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311A -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311A
KR20040018311A KR10-2003-7007360A KR20037007360A KR20040018311A KR 20040018311 A KR20040018311 A KR 20040018311A KR 20037007360 A KR20037007360 A KR 20037007360A KR 20040018311 A KR20040018311 A KR 20040018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hinge
bushing
doo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8293B1 (ko
Inventor
루돌프 그루버
Original Assignee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A002354796A external-priority patent/CA2354796A1/en
Application filed by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멀티메틱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1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05D5/121Screw-threaded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05D5/062Ben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2Securing pins in sockets, movably or n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44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16Joints and connections with adjunctive protector, broken parts retainer, repair, assembly or disassembly feature
    • Y10T403/1616Position or guide means
    • Y10T403/1624Related to joint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 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본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직립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도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 고정시키는 자동차힌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원추형 구조부는 도어부 상에 위치하며, 본체부는 원추형 구조부를 수용하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Automotive Door Hing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Pivot}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힌지는 폐쇄패널에 견고히 부착된 도어부와 본체구조에 견고히 부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 부품들을 구조적으로 부착하는 작업은 용접, 리벳결합, 볼트체결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본체구조에 대한 도어부의 간단한 회전동작은 통상 피봇핀과 이와 대응하는 베어링면에 의해 얻어진다. 이 피봇핀은 힌지부품 중의 하나에 견고히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반면, 다른 부품은 하나 이상의 베어링면을 통하여 피봇핀의 주위에서 자유로이 회전한다. 통상적으로 폐쇄패널을 본체구조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이들 힌지조립체 중에서, 피봇핀이 동축선상으로 정렬되며 수직하게 분기된 두 개의 힌지조립체를 이용한다.
현대의 많은 자동차조립공장에서는, 먼저 차량을 조립하고 도장한 후에 폐쇄패널을 본체구조로부터 제거한다. 이렇게 도장작업 후에 폐쇄패널을 분리하는 것은 계기판, 시트, 카펫 및 헤드라이너 등의 큰 부품을 설치하고 래치 및 윈도우상승기구 등의 도어부품의 최종조립을 간단히 하는 차량의 내부의 최종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실시한다. 폐쇄패널의 제거 및 재 설치과정의 중요한 특징은, 통상 도장작업 전의 차량의 초기조립 중에 최종의 도어위치를 설정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차량의 품질의 가장 중요한 점의 하나인 틈새여백 및 표면일치는 초기의 프레임작업 중에 조절하여 도장작업 전과 직후에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시도책으로는 최종조립과정 중에 도장작업 후에 폐쇄패널을 제거하여 재 설치하는 방법은 본래의 도어위치를 용이하게 정확히 복제하여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래의 설치과정에서의 치수를 완전하게 유지하면서 차량의 폐쇄패널의 제거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종래의 기술은 다양하다.
착탈식 도어힌지시스템의 공통적인 실시예는 힌지의 도어부가 힌지의 본체부에 간단히 끼워지게 하는 외팔보방식의 피봇핀을 이용한다. 본체부는 피봇부싱을 구비하는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가지며, 이 피봇부싱을 통하여 피봇핀이 리벳결합되어 자유롭게 회전하는 구조적 이음부를 형성한다. 피봇핀의 일부는 도어부의 피봇축공의 원추형부와 상호 작용하는 원추형부로 구성된다. 도어부의 피봇축공의 원추형부가 피봇핀의 원추형부 위에 놓일 때 회전고정작용이 이루어진다.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장치에 의해 도어부를 피봇핀에 유지시키며, 모든 구조적 부하는 상기 원추형부로 구성되는 피봇핀부를 통하여 전달된다. 도어부와 본체부는 본체부의 부싱 내부에서 회전하는 피봇핀의 비 원추형부를 통해 용이하게상대 회전하게 된다. 이 외팔보방식 피봇핀 구조는 단일매달기로도 불리는 것으로서, 모든 가해진 휨모우멘트를 직접 피봇핀에 전달한다.
전술한 단일매달기식의 외팔부방식 피봇핀구조는 제거가 용이하고 폐쇄패널의 재설치가 정확하지만 완전 리벳결합된 이중매달기식 힌지구조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열등하다. 종래의 이중매달기식 힌지는 가해진 휨모우멘트를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힘의 쌍으로 변환시킨다. 단일매달기식 힌지와 관련된 상당한 모우멘트의 영향을 약화시키기 위해, 힌지부와 별개의 피봇핀 사이에 견고하고 복잡한 이음매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재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적절한 수직부하지탱능력 및 양호한 최종유지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핀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피봇핀이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단일매달기식 힌지조립체를 만드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렇게 가해진 모우멘트는 피봇이 힌지부와 구조적으로 일체로 되어있으므로 힌지부에 직접 작용할 것이다. 또한, 회전 이음매에 대한 원추형 계면과 수평부하지탱면을 형성하도록 피봇을 구성한다면 종래기술보다 상당히 개선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일체형 피봇을 힌지부로부터 간단히 기계가공 가능하게 하면서 정확하고 용이한 재설치과정을 보장할 것이다. 또한 피봇의 단부에 나사구멍을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볼트의 이용에 의해 극히 강하게 마무리된 이음매가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힌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조립작업의 특정 단계중에 고정본체구조에 대하여 폐쇄패널의 동작을 용이하게 하고 고정본체구조에 대하여 폐쇄패널을 간단히 제거하고 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자동차에서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 쌍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본체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원추형 구조부의 중심선을 통해 본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부분단면도.
도 6은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다른 배향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다른 배향상태의 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다른 부싱구조의 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원추형 구조부의 중심선을 통해 본 본 발명의 힌지조립체의 다른 부싱구조의 부분단면도.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있어서, 자동차힌지는,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본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직립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도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있어서,
(a)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로 형성된다.
(b)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진다.
(c) 상기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부싱이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결합된다.
(d) 상기 부싱은 내부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테이퍼면은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으로 구성된다.
(e) 상기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은 폴리머 PTFE로 구성된다.
(f)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크기가 탄성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선을 포함한다.
(g)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이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 속에 용이하게 클램프할 수 있도록 비윤활성의 외측대향면을 포함한다.
(h)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된 수평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면은 수직힌지부하를 지탱한다.
(i)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말단부에 근접한 외향 단차부를 더 포함한다.
(j)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내측나사부에 동축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볼트에 의해 조립상태로 유지된다.
(k)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도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본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본체 및 도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자동차힌지로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또한 피봇축공 및 원추형 구조부의 위치가 도어부나 본체부로부터 상기 도어부 및 본체부 중의 다른 부로 바꿔진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실시예 중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도, 원추형 구조부가 원추형 피봇축공 속으로 내려가거나 원추형 피봇축공이 직립원추형 구조부 위에 놓일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부싱은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과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 사이에 개재된다.
또 다른 실시예 내지 전술한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 부싱은 원추형 피봇축공속에 결합된다. 부싱은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으로 구성되는 테이퍼상의 외측 대향면을 포함한다.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PTFE로 구성된다. 부싱은 부싱의 크기가 가역적으로 수축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선을 포함한다. 부싱은 부싱이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비윤활성 내측 대향면을 포함한다. 원추형 구조부는 연속적으로 테이퍼진 외측면을 갖는다. 부싱은 부싱재를 업셋가공하여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원추형 피봇공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다음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힌지조립체(1)는 도어부(2) 및 본체부(3)로 구성된다. 도어부는 도어부장착면(6) 및 도어부피봇아암(7)으로 구성된다. 도어부피봇아암은 벽(25)을 갖는 원추형 피봇축공(8)을 구비한다. 도어부는 볼트체결, 용접, 접합, 리벳결합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결합수단에 의해 도어부장착면(6)을 통하여 폐쇄패널(4)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3)는 본체부장착면(11)과 본체부피봇아암(12)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체부피봇아암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면과 동축상태인 내부나사부(14)를 갖는 직립원추형구조부(13)을 갖도록 구성된다. 본체부(3)는 볼트결합, 용접, 접합, 리벳결합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부장착면(11)을 통해 본체 부(19)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싱(17)은 폴리머 PTFE 등의 윤활막으로 내부가 코팅되며, 원추형구조부(13)와 결합되어 힌지본체부의 피봇아암(12)에 대한 수평하중 베어링면(16)과 원추형구조부(13)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부테이퍼면(18)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싱의 내측 테이퍼면이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외의 윤활막이나 코팅도 이용할 수 있다. 분할선(20)은 원추형 구조부에 결합되도록 개방되어 확장되기 때문에 부싱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종방향이나 수직방향의 유지력이 인가되었을 때 부싱의 비윤활성 외측면이 원추형 피봇축공(8) 속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게 한다.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또는 말단부의 외향단차부(21)는 부싱을 종방향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어부(2)는 본체부(3) 위에 끼워지며, 도어부(2)의 원추형 피봇축공(8)의 벽(25)과 대응하는 부싱(17)의 비윤활성 외측 테이퍼면(22)에 의해 공간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 조립체는 도어부와 본체부가 내측나사부(14)에 의해 원추형 구조부(13)에 부착된 볼트(19)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적으로 완성된다. 두 개의 힌지부의 상대회전은 부싱(17)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하여 부싱(17)의 비윤활성 외측면과 피봇축공(8)의 벽(25) 사이의 마찰접촉에 의해 도어부(2)의 원추형 피봇축공(8) 속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추형 구조부(13)에 의해 용이하게 된다.
충돌에 의해 주어지는 구조적 부하는 본체부로부터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추형 구조부(13)를 통해 도어부(2)와 본체부(3) 사이로 전달된다. 이렇게 하면 핀 대 힌지구조의 결합면이 필요 없기 때문에 단일 외팔보구조를 상당히 개선시킨다.
도장작업 후에 폐쇄패널을 제거하는 작업은 볼트(19)를 푸르고 폐쇄패널의 도어부(2)를 본체부의 부싱(17)로부터 들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이 폐쇄패널을 제거하기 위한 수고는 부싱의 원추형 구조에 의해 상당히 줄게되어 동작의 종방향 자유도를 유지하면서 회전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폐쇄패널을 차량에 재 설치하였을 때, 상측 및 하측의 힌지의 도어부는 원추형 피봇축공(8)을 부싱(17)에 배치함으로써 대응 본체부와 일직선상에 정렬된다. 그 후 이 조립체는 결합볼트(19)를 원추형 구조부(13)의 내측나사부(14) 속에 나사결합하고 적절한 토크를 볼트에 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완성된다. 따라서 각 부싱은 대응하는 원추형 피봇축공 속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며, 종방향 체결력 및 분할선(20)을 중심으로 한 부싱의 휨의 존재하에서 수평 부하접촉면(16)에서 끝나는 원추형 벽이 결합하여 도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8) 속으로 록킹작용을 일으킨다.
원추형 구조부와 원추형 피봇축공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원추형 구조부는 원추형 피봇축공 속으로 하방으로 향한다. 도 6 및 도 7 만을 참조하면, 도어힌지조립체(1)는 본체부(3)와 도어부(2)로 구성된다. 본체부는 장착면(11)과 피봇아암(12)으로 구성된다. 본체부피봇아암(12)은 원추형 피봇축공(8)을 구비한다. 도어부(2)는 장착면(6)과 피봇아암(7)으로 구성된다. 도어부(2)는 볼트결합, 용접, 접합, 리벳결합 또는 그 외의 유사결합수단에 의해 도어부의 장착면(6)을 통해 폐쇄패널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도어부 피봇아암(7)은 그 외측면과 동축상태의 내부나사부를 갖는 원추형 구조부(13)로 구성된다. 본체부(3)는 볼트결합, 용접, 접합, 리벳결합 또는 그 외의 결합수단에 의해 본체부 장착면(11)을 통해 본체구조에 구조적으로 부착된다.
부싱(17)은 폴리머 PTFE 등의 윤활막으로 내부가 코팅되며, 원추형 구조부(13)와 결합되어 도어부의 피봇아암(7)에 대한 수평하중 베어링면(16)과 원추형 구조부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내측 테이퍼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싱의 내부테이퍼면이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면에서 회전가능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외의 윤활막이나 코팅도 이용할 수 있다. 부싱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도 6 및 도 7 만을 참조하면, 도어부(2)는 본체부(3) 위에 끼워지며, 본체부(3)의 원추형 피봇축공(8)의 벽(25)과 대응하는 부싱(17)의 비윤활성 외측 테이퍼면(22)에 의해 공간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 조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완성된다.
도장작업 후의 폐쇄패널의 제거작업은, 폐쇄패널을 차량본체로부터 들어올려 유사한 방식으로 재 설치한다는 점에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부싱(17)의 위치는 원추형 구조부(13) 위에 결합하는 것으로부터 원추형 피봇축공(8)의 내부에 결합하는 것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부싱(17)은 폴리머 PTFE 등의 윤활막으로 외부가 코팅되며, 원추형 피봇축공(8) 속에 결합되어 힌지본체부의 피봇아암(12)에 대한 수평하중 베어링면(16)과 원추형 피봇축공(8)의 내부 원추형 접촉면에 대해 접촉하도록 구성된 외측 테이퍼면(26)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부싱의 외측 테이퍼면이 원추형 피봇축공의 내부 원추형 베어링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외의 윤활막이나 코팅도 이용할 수 있다. 분할선(20)은 원추형 피봇축공 속에 결합되도록 폐쇄되어 수축할 수 있기 때문에 부싱이 쉽게 설치되게 하며, 종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유지력이 인가되었을 때 부싱의 내부의 비윤활성 테이퍼면(27)이 원추형 구조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게 한다. 부싱재는 설치시에 업셋가공하여 도어부피봇아암(7) 위에서 수평부하 베어링면(16)의 반대측 단부에 유지플랜지(28)를 형성함으로써 부싱이 도어부피봇아암(17)에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도어부(2)는 본체부(3) 위에 끼워져서 본체부(3)의 원추형 구조부(13)의 외측면(29)에 대응하는 부싱(17)의 내부 비윤활성 테이퍼면(27)에 의해 공간상에서 위치 고정된다. 이 조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완성된다.
두 개의 힌지부는 원추형 피봇축공(8)의 내부 원추형 베어링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는 부싱에 의해 용이하게 상대 회전하게 된다. 결국 부싱(17)은 부싱(17)의 비윤활성 테이퍼면(27)과 원추형 구조부(13)의 외측면(29) 사이의 마찰접촉에 의해 본체부(3)의 원추형 구조부(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장작업 후의 폐쇄패널의 제거작업은, 폐쇄패널을 차량본체로부터 들어올려 유사한 방식으로 재 설치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점은 부싱의 위치뿐이다.
이런 다른 부싱구조는 원추형 구조부 및 원추형 피봇축공의 위치가 바뀐 전술한 다른 힌지구조 중의 어느 것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구조의 변형예 및 수정예를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만들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6)

  1. (a)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b)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c) 상기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본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직립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도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힌지는 상기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내부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테이퍼면은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은 폴리머 PTFE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크기가 탄성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이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 속에 용이하게 클램프할 수 있도록 비윤활성의 외측 대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된 수평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면은 수직힌지부하를 지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말단부에 근접한 외향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내측나사부에 동축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볼트에 의해 조립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3. (a)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b)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본체부,
    (c) 상기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본체부의 기재로 만들어져서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본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직립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f)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g) 상기 부싱은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상기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된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을 포함하는 외측 대향면을 포함하며,
    (h)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분할선 및 비윤활성 외측대향면을 더 포함하며,
    (i)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되어 수직 힌지부하를 지탱하도록 된 수평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더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개재된 부싱을 통해 상기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도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말단부에 근접한 외향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내측나사부에 동축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볼트에 의해 조립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8. (a)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b)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도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c)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도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본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본체 및 도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도어부의 기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0. (a)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b)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도어부,
    (c)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도어부의 기재로 형성되어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도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f)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g) 상기 부싱은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상기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된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을 포함하는 내측 대향면을 포함하며,
    (h)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분할선 및 비윤활성 외측대향면을 더 포함하며,
    (i)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되어 수직 힌지부하를 지탱하도록 된 수평면을 포함하는 기부를 더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개재된 부싱을 통해 상기 외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 작용하는 상기 본체부의 원추형 피봇축공의 벽에 의해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도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말단부에 근접한 외향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 및 본체부는 상기 원추형 구조부의 내측나사부에 동축상태로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 볼트에 의해 조립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5. (a)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도어부와,
    (b)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c) 상기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본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직립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도어부 원추형 피봇축공은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f)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g) 상기 부싱은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의 상기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된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을 포함하는 외측 대향면을 포함하며,
    (h)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비윤활성 내측대향면을 더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개재된 부싱을 통해 상기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본체부의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면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본체부의 기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고 결합시키기 위해 분할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수직 힌지부하를 지탱하도록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된 수평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0. (a) 차량의 본체구조에 장착되며, 원추형 피봇축공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b) 차량의 폐쇄패널에 장착되며, 피봇아암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c)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는 피봇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d) 상기 도어부는 상기 도어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피봇축선과 동축상태로 정렬되고 상기 도어부의 피봇아암에 구조적으로 고정된 원추형 구조부를 포함하며,
    (e) 상기 본체부 원추형 피봇축공은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을 포함하며,
    (f)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부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g) 상기 부싱은 상기 원추형 피봇축공의 상기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접촉하도록 된 윤활코팅 또는 윤활막을 포함하는 외측 대향면을 포함하며,
    (h)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비윤활성 내측대향면을 더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힌지가 조립되었을 때,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 위에 끼워지며, 상기 개재된 부싱을 통해 상기 내측 원추형 베어링면과 상호작용하는 상기 도어부의 원추형 구조부의 외측면에 의해 상기 도어 및 본체부를 공간상에서 위치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도어부의 기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구조부는 상기 힌지본체부의 기재를 기계가공, 단조 또는 주조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상기 부싱을 상기 원추형 구조부에 용이하게 장착시키고 결합시키기 위해 분할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은 수직 힌지부하를 지탱하도록 상기 부싱의 종축에 수직하게 구성된 수평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도어부는 클립, 너트 또는 그 외의 유사한 기계적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힌지.
KR1020037007360A 2001-08-02 2002-07-30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KR100798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354796A CA2354796A1 (en) 2001-08-02 2001-08-02 Automotive door hinge with structural integrated pivot
CA2,354,796 2001-08-02
US31601701P 2001-08-31 2001-08-31
US60/316,017 2001-08-31
PCT/CA2002/001193 WO2003012234A1 (en) 2001-08-02 2002-07-30 Automotive door hing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piv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311A true KR20040018311A (ko) 2004-03-03
KR100798293B1 KR100798293B1 (ko) 2008-01-28

Family

ID=25682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360A KR100798293B1 (ko) 2001-08-02 2002-07-30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22872B2 (ko)
KR (1) KR100798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353A (ko) 2013-10-16 2015-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2787B2 (en) * 2002-02-21 2004-01-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access to a fastening device
US7278183B2 (en) * 2003-09-05 2007-10-09 Middle Atlantic Products, Inc. Pivot hinge assembly
US20060273621A1 (en) * 2005-06-06 2006-12-07 Ventra Group, Inc. Lift-off door hinge
US7455343B2 (en) * 2005-09-12 2008-11-25 Ts Tech Co., Ltd. Passenger's weight measurement device for vehicle seat and attachment structure for load sensor
US7634837B2 (en) * 2005-12-23 2009-12-22 Middle Atlantic Products, Inc. Lift-off hinge
CA2551642A1 (en) * 2006-07-10 2008-01-10 Multimatic Inc. Multiple piece construction automotive door hinge
US8156611B2 (en) * 2008-08-01 2012-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ft-off door hinge
US20100077565A1 (en) * 2008-10-01 2010-04-01 Wei-Kuo Huang Hinge capable of being positioned at any angle
DE102008061229B4 (de) * 2008-12-09 2024-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agerung von wenigstens einem Hebel
US8654420B2 (en) 2008-12-12 2014-02-18 Bae Systems Plc Waveguides
US8656558B2 (en) * 2009-02-18 2014-02-25 Jan van Gennep Locking hinge assembly
US8359709B2 (en) * 2009-02-18 2013-01-29 Van Gennep Jan Locking hinge assembly
US8732906B1 (en) * 2009-02-18 2014-05-27 Jan van Gennep Locking hinge assembly
US20110147547A1 (en) * 2009-09-18 2011-06-23 Crane Hardware Llc Foldable stand
US20110072619A1 (en) * 2009-09-28 2011-03-3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Hinge
US8944415B2 (en) * 2011-04-05 2015-02-03 Dorel Juvenile Group, Inc. Security enclosure
JP6238332B2 (ja) 2013-02-05 2017-11-29 理研化機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のドアヒンジ及びその第1ブラケットの製造方法
WO2017009834A1 (en) * 2015-07-13 2017-01-19 Lil Monkey Ltd. Modular rotatable connecting joint
US10184280B2 (en) 2016-06-02 2019-01-22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Automotive door hinge
US10738520B2 (en) * 2017-06-26 2020-08-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 hinge with integrated detent and stop
US10378257B2 (en) * 2017-07-26 2019-08-13 Fca Us Llc Nut for threaded hinge pin
JP7106858B2 (ja) * 2017-12-26 2022-07-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ヒンジ構造
WO2020146954A1 (en) * 2019-01-18 2020-07-23 Warren Industries Ltd. Vehicular door hinge with folded sheet metal component
TWI774119B (zh) * 2020-11-10 2022-08-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連動式鉸鏈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7908C (ko)
US90330A (en) * 1869-05-18 Improved reversible hinge
GB291796A (en) 1927-06-10 1928-10-04 Rachel Salin Improvements in hinges for the doors of motor vehicles
US3135013A (en) 1961-03-10 1964-06-02 Stanley Works Hinge with pin retaining means
FR1421451A (fr) 1964-10-30 1965-12-17 Paumelle en matière plastique
US3349427A (en) * 1965-08-27 1967-10-31 Stanley Works Hinge
NO141957C (no) * 1976-12-07 1980-06-04 Harald Kvasnes Anordning ved svingelager for svingevindu.
US4491436A (en) * 1983-03-21 1985-01-01 Deere & Company Pivot pin assembly
DE3404152A1 (de) * 1984-01-27 1985-08-01 Ed. Scharwächt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Scharnier mit gebremster schwenkwinkelbeschleunigung
DE3405082A1 (de) * 1984-02-13 1985-08-14 Ed. Scharwächter GmbH & Co KG, 5630 Remscheid Aushaengbares tuerscharnier
DE3532423A1 (de) * 1985-09-11 1987-03-12 Scharwaechter Gmbh Co Kg Anlenkung fuer aushaengbare kraftwagentueren
US4664689A (en) * 1986-02-27 1987-05-12 Union Carbi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cooling optical fiber
FR2610662B1 (fr) * 1986-12-27 1990-07-06 Scharwaechter Gmbh Co Kg Charniere de porte decrochable
SE464202B (sv) * 1989-05-16 1991-03-18 Volvo Ab Gaangjaern foer en doerr eller lucka foeretraedesvis till ett motorfordon
DE4115324A1 (de) * 1991-05-10 1992-11-12 Scharwaechter Gmbh Co Kg Aushaengbares kraftwagentuerscharnier
DE4306267A1 (de) 1993-03-01 1994-09-08 Scharwaechter Gmbh Co Kg Kraftwagentürscharnier
DE19600063A1 (de) 1995-11-21 1997-05-28 Scharwaechter Gmbh Co Kg Kraftwagentürscharnier mit Brems- und Haltefunktion
EP0896251A1 (en) * 1997-07-28 1999-02-10 Agfa-Gevaert N.V. Method of making a lithographic printing plate
JP2002511545A (ja) * 1998-04-09 2002-04-16 エー・デー・シャルベヒテ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ドアヒンジと構造的に組合されるドアストップ
DE19915718C2 (de) * 1999-04-08 2002-07-11 Ise Ind Gmbh Türscharnier für Kraftfahrzeuge
DE10230589B4 (de) * 2002-07-05 2012-05-10 C. Rob. Hammerstein Gmbh & Co. Kg Spielfreies Gelenk für Kraftfahrzeugsitz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4353A (ko) 2013-10-16 2015-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25294A1 (en) 2004-02-12
KR100798293B1 (ko) 2008-01-28
US6922872B2 (en) 2005-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8293B1 (ko) 피봇이 구조적으로 통합된 자동차 도어힌지
JP4084748B2 (ja) 構造的に一体化したピボットを有する自動車ドアヒンジ
US6591451B2 (en) Automotive door hinge with removable component adapted for structural reassembly
AU2002322234A1 (en) Automotive door hinge with structurally integrated pivot
US10422170B2 (en) Dual pivot laterally translating hinges
CN101148963A (zh) 可调舱盖铰链
JPS6263786A (ja) 分離可能な自動車ドアの枢着機構
JPH08193456A (ja) ドア固定装置と一体構造の自動車ドア用ドア蝶番
JPH1046902A (ja) 掛け外し可能なドア蝶番と構造的に合体されるドア固定具
JPH04505195A (ja) 自動車のヒンジ
US20090140551A1 (en) Pillar for suspension of a hinged vehicle door
US20060096062A1 (en) Adjustable hinge assembly
JP3171348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作業用ヒンジ装置
RU2403163C2 (ru) Стойка для подвешивания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11434678B2 (en) Adjustable vehicle hinge
KR100569103B1 (ko)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KR20010038987A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결합 구조
JPH0558779U (ja) 車両のドアヒンジ組付構造
JP2001191969A (ja) ドアヒンジ仮止め方法
JPH02254080A (ja) 自動車のドア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