의 연결선의 일방의 선단으로부터 V자형상의 연결선을 형성하고, 복수의 제 3 이음천(28, 28)을 망목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발뒤꿈치부(36)에 복수개의 제 3 이음천(28, 28‥)을 형성함으로써, 양말(10)을 신는 사람의 발뒤꿈치에 맞춘 발뒤꿈치부(36)의 형상에 더욱 근사할 수 있어,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 전체를, 발뒤꿈치부(36)의 다른 방면측에 비해 불룩한 부분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도 8∼도 11에 도시하는 양말(10)의 발뒤꿈치부(36)에서도, 발뒤꿈치부(36)의 안쪽 복사뼈측에서 본 상태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뒤꿈치부(36)의 측면측과 발바닥측을 형성하는 루프의 일부가 서로 뒤얽혀서 이루어지는 연결선이 보이지만, 제 3 이음천(28)의 V자 형상의 에지는 보이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서, 양말 편물기로서, 원편물기를 사용하여 양말을 제편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는데, 횡편물기를 사용해도 좋다.
더욱이, 양말(10)의 발등부측에는, 봉합선(20)을 형성하고 있지만, 모양 등의 관계에서 발바닥측에 봉합선(20)을 형성해도 좋고, 봉합선(20)을 형성하지 않고 양말(10)을 제편해도 좋다.
또한, 양말(10)은, 발끝부(14) 또는 발끝부(14) 및 발뒤꿈치부(36)에 따라, 착용하는 좌우 방향이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에 대하여, 착용하는 양말(10)의 좌우 방향을 미리 아는 표시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6A∼도 11은, 도 1A∼도 1C에 도시하는 발끝부(14)를 구비하는양말(10)의 발뒤꿈치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발끝부(104)가 좌우 대칭형으로 형성된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의 발뒤꿈치부(102)에도,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적용해도 좋다.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100)은, 그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28)이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어, 발뒤꿈치부(36)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양말(100)을 신었을 때,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28)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제 3 이음천(28)이 발뒤꿈치부(36)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100)에서는, 양말(100)을 신고 걸었을 때,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잡아 당겨져서 긴장되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어, 발뒤꿈치부(102)도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도 12에 도시하는 양말(100)에 비해, 양말(100)의 신었을 때의 느낌 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발뒤꿈치부(36)의 천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100)을 신었을 때, 발끝부(104) 및 발뒤꿈치부(102)가 모두 좌우 대칭인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의 양말(100)에 비해 신었을 때의 느낌을 향상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발끝부(204)를 구비하는 양말(2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200)에서는, 발끝부(204)는 그 최선단 위치(G)가 중심선(X)보다도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이며,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가하는 이음천(220)이, 발끝부(204)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다. 더욱이, 양말(200)의 발뒤꿈치부(36)에서는,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28)이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어, 발뒤꿈치부(36)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되어, 양말(200)을 신었을 때, 발뒤꿈치부(36)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28)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제 3 이음천(28)이 발뒤꿈치부(36)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다.
따라서,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200)은, 발끝부(204)가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은 사람의 발에 근사해 있고, 또한 양말(200)을 신고 걸었을 때, 힘이 가해지는 발뒤꿈치부(36)의 바깥 복사뼈측 또는 안쪽 복사뼈측의 천이 잡아 당겨져서 긴장되는 정도를 완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6A∼도 11에 도시하는 발뒤꿈치부(36)를 구비하는 양말(200)은, 발뒤꿈치부(26)가 좌우 대칭인 도 14A∼도 14C에 도시하는 양말(200)에 비교하여, 양말(200)의 신었을 때의 느낌 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발뒤꿈치부(36)의 천도 손상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은, 신었을 때, 복사뼈 정도의 길이가 되는 양말에 대하여 행해 왔는데, 신었을 때, 복사뼈를 넘는 길이가 되는 긴 양말, 대퇴 이상의 길이가 되는 타이츠나 스타킹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에 의하면, 그 발끝부를,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엄지발가락측이 새끼발가락측보다도 긴 사람의 발에 근사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을 신었을 때, 엄지발가락을 다른 발가락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가급적 감소할 수 있어, 엄지발가락 및 새끼발가락에 대한 압박감을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에 천이 남게 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양말의 착용감도 향상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관계되는 양말은, 엄지발가락에 힘이 가해지는 스포츠에 사용되는 스포츠용 양말에 매우 적합하며, 엄지발가락의 변형이나 새끼발가락의 변형의 방지에도 유효하다.

Claims (11)

  1. 양말 편물기에 의해 제편하여 얻은 양말의 발끝부의 최선단 위치가,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의 양말에 있어서,
    이 발끝부에는,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고 또한 긴 사람의 발의 형상에 근사하도록,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과,
    상기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양말의 발끝부가, 그 선단부가 제 2 이음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측면부가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양말의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을 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의 각각의 에지가, 상기 엄지발가락측의 선단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V자 형상의 각 에지가 상기 엄지발가락측의 선단방향으로 순차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4. 제 1 항에 있어서, 양말의 발뒤꿈치부가 그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이 치우쳐서 떠넣어져, 상기 발뒤꿈치부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양말로서,
    상기 양말을 신었을 때,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제 3 이음천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3 이음천이 발뒤꿈치부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5. 양말 편물기에 의해 양말을 제편하는 경우에, 이 양말의 발끝부를 제편할 때, 상기 발끝부의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증대하는 제 1 이음천과, 상기 제 1 이음천에 계속하여 떠넣고, 상기 발끝부의 새끼발가락측을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고 엄지발가락측을 신장하는 제 2 이음천을, 상기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상기 양말 편물기의 뜨기 방향을 발끝부의 엄지발가락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이음천 및 제 2 이음천을 제편하는 경우에, 양말 편물기의 뜨기에 관여하는 뜨개질 바늘의 바늘수를 증감하여 발끝부의 엄지발가락방향으로 시프트하면서 제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제조 방법.
  7. 양말 편물기로 제편하여 얻어진 양말이, 그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이음천이 치우쳐서 떠넣어지고, 상기 발뒤꿈치부가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양말로서,
    상기 양말을 신었을 때,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상기 이음천의 에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이음천이 발뒤꿈치부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8. 제 7 항에 있어서,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위치하는 이음천의 에지가, 실질적으로 V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이음천이 발뒤꿈치부의 다른 부분보다도 성긴 코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10. 제 1 항에 있어서, 양말이, 그 발끝부의 최선단 위치가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위치하는 비대칭형이며, 상기 발끝부의 형상이 엄지발가락이 다른 발가락보다도 굵은 사람의 발의 형상에 근사하도록, 새끼발가락측보다도 엄지발가락측의 불룩한 부분을 증가하는 불룩한 부분 증가용 뜨기 부분이, 상기 발끝부에 선단부에서 또한 엄지발가락측에 치우쳐서 떠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11. 양말 편물기에 의해 양말을 제편하는 경우에, 이 양말의 발뒤꿈치부를 제편할 때, 이음천을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에 치우쳐서 떠넣도록, 상기 양말 편물기의 뜨기 방향을 상기 발뒤꿈치부의 측방의 일방측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제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의 제조 방법.
KR1020047003451A 2001-09-10 2002-09-06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KR100591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4032 2001-09-10
JPJP-P-2001-00274039 2001-09-10
JP2001274039A JP2003082502A (ja) 2001-09-10 2001-09-10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74032A JP4147013B2 (ja) 2001-09-10 2001-09-10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02/009133 WO2003022083A1 (fr) 2001-09-10 2002-09-06 Chaussett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hausset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715A true KR20040034715A (ko) 2004-04-28
KR100591036B1 KR100591036B1 (ko) 2006-06-22

Family

ID=2662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451A KR100591036B1 (ko) 2001-09-10 2002-09-06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35141B2 (ko)
EP (2) EP1435206B1 (ko)
KR (1) KR100591036B1 (ko)
CN (1) CN1553778A (ko)
CA (1) CA2460016C (ko)
WO (1) WO2003022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7555B2 (en) * 2002-07-03 2009-02-10 Takeda Leg Wear Co., Ltd. Socks
US7103922B1 (en) * 2002-09-10 2006-09-12 Linda A Doorley Hosiery having a toe notch and bubble for accommodating a sandal strap
WO2005087027A1 (ja) * 2004-03-16 2005-09-22 Cooma Co., Ltd.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59978C (zh) * 2006-02-08 2009-11-18 冈本株式会社 袜子
US20140317833A1 (en) 2006-12-01 2014-10-30 Nike, Inc. Sock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10265252A1 (en) * 2006-12-01 2011-11-03 Nike, Inc. A Sock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20246803A1 (en) * 2011-03-29 2012-10-04 Habert Joseph Method of making a knit sock/heel
US10299531B2 (en) * 2013-05-14 2019-05-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for a heel portion of an upper
JP2015010298A (ja) * 2013-06-27 2015-01-19 岡本株式会社 レッグウェア
US9476148B2 (en) * 2013-09-20 2016-10-25 Interloop Limited Sock toe construction
US9661892B2 (en) 2014-07-29 2017-05-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n upper with a shifted knit structure
US10130142B2 (en) * 2015-04-14 2018-11-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knitted component having biased inter-toe member
US10385486B2 (en) 2017-02-06 2019-08-20 Nike, Inc. Garment for foot with triangular ankle panel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637A (en) * 1887-09-06 Stocking
US461183A (en) * 1891-10-13 Stocking
US1452302A (en) * 1922-02-16 1923-04-17 Loven Carl Stocking
US1515667A (en) * 1922-11-13 1924-11-18 Herbert E Esch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pockets or caps in articles of hosiery
US3128763A (en) * 1963-04-02 1964-04-14 Andrew G Langenfeld Stocking with special toe construction
CS231618B1 (en) * 1982-02-15 1984-12-14 Jan Ando Rotary knitting of heel
JPH0835152A (ja) * 1994-07-19 1996-02-06 Nagata Seiki Co Ltd 筒編み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IT1284437B1 (it) * 1996-04-22 1998-05-21 Lonati Spa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manufatti tubolari, particolarmente per la produzione di calze, o altri capi di
JPH09296302A (ja) * 1996-04-26 1997-11-18 Masaaki Sano 足用衣類
US6000247A (en) * 1997-05-06 1999-12-14 Takeda Leg Wear, Co., Ltd. Hosiery toe por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U2001257250A1 (en) * 2000-04-25 2001-11-07 Karyn Joyce Cortani Notched toe panty h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35206A4 (en) 2007-08-15
EP1435206A1 (en) 2004-07-07
CN1553778A (zh) 2004-12-08
CA2460016A1 (en) 2003-03-20
WO2003022083A1 (fr) 2003-03-20
KR100591036B1 (ko) 2006-06-22
US20040261466A1 (en) 2004-12-30
EP2394524A3 (en) 2012-10-31
EP2394524A2 (en) 2011-12-14
EP1435206B1 (en) 2014-05-14
US6935141B2 (en) 2005-08-30
CA2460016C (en) 2007-11-20
EP2394524B1 (en)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655B1 (ko) 슈즈 어퍼 및 슈즈 어퍼의 제조방법
KR100591036B1 (ko) 양말 및 그 제조 방법
TWI633851B (zh) 足面覆蓋物及足面覆蓋物之編織方法
KR101934264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풋웨어의 제조방법 및 풋웨어
JP6759107B2 (ja) 男性用下着
TWI653372B (zh) 鞋面、及鞋面之編織方法
JP6516563B2 (ja) シューズアッパーの編成方法
CN113226089B (zh) 具有足趾锚固件的开口足趾袜
TW200848563A (en) Sock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7893283B (zh) 筒状针织物、筒状针织物的针织方法以及袜子
JP3700147B2 (ja) 上下に第1第2の穿口開口縁を設けた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3333384B2 (ja) 無縫製ソックスの編成方法
JP4147013B2 (ja)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82502A (ja) くつ下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5968B2 (ja) くつ下
JP3740676B2 (ja) シューズインタイプソックス
KR200488679Y1 (ko)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JP3056820U (ja) 新規な靴下類
TWI611772B (zh) 鞋面之製造方法
JP2019151937A (ja) 靴下
JP2002317303A (ja) 上下に開口部を設けた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JP2019141191A (ja) 草履型室内履き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96721B2 (ja) ヒップアップショーツとその製造方法
JP2002220709A (ja) 運動用被服
JP2012224950A (ja) 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