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677A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28677A KR20040028677A KR10-2003-7006097A KR20037006097A KR20040028677A KR 20040028677 A KR20040028677 A KR 20040028677A KR 20037006097 A KR20037006097 A KR 20037006097A KR 20040028677 A KR20040028677 A KR 200400286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disc
- lower shell
- recording medium
- upper she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6 corrosion preven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669 high impact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7 high-impact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TXGQCSETZTARF-UHFFFAOYSA-N buta-1,3-diene;prop-2-enenitrile Chemical compound C=CC=C.C=CC#N NTXGQCSETZTA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72 labe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15 magnet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포개어지는 부분에, 하부 쉘에 리브를 형성하는 동시에, 리브에 대응되는 리브 릴리프 홈을 한 쌍의 셔터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리브와 리브 릴리프 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Description
종래, 일반적으로 음성, 영상 혹은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는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나중에 기록(기입)할 수 있는 추기형 광자기 디스크(4)를 내장하고 있는 정보 기록 미디어이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는 한 쌍의 상부 쉘(2a) 및 하부 쉘(2b)에 의해 구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2)과, 이 카트리지 하우징(2)의 디스크 수납실(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광자기 디스크(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의 상하 양면에는 중앙부로부터 1변을 향해 연장되는 상하의 개구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5)는 그 1변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셔터 부재(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6)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개구부(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압박되어 있다. 부호 6a는 셔터 부재(6) 선단부의 발출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 부재이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4)의 중앙부에는 금속에 의해 원반형으로 형성된 센터 허브(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 허브(7)는 개구부(5)의 내측 단부에 대응된 위치, 즉 카트리지 하우징(2)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센터 허브(7)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본체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이 장착되고, 그 턴테이블에 의한 처킹에 의해 고정되어 광자기 디스크(4)가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 개구부(5) 내에 헤드부가 삽입되는 광자기 픽업 장치의 작용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4)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는, 개구부(5)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6)를 카트리지 하우징(2)의 1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셔터 부재(6)를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한 쪽으로 압박하여개구부(5)를 폐쇄하는 한편, 이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셔터 부재(6)를 이동시킴으로써 개구부(5)를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카트리지 하우징(2)과 셔터 부재(6)의 서로 포개어지는 면이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간극을 통해 디스크 수납실 내에 외부의 먼지가 비교적 침입하기 쉬워지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 등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셔터 부재와 카트리지 하우징이 포개어지는 부분이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의 간극을 통해 디스크 수납실 내에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 등이 비교적 용이하게 침입하기 쉽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그 포개어지는 부분에 서로 대응된 볼록조 및 오목홈을 마련하여 두께 방향으로 요철이 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미로와 같은 방진용 간극으로 작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통과를 억제하여 먼지나 이물질 등이 디스크 수납실 내로 인입하기 어려워 방진 성능이 높은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카트리지 하우징의 디스크 수납실 내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카트리지, 그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미리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 카트리지를 구성하는 카트리지 하우징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부재와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의 방진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해하여 상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해하여 하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에 부착되는 척 링 및 링 홀더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 부재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한 쌍의 셔터 부재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한 쌍의 셔터 부재의 조합 상태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도9a는 오소거 방지구, 도9b는 로크 부재를 각각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부 쉘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바닥면도이다.
도12는 도1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회전 부재에 한 쌍의 셔터 부재를 부착하여 내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셔터 기구를 폐쇄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3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셔터 기구를 개방하여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3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을 연결한 선에 따라서 단면한 설명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처킹을 설명하는 것으로, 턴테이블에 광디스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처킹을 설명하는 것으로, 턴테이블에 광디스크가 장착된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개구부 개폐시에 있어서의 상부 쉘에 대한 회전 부재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19a는 분해 사시도, 도19b는 다운시의 사시도, 도19c는 업시의 사시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캠부 및 회전 부재의 캠 돌기 사이의 클리어런스 계산을 설명하는 것으로, 상하 쉘, 회전 부재 및 셔터 부재의 치수를 부호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캠부 및 회전 부재의 캠 돌기 사이의 클리어런스 계산을 설명하는 것으로, 그 클리어런스를 부호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이송 나사 구동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동력 전달 부재 등의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 설명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셔터 기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 쌍의 셔터 부재가 하부 쉘의 개구부 및 회전 부재의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하고, 래크 막대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가 하부 쉘의 개구창에 이르기까지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가 회전 부재의 초기 동작용 오목부에 결합하여 회전 부재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가 조금 개방된 상태(대략 5°)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래크부가 회전 부재의 기어부에 맞물려 한 쌍의 셔터 부재가 크게 개방된 상태(대략 30°)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스토퍼용 볼록부가 회전 부재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에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가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대략 55°)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2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상부 쉘 또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볼록조와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가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상부 쉘 또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가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 및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개구부를 갖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가 셔터 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삽탈 동작에 따라서 셔터 부재를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과,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장착시, 셔터 개폐 수단으로 개방된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개거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구성되는 동시에 상부 쉘 및 하부 쉘 내 또는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혹은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부착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1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출원에 있어서「디스크 카트리지」라 함은, 중요한 구성 멤버로서 상하 쉘 혹은 상하 쉘 및 회전 부재와, 1매 혹은 한 쌍의 셔터 부재(통상은 2매이지만, 3매 이상의 조합이라도 좋음)를 갖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이전의 하우징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라 함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여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라 함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테이블 구동 장치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오디오 정보로서의 음악 신호나 비디오 정보로서의 영상 신호 및 음악 신호 등의 각종 정보 신호가 미리 기록된 재생 전용형의 광디스크, 혹은 오디오 정보나 비디오 정보 등의 정보 신호가 1번만 기록 가능(추기형), 혹은 몇 번이나 반복하여 기록 가능(수정형)하게 된 기록 가능형의 광디스크(11)를 수납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얇은 원반의 표면에 자성 박막층을 형성하여 특정 위치의 자화 상태에 의해 정보를 기억하도록 한 자기 디스크,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자성 박막층에 광헤드와 자기 헤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기입 또는 판독하도록 한 광자기 디스크, 그 밖의 디스크형을 이루는 기억 매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을 포갬으로써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12)과, 이 카트리지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광디스크(11)와,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8) 및 외측 개구부(17)를 개폐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로부터 광디스크(11)를 제거한 것이 디스크 카트리지이다.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통상 광디스크(11)를 수평 상태로 하여 사용되므로, 본 출원에 있어서는 광디스크(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쉘을 상부 쉘(13)이라 하고, 광디스크(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쉘을 하부 쉘(15)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광디스크(11)를 수직 상태 혹은 경사 상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상부 쉘(13)은 제1 쉘이라 환언하고, 하부 쉘(15)은 제2 쉘이라 환언하는 것으로 한다.
상부 쉘(13)은 도1 내지 도3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이 원호 형상이 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얇은 접시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상부 쉘(13)의 하면(도11에 있어서 표면으로서 나타나 있는 면) 중앙부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형의 상부 내면벽(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내면벽(21)의 내측에 원형의 상부 함몰부(16a)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내면벽(21)의 외측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부 내면벽(21)을 둘러싸도록 환형의 캠 홈(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캠 홈(22)의 주위 방향의 3군데에는 도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캠부(22a)(도11에 있어서 격자 줄무늬형으로 해칭한 부분)가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캠부(22a)는 회전 부재(14)가 회전 변위하여 상부 쉘(13)에 대해 소정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회전 부재(14)를 리프트업시켜 하부 쉘(15)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 캠부(22a)의 작용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상부 쉘(13)의 외주연에는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와 좌우 상부 측면 모서리(13b, 13c)와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쉘(15)과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광학 헤드를 출입하기 위한 제1 오목부(2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중앙부는 내측으로 후퇴되어 있고, 그 오목부(13d0)에는 하부 쉘(15)의 하부 후방면 모서리가 장착된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쉘(15)과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위한 제2 오목부(2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내면벽(21)의 제1 및 제2 오목부(23a, 23b)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 오목부(23a, 23b)에 대응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절결부(21a, 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한 쪽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및 상부 측면 모서리(13c)와 캠 홈(22) 사이에는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전방측 상부 주위벽(24a, 2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 및 상부 측면 모서리(13b)와 캠 홈(22) 사이에는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후방측 상부주위벽(24c, 24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 및 상부 측면 모서리(13c)와 캠 홈(22) 사이에는 동일하게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 24f)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부 주위벽(24a 내지 24f)의 높이는 상부 내면벽(21)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고, 특히 각 구석부에 위치하는 3군데의 상부 주위벽(24a, 24c 및 24e)은 조립시에 있어서 하부 쉘(15)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오소거 방지구(25)가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러그 수납부(26)의 상부 함몰부(26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 함몰부(26a)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개구창(27)의 상부 절반을 형성하는 상부 절결부(27a)가 설치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와, 상부 절결부(27a)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부 수납벽(28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함몰부(26a)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2군데에 노치가 형성된 가이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4군데의 구석부에는 하부 쉘(15)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 돌기(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13)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방으로 조금 팽출되어 있고, 그 팽출부(31)의 배면측에는 파지할 때의 미끄럼 방지용 파지 오목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팽출부(31)의 전방면측에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삽입할 때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는 삼각형의 지시 표지(3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시 표지(31b)와 파지 오목부(31a) 사이에는 기록 내용과 그 밖의 필요 사항을 기재할 수 있는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상부 라벨 부착면(31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쉘(13) 내면의 중앙부에는 척 링(33)이 링 홀더(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척 링(33) 및 링 홀더(34)는 도4 및 도17 등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척 링(33)은 마그네트에 의해 흡착되는 자성 재료에 의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경이 다른 링형의 요철을 동심 상에 복수 설치함으로써 척 링(33)에는 최외주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3a)와, 광디스크(11)에 접촉되는 협지부(33b)와, 이 협지부(33b)와 플랜지부(33a) 사이에 설정된 테이퍼부(33c)와, 최내주에 위치하는 위치 규제부(33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링 홀더(34)는 전체적으로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면측에는 내향의 내부 플랜지(34a)가 설치되고, 다른 면측에는 외향의 외부 플랜지(34b)가 설치되어 있다. 링 홀더(34)는 척 링(33)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지지하는 것이고, 외부 플랜지(34b)를 용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상부 쉘(13)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링 홀더(34)의 외부 플랜지(34b)의 표면을 상부 쉘(13)의 내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하기 위해, 상부 쉘(13)에는 외부 플랜지(34b)가 끼워 맞추어지는 부착 구멍(13e)이 마련되어 있다(도2 참조).
이 링 홀더(34)의 구멍(34c)의 직경은 척 링(33)의 외경보다도 조금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링 홀더(34) 내에 있어서 척 링(33)은 그 직경 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척 링(33)의 반경 방향 내측은링 홀더(34)의 구멍(34c) 내에 삽입되고, 그 내부 플랜지(34a)의 내주연에 의해 척 링(33)의 테이퍼부(33c)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링 홀더(34) 내에 있어서 척 링(33)은 그 직경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축방향)으로도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쉘(13)의 하면에 하부 쉘(15)이 포개어진다. 하부 쉘(15)은 도1, 도2 및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 형상은 상부 쉘(13)의 그것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정면측이 원호 형상으로 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얇은 접시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하부 쉘(15)에는 정면측에 개구된 외측 개구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개구부(17)는 하부 쉘(15)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테이블용 개구부(17a)와, 이 테이블용 개구부(17a)에 연속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방면에 개구되는 헤드용 개구부(17b)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 개구부(17)는 후술하는 디스크 회전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과, 동일하게 후술하는 광학 픽업 장치의 광학 헤드를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수납되는 광디스크(11)에 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는 넓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테이블용 개구부(17a)에는 턴테이블이 출입되고, 또한 헤드용 개구부(17b)에는 광학 헤드가 출입된다.
또한, 하부 쉘(15)의 4 구석에는 원호형으로 연속된 하부 내면벽(36a, 36b, 36c 및 36d)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면벽(36a 내지 36d)의 내측에 하부 함몰부(16b)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의 내면측 주연에는 셔터 부재와의 간극을 작게 하여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37)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37)는 테이블용 개구부(17a)의 주연에 따라서 반원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리브부(37a)와, 헤드용 개구부(17b)의 양 모서리에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형 리브부(37b, 37b)와, 이 직선형 리브부(37b)와 밸런스를 이루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대칭 리브부(37c, 37c)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직선형 리브부(37b) 및 각 대칭 리브부(37c)의 외측에는 각 셔터 부재(19a, 19b)의 외측에 가능한 한 간극을 막기 위한 차폐부(38a, 3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하부 함몰부(16b) 내에는 회전 부재(14)의 회전 연동에 의거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폐 동작시키는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는 테이블용 개구부(17a)를 협지하도록 외측 개구부(1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외주연에는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와 좌우의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와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 및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는 각각 높이 방향 중도부에 단차부를 설치하여 상부의 두께를 얇게 한 단차식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 및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의 각 박육부가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상부 측면 모서리(13b, 13c) 및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내측으로 각각 인입하여 각 단차부가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상부 측면 모서리(13b, 13c) 및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각 하단부면에 접촉된다.
이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된 헤드용 개구부(17b)의 개구단부(40a)가 상부 쉘(13)의 제1 오목부(23a)에 결합되어 전방측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의 중앙부에는 상부 쉘(13)의 제2 오목부(23b)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부(40b)(도28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방측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위치 결정부(40b)의 외측에는 외면이 라벨의 부착면으로 된 라벨 부착벽(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라벨 부착벽(41)은 가능한 한 넓은 평면 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 쉘(13)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함몰부(13d0)에 삽입된다.
하부 쉘(15)의 한 쪽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c)와 하부 내면벽(36b)에 의해 전방측 하부 주위벽(4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b)와 하부 내면벽(36c)에 의해 후방측 하부 주위벽(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c)와 하부 내면벽(36d)에 의해 후방측 하부 주위벽(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쉘(13, 15)의 조립시에는 전방측 하부 주위벽(42a)의 내측에 상부 쉘(13)의 전방측 상부 주위벽(24a)이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후방측 하부 주위벽(42b)의 내측에는 후방측 상부 주위벽(24c)이 끼워 맞추어지고, 후방측 하부 주위벽(42c)의 내측에는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이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하부 쉘(15)의 후방측 하부 주위벽(42c)의 내측에는 오소거 방지구(25)가 장착되는 하부 함몰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는 개구창(27)의 하부 절반을 형성하는 하부 절결부(27b)가 설치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와, 하부 절결부(27b)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하부 수납벽(28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의 하면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안내하여 슬라이드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홈(4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와 상부 함몰부(26a)에 의해 플러그 수납부(26)가 구성되어 있다.
오소거 방지구(25)는 도9a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오소거 방지구(25)는 전체적으로 입방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정면부(25a)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면부(25a)의 돌출부와 반대측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조작 돌기(2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소거 방지구(25)의 하면에는 하부 쉘(15)의 가이드 홈(4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2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면부(25a)와 반대측의 배면에는 가이드부(29)에 결합시켜 탈락을 방지하는 결합부(25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25d)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29)의 절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시의 클릭감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15)의 4군데의 구석부에는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전방 부착 구멍(44a) 및 후방 부착 구멍(44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후방 부착 구멍(44b)의 내측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통축부(45)가 설치되어 있고, 각 통축부(45)에는 상부 쉘(13)의 나사 고정 돌기(30)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각 통축부(45)의 근방에는 위치 결정축부(46a, 4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축부(46a, 46b)의 상단부에는 상하 쉘(13, 15) 사이의 위치 맞춤을 위한 기준 돌기(47)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기준 돌기(47, 47)에 대응시켜 상부 쉘(13)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 구멍(4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준 돌기(4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후방측 상부 주위벽(24c) 및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에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릴리프부(49a, 4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위치 결정 축부(46a, 46b)에는 기준 돌기(47)와 반대측의 하면에 개구하는 위치 결정 구멍(50a, 50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 결정 구멍(50a, 50b)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로 인해, 제1 위치 결정 구멍(50a)은 원형으로 되어 있는 한편, 제2 위치 결정 구멍(50b)은 위치 결정시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가로로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부 쉘(13)과 하부 쉘(15)을 포갬으로써 형성되는 상하의 함몰부(16a, 16b) 내에 회전 부재(14)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상하 쉘(13, 15)과 회전 부재(14)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12)이 구성되어 있다.
상하로 포개어진 상하 쉘(13, 15)의 한 쪽 측구석부(13b, 15b)의 대략 중앙부에는 회전 부재(14)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창(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창(52)은 상부 쉘(13)의 접합부에 설치한 상부 절결부(52a)와, 하부 쉘(15)의 접합부에 설치한 하부 절결부(5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쉘(13, 15)의 한 쪽 측구석부(13b, 15b)에는 그 접합면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전 가이드 홈(53)이 마련되어 있다. 장전 가이드 홈(53)은 후술하는 셔터 개폐 수단의 삽입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장전 가이드 홈(53)에 대응하도록 다른 쪽 측구석부(13c, 15c)에는 그 접합면에 따라서 전후 방향의 중도부까지 연장되는 오삽입 검출 홈(54)이 마련되어 있다. 장전 가이드 홈(53) 및 오삽입 검출 홈(54)은 상부 쉘(13) 및 하부 쉘(15)에 각각 절반씩 설치되어 있고, 양 쉘(13, 15)을 조합함으로써 사각형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장전 가이드 홈(53)과 오삽입 검출 홈(54)의 조합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장착할 때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항상 바른 자세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쉘(13, 15)의 한 쪽 전방 모서리(13a, 15a)의 내측에는 로크 수납부(5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수납부(55)에는 회전 부재(14)를 소정 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부재(56)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수납부(55)는 하부 함몰부(16b)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한 쪽 측구석부(13b, 15b)에 마련된 개구 구멍(57)을 거쳐서 장전 가이드 홈(53)에 연통되어 있다. 이 로크 수납부(55)의 한 쪽을 형성하는 하부 쉘(15)에는, 로크 부재(56)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58)이 상부 쉘(13)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56)는, 도9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면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된 레버형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부재(56)는 링형을 이루는 회전축부(56a)와, 이 회전축부(56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하는 조작 아암(56b)과, 회전축부(56a)로부터 다른 측으로 돌출하는 로크 아암(56c) 및 탄성 아암(56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아암(56b)의 선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입력부(56b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56c)과 탄성 아암(56d) 사이에는 적당한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고, 로크 아암(56c)의 선단부에는 로크 갈고리(56c1)가 설치되고, 탄성 아암(56d)의 선단부에는 지지 헤드부(56d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크 부재(56)는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축(58)에 부착된다. 즉, 로크 갈고리(56c1)를 하부 함몰부(16b)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축부(56a)를 지지축(58)에 끼워 맞추고, 탄성 아암(56d)의 지지 헤드부(56d1)를 상부 쉘(15)의 전방 모서리(15a)의 내면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 탄성 아암(56d)의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 아암(56c)이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 선단부의 로크 갈고리(56c1)가 하부 함몰부(16b) 내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 아암(56b)의 입력부(56b1)가 개구 구멍(57)에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입력부(56b1)의 선단부가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 부재인 로크 부재(56)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0M)이 적합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금속제의 스프링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쉘(13) 및 하부 쉘(15)의 상하 함몰부(16a, 16b) 내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되는 회전 부재(14)는 도1, 도2,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 부재(14)는 원반형의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평면부(14a)와, 이 평면부(14a)의 외주연에 연속하여 설치된 링부(14b)를 갖고 있다. 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에 내측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개구부(18)는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와 형상 및 크기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개구부(18)도 외측 개구부(17)와 마찬가지로, 평면부(14a)의 중앙부에 설정되고 또한 턴테이블이 출입되는 테이블용 개구부(18a)와, 이 테이블용 개구부(18a)에 연속되고 또한 광학 헤드가 출입되는 헤드용 개구부(18b)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평면부(14a)의 테이블용 개구부(18a)의 내주 모서리에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광디스크(11)의 내측 비기록 영역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 구석부(1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외주면 일부에는 셔터 개폐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그 왕복 동작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회전시키는 피조작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조작부(60)는 도5 및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 방향의 소정 범위(대략 30°정도)에 걸쳐서 다수의 기어가 설치된 기어부(60a)와, 이 기어부(60a)의 일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전방 슬라이드부(60b)와, 기어부(60a)의 다른 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후방 슬라이드부(60c)와, 기어부(60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랜드부(60d)를 갖고 있다.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외주면은 기어부(60a)의 이끝원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고, 또한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외주면은 기어부(60a)의 이뿌리원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주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단면 원호형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가 마련되고,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주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단면 사다리꼴형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 및 전후 슬라이드부(60b, 60c)가 링부(1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쉘(13)[하부 쉘(15)도 마찬가지임]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돌출부와의 접촉을 회피하여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릴리프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하부 쉘(15)과 회전 부재(14)와 로크 부재(56)는 조립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를 갖고 있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와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가 가장 크게 회전 변위한 셔터 폐쇄 상태에서는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가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에 대향되고,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후단부 모서리(63b)가 하부 쉘(15)의 개구단부(40a)에 접촉된다. 이 때, 랜드부(60d)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측의 단부면 모서리(63c)가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에 대향된다. 또한,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회전 부재(14)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되어, 이 로크 부재(56)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로크 부재(56)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여 회전 부재(14)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외측 개구부(17)에 내측 개구부(18)가 합치되어 양측 개구부(17, 18)가 크게 개방된다. 그 결과, 양측 개구부(17, 18)를 거쳐서 디스크 수납실(16)이 개구되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 때,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전단부 모서리(63a)가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에 접촉하여, 이 이상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개구창(52)에는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가 대향되는 동시에, 그 후단부 모서리(63b)에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결합되고,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개구측 단부면에는 주위 방향의 2군데에 배치된 원호형의 캠 돌기(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캠 돌기(64)는 회전 부재(14)를 상부 쉘(13) 등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쉘(13)의 캠 홈에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각 캠 돌기(64)가 캠 홈(22)의 캠부(22a)에 각각 올라 앉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하부 쉘(15)측으로 압박된다.
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에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상기 평면부(14a)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은 테이블용 개구부(18a)를 중심으로 하여 한 쪽이 헤드 개구용 개구부(18b)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을 거쳐서 회전 부재(14)에 부착되는 셔터 기구(19)를 구성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된 2매의 셔터 부재(19a, 19b)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도7 및 도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즉,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는 얇은 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셔터 부재(19a, 19b)의 현측변의 일측부에는 각각 베어링 구멍(65a)이 마련되어 있다. 각 베어링 구멍(65a)에는 한 쌍의 지지축(14d)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각 지지축(14d)의 선단부를 코오킹 가공함으로써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 상에 적재되어 선회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서로의 현측을 대향시켜 부착한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현측변에는 현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 길이를 갖는 단차부(6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차부(66)에 의해 그 양측에 볼록측 접합부(66a)와 오목측 접합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합부(66a, 66b)에는 현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양형으로 돌출하는 차양부(67a, 67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있어서, 서로 볼록측 접합부(66a)의 단부면과 오목측 접합부(66b)의 단부면이 각각 대향되어 볼록측 접합부(66a)의 차양부(67a)가 오목측 접합부(66b)의 차양부(67b)에 각각 포개어진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현측변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회전 부재(14)에 부착된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각각 외측으로 이반시키도록 회전시키면, 각 셔터 부재(19a, 19b)는 평면부(14a) 상을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내측 개구부(18)가 완전히 개방된다. 한편,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각각 내측으로 회전시켜 서로의 접합부(66a, 66b)를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셔터 기구(19)는 대략 원형이 되고, 그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내측 개구부(18)의 중앙부가 완전히 차폐된다.
또한, 각 셔터 부재(19a, 19b)에는 회전 부재(14)의 회전 동작을 거쳐서 상기 셔터 부재(19a, 19b)에 개구부(17, 18)의 개폐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개폐 홈(6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개폐 홈(68)은 그 일단부가 각 셔터 부재(19a, 19b)의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고, 그 일단부와 베어링 구멍(65a)을 잇는 선의 연장선 상부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 홈(68)의 외측 단부에는 주위에 절입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탄성 부재(69a)와, 하부 쉘(15)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도피시키기 위한 오목부(69b)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 홈(68)에는 하부 쉘(15)의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의 대응하는 조작 볼록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는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하부 쉘(15)의 돌조인 리브(37)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인 리브 릴리프 홈(70)이 마련되어 있다. 즉, 리브 릴리프 홈(70)은 리브(37)의 원호형 리브부(37a) 및 한 쌍의 직선형 리브부(37b, 37b)에 대응된 형상으로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대칭 리브부(37c, 37c)에 대응된 평면형의 릴리프면(7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 릴리프 홈(70)과 리브(37)에 의해,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형을 이루는 미로와 같은 방진용 간극(71)이 구성되어 있다.
이 방진용 간극(71)은 미로와 같은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방진용 간극(71)은 회전 부재(1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서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와 하부 쉘(15)의 맞춤면에 있어서, 크랭크형을 이루는 미로와 같은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먼지 등을 통과하기 어렵게 하여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리브를 한 쌍의 셔터 부재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리브 릴리프 홈을 하부 쉘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측에 있어서 그 외주연과 셔터 부재(19a, 19b) 사이에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지만, 그 간극을 하부 쉘(15)에 설치한 차폐부(38a)에 의해 막도록 하였으므로, 이러한 간극으로부터의 먼지,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개구부(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부재(14)에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갖고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갖는 회전 부재(14)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쉘(13, 15)에 대해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갖고 조립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하우징(12)의 조립시,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에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를 대향시키도록 포갠다. 이 때,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에는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 중, 기어부(60a)의 일측에 연속하는 전방 슬라이드부(60b)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개구창(52)의 대략 중앙부에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가 설치된다.
이 회전 부재(14)와 상부 쉘(13)에 의해 원형의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수납실(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광디스크(11)가 반경 방향 외측 및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때, 광디스크(11)가 한 쪽면에만 정보 기록면을 설치한 편면 기록 방식인 경우에는, 그 정보 기록면을 개구부(17, 18)에 대향시키도록 수납한다. 그 결과, 광디스크(11)의 다른 면인 라벨 부착면이 상부 쉘(13)측에 설정되어 디스크 중앙의 센터 구멍(11a)에 척 링(33)이 대향된다.
광디스크(11)는 중앙부에 센터 구멍(11a)이 마련된 두께가 얇은 원판형의 기록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디스크 회전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이 끼워 맞추어진다. 이 턴테이블에 내장된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척 링(33)이 흡착되고, 이 척 링(33)과 턴테이블에 의해 광디스크(11)가 협지되어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된다. 그리고, 턴테이블이 부착되는 스핀들 모터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과 일체로 광디스크(11)가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된다.
상술한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하부 쉘(15), 셔터 부재(19a, 19b) 및 오소거 방지구(2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틸렌 수지)나 HIPS(고충격성 폴리스틸렌) 등의 합성 수지가 적합하다. 그러나,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강, 그 밖의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조립 작업은 상부 쉘(13)을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우선, 상부 쉘(13)의 상부 함몰부(16a) 내에 광디스크(11)를 적재한다. 이 때, 광디스크(11)는 정보 기록면을 하부로 하여 상부 함몰부(16a) 내에 넣는다.
다음에, 광디스크(11)를 씌우도록 회전 부재(14)의 개구측을 상부 함몰부(16a)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와 상부 쉘(13)에서 형성되는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광디스크(11)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때,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부 쉘(13)의 전후 방향에 일치시켜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를 개구창(52)에 면하게 한다.
또한, 셔터 기구(19)는 미리 회전 부재(14)에 조립해 두면 된다. 그 때에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서로의 현측을 대향시키고, 각 베어링 구멍(65a)을 회전 부재(14)의 각 지지축(14d)에 끼워 맞추어 평면부(14a) 상에 각각 적재시킨다. 그리고, 각 지지축(14d)의 선단부를 코오킹 가공함으로써,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내측 개구부(18)를 개폐 가능한 상태로 평면부(14a)에 부착된다.
다음에, 로크 수납부(55)의 지지축(58)에 로크 부재(56)를 부착한다. 이 때, 로크 부재(56)의 탄성 아암(56d)의 지지 헤드부(56d1)를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 구석부(13a)의 내면에 접촉시키고, 이 탄성 아암(56d)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작 아암(56b)의 입력부(56b1)를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 구멍(57)으로부터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로크 부재(56)의 로크 아암(56c)의 로크 갈고리(56c1)를 피조작부(60)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가 로크 부재(56)에 의해 로크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오소거 방지구(25)를 플러그 수납부(26)에 장착한다. 이 경우, 가이드 돌기(25c)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결합부(25d)를 가이드부(29)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조작 돌기(25b)를 개구창(27)의 하부 절결부(27b)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셔터 기구(19)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14) 위에 하부 쉘(15)을 씌워, 이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포갠다. 이 때, 하부 쉘(15)의 개구단부(40a)를 상부 쉘(13)의 제1 오목부(23a)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를 상부 쉘(13)의 제2 오목부(23b)에 끼워 맞춘다. 이와 동시에, 상부 쉘(13)의 각 릴리프부(49a, 49b)에 하부 쉘(15)의 각 위치 결정축부(46a, 46b)가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축부(46a, 46b)에 설치한 기준 돌기(47)가 상부 쉘(13)의 각 기준 구멍(48)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들에 의해, 하부 쉘(15)이 상부 쉘(13)에 대해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도12에 도시한 상태로 설정해 둠으로써, 하부 쉘(15)의 하부 함몰부(16b) 내에 마련한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각 셔터 부재(19a, 19b)에 마련한 개폐 홈(68)의 오목부(69h)에 각각 대향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한 쌍의 개폐 홈(68)의 위치를 염려하는 일 없이,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포개는 것만으로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한 쌍의 개폐 홈(68, 68)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복수개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체결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관 형상과,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경우, 고정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착 수단을 이용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부 쉘(13)과 하부 쉘(15)의 접합면을 직접 접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따르면, 사용되는 구성 부품의 개수가 비교적 적어 간단하게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 하우징에 상술한 개구부(17, 18)의 2개분의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광학 헤드를 2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분의 개구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여 L자형으로 해도 좋고, 또한 직선 상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I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 헤드용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을 2 헤드용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대신에 사용함으로써, 한 쪽 광학 헤드에 의해 새로운 정보 신호를 기록하면서 다른 쪽 광학 헤드에 의해 기록된지 얼마 안 된 정보 신호의 기록 상태의 확인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1 헤드용인 것과 2 헤드용인 것으로 교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제조를 1 헤드용과 2 헤드용으로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어 제조 조립 라인의 공통화가 가능하며, 수요자의 필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따르면, 작은 힘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은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폐 동작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서는 회전 부재(14)에 저항력을 작용시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예를 들어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이용할 수 있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테이블 구동 장치(78)에 의해 광디스크(11)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광학 픽업 장치(79)에 의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보 신호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섀시(74)에 탑재되어 있다.
섀시(74)는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주연을 연속시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보강용 리브(7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용 리브(74a)의 4군데에는 이 섀시(74)를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 본체측의 부재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7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섀시(74)의 대략 중앙부에, 스핀들 모터(75)가 탑재된 모터 베이스판(76)이 고정 나사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섀시(74)의 스핀들 모터(75)를 협지하여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모두 사각형으로 된 제1 개구부(77a)와 제2 개구부(77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구부(77a)에 관련시켜 테이블 구동 장치(7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부(77b)는 도시하지 않는 별도의 테이블 구동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광디스크(11)를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78)와, 정보 신호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하는 픽업 장치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광학 픽업 장치(79)와, 이 광학 픽업 장치(79)를 테이블 구동 장치(78)에 대해 진퇴 동작시키는 픽업 이동 장치(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구동 장치(78)는 스핀들 모터(75)와, 이 스핀들 모터(75)의 회전부에 일체로 설치된 턴테이블(8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75)는 얇은 판금제의 모터 베이스판(76) 상에 부착되어 있고, 그 모터 베이스판(76)의 상면에는 가요성 배선판(76a)이 접착제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성 배선판(76a)의 배선 회로에는 스핀들 모터(75)의 배선과 테이블 구동용 커넥터의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에는 복수의 가요성배선판(76b)이 고정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75)는, 도17 및 도1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판(76)에 고정되는 고정부(75a)와, 이 고정부(7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75b)를 갖고, 회전부(75b)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에 턴테이블(81)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81)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81a)와, 이 끼워 맞춤부(81a)의 하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센터 구멍(11a)의 주연부가 적재되는 적재부(81b)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부(81a)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마그네트가 내장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81)에 대해 척 링(33)이 대향되고, 적재부(81b) 상에 적재된 광디스크(11)를 마그네트에 의해 흡입되는 척 링(33)의 흡착력으로 협지함으로써, 광디스크(11)가 처킹되어 턴테이블(81)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75)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은 외주면이 평활하게 된 둥근 막대형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축(82a)은 조정 플레이트(83)에 의해 양단부 지지되고, 제2 가이드축(82b)은 섀시(74)에 의해 양단부 지지되어 있다. 조정 플레이트(83)는 섀시(74)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조정 플레이트(83)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 사이의 평행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에 의해 광학 픽업 장치(79)가 턴테이블(81)에 대해 접근 및 이반하도록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의 한 쪽 단부는 스핀들 모터(75)의 양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 단부는 평행하게 되어 스핀들 모터(7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광학 픽업 장치(79)는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으로 안내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84)와, 이 슬라이드 부재(84)에 적재되어 왕복 이동되는 광학 헤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4)는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을 걸칠 수 있는 크기이며, 강성을 높게 하기 위해 블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84)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는 이와 교차하는 폭 방향에 쌍을 이루는 베어링부(84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부(84a)에 제1 가이드축(82a)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다른 측에는 제2 가이드축(82b)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삽통 구멍은 제2 가이드축(82b)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만큼만 슬라이드 부재(84)가 제1 가이드축(82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학 픽업 장치(79)의 광학 헤드는 대물 렌즈(79a)를 갖는 2축 작동기와, 이 2축 작동기를 거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반도체 레이저나 광전 변환 소자 등을 갖는 광학 제어부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2축 작동기의 대부분은 헤드 커버(79b)에 의해 씌워져 있고, 이 헤드 커버(79b)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대물 렌즈(79a)가 노출되어 있다. 이 대물 렌즈(79a)가 턴테이블(81)에 장착된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향된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 중 제1 가이드축(82a)은 조정 플레이트(83)에 설치한 한 쌍의 축지지 부재(83a, 83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축지지 부재(83a)에는 축압박판(83b)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을 고정 나사(83c)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제1 가이드축(82a)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축(82b)은 섀시(74)에 설치한 한 쌍의 축지지 부재(74c, 74c)에 지지되어 있고, 각각 축압박판(74d)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 나사(74e)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 플레이트(83)에는 픽업 이동 장치인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가 부착되어 있다.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는, 도23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나사(85)와 이송 모터(86)와 지지 플레이트(87)와 동력 전달 부재(8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 나사(85)는 가이드축(82a, 82b)보다도 조금 짧은 둥근 막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된 1조의 나사 홈(85a)을 축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이송 나사(85)의 나사 형상은 홈의 양 측면에 약간의 경사를 갖게 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사다리꼴 나사가 적합하지만,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각형 나사라도 좋고, 또한 단면 형상이 반원형을 이루는 반원형 나사로 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이미 알려진 형상의 나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송 나사(85)는 구동원인 이송 모터(86)의 회전축을 겸하고 있고, 이송 모터(86)에 의해 직접 회전 구동된다. 이송 모터(86)는 원통형의 모터 케이스(86a)와, 이 모터 케이스(86a)의 한 쪽 개구부를 폐쇄하는 케이스 커버(86b)를 갖고 있다. 모터 케이스(86a)는 지지 플레이트(87)의 모터 지지 부재(87a)에 코오킹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터 케이스(86a)의 내주면에는 링형으로 권취된 코일부가 끼워 맞춤 고정되고, 그 내측에 링형의 마그네트가 압입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지지 플레이트(87)는 이송 나사(85)와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판금제의 가늘고 긴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87)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같은 방향으로 입상함으로써,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된 모터 지지 부재(87a)와 나사 지지 부재(87b)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지지 부재(87a)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88a)이 마련되고, 나사 지지 부재(87b)의 상부에서 관통 구멍(88a)과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는 끼워 맞춤 구멍(88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모터 지지 부재(87a)의 외면에 이송 모터(86)가 고정되고, 이송 나사(85)가 관통 구멍(88a)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 나사(85)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구멍(88b)에 끼워 맞춤 고정되는 베어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87)에는 그 폭 방향의 1변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시켜 입상함으로써 가이드 돌조(8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조(87c)는 이송 나사(85)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송 나사(85)의 축심선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87)에는 2개의 삽통 구멍(87d)과, 2개의 위치 결정 구멍(87e)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구멍(87e)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87)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삽통 구멍(87d)에 삽통되는 부착 나사(89a)에 의해 조정 플레이트(83)에 부착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이송 너트(90)는 이송 나사(85)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84)에 전달하는 것으로, 제1 너트 부재(90a) 및 제2 너트 부재(90b)와, 양 너트 부재(90a, 90b)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9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너트 부재(90a)는 블럭형으로 형성된 너트 본체와, 이 너트 본체의 일면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통축부를 갖고, 이들을 관통하는 축방향 구멍의 일측에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90a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너트 부재(90a)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측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0a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90a2)에는 통축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슬릿에 지지 플레이트(87)의 가이드 돌조(87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너트 부재(90b)는 슬리프형으로 형성된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축방향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축방향 구멍의 일측에는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90b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구멍에는 제1 너트 부재(90a)의 통축부가 삽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 끼워 맞춤 구멍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키형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너트 부재(90b)와 제1 너트 부재(90a) 사이에 코일 스프링(90c)이 개재되고, 그 스프링력으로 한 쌍의 너트 부재(90a, 90b)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이송 너트(90)와 이송 나사(85) 사이에 생기는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너트 부재(90a, 90b)와 코일 스프링(90c)이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이송 나사(85)에 조립되어 있다. 이들의 조립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우선, 제1 너트 부재(90a)의 통축부에 코일 스프링(90c)을 삽입한 후, 그 통축부를 제2 너트 부재(90b)의 통축부의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게 한다. 다음에, 양 너트 부재(90a, 90b)가 조합된 이송 너트(90)에, 이송 나사(85)를 삽통시킨다.
이 경우, 양 너트 부재(90a, 90b)를 서로 근접시켜 코일 스프링(90c)을 조금 압축하고, 이 압축 상태를 보유 지지하여 이송 나사(85)를 회전하면서 삽입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제1 너트 부재(90a)의 나사부가 맞물리게 되고, 그 나사 홈(85a)에 제2 너트 부재(90b)의 나사부가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 그로 인해, 코일 스프링(90c)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1 너트 부재(90a)가 이송 모터(86)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제2 너트 부재(90b)가 이송 모터(8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도23에 있어서 제1 너트 부재(90a)의 나사부에서는 도면 중 좌측의 나사면이 이송 나사(85)의 좌측 나사면으로 압박되어 우측 나사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2 너트 부재(90b)의 나사부에서는 도면 중 우측 나사면이 이송 나사(85)의 우측 나사면으로 압박되어 좌측 나사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이송 너트(90) 전체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이송 나사(85) 사이의덜걱거림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너트 부재(90a)의 돌출부(90a2)를 설치한 슬릿이 지지 플레이트(87)의 가이드 돌조(87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송 너트(90)를 이송 나사(85)의 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너트 부재(90a)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 돌기(9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돌기(90d)에는 슬라이드 부재(84)에 고정되는 돌기 받침 부재(91)가 결합되어 있고, 이 돌기 받침 부재(91)를 거쳐서 이송 너트(90)의 이동력이 슬라이드 부재(84)로 전달된다. 돌기 받침 부재(91)는 슬라이드 부재(8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91a)와, 이 고정 부재(91a)에 연속된 지지 부재(91b)와, 지지 부재(91b)에 연속된 탄성 부재(91c)를 갖고 있다.
고정 부재(91a)는 가늘고 긴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 중도부의 폭 방향 일측에 L자형의 지지 부재(9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91b)의 자유단부측의 선단부 구석부에 구동 돌기(90d)를 받아 지지하기 위한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91d)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91c)는 삼각형으로 절곡하여 2개의 구석부를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강도의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선단부의 절곡부를 압박부(91e)로서 형성하여 지지부(91d)에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고정 부재(91a)에는 돌기 받침 부재(91)를 슬라이드 부재(84)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고정 나사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부착되는 돌기 받침 부재(91)의 지지부(91d)와 압박부(91e) 사이에 이송 나사(85)에 장착되어 있는 이송 너트(90)의 구동 돌기(90d)가 삽입된다.그리고, 탄성 부재(91c)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 돌기(90d)가 지지부(91d)와 압박부(91e)에서 협지되고, 이에 의해 이송 너트(90)와 슬라이드 부재(84) 사이에 힘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조정 플레이트(83) 및 지지 플레이트(87)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이 적합하지만, 스틸 강판, 그 밖의 금속제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강도가 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송 나사(8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이 녹슬기 어렵고, 충분히 큰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가 적합하다. 또한, 돌기 받침 부재(9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탄성이 큰 스테인레스 강판이 적합하지만, 그 밖의 판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과 조정 플레이트(83)와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에 의해 광학 픽업 장치(79)를 턴테이블(81)에 대해 진퇴 동작시키는 픽업 이동 장치(80)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에 대해 설명한다. 도24는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는 시스템 제어기(S1)와 메모리 제어기(S5)와 드라이브 제어기(D1)의 3개의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S1)와 메모리 제어기(S5)는 직접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라인에는 판독 전용 기억 장치(ROM)(S2)와 판독 기록 기억 장치(RaM)(S3)가 접속되어있다. 또한, 메모리 제어기(S5)에는 메모리(S4)와 MPEG2(3 M 내지 40 Mbps에 대응한 기존의 텔레비전 방송, HDTV, 광대역 ISDN 등에 응용되는 동화 압축 방식)용 인코더(S6) 및 MPEG2용 디코더(S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S1)에는 제어 패널(S8)과 리모콘 수신부(S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제어기(D1)에는 오류 정정 처리 회로(ECC)(D4)가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라인에는 기억 장치(ROM)(D2) 및 기억 장치(RAM)(D3)와, 서보 회로(D6) 및 어드레스 디코더(D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제어기(D1)에는 기록시의 에러를 판단하는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 제어기(D1)는 커맨드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S1)에 접속되어 있다.
정정 처리 회로(D4)는 데이터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메모리 제어기(S5)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변복조 회로(D5)에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변복조 회로(D5)는 광학 픽업 장치(79)의 대물 렌즈(79a)를 갖는 광학 헤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보 회로(D6)는 디스크 회전 구동 장치인 스핀들 모터(75)와, 광학 픽업 장치(79)와,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픽업 장치(79)는 어드레스 디코더(D7)에 접속되고, 이 어드레스 디코더(D7)는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는, 예를 들어 도25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공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케이스(93)에 수납되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외장 케이스(93)는 상면및 전방면에 개구된 케이스 본체(93a)와, 이 케이스 본체(93a)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케이스 덮개(93b)와, 케이스 본체(93a) 및 케이스 덮개(93b)의 전방면을 폐쇄하도록 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전방면 패널(93c)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장 케이스(93) 내에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 및 상술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 등이 수납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93)의 케이스 본체(93a)의 4군데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부재(93d)가 설치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93)의 전방면 패널(93c)은 가로로 긴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가로로 긴 카트리지 출입구(94)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출입구(94)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정면측 크기와 대략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출입구(94)는 그 내측에 배치된 개폐 도어(94a)에 의해 항상 폐쇄되어 있다.
개폐 도어(94a)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폐쇄측으로 압박되어 있고,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전방부에서 개폐 도어(94a)를 압박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로딩 기구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자동적으로 취입된다. 그리고, 로딩 기구에 의해 반송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외장 케이스(93)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외장 케이스(9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 개폐 수단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셔터 기구(19)가 개방 조작되어 카트리지 하우징(12)의 내외 개구부(17, 18)가 개방된다.
이 셔터 개폐 수단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래크 막대(95)를 도27에 도시하고있다. 이 래크 막대(95)는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에 맞물리는 래크부(95a)와, 이 래크부(95a)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전방 탄성 부재(95b)와, 동일하게 래크부(95a)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후방 탄성 부재(95c)를 갖고 있다. 래크 막대(95)의 래크부(95a)는 곧은 막대 부재의 중도부에 있어서 일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어부(60a)와 대략 동수의 기어를 갖고 있다.
래크 막대(95)의 전방 탄성 부재(95b)는 래크 막대(9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방 탄성 부재(95c)는 동일하게 래크 막대(9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마련되어 있다.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 및 스토퍼용 볼록부(96b)는 래크부(95a)의 기어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은 동일 직선 상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는, 단면 형상은 원호형으로 되어 있지만, 그 크기 및 높이는 래크부(95a)의 기어와 대략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용 볼록부(96b)는, 단면 형상은 래크부(95a)의 기어와 마찬가지로 산형으로 되어 있지만, 그 크기 및 높이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 탄성 부재(95b, 95c)에 적절한 크기의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 및 스토퍼용 볼록부(96b)에 대해 후퇴 동작이 탄성적으로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27에 있어서, 부호 95d는 래크 막대(95)의 보강을 겸한 가이드부이다. 이 가이드부(95d)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장전 가이드 홈(5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래크 막대(95)의 작용에 의한 디스크 기록 매체장치(10)의 회전 부재(14)의 회전 및 셔터 기구(19)의 개폐 동작을 도25 및 도26, 도28 내지 도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에 삽입하기 전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내외 개구부(17, 18)는 셔터 기구(19)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로부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 내에 삽입함으로써, 외장 케이스(93) 내에 설치되어 있는 래크 막대(95)에 의해 로크 부재(56)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래크 막대(95)의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개방되고, 내외 개구부(17, 18)가 개방되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우선, 도26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에 소정량 삽입하면, 래크 막대(95)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한 쪽 측면부에 설치한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인입한다.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장전 가이드 홈(53) 내에 돌출되어 있는 로크 부재(56)의 입력부(56b1)를 탄성 아암(56d)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로크 수납부(55) 내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56)가 지지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 갈고리(56c1)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로부터 빠져나온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의 로크가 해제되어 그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다음에,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삽입 방향(F)으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삽입하고, 래크 막대(95)에 대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상대적으로 전진함으로써,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접촉하여 이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올라 앉는다. 이 때, 전방 탄성 부재(95b)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전방 탄성 부재(95b)의 휨에 의해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후방으로 휨 이동하여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올라 앉는다. 그 결과,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피조작부(60)의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 내로 인입한다.
이 볼록부(96a)가 오목부(61a)에 결합함으로써 래크 막대(95)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도2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래크 막대(95)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량에 따라서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볼록부(96a)가 오목부(61a)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래크부(95a)가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동력 전달 경로가 견고해져 래크 막대(95)의 이동력이 확실하게 전달되어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된다.
그리고,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전진하는 래크부(95a)와 곡선적으로 전진하는 기어부(60a)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전에,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피조작부(60)의 후방 슬라이드부(60c)에 설치한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된다. 그 후,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확실히 맞물린 곳에서, 래크부(95a)와 기어부(60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삽입 동작이 종료되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소정 위치인 카트리지 장착부에 셋트된다. 이 셋트 상태에서는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확실히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 부재(14)가 회전될 우려가 없다. 이 때, 회전 부재(14)가 회전을 개시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19c 및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단부면에 설치한 복수의 캠 돌기(64)가 상부 쉘(13)의 캠 홈(22)에 설치한 캠부(22a)에 올라 앉는다.
그로 인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가 하부 쉘(15)측으로 이동하여 그 평면부(14a)와 하부 쉘(15) 사이에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와 하부 쉘(15)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회전 부재(14)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힘이 커진다. 이 캠부(22a)의 올라 앉음에 의한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14)를 회전시킴으로써,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돌기(64)가 캠부(22a)를 통과한다. 그 결과, 캠 돌기(64)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 이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 동작은 매우 가볍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회전 부재(14)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14d)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각 셔터 부재(19a, 19b)에 설치한 개폐 홈(68)에는 하부 쉘(15)의 조작 볼록부(39a, 39b)가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회전 부재(14)가 회전하면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에 대해 각 개폐 홈(68)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의 회전량에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인 내측[회전 부재(14)의 중심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도28(도12를 참조)의 상태로부터 도29 및 도30의 상태를 경유하여 도31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하고, 내외 개구부(17, 18)를 개방하여 좌우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와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가 완전히 개방된다. 그로 인해,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수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의 일부가 내외 개구부(17, 18)로부터 노출된다(도15를 참조).
그 결과, 도17로부터 도18의 상태로 변화하여 내외 개구부(17, 18)에 대한 턴테이블(81) 및 대물 렌즈(79a)를 갖는 광학 헤드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턴테이블(81) 등을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턴테이블(81)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턴테이블(81)이 카트리지 하우징(12) 중앙부의 테이블용 개구부(17a, 18a) 내로 인입하고, 광학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7b, 18b) 내로 인입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81)의 끼워 맞춤부(81a)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 끼워 맞추어져 센터 구멍(11a)의 주연부가 적재부(81b)에 적재된다. 이와 동시에, 끼워 맞춤부(81a)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상부 쉘(13)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척 링(33)이 흡착되어 척 링(33)과 적재부(81b)에서 광디스크(11)가 협지된다. 그 결과, 광디스크(11)가 턴테이블(81) 등에 처킹되어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된다. 이와 동시에, 대물 렌즈(79a)가 소정의 간격을 보유지지하여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면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한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테이블 구동 장치 본체(78)를 동작시켜 스핀들 모터(75)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81)을 거쳐서 광디스크(11)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광학 픽업 장치(79)를 구동시켜 광학 헤드의 대물 렌즈(79a)로부터 레이저광을 출사시킨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를 판독하거나, 또는 그 정보 기록면에 대해 새로운 정보 신호를 기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한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이 실행된다.
다음에,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 후, 예를 들어 외장 케이스(93)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배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로딩 기구의 작동을 거쳐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로부터 이탈되어 외장 케이스(93)로부터 배출된다.
즉, 로딩 기구의 배출 동작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래크 막대(95)가 후퇴 동작된다. 이 래크 막대(95)에 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후퇴 동작에 의해,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용 볼록부(96b)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회전된다. 그리고,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오목부(61b)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래크부(95a)가기어부(60a)에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계속해서 회전된다.
이 때, 래크 막대(95)의 스토퍼용 볼록부(96b)의 선단부가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 내로 인입하고 있으므로 그 볼록부(96b)가 개구창(52)의 모서리에 접촉하지만, 그 볼록부(96b)와 일체의 후방 탄성 부재(95c)가 적절한 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이 후방 탄성 부재(95c)의 휨 변형에 의해 볼록부(96b)가 외측으로 탄성 변위하여 개구창(52)의 모서리를 타고 넘는다. 그로 인해, 볼록부(96b)의 높이가 래크부(95a)의 기어 높이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오목부(61b)로부터 떨어진 볼록부(96b)가 개구창(52)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고, 따라서 그 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회전 부재(14)의 회전에 의해, 개구창(52) 내에 있어서 래크부(95a)가 기어부(60a)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에 결합된다. 이 볼록부(96a)와 오목부(61a)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계속되어 회전 부재(14)가 최초의 위치까지 회전된다. 이에 의해, 피조작부(60)의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단부면이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에 접촉되므로 이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대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와 래크 막대(95) 사이에는 상대 이동이 계속해서 생기고 있으므로, 오목부(61a)에 결합되어 있는 볼록부(96a)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 부재(14)에는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회전력의 반력이 볼록부(96a)에 부여되어 이 반력을 받아 전방 탄성 부재(95b)가 휨 변형하고, 볼록부(96a)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오목부(61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래크 막대(95)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개구 구멍(52)을 통과함으로써, 로크 부재(56)의 입력부(56b1)가 개구 구멍(57)으로부터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로크 부재(56)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되어 그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상술한 삽입시와는 반대의 동작을 실행하여 내외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캠 돌기(64)는 캠 홈(22) 내에 있으므로, 회전 부재(14)를 가벼운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캠 돌기(64)가 캠부(22a)에 접촉하여 올라 앉음으로써, 이 이후 회전 부재(14)의 회전에는 상술한 마찰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셔터 기구(19)가 폐쇄하기 직전에 있어서, 조작 볼록부(39b)(또는 39a)가 개폐 홈(68)을 최외측부까지 이동하여 탄성 부재(69a)에 접촉하여 이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조작 볼록부(39b)(또는 39a)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 부재(69a)에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이 탄성 부재(69a)의 스프링력에 의해 중앙의 단차부(66)에는 다른 쪽 셔터 부재(19a)(또는 19b)에 작용하는 압접력이 발생한다. 이 압접력은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양자에 발생하므로, 서로의 압접력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밀폐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티끌이나 이물질 등이디스크 수납실(16) 내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내외 개구부(17, 18)의 전체가 완전히 폐쇄되고(도14를 참조), 그 폐쇄 상태에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배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있어서,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하부 쉘(15) 및 셔터 부재(19a, 19b) 사이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도20 및 도21 및 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0에 나타낸 부호 A 내지 K 및 도21에 도시한 부호 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A :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캠 홈(22)의 면까지의 높이
A = 2.9 ㎜ + 0.1/0 ㎜
(2) B :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
B = 3.85 ㎜ + 0.05 ㎜(참고 치수)
(3) C :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
C = 4.15 ㎜ + 0.1/-0 ㎜(참고 치수)
(4) D :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높이
D = 3.3 ㎜ + 0.05 ㎜
(5) E : 셔터 부재(19a, 19b)의 두께
E= 1.1 ㎜ + 0/-0.05 ㎜
(6) F : 회전 부재(14)의 하면으로부터 단부면까지의 높이
F = 4.7 ㎜ + 0/-0.1 ㎜
(7) G : 회전 부재(14)의 캠 돌기(64)의 높이
G = 0.2 ㎜ + 0/-0.05 ㎜
(8) H : 상부 쉘(13)의 캠부(22a)의 높이
H = 0.2 ㎜ + 0/-0.05 ㎜
(9) J : 하부 쉘(15)의 리브(37)의 높이
J = 0.2 ㎜ + 0/-0.05 ㎜(참고 치수)
(10) K : 셔터 부재(19a, 19b)의 리브 릴리프 홈(70)의 깊이
K = 0.2 ㎜ + 0.05/-0 ㎜(참고 치수)
(11) Σ : 조립시에 있어서의 캠부(22a)와 캠 돌기(64) 사이의 이상적인 클리어런스
= 0 ㎜ + 0.45/-0 ㎜(누적 공차)
0.064 ㎜ + 0.322/-0 ㎜(제곱 평균 × 1.66)
이 계산식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상적인 클리어런스(Σ)는 0 ㎜ 내지0.4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값은 0.2 ㎜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셔터 개폐 동작을 행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14)는 상부 쉘(13)과 하부 쉘(15) 사이에서 0.4 ㎜ 정도(공차의 센터치)의 클리어런스 중에서 동작하고, 보존시에는 0.2 ㎜ 정도로 클리어런스가 좁혀진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14)를 상부 쉘(13)에 압착시키는 일 없이, 0 ㎜ 내지 0.45 ㎜(최적치는 0.2 ㎜ 정도)의 클리어런스를 설정함으로써, 먼지의 침입 경로를 가능한 한 좁혀 디스크 수납실(16) 내로 먼지가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의 주연부에 리브(37)[원호형 리브부(37a)와 직선형 리브부(37b)]를 설치하는 동시에, 셔터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브(37)와 대응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대응하는 부분에 리브 릴리프 홈(70)을 마련하고, 리브(37)와 리브 릴리프 홈(70)에 의해 방진용 간극(71)을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개구부(17, 18)가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보존시에 있어서의 방진 성능을 높일 수 있어, 디스크 수납실(16) 내로 먼지가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은 회전 부재를 폐지하여 상하 쉘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예로서 나타낸 도32와 같이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고, 그 셔터 부재에 상술한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마련하는 동시에, 이에 대응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개구부의 주연에 마련함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이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광자기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그 밖의 각종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로서 기록 및 재생의 양자가 가능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록 또는 재생의 한 쪽만이 가능한 디스크 기록 장치 또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2)의 하부 쉘(15) 및 회전 부재(14)에 개구부(17, 18)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부 쉘(13)에도 개구부를 설치하고, 카트리지 하우징(12)의 상하로부터 동시에 억세스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볼록조 및 오목홈은 회전 부재와 셔터 부재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와 하부 쉘로 디스크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부 쉘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볼록조 및 오목홈은 상부 쉘과 셔터 부재 또는 회전 부재와 셔터 부재로 설정한다.
게다가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부 쉘(15)의 개구부(17)의 주연부에 리브(37)를 설치하고, 이 리브(37)에 대응하는 리브 릴리프 홈(70)을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마련하여 방진용 간극(71)을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한 쌍의 셔터 부재에 볼록조를 설치하여 이에 대응하는 오목홈을 하부 쉘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셔터 개폐에 있어서는 셔터 개폐 수단을 고정하여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예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셔터 개폐 수단과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셔터 부재를 개폐 동작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디스크 장착부에 고정한 후, 셔터 개폐 수단을 모터 등으로 이동시켜 개폐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디스크 수납실을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 혹은 하부 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혹은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볼록조 및 오목홈을 형성하여 방진용 간극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의 클리어런스를 아주 작게 하여 카트리지 하우징의 방진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디스크 수납실 내로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 수납실을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쉘 혹은 하부 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혹은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볼록조 및 오목홈을 형성하여 방진용 간극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카트리지 하우징에 있어서의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의 클리어런스를 아주 작게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의 방진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디스크 수납실 내로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납실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셔터 부재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 쉘 혹은 하부 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혹은 하부 쉘과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볼록조 및 오목홈을 형성하여 방진용 간극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카트리지 하우징에 있어서의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의 클리어런스를 아주 작게 하여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방진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따라서 먼지나 이물질 등이 디스크 수납실 내로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먼지나 이물질 등의 영향을 받는 일이 적어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6)
-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상기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과 상기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상기 방진용 간극으로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 중앙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 구멍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상기 상부 쉘 및/또는 상기 하부 쉘의 측면부까지 연장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이 상부 쉘 및/또는 하부 쉘의 측면에 개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회전 가능 또는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상기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상기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셔터 부재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상기 방진용 간극으로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 중앙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 구멍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상기 상부 쉘 및/또는 상기 하부 쉘의 측면부까지 연장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이 상부 쉘 및/또는 하부 쉘의 측면에 개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과 상기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형성하고,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상기 방진용 간극으로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 중앙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 구멍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상기 상부 쉘 및/또는 상기 하부 쉘의 측면부까지 연장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이 상부 쉘 및/또는 하부 쉘의 측면에 개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회전 가능 또는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 및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상기 셔터 부재가 서로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셔터 부재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상기 방진용 간극으로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 중앙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 구멍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상기 상부 쉘 및/또는 상기 하부 쉘의 측면부까지 연장되어 개구부의 외주연이 상부 쉘 및/또는 하부 쉘의 측면에 개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가 셔터 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삽탈 동작에 따라서 상기 셔터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과,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기록 매체 장치의 장착시, 상기 셔터 개폐 수단에 의해 개방된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개거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구성되는 동시에 상부 쉘 및 하부 쉘 내 또는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혹은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상기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고,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또는 하부 쉘과 상기 셔터 부재가 포개어지는 부분에, 한 쪽 부재에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다른 쪽 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록조와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방진용 간극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상부 쉘 혹은 하부 쉘 또는 상기 상부 쉘, 회전 부재 혹은 하부 쉘에는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둘러싸도록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는 상기 볼록조 또는 오목홈에 대응되는 오목홈 또는 볼록조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의 주연을 상기 방진용 간극으로 둘러싸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상부 쉘 및 상기 하부 쉘 중 적어도 한 쪽 중앙부로부터 외주연까지 연장되고, 상기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센터 구멍이 노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주연은 상기 개구부가 설치된 상기 상부 쉘 및/또는 상기 하부 쉘의 측면부까지 연장되고, 개구부의 외주연이 상부 쉘 및/또는 하부 쉘의 측면에 개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개폐 수단은 래크부와 상기 래크부의 전후에 배치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래크부에 맞물리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전후에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셔터 개폐 수단의 진퇴 운동에 의거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266076 | 2001-09-03 | ||
JPJP-P-2001-00266076 | 2001-09-03 | ||
PCT/JP2002/008844 WO2003021593A1 (fr) | 2001-09-03 | 2002-08-30 | Cartouche disque, dispositif support d'enregistrement de disque, et enregistrement de disque et/ou dispositif de reprod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8677A true KR20040028677A (ko) | 2004-04-03 |
KR100897976B1 KR100897976B1 (ko) | 2009-05-18 |
Family
ID=1909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7006097A KR100897976B1 (ko) | 2001-09-03 | 2002-08-30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과 재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7057854B2 (ko) |
EP (1) | EP1426960B1 (ko) |
KR (1) | KR100897976B1 (ko) |
CN (1) | CN1279540C (ko) |
DE (1) | DE60230775D1 (ko) |
ES (1) | ES2319622T3 (ko) |
HK (1) | HK1064497A1 (ko) |
TW (1) | TWI230374B (ko) |
WO (1) | WO20030215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85910A (ja) * | 2001-09-11 | 2003-03-20 | Sony Corp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
JP2003115153A (ja) | 2001-10-01 | 2003-04-18 | Sony Corp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JP3948235B2 (ja) * | 2001-10-01 | 2007-07-25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
DE602004003747T2 (de) | 2003-06-23 | 2007-10-11 | Sony Corp. | Aufzeichnungsmediumgehäuse |
JP2005267826A (ja) * | 2004-02-18 | 2005-09-29 | Sony Corp |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
JP2005243129A (ja) * | 2004-02-25 | 2005-09-08 | Hitachi Maxell Ltd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CN107785035A (zh) * | 2017-10-09 | 2018-03-09 | 黄淮学院 | 半圆式高储量伸缩换盘面的电脑硬盘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52961A (en) * | 1984-09-27 | 1987-03-24 | Dysan Corporation | Micro-floppy diskette with inner containment system |
US5199593A (en) * | 1990-08-14 | 1993-04-06 | Fuji Photo Film Co., Ltd. | Plastic case having improved ultrasonic welds between halves thereo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JPH04241283A (ja) * | 1991-01-14 | 1992-08-28 | Ricoh Co Ltd | 情報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
US6236639B1 (en) * | 1995-05-01 | 2001-05-22 | Imation Corp. | Cartridge for disk-shaped storage medium having novel internal walls |
JPH1064224A (ja) * | 1996-08-26 | 1998-03-06 | Sony Corp | リムーバブ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JPH10154385A (ja) | 1996-11-21 | 1998-06-09 | Sony Corp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AU743961B2 (en) * | 1997-07-24 | 2002-02-07 | Sony Corporation | Container casing for disc-shaped recording medium |
JP4006809B2 (ja) * | 1998-02-02 | 2007-11-14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記憶媒体カートリッジ |
JP2000090628A (ja) | 1998-07-13 | 2000-03-31 | Sony Corp | ディスクカ―トリッジ |
US6473392B2 (en) | 1998-07-13 | 2002-10-29 | Sony Corporation | Disc cartridge |
JP2000030396A (ja) | 1998-07-13 | 2000-01-28 | Sony Corp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JP2000113630A (ja) * | 1998-10-05 | 2000-04-21 | Sony Corp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KR100924052B1 (ko) | 2001-06-29 | 2009-10-2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디스크 카트리지 및 디스크 카트리지용 성형 부재 및 내측 쉘의 제조 방법 |
JP2003059228A (ja) * | 2001-08-21 | 2003-02-28 | Fuji Photo Film Co Ltd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2002
- 2002-08-30 DE DE60230775T patent/DE60230775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30 WO PCT/JP2002/008844 patent/WO20030215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2-08-30 KR KR1020037006097A patent/KR1008979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8-30 ES ES02770182T patent/ES2319622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30 CN CNB028031903A patent/CN127954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8-30 EP EP02770182A patent/EP142696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2-08-30 US US10/415,641 patent/US705785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9-02 TW TW091119969A patent/TWI230374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
- 2004-09-17 HK HK04107211A patent/HK1064497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97976B1 (ko) | 2009-05-18 |
US20040042277A1 (en) | 2004-03-04 |
DE60230775D1 (de) | 2009-02-26 |
US7057854B2 (en) | 2006-06-06 |
EP1426960B1 (en) | 2009-01-07 |
ES2319622T3 (es) | 2009-05-11 |
HK1064497A1 (en) | 2005-01-28 |
TWI230374B (en) | 2005-04-01 |
CN1279540C (zh) | 2006-10-11 |
WO2003021593A1 (fr) | 2003-03-13 |
EP1426960A1 (en) | 2004-06-09 |
CN1486492A (zh) | 2004-03-31 |
EP1426960A4 (en) | 2005-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56488B1 (en) | Disc cartridges | |
KR100746734B1 (ko) | 디스크카트리지 | |
KR100897978B1 (ko)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 |
JP2002050148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US20060184959A1 (en) | Disk cartidge, disk recording medium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technical field | |
KR100897976B1 (ko)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과 재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장치 | |
KR100625821B1 (ko) | 디스크 카트리지 | |
KR20040029956A (ko)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 |
JP2003085916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 |
JP4089357B2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JP2001332058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4131145B2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
JP2003085917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 |
EP1492111B1 (en) | Recording medium cartridge | |
JP2001332054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2001332055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2001332057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H02123583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2001332056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 |
JP2002050143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 | |
JP2003115181A (ja) |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