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79Y1 -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 Google Patents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79Y1
KR200488679Y1 KR2020180004101U KR20180004101U KR200488679Y1 KR 200488679 Y1 KR200488679 Y1 KR 200488679Y1 KR 2020180004101 U KR2020180004101 U KR 2020180004101U KR 20180004101 U KR20180004101 U KR 20180004101U KR 200488679 Y1 KR200488679 Y1 KR 200488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richness
providing
garment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주
Original Assignee
최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주 filed Critical 최은주
Priority to KR2020180004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6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용 발레복에 있어서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와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 다수개를 혼합하여 의류에 부착하여 제조하되 상부의류와 하부의류 사이에 배치하여 박음질하고, 아울러,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를 분할한 상태에서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발레복을 착용시 의류 부착 시작점으로부터 포물선을 그리면서 펼쳐지도록하여 망사의 풍성함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가 가장 안쪽에서 시작점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도록하여 하부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원뿔형태로 지지됨으로서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A ballet suit}
본 고안은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용 발레복에 있어서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와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 다수개를 혼합하여 의류에 부착하여 제조하되 상부의류와 하부의류 사이에 배치하여 박음질하고, 아울러,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를 분할한 상태에서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발레복을 착용시 의류 부착 시작점으로부터 포물선을 그리면서 펼쳐지도록하여 망사의 풍성함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가 가장 안쪽에서 시작점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도록하여 하부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원뿔형태로 지지됨으로서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에 관한 것이다.
발레는 유럽에서 발달한 무용 형식의 일종으로서, 패턴화된 다양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무용인 것이다.
발레의 무용 시에 착용하게 되는 발레복은 상하 일체형으로 장시간 착용하게 되는 점을 감안하여 아래로 흘려 내림을 방지해야 함은 물론 착용감이 뛰어나야 한다.
최근에는 여성의 발레복은 허리부분에 레이스를 주어 마치 한 마리의 백조를 연상하게 하고 있으나, 장기간 사용 시 화장실에 갈 경우 상하 일체형으로 된 발레복을 벗거나 입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828230000(20050402)호에는 발레 타이즈에 있어서, 착용자의 허리 부위를 조여 주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허리밴드부(3)와; 샅 부위의 땀 흡수를 원할하게 하고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스판 원사의 형태인 편직물로 직조되는 샅바대부(5); 및 발 뒷금치 부분을 밀착시켜 주며, 휴식 시간에 개구를 통하여 밑에서 위로 걷어 올릴 수 있는 발바닥접촉부(7)를 갖는 타이즈(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레 타이즈가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56550000호에는 허리 부위를 조여 주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재질로 이루어진 허리밴드부(3)와; 이중 원사의 형태인 편직물로 직조되는 샅바대부(5) 및 다리의 발목 부위를 조여 주는 신축성이 있는 밴드 재질로 이루어진 다리밴드부(7)를 갖는 타이즈(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트형 발레 타이즈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344500000호에는 팬티(1) 하부측 양 다리 끼움부(2a)(2b)의 중앙 전후에 타원형의 절개홈(3)이 형성된 통상의 의료용 속옷에 있어서: 상기 절개 홈(3)에는 양단이 재봉부(5)에 의해 재봉되어진 스판재질의 신축 밴드(4)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신축밴드(4)의 양측 및 이와 대응되는 절개홈(3) 주변부를 따라 상호간의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부재로 매직테이프가 구비된 산부인과, 항문외과 진료를 위한 의료용 속옷이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77340000에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후면부와 복부(腹部) 하부를 받쳐주는 전면부의 양쪽에 다리끼움부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상단에 착용 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허리부로 구성되는 팬티에 있어서, 상기 다리끼움부의 상단 허리부는 절개되어 일단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팬티를 착용하거나 분리 시에 걸림부가 고정부에 고정 및 분리되는 환자용 팬티가 기술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70946호에는 엉덩이를 받쳐주는 후면부와 복부(腹部) 하부를 받쳐주는 전면부의 양쪽에 다리끼움부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상단에 착용 시 흘러내리지 않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허리부로 구성되는 팬티에 있어서, 상기 다리끼움부의 상단 허리부는 절개되어 일단에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팬티를 착용하거나 분리 시에 걸림부가 고정부에 고정 및 분리되는 착용이 용이한 팬티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을 통해 일반적인 여성용 발레복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여성용 발레복은 상체를 감싸고 어깨에 걸쳐지는 끈(21)이 구비된 바디부(20)와, 다리부분을 제외한 하체를 감싸는 팬츠부(10)와, 그리고, 허리에 위치되어 발레복을 장식하는 레이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발레복은 바디부(20)를 통해 팬츠부(10)에 형성된 다리 삽입공으로 다리를 삽입하는 형태로 착용한다.
이러한 상기의 발레복은 풍성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구성을 갖지 못하기 때문에 어린이용 발레복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0001)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828230000호.
(특허문헌 0002)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656550000호.
(특허문헌 0003)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44500000호.
(특허문헌 0004)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977340000호.
(특허문헌 0005)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70946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를 분할한 상태에서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발레복을 착용시 의류 부착 시작점으로부터 포물선을 그리면서 펼쳐지도록하여 망사의 풍성함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가 가장 안쪽에서 시작점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도록하여 하부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원뿔형태로 지지됨으로서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상부의류와, 하부의류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상기 상부의류와 하부의류에 망사를 고정하는 재봉라인으로 이루어지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와 하부의류를 차례로 바닥부터 위로 쌓아 올려 순차적으로 겹치면서 배열하고, 상기 하부의류 상부에 상부의류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를 순차적으로 쌓아올려 겹치면서 배열하며, 상기와 같이 배열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각각의 망사와 하부의류 및 상부의류의 끝단부를 재봉라인으로 재봉하여 연결시키며; 상기 상부의류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어깨라인에 걸리도록 민소매 형태로 제작되며 머리를 통과하는 머리 통과용 홀과, 왼쪽 어깨가 통과하는 왼쪽 어깨 통과용 홀과, 오른쪽 어깨가 통과하는 오른쪽 어깨 통과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의류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하부 신체가 통과하도록 2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왼쪽 다리가 통과하는 왼쪽 다리 통과용 홀과, 오른쪽 다리가 통과하는 오른쪽 다리 통과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펼쳐짐용 망사는, 수직축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며, 빳빳한 재질로 구성하여 신체의 하부에 달라붙지 않고 일정거리로 이격된 형태로 펼쳐지게 제작되고; 상기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수평 펼쳐짐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며; 하부의류와 상부의류를 착용하게 되면 하부로부터 수평 펼쳐짐용 망사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가 순차적으로 계단형태로 배열되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는 재봉라인의 단턱에 의해서 외부로 부풀어 오르면서 펼쳐져서 풍성함이 극대화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재봉라인(c)은 의류 외측영역(A)과 의류 내측영역(B)으로 구분시에 의류 외측영역(A)은 공기의 통로가 좁은 공기 출입용 홀(A-1)이 형성되고, 의류 내측영역(B)은 공기의 통로가 넓은 공기 출입용 홀(B-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재봉라인(c)은 역삼각형 구조가 다수개를 배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풍성함이 용이한 망사를 분할한 상태에서 박음질이 이루어지도록하여 발레복을 착용시 의류 부착 시작점으로부터 포물선을 그리면서 펼쳐지도록하여 망사의 풍성함을 극대화시키고 동시에 수평 펼쳐짐이 용이한 망사가 가장 안쪽에서 시작점으로부터 수평하게 펼쳐지도록하여 하부신체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원뿔형태로 지지됨으로서 아름다움을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성용 발레복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망사를 펼친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망사를 펼친 저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재봉라인을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재봉라인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의 수평 펼침용 망사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 구성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 구성도.
도 11은 본 고안의 망사를 이용하여 발레복이 부풀어 오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망사를 이용하여 발레복이 부풀어 오른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일측 확대도.
도 14는 본 고안의 재봉라인 실시예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본 고안이 구성요소를 구분하면 크게, 상부의류(10)와, 하부의류(2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와, 상기 상부의류와 하부의류에 망사를 고정하는 재봉라인(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의류(10)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어깨라인에 걸리도록 민소매 형태로 제작되며 머리를 통과하는 머리 통과용 라인(11)과, 왼쪽 어깨가 통과하는 왼쪽 어깨 통과용 라인(12)과, 오른쪽 어깨가 통과하는 오른쪽 어깨 통과용 라인(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어린이는 상기 머리 통과용 라인(11)을 통해 머리를 쉽게 통과시키고, 아울러 왼쪽 어깨 통과용 라인(12)과 오른쪽 어깨 통과용 라인(13)을 이용하여 각각 왼쪽 어깨와 오른쪽 어깨를 통과시켜 보다 편리하게 상부의류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의류(20)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하부 신체가 통과하도록 2개의 라인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왼쪽 다리가 통과하는 왼쪽 다리 통과용 라인(21)과, 오른쪽 다리가 통과하는 오른쪽 다리 통과용 라인(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는 하부 의류를 보다 빠르게 신체로부터 탈착 시키기 위하여 하부 의류의 중앙에 분리 결합수단(23)을 더 부착하여 구성하였는바, 상기 분리 결합수단(23)을 이용하여서 빠른 속도로 하부 의류를 입거나 벗을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화장실 이용시에 보다 편리하게 의류를 벗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는 하부 신체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펼처지도록 구성되며, 빳빳한 재질로 구성하여 신체의 하부에 달라붙지 않고 일정거리로 이격된 형태로 펼쳐지게 되며 실제로는 착용시에 중력작용에 의해서 수평상태를 유지하지는 못하고 원뿔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즉, 수평 펼쳐짐용 망사(30)는 빳빳한 재질로 구성하기 때문에 하부 신체와 곧바로 달라붙지 않고 일정한 각도로 이격상태를 유지하는바, 무게에 의한 중력작용으로 일정 각도로 숙여지며 하부 신체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전체적으로 원뿔 형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3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여 수평 펼쳐짐용 망사의 재질에 비해서 빳빳하지 않고 부드럽게 안착된다.
즉,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의 외측에 사뿐이 내려않은 형태로 구성하되 수평 펼쳐짐용 망사(30)보다 그 길이를 짧게 하기 때문에 수평 펄처짐용 망사(30)와 비교하여 계단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는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여 수평 펼쳐짐용 망사의 재질에 비해서 빳빳하지 않고 부드럽게 안착된다.
즉,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는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의 외측에 사뿐이 내려않은 형태로 구성하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보다 그 길이를 짧게 하기 때문에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비교하여 계단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여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의 재질에 비해서 빳빳하지 않고 부드럽게 안착된다.
즉,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의 외측에 사뿐이 내려않은 형태로 구성하되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보다 그 길이를 짧게 하기 때문에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비교하여 계단 형태로 배열된다.
본 고안에서는 재봉라인(70)의 위치를 특정화시켰는바, 하부의류(2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 및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를 제 1 그룹으로 구분하고, 아울러 상부의류(1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를 제 2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 사이를 박음질하여 발레복을 제조하였다.
즉, 본 고안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하부의류(20)를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아울러 상기 하부의류(20) 상부에 상부의류(1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를 순차적으로 배열하며, 상기와 같이 배열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끝단부를 재봉하여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재봉하여 연결시키게 되면 재봉라인(70)을 중심으로 그 위로는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 및 상부 의류(10)가 배열되고, 재봉라인(70)을 중심으로 그 아래로는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 및 하부 의류(20)가 배열된다. 이때 상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가 빳빳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재봉라인의 단턱이 하향되지 않고 수평하게 외측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재봉라인(70)이 단턱 역할을 하게 되고,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가 재봉라인(70)을 넘어서면서 외측으로 펼쳐질때 시작점이 상부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 발레복의 풍성함이 극대화되게 된다.
즉,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의 하부에 재봉라인(70)이 배열되고, 상기 재봉라인(70)이 외측으로 일정길이 튀어나와서 단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재봉라인(70)을 지나면서 외측으로 떨어지게 되어 봉긋하게 부풀어 오르는 형태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재봉라인(70)의 하단부에 수평 펼쳐짐용 망사(30)가 배열되기 때문에 재봉라인(70)이 아래로 쳐지지 않고 수평하게 튀어나오면서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를 상부로 들어올려서 전체적으로 외곽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떨어지는 형태가 완성되어 발레복이 더욱더 풍성한 느낌을 갖도록 유도되는 것이다.
만약에 재봉라인(70)을 형성시에 수평 펼쳐짐용 망사(30)가 존재하지 않게 되면 곧바로 아래 방향으로 가라않게 되어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부풀어 오르지 않게 되며, 아울러 재봉라인(70)을 수평 펄처짐용 망사(30)의 하단에 형성하게 되더라도 수평 펄처짐용 망사(30)에 눌려서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부풀어 오르지 않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재봉라인(70)을 중심으로 그 위로는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 및 상부 의류(10)가 배열되고, 재봉라인(70)을 중심으로 그 아래로는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 및 하부 의류(20)가 배열하여 수평 펼쳐짐용 망사(30)가 재봉라인(70)의 단턱을 수평하게 외측으로 튀어 나오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가 재봉라인(70)의 단턱을 지나면서 부풀어 올라 보다 더 풍성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하부 의류(20)와 상부의류(10)를 착용하게 되면 하부로부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가 순차적으로 계단형태로 배열되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재봉라인(70)의 단턱에 의해서 외부로 부풀어 오르면서 펼쳐져서 풍성함이 극대화되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수평 펼쳐짐용 망사(30)가 수평방향으로 뻣뻣하게 펼쳐지면서 기본 틀을 만들고 그 위로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가 계단형태로 배열되어 최소한의 숫자로 최대한의 풍성함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재봉라인(70, c)은 의류 외측영역(A)과 의류 내측영역(B)으로 구분시에 의류 외측영역(A)은 공기의 통로가 좁은 공기 출입용 홀(A-1)이 형성되고, 의류 내측영역(B)은 공기의 통로가 넓은 공기 출입용 홀(B-1)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재봉라인(c)은 바람직하게는 1개소 역삼각형 구조 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개를 배열하는 방식인바, 이는 역삼각형 형태로 제작시에 하부는 역삼각형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부가 하부는 넓게 형성되고 상부는 좁게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인입시에 많은 량의 공기가 공기 임시저장공간으로 인입이 가능하며, 반대로 재봉라인(c)의 상부가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 임시저장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기 어려운 구조여서 상기 재봉라인은 역삼각형이 일정간격으로 수평하게 다수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상부의류
20: 하부의류
30: 수평 펼쳐짐용 망사
40: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
50: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
60: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
70: 제봉라인

Claims (3)

  1. 상부의류(10)와, 하부의류(2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와, 상기 상부의류(10)와 하부의류(20)에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를 고정하는 재봉라인(70)으로 이루어지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하부의류(20)를 차례로 바닥부터 위로 쌓아 올려 순차적으로 겹치면서 배열하고, 상기 하부의류(20) 상부에 상부의류(1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를 순차적으로 쌓아올려 겹치면서 배열하며, 상기와 같이 배열이 마무리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와 하부의류 (20) 및 상부의류(10)를 재봉라인(70)으로 재봉하여 연결시키며;

    상기 상부의류(10)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어깨라인에 걸리도록 민소매 형태로 제작되며 머리를 통과하는 머리 통과용 홀과, 왼쪽 어깨가 통과하는 왼쪽 어깨 통과용 홀과, 오른쪽 어깨가 통과하는 오른쪽 어깨 통과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의류(20)는,
    고탄력 성질을 갖는 부드러운 스판재질로서 어린이의 하부 신체가 통과하도록 2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왼쪽 다리가 통과하는 왼쪽 다리 통과용 홀과, 오른쪽 다리가 통과하는 오른쪽 다리 통과용 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는,
    수직축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성되며, 빳빳한 재질로 구성하여 신체의 하부에 달라붙지 않고 일정거리로 이격된 형태로 펼쳐지게 제작되고;

    상기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수평 펼쳐짐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수평 펼쳐짐용 망사 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하되,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계단 형태로 배열되며;

    하부의류(20)와 상부의류(10)를 착용하게 되면 하부로부터 수평 펼쳐짐용 망사(30)와 제 1 풍성함 제공용 망사(40)와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 및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가 순차적으로 계단형태로 배열되어 배치되며, 이때 상기 제 2 풍성함 제공용 망사(50)와 제 3 풍성함 제공용 망사(60)는 재봉라인의 단턱에 의해서 외부로 부풀어 오르면서 펼쳐져서 풍성함이 극대화되고;

    상기 재봉라인은 의류 외측영역(A)과 의류 내측영역(B)으로 구분시에 의류 외측영역(A)은 공기의 통로가 좁은 공기 출입용 홀(A-1)이 형성되고, 의류 내측영역(B)은 공기의 통로가 넓은 공기 출입용 홀(B-1)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라인은 역삼각형 구조가 다수개를 배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KR2020180004101U 2018-09-04 2018-09-04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KR200488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01U KR200488679Y1 (ko) 2018-09-04 2018-09-04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101U KR200488679Y1 (ko) 2018-09-04 2018-09-04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679Y1 true KR200488679Y1 (ko) 2019-06-11

Family

ID=6681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101U KR200488679Y1 (ko) 2018-09-04 2018-09-04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7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411U (ja) * 1992-05-06 1993-12-07 瑛子 江藤 子供用バレエ衣装
US5327586A (en) * 1990-05-15 1994-07-12 Gretchen Storer Evans Dance skirt
KR20170131074A (ko) * 2016-05-20 2017-11-29 황희원 한복 양장 겸용 슬리브리스 원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7586A (en) * 1990-05-15 1994-07-12 Gretchen Storer Evans Dance skirt
JPH0589411U (ja) * 1992-05-06 1993-12-07 瑛子 江藤 子供用バレエ衣装
KR20170131074A (ko) * 2016-05-20 2017-11-29 황희원 한복 양장 겸용 슬리브리스 원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3838B (zh) 内裤、制作内裤的方法以及至少部分地制造内裤的方法
US10058131B2 (en) Butt enhancing hosiery/shaper under garment
US20200397063A1 (en) Lower Torso Garment
JP2019511646A (ja) サポート要素付き下半身衣類
US9867400B2 (en) Butt enhancing hosiery/shaper under garment
RU2217023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чулочно-носочных изделиях
US5040245A (en) Undergarment having stretch panels
JP2008050718A (ja) 姿勢補整用ボトムズ
US20160278439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KR200488679Y1 (ko)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
US20020108166A1 (en) Hosiery garment with open-sole structure
US20190029330A1 (en) Leg garment with expansive panel
JP3700147B2 (ja) 上下に第1第2の穿口開口縁を設けた靴下及びその編成方法
TWM258713U (en) Sanitary shorts
US3696444A (en) Panty hose
KR20200027137A (ko) 수평 펼쳐짐과 풍성함을 동시에 갖는 어린이용 발레복의 제조방법
JP2017155360A (ja) 下半身用衣類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13789U (ja) 二部式着物
RU151839U1 (ru) Чулочно-носочное одноразовое изделие
JP4927211B1 (ja) パンツ
JP2004156193A (ja) お尻のブラジャーとしてのヒップ形整パンテイ
JP5681312B1 (ja) 男性用下着
CN215013714U (zh) 后腰高、前腰低款防风抗寒保暖裤
JP2018204170A (ja) ショーツ等の衣料
RU201809U1 (ru) Носо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