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734B1 - 디스크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디스크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34B1
KR100746734B1 KR1020010015479A KR20010015479A KR100746734B1 KR 100746734 B1 KR100746734 B1 KR 100746734B1 KR 1020010015479 A KR1020010015479 A KR 1020010015479A KR 20010015479 A KR20010015479 A KR 20010015479A KR 100746734 B1 KR100746734 B1 KR 100746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shutter member
disc
cartridge
disc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5005A (ko
Inventor
오바타마나부
마츠무라미츠노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36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with opening mechanism of the cartridge shut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13Container cases
    • G11B23/0316Constructional details, e.g. shape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Abstract

카트리지하우징(22), 광디스크(21) 및 셔터기구(28)로 구성되는 디스크카트리지에 있어서, 한 쌍의 셔터부재(50,51) 중 적어도 한 셔터부재의 접합부(71a)는 다른 접합부(72a)가 삽입되는 리세스부(75)를 포함한다. 제 1셔터부재(50)와 제 2셔터부재(51)로 이루어지는 셔터기구(28)의 셔터부재(50,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가능한 작게 될 수 있다. 본 디스크카트리지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수납된 디스크수납실에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방진기능으로 제작된다.

Description

디스크카트리지{Disk cartridge}
도 1은 관련기술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제 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관련기술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제 2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가 개폐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도면을 참조하여 셔터가 닫힌 상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가 개폐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 도면을 참조하여 셔터가 열린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상부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에서 본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상부외피의 하부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하부외피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중간외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중간외피의 중앙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중간외피의 리브(rib)부 간의 관계를 설명할 때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의 제 1셔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의 제 2셔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셔터기구가 닫힌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를 도시한 하부도면이다.
도 15a는 도 14에 도시된 셔터기구의 W-W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셔터기구의 W-W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셔터기구가 열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를 도시한 하부도면이다.
도 17은 광디스크가 도 6에 도시된 상부외피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중간외피가 도 17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1셔터부재가 도 18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셔터기구가 닫힌 상태에서 제 2셔터부재가 도 19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하부외피가 도 20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1 및 제 2셔터부재가 도 8에 도시된 하부외피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셔터기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a와 24b는 도 20에 도시된 셔터기구에 의해 셔터가 로크된 후 얻어진 상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도면이며, 도 24a는 셔터가 오버스트로크(over stroke)상태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고 도 24b는 셔터가 프리(free)상태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가 조립된 후 얻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X-X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배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중앙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28a와 28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와 관련기술에 따른 셔터기구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부분 단면도이며, 여기서 도 28a는 본 발명에 따른 셔터기구의 방진기능을 설명하는데 참조될 부분 단면도이고 도 28b는 관련기술에 따른 셔터기구의 방진기능을 설명하는데 참조될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독창적인 디스크카트리지를 사용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회로배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사용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사용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사용한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도 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상부외피에 조립된 셔터기구가 열린 상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된다.
도 34는 도 33에 도시된 셔터기구가 카트리지하우징으로부터 분해된 상태하에 셔터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에 도시된 셔터기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셔터기구가 카트리지하우징으로부터 분해된 상태하에 셔터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7a와 37b는 확대 스케일에서 도 36에 도시된 셔터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여기서 도 37a는 평면도이고 도 37b는 하부도이다.
도 38a와 38b는 도 37에 도시된 셔터기구의 주요부가 조립될 때 얻어진 위치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도면이며, 여기서 도 38a는 L형 축부분의 세로방향과 결합홀이 서로 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8b는 도 38a에서 Y-Y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9a와 39b는 도 36에 도시된 셔터기구의 Z-Z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며, 여기서 도 39a는 셔터부재가 서로 접하기 이전의 상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단면도이고 도 39b는 셔터부재가 서로 접한 후의 상태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디스크카트리지 21. 광디스크(디스크형기록매체)
22. 카트리지하우징 23. 상부외피
24. 하부외피 25. 중간외피
27,38. 개구부 28,70. 셔터기구
30. 벨트형가이드부 35. 로크(lock)부재
35b. 로크레버 35c. 조작피스
39. 리브(rib)부 50,71. 제 1셔터부재
50a. 셔터부 50b. 벨트형부
51,72. 제 2셔터부재 52a. 배럴축부(barrel shaft portion)
53d. 조작부 56,74. 결합홀
60. 디스크기록재생장치 62. 기록재생장치본체
68. 스핀들모터 68a. 턴테이블
69. 광픽업장치 69a. 광학헤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자기-광디스크, 자기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카트리지 하우징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된 디스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일부를 노출하기 위한 카트리지 하우징의 개구부를 개방 가능한 셔터기구(shutter mechanism)가 제 1 셔터부재(shutter member)와 제 2 셔터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크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오디오데이터, 비디오데이터, 혹은 컴퓨터의 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기록재생이 가능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카트리지 하우징에 수납된 디스크 카트리지로서, 지금까지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배치를 가지는 디스크 카트리지가 알려졌다. 도 1에서 일반적으로 도면부호(1)로 나타낸 디스크카트리지는 그 안에 사용자가 컴퓨터데이터와 같은 정보를 기록 및 기입 할 수 있는(record and write) 1회 기록 다수재생(write once read many)의 자기광디스크(magneto-optical disk)(4)를 수납하는 디스크카트리지이다. 도 1은 디스크카트리지(1)의 외형을 도시한 대략적인 사시도이다.
특히,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디스크 카트리지(1)는 한 쌍의 상부외피(upper shell)(2a)및 하부외피(lower shell)(2b)와, 이 카트리지 하우징(2)의 디스크수납실(3)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자기광디스크(4) 등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 하우징(2)을 포함한다. 중앙부로부터 한쪽으로 연장하는 개구부(5)는 카트리지하우징(2)의 상하부 양쪽에 형성된다. 이 개구부(5)는 카트리지하우징(2)의 일 측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한 셔터부재(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압착부재(presser member)(6a)는 셔터부재(6)의 팁 말단부(tip end portion)가 카트리지 하우징(2)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금속으로 된 디스크형 중앙허브(7)는 자기광디스크(4)의 중앙부에 제공된다. 중앙허브(7)는 개구부(5)의 내부 말단부와 마주본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보 기록재생장치의 본체에 제공된 턴테이블은 중앙허브(7) 위에 탑재된다. 자기광디스크(4)가 턴테이블에 척으로 고정되면(chucked), 자기광디스크(4)는 소정의 속도(예를 들어, 일정 선형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헤드부가 개구부(5)에 삽입되는 자기광픽업장치에 의해 자기광디스크(4)에 정보신호가 기록되거나 또는 재생된다.
하지만, 상술한 배치를 갖는 일반적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개구부(5)를 개폐하는 셔터부재(6)는 단면에 있어서 대체로 U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셔터부재(6)는 카트리지하우징(2)의 일측에 설치되고 개구부(5)를 개폐하기 위해 카트리지하우징(2)의 일측 상을 따라 슬라이드 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하우징(2)과 셔터부재(6) 사이에는 큰 공간이 형성되어 작은 먼지 등이 디스크카트리지(1)의 상기 큰 공간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최근 광디스크의 저장용량과 기록밀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서, 기록패턴의 피치가 좁아지고 선형밀도가 증가한다. 기록재생광선이 먼지 등으로 더럽혀진 기록면 상에서 방해받거나, 정보기록면에 흠집이 있을 때는, 정보가 정상적으로 광디스크 또는 자기광디스크에 기록되거나 재생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U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셔터부재(6)가 카트리지하우징(2)의 한쪽 면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셔터부재(6)가 상기 디스크카트리지(1)의 일측을 따라 슬라이드 될 때, 광디스크 등의 정보기록면이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지거나 흠집이 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개구부(5)가 개폐된다.
광디스크나 혹은 자기광디스크의 저장용량과 기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광디스크나 혹은 자기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재생할 때 이전에는 무시할 수 있었던 매우 작은 먼지가 광디스크나 혹은 자기광디스크에 보다 더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대체로 단면이 U자형인 상술한 셔터부재(6)는 매우 작은 먼지 등이 카트리지하우징(2)에 들어가는 것으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수 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자기광디스크(4)의 정보기록면이 카트리지하우징(2)에 들어간 매우 작은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질 때, 기록재생면은 정보기록면이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지고 흠집이 나서 자기광디스크(4)의 정보기록면에 정보가 기록되거나 재생될 수 없는 상태와 비슷한 상태가 된다.
상술한 견지에서 볼 때, 본 출원의 출원인은 도 2(일본특허출원번호 11-195044)에 도시한 디스크카트리지와 관련한 특허출원을 이전에 제안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부호(8)로 나타낸 디스크카트리지는 상부외피(9a) 및 하부외피(9b)로 이루어진 카트리지하우징(9)과, 이 카트리지하우징(9)의 디스크수납실(10)에 수납된 광디스크(11)와, 카트리지하우징(9)을 통해 형성되어 이 광디스크(11)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된 개구부(12)를 개폐하는 셔터기구(13)와, 카트리지하우징(9)에 부착되어 이 셔터기구(13)를 보호하는 커버부재(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카트리지하우징(9)은 상부외피(9a)와 하부외피(9b)를 연결하여 조임으로서 형성된다. 광디스크(11)는 이 카트리지하우징(9)의 디스크수납실(10)에 수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커버부재(14)는 이 카트리지하우징(9)의 하부외피(9b)에 부착되어 셔터기구(13)를 덮게된다. 이 커버부재(14)는 셔터기구(13)를 보호하고 카트리지하우징(9)이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크카트리지(8)의 셔터기구(13)는 제 1셔터부재(15)와 제 2셔터부재(16)로 이루어진다. 제 1셔터부재(15)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 광픽업이 삽입되고 배출되는 기록재생개구부에서 카트리지하우징(9) 상에 특징된 개구부를 개폐하는데 사용된다. 제 1셔터부재(15)는 셔터부(15a)와 벨트형부(15b)로 이루어진다. 셔터부(15a)는 실질적으로 한쪽의 경사면이 원호모양을 한 사다리꼴의 형상이다. 벨트형부(15b)는 원호형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벨트형부(15b)는 원호형 경사면의 한쪽 면으로 연속되고 원호형 경사면의 그것과 거의 같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원호형가이드부(15b1)와 원호형 경사면의 다른 면으로 연속되고 다른 면으로부터 직선으로 뻗어있는 직선가이드(15b2)를 포함한다.
이 벨트형부(15b)는 상부외피(9a)의 내벽(9a1)과 하부외피(9b)의 주변벽(9b1)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부(17)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가이드부(17)는 디스크수납실(10)을 둘러싸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이 가이드부(17)의 한 말단은 하부외피(9b)의 측벽(9a2)에 의해 닫힌다. 반면에, 가이드부(17)의 다른 말단은 상부외피(9a)의 측벽(9a3)에 개방되고 직선가이드(15b2)의 팁말단에 제공된 조작부(13a)는 개구부로부터 노출된다. 조작부(13a)가 눌러져 카트리지하우징(9)의 측면에 정의된 가이드그루브(17b) 내를 이동하여 그것에 의해 뒷면으로 이동되면, 제 1셔터부재(15)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다. 그 결과, 셔터부(15a)는 회전되고 개구부(12)의 기록재생개구부를 개방하도록 변경된다.
제 1셔터부재(15)가 회전될 때, 제 2셔터부재(16)는 제 1셔터부재(15)의 반대측으로 회전된다. 특히, 제 2셔터부재(16)는 카트리지하우징(9)의 뒷면의 한 코너부에 있는 지지핀(16a)에 의해 카트리지하우징(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 2셔터부재(16)의 다른 말단은 카트리지하우징(9)의 중앙부까지 뻗고,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 하에 셔터부재(15) 측에 탄성바이어스되고, 그것에 의해 제 2셔터부재(16)의 전면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6b)는 제 1셔터부재(15)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록부(15c)와 접촉하게된다.
제 1셔터부재(15)의 볼록부(15c)는 제 1셔터부재(15)가 개구부(12)를 닫는 상태 하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9)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셔터부(15)가 개구부(12)를 개방하기 위해 회전되면, 볼록부(15c)는 카트리지 하우징(9)의 뒷면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볼록부(15c)의 이동력은 연결부(16b)에 작용하고 제 2셔터부재(16)는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뒷면으로 회수된다. 제 2셔터부재가 회전되면, 개구부(12)의, 회전구동 기구의 턴테이블이 삽입 및 배출되는 드라이브 개구부가 개폐된다.
관련기술에 따른 상술한 디스크카트리지(8)에서, 셔터기구(13)는 두 셔터부재(15,16)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이 셔터기구(13)는 커버부재(14)에 의해 보호되어, 먼지 등이 카트리지하우징(9)에 들어가는 것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제 1셔터부재(15)와 제 2셔터부재(16)에 있어서, 연결부(16b)는 스프링-바이어스되어(spring-biased)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 하에 볼록부(15c)와 연결되고, 셔터부재(15,16) 쌍의 각 말단면은 코일스프링(18)의 탄성력 하에 서로 접하게 되어 그것에 의해 개구부(12)를 닫는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셔터부재(15, 16)의 접합부의 말단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먼지 등이 상기 공간으로부터 카트리지하우징(9)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상술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셔터부재 쌍의 결합부(coupling portion)가 먼지 등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방지하기 위한 미로기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셔터기구가 닫힐 때 셔터부재 쌍의 접합부(butting portion)가 서로 중첩되는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견지에 따라, 한 쌍의 외피로 형성되어 그 안에 디스크수납실을 형성하는 카트리지하우징과, 디스크수납실에 수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디스크형기록매체와 카트리지하우징에 부착되어 한 쌍의 셔터부재를 갖는 셔터기구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쌍을 이루는 셔터부재 쌍과 셔터부재가 닫힐 때 카트리지하우징의 개구부를 닫기위해 서로 접하는 각 셔터부로 이루어지고, 셔터부재 쌍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는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가 결합되는 볼록부를 갖는 디스크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상술한 배열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셔터기구가 닫힐 때, 한 셔터부재의 접합부는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와 중첩된다. 따라서, 셔터부재 쌍 사이에 미로기능이 예시될 수 있고, 그 것에 의해 유동체가 접합부를 통과하기 어렵게 되고 먼지 등이 카트리지하우징에 유입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한 셔터부재의 접합부는 셔터부재의 두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가지고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는 돌출부가 결합되는 타원홀을 가진다.
상술한 배치로, 한 셔터부재의 돌출부가 다른 셔터부재의 타원홀에 들어가고 미로기능이 돌출부와 타원홀의 조합에 의해 예시된다. 따라서, 개구부가 셔터부재 쌍에 의해 보다 확실히 닫힐 수 있기 때문에, 먼지 등이 디스크카트리지에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돌출부는 그것의 세로방향을 가로지르는 적어도 그 한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며, 타원홀은 그 경사면을 마주보는 면에 거의 같은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갖는다.
상술한 배치로, 타원홀에 제공된 경사면이 돌출부의 적어도 한 면에 제공된 경사면을 마주보기 때문에, 셔터부재 쌍 사이의 공간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고 보다 확실한 방진특성이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타원홀의 세로방향의 길이가 돌출부의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고 한 쌍의 셔터부재가 세로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로, 돌출부의 길이가 타원홀의 그것보다 더 길게되기 때문에, 한 쌍의 셔터부재의 치수에러와 조립에러가 돌출부와 타원홀에 의해 흡수될 수 있어서 방진특성이 향상되고 먼지 등이 디스크카트리지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셔터부재 쌍의 접합부는 두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은 돌출부와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된 돌출부가 결합되는 타원홀을 포함한다.
상술한 배치로, 돌출부와 타원홀이 셔터부재 쌍의 접합부에 각각 형성되어 타원홀과 돌출부가 또 다른 셔터부재의 타원홀과 돌출부에 각각 연결되고, 셔터부재 쌍 사이의 공간이 일정하게 될 수 있고 고방진의 디스크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셔터부재 쌍의 각 셔터부는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되고 그 삼각형의 긴변이 접합되어 대체로 직사각형의 완전한 셔터부를 형성한다.
상술한 배치로, 넓고 긴 리세스(recess)로 형성된 비교적 큰 개구부는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인 두 셔터부의 조합으로써 확실히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에서, 셔터부재 쌍 중에서 하나의 셔터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디스크카트리지에 지지되고, 또 다른 셔터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하 나의 셔터부재에 지지되고 팁말단부가 카트리지하우징의 외측에 돌기된 벨트형부를 포함하고 셔터부재 쌍은 벨트형부에 외력을 적용함으로서 개폐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로, 셔터부재 쌍은 벨트형부의 팁말단부에 그 것들이 서로 가까이 혹은 서로로부터 멀리되는 방식으로 외력을 적용함으로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는 셔터부재 쌍이 서로 가까이 혹은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도록 움직임으로서 확실히 그리고 부드럽게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한다.
도 5에서 도 39a, 3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부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하부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상부외피의 하부도면이다. 도 8은 하부외피의 평면도이다. 도 9는중간외피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중간외피의 중앙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서 V-V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1셔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2셔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및 제 2셔터부재가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하에서 셔터기구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a와 15b는 도 14에서 W-W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6은 셔터기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광디스크가 상부외피 내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8은 중간외피가 도 17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1셔터부재가 도 18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2셔터부재가 도 19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하부외피가 도 20에 도시된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1 및 제 2셔터부재가 하부외피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셔터기구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a와 24b는 각 제 1셔터부재와 로크기구(lock mechanism)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외형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서 X-X 선을 따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의 배치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중앙부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28a와 2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방진효과와 관련기술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서로 비교할 때 얻어지는 비교결과를 설명하는데 참조될 각각의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를 사용한 정보 기록재생장치의 회로배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가 도 29에 도시된 정보 기록재생장치에 삽입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가 도 29에 도시된 정보 기록재생장치에 삽입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가 도 29에 도시된 정보 기록재생장치에 삽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2에서 도 39a, 3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의 셔터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히, 도 3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가 상부외피에 조립되고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가 상부외피 상에서 열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가 상부외피에 조립되고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가 상부외피에서 닫힌 상태를 도시한 하부도이다. 도 37a와 37b는 확대된 스케일로 각각의 셔터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하부도이다. 도 38a와 38b는 각각 제 1 및 제 2셔터부재의 조립공정과 도 38에서 Y-Y 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부분적인 확대 하부도이다. 도 39a와 39b는 각각 도 36에서 Z-Z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20)는 오디오정보로 취급되는 음악신호와 비디오신호 및 비디오정보로 취급되는 음악신호와 같은 각종 정보신호가 이미 기록된 미리 포맷된 광디스크 또는 오디오정보 및 비디오정보와 같은 정보신호가 한번 기록가능(1회 기록 다수 재생)하거나, 정보신호가 반복적으로 기록가능(재기록 가능 광디스크)한 기록가능 광디스크(21)를 디스크형 기록매체로서 수납한다. 그러나,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상술한 기록매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자기 박층(magnetic thin layer)이 얇은 디스크의 표면에 증착되어 특정한 위치에서 자화상태(magnetization state)에 기초해 정보가 저장되는 자기디스크와, 광학헤드 및 자기헤드를 이용해 유사한 자기 박층으로부터 정보가 재생되거나 기록되는 자기광디스크와 다른 기록매체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디스크카트리지(20)는 서로 고정된 상부외피(23)와 하부외피(24)와 중간외피(25)의 쌍으로 구성된 카트리지하우징(22)과, 이 카트리지하우징(22)에 형성된 디스크수납실(26)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 광디스크(21)와, 하부외피(24) 및 중간외피(25)에 형성된 개구부(27a,27b)를 개폐하는 셔터기구(28)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외피(23)는 얇은, 대체로 사각형인, 앞이 원호인 접시형부재로 이루어진다. 상부외피(23)는 볼록부인 내부면이 아래로 향하는 방식으로 노출된다. 상부외피(23)는 아래로 내민 방식으로 그 주변 가장자리에 형성된 앞측벽(23a), 우측 및 좌측벽(23b,23c)과 후측벽(23d)을 가진다. 이 측벽(23a∼23d)의 안쪽에, 네 변에서 각 측벽(23a∼23d)을 내접하는 안쪽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된 원형 내벽(23e)이 제공된다. 중간외피(25)는 내벽(23e)의 안쪽에 맞추어지고, 중간외피(25)와 상부외피(23)가 디스크수납실(26)을 구성한다.
상부외피(23)의 앞측벽(23a)의 중앙부와 앞측벽(23a)의 중앙부와 마주보는 내벽(23e)의 중앙부에, 디스크카트리지가 디스크기록재생장치에 로드될 때 광픽업장치의 광학헤드가 지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용되는 리세스(29a,29b)가 형성된다. 게다가, 앞측벽(23a)과 내벽(23e) 사이에, 내벽(23e)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된 원주형통로로 형성된 벨트형가이드부(30)가 제공된다. 벨트형가이드부(30)는 한 측벽(23b)의 안쪽으로부터 다른 측벽(23c)의 안쪽으로 연장된다. 게다가, 벨트형가이드부(30)는 측벽(23c)을 통해 연장된 스루홀(through-hole)(29c)에 의해 바깥 쪽으로 통한다.
상부외피(23)의 좌우측벽(23b,23c)으로부터, 앞 뒤 방향에 연장된 측벽그루브(31a,32a)가 있다. 측벽그루브(31a,32a)는 디스크카트리지를 적절히 위치시키고 디스크카트리지가 디스크기록재생장치에 로드될 때 실수로 인해 디스크기록재생장치에 맞지 않는 디스크카트리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한 측벽그루브(31a)가 상부외피(23)의 앞측부에만 형성되는 반면에, 다른 측벽그루브(32a)는 상부외피(23)의 뒤까지 연장된다. 스루홀(29c)은 이 측벽그루브(32a)에 구멍이 내진다. 게다가, 상부외피(23)의 안쪽 네 모서리에, 각각 나사를 이용해 하부외피(24)를 상부외피(23)에 고정시키는 볼록부(33)가 형성된다. 게다가, 우측벽(23c)의 앞코너부에, 로크부재(lock member)(3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데 이용되는 축볼록부(shaft convex portion)(34a)가 제공된다.
도 5와 도 24a 및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부재(35)는 축볼록부(34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린더형 배럴축부(35a)와, 벽면방향에서 배럴축부(35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로크레버(35b)와, 조작피스(35c)와 스프링피스(35d)를 포함한다. 로크레버(35b)와 스프링피스(35d)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고 조작피스(35c)는 로크레버(35b)와 스프링피스(35d)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다. 스프링피스(35d)는 상부외피(23)의 앞측벽(23A)의 내면에 반해 죄어지고, 로크레버(35b)는 스프링피스(35d)의 탄성력하에 벨트형가이드부(30) 측을 향해 스프링바이어스 된다. 동시에, 조작피스(35c)는 상부외피(23)의 우측벽(23c)에 구멍난 스루홀(29d)을 통해 연장되고, 조작피스(35c)의 팁말단부는 측벽그루브(32a) 안으로 돌출된다.
상부외피(23)의 우측벽(23c)면의 뒤 코너부에, 셔터기구(2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축볼록부(34b)가 제공된다. 또한, 좌측벽(23b)면의 뒤 코너부에, 광디스크(21)에 기록된 정보가 실수로 소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소거방지피스(36)가 수납된 방지피스하우징부(37)가 제공된다. 이 방지피스하우징부(37)는 카트리지하우징(22)의 뒤에 개방된 조작창(37a)을 포함한다. 오소거방지피스(36)는 방지피스하우징부(37)에 부착되어 그것이 조작창(37a)을 개폐하도록 슬라이드될 수 있다. 오소거방지피스(36)는 조작창(37a)을 개폐하는 개폐부(36a)와 개폐부(36a)가 조작될 때 클릭감촉을 형성하는 저항부(36b)를 포함한다.
상술한 배치를 갖는 상부외피(23)는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수지와 HIPS(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high-impact polystyrene) 같은 합성수지로 적절히 만들어진다. 하지만, 다른 합성수지가 상부외피(23)의 물질로 적용될 수 있고 알루미늄 합금 같은 다른 금속이 상부외피(23)의 물질로 적용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외피(23)는 2색성의 몰딩에 따라 두 색의 ABS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C자형의 투명창(23A)이 무색의 투명 ABS 수지로 만들어지고 다른 부분들이 적절한 색의 ABS 수지로 만들어진다. 사용자는 이 투명창(23A)을 통해 디스크수납실(26)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상부외피(23)의 내벽(23e)에 고정되는 중간외피(25)는 도 5, 6과 도 9∼11에 도시된 배치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외피(25)는 얇은, 디스크형 판물질로 형성되고, 외주 가장자리를 갖는데 그 주변으로 한 면으로 돌출하고 원주방향으로 연속된 측벽(25a)이 제공된다. 게다가, 중간외피(25)는 외주 가장자리 부분으로 열리고, 방사방향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중앙부에 달하는 개구부(27)를 가진다. 이 개구부(27)는 하부외피(24)의 개구부(38)를 마주하며, 이 두 개구부(27,38)는 모양과 크기에서 비슷하다.
이 개구부(27,38)들은 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 턴테이블과 광픽업장치와 광학헤드를 받아들이고 배출하는데 이용된다. 개구부(27,38)는 적절한 모양과 크기를 가지고 있어 상술한 턴테이블과 광학헤드가 개구부(27,28)로 들어갈 수 있고 나올 수 있다. 특히, 개구부(27,38)의 중앙부는 턴테이블이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는 테이블영역이다. 광학헤드가 삽입 및 배출되는 헤드영역은 테이블영역 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헤드영역은 방사방향의 바깥쪽으로 직선으로 연장되고 외주 가장자리를 향해 열려있다. 또한, 개구부(27,38)의 방사방향에서 연장된 가장자리부중 하나에, 계단부(27a,38a)가 제공되고, 그것에 의해 헤드영역이 테이블영역 보다 조금 넓게 형성된다.
중간외피(25)는 원호형으로 돌출된 측벽(25a)과 원주방향을 따라 한없이 연속되는 리브부(rib portion)(39)를 가진다. 이 리브부(39)는 개구부(27) 중앙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으로 연속된 내부리브부(39a)와, 측벽(25a)의 주변방향을 따라 연속된 외부리브부(39b)와, 방사방향에서 개구부(27b)의 양 옆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방사방향의 내부에 있는 내부리브부(39a)로 연속하고 방사방향의 외부에 있는 외부리브부(39b)에 연속된 방사방향(radius-direction)리브부(39c, 39c)를 포함한다.
이 리브부(39)는 중간외피(25)의 힘을 증가시키고 평탄도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여 광디스크(21)의 워블링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킨다. 게다가, 리브부(39)중에서, 내부리브부(39a)는 중간외피(25)에 수납되는 광디스크(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 내부리브부(39a)는 광디스크(21)의 중앙홀(21a)의 근처에 형성된 내부의 기록되지 않는 영역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 내부리브부(39a)가 광디스크의 내부의 기록되지 않는 영역을 지지할 때, 광디스크(21)의 방사방향의 바깥쪽에 제공된 정보기록면은 중간외피(25)의 표면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내부리브부(39a)의 높이(H1)가 가장 높은 높이로 설정되고, 외부리브부(39b)의 높이(H2)가 제 2높이로 설정되고, 방사방향리브부(39c)의 높이(H3)가 가장 낮은 높이(H1 > H2 > H3)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내부리브부(39a)의 높이(H1)와 외부리브부(39b)의 높이(H2)가 서로 같을 수 있다. 하지만, 방사방향리브부(39c)의 높이는 항상 내부리브부(39a)와 외부리브부(39b)의 높이 보다 낮게 설정된다. 상술한 높이관계가 각 리브부(39a,39b,39c)간에 설정될 때, 방사방향리브부(39c)는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과 접촉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리브부(39)의 외부리브부(39b)는 광디스크(21)의 외주 가장자리에 제공된 바깥쪽 기록되지 않는 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광디스크(21)의 외주 가장자리가 중간외피(25)의 표면과 접촉하게 될 때라도, 광디스크(21)의 정보 기록면이 외부리브부(39b) 때문에 손상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중간외피(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는 높게 설정되고 외주 가장자리측은 낮게 설정된 구형 표면부를 가지는 돔형외피의 형상을 한다. Ha를 중간외피(25)의 중앙부의 높이로 하고 Hb를 중간외피(25)의 외주 가장자리의 높이로 가정하면, 중앙부와 외주 가장자리 사이의 차이(H (= Ha - Hb))는 가급적이면 0.03mm부터 0.3mm까지의 범위로 선택되고, 가장 바람직한 값은 약 0.1mm로 선택된다. 중간외피(25)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340)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간외피(25)가 0.2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졌을 때, 최적의 결과가 얻어질 수 있었다. 하지만, 스테인레스 스틸이 아닌 다른 금속이 사용될 수 있고, ABS 수지 및 HIPS 같은 합성수지도 중간외피(25)의 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한 쌍의 위치선정 리세스부(27b,27b)가 중간외피(25)의 개구부(27)의 좌우개방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상부외피(23)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위치선정 리세스부(27b,27b) 쌍을 마주보는 위치선정 볼록부를 가진다. 따라서, 리세스부(27b,27b)가 위치선정 볼록부와 접촉하게 되고, 중간외피(25)가 상부외피(23)의 내벽(23e)에 고정될 때, 중간외피(25)는 상부외피(23) 위에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27)는 소정의 방향에 연장된 상태하에 개방된다.
중간외피(25)와 상부외피(23)에 의해 형성된 디스크수납실(26) 내에 수납된 광디스크(21)는 그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홀(21a)을 가지는 얇은 디스크형 기록부재(recording member)로 만들어진다. 이 광디스크(21)의 중앙부의 한 면에, 접착제와 같은 적절한 고정수단에 의해 중앙홀(21a)을 덮도록 중앙허브(center hub)(40)가 고정된다. 중앙허브(40)는 자석에 의해 흡착될 수 있는 철판과 같은 자성물질로 만들어진다. 디스크기록재생장치 내에 수납된 디스크회전구동장치의 턴테이블이 이 중앙허브(40) 안에 고정된다. 이 턴테이블과 중앙허브(40)가 자석으로부터의 자기력하에 서로 척으로 고정되고(chucked), 광디스크(21)는 턴테이블의 회전방향과 하나가 되어 턴테이블에 의해 회전된다.
이 광디스크(21)의 표면에, 디스크기록재생장치 내에 수납된 광픽업장치의 마주보는 광학헤드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는 정보기록영역(41)과 정보가 기록될 수 없는 기록되지 않는 면이 형성된다. 기록되지 않는 면은 광디스크(21)의 안쪽인 중앙허브(40)의 외측에 형성된 소정의 폭을 갖는 내부의 기록되지 않는 면(42a)과 광디스크(21)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소정의 폭을 갖는 외부의 기록되지 않는 면(42b)으로 이루어진다. 정보기록면(41)은 내부 및 외부의 기록되지 않는 면(42a,42b)의 사이에 제공된다. 광디스크(21)의 기판은 폴리카보네이트(PC;polycarbonate)와 폴리올레핀(polyolefin)과 같은 합성수지로 적절히 만들어지지만, 광디스크(21)의 기판이 다른 합성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광디스크(21)의 기판물질이 합성수지에만 제한되지는 않으며 광디스크(21)의 기판이 기록매체로 이용될 수 있는 유리물질과 알루미늄합금과 같은 각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5, 도 6,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외피(24)는 상부외피(23)의 외관과 같은 외관을 가진다. 하부외피(24)는 대략 사각형이고 앞면이 원호형인 얇은 디스크형 부재로 만들어진다. 이 하부외피(24)는 오목부 면인 내면이 위를 향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하부외피(24)의 외주 가장자리에, 앞측벽(24a), 좌우측벽(24b, 24c)과 후측벽(24d)이 상부쪽으로 돌출된다. 앞측벽(24a)과 좌우측벽(24b, 24c)이 연속된 앞의 두 좌우코너부에, 원호형의 내벽(24e, 24e)이 제공된다. 각 내벽(24e)의 외부에, 앞측벽(24a)과 좌우측벽(24b, 24c) 중에 소정의 공간을 가진 외벽(24f, 24f)가 제공된다.
또한, 하부외피(24)는 전면부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38)를 가지며 그것은 뒤쪽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이 개구부(38)는 중간외피(25)의 개구부(27)와 쌍을 이룬다. 조립에 있어서, 두 개구부(27,38)가 서로 같도록 구멍을 뚫는다.
따라서, 상부외피(23)가 하부외피(24) 상에 조립되어 함께 고정될 때, 상부외피(23)의 앞측벽(23a), 좌우측벽(23b, 23c)과 후측벽(23d)이 하부외피(24)의 앞측벽(24a), 좌우측벽(24b, 24c)과 후측벽(24d)의 안쪽에 고정된다. 그 다음에, 하부외피(24)의 내벽(24e)이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상부외피(23)의 내벽(23e)의 바깥쪽을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 상부외피(23)의 내벽(23e)과 하부외피(24)의 내벽(24e) 사이에 설정된 원호형 공간부에 의해, 셔터기구(28)의 제 1셔터부재에 설치된 벨트형부를 가이드 할 수 있는 벨트형가이드부(30)가 형성된다.
하부외피(24)의 내벽(24e)과 외벽(24f)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상부외피(23)와 하부외피(24)를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볼록부(44)가 각각 형성된다. 이 볼록부(44)는 하부외피(24)의 후면의 두 코너부에도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볼록부(45,45)가 하부외피(24)의 후면의 두 코너부의 부근에 설치된다. 그 다음, 볼록부(45)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의 소정의 위치에 디스크카트리지(20)를 적절히 위치하는데 이용되는 천공된 한 쌍의 위치선정홀(45a,45b)을 가진다.
도 4와 21의 참조부호 (46)은 상술한 오소거방지피스(36)의 하부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데 사용되는 표시홀(display hole)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소거방지피스(36)의 상태가 사용자에 의해 눈으로 확인될 수 있고 또는 디스크카트리지(20)의 후면과 하부면의 두 방향에서 기계에 의해 자동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만일 상술한 표시홀(46)이 상부외피(23)에 천공되면, 오소거방지피스(36)의 상태가 후면, 하부면과 상부면의 세 방향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눈으로 확인될 수 있다.
하부외피(24)의 좌우측벽(24b, 24c)에, 앞뒤방향으로 동일하게 연장되어 상부외피(23)의 좌우측벽(23b, 23c)에 제공된 측벽그루브(31a, 32a)와 통합되는 측벽그루브(31b, 32b)가 제공된다. 측벽그루브(31b, 32b)가 측벽그루브(31a, 32a)와 통합될 때, 가이드그루브(31, 3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측벽그루브(31b)가 하부외피(24)의 앞측부에만 형성되는 반면에, 또 다른 측벽그루브(32b)는 하부외피(24)의 뒤를 통해 연장된다. 이 측벽그루브(32b)에는 내벽(24e)의 내부와 통하는 스루홀(through-hole)(29c)이 뚫려있다. 스루홀(29c)이 뚫려있는 측의 내벽에, 하부외피(24)에 로크부재(lock member)(35)의 로크레버(lock piece)(35b)가 들어가고 배출되는 리세스(recess)(47)가 형성된다.
상술한 배치를 갖는 하부외피(24)는, 예를 들어, ABS와 HIPS와 같은 합성수 지로 적절히 만들어진다. 하지만, 다른 합성수지가 하부외피(24)에 적용될 수 있고 하부외피(24)가 알루미늄합금과 다른 금속물질로 제작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하부외피(24)는 2색성몰딩이나 혹은 다색의 몰딩에 의해 두 색 이상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 6 및 도 12∼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기구(28)는 제 1셔터부재(50)와 제 2셔터부재(5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셔터부재로 이루어진다. 제 1셔터부재(50)는 개구부(27,38)의 헤드영역을 개폐하는 실질적으로 부채꼴 모양의 셔터부(50a)와 이 셔터부(50a)의 팁 말단부(tip end portion)에 연속된 벨트형부(50b)를 포함한다. 벨트형부(50b)는 원호형으로 휘어지고 그것에 의해 셔터부(50a)와 통합된다. 셔터부(50)의 중앙에, 측면방향으로 휘어진 암부(arm portion)(52)가 돌출되어 있다. 이 암부(52)는 그 팁 말단부에 고리형의 방식으로 한쪽 표면에 돌출되어 있는 배럴축부(barrel shaft portion)(52a)를 가진다. 이 배럴축부(52a)가 버링(burr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반면에, 예를 들어, 배럴축부(52a)는 코킹(caulking)이나 압력에 의해 암부(52)의 팁말단부에 삽입된 축핀(shaft pin)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셔터부재(50)의 벨트형부(50b)는 셔터부(50a)의 팁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한쪽 표면으로 돌출된다. 벨트형부(50b)의 전체는 벨트형가이드부(30)의 곡률반경과 대체로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아크형 형태이다. 이 벨트형부(50b)는 셔터부(50a)의 팁가장자리 전체로부터 한쪽 돌출면까지 그 두께가 증가하는 두꺼운 부분(53a)과 두꺼운 부분(53a)의 한쪽 말단으로부터 다른 돌출면까지 그 두께가 감소하는 얇은 부분(53b)을 포함한다. 벨트형부(50b)의 두꺼운 부분(53a)은 굽은 표면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적절한 강도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벨트형부(50b)의 두꺼운 부분(53a)은 다른 벨트형부(30)에 의해 유도될 수 있어서 곡선운동에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이 두꺼운 부분(53a)은 적정 길이에 걸쳐 폭 방향에서 두꺼운 부분(53a)의 한 면을 감소시키는 리세스(53c)를 그 팁말단부에 가진다. 이 리세스(53c)는 제 1셔터부재(50)가 열려있는 동안 광학헤드가 개구부(27, 38)에 들어가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벨트형가이드부(30)의 얇은 부분(53b)은 두꺼운 부분(53a) 보다 얇게 제작되고 적절한 탄성으로 제작되어 얇은 부분(53b)이 두꺼운 부분에서 쉽게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셔터부재(50)가 개방방향으로 이동될 때, 얇은 부분(53b)은 카트리지하우징(22)의 가이드그루브(32)에 의해 유도되고 곡선운동에서 직선운동으로 쉽게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얇은 부분(53b)은 그 팁 말단부에 셔터기구(28)가 개폐될 때 외력이 적용되는 돌기형 조작부(53d)를 가진다. 이 조작부(53d)는 제 1셔터부재(55)가 카트리지하우징(22)에 조립된 상태하에서 가이드그루브(32)에 돌출된다.
게다가, 얇은 부분(53b)은 로크부재(35)의 로크레버(35b)와 결합되는 중개부인 로크에퍼쳐(lock aperture)(54)를 가진다. 이 로크에퍼쳐(54)는 제 1셔터부재(50)가 열려있는 동안 로크기구를 마주 보는 위치에 설정된다. 로크레버(35b)가 로크에퍼쳐(54)와 결합될 때, 제 1셔터부재(50)는 로크되고 셔터기구(28)는 열린상태가 유지된다.
제 2셔터부재(51)는 양쪽 다 대체로 삼각형으로 되어 서로가 셔터부로 중첩되는 내부 셔터피스(51a)와 외부 셔터피스(51b)를 포함한다. 외부 셔터피스(51b)는 그 것과 내부 셔터피스(51a)와 반대면을 향해 돌출한 암부(55)를 연결하는 커플링부(51c)가 제공된다. 암부(55)의 팁말단부에 제 2셔터부재(51)가 회전되는 중앙이 되는 배럴축부(55a)가 제공된다. 이 배럴축부(55a)는 암부(55)의 팁말단부에 뚫린 홀을 버링함으로써 형성된다. 배럴축부(55a)는 내부 셔터피스(51a)를 향해 돌출된다. 이 배럴축부(55a)는 상부외피(3)의 축볼록부(34b) 안에 고정되고, 그것에 의해 제 2셔터부재(51)가 카트리지하우징(2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외부 셔터피스(51b)가 암부(55)에 결합되는 커플링부에, 제 1셔터부재(50)를 카트리지하우징(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이용되는 결합홀(56)이 형성된다. 이 결합홀(56)은, 제 1셔터부재(50)의 셔터부(50a)의 중첩되는 가장자리(57a)를 중첩하고, 중첩되는 가장자리(57b)가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홀(56)의 한 단부는 다른 부와 비교해서 암부(55) 측에서 그 직경이 증가한다. 이 큰 직경부(56a)는 배럴축부(52a)가 쉽게 결합홀(56)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커플링부(51c)는 그 팁말단부에 셔터부(50a)를 통과하는데 사용되는 리세스(51d)가 제공된다.
따라서,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셔터부재(50)의 배럴축부(52a)가 제 2셔터부재(51)의 결합홀(56)과 결합될 때, 제 1 및 제 2셔터부재(50,51) 쌍으로 구성된 셔터기구(28)는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술한 배치를 갖는 제 1 및 제 2셔터부재(50,51)는 스테인레스 스틸 및 다 른 금속과 ABS 수지 및 HIPS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하나의 금속물질이나 혹은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게다가, 두 셔터부재(50,51)는 금속과 합성수지 조합의 합성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셔터부재(50)와 제 2셔터부재(51)가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작은 마찰계수를 갖는 합성수지로 코팅된다. 따라서, 셔터기구(28)가 금속의 강성 때문에 두께가 감소되는 반면에, 접촉부분에서 마찰력은 경감될 수 있고 따라서 셔터기구(28)의 내구성은 증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카트리지(2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이 디스크카트리지(20)의 조립작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외피(23)가 아래로 향하는 상태에서 실행된다. 첫 번째로,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디스크(21)가 상부외피(23)의 내벽(23e)에 수납된다. 그 때, 광디스크(21)는 중앙허브(40)의 표면이 아래를 향한 상태에서 내벽(23e)에 수납된다. 도 17은 광디스크(21)가 상부외피(23)의 내벽(23e)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 다음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외피(25)는 그 평면 부분이 위를 향한 상태로 내벽(23e)에 고정된다. 그때, 중간외피(25)에서, 그것의 개구부(27)는 상부외피(23)에 리세스(29a, 29b)가 형성되고 리세스부(27b)가 상부외피(23)의 위치선정 돌기를 마주보는 면에 고정되고, 그것에 의해 중간외피(25)가 자동적으로 상부외피(23)에 적절하게 위치되고 광디스크(21)가 중간외피(25)와 상부외피(23)로 구성된 디스크수납실(26)에 수납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셔터부재(50)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제 1셔터부재(50)의 셔터부(50a)가 중간외피(25)의 개구부(27)의 헤드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벨트형부(50b)는 벨트형가이드부(30) 안에 삽입된다. 그 때, 벨트형부(50b)는 벨트형가이드부(30)의 곡률반경과 대체로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벨트형부(50b)는 벨트형가이드부(30)를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벨트형부(50b), 특히, 얇은 부분(53b)은 벨트형가이드부(30)의 원호의 곡률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원주형태의 곡선일 필요가 없으므로, 제 1셔터부재(50)의 조립작업이 쉽고 빠르게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카트리지하우징(22)의 한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그루브(32)와 통하는 스루홀(29c)이 다른 부분들과 비교하여 작은 공간을 갖는다고 하여도, 얇은 부분(53b)은 스루홀(29c)을 따라 휘어지므로, 얇은 부분(53b)은 쉽게 스루홀(29c)을 통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셔터부재(51)가 제 1셔터부재(50)에 조립된다. 그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가 열려있는 반면에, 제 2셔터부재(51)는 제 1셔터부재(50)에 조립되고 배럴축부(52a)는 결합홀(56)의 큰 직경부(56a)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 2셔터부재(51)는 조금 슬라이드 되고 배럴축부(52a)는 큰 직경부(56a)로부터 결합홀(56)으로 이동된다. 그 때, 제 2셔터부재(51)의 중첩되는 가장자리(57b)는 제 1셔터부재(50)의 중첩되는 가장자리(57a)에 가까이 이동되고, 그 것에 의해 중첩되는 가장자리(57a,57b)는 서로 중첩 된다. 그 다음에, 제 2셔터부재(51)의 배럴축부(55a)는 상부외피(23)의 뒤의 축볼록부(34b)에 고정된다.
게다가, 오소거방지피스(36)가 상부외피(23)의 방지피스하우징부(37)에 수납된다. 로크부재(35)는 상부외피(23)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된다. 특히, 로크 부재(35)의 배럴축부(35a)가 앞의 축볼록부(34b)에 고정되고 조작피스(35c)는 안쪽으로부터 측벽(23c)의 스루홀(29d)에 삽입된다. 그 다음에, 스프링피스(35d)는 앞 측벽(23a)의 내부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로크부재(35)는 스프링피스(35d)의 탄성력하에 도 24a의 시계방향으로 스프링 바이어스 되고, 그 것에 의해 로크레버(35b)의 팁말단부가 외부로부터 제 1셔터부재(50)의 벨트형부(50b)의 얇은 부분(53b)에 대해 죄어진다. 동시에, 조작피스(35c)의 팁말단부는 스루홀(29d)을 통해 연장되고 가이드그루브(32) 안으로 돌출된다. 도 20이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 후에, 하부외피(24)는 상부외피(23)에 부착된다. 그 다음에, 하부외피(24)가 고정나사에 의해 상부외피(23)에 고정된다. 도 21은 이러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2는 하부외피(24)와 셔터기구(28)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2에서 굵은선으로 나타낸 셔터기구(28)는 하부외피(24)의 개구부(38)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개구부(38)는 셔터부재(50,51)의 쌍에 의해 완전히 닫힌다. 굵은선으로 나타낸 셔터기구(28)의 닫힌 상태는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셔터부재(50,51) 쌍과 개구부(38) 사이에, 개구부(38)의 모든 외주에 걸쳐 적절한 중첩되는 부분이 설정된다. 또한, 셔터부재(50,51) 쌍은 그들의 중첩되는 가장자리(57a,57b)에 의해 개구부(38)를 가로지르는 그것의 모든 부분에서 서로 중첩된다. 따라서, 도 2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첩되는 부분에 의해 미로효과가 생성되어 먼지 등이 개구부(38)의 모든 외주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 등이 디스크카트리지(20)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도 1)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는 셔터부재(6)가 상부외피(2a) 외측에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셔터부재(6) 및 상부외피(2a)에 의해 미로효과가 발생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먼지 등이 종래의 디스크카트리지에 상대적으로 쉽게 들어간다.
삭제
도 22에서의 쇄선에 의해 표시한 셔터구조(28)는 도 22의 개구부(38)가 열려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개구부(38)는 한 쌍의 셔터부재(50,51)에 의해 완전히 열려 있다. 도 22의 쇄선에 의해 나타낸 셔터구조(28)가 열려있는 상태는 도 23에 나타낸 상태에 대응한다.
도 25에 도시된 디스크카트리지(20)는 상술한 조립작업을 실행하여 제작된다. 이 디스크카트리지(20)에서는, 카트리지하우징(22)이 상부외피(23)와, 중간외피(25)와, 하부외피(24)로 구성된다. 그리고, 광디스크(21)는 상부외피(23)와 중간외피(25)로 구성되는 디스크수납실(26)에 회전가능하게 수납된다. 도 26과 도 27은 이 디스크카트리지(2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6은 도 25의 선(X-X)에 의한 단면도로서 각 조립체가 현실감 있게 표현되어 있다. 한편, 도 27은 디스크카트리지(20)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조립체 각각의 두께와 같은 치수는 실제적인 것이 아니다.
상술한 배치를 갖는 디스크카트리지(20)가 디스크기록재생장치에 로드되기 전, 셔터구조(28)는 도 20과 도 25~27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즉, 셔터구조(28)는 한 쌍의 셔터부재(50,51)의 무게나 상하부외피(23,24)와의 사이에 서 발생하는 마찰력 등에 의해 중간외피(25)의 개구부(27) 및 하부외피(24)의 개구부(38)를 완전히 닫은 상태가 된다. 또한, 도 24a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크부재(35)의 로크레버(35b)는 제 1셔터부재(50)의 벨트형부(50b)에 뚫려있는 로크홀(54)과 결합된다. 따라서, 셔터부재(28)는 로크구조에 의해 잠기게 되고, 개구부(38)를 완전히 닫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디스크카트리지(20)가 도 30~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에 삽입되면,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에 제공된 셔터개폐구조에 의해 로크부재(35)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그 후, 셔터구조(28)가 이 셔터개폐구조에 의해 해제되어 개구부(27,28)가 모두 열리게 된다. 셔터구조(28)의 개폐방식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30~32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는 중공케이스(hollow case)로 형성된 외부케이스(61)와, 이 외부케이스(61)에 수납되는 기록재생장치본체(62) 등으로 구성된다. 도 30에서처럼, 외부케이스(61)는 상면 및 앞면이 열려있는 케이스본체(63)와, 케이스본체(63)의 상면을 닫을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61)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케이스덮개(lid)(64)와, 케이스본체(63) 및 케이스덮개(64)의 앞면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전면패널(65)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본체(63)의 4위치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리부재(63a)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다리부재(63a)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를 지지하고 있으며,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전면패널(65)은 타원판 형태의 부재로 형성되며, 카트리지슬롯(66)은 전면패널(65)의 상부에 형성된다. 카트리지슬롯(66)은 디스크카트리지(20)의 전면과 대략 같은 치수를 갖는다. 카트리지슬롯(66)은 카트리지슬롯(66)의 내부에 위치한 개폐가능덮개(openable and closeable lid)(67)에 의해 상시 닫혀있다.
사용자가 디스크카트리지(20)의 전방부에 의해 개폐가능덮개(67)를 누르고 디스크카트리지(20)를 도 31에서처럼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면, 디스크카트리지(20)가 도시하지 않은 로딩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로드된다. 그리고, 로딩구조에 의해 운반된 디스크카트리지(20)는 도 32에서처럼 소정의 위치에 적절히 안착되고 고정된다. 디스크카트리지(20)가 소정의 위치에 적절히 안착됨과 동시에, 혹은 그 이전이나 그 이후에, 개구부(27,28)는 셔터구조(28)의 작동에 의해 열리게 된다.
그후, 디스크회전구동장치(68)의 턴테이블(68a)과, 광픽업장치(69)의 광학헤드(69a)는 그렇게 열린 개구부(27,38)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턴테이블(68a)은 광디스크(21)의 중앙홀(21a)에 끼워맞추어지고, 중앙허브(40)는 턴테이블(68a) 내의 자석에 의한 자기력에 의해 흡착되어, 광디스크(21)가 턴테이블(68a)에 의해 지지된다. 광디스크(21)가 턴테이블(68a)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혹은 그 이전이나 이후에, 광학헤드(69a)는 소정위치의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영역에 접근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가 광디스크(61)에 대해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는 예를 들어 도 29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도 29에서처럼, 기록재생장치본체(62)는 시스템제어부(S1)와, 메모리제어부(S5)와, 드라이브제어부(D1)의 3개의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시스템제어부(S1) 및 메모리제어부(S5)는 서로 직접 연결되며, ROM(read-only memory)(S2)과 RAM(random-access memory)(S3)은 시스템제어부(S1)와 메모리제어부(S5)를 직접 연결하는 접속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S4)와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3M~40Mbps에 대응하는 현존하는 TV 방송, HDTV(high-definition television), 광대역 ISDN 등에 적용되는 동영상압축방식) 인코더(S6) 및 디코더(S7)는 메모리제어부(S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패널(S8)과 원격제어신호수신부(S9)는 시스템제어부(S1)에 연결되어 있다.
ECC(error-correction coder)(D4)는 드라이브제어부(D1)에 연결되고, 메모리(ROM)(D2), 메모리(RAM)(D3), 서보회로(D6) 및 어드레스디코더(D7)는 ECC(D4)와 드라이브제어부(D1)를 연결하는 접속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기록시의 오류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기록오류판단회로(D8)는 드라이브제어부(D1)에 접속된다. 드라이브제어부(D1)는 도시하지 않은 커맨드인터페이스(command interface)를 통하여 시스템제어부(S1)에 접속된다. 드라이브제어부(D1)는 ECC(D)에 연결되며 또한 데이터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메모리제어부(S5)에 접속된다. 드라이브제어부(D1)는 또한 모뎀(modulator and demodulator)회로(D5)에 연결된다. 모뎀회로(D5)는 광픽업장치(69)의 광학헤드(69a)에 연결된다.
서보회로(D6)는 디스크회전구동장치의 역할을 하는 스핀들모터(68)와, 광픽 업장치(69)와, 기록오류판단회로(D8)에 연결된다. 또한, 광픽업장치(69)는 어드레스디코더(D7)에 연결되며, 어드레스디코더(D7)는 기록오류판단회로(D8)에 연결된다.
디스크카트리지(20)가 상술한 구조를 갖는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의 카트리지슬롯(66)에서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로 삽입되면,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개폐구조의 그립부(grip portion)가 디스크카트리지(20)의 한쪽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그루브(32)로 들어간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그립부가 가이드그루브(32)쪽으로 돌출된 셔터구조(28)의 조작부(53d)를 붙잡는다. 그립부는 디스크카트리지(20)의 삽입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조작부(53d)는 디스크카트리지(20)가 디스크기록재생장치본체(62)에 삽입된 양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인출된다.
바로 그 순간에, 제 1셔터부재(50)의 벨트형부(50d)는 조작부(53d)에 입력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아 벨트형부(50b)는 상부외피(23)상의 벨트형 가이드부(30)에 의해 유도되며 도 20에 도시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동된다. 벨트형부(50b)는 상부외피(23)의 내부벽(23e)의 외주표면을 따라 회전되고 이동되므로, 벨트형부(50b)는 원형 호 운동에 의해 회전하고 이동하지만 원만하게 회전되고 이동될 수 있다. 벨트형부(50b)가 이동될 때에는, 개구부(27, 38)의 헤드영역을 덮고 있는 셔터부(50a)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비슷하게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부(50a)에 의해 덮혀져 있는 개구부(27, 38)의 헤드 영역들이 개방된다.
그 경우에, 제 1셔터부재(50)가 디스크 수납실(26)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셔터부(50a)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암부(52)의 끝 부분에 제공되어 있는 배럴축부(52a)는 마찬가지로 회전되며 카트리지 하우징(22)의 후면으로 이동된다. 제 2셔터부재(51)의 결합홀(56)은 배럴축부(52a)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배럴축부(52a)는 카트리지 하우징(22)의 후면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제 2셔터부재(51)는 압력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22)의 후면으로 밀려진다. 바로 그 순간에, 제 2셔터부재(51)의 배럴축부(55a)는 상부외피(23)의 후면축 볼록부(34b)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제 2셔터부재(51)는 이러한 후면축 볼록부(34b)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도 20의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셔터부재(52)는 디스크 카트리지(22)의 후면으로 이동되며, 제 2셔터부재(51)에 의해 덮혀져 있는 개구부(27, 38)의 테이블 영역들은 개방된다. 그러므로, 개구부들(27, 38)을 덮고 있는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50, 51)은 개방면으로 모두 이동되므로, 개구부(27, 38)의 전체는 광디스크(21)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서 개방된다. 그러므로 턴테이블(68a)과 광학헤드(69a)는 개구부(27, 38)내에 삽입될 수 있다.
바로 그 순간에, 제 1셔터부재(50)의 벨트형부(50b)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될 때에, 디스크 카트리지(20)와 셔터개폐기구는 서로에 대해서 이동되는 것이 중지되며 조작부(53d)가 그립부에 의해 잡혀있는 상태가 계속된다. 결과적으로, 제 1셔터부재(50)는 그것이 개방되어 있다는 조건하에서 셔터개폐기구에 의해 잠겨진다(locked). 제 1셔터부재(50)가 잠겨지면, 제 2셔터부재(51)도 또한 잠겨지므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과 제 2셔터부재(50, 51)는 모두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턴테이블(68a) 등이 디스크 카트리지(20)를 향해 이동되거나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20)가 턴테이블(68a)을 향해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광디스크(21)는 턴테이블(68a) 상에 로드되며 광디스크(69)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는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에 대해서 반대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기록재생장치(60)는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정보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그 위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재생장치 본체(62)가 구동되는 동안에, 광디스크(61)는 스핀들모터(68)의 구동과 턴테이블(68a)에 의해 회전되며 광학헤드(69a)는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광픽업장치(69)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되어 정보기록면위에 이미 기록된 정보신호를 판독하거나 또는 정보기록면위에 새로운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러므로, 기록재생장치 본체(62)는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기록된 정보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상에 새로운 정보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기록된 정보신호가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으로부터 재생되거나 또는 새로운 정보신호가 광디스크(21)의 정보기록면상에 기록된 후에, 디스크 기록재생장치(60)상에 제공된 카트리지 배출버튼(도시 안됨)이 동작되면, 로딩기구가 구동되어 디스크 카트리지(20)가 디스크 기록재생장치(60)로부터 배출된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20)가 로딩기구의 배출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슬롯(66)으로 이동되면, 셔터개폐기구의 그립부에 의해 잡혀있는 셔터기구(28)의 조작부(53d)가 압력에 의해 눌려진다.
결과적으로, 조작부(53d)가 스루홀(29c)의 부근으로 되돌아오도록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므로, 벨트형부(50b)는 벨트형 가이드부(30)에 의해 유도되며, 초기의 닫힌 상태의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들(27, 38)의 헤드 영역들은 제 1셔터부재(50)의 셔터부(50a)에 의해 닫혀진다.
바로 그 순간에, 벨트형 가이드부(30)의 끝면은 하부외피(24)상에서 형성된 개구부(38)로 인해 벨트형부(50b)의 이동궤적상에 위치되므로, 두꺼운 부분(53a)의 끝 부분이 개구부(38)로부터 벨트형 가이드부(30)내에 다시 삽입될 때에, 두꺼운 부분(53a)의 끝 부분은 벨트형 가이드부(30)의 가장자리를 두르고 있는 주변 가장자리부와 접촉될 위험성이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상기 가장자리 주변부가 챔퍼링(chamfering)에 의해 처리된다면, 두꺼운 부분(53a)은 벨트형 가이드부(30)를 쉽게 통과할 수 있으며 두꺼운 부분(53a)의 삽입이 방해받게 되는 위험성이 제거된다.
제 1셔터부재(50)가 닫힌 후에, 제 2셔터부제(51)는 도 23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동된다. 그러므로, 도 20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들(27, 38)의 테이블 영역은 제 2셔터부재(51)에 의해 닫혀지므로 개구부들(27, 38)의 전체는 셔터부재들(50, 51)의 쌍에 의해 완전히 닫혀진다.
바로 그 순간에, 제 1셔터부재의 벨트형부(50b)가 소정의 위치로 밀려지면, 얇은 부분(53b) 상에 형성된 로크홀(lock hole)(54)은 로크부재(35)의 로크레버(35b)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러한 로크레버(35b)는 스프링 피스(piece)(35d)의 스프링 힘에 의해 얇은 부분(53b)을 향해 항상 스프링 바이어스되므로, 로크홀(54)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로크레버(35b)는 로크홀(54)로 들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셔터부재(50)는 로크부재(35)로 형성된 로크기구에 의해 로크된다. 동시에, 제 1셔터부재(50)가 로크되며, 제 2 셔터부재(51) 또한 로크되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셔터부재(50)와 제 2셔터부재(51)는 모두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에, 벨트형부(50b)를 로크하기 위해서 로크부재(35)로 형성된 로크기구는 제 1셔터부재(50)가 단지 폐쇄방향으로만 이동되며 반대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는 소위 단방향 구조를 가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제 1셔터부재(50)가 로크되어 있는 동안에, 조작부(53d)에 벨트형부(50a)를 끄는 힘 또는 셔터부(50a)를 개방시키는 힘이 적용되면, 로크 레버(35b)는 로크홀(54)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벨트형부(50b)가 로크되어 있는 동안에 셔터를 방출하는 힘이 로크기구에 인가되더라도, 로크부재(35)에 의해 생성된 로크상태가 해지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50, 51)은 닫힌 상태로 모두 유지된다.
그때, 제 1셔터부재의 벨트형부(50b)의 얇은 부분(53b)은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방향으로 구부려지고 오버스트로크 상태(overstroke state)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셔터부재(50)가 완전히 닫혀지더라도, 반발력이 조작부(53d)를 붙잡고 있는 그립부에 임펄스 힘으로서 인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개폐기구가 손상을 받거나 또는 제 1셔터부재(50) 자체가 제 1셔터부재(50)가 닫혀질 때에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들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때 구부려지고 변형된 얇은 부분(53b)은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53d)로부터 그립부가 분리될 때에 얇은 부분(53b)의 탄성에 의해 초기 자유상태로 되돌아간다.
셔터부재(28)가 닫혀지면, 제 1셔터부재(50)의 셔터부(50a)는 U자 형태로 형성된 제 2셔터부재(51)의 내부 셔터부(51a)와 외부 셔터부(51b)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므로,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셔터부재들(50, 51)이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에, 미로기능은 중첩되는 가장자리(57a, 57b)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미로기능에 의해, 두 개의 셔터부재들(50, 51)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개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유입되는 먼지 등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20)가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두 개의 셔터부재들이 모두 U자 형태로 형성되어 그들의 중첩되는 가장자리들이 서로 중첩된다면, 미로기능은 더욱 향상된다. 그러므로, 디스크 카트리지(20)를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방진효과는 더욱 효과적으로 증명될 수 있다.
도 33∼3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카트리지(20)의 셔터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70)는 셔터기구(70)가 제 1셔터부재(71)와 제 2셔터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1실시예에 따른 셔터기구(28)에 대해서 공통되지만, 두 개의 셔터기구(28, 70)는 두 개의 셔터부재(71, 72)를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면에서는 서로 확실하게 다르다. 즉, 제 2실시예에 따른 셔터부재(70)의 새로운 특징은 조립의 효율이 두 개의 셔터부재들(71, 72)을 부분적으로 조립함으로써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71, 72)의 형태와 구조들은 실제적으로 제 1실시예에 따르는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50, 51)의 형태와 구조들과 비슷하기 때문에, 거의 비슷한 요소들과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로 식별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기술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다른 요소 및 부분은 새로운 참조번호로 표시되고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우선,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71, 72)과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50, 51)의 요소들과 부분들은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도 33∼36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셔터부재(71)는 실제적으로 유사한 형태들을 가지는 셔터부(50a)와 벨트형부(50b)를 포함한다. 벨트형부(50b)는 실제적으로 비슷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며 두꺼운 부분(53a)과 얇은 부분(53b)을 포함한다. 두꺼운 부분(53a)은 리세스(53c)를 가지고 있으며, 얇은 부분(53b)은 그 위에 형성된 조작부(53d)와 로크홀(lock hole : 54)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셔터부(50a)는 제 1실시예에 따르는 셔터기구(28)에 공통되는 암부(52)를 포함한다. 게다가, 제 2셔터기구(72)는 제 1실시예에 따르는 셔터기구(28)에도 공통되는 배럴축부(55a)를 포함한다.
다음에는,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71, 72)이 제 1과 제 2셔터부재들(50, 51)과 다른 점들이 다음에 설명될 것이다. 제 1셔터부재(71)의 암부(52)의 끝 부분에는, L자 형태의 축부분(73)이 설치되어 있다. 도 37a, 37b와 도 38a, 3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의 축부분(73)은 한 표면을 향해 돌출된 축부분(73a)과 이러한 축부분(73)의 끝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직경방향의 양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73b)를 포함한다. 돌출부(73b)는 많은 양이 한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반면에, 제 1셔터부재(71)는 돌출부(73b)를 수납하기 위해 충분한 크기의 타원홀 형태로 형성된 결합홀(74)을 가지고 있다. 셔터기구(70)가 폐쇄상태와 개방상태중 어느 상태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결합홀(74)과 돌출부(73b)의 방향들은 그들의 세로방향들이 서로 매치(match)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셔터부재(71)와 제 2셔터부재(72)는 그들이 그들의 끝 면들에 의해 서로 접촉하게 되는 구조들을 가지고 있다. 제 1셔터부재(71)와 제 2셔터부재(72)는 서로 그들의 접합부(75a, 75b)를 접촉시킴으로써 개구부(27, 28)를 닫도록 작용한다. 즉, 제 1셔터부재(71)의 접합부(75a)는 오목부(75)를 포함하는 반면에, 제 2셔터부재(72)의 접합부(76a)는 오목부(75)와 접촉되는 볼록부(76)를 포함한다. 오목부(75)와 볼록부(76)는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제 1셔터부재(71)의 오목부(75)는 한 면상에 형성된 경사면(접합부(75a))을 가지는 쐐기형태(V자 형태)의 오목부로 형성되어 있다. 타원 홈으로 구성된 오목부(75)는 접합부(75a)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 상에서 이러한 오목형태를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볼록부(76)는 오목부(75)에 대응하는 단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한 면 위에 형성된 경사면(접합부(76a))을 가지는 쐐기형태(V자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로 구성되는 볼록부(76)는 접합부(76a)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 상에서 이러한 돌출형태를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75)와 볼록부(76)가 접합부들(75a, 76a) 상에서 형성되고 개구부들(27, 38)은 오목부(75)와 볼록부(76)가 서로 메시(mesh) 된다는 조건하에서 닫혀지는 구조에서는, 먼지 등이 접합부들(75a, 76a)로부터 카트리지 하우징(22)으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오목부(75)의 수평면의 개구부에서는, 경사면(접합부(75a))의 반대면에서 경사져 있는 경사면(75b)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75b)은 볼록부(76)를 안내하는데 이용되므로 볼록부(76)는 오목부(75)와 쉽게 접촉될 수 있다.
도 33∼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셔터부재(71)와 제 2셔터부재(72)는 그들이 서로 접촉하고 있을 때에 접촉되어 있는 셔터를 로킹하는 로크기구(77)를 포함한다. 이러한 로크기구(77)는 제 1셔터부재(71)의 로크 수용부(78)와 제 2셔터부재(72)의 로크부(79)로 구성된다. 로크 수용부(78)는 접합부(75a)의 끝 면에 대하여 개방되어 있는 원형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수용부(78)는 그 출구가 약간 좁아질 때에 클릭감(a sense of click)을 발생시킨다.
한편, 로크부(79)는 한 쌍의 탄성적인 로크 요소들로 구성된다. 각 로크 요소의 끝 부분은 원형 활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로크부(79)의 전체는 둥글게 된다. 그러므로 로크부(79)는 로크 수용부(78)에 대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두 개의 셔터부재들(71, 72)은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로크기구(77)를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로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로크기구(77)는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그 조립의 효율은 개선될 수 있다.
제 2실시예에 따르는 셔터기구(70)는 다음과 같이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 다.
우선, 도 38a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셔터부재(71)의 L자 형태의 축부분(73)은 제 2셔터부재(72)의 결합홀(74)과 마주보고 있으며 돌출부(73b)의 세로방향은 결합홀(74)의 세로방향과 매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38a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73b)는 결합홀(74)을 통해 연장되어 있다. 그 후에는, 두 개의 셔터부재들(71, 72)은 회전하고 변위된다. 그러므로, 두 개의 셔터부재들(71, 72)의 쌍의 부분조립은 종료된다.
바로 그 순간에, 도 37a, 37b에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부(73b)의 세로방향의 두 끝부분들은 각각 결합홀(74)의 가장자리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결합홀(74)과 L자 형태의 축부분(73)사이의 접촉상태가 느슨하게 된다는 위험성은 없게 된다. 결합홀(74)과 L자 형태의 축부분(73)사이의 접촉상태는 도 33, 34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기구(7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도 35, 36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터기구(70)가 닫혀 있는 상태에 이르는 모든 상태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셔터기구(70)가 개방되거나 또는 닫혀 있는 상태에 있는 동안에, 분리와 같은 문제는 셔터기구(71, 72)의 쌍에서 발생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제 2실시예에 따르는 셔터기구(70)는 제 1실시예에 따르는 셔터기구(28)와 같이 유사하게 원활히 개방되고 닫힐 수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로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디스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기록매체의 일례로서 이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것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광자기 디스크와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와 여러 가지 디스크 형태의 기록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정보기록재생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것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정보신호를 단지 재생만 할 수 있는 디스크 재생장치 또는 정보신호를 단지 기록만 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개구부(27, 28)가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하우징(22)의 하부외피(24)와 중간외피(25)상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거기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개구부들은 상부외피(23)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개구부는 하부외피(24), 중간외피(25)와 상부외피(23) 상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방향과 하부방향으로부터 동시에 액세스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하우징, 디스트형 기록매체와 셔터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카트리지에서는, 오목부가 최소한 한 개의 셔터부재의 접합부상에 형성되며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카트리지 하우징의 평평한 표면부의 면을 따라 회전되므로, 셔터기구가 닫힐 때에, 한 개의 셔터부재의 접합부는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와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미로 기능은 셔터부재들의 쌍 사이에서 증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들이 접합부들을 통해 통과하기가 어려우며 먼지등이 카트리지 하우징에 들어가는 것이 어렵게 된다. 방진 특성면에서 우수한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돌출은 셔터부재상에 형성되고 타원홀은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상에 형성되므로, 셔터부재의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에는, 한 개의 셔터부재의 돌출은 다른 셔터부재의 타원홀로 들어가게 되며 미로 기능은 돌출과 타원홀의 결합에 의해 증명된다. 그러므로, 개구부들은 셔터부재들의 쌍에 의해 확실히 닫혀질 수 있으므로, 먼지등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방진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경사면은 돌출의 한 표면상에 형성되고 거의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은 돌출의 반대쪽에 있는 타원홀의 한 면위에 형성되므로, 셔터부재들의 쌍사이의 매우 작은 공간은 일정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더욱 우수한 방진 특성은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진 특성이 우수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돌출의 길이가 타원홀의 길이보다 더 길게 만들어지므로, 치수 에러들과 셔터부재들의 쌍의 조립에러들은 돌출과 타원홀에 의해 보완될 수 있으므로 방진 특성은 개선될 수 있으며 먼지등이 디스크 카트리지로 들어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진 특성이 우수한 디스크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돌출과 타원홀은 각각 셔터부재들의 쌍의 접합부상에서 형성되고, 셔터부재들의 셔터가 닫혀 있는 동안에, 타원홀과 돌출은 다른 셔터부재의 돌출과 타원홀과 각각 접촉되어 있다. 그러므로, 개구부들은 셔터부재들의 쌍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닫혀질 수 있다. 그리고 먼지등이 디스크 카트리지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는 우수한 방진 디스크 카트리지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셔터부재들의 쌍의 셔터부분들은 실제적으로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들의 기다란 부분들은 서로 중첩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실제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셔터부분은 실제적으로 삼각형태로 형성된 두 개의 셔터부분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넓고 기다란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큰 개구부는 확실하게 개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 카트리지에 따르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한 개의 셔터부재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대해서 지지되므로, 다른 셔터부재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이러한 셔터부재에 대해 지지된다. 그리고 돌출된 끝부분을 가지는 벨트형 부분은 카트리지 하우징의 외부에 제공되며, 복구 스프링(return spring)과 같은 추가 조립품들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셔터부재들의 쌍은 벨트형 부분의 끝 부분에 대해서 외부힘을 인가시킴으로써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그 셔터부재들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하우징상에 제공된 넓고 기다란 리세스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큰 개구부는 확실하게 그리고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정확한 실시예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에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Claims (7)

  1. 디스크카트리지에 있어서,
    한 쌍의 외피(shell)가 형성되어 그 안에 디스크수납실을 형성하는 카트리지하우징과;
    상기 디스크수납실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수납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와;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결합되며(coupled) 상기 카트리지하우징에 부착된 한 쌍의 셔터부재(shutter member)와, 상기 셔터부재가 닫혀있을 때 상기 카트리지하우징의 개구부(opening portion)를 닫기 위해 서로 접하는(butt) 각 셔터부(shutter portion)를 가지고, 상기 셔터부재 쌍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butt portion)가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와 결합되는 오목부를 가지는 셔터기구(shutter mechanism)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셔터부재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셔터부재의 두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protrusion)를 가지며 상기 다른 셔터부재의 상기 접합부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타원홀(oblong hole)을 갖는 것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적어도 그것의 세로방향을 가로지르는 한 면에 형성된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타원홀은 상기 경사면을 마주보는 면에 거의 비슷한 경사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홀의 상기 세로방향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세로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고 한 쌍의 셔터부재가 상기 세로방향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 쌍의 상기 접합부는 두께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와, 다른 셔터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된 돌출부와 결합되는 타원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 쌍의 상기 각 셔터부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삼각형의 긴 변이 접합되어 셔터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 쌍의 한 셔터부재는 상기 디스크카트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셔터부재는 하나의 셔터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팁 말단부(tip end portion)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housing)의 외부로 돌출된 벨트형부(belt-lik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셔터부재 쌍은 상기 벨트형부에 외력을 적용함으로써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카트리지.
KR1020010015479A 2000-03-31 2001-03-24 디스크카트리지 KR100746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9060A JP2001283556A (ja) 2000-03-31 2000-03-31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0-099060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005A KR20010095005A (ko) 2001-11-03
KR100746734B1 true KR100746734B1 (ko) 2007-08-06

Family

ID=1861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479A KR100746734B1 (ko) 2000-03-31 2001-03-24 디스크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28199B2 (ko)
JP (1) JP2001283556A (ko)
KR (1) KR100746734B1 (ko)
CN (1) CN11691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1171A (ja) * 2001-05-21 2003-02-21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892713B1 (en) 2001-06-29 2009-12-02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JP2003022639A (ja) * 2001-07-04 2003-01-24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809786B2 (ja) * 2001-10-01 2006-08-16 ソニー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KR100852052B1 (ko) * 2001-11-09 2008-08-1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디스크 카트리지
KR20030063888A (ko) * 2002-01-24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KR100888588B1 (ko) 2002-02-01 2009-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JP2003242740A (ja) * 2002-02-15 2003-08-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850704B1 (ko) * 2002-02-19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카트리지
US7263706B2 (en) * 2002-02-19 2007-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k cartridge and disk player using the same
JP3891906B2 (ja) 2002-03-08 2007-03-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TWI244072B (en) 2002-03-20 2005-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c cartridge
JP4135080B2 (ja) * 2002-12-25 2008-08-2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US7278151B2 (en) * 2002-12-25 2007-10-02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JP2004253014A (ja) * 2003-02-18 2004-09-09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4310829A (ja) * 2003-04-03 2004-11-04 Sony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WO2004090894A1 (en) * 2003-04-09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artridge
JP2004362731A (ja) * 2003-05-12 2004-12-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を装着する装置
EP1625587A1 (en) * 2003-05-12 2006-02-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k drive unit having a loading mechanism
DE602004003747T2 (de) * 2003-06-23 2007-10-11 Sony Corp. Aufzeichnungsmediumgehäuse
DE602004027735D1 (de) * 2003-07-28 2010-07-29 Sony Corp Ägerkassette und datenträger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einrichtung
JP4089559B2 (ja) * 2003-08-28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DE602004025587D1 (de) * 2003-08-28 2010-04-01 Sony Corp Datenträgerkassette
JP2005116043A (ja) * 2003-10-07 2005-04-28 Tdk Corp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5267826A (ja) * 2004-02-18 2005-09-29 Sony Corp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TWI260003B (en) 2004-04-05 2006-08-11 Sony Corp Disk cartridge
JP4202965B2 (ja) * 2004-05-07 2008-12-24 Tdk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CN101133456A (zh) 2005-03-02 2008-02-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盘盒以及光子模式光信息记录再生装置
JP2006244623A (ja) * 2005-03-04 2006-09-14 Fuji Photo Film Co Ltd 記録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6338774A (ja) * 2005-06-01 2006-12-14 Hitachi Maxell Ltd ホログラムメディアカートリッジ
JP2007102872A (ja) * 2005-09-30 2007-04-19 Fujifilm Corp 感光性記録媒体用カートリッ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911A (en) * 1985-05-03 1987-09-22 Ron Loosen Floppy diskette protection device
US6473392B2 (en) * 1998-07-13 2002-10-29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911A (en) * 1985-05-03 1987-09-22 Ron Loosen Floppy diskette protection device
US6473392B2 (en) * 1998-07-13 2002-10-29 Sony Corporation Disc cartrid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9146C (zh) 2004-09-29
US20010055270A1 (en) 2001-12-27
US6728199B2 (en) 2004-04-27
KR20010095005A (ko) 2001-11-03
JP2001283556A (ja) 2001-10-12
CN1318839A (zh) 200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734B1 (ko) 디스크카트리지
EP1156488B1 (en) Disc cartridges
JP408914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20000011679A (ko) 디스크카트리지
EP1429333B1 (en) Disc cartridge, disc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4296683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435617B1 (en) Disc cartridge, disc recording medium unit and disc recorder and/or reproducer
KR100897976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디스크 기록 매체 장치 및 디스크 기록과 재생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장치
KR100975858B1 (ko) 정보기록매체 카트리지
JP2001332058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99156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EP1492111B1 (en) Recording medium cartridge
JP3601480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2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131145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1332054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172529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CA2486876C (en) Disc cartridge
JP408935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ディスク記録媒体装置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120492B2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
JP2001332055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33205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1283551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