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103B1 -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103B1
KR100569103B1 KR1020040026831A KR20040026831A KR100569103B1 KR 100569103 B1 KR100569103 B1 KR 100569103B1 KR 1020040026831 A KR1020040026831 A KR 1020040026831A KR 20040026831 A KR20040026831 A KR 20040026831A KR 100569103 B1 KR100569103 B1 KR 10056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rocker arm
vehic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464A (ko
Inventor
이순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1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1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hinge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이송 및 장착성 향상을 위한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도어 힌지축과; 상기 도어 힌지축을 도어 어셈블리의 일측에 고정하는 도어측 힌지 보디와;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부품들을 지탱하는 보디측 힌지 보디와;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힌지축이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보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차량, 도어, 힌지, 로커암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DOOR HINGE DEVICE OF VEHICLE}
도 1a와 도 1b는 프레스 힌지와 단조 힌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장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부품 가운데 도어 힌지는 도어의 개폐(OPEN/CLOSE)가 가능하도록 하며, 도어가 보디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현재 차량 생산시 보디 내부의 작업 효율성 및 부품 장착 자동화를 위하여 도어를 탈거하고 내부 작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다시 도어를 장착하는 도어 레스 공법(DOOR LESS METHOD)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도어 패널과 도어 힌지를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내어 도어 이송 행거에 고정하고 도어만을 별도로 서브 작업을 한다.
서브된 도어는 생산라인 후반부에서 풀어낸 볼트를 조여줌으로써 보디에 부착된다.
도어 힌지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 힌지와 단조 힌지로 나뉜다.
도 1a를 참조하면, 프레스 힌지는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한 힌지를 말하며 가장 많이 쓰이는 힌지 구조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단조 힌지는 단조 성형을 하여 제작하며 여러 종류가 있으나 가장 흔히 접하고 있는 다임러 크라이슬러의 힌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도어 힌지는 프레스 힌지와 단조 힌지(다임러 크라이슬러 사용)가 있으나 개발된 차량의 디자인 흐름과 현재의 차량 구조에 생산 기술을 대응하기가 곤란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프레스 힌지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도어 탈장착시 작업공간 부족 및 시인성 불량
2) 인라인 도어 마운팅 볼트 수량 과다로 작업공수 증가(L/R 도어 마운팅 = 4/4 EA)
3) 현 차량 업계 디자인 경향인 C필러 직선구간 축소에 설비적 대응 어려움 ⇒ 어태치 고정구간의 길이 축소로 고정력 저하 발생 및 도어 이송시 도어 추락 발생한다(주요 라인 정지요인).
한편, 단조 힌지의 경우 도어 탈장착시 도어 힌지 분리과정에서 펜더 패널과 도어 패널의 간섭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어측 힌지를 들어올려 보디측 힌지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도어의 상승에 의한 펜더 패널과 도어 패널 찍힘 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이송 및 장착성 향상을 위한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도어 힌지축과; 상기 도어 힌지축을 도어 어셈블리의 일측에 고정하는 도어측 힌지 보디와;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부품들을 지탱하는 보디측 힌지 보디와;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힌지축이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보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도어 힌지 단점들을 보완하여 새로운 형태의 도어 힌지를 개발한 것으로, 새로운 디자인 흐름과 현재 차량의 도어 구조에 적합한 도어 레스 공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 힌지축(210), 도어측 힌지 보디(220), 보디측 힌지 보디(230), 로커암(240)(Locker Arm), 로커암 회전축(24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어 힌지축(210)은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의 회전축 기능을 한다.
도어측 힌지 보디(220)는 도어 힌지축(210)을 도어 어셈블리의 일측에 고정한다.
도어측 힌지 보디(220)는 도어측 마운팅부(222), 도어측 힌지 결합부(2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어측 마운팅부(222)는 도어에 볼트로 마운팅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된다.
도어측 힌지 결합부(224)는 도어측 마운팅부(222)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연장 형성되어 도어 힌지축(210)이 결합되도록 개구된 일단부를 갖는다.
보디측 힌지 보디(230)는 차량의 보디측 힌지 부품들을 지탱한다.
보디측 힌지 보디(230)에는 로커암(240)이 원상 복귀되었을 때, 도어 힌지축(210)이 보디측 힌지 보디(2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디측 힌지보디와 로커암(240)의 후단을 상호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하도록 일측에 로커암 마운팅 홀(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디측 힌지 보디(230)는 보디측 마운팅부(232), 보디측 힌지 결합부(233)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보디측 마운팅부(232)는 보디에 볼트로 마운팅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된다.
보디측 힌지 결합부(233)는 보디측 마운팅부(232)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연장 형성되어 로커암(240)이 결합되도록 개구된 일단부를 갖는다.
보디측 힌지 결합부(233)의 일측면에는 도어 힌지축(210)이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234)이 형성된다.
도어측 힌지 결합부(224)의 개구된 폭은 보디측 힌지 결합부(233)의 개구된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즉, 보디측 힌지 결합부(233)의 개구된 폭은 도어측 힌지 결합부(224)의 개구된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로커암(240)은 보디측 힌지 보디(2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도어 힌지축(210)이 차량의 보디측 힌지 보디(23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로커암(240)은 도어 힌지축(210)과 결합되는 체결부, 고정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로커암(240)은 도어 잠금장치(도어 래치)의 기능과 유사하다.
체결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며, 체결부의 내측 반경은 도어 힌지축(210)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한다.
고정부는 체결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보디측 힌지 보디(230)의 로커암 마운팅 홀(231)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된다.
결합부는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어 보디측 힌지 보디(230)와 연결된 다.
로커암(240)의 체결부, 고정부, 결합부는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로커암 회전축(242)은 보디측 힌지 보디(230)의 일측에 장착되어 로커암(240)이 회전하도록 연결한다.
로커암 회전축(242)이 존재함으로써 도어 힌지축(210)의 끼움, 탈거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장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어 장착시 도어 힌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어 장착]
먼저, 도어 힌지축(210)이 보디측 힌지 보디(230) 방향으로 진입하면서 로커암(240)을 밀어주므로 로커암(240)의 체결부가 회전되어 로커암(240)이 체결위치에 있게 된다.
도어 장착 전 상태⇒ 도어측 힌지 보디(220)의 보디측 힌지 보디(230)로의 진입 ⇒ 도어 힌지축(210) 진입 中 ⇒ 도어 힌지축(210) 보디측 힌지 보디(230)로의 진입 완료 ⇒ 로커암(240) 고정(장착)
참고적으로, 도어 탈착시 도어 힌지장치 동작 순서는 도어 장착시 도어 힌지장치 동작 순서의 역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의 응용을 설명한다.
기존에 나와있는 프레스 힌지, 단조 힌지의 단점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에서 모두 극복할 수 있고 차종의 설계구조로 인해 도입할 수 없었던 설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행거에서의 응용(도어 힌지 구조로는 도입할 수 없었던 설비 도입 가능)을 들 수 있다.
이는 프레스 힌지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단조 힌지 방식에서는 도어 힌지축을 이용할 수 있는 도어 힌지를 사용하여 1행거 4도어의 설비를 사용하고 있으나 프레스 힌지 적용 도어는 도어 힌지축을 이용할 수 없어 적용이 어려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는 단조 힌지 방식의 도어 힌지와 다른 형태를 가지면서 도어 힌지축(210)을 이용할 수 있어 1행거 4도어의 설비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도어 행거에 도어 힌지축(210)을 고정함으로써 도어를 행거에 고정하여 고정 및 도어 서브에서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C필라의 직선구간 최소화 디자인에 대응 가능하다.
이 또한 프레스 힌지 방식의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기존의 도어 행거 어태치는 도어 플랜지를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개발 차종의 디자인 흐름인 C필라 직선구간 축소에 대응하지 못한다.
이것은 어태치가 잡고 있을 공간이 없으므로 도어 추락의 위험이 있고, 라인 가동정지의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를 사용하면 도어 행거에 도어 힌지축(210)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사용하므로 어태치가 C필라부의 도어 플랜지를 잡지 않아도 도어가 추락할 위험이 없다.
도어의 L방향 회전만 방지하면 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는 도어 힌지축 사용시 도어 오픈각 방향으로 도어 힌지축이 진입하므로 도어 패널과 펜더 패널과의 간섭이 없다.
이는 사용중인 단조 힌지의 단점을 극복한 것이다.
또한, 도어 장착 후 체커를 장착하면 도어가 3도 정도 회전하여 장착되므로 로커암에 대한 하중을 줄일 수 있어 도어 이송 및 장착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축 기능을 하는 도어 힌지축과;
    상기 도어 힌지축을 도어 어셈블리의 일측에 고정하는 도어측 힌지 보디와;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부품들을 지탱하는 보디측 힌지 보디와;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힌지축이 상기 차량의 보디측 힌지 보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로커암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와 상기 로커암은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로커암이 회전하도록 로커암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에는 상기 로커암이 원상 복귀되었을 때, 로커암의 후단과 볼트 체결되어 로커암을 고정하는 로커암 마운팅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는
    상기 보디에 볼트로 마운팅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보디측 마운팅부와;
    상기 보디측 마운팅부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로커암이 결합되도록 개구된 일단부를 갖는 보디측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측 힌지 결합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도어 힌지축이 끼워지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힌지 보디는
    상기 도어에 볼트로 마운팅할 수 있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도어측 마운팅부와;
    상기 도어측 마운팅부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된 각도를 갖고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도어 힌지축이 결합되도록 개구된 일단부를 갖는 도어측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측 힌지 결합부의 개구된 폭은 상기 보디측 힌지 결합부의 개구된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은
    상기 도어 힌지축과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일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일측에 관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체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보디측 힌지 보디와 연결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내측 반경은 상기 도어 힌지축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KR1020040026831A 2004-04-19 2004-04-19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KR10056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831A KR100569103B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831A KR100569103B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64A KR20050101464A (ko) 2005-10-24
KR100569103B1 true KR100569103B1 (ko) 2006-04-07

Family

ID=3727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831A KR100569103B1 (ko) 2004-04-19 2004-04-19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24A (ko) 2017-11-28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찍힘방지용 도어체커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607B1 (ko) 2017-09-11 2022-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순서에 상관없이 개폐가능한 차량의 대향식 스윙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924A (ko) 2017-11-28 201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 찍힘방지용 도어체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64A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6611B2 (en) Lift-off door hinge
US20090140551A1 (en) Pillar for suspension of a hinged vehicle door
KR100569103B1 (ko) 차량의 도어 힌지장치
JPS6187085A (ja) ヒンジ
JP2008512586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補強具
US20070075554A1 (en) Hood strut assembly and method of mounting hood strut assembly to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hood
KR20010098717A (ko) 차량용 도어의 잠금 장치
JP3171348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の作業用ヒンジ装置
KR100461955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의 힌지 브라켓의 구조
KR100535557B1 (ko) 슬라이딩 도어 도장용 힌지 조립체 구조
KR20010038987A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결합 구조
KR0162564B1 (ko) 자동차도어의 힌지구조
KR970001534Y1 (ko) 자동차의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연결구조
EP3305601B1 (en) Load carrier
KR100207196B1 (ko) 화물트럭의 적재함 리어포스트
JP2584943B2 (ja) 自動車用ドアヒンジの取付構造
KR20040015517A (ko)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JPH0558779U (ja) 車両のドアヒンジ組付構造
KR100301639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힌지구조
JPH03132481A (ja) 車体構造
KR0128841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의 체결구조
KR200142557Y1 (ko) 밴 트럭의 고정 글래스 부착구조
KR200153510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가스스프링 체결구조
KR100231584B1 (ko) 자동차용 필러리드의 개폐구조
KR0129056Y1 (ko) 트렁크 로크어셈블리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