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9956A -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9956A
KR20040029956A KR10-2003-7006382A KR20037006382A KR20040029956A KR 20040029956 A KR20040029956 A KR 20040029956A KR 20037006382 A KR20037006382 A KR 20037006382A KR 20040029956 A KR20040029956 A KR 20040029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isc
recording medium
lower shell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바따마나부
이와끼유우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99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7Positioning or centering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2Driving fea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이 설치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중앙부에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테이블 구동 장치의 척 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DISK CARTRIDGE, DISK RECORDING MEDIUM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종래, 일반적으로 음성, 영상 혹은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카트리지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는 컴퓨터의 데이터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나중에 기록(기입)할 수 있는 추기형 광자기 디스크(4)를 내장하고 있는 정보기록 미디어이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는 한 쌍의 상부 쉘(2a) 및 하부 쉘(2b)에 의해 구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2)과, 이 카트리지 하우징(2)의 디스크 수납실(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광자기 디스크(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 하우징(2)의 상하 양면에는 중앙부로부터 1변을 향해 연장되는 상하의 개구부(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부(5)는 그 1변에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된 셔터 부재(6)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셔터 부재(6)는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개구부(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항상 압박되어 있다. 부호 6a는 셔터 부재(6) 선단부의 발출을 방지하기 위한 압박 부재이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4)의 중앙부에는 금속에 의해 원반형으로 형성된 센터 허브(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터 허브(7)는 개구부(5)의 내측 단부에 대응된 위치, 즉 카트리지 하우징(2)의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센터 허브(7)에는 정보 기록 재생 장치의 본체측에 설치되는 턴테이블이 장착되고, 그 턴테이블에 의한 처킹에 의해 고정되어 광자기 디스크(4)가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 구동된다. 이 때, 개구부(5) 내에 헤드부가 삽입되는 광자기 픽업 장치의 작용에 의해 광자기 디스크(4)에 대한 정보 신호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는, 광자기 디스크(4)의 중앙부에 금속제의 센터 허브(7)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센터 허브(7)를 턴테이블측으로 압박하여 광자기 디스크(4)를 처킹하기 위한 척 링이 테이블 구동 장치에 설치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카트리지 하우징(2)에는턴테이블을 출입시키기 위해 하부 쉘(2b)에 설치한 개구부와는 별도로 척 링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부(3)를 상부 쉘(2a)에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상부 쉘(2a)의 개구부(3)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2)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개구부(3)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2)의 강도가 낮아지고,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카트리지 하우징(2)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만 해 디스크 카트리지가 대형화되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척 링을 테이블 구동 장치에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기구가 필요해져 테이블 구동 장치의 구조도 복잡해지게 되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척 링을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개구부의 수를 적게 하여 디스크 카트리지의 강도를 높게 하는 동시에, 테이블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카트리지 하우징의 디스크 수납실 내에 수납하기 위한 디스크 카트리지, 그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미리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기 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턴테이블에 협지하여 회전 구동하기 위한 척 링을 카트리지 하우징에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해하여 상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분해하여 하면측으로부터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바닥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에 부착되는 척 링 및 링 홀더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에 부착되는 척 링 및 링 홀더의 중앙부를 단면하여 하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 부재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회전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한 쌍의 셔터 부재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한 쌍의 셔터 부재의 조합 상태를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1a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오소거 방지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b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크 부재를 각각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부 쉘을 상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의 하부 쉘의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회전 부재에 한 쌍의 셔터 부재를 부착하여 내측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도1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셔터 기구를 폐쇄하여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5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하면측으로부터 본 것으로, 셔터 기구를 개방하여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5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을 연결한 선에 따라서 단면한 설명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처킹을 설명하는 것으로, 턴테이블에 광디스크가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처킹을 설명하는 것으로, 턴테이블에 광디스크가 장착된 상태를 단면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2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개구부 개폐시에 있어서의 상부 쉘에 대한 회전 부재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 도21a는 분해 사시도, 도21b는 다운시의 사시도, 도21c는 업시의 사시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캠부 및 회전 부재의 캠 돌기 사이의 클리어런스 계산을 설명하는 것으로, 상부 쉘, 회전 부재, 하부 쉘 및 셔터 부재의 치수를 부호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3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의 상부 쉘의 캠부 및 회전 부재의 캠 돌기 사이의 클리어런스 계산을 설명하는 것으로, 그 클리어런스를 부호로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24는 본 발명에 관한 테이블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관한 테이블 구동 장치의 이송 나사 구동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동력 전달 부재 등의 일부를 단면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 설명도이다.
도27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삽입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8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삽입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9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셔터 기구를 개폐하는 셔터 개폐 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한 쌍의 셔터 부재가 하부 쉘의 개구부 및 회전 부재의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하여, 래크 막대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가 하부 쉘의 개구창에 이르기까지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가 회전 부재의 초기 동작용 오목부에 결합하여 회전 부재가 회전하기 시작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가 조금 개방된 상태(대략 5°)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래크부가 회전 부재의 기어부에 맞물려 한 쌍의 셔터 부재가 크게 개방된 상태(대략 30°)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3은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하부 쉘을 제거하여 셔터 기구의 개폐 상태를 설명하는 것으로, 래크 막대의 스토퍼용 볼록부가 회전 부재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에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가 개구부를 완전히 개방한 상태(대략 55°)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34는 종래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카트리지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가 상부 쉘 및 하부 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는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가 상부 쉘 및 하부 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회전 부재 및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가 셔터 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삽탈 동작에 따라서 셔터 부재를 이동시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과,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장착시, 셔터 개폐 수단으로 개방된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개거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구성되는 동시에 상부 쉘 및 하부 쉘 내 또는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혹은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고,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부로부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부착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도33은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본 출원에 있어서「디스크 카트리지」라 함은, 중요한 구성 멤버로서 상하 쉘 혹은 상하 쉘 및 회전 부재와, 1매 혹은 한 쌍의 셔터 부재(통상은 2매이지만, 3매 이상의 조합이라도 좋음)를 갖고,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기 이전의 하우징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라 함은, 디스크 카트리지의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여 카트리지 하우징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라 함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테이블 구동 장치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 오디오 정보로서의 음악 신호나 비디오 정보로서의 영상 신호 및 음악 신호 등의 각종 정보 신호가 미리 기록된 재생 전용형의 광디스크, 혹은 오디오 정보나 비디오 정보 등의 정보 신호가 1번만 기록 가능(추기형), 혹은 몇 번이나 반복하여 기록 가능(수정형)하게 된 기록 가능형의 광디스크(11)를 수납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얇은 원반의 표면에 자성 박막층을 형성하여 특정 위치의 자화 상태에 의해 정보를 기억하도록 한 자기 디스크,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자성 박막층에 광헤드와 자기 헤드를 사용하여 정보를 기입 또는 판독하도록 한 광자기 디스크, 그 밖의 디스크형을 이루는 기억 매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을 포갬으로써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12)과, 이 카트리지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광디스크(11)와,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8) 및 외측 개구부(17)를 개폐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로부터 광디스크(11)를 제거한 것이 디스크 카트리지이다.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통상 광디스크(11)를 수평 상태로 하여 사용되므로, 본 출원에 있어서는 광디스크(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쉘을 상부 쉘(13)이라 하고, 광디스크(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쉘을 하부 쉘(15)이라 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광디스크(11)를 수직 상태 혹은 경사 상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서 말하는 상부 쉘(13)은 제1 쉘이라 환언하고, 하부 쉘(15)은 제2 쉘이라 환언하는 것으로 한다.
상부 쉘(13)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측이 원호 형상이 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얇은 접시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상부 쉘(13)의 하면(도4에 있어서 표면으로서 나타나 있는 면) 중앙부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환형의 상부 내면벽(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부 내면벽(21)의 내측에 원형의 상부 함몰부(16a)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내면벽(21)의 외측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여 상부 내면벽(21)을 둘러싸도록 환형의 캠 홈(2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캠 홈(22)의 주위 방향의 3군데에는 소정 길이의 캠부(22a)(도4에 있어서 격자 줄무늬형으로 해칭한 부분)가 대략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캠부(22a)는 회전 부재(14)가 회전 변위하여 상부 쉘(13)에 대해 소정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회전 부재(14)를 리프트업시켜 하부 쉘(15)에 근접시키는 것이다. 이 캠부(22a)의 작용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상부 쉘(13)의 외주연에는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와 좌우 상부 측면 모서리(13b, 13c)와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쉘(15)과의 위치 맞춤을 행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광학 헤드를 출입하기 위한 제1 오목부(23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중앙부는 내측으로 후퇴되어 있고, 그 오목부(13d0)에는 하부 쉘(15)의 하부 후방면 모서리가 장착된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부 쉘(15)과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위한 제2 오목부(23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내면벽(21)의 제1 및 제2 오목부(23a, 23b)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각 오목부(23a, 23b)에 대응된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절결부(21a, 21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한 쪽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및 상부 측면 모서리(13c)와 캠 홈(22) 사이에는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전방측 상부 주위벽(24a, 24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 및 상부 측면모서리(13b)와 캠 홈(22) 사이에는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c, 24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 및 상부 측면 모서리(13c)와 캠 홈(22) 사이에는 동일하게 각각에 소정의 간극을 두고 2개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 24f)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상부 주위벽(24a 내지 24f)의 높이는 상부 내면벽(21)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고, 특히 각 구석부에 위치하는 3군데의 상부 주위벽(24a, 24c 및 24e)은 조립시에 있어서 하부 쉘(15)의 내면에 접촉할 수 있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오소거 방지구(25)가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러그 수납부(26)의 상부 함몰부(26a)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 함몰부(26a)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개구창(27)의 상부 절반을 형성하는 상부 절결부(27a)가 설치된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와, 상부 절결부(27a)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부 수납벽(28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함몰부(26a)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간헐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2군데에 노치가 형성된 가이드부(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쉘(13)의 4군데의 구석부에는 하부 쉘(15)을 나사 고정하기 위한 나사 고정 돌기(3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쉘(13)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배면에 걸쳐서 상방으로 조금 팽출되어 있고, 그 팽출부(31)의 배면측에는 파지할 때의 미끄럼 방지용 파지 오목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이 팽출부(31)의 전방면측에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삽입할 때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는삼각형의 지시 표지(3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시 표지(31b)와 파지 오목부(31a) 사이에는 기록 내용과 그 밖의 필요 사항을 기재할 수 있는 라벨을 부착하기 위한 상부 라벨 부착면(31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쉘(13) 내면의 중앙부에는 척 링(33)이 링 홀더(3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척 링(33) 및 링 홀더(34)는 도5 및 도6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척 링(33)은 마그네트에 의해 흡착되는 자성 재료(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SUS 430 등)에 의해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직경이 다른 링형의 요철을 동심 상에 복수 설치함으로써 척 링(33)에는 최외주에 위치하는 플랜지부(33a)와, 광디스크(11)에 접촉되는 협지부(33b)와, 이 협지부(33b)와 플랜지부(33a) 사이에 설정된 테이퍼부(33c)와, 최내주에 위치하는 위치 규제부(33d)와, 이 위치 규제부(33d)와 협지부(33b) 사이에 설정된 릴리프부(33e)가 설치되어 있다.
척 링(33)의 협지부(33b)는 광디스크(11)의 중앙 구멍(11a)을 둘러싸는 주연부를 압박하여 턴테이블에 압박하는 압박부의 역할을 갖는 것이고, 이 협지부(33b)가 일면측으로 돌출되고, 그 반대 면측으로 플랜지부(33a)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33a)의 면과 협지부(33b) 면의 내측에 적당한 단차를 두고, 협지부(33b)측으로부터 플랜지부(33a)를 향해 릴리프부(33e)와 위치 규제부(33d)가 설정되어 있다.
척 링(33)의 위치 규제부(33d)는,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81)의 끼워 맞춤부(81a)의 선단부에 대향되는 것으로, 그 끼워 맞춤부(81a)에 내장되는마그네트(97)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로 되어 있다. 이 위치 규제부(33d)에는 끼워 맞춤부(81a)의 선단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테이퍼형의 함몰부(33f)가 마련되어 있고, 처킹시에는 끼워 맞춤부(81a)의 선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링 홀더(34)는 전체적으로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 부재의 일면측에 내향의 내부 플랜지(34a)가 설치되고, 다른 면측에는 외향의 외부 플랜지(34b)가 설치되어 있다. 링 홀더(34)는 척 링(33)을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여 지지하는 것이고, 외부 플랜지(34b)를 용착이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상부 쉘(13)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링 홀더(34)의 외부 플랜지(34b)의 표면을 상부 쉘(13)의 내면과 동일 높이의 면으로 하기 위해, 상부 쉘(13)에는 외부 플랜지(34b)가 끼워 맞추어지는 부착 구멍(13e)이 마련되어 있다.
이 링 홀더(34)의 내부 플랜지(34a)의 내경은 척 링(33)의 협지부(33b)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지만 플랜지부(33a)의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되어 있어, 테이퍼부(33c)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척 링(33)의 반경 방향 내측에 설정된 팽출부는 그 중도부까지 링 홀더(34)의 중앙 구멍(34c)에 삽입된다. 그리고, 링 홀더(34)의 내부 플랜지(34a)의 내주연에 의해 척 링(33)의 테이퍼부(33c)가 하방으로부터 지지된다. 그 결과, 링 홀더(34) 내에 있어서 척 링(33)은 그 면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그 면 방향과 직교하는 두께 방향(축 방향)으로도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척 링(33)의 형상에 대응시켜 상부 쉘(13)의 내면에 설치한 부착 구멍(13e)에는 2개의 환형 볼록부(98a, 98b)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환형 볼록부(99a, 99b)는 척 링(33)의 중심과 동심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설정된 제1 환형 볼록부(99a)의 내면에는 척 링(33)의 위치 규제부(33d)의 외면이 대향되고, 외측에 설정된 제2 환형 볼록부(99b)의 외면에는 척 링(33)의 테이퍼부(33c)의 내면이 대향된다. 이들 제1 및 제2 환형 볼록부(99a, 99b)를 마련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수직 설치로 한 상태에 있어서의 척 링(33)의 기울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쉘(13)의 하면에 하부 쉘(15)이 포개어진다. 하부 쉘(15)은 도1, 도2, 도12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 형상은 상부 쉘(13)의 그것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고, 정면측이 원호 형상으로 된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얇은 접시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하부 쉘(15)에는 정면측에 개구된 외측 개구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개구부(17)는 하부 쉘(15)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테이블용 개구부(17a)와, 이 테이블용 개구부(17a)에 연속하여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방면에 개구되는 헤드용 개구부(17b)로 이루어져 있다.
외측 개구부(17)는 후술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과, 동일하게 후술하는 광학 픽업 장치의 광학 헤드를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수납되는 광디스크(11)에 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이 자유로이 출입할 수 있는 넓이로 설정되어 있다. 즉, 테이블용 개구부(17a)에는 턴테이블이 출입되고, 또한 헤드용 개구부(17b)에는 광학 헤드가 출입된다. 또한, 하부 쉘(15)의 4 구석에는 원호형으로 연속된 하부 내면벽(36a, 36b, 36c 및 36d)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면벽(36a 내지 36d)의 내측에 하부 함몰부(16b)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의 내면측 주연에는 셔터 부재와의 간극을 작게 하여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37)가 설치되어 있다. 리브(37)는 테이블용 개구부(17a)의 주연에 따라서 반원형으로 형성된 원호형 리브부(37a)와, 헤드용 개구부(17b)의 양 모서리에 따라서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형 리브부(37b, 37b)와, 이 직선형 리브부(37b)와 밸런스를 이루도록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대칭 리브부(37c, 37c)를 갖고 있다. 그리고, 각 직선형 리브부(37b) 및 각 대칭 리브부(37c)의 외측에는 각 셔터 부재(19a, 19b)의 외측에 생기는 간극을 막기 위한 차폐부(38a, 3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하부 함몰부(16b) 내에는 회전 부재(14)의 회전 연동에 의거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폐 동작시키는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는 테이블용 개구부(17a)를 협지하도록 외측 개구부(1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외주연에는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와 좌우의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와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 및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는 각각 높이 방향 중도부에 단차부를 설치하여 상부의 두께를 얇게 한 단차식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하부 측면 모서리(15b, 15c) 및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의 각 박육부가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상부측면 모서리(13b, 13c) 및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내측으로 각각 인입하여 각 단차부가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상부 측면 모서리(13b, 13c) 및 상부 후방면 모서리(13d)의 각 하단부면에 접촉된다.
이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의 대략 중앙부에 개구된 헤드용 개구부(17b)의 개구단부(40a)가 상부 쉘(13)의 제1 오목부(23a)에 결합되어 전방측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의 중앙부에는 상부 쉘(13)의 제2 오목부(23b)에 결합되는 위치 결정부(40b)가 설치되어 있고, 이에 의해 후방측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위치 결정부(40b)의 외측에는 외면이 라벨의 부착면으로 된 라벨 부착벽(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라벨 부착벽(41)은 가능한 한 넓은 평면 부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부 쉘(13)측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고, 조립시에는 함몰부(13d0)에 삽입된다.
하부 쉘(15)의 한 쪽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c)와 하부 내면벽(36b)에 의해 전방측 하부 주위벽(4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b)와 하부 내면벽(36c)에 의해 후방측 하부 주위벽(4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 및 하부 측면 모서리(15c)와 하부 내면벽(36d)에 의해 후방측 하부 주위벽(42c)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 쉘(13, 15)의 조립시에는 전방측 하부 주위벽(42a)의 내측에 상부 쉘(13)의 전방측 상부 주위벽(24a)이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후방측 하부 주위벽(42b)의 내측에는 후방측 상부 주위벽(24c)이 끼워 맞추어지고, 후방측하부 주위벽(42c)의 내측에는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이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하부 쉘(15)의 후방측 하부 주위벽(42c)의 내측에는 오소거 방지구(25)가 장착되는 하부 함몰부(26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는 개구창(27)의 하부 절반을 형성하는 하부 절결부(27b)가 설치된 하부 후방면 모서리(15d)와, 하부 절결부(27b)의 내측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하부 수납벽(28b)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의 하면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안내하여 슬라이드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홈(43)이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함몰부(26b)와 상부 함몰부(26a)에 의해 플러그 수납부(26)가 구성되어 있다.
오소거 방지구(25)는 도11a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즉, 오소거 방지구(25)는 전체적으로 입방체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정면부(25a)에는 일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정면부(25a)의 돌출부와 반대측에는 오소거 방지구(25)를 슬라이드 조작하기 위한 조작 돌기(25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소거 방지구(25)의 하면에는 하부 쉘(15)의 가이드 홈(43)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25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정면부(25a)와 반대측의 배면에는 가이드부(29)에 결합시켜 탈락을 방지하는 결합부(25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합부(25d)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이드부(29)의 절결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이 탄성 부재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 조작시의 클릭감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15)의 4군데의 구석부에는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전방 부착 구멍(44a) 및 후방 부착 구멍(44b)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후방 부착 구멍(44b)은 하부 쉘(15)의 내면에 설치된 원통형의 통축부(45)를 관통하고 있고, 각 후방 부착 구멍(44b)의 내면측에는 상부 쉘(13)의 나사 고정 돌기(30)가 끼워 맞추어진다.
또한, 각 통축부(45)의 근방에는 위치 결정 축부(46a, 46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 결정 축부(46a)는 평면 원형의 볼록부로 되어 있는 한편, 제2 위치 결정 축부(46b)는 평면 타원형의 볼록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 축부(46a, 46b)의 상단부에는 상하 쉘(13, 15) 사이의 위치 맞춤을 행하기 위한 한 쌍의 기준 돌기(47, 47)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기준 돌기(47, 47)는 각각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대략 동일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기준 돌기(47, 47)에 대응시켜 상부 쉘(13)에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준 구멍(48, 4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준 돌기(47)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부 쉘(13)의 후방측 상부 주위벽(24c) 및 후방측 상부 주위벽(24e)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만곡된 릴리프부(49a)와 타원형으로 만곡된 릴리프부(4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쉘(15)의 각 위치 결정 축부(46a, 46b)에는 기준 돌기(47)와 반대측의 하면에 개구하는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0a, 50b)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0a, 50b)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소정 위치인 디스크 장착부에 위치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그로 인해, 제1 위치 결정 구멍(50a)은 평면 원형으로 되어 있는 한편, 제2 위치 결정 구멍(50b)은 위치 결정시에 있어서의 횡방향의 치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가로로 긴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부 쉘(13)과 하부 쉘(15)을 포갬으로써 형성되는 상하의 함몰부(16a, 16b) 내에 회전 부재(14)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상하 쉘(13, 15)과 회전 부재(14)에 의해 카트리지 하우징(12)이 구성되어 있다.
상하로 포개어진 상하 쉘(13, 15)의 한 쪽 측구석부(13b, 15b)의 대략 중앙부에는 회전 부재(14)의 외주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창(52)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개구창(52)은 상부 쉘(13)의 접합부에 설치한 상부 절결부(52a)와, 하부 쉘(15)의 접합부에 설치한 하부 절결부(52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 쉘(13, 15)의 한 쪽 측구석부(13b, 15b)에는 그 접합면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전 가이드 홈(53)이 마련되어 있다. 장전 가이드 홈(53)은 후술하는 셔터 개폐 수단의 삽입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이 장전 가이드 홈(53)에 대응하도록 다른 쪽 측구석부(13c, 15c)에는 그 접합면에 따라서 전후 방향의 중도부까지 연장되는 오삽입 검출 홈(54)이 마련되어 있다. 장전 가이드 홈(53) 및 오삽입 검출 홈(54)은 상부 쉘(13) 및 하부 쉘(15)에 각각 절반씩 설치되어 있고, 양 쉘(13, 15)을 조합함으로써 사각형의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장전 가이드 홈(53)과 오삽입 검출 홈(54)의 조합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테이블 구동 장치에 장착할 때의 오삽입을 방지하여, 항상 바른 자세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쉘(13, 15)의 한 쪽 전방 모서리(13a, 15a)의 내측에는 로크 수납부(5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수납부(55)에는 회전 부재(14)를 소정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 부재(56)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수납부(55)는 하부 함몰부(16b)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한 쪽 측구석부(13b, 15b)에 마련된 개구 구멍(57)을 거쳐서 장전 가이드 홈(53)에 연통되어 있다. 이 로크 수납부(55)의 한 쪽을 형성하는 하부 쉘(15)에는, 로크 부재(56)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58)이 상부 쉘(13)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로크 부재(56)는, 도11b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축(58)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면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된 레버형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부재(56)는 링형을 이루는 회전축부(56a)와, 이 회전축부(56a)로부터 일측으로 돌출하는 조작 아암(56b)과, 회전축부(56a)로부터 다른 측으로 돌출하는 로크 아암(56c) 및 탄성 아암(56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아암(56b)의 선단부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입력부(56b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56c)과 탄성 아암(56d) 사이에는 적당한 크기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고, 로크 아암(56c)의 선단부에는 로크 갈고리(56c1)가 설치되고, 탄성 아암(56d)의 선단부에는 지지 헤드부(56d1)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로크 부재(56)는 도3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축(58)에 부착된다. 즉, 로크 갈고리(56c1)를 하부 함몰부(16b)측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축부(56a)를 지지축(58)에 끼워 맞추고, 탄성 아암(56d)의 지지 헤드부(56d1)를 상부 쉘(15)의 전방 모서리(15a)의 내면에 접촉시킨다. 이에 의해,탄성 아암(56d)의 스프링력에 의해 로크 아암(56c)이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 선단부의 로크 갈고리(56c1)가 하부 함몰부(16b) 내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 아암(56b)의 입력부(56b1)가 개구 구멍(57)에 내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입력부(56b1)의 선단부가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 부재인 로크 부재(56)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P0M)이 적합하지만,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금속제의 스프링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쉘(13) 및 하부 쉘(15)의 상하 함몰부(16a, 16b)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회전 부재(14)는 도1, 도2,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 부재(14)는 원반형의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는 평면부(14a)와, 이 평면부(14a)의 외주연에 연속하여 설치된 링부(14b)를 갖고 있다. 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에 내측 개구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개구부(18)는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와 형상 및 크기가 대략 동등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내측 개구부(18)도 외측 개구부(17)와 마찬가지로, 평면부(14a)의 중앙부에 설정되고 또한 턴테이블이 출입되는 테이블용 개구부(18a)와, 이 테이블용 개구부(18a)에 연속되고 또한 광학 헤드가 출입되는 헤드용 개구부(18b)를 갖고 있다. 그리고, 평면부(14a)의 테이블용 개구부(18a)의 내주 모서리에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광디스크(11)의 내측 비기록 영역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구석부(14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외주면 일부에는 셔터 개폐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그 왕복 동작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 있어서 회전시키는 피조작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조작부(60)는 도5 및 도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위 방향의 소정 범위(대략 30°정도)에 걸쳐서 다수의 기어가 설치된 기어부(60a)와, 이 기어부(60a)의 일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전방 슬라이드부(60b)와, 기어부(60a)의 다른 측에 연속하여 설치된 후방 슬라이드부(60c)와, 기어부(60a)로부터 주위 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랜드부(60d)를 갖고 있다.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외주면은 기어부(60a)의 이끝원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고, 또한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외주면은 기어부(60a)의 이뿌리원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주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단면 원호형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가 마련되고,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주위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단면 사다리꼴형의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 및 전후 슬라이드부(60b, 60c)가 링부(14b)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부 쉘(13) 및 하부 쉘(15)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4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돌출부와의 접촉을 회피하여 그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상부 릴리프부(52a) 및 하부 릴리프부(5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하 릴리프부(52a, 52b)에 의해 개구창(52)이 구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하부 쉘(15)과 회전 부재(14)와 로크 부재(56)는 조립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위치 관계를 갖고 있다.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와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가 가장 크게 회전 변위한 셔터 폐쇄 상태에서는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가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에 대향되고,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후단부 모서리(63b)가 하부 쉘(15)의 개구단부(40a)에 접촉된다. 이 때, 랜드부(60d)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측의 단부면 모서리(63c)가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에 대향된다. 또한,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회전 부재(14)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되어, 이 로크 부재(56)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로크 부재(56)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여 회전 부재(14)를 소정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외측 개구부(17)에 내측 개구부(18)가 합치되어 양측 개구부(17, 18)가 크게 개방된다. 그 결과, 양측 개구부(17, 18)를 거쳐서 디스크 수납실(16)이 개구되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 때, 전방 슬라이드부(60b)의 전단부 모서리(63a)가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에 접촉하여, 이 이상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방지된다. 또한, 개구창(52)에는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가 대향되는 동시에, 그 후단부 모서리(63b)에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결합되고,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 상태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개구측 단부면에는 주위 방향의 2군데에 배치된 원호형의 캠 돌기(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캠 돌기(64)는 회전 부재(14)를 상부 쉘(13) 등에 조립한 상태에 있어서, 상부 쉘(13)의 캠 홈에 결합된다. 그리고,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각 캠 돌기(64)가 캠 홈(22)의 캠부(22a)에 각각 올라 앉게 되고,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하부 쉘(15)측으로 압박된다.
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에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상기 평면부(14a)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은 테이블용 개구부(18a)를 중심으로 하여 한 쪽이 헤드 개구용 개구부(18b)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지지축(14d, 14d)을 거쳐서 회전 부재(14)에 부착되는 셔터 기구(19)를 구성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된 2매의 셔터 부재(19a, 19b)로 이루어져 있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도9 및 도1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즉,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는 얇은 판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셔터 부재(19a, 19b)의 현측변의 일측부에는 각각 베어링 구멍(65a)이 마련되어 있다. 각 베어링 구멍(65a)에는 한 쌍의 지지축(14d)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각 지지축(14d)의 선단부를 코오킹 가공함으로써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 상에 적재되어 선회 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서로의 현측을 대향시켜 부착한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현측변에는 현선과 직교하는 방향에 소정 길이를 갖는 단차부(66)가 설치되어 있고, 이 단차부(66)에 의해 그 양측에 볼록측 접합부(66a)와 오목측 접합부(66b)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합부(66a, 66b)에는 현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차양형으로 돌출하는 차양부(67a, 67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있어서, 서로 볼록측 접합부(66a)의 단부면과 오목측 접합부(66b)의 단부면이 각각 대향되어 볼록측 접합부(66a)의 차양부(67a)가 오목측 접합부(66b)의 차양부(67b)에 각각 포개어진다.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현측변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회전 부재(14)에 부착된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각각 외측으로 이반시키도록 회전시키면, 각 셔터 부재(19a, 19b)는 평면부(14a) 상을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내측 개구부(18)가 완전히 개방된다. 한편,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각각 내측으로 회전시켜 서로의 접합부(66a, 66b)를 각각 접촉시킴으로써 셔터 기구(19)는 대략 원형이 되고, 그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내측 개구부(18)의 중앙부가 완전히 차폐된다.
또한, 각 셔터 부재(19a, 19b)에는 회전 부재(14)의 회전 동작을 거쳐서 상기 셔터 부재(19a, 19b)에 개구부(17, 18)의 개폐 운동을 부여하기 위한 개폐홈(68)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각 개폐 홈(68)은 그 일단부가 각 셔터 부재(19a, 19b)의 대략 중앙부에 설정되어 있고, 그 일단부와 베어링 구멍(65a)을 잇는 선의 연장선 상부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 홈(68)의 외측 단부에는 주위에 절입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 탄성 부재(69a)와, 하부 쉘(15)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도피시키기 위한 오목부(69b)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개폐 홈(68)에는 하부 쉘(15)의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의 대응하는 조작 볼록부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게다가 또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는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하부 쉘(15)의 돌조인 리브(37)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인 리브 릴리프 홈(70)이 마련되어 있다. 즉, 리브 릴리프 홈(70)은 리브(37)의 원호형 리브부(37a) 및 한 쌍의 직선형 리브부(37b, 37b)에 대응된 형상으로서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측에는 대칭 리브부(37c, 37c)에 대응된 평면형의 릴리프면(7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 릴리프 홈(70)과 리브(37)에 의해,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형을 이루는 미로와 같은 방진용 간극(71)이 구성되어 있다.
이 방진용 간극(71)은 미로와 같은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방진용 간극(71)은 회전 부재(1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서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함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와 하부 쉘(15)의 맞춤면에 있어서, 크랭크형을 이루는 미로와 같은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먼지 등을 통과하기 어렵게 하여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리브를 한 쌍의 셔터 부재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리브 릴리프 홈을 하부 쉘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측에 있어서 그 외주연과 셔터 부재(19a, 19b) 사이에는 간극이 설정되어 있지만, 그 간극을 하부 쉘(15)에 설치한 차폐부(38a)에 의해 막도록 하였으므로, 이러한 간극으로부터의 먼지 등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개구부(18)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부재(14)에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갖고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갖는 회전 부재(14)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쉘(13, 15)에 대해 소정의 위치 관계를 갖고 조립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하우징(12)의 조립시,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에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를 대향시키도록 포갠다. 이 때,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에는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 중, 기어부(60a)의 일측에 연속하는 전방 슬라이드부(60b)를 배치한다. 이에 의해, 개구창(52)의 대략 중앙부에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가 설치된다.
이 회전 부재(14)와 상부 쉘(13)에 의해 원형의 공간부로 이루어지는 디스크 수납실(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일구체예를 나타낸 광디스크(11)가 반경 방향 외측 및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을 갖게 하여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이 때, 광디스크(11)가 한 쪽면에만 정보 기록면을 설치한 편면 기록 방식인 경우에는, 그 정보 기록면을 개구부(17, 18)에 대향시키도록 수납한다. 그 결과, 광디스크(11)의 다른 면인 라벨 부착면이 상부 쉘(13)측에 설정되어 중앙의 센터 구멍(11a)에 척 링(33)이 대향된다.
광디스크(11)는 중앙부에 센터 구멍(11a)이 마련된 두께가 얇은 원판형의 기록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내장되는 테이블 구동 장치의 턴테이블이 끼워 맞추어진다. 이 턴테이블에 내장된 마그네트(97)의 자력에 의해 척 링(33)이 흡착되고, 이 척 링(33)과 턴테이블(81)에 의해 광디스크(11)가 협지되어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된다. 그리고, 턴테이블(81)이 부착되는 스핀들 모터(75)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81)과 일체로 광디스크(11)가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된다.
상술한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하부 쉘(15), 셔터 부재(19a, 19b), 오소거 방지구(25) 및 링 홀더(34)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ABS 수지(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틸렌 수지)나 HIPS(고충격성 폴리스틸렌) 등의 합성 수지가 적합하다. 그러나, 그 밖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강, 그 밖의 금속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척 링(33)의 재질로서는, 상술한 스테인레스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철, 그 밖의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금속은 물론이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자성 재료를 함유시켜 자성체로 한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조립 작업은 상부 쉘(13)을 하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우선, 상부 쉘(13)의 상부 함몰부(16a) 내에 광디스크(11)를 적재한다. 이 때, 광디스크(11)는 정보 기록면을 하부로 하여 상부 함몰부(16a) 내에 넣는다.
다음에, 광디스크(11)를 씌우도록 회전 부재(14)의 개구측을 상부 함몰부(16a)에 끼워 맞춘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와 상부 쉘(13)에서 형성되는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광디스크(11)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때,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부 쉘(13)의 전후 방향에 일치시켜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를 개구창(52)에 면하게 한다.
또한, 셔터 기구(19)는 미리 회전 부재(14)에 조립해 두면 된다. 그 때에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서로의 현측을 대향시키고, 각 베어링 구멍(65a)을 회전 부재(14)의 각 지지축(14d)에 끼워 맞추어 평면부(14a) 상에 각각 적재시킨다. 그리고, 각 지지축(14d)의 선단부를 코오킹 가공함으로써,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내측 개구부(18)를 개폐 가능한 상태로 평면부(14a)에 부착된다.
다음에, 로크 수납부(55)의 지지축(58)에 로크 부재(56)를 부착한다. 이 때, 로크 부재(56)의 탄성 아암(56d)의 지지 헤드부(56d1)를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 구석부(13a)의 내면에 접촉시키고, 이 탄성 아암(56d)의 스프링력에 의해 조작아암(56b)의 입력부(56b1)를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 구멍(57)으로부터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로크 부재(56)의 로크 아암(56c)의 로크 갈고리(56c1)를 피조작부(60)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시킨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가 로크 부재(56)에 의해 로크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오소거 방지구(25)를 플러그 수납부(26)에 장착한다. 이 경우, 가이드 돌기(25c)측으로부터 삽입하여 결합부(25d)를 가이드부(29)에 결합시키는 동시에, 조작 돌기(25b)를 개구창(27)의 하부 절결부(27b)에 결합시킨다.
다음에, 셔터 기구(19)를 포함하는 회전 부재(14) 위에 하부 쉘(15)을 씌워, 이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포갠다. 이 때, 하부 쉘(15)의 개구단부(40a)를 상부 쉘(13)의 제1 오목부(23a)에 끼워 맞추는 동시에,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부(40b)를 상부 쉘(13)의 제2 오목부(23b)에 끼워 맞춘다. 이와 동시에, 상부 쉘(13)의 각 릴리프부(49a, 49b)에 하부 쉘(15)의 각 위치 결정축부(46a, 46b)가 끼워 맞추어진다. 그리고, 각 위치 결정축부(46a, 46b)에 설치한 기준 돌기(47)가 상부 쉘(13)의 각 기준 구멍(48)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들에 의해, 하부 쉘(15)이 상부 쉘(13)에 대해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도14에 도시한 상태로 설정해 둠으로써, 하부 쉘(15)의 하부 함몰부(16b) 내에 마련한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각 셔터 부재(19a, 19b)에 마련한 개폐 홈(68)의 오목부(69h)에 각각 대향시킬수 있다. 그로 인해, 한 쌍의 개폐 홈(68)의 위치를 염려하는 일 없이,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포개는 것만으로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를 한 쌍의 개폐 홈(68, 68)에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복수개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하부 쉘(15)을 상부 쉘(13)에 체결 고정한다. 이에 의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관 형상과,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면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조립 작업이 완료된다.
이 경우, 고정 나사 등의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정 부착 수단을 이용하는 일 없이, 예를 들어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부 쉘(13)과 하부 쉘(15)의 접합면을 직접 접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따르면, 사용되는 구성 부품의 개수가 비교적 적어 간단하게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카트리지 하우징에 상술한 개구부(17, 18)의 2개분의 개구부를 설치함으로써, 광학 헤드를 2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2개분의 개구부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여 L자형으로 해도 좋고, 또한 직선 상에 대향하도록 배치하여 I자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1 헤드용 회전 부재(14) 및 하부 쉘(15)을 2 헤드용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대신에 사용함으로써, 한 쪽 광학 헤드에 의해 새로운 정보 신호를 기록하면서 다른 쪽 광학 헤드에 의해 기록된지 얼마 안 된 정보 신호의 기록 상태의 확인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1 헤드용인 것과 2 헤드용인 것으로 교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제조를 1 헤드용과 2 헤드용으로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어 제조 조립 라인의 공통화가 가능하며, 수요자의 필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따르면, 작은 힘에 의해 회전 부재(14)를 회전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은 구동력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폐 동작시킬 수 있다. 게다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서는 회전 부재(14)에 저항력을 작용시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를 개방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예를 들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이용할 수 있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테이블 구동 장치(78)에 의해 광디스크(11)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동시에, 광학 픽업 장치(79)에 의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정보 신호의 판독 및 기록을 행하는 것으로, 섀시(74)에 탑재되어 있다.
섀시(74)는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그 주연을 연속시켜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보강용 리브(7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용 리브(74a)의 4군데에는 이 섀시(74)를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 본체측의 부재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돌기(7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섀시(74)의 대략 중앙부에, 스핀들 모터(75)가 탑재된 모터 베이스판(76)이 고정 나사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섀시(74)의 스핀들 모터(75)를 협지하여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모두 사각형으로 된 제1 개구부(77a)와제2 개구부(77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개구부(77a)에 관련시켜 테이블 구동 장치(7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 개구부(77b)는 도시하지 않는 별도의 테이블 구동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는 광디스크(11)를 소정 속도(예를 들어, 선속도 일정)로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78)와, 정보 신호의 기입 및 판독을 행하는 픽업 장치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광학 픽업 장치(79)와, 이 광학 픽업 장치(79)를 테이블 구동 장치(78)에 대해 진퇴 동작시키는 픽업 이동 장치(80) 등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 구동 장치(78)는 스핀들 모터(75)와, 이 스핀들 모터(75)의 회전부에 일체로 설치된 턴테이블(81)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75)는 얇은 판금제의 모터 베이스판(76) 상에 부착되어 있고, 그 모터 베이스판(76)의 상면에는 가요성 배선판(76a)이 접착제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성 배선판(76a)의 배선 회로에는 스핀들 모터(75)의 배선과 테이블 구동용 커넥터의 배선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에는 복수의 가요성 배선판(76b)이 고정되어 있다.
스핀들 모터(75)는, 도19 및 도20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베이스판(76)에 고정되는 고정부(75a)와, 이 고정부(7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부(75b)를 갖고, 회전부(75b)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에 턴테이블(81)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턴테이블(81)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부(81a)와, 이 끼워 맞춤부(81a)의 하부에 배치되는 동시에센터 구멍(11a)의 주연부가 적재되는 적재부(81b) 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끼워 맞춤부(81a)의 내부에 마그네트(97)가 내장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81)에 대해 척 링(33)이 대향되고, 적재부(81b) 상에 적재된 광디스크(11)를 마그네트(97)에 의해 흡입되는 척 링(33)의 흡착력으로 협지함으로써, 광디스크(11)가 처킹되어 턴테이블(81)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75)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은 외주면이 평활하게 된 둥근 막대형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축(82a)은 조정 플레이트(83)에 의해 양단부 지지되고, 제2 가이드축(82b)은 섀시(74)에 의해 양단부 지지되어 있다. 조정 플레이트(83)는 섀시(74)에 대해 자세 변경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이 조정 플레이트(83)의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 사이의 평행도가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에 의해 광학 픽업 장치(79)가 턴테이블(81)에 대해 접근 및 이반하도록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의 한 쪽 단부는 스핀들 모터(75)의 양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 단부는 평행하게 되어 스핀들 모터(7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광학 픽업 장치(79)는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으로 안내되어 미끄럼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84)와, 이 슬라이드 부재(84)에 적재되어 왕복 이동되는 광학 헤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4)는 한 쌍의가이드축(82a, 82b)을 걸칠 수 있는 크기이며, 강성을 높게 하기 위해 블럭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부재(84)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는 이와 교차하는 폭 방향에 쌍을 이루는 베어링부(84a)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베어링부(84a)에 제1 가이드축(82a)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다른 측에는 제2 가이드축(82b)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통되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이 삽통 구멍은 제2 가이드축(82b)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만큼만 슬라이드 부재(84)가 제1 가이드축(82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학 픽업 장치(79)의 광학 헤드는 대물 렌즈(79a)를 갖는 2축 작동기와, 이 2축 작동기를 거쳐서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행하는 반도체 레이저나 광전 변환 소자 등을 갖는 광학 제어부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2축 작동기의 대부분은 헤드 커버(79b)에 의해 씌워져 있고, 이 헤드 커버(79b)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대물 렌즈(79a)가 노출되어 있다. 이 대물 렌즈(79a)가 턴테이블(81)에 장착된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향된다.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 중 제1 가이드축(82a)은 조정 플레이트(83)에 설치한 한 쌍의 축지지 부재(83a, 83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각 축지지 부재(83a)에는 축압박판(83b)이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을 고정 나사(83c)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제1 가이드축(82a)이 고정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가이드축(82b)은 섀시(74)에 설치한 한 쌍의 축지지 부재(74c, 74c)에 지지되어 있고, 각각 축압박판(74d)에 의해 압박되어, 고정 나사(74e)로 나사 고정함으로써 고정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조정 플레이트(83)에는 픽업 이동 장치인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가 부착되어 있다.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는, 도25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나사(85)와 이송 모터(86)와 지지 플레이트(87)와 동력 전달 부재(8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송 나사(85)는 가이드축(82a, 82b)보다도 조금 짧은 둥근 막대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연장된 1조의 나사 홈(85a)을 축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이송 나사(85)의 나사 형상은 홈의 양 측면에 약간의 경사를 갖게 한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을 이루는 사다리꼴 나사가 적합하지만, 단면 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각형 나사라도 좋고, 또한 단면 형상이 반원형을 이루는 반원형 나사로 할 수도 있고, 그 밖의 이미 알려진 형상의 나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송 나사(85)는 구동원인 이송 모터(86)의 회전축을 겸하고 있고, 이송 모터(86)에 의해 직접 회전 구동된다. 이송 모터(86)는 원통형의 모터 케이스(86a)와, 이 모터 케이스(86a)의 한 쪽 개구부를 폐쇄하는 케이스 커버(86b)를 갖고 있다. 모터 케이스(86a)는 지지 플레이트(87)의 모터 지지 부재(87a)에 코오킹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모터 케이스(86a)의 내주면에는 링형으로 권취된 코일부가 끼워 맞춤 고정되고, 그 내측에 링형의 마그네트가 압입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끼워 맞추어져 있다.
지지 플레이트(87)는 이송 나사(85)와 같은 정도의 길이를 갖는 판금제의 가늘고 긴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플레이트(87)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같은 방향으로 입상함으로써, 서로 평행이 되도록 대향된 모터 지지 부재(87a)와 나사 지지 부재(87b)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지지 부재(87a)의 중앙부에는 관통 구멍(88a)이 마련되고, 나사 지지 부재(87b)의 상부에서 관통 구멍(88a)과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는 끼워 맞춤 구멍(88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모터 지지 부재(87a)의 외면에 이송 모터(86)가 고정되고, 이송 나사(85)가 관통 구멍(88a)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 나사(85)의 선단부가 끼워 맞춤 구멍(88b)에 끼워 맞춤 고정되는 베어링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87)에는 그 폭 방향의 1변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시켜 입상함으로써 가이드 돌조(8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조(87c)는 이송 나사(85)의 대략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송 나사(85)의 축심선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87)에는 2개의 삽통 구멍(87d)과, 2개의 위치 결정 구멍(87e)이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구멍(87e)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87)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삽통 구멍(87d)에 삽통되는 부착 나사(89a)에 의해 조정 플레이트(83)에 부착되어 있다.
동력 전달 부재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이송 너트(90)는 이송 나사(85)의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슬라이드 부재(84)에 전달하는 것으로, 제1 너트 부재(90a) 및 제2 너트 부재(90b)와, 양 너트 부재(90a, 90b)를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90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너트 부재(90a)는 블럭형으로 형성된 너트 본체와, 이 너트 본체의 일면측에 연속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통축부를 갖고, 이들을 관통하는 축방향 구멍의 일측에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나사 결합되는 제1 나사부(90a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너트 부재(90a)에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측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90a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90a2)에는 통축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슬릿이 마련되어 있고, 이 슬릿에 지지 플레이트(87)의 가이드 돌조(87c)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2 너트 부재(90b)는 슬리프형으로 형성된 원통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부에 축방향 구멍이 관통되어 있다. 축방향 구멍의 일측에는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나사 결합되는 제2 나사부(90b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구멍에는 제1 너트 부재(90a)의 통축부가 삽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끼워 맞춤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이 끼워 맞춤 구멍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한 키형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너트 부재(90b)와 제1 너트 부재(90a) 사이에 코일 스프링(90c)이 개재되고, 그 스프링력으로 한 쌍의 너트 부재(90a, 90b)를 이격하는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이송 너트(90)와 이송 나사(85) 사이에 생기는 축방향의 덜걱거림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1 및 제2 너트 부재(90a, 90b)와 코일 스프링(90c)이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이송 나사(85)에 조립되어 있다. 이들의 조립 작업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우선, 제1 너트 부재(90a)의 통축부에 코일 스프링(90c)을 삽입한 후, 그 통축부를 제2 너트 부재(90b)의 통축부의 끼워 맞춤 구멍에 끼워 맞추게 한다. 다음에, 양 너트 부재(90a, 90b)가 조합된 이송너트(90)에, 이송 나사(85)를 삽통시킨다.
이 경우, 양 너트 부재(90a, 90b)를 서로 근접시켜 코일 스프링(90c)을 조금 압축하고, 이 압축 상태를 보유 지지하여 이송 나사(85)를 회전하면서 삽입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이송 나사(85)의 나사 홈(85a)에 제1 너트 부재(90a)의 나사부가 맞물리게 되고, 그 나사 홈(85a)에 제2 너트 부재(90b)의 나사부가 동시에 맞물리게 된다. 그로 인해, 코일 스프링(90c)의 스프링력에 의해 제1 너트 부재(90a)가 이송 모터(86)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제2 너트 부재(90b)가 이송 모터(8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 결과, 도25에 있어서 제1 너트 부재(90a)의 나사부에서는 도면 중 좌측의 나사면이 이송 나사(85)의 좌측 나사면으로 압박되어 우측 나사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제2 너트 부재(90b)의 나사부에서는 도면 중 우측 나사면이 이송 나사(85)의 우측 나사면으로 압박되어 좌측 나사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이송 너트(90) 전체의 간극을 없앨 수 있어 이송 나사(85) 사이의 덜걱거림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너트 부재(90a)의 돌출부(90a2)를 설치한 슬릿이 지지 플레이트(87)의 가이드 돌조(87c)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송 너트(90)를 이송 나사(85)의 축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너트 부재(90a)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구동 돌기(9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 돌기(90d)에는 슬라이드 부재(84)에 고정되는 돌기 받침 부재(91)가 결합되어 있고, 이 돌기 받침 부재(91)를 거쳐서 이송 너트(90)의 이동력이 슬라이드 부재(84)로 전달된다. 돌기 받침 부재(91)는 슬라이드 부재(8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91a)와, 이 고정 부재(91a)에 연속된 지지 부재(91b)와, 지지 부재(91b)에 연속된 탄성 부재(91c)를 갖고 있다.
고정 부재(91a)는 가늘고 긴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 중도부의 폭 방향 일측에 L자형의 지지 부재(9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부재(91b)의 자유단부측의 선단부 구석부에 구동 돌기(90d)를 받아 지지하기 위한 절결부로 이루어지는 지지부(91d)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91c)는 삼각형으로 절곡하여 2개의 구석부를 설치함으로써 적절한 강도의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선단부의 절곡부를 압박부(91e)로서 형성하여 지지부(91d)에 대향시키고 있다. 또한, 고정 부재(91a)에는 돌기 받침 부재(91)를 슬라이드 부재(84)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삽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고, 고정 나사 등의 고정 부착 수단에 의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부착되는 돌기 받침 부재(91)의 지지부(91d)와 압박부(91e) 사이에 이송 나사(85)에 장착되어 있는 이송 너트(90)의 구동 돌기(90d)가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 부재(91c)의 스프링력에 의해 구동 돌기(90d)가 지지부(91d)와 압박부(91e)에서 협지되고, 이에 의해 이송 너트(90)와 슬라이드 부재(84) 사이에 힘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조정 플레이트(83) 및 지지 플레이트(87)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강판이 적합하지만, 스틸 강판, 그 밖의 금속제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강도가 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송 나사(85)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이 녹슬기 어렵고, 충분히큰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가 적합하다. 또한, 돌기 받침 부재(91)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탄성이 큰 스테인레스 강판이 적합하지만, 그 밖의 판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한 쌍의 가이드축(82a, 82b)과 조정 플레이트(83)와 이송 나사 구동 장치(98)에 의해 광학 픽업 장치(79)를 턴테이블(81)에 대해 진퇴 동작시키는 픽업 이동 장치(80)가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에 대해 설명한다. 도26은,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는 시스템 제어기(S1)와 메모리 제어기(S5)와 드라이브 제어기(D1)의 3개의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기(S1)와 메모리 제어기(S5)는 직접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라인에는 판독 전용 기억 장치(ROM)(S2)와 판독 기록 기억 장치(RaM)(S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 제어기(S5)에는 메모리(S4)와 MPEG2(3 M 내지 40 Mbps에 대응한 기존의 텔레비전 방송, HDTV, 광대역 ISDN 등에 응용되는 동화상 압축 방식)용 인코더(S6) 및 MPEG2용 디코더(S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S1)에는 제어 패널(S8)과 리모콘 수신부(S9)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제어기(D1)에는 오류 정정 처리 회로(ECC)(D4)가 접속되어 있고, 그 접속 라인에는 기억 장치(ROM)(D2) 및 기억 장치(RAM)(D3)와, 서보 회로(D6) 및 어드레스 디코더(D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드라이브 제어기(D1)에는 기록시의 에러를 판단하는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가 접속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 제어기(D1)는 커맨드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시스템 제어기(S1)에 접속되어 있다.
정정 처리 회로(D4)는 데이터용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메모리 제어기(S5)에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변복조 회로(D5)에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변복조 회로(D5)는 광학 픽업 장치(79)의 대물 렌즈(79a)를 갖는 광학 헤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보 회로(D6)는 스핀들 모터(68)와, 광학 픽업 장치(69)와,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광학 픽업 장치(79)는 어드레스 디코더(D7)에 접속되고, 이 어드레스 디코더(D7)는 기록시 에러 판단 회로(D8)에도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는, 예를 들어 도27 및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공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외장 케이스(93)에 수납되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의 구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외장 케이스(93)는 상면 및 전방면에 개구된 케이스 본체(93a)와, 이 케이스 본체(93a)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케이스 덮개(93b)와, 케이스 본체(93a) 및 케이스 덮개(93b)의 전방면을 폐쇄하도록 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전방면 패널(93c)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장 케이스(93) 내에 기록 재생 장치 본체(92) 및 상술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 등이 수납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93)의 케이스 본체(93a)의 4군데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리 부재(93d)가 설치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93)의 전방면 패널(93c)은 가로로 긴 판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는 가로로 긴 카트리지 출입구(94)가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출입구(94)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정면측 크기와 대략 같은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출입구(94)는 그 내측에 배치된 개폐 도어(94a)에 의해 항상 폐쇄되어 있다.
개폐 도어(94a)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폐쇄측으로 압박되어 있고,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전방부에서 개폐 도어(94a)를 압박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삽입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로딩 기구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자동적으로 취입된다. 그리고, 로딩 기구에 의해 반송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는 외장 케이스(93) 내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전후하여 외장 케이스(93) 내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 개폐 수단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셔터 기구(19)가 개방 조작되어 카트리지 하우징(12)의 내외 개구부(17, 18)가 개방된다.
이 셔터 개폐 수단의 일구체예를 나타낸 래크 막대(95)를 도29에 도시하고 있다. 이 래크 막대(95)는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에 맞물리는 래크부(95a)와, 이 래크부(95a)의 선단부측에 설치된 전방 탄성 부재(95b)와, 동일하게 래크부(95a)의 기단부측에 설치된 후방 탄성 부재(95c)를 갖고 있다. 래크 막대(95)의 래크부(95a)는 곧은 막대 부재의 중도부에 있어서 일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기어부(60a)와 대략 동수의 기어를 갖고 있다.
래크 막대(95)의 전방 탄성 부재(95b)는 래크 막대(9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후방 탄성 부재(95c)는 동일하게 래크 막대(95)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적절한 탄성이 부여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마련되어 있다.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 및 스토퍼용 볼록부(96b)는 래크부(95a)의 기어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은 동일 직선 상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는, 단면 형상은 원호형으로 되어 있지만, 그 크기 및 높이는 래크부(95a)의 기어와 대략 같은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용 볼록부(96b)는, 단면 형상은 래크부(95a)의 기어와 마찬가지로 산형으로 되어 있지만, 그 크기 및 높이는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 탄성 부재(95b, 95c)에 적절한 크기의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 및 스토퍼용 볼록부(96b)에 대해 후퇴 동작이 탄성적으로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도29에 있어서, 부호 95d는 래크 막대(95)의 보강을 겸한 가이드부이다. 이 가이드부(95d)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장전 가이드 홈(53)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래크 막대(95)의 작용에 의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회전 부재(14)의 회전 및 셔터 기구(19)의 개폐 동작, 그 밖의 동작 등을 도27 및 도29, 도30 내지 도3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에 삽입하기 전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내외 개구부(17, 18)는 셔터 기구(19)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로부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 내에 삽입함으로써, 외장 케이스(93) 내에 설치되어 있는 래크 막대(95)에 의해 로크 부재(56)의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래크 막대(95)의 작용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개방되고, 내외 개구부(17, 18)가 개방되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우선, 도28 및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에 소정량 삽입하면, 래크 막대(95)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한 쪽 측면부에 설치한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인입한다. 이에 의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장전 가이드 홈(53) 내에 돌출되어 있는 로크 부재(56)의 입력부(56b1)를 탄성 아암(56d)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로크 수납부(55) 내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로크 부재(56)가 지지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로크 갈고리(56c1)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로부터 빠져나온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의 로크가 해제되어 그 회전이 자유로워진다.
다음에, 도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삽입 방향(F)으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삽입하고, 래크 막대(95)에 대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상대적으로 전진함으로써,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접촉하여 이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올라 앉는다. 이 때, 전방 탄성 부재(95b)가 적당한 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전방 탄성 부재(95b)의 휨에 의해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후방으로 휨 이동하여 전방 슬라이드부(60b)에 올라 앉는다. 그 결과,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피조작부(60)의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 내로 인입한다.
이 볼록부(96a)가 오목부(61a)에 결합함으로써 래크 막대(95)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도29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래크 막대(95)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량에 따라서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함으로써, 볼록부(96a)가 오목부(61a)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래크부(95a)가 피조작부(60)의 기어부(60a)에 맞물린다. 이에 의해, 동력 전달 경로가 견고해져 래크 막대(95)의 이동력이 확실하게 전달되어 회전 부재(14)가 소정 각도 회전된다.
그리고,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적으로 전진하는 래크부(95a)와 곡선적으로 전진하는 기어부(60a)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전에,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피조작부(60)의 후방 슬라이드부(60c)에 설치한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된다. 그 후,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확실하게 맞물린 곳에서, 래크부(95a)와 기어부(60a)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삽입 동작이 종료되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테이블 구동 장치(73)의 소정 위치인 카트리지 장착부에 셋트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카트리지 하우징(12)은 상부 쉘(13)의 한 쌍의 기준 구멍(48, 48)과 하부 쉘(15)의 한 쌍의 기준 돌기(47, 47)에 의해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되어 있고, 이들의 기준 돌기(47) 등과 대략 동축을 이루도록 한 쌍의 위치 결정 구멍(50a, 50b)이 하부 쉘(15)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테이블 구동 장치(73)의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함으로써, 테이블 구동 장치(73)에 대한 하부 쉘(15)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그대로 상부 쉘(13)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되므로, 상부 쉘(13)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셋트 상태에서는 스토퍼용 볼록부(96b)가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확실하게 맞물려 있으므로, 회전 부재(14)가 회전될 우려가 없다. 이 때, 회전 부재(14)가 회전을 개시하는 초기 상태에서는 도21c 및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4)의 링부(14b)의 단부면에 설치한 복수의 캠 돌기(64)가 상부 쉘(13)의 캠구(22)에 설치한 캠부(22a)에 올라 앉는다.
그로 인해, 회전 부재(14)의 평면부(14a)가 하부 쉘(15)측으로 이동하여 그 평면부(14a)와 하부 쉘(15) 사이에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와 하부 쉘(15)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여 회전 부재(14)를 회전 조작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힘이 커진다. 이 캠부(22a)의 올라 앉음에 의한 마찰력에 대항하여 회전 부재(14)를 회전시킴으로써, 도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돌기(64)가 캠부(22a)를 통과한다. 그 결과, 캠 돌기(64)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마찰력이 소멸하기 때문에, 이 이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 동작은 매우 가볍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회전 부재(14)의 회전에 의해 지지축(14d)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각 셔터 부재(19a, 19b)에 설치한 개폐 홈(68)에는 하부 쉘(15)의 조작 볼록부(39a, 39b)가 각각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로 인해, 회전 부재(14)가 회전하면 한 쌍의 조작 볼록부(39a, 39b)에 대해 각 개폐 홈(68)이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회전 부재(14)의 회전량에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인 내측[회전 부재(14)의 중심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가 도30(도14를 참조)의 상태로부터 도31 및 도32의 상태를 경유하여 도33에 도시한 상태로 변화하고, 내외 개구부(17, 18)를 개방하여 좌우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회전 부재(14)의 내측 개구부(18)와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가 완전히 개방된다. 그로 인해,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수납되어 있는 광디스크(11)의 일부가 내외 개구부(17, 18)로부터 노출된다(도17을 참조).
그 결과, 도19로부터 도20의 상태로 변화하여 내외 개구부(17, 18)에 대한 턴테이블(81) 및 대물 렌즈(79a)를 갖는 광학 헤드의 삽입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턴테이블(81) 등을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턴테이블(81)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턴테이블(81)이 카트리지 하우징(12) 중앙부의 테이블용 개구부(17a, 18a) 내로 인입하고, 광학 헤드가 헤드용 개구부(17b, 18b) 내로 인입한다.
이에 의해, 턴테이블(81)의 끼워 맞춤부(81a)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에 끼워 맞추어져 센터 구멍(11a)의 주연부가 적재부(81b)에 적재된다. 이와 동시에, 끼워 맞춤부(81a)에 내장되어 있는 마그네트(97)의 자력이 상부 쉘(13)의 링 홀더(34)에 보유 지지되어 있는 척 링(33)의 자력 받침부인 위치 규제부(33d)에 작용하고, 그 자력에 의해 척 링(33)이 흡입된다. 그 결과, 마그네트(97)의 자력에 의해 척 링(33)의 협지부(33b)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의 주연부에 압박되고, 그 주연부가 협지부(33b)와 턴테이블(81)의 적재부(81a)에서 협지된다.
이에 의해, 척 링(33)에 의해 광디스크(11)가 턴테이블(81)에 처킹되어 광디스크(11)가 턴테이블(81)과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된다. 이 때, 턴테이블(81)의 적재부(81a)의 선단부가 척 링(33)의 위치 규제부(33d)의 함몰부(33f)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턴테이블(81)에 대한 척 링(33)의 위치 맞춤이 동시에 행해지고, 척링(33)이 턴테이블(81)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척 링(33)이 상부 쉘(13)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되어, 척 링(33)의 테이퍼부(33c)의 내면과 상부 쉘(13)의 제2 환형 볼록부(99b)의 외측 경사면과의 사이 및 테이퍼부(33c)의 외면과 링 홀더(34)의 내부 플랜지(34a)의 내주연과의 사이 및 척 링(33)의 위치 규제부(33d)의 면과 상부 쉘(13)의 제1 환형 볼록부(99a)의 내측 경사면과의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간극이 보유 지지되어 이들이 서로 마찰되는 일이 없다.
이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가로로 한 수평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척 링(33)의 자중에 의해 테이퍼부(33c)가 링 홀더(34)의 내부 플랜지(34a)의 내주연에 전체 주위에 걸쳐서 접촉되고, 링 홀더(34)의 대략 중앙부에 척 링(33)이 셋트되어 자동적으로 센터링이 행해진다. 그로 인해, 턴테이블(81)에 대한 척 링(33)의 센터 형성을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고, 센터링된 척링(33)으로 광디스크(11)를 턴테이블(81)측에 확실하게 압박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수직으로 한 수직 상태[광디스크(11)의 평면이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에는, 척 링(33)의 테이퍼부(33c)가 상부 쉘(13)의 외측의 제2 환형 볼록부(99b)의 경사면에 접촉되어 경사면끼리의 접촉에 의해 척 링(33)이 대략 수직인 상태로 지지된다. 그로 인해, 척 링(33)의 위치가 크게 어긋나는 일 없이 링 홀더(34)의 대략 중앙부에 척 링(33)이 보유 지지된다. 따라서, 턴테이블(81)의 끼워 맞춤부(81a)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사용 상태에 있어서도 척 링(33)의 위치 어긋남이 작으므로 척 링(33)의 센터 형성이 용이하게 행해져 광디스크(11)의 대략 중앙부를 확실하게 압박하여 처킹할 수 있다.
이 처킹 동작과 함께, 광학 픽업 장치(79)의 광학 헤드가 개구부(17, 18) 내로 인입하고, 그 대물 렌즈(79a)가 소정의 간격을 보유 지지하여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면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한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대한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의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래서, 테이블 구동 장치 본체(78)를 동작시켜 스핀들 모터(75)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81)을 거쳐서 광디스크(11)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광학 픽업 장치(79)를 구동시켜 광학 헤드의 대물 렌즈(79a)로부터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광디스크(11)의 정보 기록면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 신호를 판독하거나, 또는 그 정보 기록면에 대해 새로운 정보신호를 기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에 의한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이 실행된다. 다음에,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외장 케이스(93)로부터 배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신호의 재생 또는 기록 후, 예를 들어 외장 케이스(93)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배출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함으로써, 로딩 기구의 작동을 거쳐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73)로부터 이탈되어 외장 케이스(93)로부터 배출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 장착부에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스핀들 모터(75)를 후퇴 동작시키고, 턴테이블(81)을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개구부(17, 18)로부터 인출한다. 이 때, 스핀들 모터(75)를 후퇴 동작시키면, 처음에는 턴테이블(81)과 광디스크(11)와 척 링(33)이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조금 이동한 곳에서 척 링(33)의 테이퍼부(33c)가 상부 쉘(13)에 고정되어 있는 링 홀더(34)의 내부 플랜지(34a)의 내주연에 접촉한다.
또한, 스핀들 모터(75)를 후퇴 동작시켜 그 이동력이 마그네트(97)의 흡입력보다 커짐으로써, 링 홀더(34)의 저항력에 의해 척 링(33)이 박리된다. 그 결과, 척 링(33)이 링 홀더(34)에 의해 상부 쉘(13)에 보유 지지된다.
다음에,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의 주연부가 회전 부재(14)의 지지 모서리부(14c)에 접촉되어 스핀들 모터(75)의 후퇴 동작에 의해 턴테이블(81)의 끼워 맞춤부(81a)가 광디스크(11)의 센터 구멍(11a)으로부터 발출된다. 그 결과, 광디스크(11)가 카트리지 하우징(12)의 디스크 수납실(16) 내에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개구부(17, 18)로부터 턴테이블(81)이 완전히 발출되기까지 스핀들 모터(75)의 후퇴 동작이 계속된다.
그 후, 로딩 기구의 배출 동작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배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래크 막대(95)가 후퇴 동작된다. 이 래크 막대(95)에 대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후퇴 동작에 의해,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결합되어 있는 스토퍼용 볼록부(96b)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회전된다. 그리고, 볼록부(96b)가 오목부(61b)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래크부(95a)가 기어부(60a)에 맞물리고, 이 맞물림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계속해서 회전된다.
이 때, 래크 막대(95)의 스토퍼용 볼록부(96b)의 선단부가 카트리지 하우징(12)의 개구창(52) 내로 인입하고 있으므로 그 볼록부(96b)가 개구창(52)의 모서리에 접촉하지만, 그 볼록부(96b)와 일체의 후방 탄성 부재(95c)가 적절한 강도의 탄성을 가지므로, 이 후방 탄성 부재(95c)의 휨 변형에 의해 볼록부(96b)가 외측으로 탄성 변위하여 개구창(52)의 모서리를 타고 넘는다. 그로 인해, 볼록부(96b)의 높이가 래크부(95a)의 기어 높이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오목부(61b)로부터 떨어진 볼록부(96b)가 개구창(52)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올 수 있고, 따라서 그 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이 회전 부재(14)의 회전에 의해, 개구창(52) 내에 있어서 래크부(95a)가 기어부(60a)로부터 떨어지기 전에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초기 동작용 오목부(61a)에 결합된다. 이 볼록부(96a)와 오목부(61a)의 결합에 의해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계속되어 회전 부재(14)가 최초의 위치까지 회전된다. 이에 의해, 피조작부(60)의 후방 슬라이드부(60c)의 단부면이 하부 쉘(15)의 위치결정부(40b)에 접촉되므로 이후의 회전 부재(14)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대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와 래크 막대(95) 사이에는 상대 이동이 계속해서 생기고 있으므로, 오목부(61a)에 결합되어 있는 볼록부(96a)의 이동력에 의해 회전 부재(14)에는 회전력이 부여된다. 이 회전력의 반력이 볼록부(96a)에 부여되어 이 반력을 받아 전방 탄성 부재(95b)가 휨 변형하고, 볼록부(96a)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오목부(61a)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그 후, 래크 막대(95)의 초기 동작용 볼록부(96a)가 개구 구멍(52)을 통과함으로써, 로크 부재(56)의 입력부(56b1)가 개구 구멍(57)으로부터 장전 가이드 홈(53) 내로 돌출된다. 이와 동시에, 로크 부재(56)의 로크 갈고리(56c1)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회전 부재(14)의 피조작부(60)의 셋트 위치용 오목부(61b)에 맞물리게 된다. 그 결과, 로크 부재(56)에 의해 회전 부재(14)가 로크되어 그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는 상술한 삽입시와는 반대의 동작을 실행하여 내외 개구부(17, 18)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한, 회전 부재(14)의 캠 돌기(64)는 캠 홈(22) 내에 있으므로, 회전 부재(14)를 가벼운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캠 돌기(64)가 캠부(22a)에 접촉하여 올라 앉음으로써, 이 이후 회전 부재(14)의 회전에는 상술한 마찰력이 가해진다. 그리고, 셔터 기구(19)가 폐쇄하기 직전에 있어서, 조작 볼록부(39b)(또는 39a)가 개폐 홈(68)을 최외측부까지 이동하여 탄성 부재(69a)에 접촉하여 이를 압박한다. 이에 의해, 조작 볼록부(39b)(또는 39a)의 압박력에 의해 탄성 부재(69a)에 스프링력이 발생한다.
이 탄성 부재(69a)의 스프링력에 의해 중앙의 단차부(66)에는 다른 쪽 셔터 부재(19a)(또는 19b)에 작용하는 압접력이 발생한다. 이 압접력은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양자에 발생하므로, 서로의 압접력에 의해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밀폐성이 더욱 높아진다. 따라서,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티끌이나 이물질 등이 디스크 수납실(16) 내로 침입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내외 개구부(17, 18)의 전체가 완전히 폐쇄되고(도16을 참조), 그 폐쇄 상태에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가 외장 케이스(93)의 카트리지 출입구(94)로부터 케이스 밖으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배출 동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에 있어서, 상부 쉘(13), 회전 부재(14), 하부 쉘(15) 및 셔터 부재(19a, 19b) 사이의 두께 방향의 치수는 도22 및 도23 및 식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관계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2에 나타낸 부호 A 내지 K 및 도23에 도시한 부호 Σ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1) A :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캠 홈(22)의 면까지의 높이
A = 2.9 ㎜ + 0.1/0 ㎜
(2) B : 상부 쉘(13)의 상부 전방면 모서리(13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
B = 3.85 ㎜ + 0.05 ㎜(참고 치수)
(3) C :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하면까지의 높이
C = 4.15 ㎜ + 0.1/-0 ㎜(참고 치수)
(4) D : 하부 쉘(15)의 하부 전방면 모서리(15a) 등의 단부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의 높이
D = 3.3 ㎜ + 0.05 ㎜
(5) E : 셔터 부재(19a, 19b)의 두께
E= 1.1 ㎜ + 0/-0.05 ㎜
(6) F : 회전 부재(14)의 하면으로부터 단부면까지의 높이
F = 4.7 ㎜ + 0/-0.1 ㎜
(7) G : 회전 부재(14)의 캠 돌기(64)의 높이
G = 0.2 ㎜ + 0/-0.05 ㎜
(8) H : 상부 쉘(13)의 캠부(22a)의 높이
H = 0.2 ㎜ + 0/-0.05 ㎜
(9) J : 하부 쉘(15)의 리브(37)의 높이
J = 0.2 ㎜ + 0/-0.05 ㎜(참고 치수)
(10) K : 셔터 부재(19a, 19b)의 리브 릴리프 홈(70)의 깊이
K = 0.2 ㎜ + 0.05/-0 ㎜(참고 치수)
(11) Σ : 조립시에 있어서의 캠부(22a)와 캠 돌기(64) 사이의 이상적인 클리어런스
Σ = -H + A + D - E - F - G
= 0 ㎜ + 0.45/-0 ㎜(누적 공차)
0.064 ㎜ + 0.322/-0 ㎜(제곱 평균 × 1.66)
이 계산식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상적인 클리어런스(Σ)는 0 ㎜ 내지 0.45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값은 0.2 ㎜ 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셔터 개폐 동작을 행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부재(14)는 상부 쉘(13)과 하부 쉘(15) 사이에서 0.4 ㎜ 정도(공차의 센터치)의 클리어런스 중에서 동작하고, 보존시에는 0.2 ㎜ 정도로 클리어런스가 좁혀진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14)를 상부 쉘(13)에 압착시키는 일 없이, 0 ㎜ 내지 0.45 ㎜(최적치는 0.2 ㎜ 정도)의 클리어런스를 설정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 등의 침입 경로를 가능한 한 좁혀 디스크 수납실(16) 내로 먼지나 이물질이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 쉘(15)의 외측 개구부(17)의 주연부에 리브(37)[원호형 리브부(37a)와 직선형 리브부(37b)]를 설치하는 동시에, 셔터 폐쇄 상태에 있어서 리브(37)와 대응하는 한 쌍의 셔터 부재(19a, 19b)의 대응하는 부분에 리브 릴리프 홈(70)을 마련하고, 리브(37)와 리브 릴리프 홈(70)에 의해 방진용 간극(71)을 구성하도록 하였으므로, 개구부(17, 18)가 셔터 부재(19a, 19b)에 의해 완전히 폐쇄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10)의 보존시에 있어서의 방진 성능을 높일수 있어, 디스크 수납실(16) 내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인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은 회전 부재를 폐지하여 상하 쉘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예로서 나타낸 도34와 같이 직선적으로 이동하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카트리지 하우징에 대해 상술한 실시예의 척 링(33) 및 링 홀더(34)를 설치함으로써도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개구부는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중 한 쪽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이러한 경우에 척 링은 개구부가 없는 쉘에 설치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보 기록 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이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광자기 디스크, 가요성 디스크 등의 자기 디스크, 그 밖의 각종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로서 기록 및 재생의 양자가 가능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기록 또는 재생의 한 쪽만이 가능한 디스크 기록 장치 또는 디스크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 하우징(12)의 하부 쉘(15) 및 회전 부재(14)에 개구부(17, 18)를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상부 쉘(13)에도 개구부를 설치하고, 카트리지 하우징(12)의 상하로부터 동시에 억세스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볼록조 및 오옥홈은 회전 부재와 셔터 부재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와 하부 쉘로 디스크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동시에 상부 쉘에 개구부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척 링(33)은 하부 쉘에 설치하도록 한다.
게다가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링 홀더에 의해 척 링의 외주연을 보유 지지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척 링의 중앙부에 구멍을 마련하는 동시에, 그 구멍에 삽통되는 축부를 상부 쉘(또는 하부 쉘)에 설치하고, 그 구멍에 축부를 삽통하여 고정 링으로 빠짐 방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축부의 선단부가 턴테이블측으로 돌출되므로, 그 선단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오목부를 턴테이블에 마련하면 된다. 또한, 마그네트(97)는 끼워 맞춤부의 선단부에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셔터 개폐에 있어서는 셔터 개폐 수단을 고정하여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예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셔터 개폐 수단과 디스크 카트리지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셔터 부재를 개폐 동작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디스크 장착부에 고정한 후, 셔터 개폐 수단을 모터 등으로 이동시켜 개폐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디스크 수납실을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상부 쉘과 하부 쉘의 조합 또는 상부 쉘과 회전 부재와 하부 쉘과의 조합)과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로 인해, 셔터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개구부로부터 턴테이블이 삽입됨으로써, 그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척 링이 흡착되고, 이 척 링과 턴테이블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블 구동 장치의 척 링이 불필요해지므로 테이블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동시에, 카트리지 하우징의 강도를 높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 수납실을 갖는 카트리지 하우징(상부 쉘과 하부 쉘의 조합 또는 상부 쉘과 회전 부재와 하부 쉘과의 조합)과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로 인해, 셔터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개구부로부터 턴테이블이 삽입됨으로써, 그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척 링이 흡착되고, 이 척 링과 턴테이블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블 구동 장치의 척 링이 불필요해지므로, 테이블 구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동시에, 카트리지 하우징의 강도를 높여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납실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와, 셔터 부재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 및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로 인해, 셔터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개방된 개구부로부터 턴테이블이 삽입됨으로써, 그 턴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척 링이 흡착되고, 이 척 링과 턴테이블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회전 방향으로 일체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테이블 구동 장치의 척 링이 불필요해지므로 테이블 구동 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는 동시에, 강도가 높은 카트리지 하우징을 이용하여 소형화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정보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9)

  1.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와, 상기 자력 받침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압박하는 협지부와,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측의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홀더를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링 홀더의 중앙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퍼부를 상기 척 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형의 함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6.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 수납실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와,상기 자력 받침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압박하는 협지부와,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측의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홀더를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링 홀더의 중앙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퍼부를 상기 척 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형의 함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카트리지.
  12.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내부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와, 상기 자력 받침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압박하는 협지부와,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측의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홀더를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링 홀더의 중앙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퍼부를 상기 척 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형의 함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7.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또는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가 상기 상부 쉘 및 하부 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 하우징과,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 부재 및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설치한 개구부로부터 일부가 노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 부재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와, 상기 자력 받침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압박하는 협지부와,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측의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홀더를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링 홀더의 중앙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퍼부를 상기 척 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형의 함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23. 카트리지 하우징에 형성된 디스크 수납실 내에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일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에 설치한 개구부가 셔터 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된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와,
    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의 삽탈 동작에 따라서 상기 셔터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셔터 개폐 수단과,
    상기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기록 매체 장치의 장착시, 상기 셔터 개폐 수단으로 개방된 상기 개구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처킹하여 회전 구동하는 테이블 구동 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은 상부 쉘 및 하부 쉘을 포개거나, 또는 상부 쉘, 회전 부재 및 하부 쉘을 포갬으로써 구성되는 동시에 상부 쉘 및 하부 쉘 내 또는 상부 쉘 및 회전 부재 내 혹은 회전 부재 및 하부 쉘 내에 상기 디스크 수납실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 내면의 대략 중앙부에,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실 내로 삽입되는 턴테이블에 설치되는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흡입되는 자성체로 형성된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을 받는 자력 받침부와, 상기 자력 받침부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 흡입되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압박하는 협지부와,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측의 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플랜지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을 유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 홀더를 상기 상부 쉘 또는 하부 쉘에 고정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링 홀더의 중앙 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이퍼부를 상기 척 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에 설치한 끼워 맞춤부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테이퍼형의 함몰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척 링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판금에 의해 일체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부재는 대략 반원형으로 된 2매의 셔터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2매의 셔터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회전 부재의 일면측에 상기 개구부를 협지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셔터 부재에 있어서 현측의 일측부에서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셔터 부재에 마련한 가이드 홈에 상기 하부 쉘 또는 상부 쉘에 설치한 가이드 핀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한 쌍의 셔터 부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개폐 수단은 래크부와 상기 래크부의 전후로 배치된 볼록부를 갖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래크부에 맞물려지는 기어부와 상기기어부의 전후로 배치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셔터 개폐 수단의 진퇴 운동에 의거하여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
KR10-2003-7006382A 2001-09-11 2002-09-11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KR20040029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5237 2001-09-11
JP2001275237A JP2003085910A (ja) 2001-09-11 2001-09-11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CT/JP2002/009284 WO2003023778A1 (fr) 2001-09-11 2002-09-11 Cartouche de disque, dispositif de support d'enregistrement de disqu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ou de reproduction de dis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9956A true KR20040029956A (ko) 2004-04-08

Family

ID=1910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382A KR20040029956A (ko) 2001-09-11 2002-09-11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22172A1 (ko)
EP (1) EP1426959A4 (ko)
JP (1) JP2003085910A (ko)
KR (1) KR20040029956A (ko)
CN (2) CN100501860C (ko)
HK (1) HK1064498A1 (ko)
WO (1) WO2003023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3146A (ja) * 2002-09-11 2004-04-02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253014A (ja) * 2003-02-18 2004-09-09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5549120B2 (ja) 2009-06-08 2014-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鉄道車両用の電力変換装置
JP5528837B2 (ja) * 2010-02-04 2014-06-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ールの製造方法及びリール並びに記録テープ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992A (en) * 1959-12-15 1967-08-29 Du Pont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3502763A (en) * 1962-02-03 1970-03-24 Freudenberg Carl Kg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US3341394A (en) * 1966-12-21 1967-09-12 Du Pont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US3542615A (en) * 1967-06-16 1970-11-24 Monsanto Co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US3849241A (en) * 1968-12-23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Non-woven mats by melt blowing
DE2048006B2 (de) * 1969-10-01 1980-10-30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DE1950669C3 (de) * 1969-10-08 1982-05-13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CA948388A (en) * 1970-02-27 1974-06-04 Paul B. Hansen Pattern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US3679538A (en) * 1970-10-28 1972-07-25 Celanese Corp Novel open-celled microporous film
GB1453447A (en) * 1972-09-06 1976-10-20 Kimberly Clark Co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US3843761A (en) * 1973-05-30 1974-10-22 Celanese Corp Process for preparing a thermoplastic microporous film involving a cold stretching step and multiple hot stretching steps
US4100324A (en) * 1974-03-26 1978-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110392A (en) * 1976-12-17 1978-08-29 W. L. Gore & Associates, Inc. Production of porous sintered PTFE products
US4340563A (en) * 1980-05-05 1982-07-20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US4457254A (en) * 1981-02-19 1984-07-03 Mobil Oil Corporation Film coating and biaxial orienting apparatus
US4443511A (en) * 1982-11-19 1984-04-17 W. L. Gore & Associates, Inc. Elastomeric waterproof laminate
GB8328279D0 (en) * 1983-10-22 1983-11-23 Smith & Nephew Res Polymer blend films
US4640859A (en) * 1983-12-27 1987-02-0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Inelastic, heat-elasticizable sheet material for diapers
US4720415A (en) * 1985-07-30 1988-01-19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omeric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4663220A (en) * 1985-07-30 1987-05-05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olefin-containing extrudabl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into elastomeric products including microfibers
US4655760A (en) * 1985-07-30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Elasticize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789699A (en) * 1986-10-15 1988-12-06 Kimberly-Clark Corporation Ambient temperature bondable elastomeric nonwoven web
US4758239A (en) * 1986-10-31 1988-07-19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barrier
JPS63122955U (ko) * 1987-02-02 1988-08-10
US4777073A (en) * 1987-03-11 1988-10-11 Exxon Chemical Patents Inc. Breathable films prepared from melt embossed polyolefin/filler precursor films
NL8700819A (nl) * 1987-04-08 1988-11-01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registreren van informatie op of het uitlezen van informatie uit een informatieplaat.
US4833172A (en) * 1987-04-24 1989-05-23 Ppg Industries, Inc. Stretched microporous material
US5238618A (en) * 1987-09-14 1993-08-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oriented microporous film
US4833026A (en) * 1987-10-08 1989-05-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reathable, waterproof sheet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4847134A (en) * 1987-12-22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Stretch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4983109A (en) * 1988-01-14 1991-01-08 Nordson Corporation Spray head attachment for metering gear head
US4892779A (en) * 1988-03-18 1990-01-09 Ppg Industries, Inc. Multilayer article of microporous and substantially nonporous materials
US4910064A (en) * 1988-05-25 1990-03-20 Sabee Reinhardt N Stabilized continuous filament web
US4949668A (en) * 1988-06-16 1990-08-21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sprayed adhesive diaper construction
US4923650A (en) * 1988-07-27 1990-05-08 Hercules Incorporated Breathable microporous film and methods for making it
US4965122A (en) * 1988-09-23 1990-10-23 Kimberly-Clark Corporation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514470A (en) * 1988-09-23 1996-05-07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5226992A (en) * 1988-09-23 1993-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composite elastic necked-bonded material
US4975469A (en) * 1989-03-20 1990-12-04 Amoco Corporation Oriented porous polypropylene films
US5064802A (en) * 1989-09-14 1991-11-12 The Dow Chemical Company Metal complex compounds
US5116662A (en) * 1989-12-15 1992-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US5114781A (en) * 1989-12-15 1992-05-19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direction stretch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eversibly necked material
US5278717A (en) * 1990-10-02 1994-01-11 Tdk Corporation Disk cartridge
US5176953A (en) * 1990-12-21 1993-01-05 Amoco Corporation Oriented polymeric microporous films
US5143679A (en) * 1991-02-28 1992-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sequentially stretching zero strain stretch laminate web to impart elasticity thereto without rupturing the web
US5385775A (en) * 1991-12-09 1995-01-3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including an anisotropic elastic fibrous web and process to make the same
JP3287004B2 (ja) * 1992-02-21 2002-05-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用のディスク
US5374696A (en) * 1992-03-26 1994-12-20 The Dow Chemical Company Addition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stabilized reduced metal catalysts
US5244482A (en) * 1992-03-26 1993-09-14 The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Post-treatment of nonwoven webs
US5768253A (en) * 1992-05-15 1998-06-16 Cd Plant Tecval S.A. Disc cartridge for accommodating recording discs
US5376430A (en) * 1992-06-19 1994-1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 film laminate
SE508961C2 (sv) * 1992-11-17 1998-11-23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och absorberande alster innehållande strukturen ifråga
US5537389A (en) * 1992-11-30 1996-07-16 Hitachi Maxwell, Ltd. Disk cartridge having a single closing energizer for closing two independently opened shutters
DE4243012C2 (de) * 1992-12-18 1997-09-11 Corovin Gmbh Mehrschichtiges elastisch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elastischen Flächengebildes
US5916663A (en) * 1993-08-03 1999-06-29 Chappell; Charles W. Web materials exhibiting elastic-like behavior
TW238381B (en) * 1993-10-29 1995-01-11 Ibm Optical data storage cartridge system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TW317850U (en) * 1994-02-07 1997-10-11 Showa Denko Kk Liquid absorbing sheet
JP2862787B2 (ja) * 1994-03-09 1999-03-03 日本製紙株式会社 塗被紙の製造方法
CA2185452A1 (en) * 1994-03-18 1995-09-28 Patrick Sandell Protective cartridge for rewritable optical disk
US5529830A (en) *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US5773374A (en) * 1995-04-24 1998-06-30 Wood; Leigh E. Composite materials and process
US5704101A (en) * 1995-06-05 1998-01-0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ped and/or apertured web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728219A (en) * 1995-09-22 1998-03-17 J&M Laboratories, Inc. Modular die for applying adhesives
JPH09120655A (ja) * 1995-10-24 1997-05-06 Sony Corp 円盤状記録媒体
US5763041A (en) * 1995-12-21 1998-06-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 material
US5779860A (en) * 1996-12-17 1998-07-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density absorbent structure
US5885908A (en) * 1996-10-04 1999-03-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Anisotropic elastic films
US5789065A (en) * 1996-10-11 1998-08-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minated fabric having cross-directional elasticit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851937A (en) * 1997-03-27 1998-12-2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Cloth-like totally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914084A (en) * 1997-04-04 1999-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stabilized extensible nonwoven web
MY124643A (en) * 1997-06-06 2006-06-30 Sony Corp Disc device.
US5964742A (en) * 1997-09-15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bonding patterns producing fabrics with improved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US5969916A (en) * 1997-11-12 1999-10-19 Iomega Corporation Disk cartridge with shutter opening arm alignment surface and retraction slot
US6473392B2 (en) * 1998-07-13 2002-10-29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JP2000090628A (ja) * 1998-07-13 2000-03-31 Sony Corp ディスクカ―トリッジ
US6610383B1 (en) * 1998-12-23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ansversely extensible and retractable necked laminate of no-elastic sheet layers
TW522385B (en) * 2000-05-17 2003-03-01 Sony Corp Disk cartridge
US6700863B2 (en) * 2000-05-17 2004-03-02 Sony Corporation Disk cartridge
JP4089140B2 (ja) * 2000-07-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6697320B2 (en) * 2001-06-13 2004-02-24 Lite-On It Corporation Clamping device with variable clamping force
ES2319622T3 (es) * 2001-09-03 2009-05-11 Sony Corporation Cartucho de disco, dispositivo de medio de grabacion de disco y dispositivo de grabacion y/o reproduccion de disco.
JP3948235B2 (ja) * 2001-10-01 2007-07-2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450796B1 (ko) * 2002-01-05 200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커버 플레이트
JP2004310892A (ja) * 2003-04-04 2004-11-04 Sony Corp シャッタ開閉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1383A (zh) 2006-07-12
CN1237542C (zh) 2006-01-18
US20040022172A1 (en) 2004-02-05
JP2003085910A (ja) 2003-03-20
EP1426959A1 (en) 2004-06-09
WO2003023778A1 (fr) 2003-03-20
CN1484830A (zh) 2004-03-24
HK1064498A1 (en) 2005-01-28
CN100501860C (zh) 2009-06-17
EP1426959A4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734B1 (ko) 디스크카트리지
KR10089797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JP200205014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20060184959A1 (en) Disk cartidge, disk recording medium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technical field
KR10089797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과 재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장치
JPH1131235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記憶装置
KR100625821B1 (ko) 디스크 카트리지
KR20040029956A (ko)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및/또는 재생 장치
JP2003085916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408935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1311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125014A (ja) 回動型アクチュエータ及びディスク記憶装置
JP200308591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0156007A (ja) ディスク回転駆動機構、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並びに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33205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2050143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用ケース
JPH1032095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107437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