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655A -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655A
KR20040025655A KR10-2003-7003970A KR20037003970A KR20040025655A KR 20040025655 A KR20040025655 A KR 20040025655A KR 20037003970 A KR20037003970 A KR 20037003970A KR 20040025655 A KR20040025655 A KR 20040025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a
fiber
spinning
concentration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245B1 (ko
Inventor
쇼지마모루
이케다노리오
사사키토시아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가가꾸 산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0551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2565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가가꾸 산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가가꾸 산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5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27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 C04B35/62231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62236Fibre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27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 C04B35/62231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obtaining fibre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6224Fibres based on silica
    • C04B35/62245Fibres based on silica rich i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04B35/634Polymers
    • C04B35/63404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35/63416Polyvinylalcohols [PVA]; Polyvinylaceta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34Metal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5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 E04B1/765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 E04B1/766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comprising fiber blankets or bat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17Aluminum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bauxite, alpha-alumina
    • C04B2235/3218Aluminium (oxy)hydroxides, e.g. boehmite, gibbsite, alumina so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18Silicon oxide, silicic acids,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ilica sol, fused silica, silica fume, cristobalite, quartz or fli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4Halide containing anions, e.g. bromide, iodate, chlo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08Fibers
    • C04B2235/5264Fibers characterised by the diameter of the fi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10T428/263Coating layer not in excess of 5 mils thick or equivalent
    • Y10T428/264Up to 3 mils
    • Y10T428/2651 mil or 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 섬유 직경이 4.0∼10.0 ㎛이고, 또 최저 섬유 직경이 3.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2)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고, 얻어진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를 소성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액으로서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가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하여 99:1∼65:35,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가 180∼20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40 g/L인 방사액을 사용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알루미나 단섬유의 직경이 확경화되어 알루미나 단섬유의 비산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Alumina Fiber Aggreg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그 우수한 내열성을 살려서 알루미나 섬유 브라켓 등으로 가공되어 단열재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나 섬유 브라켓은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고, 그 결과 얻어진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적층 시트)를 필요에 따라 니들링한 후 소성한다. 그리고, 소성 공정에서, 휘발분이 제거됨과 동시에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결정화가 진행되어 알루미나 섬유로 변환된다. 그 결과,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가 얻어진다. 상기 제조 방법은 일반적으로 전구체 섬유화법이라 불리운다.
그런데, 알루미나 단섬유의 직경이이 작은 경우는, 알루미나 단섬유가 비산하기 쉽고, 취급성이 악화됨과 동시에 작업 환경 위생상도 바람직하지 않다. 즉, 직경이 수 ㎛ 이하의 섬유는 호흡을 통해 인체의 폐에 들어가기 쉬운 문제 등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알루미나 단섬유의 직경이 커져 알루미나 단섬유의 비산이 억제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연구에 연구를 거듭한 결과, 알루미나 단섬유의 직경은 사용하는 방사액의 성상에 따라 변하고, 특정 성상의 방사액을 사용하고 또한 방사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써 섬유 직경이 크고 또 섬유 직경 분포가 작은 알루미나 단섬유가 얻어진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기본으로 완성된 것으로, 그 제1 요지는 평균 섬유 직경이 4.0∼10.0 ㎛이고 또한 최저 섬유 직경이 3.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요지는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고, 얻어진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를 소성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액으로서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가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하여 99:1∼65:35,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가 180∼20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40 g/L인 방사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균 섬유 직경이 4.0∼10.0 ㎛이고 또한 최저 섬유 직경이 3.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편의상 본 발명에 관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고, 얻어진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를 소성하는 방법(전구체 섬유화법)이다. 그리고, 주로 방사액의 제조공정, 방사 공정, 소성 공정으로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 방사 공정과 소성 공정 사이에 니들링 공정이 제공된다.
(방사액의 제조 공정)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는, 이를테면, 염산 또는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에 금속 알루미늄을 용해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x의 값은 통상 0.45∼0.54, 바람직하게는 0.50∼0.53이다. 규소 화합물로서는, 실리카졸이 바람직하게 사용되지만, 그 외에는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나 수용성 실옥산 유도체 등의 수용성 규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중합체로서는, 이를 테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아크릴 아미드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합도는 통상 1000∼3000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사액으로서,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가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하여 99:1∼65:35,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가 180∼20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40 g/L인 방사액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규소 화합물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도 적은 경우는, 단섬유를 구성하는 알루미나가 α(알파)-알루미나화되기 쉽지만, 알루미나 입자의 조대화(粗大化)에 의한 단섬유의 취화(脆化)가 일어나기 쉽다. 한편, 규소 화합물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도 많은 경우는, 무라이트(3Al2O3ㆍ2SiO2)와 함께 생성되는 실리카(SiO2)의 양이 증가하여 내열성이 저하된다.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한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는 통상 99:1∼65:35, 바람직하게는 99:1∼70:30, 더욱 바람직하게는 98:2∼72:28이다.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의 농도가 180 g/L 미만인 경우 또는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 g/L 미만인 경우는, 어느 것도 적당한 점도가 얻어지지 않고 섬유 직경이 작아진다. 즉, 방사액 중의 유리수(遊離水)가 너무 많은 결과, 블로잉법에 의한 방사 시의 건조 속도가 느리고, 연신이 과도하게 진행되어, 방사된 전구체 섬유의 섬유 직경이 변하고, 섬유 직경이 크고 또한 섬유 직경 분포가 작은 단섬유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의 농도가 180 g/L 미만인 경우는, 생산성이 저하된다. 한편,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의 농도가 200 g/L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40 g/L을 초과하는 경우는, 어느 것도 점도가 너무 높아 방사액으로 되지 않는다.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의 바람직한 농도는 185∼195 g/L이고, 유기 중합체의 바람직한 농도는 30∼40 g/L이다.
상기 방사액은,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에 규소 화합물 및 유기 중합체를 첨가하고,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및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상기 범위로 되도록농축함으로써 제조된다. 방사액의 상온에서의 점도는 통상 1∼1000 포아즈, 바람직하게는 10∼100 포아즈이다.
(방사)
방사(방사액의 섬유화)는, 고속의 방사 기류중에 방사액을 공급하는 블로잉법에 의해 행해지고, 이에 의해 길이가 수십 mm∼수백 mm의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가 얻어진다.
상기 방사 시에 사용되는 방사 노즐의 구조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이를테면, 유럽특허 제495,466호 공보(일본 특허 제2,602,46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와 방사액 공급 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방사액류와는 병행류로 되지만, 공기의 병행류는 충분히 정류(整流)되어 방사액과 접촉하는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사 노즐의 직경은 통상 0.1∼0.5 mm이고, 방사액 공급 노즐 1개당 액량은, 통상 1∼120 ml/h, 바람직하게는 3∼50 ml/h이고, 에어노즐로부터의 슬릿당 가스의 유속은 통상 40∼200 m/s이다.
상기와 같은 방사노즐에 의하면, 방사액 공급노즐로부터 압출되는 방사액은, 스프레이 상(안개 상)으로 되지 않고 충분히 연신되고, 섬유 상호 융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방사 조건을 최적화 함으로써 섬유 직경 분포가 좁은 균일한 알루미나 섬유 전구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방사 시에 있어서는 우선 수분의 증발이나 방사액의 분해가 억제된 조건 하에서, 방사액으로부터 충분히 연신된 섬유가 형성되고, 그 다음, 이 섬유가 속히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방사액으로부터 섬유가 형성되어 섬유 포집기에 도달할 때까지의 과정에 있어서, 분위기를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는 상태로부터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방사액이 공기류와 접촉을 개시하는 부근의 온도를 10∼20℃, 섬유 포집기 부근의 공기류의 온도를 40∼50℃, 상대 습도를 3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액으로부터 충분히 연신된 섬유가 형성될 단계에서 분위기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는,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에 의해, 충분이 연신된 섬유가 형성하기 어렵고, 또한 형성된 섬유에 결함이 생겨 최종적으로 취득되는 무기 산화물 섬유가 취약화된다. 한편, 증발을 억제시킬 저온 또는 고습도 분위기 중에서 방사액으로부터 섬유를 형성한 경우는, 섬유 형성 후에도 계속해서 동일한 분위기이기 때문에, 섬유가 서로 부착하기도 하고, 탄성 회복에 의해 액적화(液滴化)하여 숏트를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는, 방사 기류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되도록 쇠그물로 된 무단(無端) 벨트를 설치하고, 무단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에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를 포함하는 방사 기류를 충돌시키는 구조의 집적 장치에 의해 연속 시트(박층 시트)로서 회수할 수 있다.
상기 집적 장치에서 회수된 박층 시트는,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절첩 장치로 보내고, 소정의 폭으로 절첩하여 적층시키면서, 절첩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층 시트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박층 시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는 형성되는 적층 시트의 내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적층 시트의 메쯔케(Metsuke) 량이 시트 전체에 걸쳐 균일해진다. 상기 절첩 장치로서는, 유럽공개특허 제971,057호 공보(일본 공개특허2000-80,54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니들링 공정)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적층 시트)에 니들링을 실시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도 배향된 기계적 강도가 큰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로 할 수 있다. 니들링의 타수는 통상 1∼50 타/cm2이고, 일반적으로 타수가 많을수록 얻어지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부피 밀도와 박리 강도가 커진다.
(소성 공정)
소성은, 통상 500℃ 이상, 바람직하게는 700∼1,400℃의 온도에서 행해진다. 소성 온도가 500℃ 미만인 경우는 결정화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강도가 작은 취약한 알루미나 단섬유 밖에 얻어지지 않고, 소성 온도가 1,400℃를 초과하는 경우는 섬유의 결정 입자 성장이 진행하여 강도가 작은 취약한 알루미나 단섬유 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알루미나 단섬유 집합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이를 테면,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고, 구조적으로는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를 구성하는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은 크고 또한 섬유 직경 분포는 작다. 즉, 본 발명의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알루미나 단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이 4.0∼10.0 ㎛이고 또한 최저 섬유 직경이 3.0 ㎛ 이상인 특징을 갖는다. 알루미나 단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4.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다.또한, 알루미나 단섬유의 평균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5.0∼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이다.
섬유 직경이 작은 것이 많아지면 섬유가 비산하기 쉽고, 취급성이 나빠짐과 동시에 작업 환경 위생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섬유 직경이 너무 크면,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단섬유의 집합체의 단열성이나 탄력성 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의 도수 분포는, 후술하는 섬유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을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얻어지는 알루미나 단섬유의 길이는 통상 10∼500 mm 이다.
본 발명의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기 때문에, 이를 테면 알루미나 섬유 블랭킷의 제조 공정 등에 있어서 취급 시 섬유의 비산이 적고, 취급성 및 작업 환경 위생 면에서 우수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모든 예에서,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 분포의 측정은 다음에 나타낸 순서로 행해졌다.
(섬유 직경 분포의 측정 방법)
(1) 알루미나 섬유 매트로부터 핀셋에 의해 귀지개 1 숟가락 정도 양의 섬유를 적취한다.
(2)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관찰용 시료대에 붙인 카본제의 도전 테이프 상에 상기(1)에서 적취된 섬유를 가능한 한 중첩되지 않도록 적재시킨다.
(3) 상기 (2)의 섬유 표면에 도전성을 가져야 하고, 시료 표면에 백금-팔라듐 막을 1∼3 nm의 두께로 증착한다.
(4) 증착한 분석 시료를 SEM의 측정실에 넣고, 섬유 직경을 계측하는 데 적당한 배율로 관찰하고, 관찰상을 사진 촬영한다. 장치로서는 니뽄덴시사제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JSM-6320F"를 사용하고, 관찰 조건은 가속 전압 15 KV, 워크 디스턴스(WD) 15 mm를 채용하였다. 또한, 배율 1,000∼3,000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였다.
(5) 상기 (4)에서 촬영한 SEM 사진으로부터 노기스 또는 곧은 자로 0.1 mm 단위까지 측정한다. 그리고, 임의로 합계 100개의 섬유 직경을 측정한다.
(6) 다음 식으로부터 평균 섬유 직경을 계산한다. 이 때, 계산치는, 소수점 이하 2 자리를 사사오입하여 소수점 이하 1자리로 나타낸다.
(7) 또한, 여기서는 섬유 직경의 도수 분포의 경향으로 볼 때 하한의 섬유 직경에 의심이 생긴 경우는, 측정을 통상 2∼4회 반복하고, 도수 분포가 평균 1% 이상인 직경을 최저 섬유 직경으로 한다.
평균 섬유 직경(㎛) = {100 지점의 합계 측정치/(100 x 관찰 배율)} x 1,000
실시예 1
(방사액의 제조)
우선, 알루미늄 농도가 16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1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60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608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방사액을 얻었다. 방사액의 점도는 60 포아즈(25℃에서 회전 점도계에 의한 측정치),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는 19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는 35.0 g/L이었다.
(방사)
상기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였다. 방사 노즐로서는, 유럽특허 제495,466호 공보(일본 특허 제2,602,460호 공보)의 도 6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방사 노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방사는 방사액 공급 노즐의 직경 0.3 mm, 방사액 공급 노즐 1개당 액량 5 ml/h, 공기 유속(에어 노즐의 슬릿부); 54 m/s(압력 2 kg/cm2, 온도 18℃, 상대 습도 40%)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또한, 집면(集綿) 시에는, 고속 공기류에 병행류로 건조한 150℃의 온풍을 스크린에 도입함으로써, 섬유 포집기 부근의 공기류를 온도 40℃, 상대 습도 20%로 조절하였다. 그리고, 방사 기류에 대해 거의 직각으로 되도록 쇠그물로 된 무단 벨트를 설치하고, 무단 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이에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를 포함하는 방사 기류를 충돌시키는 구조의 집적 장치에 의해 연속 시트(박층 시트)로서 회수하였다.
집적 장치에서 회수된 박층 시트는, 연속적으로 인출하여 절첩 장치로 보내고, 소정의 폭으로 절첩하여 적층시키면서, 절첩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적층 시트로 만들었다. 상기 절첩 장치로서는, 유럽공개특허 제971,057호 공보(일본 공개특허 제2000-80,547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구조의 절첩 장치를 사용하였다.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상기 적층 시트(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에 니들링을 실시한 후, 1,250℃에서 1시간 동안 공기중에서 소성하여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를 얻었다. 상기 니들링은 니들 펀칭 기계에 의해 8 회/cm2펀칭하여 행해졌다. 얻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구성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평균 섬유 직경은 6.9 ㎛, 최저 섬유 직경은 5.2 ㎛ 이었다.
실시예 2
(방사액의 제조)
우선, 알루미늄 농도가 16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1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60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608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방사액을 얻었다. 방사액의 점도는 40 포아즈(25℃에서 회전 점도계에 의한 측정치),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는 18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는 33.2 g/L이었다.
(방사 및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구성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평균 섬유 직경은 4.9 ㎛, 최저 섬유 직경은 3.3 ㎛ 이었다.
비교예 1
(방사액의 제조)
알루미늄 농도가 7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6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27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315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방사액을 얻었다. 방사액의 점도는 40 포아즈(25℃에서 회전 점도계에 의한 측정치),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는 16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는 33.6 g/L이었다.
(방사 및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사노즐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방사는 방사액 공급 노즐의 직경 0.3 mm, 방사액 공급 노즐 1개당 액량 5 ml/h, 공기 유속(에어 노즐의 슬릿부); 54 m/s(압력 2 kg/cm2, 온도 18℃, 상대 습도 40%)의 조건에서 행하였다. 또한, 집면 시에는, 고속 공기류에 병행류로 건조한 90℃의 온풍을 스크린에 도입함으로써, 섬유 포집기 부근의 공기류를 온도 35℃, 상대 습도 30%로 조절하였다. 그리고, 실시예1과 동일한 집면 장치, 집적 장치에 의해 연속 시트(박층 시트)로서 회수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구성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평균 섬유 직경은 6.6 ㎛, 최저 섬유 직경은 5.2 ㎛ 이었다.
비교예 2
(방사액의 제조)
알루미늄 농도가 16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1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60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260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방사액을 얻었다. 방사액의 점도는 8 포아즈(25℃에서 회전 점도계에 의한 측정치),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는 19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는 15.0 g/L이었다.
(방사 및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구성 알루미나 단섬유의 섬유 직경 분포를 측정한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평균 섬유 직경은 2.3 ㎛, 최저 섬유 직경은 0.4 ㎛ 이었다.
비교예 3
(방사액의 제조)
알루미늄 농도가 16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1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60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550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고,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를 21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를 35.0 g/L로 조절하였다. 그러나, 얻어진 조성물은 농축 단계에서 고화 상태를 나타내어 방사액으로 되지 않았다.
비교예 4
(방사액의 제조)
알루미늄 농도가 165 g/L의 염기성 염화 알루미늄; Al(OH)3-xClx(x는 0.51임)의 수용액 1.0 L당 20 중량% 실리카졸 용액 606 g, 5중량%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1,700) 수용액 868 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50℃에서 감압 농축하고,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Al2O3와 SiO2의 중량비)는 72.0:28.0,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를 19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를 50.0 g/L로 조절하였다. 그러나, 얻어진 조성물은 농축 단계에서 점도가 너무 높아지지 않고, 회전 점도계에 의한 적절한 점도 측정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방사 가능한 성상은 아니었다.
(도수분포)
섬유 직경(㎛)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0.0 ≤ - - - 2
0.5 ≤ - - - 9
1.0 ≤ - - - 18
1.5 ≤ - - - 25
2.0 ≤ - - 1 15
2.5 ≤ - - 5 5
3.0 ≤ - 1 8 6
3.5 ≤ - 6 3 7
4.0 ≤ - 13 8 3
4.5 ≤ - 33 18 2
5.0 ≤ 5 18 11 2
5.5 ≤ 13 21 9 3
6.0 ≤ 32 1 7 1
6.5 ≤ 21 4 3 -
7.0 ≤ 8 - 5 1
7.5 ≤ 7 - 3 -
8.0 ≤ 5 - 2 1
8.5 ≤ 3 - 5 -
9.0 ≤ 1 - 2 -
9.5 ≤ 1 - 4 -
10.0 ≤ 4 - 6 -
점수 100 100 100 100
평균 6.9 4.9 6.6 2.3
하한 5.2 3.3 2.2 0.4
참고예 1
종래의 알루미나 섬유의 평균 섬유 직경은 일반적으로 2∼5 ㎛이지만, 3사가 시판중인 알루미나 섬유에 대해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2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평균 섬유직경(㎛) 최저 섬유직경(㎛)
A사 제품 로트 1 3.6 1.1
로트 2 3.7 1.4
로트 3 4.6 1.8
로트 4 3.0 0.7
B사 제품 3.0 1.3
C사 제품 로트 1 3.5 1.1
로트 2 4.2 1.8
로트 3 4.7 2.2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알루미나 단섬유의 직경이 확경화되어 알루미나 단섬유의 비산이 억제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는, 취급 시 섬유의 비산이 적고, 취급성 및 작업 환경 위생 면에서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업적 가치는 현저하다.

Claims (7)

  1. 평균 섬유 직경이 4.0∼10.0 ㎛이고, 또 최저 섬유 직경이 3.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최저 섬유 직경이 4.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최저 섬유 직경이 5.0 ㎛ 이상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평균 섬유 직경이 5.0∼8.0 ㎛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평균 섬유 직경이 6.0∼8.0 ㎛인 알루미나 단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알루미나 단섬유의 조성이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99:1∼6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7.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규소 화합물, 유기 중합체 및 물을 함유하는 방사액을 블로잉법으로 방사하고, 얻어진 알루미나 단섬유 전구체의 집합체를 소성하는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사액으로서 알루미늄과 규소의 비가 Al2O3와 SiO2의 중량비로 환산하여 99:1∼65:35, 염기성 염화알루미늄의 농도가 180∼200 g/L, 유기 중합체의 농도가 20∼40 g/L인 방사액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37003970A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KR101078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21429 2001-07-23
JP2001221429 2001-07-23
PCT/JP2002/007383 WO2003010379A1 (fr) 2001-07-23 2002-07-22 Agregat de fibres d'alumin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lui-ci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390A Division KR101291200B1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655A true KR20040025655A (ko) 2004-03-24
KR101078245B1 KR101078245B1 (ko) 2011-10-31

Family

ID=190551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970A KR101078245B1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KR1020107027390A KR101291200B1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KR1020137013136A KR20130065731A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390A KR101291200B1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KR1020137013136A KR20130065731A (ko) 2001-07-23 2002-07-22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46979B2 (ko)
EP (1) EP1411162B1 (ko)
KR (3) KR101078245B1 (ko)
CN (1) CN1320189C (ko)
AT (1) ATE366835T1 (ko)
DE (1) DE60221132T2 (ko)
TW (1) TW591147B (ko)
WO (1) WO20030103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1518T2 (de) * 2001-05-24 2008-04-17 Mitsubishi Chemical Functional Products,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warenbahn aus aluminiumoxidfasern
EP2034151B1 (en) * 2001-05-25 2015-02-25 Ibiden Co., Ltd. Holding seal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4003276A1 (ja) * 2002-06-28 2004-01-08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保持材用無機質短繊維集積体、その製造方法、及び保持材
WO2005028727A1 (ja) * 2003-09-22 2005-03-31 Mitsubishi Chemical Functional Products, Inc. アルミナ繊維集合体およびそれよりなる触媒コンバータ用把持材
JP4575444B2 (ja) * 2005-05-31 2010-11-04 帝人株式会社 セラミック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123114A1 (ja) * 2006-04-18 2009-09-03 帝人株式会社 チタニア繊維およびチタニア繊維の製造方法
KR101191590B1 (ko) 2007-10-11 2012-10-15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나질 섬유 집합체,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1838014B (zh) * 2010-02-10 2012-01-25 长春理工大学 狼牙棒状纳米结构硫化锌及其制备方法
US20140272363A1 (en) * 2011-09-08 2014-09-18 Mitsubishi Plastics, Inc. Inorganic fiber molded body
CN103738990B (zh) * 2013-12-17 2015-09-09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利用结晶氯化铝制取氧化铝的方法
JP6405747B2 (ja) * 2014-06-30 2018-10-1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無機繊維の製造方法
KR102383927B1 (ko) * 2016-07-11 2022-04-12 마후텟쿠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002861A1 (en) * 2016-11-18 2020-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Non-respirable, polycrystalline, aluminosilicate ceramic filaments, fibers, and nonwoven ma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6669205B2 (ja) * 2018-07-25 2020-03-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高アルミナ組成無機繊維、無機繊維集合体及び無機繊維成型体
CN110846741B (zh) * 2019-10-09 2020-10-23 清华大学 柔性莫来石纤维气凝胶材料及其制备方法
CN117570898A (zh) * 2020-01-31 2024-02-20 马福特克有限公司 纤维直径测定装置及方法、无机纤维片材制造装置及方法
CN111210167B (zh) * 2020-02-20 2023-06-20 山东鲁阳浩特高技术纤维有限公司 一种氧化铝纤维毯坯的调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965A (en) * 1976-05-04 1977-09-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Non-frangible alumina-silica fibers
US4752515A (en) * 1985-06-17 1988-06-21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Alumina fiber structure
JPH0730498B2 (ja) * 1987-04-04 1995-04-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繊維集積体の製造方法
CN87103775A (zh) * 1987-05-19 1988-12-07 冶金工业部马鞍山钢铁设计研究院 氧化铝多晶纤维的生产方法
JPS63301258A (ja) * 1987-05-29 1988-12-08 Otsuka Chem Co Ltd スクロ−ル型圧縮機部材用樹脂組成物及びスクロ−ル型圧縮機部品の製造方法
GB8727410D0 (en) * 1987-11-23 1987-12-23 Ici Plc Inorganic oxide fibres
US5165463A (en) * 1988-11-10 1992-11-24 Lanxide Technology Company, Lp 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metal matrix composites
JP2504170B2 (ja) * 1989-03-09 1996-06-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環状繊維集積体の製造装置
JPH0670296B2 (ja) * 1990-06-07 1994-09-07 ニチアス株式会社 アルミナ繊維製ブランケットの製造法
JP2811224B2 (ja) * 1990-06-07 1998-10-15 ニチアス株式会社 アルミナ繊維製ブランケットの製造法
JP2602460B2 (ja) 1991-01-17 1997-04-23 三菱化学株式会社 紡糸ノズル及び該紡糸ノズルを用いた金属化合物の繊維前駆体の製造法ならびに無機酸化物繊維の製造法
WO1994016134A1 (en) * 1993-01-07 1994-07-2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Flexible nonwoven mat
CA2131247C (en) * 1993-09-03 1998-07-07 Minoru Machida Ceramic honeycomb catalytic converter
JP3053516B2 (ja) * 1993-10-07 2000-06-19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物の廃棄処理方法
JP3314141B2 (ja) * 1996-03-26 2002-08-12 マツダ株式会社 複合化用予備成形体並びにこれが複合化された複合アルミニウム系金属部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DE69921375T2 (de) * 1998-07-07 2005-10-20 Mitsubishi Chemical Corp. Kontinuierliches Vlies mit Aluminium Fasern
JP2000080547A (ja) 1998-07-07 2000-03-21 Mitsubishi Chemicals Corp アルミナ繊維前駆体よりなる積層シ―トの製造方法
JP4416895B2 (ja) 2000-01-28 2010-02-17 大明化学工業株式会社 紡糸用塩化アルミニウム溶液及びその製造方法、濃縮塩化アルミニウム溶液の保存方法
JP4663885B2 (ja) * 2001-01-09 2011-04-06 イビデン株式会社 アルミナ−シリカ系繊維の製造方法
JP4026433B2 (ja) * 2001-07-23 2007-12-26 三菱化学産資株式会社 アルミナ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1162A4 (en) 2005-09-14
US6746979B2 (en) 2004-06-08
CN1464924A (zh) 2003-12-31
DE60221132D1 (de) 2007-08-23
US20030219590A1 (en) 2003-11-27
KR101291200B1 (ko) 2014-11-04
DE60221132T2 (de) 2008-03-20
KR20100133510A (ko) 2010-12-21
ATE366835T1 (de) 2007-08-15
KR101078245B1 (ko) 2011-10-31
EP1411162B1 (en) 2007-07-11
CN1320189C (zh) 2007-06-06
KR20130065731A (ko) 2013-06-19
TW591147B (en) 2004-06-11
WO2003010379A1 (fr) 2003-02-06
EP1411162A1 (en) 200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245B1 (ko) 알루미나 섬유 집합체의 제조방법
US11377764B2 (en) Alumina fiber aggregate
KR20080015875A (ko) 세라믹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JPH0551806A (ja) 紡糸ノズル及び該紡糸ノズルを用いた金属化合物の繊維前駆体の製造法ならびに無機酸化物繊維の製造法
JP4026433B2 (ja) アルミナ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Chen et al. Electrospun mullite fibers from the sol–gel precursor
JP4535101B2 (ja) アルミナ繊維集合体
KR20140032377A (ko) 무기 섬유
JP4669326B2 (ja) 無機繊維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87731A1 (en) Alumina fiber aggregate and catalytic converter holder comprising the same
EP4012085B1 (en) Inorganic fiber formed body, mat for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and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KR20200144355A (ko) 복합 나노섬유 필터의 제조방법
JPH0379467B2 (ko)
EP4098797A1 (en) Fiber-diameter-measuring device, device for manufacturing inorganic fiber sheet, method for measuring fiber diame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organic fiber sheet
JP2004027464A (ja) アルミナ繊維連続シート
JP2004197752A (ja) 排ガス浄化装置用把持材
JPH11256465A (ja) ポリエステル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07933A (ja) アルミナ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