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788A -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788A
KR20040028788A KR10-2003-7016588A KR20037016588A KR20040028788A KR 20040028788 A KR20040028788 A KR 20040028788A KR 20037016588 A KR20037016588 A KR 20037016588A KR 20040028788 A KR20040028788 A KR 2004002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member
vehicle
portions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포르켈마이클
바우에르삭스안드리아
라우쉬피터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04002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내장, 특히 상기 내장 및 베이스부를 에워싸는 에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큰 영역의 베이스부를 갖는, 등받이 내장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인접 지지부(support regions)(41, 42, 43, 43', 43", 44, 44')가 상기 베이스부(40)의 에지부(R1, R2, R3, R4)를 따라서 제공되고, 상기 에지부(R1, R2, R3, R4)로부터 돌출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SUPPORT ELEMENT FOR UPHOLSTERING ON A VEHICLE SEAT}
이 종류의 지지부재(support element)는 내장(upholstery)의 후부(back)에 맞도록 구성되며 제공되고 차량 점유자가 상기 내장의 전방 측면에 기댈 때 발생하는 압축력을 흡수하고 분배하도록 설정되는 큰 표면 영역 베이스부(base region)를 포함한다. 이 종류의 지지부재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backrest) 내장과 상기 등받이 내장의 후부을 따라 뻗어 있는 만곡부재(curved element)의 사이에 특히 맞도록 제공되고, 상기 만곡부재의 위치 및/또는 곡률은 상기 등받이 내장의 곡률을 여러 가지 다른 차량 점유자의 필요에 적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장치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차량 시트용 등받이가 독일 특허 DE 36 19 188 C1에 알려져 있으며 여기서 상기 내장 패딩(padding)은 두 개의 판 스프링의 형태의 만곡부재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압력 분배판이 상기 판 스프링과 패딩 사이에 장착된다.
지지부재를 예를 들면, 상기 만곡부재와 등받이 패딩 사이의 압력 분배판의형태로 맞춤으로써 상기 만곡부재는 직접 내장에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기 만곡부재의 더욱 현저한 곡률까지도- 차량 점유자의 등 부위의 큰 표면 인간 공학의 지지를 보장하도록 구성되는 지지부재를 통하여 작용한다. 그것은 특히 상기 만곡부재의 각 조절 동안 관련된 차량 점유자의 등을 위한 지지가 관련 등 부위의 형상에 적응시키는 큰 표면 영역 지지부재를 통하여 달성되는, 즉, 충분히 플렉시블한(탄성적으로 아치를 이루는) 지지부재는 상기 만곡부재의 조절에 의하여 뿐만 아니라 동시에 관련 차량 점유자의 등 부위의 형상에 의하여도 결정되며 그 때문에 최적의 방식으로 인간 공학적으로 적응된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내장, 특히 특허 청구범위 제1항의 전반부에 따른 등받이 내장용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드라이브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그에 고정되는 만곡부재 및 상기 만곡부재의 전방에 장착되는 대형 표면 지지부재를 갖는 등받이의 4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a 내지 도 1d의 상기 지지부재의 4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a 내지 도 1d의 상기 만곡부재의 4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서로 결합되는 도 1a 내지 2d의 상기 만곡부재 및 지지부재의 3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만곡부재의 조절장치의 3개의 다른 설정의 도 1a내지 도 1d의 배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조절장치에 대한 도 1a 내지 도 2d의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에 언급된 종류의 지지부재, 특히 차량 점유자의 착석 안락감을 개선하는데 있다.
이것은 특허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지지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각 지지부가 지지부재의 큰 표면 베이스부의 에지로부터 서로 이웃하여 돌출된다. 지지부재의 큰 표면 베이스부의 에지를 따라 이 방식으로 추가 지지부(지지 형상 핑거)를 배치함으로써(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에 형성되는) 점유자의 등 부위의 특히 균일한 지지가 달성될 수 있고 사람의 등 부위에 특히 양호한 적응이 상기 만곡부재의 관련 설정과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에지를 따라 적어도 2개의 지지부의 인접하는 배치에 의한다는 것은 그 때문에 2개의 지지부는 에지가 2개의 상기 지지부 사이를 따라 뻗어 있는 하나의 공간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2개의 지지부는 상기 공간 방향을 따라 걸치는 하나의 에지부에 인접하여 특히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에지부를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고 그 때문에 교대로 쌍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3개의 지지부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부의 에지에 일체로 형성되는 돌출부에 의하여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베이스부의 에지를 따라 복수의 지지부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는 그 에지부에서 특정 탄성(중앙의 베이스부와 비교하여 상승된)을 가지고 있어 상기 지지부재를 점유자의 등 부위에 적응시킬 가능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전체로서 아치형으로 만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의 에지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각각 단지 연결되지만 그러나 서로 부가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개개의 특히 인접하는 지지부가 서로에 대하여 개개의 지지부의 이동성을 (상당히) 제한하지 않는 (느슨한) 재료 영역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의 탄성을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인접하는 지지부는 서로 오버랩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오버랩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에지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에 바람직하게 각각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부에 상기 지지부의 연결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베이스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테이퍼지는 연결부를 통하여, 예를 들면 웨브(web)로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연결부에서, 이것은 상기 연결부의 폭, 즉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그 연장부가 상기 연결부의 측면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최대 폭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상기 지지부의 특정 탄성이 보장되고 따라서 관련 차량 점유자에 특히 양호한 적응성이 보장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의 관련 에지부가 위치하는 동일 평면에 실질적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면에 둔각으로 될 수 있어 상기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장을 향하여 각도를 이룬다. 상기 지지부재의 지지 작용은 특히 압축력의 일정한 흡수 및 분배에 대하여, 그 때문에 더욱 향상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큰 표면 베이스부로 상기 베이스부는 쌍으로 서로 각각 대향하는 4개의 에지부를 가지고 있고 그 때문에 복수개의 이격된 지지부가 적어도 하나의 에지부에 제공된다. 수직의 등받이를 갖는 차량 시트에서 지지부재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상기 지지부는 예를 들면 상부 및/또는 하부 에지부 뿐만 아니라 그 중 하나의 에지부 또는 바람직하게는 양측 에지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특히 스웨이지(swages) 또는 리브(ribs) 형태, 뿐만 아니라 필요한 취약부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전체 표면을 따라 평평하게 되는 한정된 압력 경로를 달성하기 위하여 특히 구멍(openings) 또는 슬릿(slits) 형태의 보강부(reinforcement regions)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에지에 제공된 베이스부로 뻗어 있을 수 있어, 즉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지지부의 강성이 그 자유단을 향하여(상기 베이스부의 에지부로부터 멀리) 감소된다.
등받이 내장용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의 하부 에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의 경우에 상기 지지부재의 특히 유연한 형성이 점유자의 척추에 너무 많은 압력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보강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예를 들면, 리브(rib)의 형태로 기다란 보강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한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른 크기의 지지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에지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예를 들면 제1 크기 및 상기 제1 크기와 다른 제2 크기의 지지부가 교대로(상기 지지부재의 평면에서 그 표면 영역에 대하여) 배치되어 테두리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탄성 특성을 갖는 큰 지지 표면 영역은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점유자의 어깨뼈 부위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종류의 배치는 특히 등받이 내장용 지지부재의 상부 에지부의 영역에 제공된다.
외형, 즉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예를 들면 그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의 에지는 바람직하게 만곡되고, 즉 예리한 에지가 없고 그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지지 특성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의 코너부에 제공되고 예를 들면, 보강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표면영역의 비대칭 분할을 가지고 있고, 그 때문에 더 작은 표면이 외측으로, 즉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멀리 향하고 더 큰 표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더 먼 지지부를 향한다. 압력을 받고 있을 때 대응하는 지지부는 그 때문에 조정되어 외측으로 향하는 외측 표면 영역이 전방으로 이동되고 점유자의 측면 지지가 그 때문에 향상된다. 이에 필요한 비대칭 표면 분할은 예를 들면, 추가적인 내측으로 향하는 표면부가 대응하는 지지부에 제공되고 지지 표면의 내측으로 향하는 레버 암(lever arm)이 외측으로 향하는 레버 암보다 크도록 내측으로 향하는 표면부가 외측으로 향하는 표면부에 대하여 다소 다른 방식으로 확대되는 점으로 달성될 수 있다.
압축력을 더 고르게 하기 위하여 지지부재는 특히 관통공의 형태로, 압력 분배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재를 갖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는 특허 청구범위 제25항의 특징을 갖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등받이는 등받이 내장의 후부를 따라 뻗어 있는 만곡부재뿐만 아니라, 상기 만곡부재의 위치 및/또는 곡률이 상기 등받이 내장의 곡률을 조절하도록 조절될 수 있는 조절장치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만곡부재와 등받이 내장 사이에 뻗어 있어 일 측면에서 상기 만곡부재와 활성 연결 상태에 있고 다른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등받이 내장에 기대어 지지된다.
상기 등받이 내장의 곡률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만곡부재와 관련된 조절장치는 상기 만곡부재와 활성 연결 상태로 연결될 수 있고 그 때문에 상기 만곡부재를 통하여 상기 등받이 내장의 지지부재에 작용하는, 예를 들면, 편심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만곡부재는 물론 상기 지지부재도 선택된 지점에, 특히 등받이 프레임의 그 상부 및 하부 에지의 영역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관련된 조절 장치는 설정에 따라 고정 지점 사이에서 상기 만곡부재 또는 지지부재의 규정된 곡률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점유자의 등의 인간 공학적인 지지를 위하여 중요한 것은 특히 상기 지지부재의 만곡 특성이다. 그 때문에 상기 만곡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관련된 조절장치에 연결하도록 작용한다. 이것은 조절장치를 작동시킬 때 상기 만곡부재의 곡률을 통하여나 변위를 통하여도 발생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상기 변위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평면을 가로질러 발생된다.
그러나 그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의 곡률은 상기 조절장치의 설정에 의하여 결정될 뿐만 아니라 특히 등 부위의 형상 및 시트에 착석하는 점유자의 무게에 의하여도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만곡부재는 상기 조절장치의 조절부재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에서, 등받이에 기대어 지지하는 영역에서 보다 큰 강성을 구비한다. 한편으로 상기 만곡부재가 상기 관련된 조절장치의 조절력을 흡수하고 상기 조절력을 상기 지지부재로 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기 만곡부재의 충분히 플렉시블한 접촉 베어링이 얻어지는 것이 보장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만곡부재는 상기 만곡부재의 중앙부를 통하여 함께 연결되는 증가된 강성의 2개의 기다란 측부(side regions)를 가지고 있다. 상기중앙부는 예를 들면, 가로 바(transverse bar) 또는 스테이(stay)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된다. 증가된 강성 부분을 적어도 하나의 더 낮은 강성 부분과 분리하기 위하여 슬릿 형태의 취약부가 제공될 수 있다. 보강 리브 또는 보강 스웨이지가 예를 들면, 만곡부재에 증가된 강성 부분을 제공하는데 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만곡부재보다 그 연장 평면에서 큰 표면 영역을 갖고 형성된다.
임의의 부재는 만곡부재, 예를 들면, 편심 디스크, 또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형태의 당김 수단(draw means)의 원하는 조절을 가능케 한다면 상기 만곡부재에 작용하는 조절부재로서 작용한다.
도 1a 내지 도 1d에 따른 전체도, 및 도 2a 내지 도 2d,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만곡부재(curved element)(3)가 조절장치(2)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곡률을 갖고, 조절가능한 척추전만 지지(lordosis support)를 발생하는 등받이 프레임(1)을 갖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back rest)가 도시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 중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매달려 있고 상기 조절장치(2)가 고정되는 와이어 그리드(wire grid)만이 도시된다.
상기 만곡부재(3)는 등받이 길이 방향(L)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측면부(side section)(31, 32) 및 이들 측면부(31, 32)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등받이 길이 방향(L)을 교차하여 뻗어 있는 크로스 바(cross bar)(30)로 구성된다. 상기 만곡부재(3)의 두 측면부(31, 32) 각각은 보강 스웨이지(reinforcement swage)(34)를 갖고 있어 플렉시블한 크로스 바(30)보다 더 견고하다.
상기 만곡부재(3)의 두 측면(31, 32)을 중앙의 크로스 바(3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 바(30)를 향하는 상기 만곡부재(3)의 관련 측면부(31, 32)의 측면 상에 뻗어 있는 두 개의 세로 슬릿(longitudinal slits)(36)이 제공된다. 이들 슬릿(36)의 단부(37)는 각각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재(3)의 상기 측면부(31, 32)의 추가적인 보강은 그 때문에 상기 측면부(31, 32)가 그 외측 에지(31a, 32a)에서 실질적으로 L자 형상으로 각도를 이루는 점에 이른다. 상기 에지부(31a, 32a)의 이러한 변형은 상기 보강 스웨이지(34)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보강부(31, 32)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만곡부재(3)의 위치 및/또는 곡률을 조절하기 위하여, 공통의 드라이브(common drive)(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샤프트(23)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편심 디스크(eccentric discs)(21, 22)를 갖는 전기 조절장치(2)가 존재한다. 상기 편심 디스크(21, 2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만곡부재(3)의 연장면을 가로질러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만곡부재(3)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a 내지 도 5c 참조). 그 때문에 상기 길이 조절은 드라이브(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두 개의 편심 디스크(21, 22)가 회전가능하게 안정되게 장착되는 샤프트(23)를 통하여 전기 드라이브(20)에 의하여 상기 편심 디스크(21, 22)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초기 단계에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과 만곡부재(3) 사이의 거리 변화가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 또는 등받이의 길이 방향(L)을 횡단하는 상기 만곡부재의 실질적인 변위가 되는 가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에 대한 상기 만곡부재(3)의 배치에 의존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따른 개략도에서 상기 만곡부재(3)는 등받이의 길이 방향(L)을 횡단하는 시트 프레임(1)에 대하여 변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편심 디스크(21, 22)의 조절은 이 경우에 등받이의 길이 방향(L)을 횡단하는 상기 만곡부재(3)의 변위에 이르게 한다.
이에 반해서 상기 만곡부재(3)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L) 상에 직접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 의하여 고정되면(도 6의 다음 설명을 참조할 것), 또한 상기 편심 디스크(21, 22)의 조절은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의 변화를 주로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만곡부재(3)는 상기 등받이의 내장에 기대어 지지하기 위하여 직접 제공되지 않지만 상기 등받이 쿠션에 상기 만곡부재(3)의 직접적인 작용이 없도록 추가 지지부재(4)가 상기 만곡부재의 전방 및 따라서 상기 만곡부재와 시트 백(seat back)의 시트 내장 사이에 뻗어 있다. 상기 등받이 내장(P)의 위치가 도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등받이의 형태로 상기 만곡부재(3)의 전방에 장착되는 상기 지지부재(4)는 복수개의 구멍(49)을 구비한 베이스부와 같은 큰 표면 영역을 갖는 탄성 만곡 베이스부(40)를 포함한다. 관통공 형태의 이들 구멍(49)은 상기 지지부재(4)의 각 지점에서 압력의 축적을 방지하고 상기 베이스부(40)의 전체 표면 영역을 따라 작용하는 가능한 가장 균일한 압력 경로를 발생하는 압력 분배부(pressure distribution regions)로서 작용한다.
상기 지지부재(4)의 베이스부(40)는 대향하는 쌍의 에지부(R1, R2 및 R3, R4)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지부(R1, R2, R3, R4)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차량 시트에서 상기 지지부재(4)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가 수직으로 설정되면 이들 에지부는 두 개의 측면 에지부(R1, R2), 상부 에지부(R3) 및 하부 에지부(R4)를 형성한다.
지지부(41 내지 44)는 측면 에지부(R1, R2) 및 상기 등받이 길이 방향(L)으로 상기 지지부재(4)의 상부 및 하부 에지부(R3, R4)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의 베이스부(40)와 일체로 연결 웨브(connecting webs)(V)를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41 내지 44)와 결합되는 연결 웨브(V)는 그 때문에 그 연장 방향[관련 지지부(41, 42, 43, 44)로부터 대형 표면 베이스부(40)로 연결 방향]을 가로질러 상기 지지부(41 내지 44) 그 자신보다도 더 작게 연장된다. 즉, 상기 웨브(상면에 형성된 연결 방향에 수직한 웨브의 연장에 대응함)의 폭(b)은 이 방향으로 상기 각 지지부(41, 42, 43, 44)의 대응 폭(B)보다 작다.
이들 일체 형성된 지지부(41 내지 44)는 정렬된 위치로 측부 및 상부와 하부 등 부분을 균일하게 지지하고 상기 연결 웨브의 감소된 폭(b)의 결과로서 점유자의 착석 위지에 따라 상기 점유자(occupant)의 등의 형상에 적응하도록 충분히 탄성적인 지지 형상 핑거(support contour fingers)로서 작용한다.
특히 도 2b 내지 도 2d 및 도 4a로부터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가 상기 지지부재(4)의 베이스부(40)의 연장면에 둔각으로 각각 기울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상기 지지부재(4)의 전방측, 즉 상기 만곡부재(3)로부터 떨어져 상기 지지부재(4)의 측면에 장착되는 등받이 내장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베이스부(40)와 각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양호한 지지 특성을 위하여 상기 각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의 외형은 각각 만곡되게, 따라서 특히 예리한 에지가 없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의 베이스부(40)의 상부 에지부(R3)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43, 43', 43")는 다른 크기, 즉 상기 지지부재(4)의 평면에 다른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 특히 두 개의 지지부(43)는 다른 지지부(43', 43")보다 상기 베이스부(40)의 상부 에지부(R3)에 수직한 방향으로 더 큰 연장부를 가지고 있다. 대형 지지부(43) 및 소형 지지부(43')는 그 때문에 나란히 교대로 배치되고 함께 테두리를 형성하여 차량 점유자의 상부 등(back) 부분용 하나의 큰 표면 영역 탄성 지지부를 형성한다.
도 1a 내지 도 4c로부터 상기 베이스부(40)의 코너부, 즉 상부 및 하부 에지부(R3, R4)와 상기 측면 에지부(R1, R2)의 교차점에 제공되는 상기 지지부(43', 44")는 각각 내측으로 향하는[즉, 인접하는 지지부(43, 44)로] 추가 핑거(43f, 44f)를 가지고 있다. 상기 추가 핑거(43f, 44f)의 결과로서 관련 지지부재(43', 44')의 내측부(43a, 44a)는 각각 외측에 위치하는 대응 외측부(43b, 44b)보다 더 큰 표면 영역을 가지고 있어, 관련 내측부(43a, 44a)는 인접하는 지지부(43, 44)를 향하고 상기 외측부(43b, 44b)를 향하고 있고, 상기 외측부(43b, 44b)는 상기 지지부재(4)로부터 외측으로 향하고 있다. 상기 표면 영역의 이러한 비대칭 분할을 통하여 상기 등받이 내장에 기대어 휴식하는 차량 점유자에 의하여 대응하는 지지부(43', 44')에 변형이 가해지는 경우에 관련 지지부(43', 44')가 조정되어 상기 외측부(43b, 44b)가 전방으로, 따라서 상기 등받이 내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측면 지지가 개선된다.
또한 보강 리브(ribs)(48)의 형태로 기다란 보강부(reinforcement regions)가 상기 지지부재(4)[등받이 셸(backrest shell)]에 제공되고 여기에서 상부 형성 재료부(43)의 영역으로, 즉 관련 지지부(43)로부터 상기 베이스부(40)로 관련 연결웨브(V)에 평행하게 뻗어 있다. 상부 일체 형성 지지부(43)의 강성은 그 때문에 나머지 지지부(41, 42, 43, 44)와 비교하여 증가된다. 차량 점유자의 상부 등 또는 어깨 부분과 관련되는 상부 지지부(43)의 보강은 특히 바람직한 지지 특성에 이르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상기 지지부(43, 43')는 그 때문에 관련되는 기다란 보강부(48)에 의하여 형성되는 축을 중심으로 각각 탄력적으로 형성된 회전가능한 스프링이다. 그러나 차량 점유자의 하부 척추 컬럼에 배치되는 하부 지지부(44)와 함께 비교적 부드러운 형성이 바람직하다.
기다란 보강부(48)가 대응하는 지지부(43, 43')의 자유단[상기 베이스부(40)로부터 멀리 떨어진)을 향하여 테이퍼진다는 것을 도 4a를 참조하여 특히 알 수 있다. 여기서 관련 지지부(43, 43')의 강성은 그 자유단을 향하여 감소되고 상기 관련 지지부(43, 43')의 탄성은 그 자유단을 향하여 증가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48)는 상기 베이스부(40)의 상부 코너에 제공된 상기 지지부(43')를 상기 보강부(48)에 의하여 서로 분리된 내측부(43a)와 외측부(43b)로 분할하도록 한다.
그 중앙부(45)에서 상기 지지부재(4)는 등받이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뻗어 있는 리세스(recesses)(46) 및 웨브(47)를 가지고 있어 그에 따라 점유자의 척추 컬럼을 위한 자유 공간(free space)이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4c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점유자의 등 부분, 특히 척추전만 부분을 지지하는 배치의 바람직한 인간 공학의 적용은 한편으로 조절장치(2)가 작용하는 상기 만곡부재(3) 및 다른 한편으로 등받이 셸로서 형성되는상기 지지부재(4)가 두 개의 다른 평면에서 뒤에 배치되는 점으로 달성된다. 이 배치의 바람직한 작용은 도 6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제2 실시예로부터 특히 명백하다.
도 6에 따르면 드라이브(drive)(2')에 의하여 긴장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2')로부터 상기 만곡부재(3)까지 슬리브(sleeve)(26)에 의하여 안내되는 와이어의 형태의 긴장(tensioning) 또는 죔(tightening)부재(27)가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을 설정하는 조절부재로서 작용한다. 상기 만곡부재(3)는 그 상단부(3a)의 영역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되고 그 하단부(3b)의 영역이 상기 긴장 또는 죔부재(27)에 연결된다. 상기 긴장 또는 죔부재(27)가 상기 드라이브(2')에 의하여 조이면 또한 이것은 예를 들면, 도 6에서 3'로 도시되는 상태로 변화하는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을 증강한다. 이것은 상기 만곡부재(3)의 전방에 장착되는상기 지지부재의 위치 및 곡률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변화시킨다.
상기 긴장 또는 죔부재(27)의 결과인 상기 만곡부재(3)의 예리한 곡률은 상기 지지부재(4)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지지부재(4)가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의 변화가 상기 지지부재(4)의 곡률 및/또는 변위의 다른 예리한 변화에 이르게 한다.
도 6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재(4)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탄성 스프링을 통하여 매번 탄성적으로 그 상단부 및 하단부의 영역으로 예를 들면 매달려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는 상기 만곡부재(3)가 만곡되면 등받이 길이 방향(L)에 수직한 이들 스프링 부재의 작용에 반하여 전체로서 이동될 수 있다. 스프링의 강도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4)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매달려 있고, 또한 그 때문에 그것은 상기 지지부재(4)의 곡률에 다소 강한 변화를 발생시킨다. 곡률의 증가가 커지면 커질수록 상기 지지부재(4)의 이동의 가능성이 전체로 제한되기 때문에 스프링력이 더 커진다.
상기 지지부재(4)(등받이)의 형상은 상기 만곡부재(3)의 곡률에 의하여 뿐만 아니라, 시트에 위치되는 사람의 등 부분의 형상에 의하여도 결정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차량 점유자의 등 부분에 최적의 인간 공학적인 적응은 그 결과 척추전만[상기 만곡부재(3)의 지지 작용의 결과로서]의 부위에서 동시의 지지 작용으로 가능하다.
전체의 이러한 배치는 큰 표면 영역에 걸쳐서 균일한 지지를 가능케 하고, 다른 사람의 개별 등 특성, 특히 그 크기에 대하여 유여한 적응의 가능성을 가능케 한다.
조절장치(2')[드라이브(20')를 갖는]의 조절과 함께 상기 지지부재(4)뿐만 아니라 상기 만곡부재(3)의 구체적인 변형은 상기 만곡부재(3)와 등받이 프레임 사이의 연결 타입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4)와 등받이 프레임 사이의 연결 타입에 의하여 결정적으로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만곡부재(3)는 스프링 부재 도는 와이어 부재에 의하여 예를 들면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매달려 있을 수 있다.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만곡부재(3)는 고정 브래킷에 의하여 시트베이스(seat base)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부재(4)는 예를 들면, 접착제 또는 리벳에 의하여, 그 크로스 바(30)(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의 영역에서 상기 만곡부재(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시트 내장과 상기 지지부재(4)의 연결은 예를 들면, 접착제, 리벳 또는 (부분적으로) 내장 폼으로 포밍(foaming)에 의하여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면, 스프링과 같은 다른 부재를 통하여).
따라서 상기 만곡부재(3) 및 지지부재(4)의 배치 및 구성은 관련된 조절장치(2')에 의하여 조절가능한 그 공간 위치(특히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연장면에 수직한 위치)의 결과로서 상기 만곡부재(3)가 상기 지지부재(4)의 기초 곡률을 제공하도록 되어 그 곡률이 전체로서 대응하는 차량 시트에 착석하는 사람의 등 부분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결정적으로 결정된다. 이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4)는 상기 만곡부재(3)의 탄성보다 바람직하게는 큰 충분한 탄성(탄성 변형성)을 가져야만 한다. 이것은 재료 및 형상의 대응하는 선택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고 그 때문에 또한 상기 지지부재(4)는 상기 만곡부재(3)보다 큰 표면 영역을 가지고 있다.
대응하는 차량 시트에 위치되는 사람의 등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4)의 특정 탄성, 유연성(flexibility) 및 적응성(adaptability)이 그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의 에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에 비하여 증가된 탄성을 갖고 있는 지지부(지지 형상 핑거)를 통하여도 특히 달성된다. 또한 이것은 상기 지지부가 웨브의 형태로 연결부(수축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베이스부에 각각 연결되는 사실에 기인한다.
점유자의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셸 형태의 추가 지지부재(5)가 등받이 셸[지지부재(4)] 위에 상기 등받이 프레임(1)에 제공된다는 것을 도 1a 내지 도 1d에서 알 수 있다. 이것은 전기 드라이브(60) 및 피니언(61)을 갖는 조절장치(2)에 의하여 톱니가 있는 로드(toothed rod)(62)를 따라 수직으로 조절가능하다.
또한 높이를 조절하는 대응하는 구성이 척추 전만 지지를 위하여 작용하는 하부 지지부재를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어깨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상기 지지부재(5)는 상기 척추 전만 지지용으로 작용하는 상기 지지부재(4)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그 에지 상에 형성된 재질 영역뿐만 아니라 약화되고 보강된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내장, 특히 특허 청구범위 제1항의 전반부에 따른 등받이 내장용 지지부재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9)

  1. 차량의 내장(upholstery), 특히 시트 백(seat back)의 등받이(backrest) 내장용 지지부재로서,
    상기 내장을 지지하는 베이스부(base region), 및
    상기 베이스부를 둘러싸는 에지부
    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인접 지지부(support region)(41, 42, 43, 43', 43", 44, 44')가 상기 베이스부(40)의 에지부(R1, R2, R3, R4)를 따라서 제공되고 상기 에지부(R1, R2, R3, R4)로부터 돌출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상기 에지부(R1, R2, R3, R4)를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부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부(40)에 각각 연결되지만, 서로에 대해 부가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상기 베이스부(40)의 에지부(R1, R2, R3, R4)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연결부(V)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40)에 연결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부(40)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연결부(V)를 통하여 각각 상기 베이스부(40)에 연결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웨브(web)로 형성되는 연결부(V)를 통하여 각각 상기 베이스부(40)에 연결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각각 상기 베이스부(40)로부터 제1 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V)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수직한 연결부의 폭(b)이 상기 연결부(V)의 각 측면의관련 지지부의 최대 폭보다 작은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상기 관련 지지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부(40)의 상기 에지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적어도 일부분 뻗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대응하는 지지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이스부(40)의 상기 에지부가 위치한 평면에 적어도 일부분 둔각으로 뻗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는 상기 베이스부(40)로부터 상기 내장(P)을 향하여 적어도 일부분 각도를 이루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각 에지부(R1, R2, R3, R4)는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쌍으로 이어지고 서로 쌍으로 대향하거나, 서로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이어지거나 서로 쌍으로 대향하는 복수개의 에지부(R1, R2, R3, R4)에 의하여 형성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가 적어도 하나의 에지부(R1, R2, R3, R4) 상에 제공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를 따라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가 각 에지부(R1, R2, R3, R4) 상에 제공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는 특히 리브(ribs) 또는 스웨이지(swages)의 형태의 보강부(reinforcement regions)(48)를 가지고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48)는 적어도 상기 지지부(43)의 일부를 따라 뻗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48)는 상기 지지부(43)의 강성(stiffness)이 상기 베이스부(40)로부터 이격된 자유단을 향하여 감소되도록 상기 지지부재(4)의 베이스부(40)로부터 상기 지지부(43)로 뻗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3)는 상기 보강부(48)에 의하여 형성된 축 둘레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한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형 및 소형 지지부(43, 43")가 상기 베이스부(40)의 에지부(R3)를 따라 교대로 제공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의 외형은 예리한 코너가 없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1, 42, 43, 43', 43", 44, 44')의 외형은 만곡되어 있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3', 44')가 상기 베이스부(40)의 적어도 하나의 코너부에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부(40)의 에지부(R1, R2, R3, R4)로부터 돌출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에 제공된 상기 지지부(43', 43")는 축, 특히 상기 보강부(48)에 의하여 형성된 축에 대하여 표면 영역의 비대칭 분할을 가져 상기 지지부(43', 44')에 변형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부(43', 44')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3. 제22항에 있어서,
    비대칭 평면 영역 분할을 형성하도록 상기 코너부에 제공된 상기 지지부(43', 44')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핑거(support finger)(43f, 44f)를 가지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는 특히 관통공의 형태로 압력 분배부(49)를 가지는 차량의 내장용 지지부재.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지부재를 구비한 차량 시트용 등받이.
  26. 제25항에 있어서,
    등받이 내장,
    상기 등받이 내장의 표면을 따라 뻗어 있는 만곡부재(curved element),
    상기 만곡부재의 위치 및/또는 곡률이 상기 등받이 내장의 곡률을 설정하기 위하여 조절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만곡부재(3)와 상기 등받이 내장(P) 사이에, 상기 만곡부재(3)와 활성 연결 상태에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등받이 내장(P)에 기대는 만곡가능한 지지부재(4)가 뻗어 있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2, 2')는 상기 만곡부재(3)와 활성 연결 상태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부재(21, 27)를 가지며, 상기 조절장치(2, 2')는 상기 만곡부재(3)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재(4)에 작용하는 차량 시트용 등받이.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과 시트 내장 사이의 평면에서 상기 만곡부재(3)보다 더 큰 표면을 덮는 시트 백(seat back).
  29. 제2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재(3)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4)는 시트백 프레임(L)에 고정되는 시트 백.
KR10-2003-7016588A 2001-09-07 2002-09-09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KR20040028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5206A DE10145206B4 (de) 2001-09-07 2001-09-07 Rückenlehn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145206.3 2001-09-07
PCT/DE2002/003411 WO2003022626A1 (de) 2001-09-07 2002-09-09 Stützelement für eine polsterung eines kraftfahrzeugsitz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88A true KR20040028788A (ko) 2004-04-03

Family

ID=769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588A KR20040028788A (ko) 2001-09-07 2002-09-09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18633B2 (ko)
EP (1) EP1423296B1 (ko)
JP (1) JP4171783B2 (ko)
KR (1) KR20040028788A (ko)
DE (2) DE10145206B4 (ko)
ES (1) ES2262843T3 (ko)
WO (1) WO20030226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10B1 (ko) * 2008-07-08 2011-01-10 이한출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5074U1 (de) * 2003-03-25 2004-08-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ückenlehne für einen Fahrzeugsitz
DE20313925U1 (de) * 2003-09-04 2004-10-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Rückenlehnenstruktur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351157B3 (de) * 2003-11-03 2005-06-09 Faurecia Autositze Gmbh & Co. Kg Kraftfahrzeugsitz
US7775595B2 (en) 2004-02-06 2010-08-17 Schukra Of North America Drive mechanism
EP1771315B1 (en) 2004-07-30 2008-12-10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Modular lumbar support apparatus
JP4737501B2 (ja) 2004-10-28 2011-08-0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3494465B (zh) * 2005-03-01 2016-05-04 霍沃思公司 用于座椅的腰部垫
WO2007010616A1 (ja) 2005-07-22 2007-01-25 Ts Tech Co., Ltd. 車両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用連結機構
EP1939033B1 (en) * 2005-08-30 2011-04-20 TS Tech Co., Ltd. Vehicle seat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seat
US8235467B2 (en) * 2006-04-27 2012-08-07 Ts Tech Co., Ltd. Vehicle seat
JP4925176B2 (ja) * 2006-07-07 2012-04-2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2007028052B4 (de) * 2006-11-09 2020-09-24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ahrzeugsitz
US7984949B2 (en) 2007-04-24 2011-07-26 Schukra Of North America Lumbar and bolster support for second row seat
CN102083340B (zh) 2008-05-26 2014-09-03 斯特尔凯斯公司 用于座椅单元的适应性靠背
WO2010042106A1 (en) * 2008-10-07 2010-04-15 Lear Corporation A vehicle seat assembly having a self adjusting seat cushion
DE102010061788A1 (de) * 2010-11-23 2012-05-24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orrichtung zur Einstellung einer Lordosenstütze
DE102010053190A1 (de) 2010-12-03 2012-06-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Rückenlehnenstruktur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US8684460B2 (en) 2011-06-15 2014-04-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Backrest structure for a seat with lumbar support and curving element comprising a pre-tensioning connecting element
DE102011080520A1 (de) 2011-08-05 2013-02-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Lordosenstütze
US8919880B2 (en) * 2012-03-27 2014-12-30 Haworth, Inc. Flexible seating surface
JP6032970B2 (ja) * 2012-06-28 2016-11-30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D696545S1 (en) 2013-07-30 2013-12-31 Steelcase, Inc. Rear surface of a chair back
CA2936917C (en) * 2015-07-23 2018-05-22 Dorel Juvenile Group, Inc. Child restraint with energy management system
DE102017212287A1 (de) 2017-07-18 2019-01-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Rückenlehnenteil eines Fahrzeugsitzes mit einer Lehnenkopfverstelleinrichtung
DE102021201069A1 (de) 2021-02-05 2022-08-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Lordose-Stützelemente aus Kunststof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9188C1 (en) * 1986-06-06 1987-12-17 Keiper Recaro Gmbh Co Backrest for vehicle seats
DE4232679C1 (de) * 1992-09-29 1994-02-03 Ameu Management Corp Luxembour Rückenlehne eines Sitzes mit einer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elastisches Wölbelement zur Verstellung der Wölbung der Rückenlehne
US5518294A (en) * 1993-04-05 1996-05-21 Ligon Brothers Manufacturing Company Variable apex back support
US5299851A (en) * 1993-05-19 1994-04-05 Lin Kuen Yuan Adjustable cushion assembly for a chair
DE4320105C1 (de) * 1993-06-17 1994-10-13 Ameu Management Corp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biegeelastisches Stützelement einer Rückenlehne
DE19505447A1 (de) * 1995-02-17 1996-08-22 Schmidt Gmbh R Vorrichtung zum Verstellen der Druckverteilung an einer Stützplatte in einer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IT1280436B1 (it) * 1995-07-19 1998-01-20 Lear Seating Italia Spa Sedile di autoveicolo
US5868466A (en) * 1996-02-02 1999-02-09 Lear Corporation Flexible membrane back support
DE19825225A1 (de) * 1998-06-05 1999-12-16 Knud Klingler Wölbungsverstellbare Stütze, insbesondere Lordosenstütze, für Sitze und Liegen aller Art
US6189972B1 (en) * 1998-06-05 2001-02-20 Teknion Furniture Systems Inc. Lumbar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US5954399A (en) * 1998-07-15 1999-09-21 Hong; Jung-Myung Lumbar support for a car seat
EP1150592B1 (en) * 1999-02-12 2004-04-28 Schukra of North America Ltd. Adjustable back support for seats
US6616227B2 (en) * 2001-02-21 2003-09-09 Schukra North America Powered actuator for lumbar unit
DE20121283U1 (de) * 2001-03-21 2002-07-25 Brose Fahrzeugteile Rückenlehn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610B1 (ko) * 2008-07-08 2011-01-10 이한출 태양열을 이용한 축열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6489D1 (de) 2006-05-24
JP2005506859A (ja) 2005-03-10
US20040160100A1 (en) 2004-08-19
EP1423296B1 (de) 2006-04-19
WO2003022626A1 (de) 2003-03-20
US6918633B2 (en) 2005-07-19
EP1423296A1 (de) 2004-06-02
JP4171783B2 (ja) 2008-10-29
DE10145206B4 (de) 2010-01-21
DE10145206A1 (de) 2003-03-27
ES2262843T3 (es)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8788A (ko) 차량 시트의 내장용 지지부재
US4334709A (en) Seat for vehicle
US5423593A (en) Lumbar support device
US5474358A (en) Seat arrangements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CA2530988C (en) Adjustable ergonomic back for a seat
JP3556217B2 (ja) 座席用背もたれ
US7290837B2 (en) Cushion plate for vehicle seat
US6193318B1 (en) Seat arrangement
JP5694330B2 (ja) 骨盤及び腰椎支持システム
JP6097823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付車両座席
US20060033369A1 (en) Rest
US9278634B2 (en) Vehicle seat
RU2106984C1 (ru) Сиденье с улучшенной поясничной опорой
JP4956781B2 (ja) 椅子
CA2394041C (en) A seat for automobiles or the like
JPH0626524B2 (ja) いすの背もたれ
JP2004290605A (ja) 車両用シートの背凭シート
JP6731816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
CN112533791B (zh) 车辆座椅的可调节腰部支撑
JPH064753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CN111867882B (zh) 车辆用座椅结构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6078290B2 (ja) 椅子
JP2000025497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3563697B2 (ja) シート用調節可能なバックサ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