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400A -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400A
KR20040034400A KR1020030068594A KR20030068594A KR20040034400A KR 20040034400 A KR20040034400 A KR 20040034400A KR 1020030068594 A KR1020030068594 A KR 1020030068594A KR 20030068594 A KR20030068594 A KR 20030068594A KR 20040034400 A KR20040034400 A KR 2004003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reel
cutting
paper
pape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277B1 (ko
Inventor
브랜들리발터
콜롬보올리버
마르샹로맹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아게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3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02Preparing the leading end of the replacement web before splicing operation; Adhesive arrangements on leading end of replacement web; Tabs and adhesive tapes for spli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10T156/1062Prior to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2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 means with cutting, punching, piercing, severing or tearing
    • Y10T156/1317Means feeding plural workpieces to be joined
    • Y10T156/1322Severing before bonding or assembling of parts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롤(22)은 페이퍼 릴(8) 위로 그 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캐리지(11) 내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17) 내에 회전식으로 장착된다. 캐리지(11)는 상승 및 하강이 가능한 붐(4)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캐리지는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횡단 슬라이드를 이송하며 절단 장치와 접착 본딩 장치를 갖는다. 롤(22)은 페이퍼 릴(8)의 최상층 생성 라인 상의 절단 바아와 함께 위치되며 그 위에서 회전하며 페이퍼 릴(8)의 최상층은 개시 위치를 너머 대향한 방향으로 롤(22)이 회전하여 흡입 및 상승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단부 섹션이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 바아를 따라 절단되고 접착 테이프가 최상위 생성 라인의 영역의 페이퍼 롤(8)에 가해진 후, 롤(22)은 개시 위치를 향해 뒤로 회전되며 웨브 단부의 에지와 인접한 페이퍼 웨브 섹션은 접착 테이프의 외면의 일부로 가압된다.

Description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a Paper Reel for Flying Reel Change}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의 준비를 위한 방법 및 청구범위 제7항의 전제부에 따른 실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 및 장치는 프린터 작업의 릴 셀러(reel cellar)에 사용된다.
페이퍼 릴이 예로써 참고로 DE-A-43 39 309 와 같이, 웨브 단부의 에지를 다음의 내부 층에 결합시키고 동시에, 페이퍼 릴의 외면상의, 잔여 릴로의 접착 본딩을 위한 부착면을 갖는 부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플라잉 릴 교환을 위해 준비될 수는 것이 공지되었다. 또한 최근에, 이러한 접착 테이프는 외부 테이프와 다른 쪽의 하나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분리식으로 연결되는 내부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예로써, 에이에스에스 - 에티켓 게엠베하(ASS - Etikett GmBH)사의 소위 플라잉 스플라이스 시스템 551(Flying Splice System 551), Tesa AG사의 플라잉 스플라이스 프린트 라인 테사 51100(Flying Splice Print Line tesa 51100) 또는 DE-A-196 32 689 참조]. 내부 테이프는 다음의 내부 층을 결합하기 위한 내부 접착면과 함께 제공되고 외부 테이프는 웨브 단부와 잔여 롤을 결합시키기 위한 외부 접착면을 갖는다.
페이퍼 릴로부터 웨브 섹션이 비 권취(unwound)된 제안된 방법인 종래의 마운팅에 있어서, 접착 테이프는 페이퍼 웨브 외측의 웨브 단부의 에지에 장착되고 이후 상기의 것은 다시 권취되며 웨브 단부의 에지는 장착된 그곳에서 동시에 접착 라벨을 돌출시키고 장치에 대응하는 방법에 의해 다음의 하부 층에 결합된다(DE-C-195 40 689 참고). 그러나, 이들은 접착 테이프가 페이퍼 웨브의 외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채택될 수 없으며, 신규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의 경우에는 불가능하다. 또한, 이것은 웨브 단부의 에지를 다음의 하부 층에 결합시키는 것이 잔여 릴의 페이퍼 웨브와의 조인트를 마련하기 위한, 소위 버터플라이로 불리는 분리된 방식에 의해 수행되는 유사한 경우에 적용되는데, 양면 접착 테이프는 웨브 단부의 에지 전에 페이퍼 웨브의 외측에 장착된다(DE-C-39 18 552).
DE-A-38 34 334는 상기 신규한 타입의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기에 적절한 포괄적인 타입의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다. 웨브 섹션이 그 일부가 릴 아래에 장착된 경사 지지면 위에 현수되도록 권취가 풀린 후, 웨브 단부의 에지가 지지면 위로 활주하는 절단 라인을 따라 단부 섹션을 절단하는 것에 의해 마련되고, 이후 접착 테이프는 최외곽층의 내측으로 가압되며 웨브는 다시 권취된다. 이런 절차에서, 비회전된 웨브 섹션의 위치는 일정하게 제어되지 않아서, 약간의 측방 위치 변화 또는 웨이브 형태가 발생하여 절차를 방해할 수 있고 웨브 권취의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페이퍼 릴은 반드시 회전 즉, 회전식으로 장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복잡성이 가중된다.
기본 원리와 해당 장치에 있어 유사하며, EP-A-1 041 025에 개시된 바와 같은 방법은 먼저 비 회전된 웨브 섹션의 내측이 흡입 오리피스에 의해 접착 영역 내에 유지되며 단부 섹션은 웨브 단부의 에지를 준비하기 위해 절단되고 이후 외측이 제2 접착 영역에 유지되는데 여기서 접착 테이프는 웨브 단부의 에지를 따른 내측에 가압되는 등의 절차에 의해 비 회전된 웨브 섹션의 제어를 확실히 한다. 그러나, 이것은 상당히 복잡한 디자인을 요구하며, 특히 회전식으로 장착될 릴이 너무 많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퍼 웨브의 위치가 항상 제어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최소의 노력으로 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의 특성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은 비 회전된 웨브 섹션이 자유롭게 현수될 수 없으나 항상 장력을갖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웨브 섹션은 이후 다시 릴로 위치된다. 따라서, 교체된 웨브 섹션의 위치는 정확히 한정되며 에러가 없게된다. 또한, 릴의 회전이 필요 없다. 따라서 클램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런 목적은 청구범위 제7항의 특징부에 의한 특성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방법을 신뢰할만한 명확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비교적 간단하고 적절한 노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페이퍼 릴을 갖는 본 발명을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장치를 도시한 개략 정면도.
도3은 도1의 장치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4는 도3의 생략된 임의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5는 도1의 장치의 부품을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1의 장치의 다른 부품을 통한 단면도.
도7은 도5의 부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8a 내지 도8l은 본 발명의 방법의 순서를 개략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탠드
2a, 2b : 컬럼
3 : 타이-비임
4 : 붐
5 : 측면 비임
6, 7 : 횡단 비임
8 : 페이퍼 릴
9 : 이송 캐리지
10 : 레일
11 : 캐리지
12, 13 : 타이-비임
14a, 14b: 측부
15, 16 : 가이드
17 : 슬라이드
18a, 18b: 프레임
19, 20 : 가이드 로드
21 : 축
22 : 롤
23 : 횡단 슬라이드
24 : 지지 플레이트
25 : 절단 장치
26 : 접착 본딩 장치
27, 28 : 분리 장치
29 : 벨트
30 : 샤프트
31 : 모터
32a, 32b: 기어
33a, 33b: 리프팅 스핀들
34a, 34b: 치차식 부쉬
35 : 모터
36 : 피니온
37 : 치차식 랙
38 : 모터
39 : 피니온
40, 41 : 치차식 벨트
42 : 모터
43 : 스위치 박스
44 : 측면
45 : 제1 절단 바아
46 : 제1 흡입 바아
47 : 제2 절단 바아
48 : 제2 흡입 바아
49 : 프로파일
50 : 절단 스트립
51 : 프로파일
52 : 스트립
53 : 흡입 라인
54 : 흡입 컵
55 : 흡입 라인
56 : 태핏
57 : 공압 실린더
58 : 니들
59 : 베이스플레이트
60 : 공압 실린더
61 : 하우징
62 : 절단 디스크
63 : 저장 롤러
64 : 접착 테이프
65 : 상부 테이프
66 : 처짐 롤러
67 : 감김 롤
68 : 테이프 센서
69 : 스톡 센서
70 : 가이드
71 : 구동 롤러
72 : 카운터 롤러
73 : 홀더
74 : 공압 실린더
75 : 가위
76 : 제1 가압 롤러
77 : 제2 가압 롤러
78 : 공급 센서
79 : 램
80 : 길이 센서
81 : 지름 센서
82 : 단부 섹션
83 : 웨브 단부의 에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타이-비임(beam)(3)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수직 컬럼(column)(2a, 2b)을 포함하는 스탠드(1)를 갖는다(도1). 두 개의 측면 비임(5a, 5b)과 두 개의 횡단 비임(6, 7)을 갖는 프레임 류의 붐(boom)(4)은 컬럼(2a, 2b) 상에서 수직 변위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붐은, 축이 타이-비임(3)과 평행하고 이송 캐리지(9) 상에 놓여진 페이퍼 릴(8) 위로 돌출된다. 이송 캐리지(9)는 장치를 지나 활주하는 성크(sunk) 레일(10)을 따라 변위 또는 구동 가능하다.
붐(4)에는 두 개의 타이-비임(12, 13)과 종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즉, 타이-비임(3)으로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 하방 돌출 측부(14a, 14b)를 갖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한 캐리지(11)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서 슬라이드(17)가 수직으로 변위되도록 장착된 가이드(15, 16)[또한, 도4에서는 측부(14a, 14b)가 생략된 부분 참조]는 측부(14a, 14b)의 내부에 제공된다. 슬라이드는,타이-비임(12, 13)에 평행한 가이드 로드(19, 20)(도5)에 의해 연결되고 다른 쪽의 하나의 상부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측방 프레임(18a, 18b)을 갖는다. 가이드 로드(19, 20)에 앞서, 가이드 로드에 평행하고 동축 롤(22)을 지지하는 축(21)의 단부의 회전식 장착을 위한 베어링이 프레임(18a, 18b)에 장착된다(도1 내지 도4에 도시, 도5에는 도시 생략).
횡단 슬라이드(23)는 프레임(18a, 18b)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이드 로드(19, 20) 상에 변위식으로 장착된다. 절단 장치(25) 및 접착 본딩 장치(26)가 횡단 슬라이드의 지지 플레이트(24)에 장착된다. 횡단 슬라이드(23) 위로, 분리 장치(27)(도2)가 실린더를 이용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슬라이드(17) 상에 고정되고 타이-비임에 평행하고 두 개의 샤프트의 길이로 활주하는 복수의 평행 탄성 벨트(29) 위에 있는 두 개의 샤프트(28a, 28b)를 갖는데 두 개의 샤프트 중 하나는 구동 가능하다. 슬라이드(17)의 유효 무게를 줄이기 위해, 뒤의 것은 캐리지(11) 상의 가스 스프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붐(4)의 수직 변위는 타이-비임(3) 내에 장착된 샤프트(30)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도2) 기어(32a, 32b)를 통하여 모터(31)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컬럼(2a, 2b) 상에 장착되고 붐(4)에 대응하는 나사식 부쉬(34a, 34b)를 결합하는 리프팅 스핀들(33a, 33b)을 구동한다. 캐리지(11)의 이동은(도4) 캐리지에 체결되고 붐(4)의 사이드 비임(5a, 5b)에 체결된 치차식 레크(37)를 결합하는 피니온(36)을 구동하는 모터(35)에 의해 마련된다.
가이드 로드(19, 20)를 따른 횡단 슬라이드(23)의 이동은 모터(38)(도3)에의해 더 마련되며, 특히 피니온(39)(도5)을 통하여, 순환되는 치차식 벨트(40)가 활주하는 위로, 모터의 하부 측은 횡단 슬라이드(23)에 연결된다. 롤(22)(도4)은 슬라이드(17)에 체결된 모터(42)에 의한 치차식 벨트(41)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붐(4), 캐리지(11), 횡단 슬라이드(23) 및 롤(22)의 브라켓의 위치는 대응하는 트랜스듀서에 의해 모니터링 되며 프레임(1)(도1에 도시)에 체결된 스위치 박스(43) 내의 제어부로 전송된다.
롤(22)(도6)은 축(21)과 동축이며 총 길이와 총 각도의 약 3분의 2로 이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섹터 형상을 갖는 측면부(44)를 갖는다(도6). 롤의 외측은 제1 절단 바아(45), 제1 흡입 바아(46), 제2 절단 바아(47) 및 제2 흡입 바아(48)가 들어있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바아들은 각각 롤(22)의 총 길이 이상의 생성 라인을 따라 연장되며 다른 방위각을 따른다. 절단 바아(45, 47)는 바람직하게는 낮은 응착 및 마찰 계수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그러한 플라스틱으로 코팅된 금속을 포함하는 절단 바아(50)가 그 안으로 들어가는 얕은 홈이 외측에 형성된 프로파일의 형상이다. 흡입 바아(46, 48)는 각각 복수의 챔버로 분할되고 예비 천공된 시트 금속의 스트립에 의해 커버되는 외향 대면한 홈을 갖는 프로파일(51)의 형상이며 그의 외측은 흡입 영역을 형성한다. 내측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의 흡입 라인(53)은, 도시되지 않은 펌프를 통해 공기가 이를 경유하여 유입되는 홈으로 개방되어 압력이 감소된다.
각각이 흡입 라인(55)을 경유하여 펌프에 연결되어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일렬의 흡입 컵(54)은 제1 절단 바아(45)로부터 약 75°의 방위각으로 생성 라인을따라 롤(22)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흡입 컵(54)은 태핏(56)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밸브를 갖고 태핏(56)이 물체에 약간 뒤로 후퇴되었을 때만 개방된다. 지지면 위를 변위 가능하도록 공압 실린더(57) 내에 들어가지만 장착되는 일렬의 니들(58)은 흡입 컵(54)의 열에 앞서 짧게 배치된다. 니들은 흡입 컵(54)의 열을 향해 약간 경사진다.
횡단 슬라이드(23)(도7)는 가이드 로드(19, 20)와 제한된 범위의 수직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 플레이트(24)가 현수되는 곳과 변위식으로 직접 장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59)를 갖는다. 슬라이드의 수직 위치는 공압 실린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절단 장치(25)는 횡단 슬라이드(23)의 베이스플레이트(59)로부터 롤(22)을 향한 지지 플레이트(24) 내의 슬롯으로 통해 돌출된다. 상기 절단 장치는 절단 디스크(62)가 회전식으로 장착된 곳으로 하우징(61)을 이동시키는 공압 실린더(60)를 포함한다. 하우징(61)은 공압 실린더(60)에 의해 롤(22)을 향하여, 이는 롤 축의 높이와 정확히 같고, 절단 디스크(62)가 롤(22)의 각도 위치에 따라, 제1 절단 바아(45) 또는 제2 절단 바아(47)를 접촉할 때까지만 전진될 수 있다.
접착 본딩 장치(26)는 롤(22)을 대면하는 횡단 슬라이드(23)의 지지 플레이트(24) 측에 체결 또는 장착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회전식으로 장착되고, 약간 제동된 저장 롤(63)은 굴절 롤러(66)에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되는 상부 테이프(65)에 의해 커버되고 슬립을 갖고 구동되는 권취 롤러(67)로 회전되는 접착 테이프(64)를 이송한다. 이것은 광학 테이프 센서(68)에 의해 모니터링된다. 저장 롤러(63) 상의 테이프 스톡(stock)은 유사하게 광학 스톡 센서(69)에 의해 모니터링 된다. 접착 테이프(64)는, 구동 롤러(71)와 공급 장치의 종동 카운터 롤러(72) 사이에 클램핑되는 곳인 가이드(70)를 통해 활주한다. 구동 롤러(71)는 카운터 롤러(72)에 대향한 공압 실린더(74)에 의해 가압되는 홀더(73) 내에 장착된다. 새로운 접착 테이프를 꺼내기 위해, 홀더(73)는 공압 실린더(74)에 의해 되돌려진다.
접착 테이프(64)는 가위(75)를 통해, 그리고 제1 가압 롤러(76)와 제1 가압 롤러를 따르는 제2 가압 롤러(77)를 통해서 연속되며 롤러(8)에 대해 가압된다. 공급 센서(78)는 접착 테이프(64)가 제1 가압 롤러(76) 바로 전에 적어도 전진되었는지를 모니터링 한다. 가압 롤러(76, 77)는 지지 플레이트(24)로부터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 높이에 현수되며, 각각의 경우 페이퍼 릴(8)에 대해 하향인 가압 스프링(도시 생략)으로 가압되는 수직 변위 가능한 램(79)의 하단부에 있는 베어링으로부터 현수된다.
페이퍼 릴(8) 위에 있을 때 응답하는 광학 길이 센서(80)(도5)가 지지 플레이트(24)의 좌측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붐(4)이 하강될 때 페이퍼 릴(8)의 단부면의 에지를 검출하는 광학 지름 센서(81)(도1)가 캐리지(11)의 측부(14a)에 측면 배치된다. 모든 센서의 신호는 스위치 박스(43)의 제어부로 공급된다.
페이퍼 릴의 준비는 다음으로 마련된다.
페이퍼 릴(8)은 붐(4) 아래의 이송 캐리지(9) 상에 이동된다. 페이퍼 웨브의 단부는 스탠드(1)를 대면하는 측에 있다. 페이퍼 웨브는 페이퍼 릴(8)의 최상위 생성 라인을 훨씬 넘어가는데 최외곽 층은 그 무게로 인해 뒤로 활주하지는 않는다. 캐리지(11)는 롤(22)의 축(21)이 레일(10)의 정확히 중간 위에 있는 개시점과 페이퍼 릴(8)의 최상위 생성 라인으로 이동된다. 이후 롤(22)은 모터(42)에 의해 제2 절단 바아(47)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절단 라인이 바닥 즉, 페이퍼 릴(8)의 최상위 생성 라인에 정확히 대향한 제로 위치로 회전된다(도8a).
붐(4)은 지름 센서(80)가 응답하거나 또는 붐(4)이 센서의 반응이 없는 소정의 높이에 도달할 때까지 모터(31)에 의해 하강된다. 상기의 경우, 페이퍼 릴(8)은 하기에 논의될 소정의 한계(소형 릴)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다. 페이퍼 릴이 한계보다 큰(대형 릴) 제1 언급한 경우에, 붐(4)은 지름 센서(80)가 응답한 이후 고정된 거리를 감소된 속도로 더 하강하며, 롤(22)은 제2 절단 바아(47)의 중심선이 최상위 생성 라인을 접촉하도록 페이퍼 릴(8) 상에 위치된다. 캐리지(11)를 갖는 붐(4)은 롤(22)이 상부에 위치된 이후 약간 더 하강하기 때문에, 슬라이드(17)는 캐리지(11)의 하방으로의 범위를 얻도록 슬라이드의 하한 위치의 상방으로 밀려진다. 최종적으로, 롤(22)은 모터(42)로부터 커플링이 해제된다(도8b).
캐리지(11)는 더욱 전진 즉, 수평 공급 방향을 따른 스탠드(1)를 향해 이동한다. 롤(22)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그의 측면(44)이 도8b에 도시된 그 개시점으로부터, 페이퍼 롤(8)의 비 권취된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흡입 컵(54)이 페이퍼 릴(8)과 접촉될 때까지 페이퍼 릴 상에서 회전된다. 슬라이드(17)는 약간 하방으로 이동한다. 캐리지(11)는 롤(22)이 이미 알고 있는 롤의 지름과 결정된 페이퍼 릴(8)의 지름으로부터 제어부에 의해 이전에 계산된 각도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정지한다. 흡입 컵의 밸브가 태핏(56)과 페이퍼 릴(8)의 접촉에 의해 개방되면, 감소된 압력이 흡입 컵(54)에 가해지며 페이퍼 웨브의 최외곽 층이 흡입에 의해 유지된다(도8c).
이후, 캐리지(11)는 그 개시 위치를 너머 스탠드(1)로부터 멀게 이동되고, 측면(44)은 페이퍼 웨브의 비 권취된 방향으로 페이퍼 릴(8) 상에서 회전된다. 짧은 거리의 이동 후, 네일(58, nails)은 연장되고 페이퍼 웨브의 최외각 층을 천공하여 측면(44) 상의 최외각 층을 신뢰성 있게 유지한다(도8d). 흡입 컵(54)의 열을 지나 돌출한 페이퍼 웨브의 일부는, 제거 장치(27)를 롤(22)을 향해 경사시키고 화살표 방향으로의 벨트(29) 이동에 의해, 벨트와 롤(22) 사이에서 꺼내질 수 있다(도8e).
계속된 구름 이동 중에, 제1 흡입 바아(46) 및 제2 흡입 바아(48)는 롤(22)이 페이퍼 릴(8)의 최외곽 층과 흡입 바아들이 접촉하는 미리 계산된 각도 위치에 도달할 때 스위치 온 된다. 캐리지는 제2 절단 바아(47)가 횡단 슬라이드(23)를 향할 때, 즉 개시점에 대해 정확히 90°를 통한 롤의 회전 이후 정지된다. 단부 섹션을 절단하고 웨브 단부의 에지를 마련하기 위해, 이후 페이퍼 웨브는 절단 장치(25)에 의해 절단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61)은 절단 디스크(62)의 에지가 절단 라인에 있는 제2 절단 바아(47)에 도달할 때까지 공압 실린더(60)에 의해 전진된다. 횡단 슬라이드(23)는 캐리지(11) 우측의 베이스 위치에 있다. 횡단 슬라이드(23)는 좌측으로 이동되며 웨브 단부의 에지는 페이퍼 웨브의 단부 섹션(82)을 절단하여 마련된다(도8f).
동일한 이동 중 또는 횡단 슬라이드(23)가 베이스 위치로 복귀한 후, 접착 테이프(64)는 최상부 생성 라인의 영역 내에 페이퍼 웨브의 다음 내부 층으로 접착 본딩 장치(26)의 수단에 의해 가해지며, 웨브 단부의 에지에 인접한 최외곽 층의 섹션은 제2 흡입 바아(48)에 의해 측면(44)에 대해 유지된다. 이를 위해, 접착 테이프(64, 도7참조)는 공급 센서(78)가 제1 가압 롤러(76)에 도달한 것과 횡단 슬라이드(23)가 상승된 지지 플레이트(24)를 갖는 베이스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고, 길이 센서(80)가 제1 가압 롤러(76)가 소정의 거리로 - 보통 수 밀리미터 - 릴의 개시부에서 멀어지는 점 위에 있을 때까지 릴의 개시부를 검출할 때까지는 공급 장치에 의해 전진된다.
이후 지지 플레이트(24)는 가압 롤러(76)가 페이퍼 릴(8)에 놓여있도록 하강되고 가압 스프링의 힘에 대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런 이동은 상기 힘이, 예로써 다른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가압 롤러(76)의 램의 처짐량을 모니터링하여 결정될 수 있는, 소정 값에 도달했을 때 종료된다. 접착 테이프(64)는 내부 테이프의 아래쪽이 접착식으로 페이퍼 릴에 본드되도록 가압 롤러(76)에 의해 페이퍼 릴(8)에 대하여 가압된다. 길이 센서(80)가 페이퍼 릴(8)의 단부를 검출한 직후, 횡단 슬라이드(23)는 정지하고 접착 테이프(64)는 가위(75)에 의해 절단된다. 이후, 횡단 슬라이드(23)는 접착 테이프(64)의 절단된 잔류부가 가압 롤러(76, 77)에 의해 페이퍼 릴(8)로 가압될 때까지 그 움직임을 지속한다. 결국, 지지 플레이트(24)는 다시 상승되고 횡단 라인(23)은 개시 위치로 되돌아간다.
페이퍼 웨브의 절단된 단부 섹션(82)은 벨트(29)의 해당 이동에 의해 롤(22)위로 인출되고 도시 생략되었으나 이후 활송 장치를 통해 제거된다. 결국, 캐리지(11)는 그 개시 위치로 다시 전진되고 측면(44)은 페이퍼 릴(8)의 최상부 생성 라인과 정확히 일치하는 절단 라인이 있는 개시 위치로 뒤로 회전되며, 제2 흡입 바아(48)는 페이퍼 웨브로부터 제2 흡입 바아가 릴리이즈 될 때 스위치 오프 된다.
결과적으로, 웨브 단부의 에지(83)에 인접한 페이퍼 릴(8)의 최외곽 층의 스트립은 접착 테이프(64)의 외부 테이프의 상부 상의 접착 스트립으로 가압되며, 접착 스트립은 최상부 생성 라인 뒤에 위치되고, 따라서 다음의 내부 층에 접착식으로 본딩되는데, 최상위 생성 라인의 앞서 위치된 에지 스트립은 자유롭게 남고 이후 잔여 릴과의 본딩을 위해 활용된다(도8i). 접착 테이프(64)를 가하는 중에, 외부 테이프의 접착 스트립을 커버하는 상부 테이프(65)의 부분 스트립은 에지 스트립이 상보형 부분 스트립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잔류하도록 제거되거나 또는 상부 테이프(65)의 전체가 에지 스트립이 자유롭게 되고 접착점이 "크리습'이도록 제거될 수 있다. 앞의 경우에, 상부 테이프의 남겨진 부분 스트립은 페이퍼 릴이 릴 스탠드 내에서 사용되기 전에 반드시 손으로 제거되어야 한다.
결국, 붐(4)은 상승되고 롤(22)은 페이퍼 릴(8)과 접착 테이프(64)에서 상승된다. 따라서, 페이퍼 릴(8)의 준비는 종료된다(도8j).
페이퍼 릴이 릴 스탠드 내에서 벨트에 의해 구동된다면, 가해진 접착 테이프(64) 내에서 횡단 슬라이드(23)의 이동 거리의 소정의 지점과 동일하게 절단되는 것에 의해 절단되고 남겨진 부분에 가압된 후 접착 본딩 장치(26)를 갖는 지지 플레이트(24)가 상승되고 따라서 자유로이 남겨진 생성 라인의 섹션 위로 지지 플레이트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간극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접착 테이프는 공급 장치에 의해 제1 가압 롤러(76) 아래로 다시 공급되고 지지 플레이트(24)는 다시 하강된다.
페이퍼 릴(8)이 소형 릴 즉, 지름 센서(80)의 응답없이 하강 중에 소정 높이에 도달할 경우, 롤(22)은 제1 절단 바아(45)가 하방으로 뾰족해지는 새로운 개시 위치로 회전되고(도8k), 이후 초기 위치로 급속히 하강되며, 지름 센서(81)가 응답한 후, 제1 절단 바아(45)가 페이퍼 릴(8)의 최상위 생성 라인에 접촉할 때까지 완만히 하강될 것이다(도8l). 이후의 절차는 제1 절단 바아(45)가 제2 절단 바아(47)의 위치를 점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형 릴에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본 발명은 비 권취된 웨브 섹션이 자유롭게 현수될 수 없으나 항상 장력을 갖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웨브 섹션은 이후 다시 릴로 위치됨으로서, 교체된 웨브 섹션의 위치는 정확히 한정되며 에러가 없게되고 릴의 회전 또한 필요 없음으로 인해 클램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방법을 신뢰할만한 명확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비교적 간단하고 적절한 노력으로 마련될 수 있다.

Claims (20)

  1. 웨브 단부의 에지(83)를 따르는 것으로, 잔여 롤의 페이퍼 웨브와 웨브 단부 사이에 결합부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착면과 분리될 수 있고 이후 내부층 상에 웨브 단부를 보유시키기 위한 내부 접착면을 갖는 내부 테이프를 구비한, 접착 테이프(64)를 도포하고, 이후 내부층으로부터 최외곽 층을 상승시키고, 최외곽 층으로부터 단부 섹션(82)을 절단함으로써 웨브 단부의 에지(83)를 생성하고, 접착 테이프(64)를 도포하고, 인접한 에지 슬립이 자유롭게 잔류하고 내부 접착층이 이후 내부층에 접착식으로 결합되는 동안 외부 접착면의 접착 스트립에 접착식으로 결합된 웨브 단부의 에지의 일부가 인접한 최외곽 층을 이후 내부층에서 교체함으로써 플라잉 릴 교환용 권취 페이퍼 웨브를 갖는 페이퍼 릴(8)의 준비 방법에 있어서,
    페이퍼 릴(8)이 이동되지 않는 동안, 최외곽 층의 상승은, 단면이 페이퍼 릴(8)의 축방향에 수직하고 페이퍼 릴(8)에 대해 그 폭 위로 사실상 일정한, 지지면을 위치시키고, 페이퍼 릴(8)의 축에 평행한 지지면의 절단 라인이 페이퍼 릴(8)의 생성 라인과 접촉하는 개시 위치로 설정에 설정함에 의해 영향을 받고, 상기 지지면은 최외곽 층이 그 위에 놓여져서 유지되는 동안 페이퍼 릴(8) 상에서 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어 절단 라인을 따라 단부 섹션(82)을 절단하고 에지 스트립과 접착 스트립 사이의 경계가 생성 라인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이후 내부층에 접착 테이프(64)를 인가하며, 상기 지지면은 최외곽 층의 교체를 위해 개시 위치로의 복귀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이 페이퍼 릴(8) 상의 절단 라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페이퍼 릴(8)의 축은 수평으로 유지되고 지지면은 최상위 형성 라인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 권취된 방향으로 회전하기 전에, 상기 지지면은 먼저 페이퍼 릴(8)에서 대향 방향에서 소정의 거리로 회전되며 상기 최외각 층은 비 권취된 방향으로의 회전 개시로부터 지지면 상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상의 최외각 층을 유지하는 것은 감소된 압력의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섹션(82)이 절단된 후, 상기 단부 섹션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적어도 하나의 절단 라인과 지지면 위의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절단 장치(25)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롤(22)의 측면(44)의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절단 장치(25)는 측면(44)의 생성 라인을 따라 절단 라인을 따르는 측면(44) 위로 이동될 수 있고,롤(22)은 페이퍼 릴(8)의 축방향과 평행한 축(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축방향에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홀더 내에 장착되어, 축(21)이 제한된 범위로 축방향과 변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변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캐리지(11)에 의해 형성되고, 축(21)은 축(21)과 캐리지(11)의 변위 방향에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17) 내에서 회전 가능하고 변위 불가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캐리지(11)는 축(21)과 상기 변위 방향에 횡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프레임 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25)는 축(21)에 평행한 슬라이드(17) 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25)는 롤(22)을 향해 공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25)는, 축(21)을 향하여 변위 가능하고 이로부터 후퇴 가능하지만 횡방향으로 변위 불가하도록, 슬라이드(17) 내에서 축(21)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접착 장치(26)를 이송하는 횡단 슬라이드(23)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접착 장치(26)는 상기 축 및 변위 방향에 횡방향 변위 가능하도록 횡단 슬라이드(23)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7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21)의 단부 위치가 페이퍼 릴(8)의 최상위 생성 라인의 다른 측에 있게되는 방식으로, 상기 홀더가 상기 릴 위를 수평으로 변위 가능하고 페이퍼 릴(8)의 축방향은 수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축(21)은 상기 홀더 내에서 수직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22)은 지지면 안에 들어가 있으며 플라스틱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단 라인 위로 활주하는 생성라인을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바아(45, 4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롤이 적어도 두 개의 절단 바아(45, 4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7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22)은 사실상 지지면의 폭을 지나 연장되고 흡입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44)은 축이 롤(22)의 축(21)과 일치하는 실린더의 측면 섹터에 사실상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의 전체 길이에 분포되고 측면(44)에 대해 가압될 수 있는 복수의 회전 벨트(29)를 포함하는 장치인 단부 섹션 제거용 분리 장치(2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3-0068594A 2002-10-14 2003-10-02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535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022893.8 2002-10-14
EP02022893A EP1422174B1 (de) 2002-10-14 2002-10-1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einer Papierrolle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400A true KR20040034400A (ko) 2004-04-28
KR100535277B1 KR100535277B1 (ko) 2005-12-09

Family

ID=3218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594A KR100535277B1 (ko) 2002-10-14 2003-10-02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05765B1 (ko)
EP (1) EP1422174B1 (ko)
JP (1) JP3808068B2 (ko)
KR (1) KR100535277B1 (ko)
AT (1) ATE320997T1 (ko)
CA (1) CA2443522A1 (ko)
DE (1) DE50206124D1 (ko)
DK (1) DK1422174T3 (ko)
ES (1) ES2261574T3 (ko)
PT (1) PT1422174E (ko)
TW (1) TWI2258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0767B (zh) * 2014-05-08 2016-06-08 宁波天弘电力器具有限公司 全自动无张力高速进布装置
US10384900B2 (en) * 2017-05-24 2019-08-20 Sandar Industries, Inc.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US10442648B2 (en) * 2017-05-24 2019-10-15 Sandar Industries, Inc. Dispenser apparatus and method of use for laminating and dispensing transfer tape in a paper web turn-up system
IT201900024556A1 (it) * 2019-12-18 2021-06-18 Fameccanica Data Spa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lembi di bobine di materiale in nastro
CN114083836A (zh) * 2021-09-30 2022-02-25 郑州中南杰特超硬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超硬材料组装的纸管卷成及放置装置
CN115446969A (zh) * 2022-01-21 2022-12-09 马利伟 一种纸面石膏板护纸面自动摆正装置及石膏板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3A (ja) * 1983-06-20 1985-01-08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取紙ほぐれ止めテ−プ処理方法および装置
DE4118690A1 (de) * 1991-06-07 1992-12-10 Roland Man Druck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einer papierrolle fue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DE4139586C2 (de) * 1991-11-30 1995-04-27 Roland Man Druck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ilden und Erfassen eines Bahnanfanges einer Ersatz-Wickelrolle
DE4141242A1 (de) * 1991-12-14 1993-06-17 Roland Man Druck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des anfanges einer ersatz-wickelrolle fuer den fliegenden rollenwechsel
DE4233521A1 (de) * 1992-10-06 1994-04-07 Jagenberg Ag Klebeband und seine Verwendung zum Verbinden von Papier- oder Kartonbahnen
US5277731A (en) * 1992-11-13 1994-01-11 Worldwide Processing Technologies, In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a butt splice in a web unwinder
US5524844A (en) * 1993-10-29 1996-06-11 Enkel Corporation Apparatus for preparing a leading edge of web material
DE59801009D1 (de) * 1997-05-16 2001-08-16 Koenig & Bau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fassen eines teiles einer äusseren lage einer materialbahn von einer vorratsrolle
EP1041025A3 (de) * 1999-03-31 2001-08-29 Valmet Roll Handling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orbereitung einer Papierrolle für fliegenden Rollenwechsel
US6808581B2 (en) * 2001-06-15 2004-10-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pplying a flying splicing tape to a roll of sheet material
US6814123B2 (en) * 2001-12-21 2004-11-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splicing tape to a roll of shee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05765B1 (en) 2004-10-19
JP3808068B2 (ja) 2006-08-09
DE50206124D1 (de) 2006-05-11
JP2004131295A (ja) 2004-04-30
ES2261574T3 (es) 2006-11-16
TW200415100A (en) 2004-08-16
ATE320997T1 (de) 2006-04-15
EP1422174B1 (de) 2006-03-22
EP1422174A1 (de) 2004-05-26
PT1422174E (pt) 2006-08-31
TWI225842B (en) 2005-01-01
DK1422174T3 (da) 2006-07-31
KR100535277B1 (ko) 2005-12-09
CA2443522A1 (en)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657B2 (en) Sheet slitter-winder
EP009973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ing webs
EP0286343B1 (en) Web applicator
JPS6356143B2 (ko)
JPH01127548A (ja) 巻取紙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770038B1 (en) Paper splicing apparatus
CN110053806A (zh) 一种组合烟花围招的自动包裹装置
KR100535277B1 (ko) 플라잉 릴 교환용 페이퍼 릴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088188A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automatic laying of interposed joints between the elements of a multiple glazing
JPH01145966A (ja) ストックロールからの材料ウェブの連続供給装置
JPH0223139A (ja) 紙継ぎ準備装置
CA2003573A1 (en) Device for connecting strips of material
JPH0643225B2 (ja) 巻取紙の紙継ぎ前処理装置
JPH0645413B2 (ja) 巻取り紙自動仕立装置
CN112124690A (zh) 一种包版机的定位机构和定位方法
JP2003276915A (ja) 巻取部自動切替装置
JPH0748615Y2 (ja) テープの貼付装置
EP1545867B1 (en) Apparatus for feeding paper webs and the like, for the production of cardboard tubes
JP2649901B2 (ja) ロール体の自動補給装置
JPH03115044A (ja) 巻取紙自動仕立装置
CN220392787U (zh) 自动接纸装置
CN110790056B (zh) 一种不停机不降速的自动放卷系统
JP2555444B2 (ja) 巻取紙の端末処理装置
JP2663169B2 (ja) 給紙装置へのロール原反供給方法及び装置
SU137554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азмотки л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