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4383A - 롤베일러 - Google Patents

롤베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4383A
KR20040034383A KR1020030061240A KR20030061240A KR20040034383A KR 20040034383 A KR20040034383 A KR 20040034383A KR 1020030061240 A KR1020030061240 A KR 1020030061240A KR 20030061240 A KR20030061240 A KR 20030061240A KR 20040034383 A KR20040034383 A KR 20040034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molding chamber
conveying conveyor
mold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5557B1 (ko
Inventor
코우이치 후쿠모리
아키라 무라키
유우지 우에무라
마사노부 오쿠무라
유키노리 시부야
히로카츠 시토
노부키 야마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세이부츠케이토쿠테이산교 기주츠켄큐스이신키코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세이부츠케이토쿠테이산교 기주츠켄큐스이신키코우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카키타
Publication of KR2004003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4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7Rotobalers, i.e. machines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by winding and pressing
    • A01F15/071Wrapping devices
    • A01F15/0715Wrapping the bale in the press chamber before opening said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0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 A01F15/106Feeding devices for the crop material e.g. precompression devices for round ba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롤베일러에 있어서, 호퍼내의 피성형재료가, 교반기의 틈새로부터 넘쳐 떨어져서 성형실내에 스며드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조출기구로부터 풀어지는 꼰실이나 네트를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내의 롤베일의 주위면으로 보내도록 한다.
호퍼(2)와, 이 호퍼(2)의 저면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를 장비하는 롤베일러에 있어서, 반송컨베이어(3)를,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조출기구(5)의 아래쪽의 근처 위치에 거치는 사이에 설치하는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조출기구(5)의 아래쪽에서부터 성형실(4)의 수납구(40)와의 사이에 거치도록 설치하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와를 분할하고, 이들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와를 각각 별도로 구동한다.

Description

롤베일러{roll baler}
본 발명은, 사료작물 등의 피성형재료를, 기계본체에 설치한 성형실에 보내어 롤베일로 성형하여 꾸리는 롤베일러 중에서, 기계본체에는, 베어 쓰러트린 사료작물 등의 피성형재료를 주워올리는 픽업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그 픽업장치 대신에, 피성형재료를 수납하는 호퍼를 설치하고, 이 호퍼에 수납한 피성형재료를, 그 호퍼의 저부의 아래쪽에 설치한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에 보내어, 롤베일로 성형하는 형태의 롤베일러에 대한 개량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형태의 롤베일러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개발하여 일본국 특원 2001-352852로서 출원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롤베일러(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륜(10)에 의해 주행하는 기계본체(1)의 앞부분측에, 피성형재료를 수납하는 호퍼(2)를 설치하고, 이 호퍼(2)의 저부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 이 곳에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후방을 향해서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를 설치하고, 기계본체(1)의 후부측에는, 상기 반송컨베이어(3)로 후방으로 반송되는 피성형재료를 수납구(40)로부터 수납되어 실내에 수장(收藏)하는 베일성형장치(41)에 의해 롤베일로 성형하는 성형실(4)(베일쳄버)을 설치하고, 이 성형실(4)과 상기 호퍼(2)와의 사이의 기계본체(1)의 전후의 중간부에, 상기 성형실(4)내에서 성형을 끝낸 피성형재료의 롤베일을 꾸리기 위한 꼰실이나 네트를 풀어내는 조출기구(5)를 설치하고, 또, 상기 호퍼(2)의 공동(空洞)의 저부에는, 이 호퍼(2)내에 수납한 피성형재료를 배출구(20)에 풀어내는 교반기(6)를 설치하여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도시하는 롤베일러(A)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의 차체에 연결 견인하고, 견인차에 의해 주행하는 피견인형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기계본체의 전단(前端)에는, 견인차의 차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히치에 대하여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11)과, 견인차에 장비되어 있는 PTO축에 대하여 입력축(12)을 연계하기 위한 유니버설조인트축(13)이 장치되어 있고, 이 유니버설조인트축(13)의 후단측에 연결시켜서 기계본체(1)에 지지시키는 입력축(12)에 의해, 상술한 반송컨베이어(3) 및 성형실(4)내에 장비되어 있는 베일성형장치(41) 및 꼰실 또는 네트의 조출기구(5) 및 교반기(6) 등에 회전동력을 전도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롤베일러(A)는, 견인하는 견인차에 장착된 수확기 혹은, 견인하는 견인차에 동반 주행하는 별도의 트랙터에 장착한 수확기에 의해 수확되어 잘게 절단되어 처리되고, 슈트에 의해 방출되는 피성형재료를 호퍼(2)로 받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반송컨베이어(3)로 성형실(4)에 보내고, 롤베일로 성형하도록 사용되거나, 또는, 수확기에 의해 수확되어 잘게 절단되어 처리되고, 이 수확기를 장치한 트랙터에 장비하는 보닛왜건 또는 로더버킷에 투입되는 피성형재료를, 이 보닛왜건 또는 로더버킷으로부터 호퍼(2)에 받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이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피성형재료를, 반송컨베이어(3)로 성형실(4)에 보내어 롤베일로 성형하여 가도록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계본체에는 픽업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그 대신에, 피성형재료를 받는 호퍼를 설치하고, 이 호퍼에 투입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한 피성형재료를, 이 호퍼의 저부의 배출구로부터 차례로 배출시켜서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로 보내어 롤베일로 성형하는 형태의 롤베일러는, 성형실내에서 성형하는 롤베일이 소정의 직경 또는 압력에 달하고, 이 때에, 조출기구를 작동시켜서 꼰실 또는 네트를 풀어내어 롤베일의 꾸리는 작업을 행할 때에, 교반기의 틈새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피성형재료가, 꼰실 또는 네트와 함께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에 보내어지도록 됨으로서, 꼰실 또는 네트감김의 외주에 부착한 상태로 되어, 성형하여 꾸려진 롤베일을 성형실로부터 방출하였을 때에, 넘쳐 떨어지고, 성형로스로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 통상의 롤베일러는, 꼰실 또는 네트감김으로부터 성형롤을 방출하고, 다시 피성형재료를 성형실에 넣기까지의 동안에, 주행을 정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작업능률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픽업장치를 구비하는 형태의 롤베일러에서는, 성형실내에서 성형하는 롤베일이 소정의 직경 또는 압력에 달하여 꼰실 또는 네트에 의해 꾸려질 때, 기계본체의 주행을 정지함으로서, 픽업장치로 들어올려지는 피성형재료가 없어지고, 따라서, 픽업장치와 일체의 반송컨베이어는, 꼰실 또는 네트만을 성형실에 보내게 되어, 상술한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상술한 형태의 롤베일러는, 성형실에 보내어지는 것이, 호퍼내에 투입된 피성형재료이며, 기계본체의 주행·정지에 관계없이 호퍼의 저부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어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내로 보내어지게 된다.
이 반송컨베이어는, 조출기구로부터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를 성형실내를 향해서 유도하는 데에 필요하므로 정지시킬 수는 없다.
이 때문에, 호퍼의 공동의 저부에 설치해 놓은 교반기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서, 호퍼의 저부의 배출구로부터의 피성형재료의 배출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는, 이 구동을 정지한 교반기의 틈새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피성형재료에 의해 생기는 문제이며, 상술한 형태의 롤베일러에는 숙명적인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교반기의 틈새로부터 넘쳐 떨어지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내에 보내는 일이 없도록 하면서, 조출기구로부터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를 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내의 롤베일의 주위면에 대하여 보내도록 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전의 롤베일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수단을 실시하는 롤베일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마찬가지로, 측면도이다.
도 4는, 마찬가지로, 전도기구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전도기구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마찬가지로, 조출기구의 네트가 풀어진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조출기구로부터 풀어진 네트가 롤베일러에 감겨져 있는 상태의 설명도이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롤베일러     H  수확기
L 패트롤램프   P  힌지
R  롤베일     S 간격공간(스페이스)
T  트랙터     a  연결히치
b  PTO축      n  네트
s  센서       1  기계본체
10  주행차륜  11  연결봉
12  입력축      13 유니버설조인트축14 케이스    2 호퍼
20 배출구 3   반송컨베이어
3a 호퍼측반송컨베이어 3b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
30 롤축 31 종단측의 롤측
4 성형실 4a 고정측
4b 회동측 40 수납구
41 베일성형장치 5 조출기구
50 두루마리 51 조출롤
52 가이드 53 조출롤러
6 교반기 6a 구동축
60 회전축 61 교반날개
70 전도케이스 71 전도축
72 전도륜 73 전도체인
74 클러치 75 전도체인
76 롤성형구동축 77 전도체인
78 전도기구 8 감지장치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호퍼의 저면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의 수납구에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를, 그것의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전반측(시단측(始端側))과 후반측(종단측)으로 반으로 나누고, 각각이 각각 별도로 구동되어 작동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 반송컨베이어의 전반측은, 기계본체에 설치하는 호퍼의 저부의 배출구의 아래쪽에서부터, 호퍼와 성형실과의 사이에 배치되는 조출기구의 아래쪽의 공간의 전단부에 거치도록 배치하고, 호퍼측반송컨베이어로서 기계본체에 설치하고, 또, 후반측은, 조출기구의 아래쪽공간에서부터 성형실의 수납구에 거치도록 배치하여 기계본체에 설치하고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로 하지만, 이 때, 이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의 시단부가 호퍼측반송컨베이어의 종단부의 아래쪽에 있어서 그 종단부와 상하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기계본체에 설치한다.
그리고, 이 반으로 나눈 반송컨베이어의 시단측에 위치하는 호퍼측반송컨베이어를, 성형실내에서 롤베일로 성형하는 피성형재료의 성형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가 감지작동을 행하였을 때에, 그것의 구동을 정지시켜서 피성형재료의 반송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조출기구로부터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를, 계속하여 구동하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에 보내고, 성형실내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의 롤베일로 성형한 피성형재료를 꾸리도록 하는 수단을 제기하는 것이다.
이 본 발명수단에 의하면, 호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호퍼측반송컨베이어로 반출하고, 그것을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에 받아서, 이 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의 수납구로부터 성형실내에 보내고, 롤베일로 성형하고, 이 성형이 끝난 시점에서 꼰실 또는 네트로 꾸릴 때에, 호퍼측반송컨베이어의 구동을 정지함으로서 피성형재료의 반출을 차단한 상태로 하여, 조출기구의 작동에 의해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를, 계속하여 작동하고 있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에 의해 성형실내의 롤베일의 주위면에 대하여 유도해 가도록 되어, 피성형재료를 반입하지 않고 꼰실 또는 네트만이 성형실에 공급되고, 성형로스가 없고 정확하게 꾸릴 수 있도록 된다.
[실시예]
다음 실시형태를,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수단을 실시하는 롤베일러(A)의 평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롤베일러(A)의 일부를 자른 측면도이며, 같은 도면에 있어서, (1)은 기계본체, (2)는 호퍼, (3)은 반송컨베이어, (4)는 성형실, (5)는 조출기구를 나타낸다.
기계본체(1)는 호퍼(2) 및 성형실(4) 등을 지지시키는 프레임으로, 적절한 형상·구조로 구성하여도 좋으며, 이 예에 있어서는, 주행차륜(10)에 의해 주행이 자유로운 차체 프레임 모양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예의 롤베일러(A)는, 피견인형의 형태로 한 것으로, 기계본체(1)의 전단측에는, 연결봉(11)과, 유니버설조인트축(13)으로 한 입력축(12)의 접수부(接手部)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랙터T의 차체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히치(a)에 연결봉(11)의 전단을 연결하고, 유니버설조인트축(13)을 트랙터T의 PTO축(b)과 연결함으로서, 같은 도 2·도 3과 같이 트랙터T에 의해 견인되어 주행하고, 또한, 기계본체(1) 위에 설치한 각 작업부의 구동이 트랙터(T)측의 원동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계본체(1)는, 이에 원동기를 탑재하고, 이에 의해 주행차륜(10)을구동함과 동시에 각 작업부를 구동하여, 자유주행형의 롤베일러로 구성하여도 좋다는 것은 물론이다.
호퍼(2)는, 예를 들면, 상술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본체(1)를 견인하는 트랙터(T)의 측면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수확기(H)에 의해 수확되어 잘게 절단되어 처리되고, 슈트에 의해 들어올려져 방출되는 사료작물 등을 피성형재료를 받아서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상면측이 수납구로서 개방되고, 저면측에 배출구(20)가 개구하는 깔대기모양으로 형성하는 통상의 것으로, 기계본체(1) 위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지만, 이 예에 있어서는, 기계본체(1)의 앞부분측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하고, 그것의 내부에서 배출구(20)의 윗쪽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호퍼(2)내를 횡단하는 회전축(60)에 교반날개(61)를 설치한 교반기(6)가 여러개 병렬로 지지되어 있다.
반송컨베이어(3)는, 상기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4)의 수납구(40)를 향해서 보내기 위한 것으로, 호퍼(2)의 배출구(20)의 아래쪽 위치에서부터 성형실(4)의 수납구(40)와의 사이에 거치도록 기계본체(1)에 설치하지만, 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성형실(4)은, 그것의 수납구(40)에 보내어져 오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4)내에 장치하고 있는 순환 회동하는 타이트바로 이루어지는 베일성형장치(41)에 의해 롤베일(R)로 성형하는 통상의 것으로, 상술한 호퍼(2)로부터, 반송컨베이어(3)의 반송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공간(S)을 띄운 위치에 배치하여 기계본체(1)에 설치한다.
호퍼(2)의 저면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의 반송방향을, 기계본체(1)의 진행방향인 전후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기계본체(1)에 설치한 호퍼(2)의 일측의 측방향에 있어서,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 상술한 간격공간(S)을 띄운 위치에 성형실(4)를 배치하여 기계본체(1)에 설치한다.
이 때, 성형실(4)은 그것의 한쪽 반측을 고정측(4a)으로 하여 기계본체(1)에 대하여 고정 장치하고, 다른쪽 반측을 회동측(4b)으로 하여 기계본체(1)에 고정하는 상기 고정측(4a)에 대하여 힌지(P)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지지하고, 이 회동측(4b)의 회동에 의해 성형실(4)을 개방하여 성형하고 꾸리는 작업이 끝난 롤베일(R)의 방출이 행하여지도록 하는 경우는, 회동측(4b)의 회동으로 성형실(4)이 기계본체(1)의 외방으로 개방하도록 기계본체(1)의 측단부에 설치한다.
또, 반송컨베이어(3)의 반송방향을, 기계본체(1)의 전후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고, 또한, 기계본체(1)의 후방을 향하여 피성형재료를 반송하도록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는, 호퍼(2)의 후방에 있어서 호퍼(2)로부터 상술한 간격공간(S)을 띄운 위치에 성형실(4)을 배치하여 기계본체(1)에 설치한다.
이 때에도, 성형실(4)의 한쪽 반측의 고정측(4a)을 기계본체(1)에 대하여 고정 장치하고, 다른쪽 반측의 회동측(4b)을 힌지(P)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측(4a)에 부착하여 지지하고, 그 회동측(4b)의 회동에 의해 성형실(4)내에서 성형하여 꾸린 롤베일(R)을 방출하도록 구성하는 경우에는, 회동측(4b)의 회동에 의해 성형실(4)이 기계본체(1)의 후방으로 개방하도록 기계본체(1)의 후단부에성형실(4)을 설치한다.
조출기구(5)는, 상기 성형실(4)내에 있어서 롤베일로 성형을 끝낸 피성형재료를 꾸리는 꼰실 또는 네트의 두루마리(50)와 이의 조출롤(51)과 가이드(52)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것으로, 상술한 호퍼(2)와 성형실(4)과의 사이에 형성한 간격공간(S)의 상부에 설치한다.
이 조출기구(5)로부터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n)는, 그 풀어지는 초기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간격공간(S)내에 늘어지고, 그 공간S의 저부에 배치되는 반송컨베이어(3)에 하단이 접촉하여 유도됨으로서 그 반송컨베이어(3)에 의해 성형실(4)의 수납구(40)로부터 성형실(4)내에서 회전하고 있는 롤베일(R)의 주위면에 대하여 풀어져 감기도록 된다.
이렇게 하여, 상술한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는, 호퍼(2)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상술한 조출기구(5)를 상부에 설치한 간격공간(S)의 저부를 경유하여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걸치는 사이에 설치하지만, 이 반송컨베이어(3)는, 그것을 반송방향에 있어서의 중간에서 분단하고, 반송방향의 시단측(전반측)과 종단측(후반측)으로 반으로 나누고, 그것의 시단측을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로서 호퍼(2)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상술한 간격공간(S)의 전단부에 면하는 사이에 배치하여 기계본체(1)에 설치하고, 종단측에 있어서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로서 상술한 간격공간(S)의 저부에서부터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걸치는 사이에 배치하고, 또한, 이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의 반송방향의 시단부가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의 종단부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종단부와 상하로 겹치도록 배치하여 기계본체(1)에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호퍼(2)내의 피성형재료가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면, 이것을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가 받아서 반송하고, 그 컨베이어(3a)의 종단에서부터 방출되면, 그것을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가 받아서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보내도록 한다.
그리고, 이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는, 각각, 각각 별도로 구동의 ON·OFF의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구동기구에 연계한다.
이 구동기구에의 연계는, 도시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기계본체(1)에 지지한 입력축(12)의 후단측을,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계본체(1)의 전후의 중간에서 좌우의 대략 중앙 위치에 설치한 전도케이스(70)의 내부에 수장하는 전도기구(도시생략)를 개재하여, 그 전도케이스(70)에 가로로 걸쳐서 축지지하는 전도축(71)에 전도하고, 이 전도축(71)의 좌우의 축단부를, 그것의 도 5에 있어서 우단부가 되는 한쪽의 축단부에 있어서는, 상술한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의 종단측의 롤축(30)에 끼워설치하는 전도륜(72)에 전도체인(73)을 개재하여 전도하고, 이 전도륜(72)을 롤축(30)에 대하여, 클러치레버의 작동에 의해 ON·OFF의 조작이 행하여지는 클러치(74)를 개재하여 전도함과 동시에, 그 전도륜(72)을, 상술한 병렬로 한 교반기(6)…의 구동축(6a)에 전도하고, 클러치(74)의 ON·OFF의 작동에 의해,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 및 교반기(6)의 구동과 그것의 정지와의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한다.
또, 전도축(71)의 다른 방향의 축단부(도 5에 있어서 좌단측)에 있어서는, 전도체인(75)을 개재하여 롤성형구동축(76)의 한쪽 방향(도 5에 있어서 왼쪽방향)의 축단부에 전도하고, 그 롤성형구동축(76)의 다른 방향의 축단부를, 전도체인(77)을 개재하여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의 종단측의 롤축(31)에 전도하고, 또한, 이 롤성형구동축(76)의 다른 방향의 축단부를, 전도기구(78)를 개재하여 조출기구(5)의 네트조출롤러축(53)에 전도함으로서, 입력축(12)을 개재하여 입력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 및 교반기(6)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 및 성형실(4)내의 베일성형장치(41) 및 꼰실 또는 네트의 조출기구(5)와의 구동이 행하여지고, 이 상태에 있어서, 클러치(74)를 “OFF”로 작동시킴으로서,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 및 교반기(6)의 구동이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롤성형구동축(76)과 네트롤러축(53)과의 사이의 전도기구(78)에는, 성형실(4)내에서 성형하는 롤베일(R)이 소정의 직경 또는 압력의 롤로 성형되고, 그것의 성형압력을 감지하는 감지장치(8)가 감지작동을 행하였을 때에, 전도를 ON으로 하여 조출기구(5)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도시생략)가 내장되고, 이것에 의해, 성형실(4)내에서 성형하는 피성형재료에 대하여, 이것이 소정의 성형압력에 달하였을 때, 조출기구(5)가 작동하여 꼰실 또는 네트의 풀어짐이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이 성형실(4)내에서 성형하는 피성형재료가 소정의 성형압력에 달한 것을 감지하는 감지장치(8)는, 그것의 감지작동을, 성형압력의 증대에 의해 힌지(P)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되는 성형실(4)의 회동측(4b)의 움직임을 리밋스위치로 잡아서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전기식으로 하여도 좋으며, 또, 이것의 감지작동으로 제어되는 조출기구(5)의 구동을 ON·OFF하는 클러치도, 전자클러치를 사용하는 등 전기식으로 하여도 좋은 것이며, 또한,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전도축(71)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클러치(74)도 전자클러치로 하여도 좋은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서, 감지장치(8)가 소정의 성형압력을 감지하는 작동을 행하였을 때에, 클러치(74)를 ON으로 하여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 및 교반기(6)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또, 조출기구(5)의 구동을 제어하는 클러치를 ON으로 하여 조출기구(5)를 작동시키고, 꼰실 또는 네트를 풀어내어, 피성형재료의 배출이 없는 상태로 하여 롤의 꾸리는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이 때, 조출기구(5)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출기구(5)와 성형실(4)의 수납구(40)와의 중간위치에, 조출기구(5)로부터 풀어져서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유도되는 꼰실 또는 네트n에 접하고 그것을 감지하는 센서(s)를 설치하고, 그 센서(s)의 감지작동으로, 예를 들면, 조출기구(5)를 수장한 케이스(14)의 상면에 설치하는, 점멸을 반복하는 패트롤램프(L)를, ON으로 작동시키거나, 기계본체(1)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하는 버저 등의 통지수단을 작동시킴으로서, 조출기구(5)로부터의 꼰실 또는 네트의 풀어지는 상태를 오퍼레이터 또는 공동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수단은,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를, 호퍼(2)의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꼰실 또는 네트를 풀어내는 조출기구(5)의 아래쪽의 근처 위치까지 반출하는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그것의 종단에서부터 방출되는 피성형재료를 받아서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반송하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로 분할하고, 그것들을 각각 별도로 구동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성형실(4)내에 있어서의 피성형재료의 성형이 소정의 성형압력에 달하였을 때에,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조출기구(5)를 작동시킴으로서, 조출기구(5)로부터 풀어지는 꼰실 또는 네트를, 피성형재료의 반입이 없는 상태로 하여 성형실(4)내의 롤베일에 공급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점에서, 피성형재료가, 꼰실이나 네트 감김의 외주에 부착한 상태로 성형되는 것이 해소됨으로서, 성형하여 꾸리는 롤베일을 성형실로부터 방출할 때에, 피성형재료가 넘쳐 떨어지는 일이 없어지고 성형로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반송컨베이어를, 호퍼측반송컨베이어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로 분할하고, 각각 별도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성형실내의 압력이 설정압이 되었을 때는, 호퍼측반송컨베이어를 정지하고, 성형실내에의 피성형재료의 공급을 정지하고, 그 동안에 성형이 끝난 롤베일의 외주에 꼰실이나 네트를 공급하고 감아서 꾸려 성형실로부터 방출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계본체의 주행 및 호퍼에의 피성형재료의 취입공급을 정지시키는 일 없이 연속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고능률 작업을 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기계본체(1)에, 피성형재료를 수납하는 호퍼(2)와, 피성형재료를 롤베일(R)로 성형하는 성형실(4)을, 그들 사이에 간격공간(S)을 형성하여 설치하고, 그 간격공간(S)의 상부에 꼰실이나 네트를 풀어내는 조출기구(5)를 설치하고, 호퍼(2)의 저면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간격공간(S)의 하부를 경유하여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거치는 동안, 상기 배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피성형재료를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반송하는 반송컨베이어(3)를 설치하는 롤베일러에 있어서, 반송컨베이어(3)를, 호퍼(2) 저부의 배출구(20)의 아래쪽에서부터 조출기구(5)의 아래쪽의 근처 위치에 이르는 사이에 설치하는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그 컨베이어(3a)의 종단에서부터 방출되는 피성형재료를 받아서, 성형실(4)의 수납구(40)에 보내도록 조출기구(5)의 아래쪽에서부터 성형실(4)의 수납구(40)와의 사이에 걸치도록 설치하는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로 분할하고, 이들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를 각각 별도로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베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의 종단의 아래쪽에,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의 시단이 겹쳐서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와 성형실측반송컨베이어(3b)를 기계본체(1)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베일러.
  3. 제 1 항에 있어서,
    호퍼측반송컨베이어(3a)를, 그것의 구동의 정지가, 성형실(4)에 성형압력을 감지하도록 내장하는 감지장치(8)의 감지작동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베일러.
KR1020030061240A 2002-10-18 2003-09-02 롤베일러 KR100935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3967A JP3843056B2 (ja) 2002-10-18 2002-10-18 ロールベーラ
JPJP-P-2002-00303967 2002-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4383A true KR20040034383A (ko) 2004-04-28
KR100935557B1 KR100935557B1 (ko) 2010-01-07

Family

ID=3204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240A KR100935557B1 (ko) 2002-10-18 2003-09-02 롤베일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03933B2 (ko)
EP (1) EP1410709B1 (ko)
JP (1) JP3843056B2 (ko)
KR (1) KR100935557B1 (ko)
DE (1) DE60312097T2 (ko)
ES (1) ES228069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3056B2 (ja) * 2002-10-18 2006-11-08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ラ
JP4761452B2 (ja) * 2006-02-07 2011-08-31 株式会社タカキタ 被牽引型のロールベーラの遠隔制御装置
JP4680137B2 (ja) * 2006-07-07 2011-05-11 株式会社タカキタ 細断型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被成形材料の供給制御方法
US7743595B2 (en) * 2007-07-06 2010-06-29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Agriculture And Agri-Food Canada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woody crops
JP4933987B2 (ja) * 2007-08-31 2012-05-16 株式会社Ihiスター ロールベーラ
JP5060380B2 (ja) * 2008-04-24 2012-10-31 株式会社Ihiスター ロールベーラ
US8443580B2 (en) 2009-07-31 2013-05-21 Agco Corporation Baler pickup for coll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US20110023436A1 (en) * 2009-07-31 2011-02-03 Agco Corporation Baler Tongue for Collecting Biomass
US20110023439A1 (en) * 2009-07-31 2011-02-03 Agco Corporation Biomass Deflector
US8490375B2 (en) * 2009-07-31 2013-07-23 Agco Corporation Baler collector for coll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US20110023440A1 (en) * 2009-07-31 2011-02-03 Agco Corporation Method For Projecting Biomass From A Combine Harvester
US8464508B2 (en) * 2009-07-31 2013-06-18 Agco Corporation Biomass baler
US8250843B2 (en) * 2010-03-31 2012-08-28 Weyerhaeuser Nr Company Combination biomass harvester and baler
KR200465117Y1 (ko) 2010-10-22 2013-02-04 주식회사 명성 이동식 베일 사일리지용 조사료작물 공급장치
US20120124956A1 (en) * 2010-11-18 2012-05-24 Oakes Scott D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ing a Grain Crop
US8707865B2 (en) * 2011-05-24 2014-04-29 Scott D. Oakes Continuous baler with surge bin
US8733073B2 (en) * 2011-09-22 2014-05-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ystem and apparatus for cutting, windrowing, and baling material in a single pass
US10721872B2 (en) * 2014-05-19 2020-07-28 Daniel Gaudreault Baling apparatus and method
US11432465B2 (en) * 2014-05-19 2022-09-06 Gyro-Trac Corporation Shredding and baling apparatus and method
US10257987B2 (en) 2014-07-23 2019-04-16 Cnh Industrial America Llc Feed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implement
US9345196B1 (en) * 2014-11-05 2016-05-24 Deere & Company Cotton handling system with mechanical sequencing
NO20150983A1 (en) * 2015-07-31 2016-10-17 Orkel Dev As Compactor for bulk material
CN109292136B (zh) * 2018-09-14 2020-05-26 广州机施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隔墙板打包机器人
WO2020223766A1 (en) * 2019-05-07 2020-11-12 Glenvar Pastoral Company Pty Ltd Combine harvester power apparatus
US11547056B2 (en) * 2020-03-11 2023-01-10 Cnh Industrial America Llc Frame assembly for an agricultural round bal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27223A (en) * 1949-08-08 1953-02-03 Howard J Berge Baling machine for compacting straw and stalks from harvesting machines into cylindrical bales
DE3039595A1 (de) * 1980-10-21 1982-05-19 Werner 5620 Velbert Doppstadt Maehgeraet
US4602471A (en) * 1985-05-28 1986-07-29 Owens-Corning Fiberglas Corporation Roll-up method and apparatus for mineral fiber pack
SE458250B (sv) * 1987-10-27 1989-03-13 Joh Gjoennes Mek Verksted Jern Maskin foer pressning av straafoder
US5255501A (en) * 1992-02-28 1993-10-26 Mcwilliams Alexander Baler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JP3539516B2 (ja) * 1995-07-12 2004-07-07 株式会社アテックス ロールベーラのベール成形感知装置
US6032446A (en) * 1998-04-06 2000-03-07 Deere & Company Den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arvested cotton or other similar fibrous material
JP4001193B2 (ja) * 1999-06-28 2007-10-31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ロールベーラ
DE19932336A1 (de) * 1999-07-10 2001-01-11 Lely Welger Maschinenfabrik Gm Kontinuierlich arbeitende Rundballenpresse
US6263650B1 (en) * 1999-09-23 2001-07-24 Deere & Company Cotton harvester with accumulator
US6321507B1 (en) * 1999-10-29 2001-11-27 Owens Corning Fiberglas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packaging insulation material
US6591743B2 (en) * 2001-02-01 2003-07-15 Deere & Company Cott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EP1264532B1 (en) * 2001-06-06 2007-11-21 Deere & Company Round baler
JP3976552B2 (ja) * 2001-11-19 2007-09-19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ラ
JP3843056B2 (ja) 2002-10-18 2006-11-08 株式会社タカキタ ロールベ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0696T3 (es) 2007-09-16
EP1410709A1 (en) 2004-04-21
US20040074209A1 (en) 2004-04-22
JP3843056B2 (ja) 2006-11-08
EP1410709B1 (en) 2007-02-28
US7003933B2 (en) 2006-02-28
JP2004135594A (ja) 2004-05-13
DE60312097T2 (de) 2007-08-30
KR100935557B1 (ko) 2010-01-07
DE60312097D1 (de) 200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5557B1 (ko) 롤베일러
EP0252485B1 (en)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JP3976552B2 (ja) ロールベーラ
US6421992B1 (en) Cotton harvester with two bale chambers
US6050052A (en) Round baler having positive start wrapper dispensing mechanism
US6651418B1 (en) Modular pickup, stuffer, and rotor
EP0337006B1 (en) Baling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IES20020207A2 (en) A baler
JPH07100237B2 (ja) わら材圧縮成形物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4258619A (en) Rotary baler having bale-ejecting apparatus
KR102541726B1 (ko) 농업용 베일러
CA1305358C (en)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US4567718A (en) Round bale forming machine with pickup disconnect mechanism
EP0474719A1 (en) Bale-wrapper apparatus
EP3593627A1 (en) Constant tension mechanism of tying net for roll bales
JP3886508B2 (ja) ロールベーラ
KR101228567B1 (ko) 쵸핑 사료작물의 베일링 기구
US4023479A (en) Twine wrapper with spring supplement for round bales
JP4107944B2 (ja) ロールベーラのホッパにおける被成形材料の吹き込み案内装置
JP4595049B2 (ja) ロールベーラ
US5984217A (en) Bale dispenser
JPH08151U (ja) 車載式細断物梱包装置
KR200166595Y1 (ko) 농업용 베일래퍼
JP4362158B2 (ja) ロールベーラにおけるロールベール蹴出し装置
EP0235650B1 (en) Machine for forming cylindrical bales of cr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