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163A - 재봉틀 바늘 - Google Patents

재봉틀 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163A
KR20040018163A KR1020030057588A KR20030057588A KR20040018163A KR 20040018163 A KR20040018163 A KR 20040018163A KR 1020030057588 A KR1020030057588 A KR 1020030057588A KR 20030057588 A KR20030057588 A KR 20030057588A KR 20040018163 A KR20040018163 A KR 20040018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wing machine
blade
height
scar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934B1 (ko
Inventor
도야유따까
무로가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오르간 하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간 하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르간 하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8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고속의 다기능 재봉틀 및 다양한 재료에 관계없이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가 없는 재봉틀 바늘이 사용된다. 재봉틀 바늘은 자루(1), 자루(1)에 연결된 날(21, 22), 날(22)의 말단에 형성된 바늘끝(6), 바늘끝(6)의 부근에 형성된 바늘 구멍(5), 및 날(21, 22)을 따라 바늘 구멍(5)으로부터 연장하는 긴 홈(7)을 포함한다. 스카프(4)가 형성되어 있는 날(22)의 부분에는 상기 부분의 측면이 바늘의 중심축(O)에 대해 스카프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외부 돌출하도록 크랭크(8)가 형성되어 있다. 스카프(4)에 인접하는 바늘 구멍(5)의 단부(9)는 날(22)의 윤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d)로 외부 돌출되어 있다.

Description

재봉틀 바늘{SEWING MACHINE NEEDLE}
본 발명은 스티치 건너뜀(stitch skipping) 및 직물 실의 파손(fabric yarn breakage)이 없는 재봉틀 바늘에 관한 것이다.
재봉에 사용되는 재봉틀은 대략적으로 산업용 재봉틀과 가정용 재봉틀로 분류된다.
산업용 재봉틀은 일반적으로 생산성 추구의 관점에서 높은 회전 속도로 사용되고, 그 회전 속도는 8000 rpm 정도로 높다. 자동화된 산업 재봉틀에 있어서, 다중방향으로의 솔기(seam)가 형성되지만, 솔기의 형성에 중요한 루프(loop)는 특정한 꼬임각을 갖는 재봉실의 영향하에서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패턴 시머(pattern seamer) 또는 사이클 재봉틀과 같은 자동화 재봉틀의 직물 공급 기구는 다중 방향성 재봉을 실현하기 위해 X-Y 테이블을 채용한다. 회전 후크(rotary hook)의 팁이 재봉틀 바늘의 스카프(scarf)를 통과할 때, X-Y 테이블의 미세한 진동으로 인해 바늘이 스카프로부터 바늘끝쪽으로 크게 진동하게 된다. 그 결과, 회전 후크의 팁이 루프를 붙잡지 못하여 스티치 건너뜀이 발생한다.
바늘의 진동으로부터 발생하는 그러한 스티치 건너뜀을 억제하기 위해, 재봉틀 바늘의 팁 단부에서 바늘 구멍(needle eye) 부분의 두께에 대해 회전 후크의 바늘 낙하 구멍의 치수가 작아지고, 그 사이의 간극이 감소하여 바늘의 진동이 감소하게 된다. 이것은, 바늘의 팁 단부에서의 바늘 구멍 부분의 두께가 재봉틀 바늘에 대한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반대로, 가정용 재봉틀은 산업용 재봉틀과는 다르게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가정용 재봉틀은 기본적으로 낮은 회전 속도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에 더 많은 가정용 재봉틀은 추가적인 자수 기능(embroidery function)을 채용하게 되었다. 가정용 재봉틀의 기구는 산업용 재봉틀의 자동화 재봉틀과 유사하기 때문에, 재봉틀 바늘에 대한 엄격함이 증가하고 있다.
재봉 제품에 사용된 다양한 재료는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최근의 경향은 신축성이 풍부하고 청바지와 같은 두꺼운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개발하는 것이고, 그러한 재료는 현재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도 제공되지 않았다.
매우 섬세한 저지계 재료(jersey-based material)는 자동차 시트에 또한 사용되었고, 스티치 건너뜀 및 바늘 파손과 같은 재봉 문제 외에 직물 실 파손의 또 다른 본질적인 문제를 발생시켰다. 따라서, 최근 몇년 동안은 이전과 같은 단일 재봉 문제만을 처리하는 재봉틀 바늘이 아닌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를 특별히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고품질의 재봉틀 바늘을 필요로 하였다.
재료의 다양화 뿐만 아니라 재봉틀의 다기능화 및 고속화를 수반하는 스티치 건너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날(50; blade)의 팁 단부에 형성된 바늘 구멍(51)에 인접하여 자루(shank)쪽으로 위치되고 또한 긴 홈(52)이 형성되는 표면의 반대 표면상에 형성된 스카프(53)를 갖는 도 13a에 도시된 재봉틀 바늘, 및 예를 들어 스카프(53)의 반대 측면을 크랭크(54) 형태로 돌출시킴으로써 추가로 깊어진 스카프(53)를 갖는 도 13b에 도시된 재봉틀 바늘이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재봉틀의 추가적인 고속화 및 다기능화와 추가적인 재료의 다양화를 처리하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기능 및 품질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프(53)를 형성함으로써 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54)를 형성하여 스카프(53)를 깊게함으로써 단순히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에 대한 만족스런 대책이 제공될 수 없었다.
도 13a에 도시된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크랭크가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통 저항이 작으므로 직물 실 파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스카프(53)가 매우 깊게 형성될 수 없어서 스티치 건너뜀의 발생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도 13b에 도시된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크랭크(54)에 의해 깊은 스카프(53)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스티치 건너뜀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는 반면에, 크게 돌출하는 크랭크(54)로 인해 관통 저항이 더 커지게 되고 직물 실 파손이 쉽게 발생한다. 또한, 더 깊은 스카프(53)를 얻기 위해 크랭크(54)의 돌출 높이가 증가되는 경우, 일반적인 사용에 있어서 바늘판 및 회전 후크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이러한 종류의 재봉틀 바늘에 적합한 전용 부품으로 자주 교체될 필요가 있어서 취급 및 조작성에 대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카프와 크랭크를 포함하는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재봉틀 바늘의 구멍 웨브부(eye web portion)에 형성되어 바늘이 직물을 관통할 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키는 굴곡된 오목부를 갖는 또 다른 종류의 재봉틀 바늘이 또한 개시되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0-325685 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재봉틀 바늘은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기는 어렵다.
스카프를 상술한 바와 같이 깊게 하는 방법은, 재봉틀의 고속화 및 다기능화와 재료의 다양화에 의해 발생된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가 없는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스카프(53)가 깊어지면, 그 안에 형성된 스카프(53)를 갖는 날 부분의 두께는 얇아지게 되고, 그 결과 날의 강도가 감소하고, 그러한 날의 불충분한 강도로 인해 바늘의 파손 또는 스티치 건너뜀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54)의 형성에 의해 스카프(53)가 깊어진다 하더라도, 바늘이 직물(55)을 통과할 때 바늘이 크랭크(54)에서 증가된 저항을 받게 되어 직물의 관통중에 바늘이 구부러지기 때문에, 바늘은 직물(55)을 일직선으로 관통할 수 없다. 바늘이 과도하게 구부러지면, 바늘은 바늘판 또는 바늘 받침부와 직접 충돌하게 되고, 그 결과 바늘이 파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향상된 속도로 작동하고 다기능 및 다양화된 재료를 갖는 현재의 재봉틀에 사용되는 재봉틀 바늘용으로 더 만능의 기능 및 품질을 갖는 재봉틀 바늘이 필요하다.
고속의 재봉틀에 적합한 재봉틀 바늘의 필요조건은, 원하는 치수 및 적은 편차를 갖는 솔기 형성에 필요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것 뿐만 아니라, 고속 운동을 견디는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것이다.
다중 방향성 재봉틀에 적합한 재봉틀 바늘의 필요조건은, 360°의 모든 방향으로의 균형잡힌 강도를 갖는 것이고 또한, 재봉실의 특정한 꼬임 방향으로 인해 루프 형성에 사용된 재봉실의 양이 너무 많은 경우에 루프가 기울어지고 그 결과 스티치 건너뜀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기울어진 루프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스티치 건너뜀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작용하는 깊은 스카프를 갖는 것이다.
이전에는, 평직 직물, 모켓, 트리코, 카펫, 가죽 등이 자동차 시트용 재료로서 사용되었다. 이들 재료는 비교적 두꺼운 재봉틀 바늘이 이 재료를 관통한다 하더라도 직물 실 파손 문제를 좀처럼 경험하지 않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재료의 두드러진 진보에 의해, 최근에 저지계 재료가 자주 사용되게 되었고, 그 결과 이러한 재료를 사용하여 재봉하는중에 직물 실 파손 문제가 자주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한 상태에 대한 대책으로서 N0. 2 내지 NO. 5 의 얇은 재봉틀 바늘이 사용되었다 하더라도, 불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봉틀 바늘 때문에 스티치 건너뜀 및 바늘 파손과 같은 2차적인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유사한 문제가 바지 재봉 또는 신발 재봉의 분야에서 발생하였고,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는 니트 직물 재봉(knit fabric sewing) 및 여자용 속옷 또는 란제리 재봉에 있어서 전통의 주요 문제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의 다기능 재봉틀 및 사용된 다양한 재료에 관계없이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가 없는 고품질의 재봉틀 바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바늘이 제공된다. 재봉틀 바늘은 자루, 자루에 연결된 날, 날의 말단에 형성된 바늘끝, 바늘끝의 부근에 형성된 바늘 구멍, 및 날을 따라 바늘 구멍으로부터 연장하는 긴 홈을 포함하고, 긴 홈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날의 표면에는 바늘 구멍의 자루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카프가 제공되어 있고, 스카프가 형성되어 있는 날의 부분에는 부분의 측면이 바늘의 중심축에 대해 스카프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외부 돌출하도록 크랭크가 형성되어 있고, 스카프에 인접하는 바늘 구멍의 단부는 날의 윤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부 돌출되어 있다. 관통 저항에 따라 크랭크의 돌출 높이와 바늘 구멍의 단부의 돌출 높이의 합계 치수가 긴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날의 높이의 30%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 크랭크는 감소된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바늘 구멍 및 크랭크의 단부는 바늘의 중심축에 대해 정반대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할 수 있고, 그 결과 직물의 관통중의 저항은 종래의 재봉틀 바늘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아지므로, 직물 실 파손의 발생의 개연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바늘 구멍의 돌출 단부와 크랭크의 상승 효과에 의해 깊은 스카프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재봉중의 스티치 건너뜀도 방지될 수 있다.
바늘 구멍의 양쪽 측벽이 바늘 구멍의 단부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꼭대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는 바늘이 직물을 관통할 때 바늘 실에 대한 손상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바늘끝 부근의 날의 바늘 구멍 부분이 바늘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직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는 재봉중에 바늘 낙하 구멍과 바늘 사이의 간극을 감소시켜 바늘의 진동을 억제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스티치 건너뜀의 발생의 개연성이 추가로 감소된다.
긴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긴 홈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는 긴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날의 강도를 추가로 강화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바늘의 진동 크기가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날의 적어도 양쪽 측면상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조는 직물에 대한 바늘의 접촉 저항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직물 실 파손의 발생의 개연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늘 열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 양태,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재봉틀 바늘의 전체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고, 도 1b는 중심축을 따라 도시한 바늘의 횡단면도.
도 2는 바늘의 바늘끝의 확대 배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도 1b의 선 A-A 내지 E-E를 따라 도시한 재봉틀 바늘의 부분을 각각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바늘 구멍 부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작용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6a는 종래의 재봉틀 바늘이 직물을 관통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b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이 직물을 관통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바늘끝의 개략적인 설명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바늘이 바늘판의 구멍을 관통할 때 재봉틀 바늘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종래의 재봉틀 바늘에 의해 얻어진 위치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에 의해 얻어진 위치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도면으로서, 도 9a는 재봉틀 바늘의 전체 형상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이고, 도 9b는 중심축을 따라 도시한 바늘의 횡단면도.
도 10은 바늘의 바늘끝의 확대 배면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라 도 9b의 선 A-A 내지 D-D를 따라 도시한 재봉틀 바늘의 부분을 각각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회전 후크의 바늘 낙하 구멍과 바늘의 바늘끝 사이의 간극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2a는 종래의 재봉틀 바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2b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에 대한 측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종래의 재봉틀 바늘의 형상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3a는 스카프만이 제공된 재봉틀 바늘의 바늘끝의 개략적인 확대 측면도이고, 도 13b는 스카프 및 크랭크가 제공된 재봉틀 바늘의 바늘끝의 개략적인 확대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자루 21: 제 2 날 22: 제 1 날 31, 32: 테이퍼
4 : 스카프 5 : 바늘 구멍 6 : 바늘끝 7 : 긴 홈
8 : 크랭크 9 : 단부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a 내지 도 3e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제 1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도면 부호 1 은 자루, 도면 부호 21는 제 1 테이퍼(31)를 통해 자루(1)에 연결된 제 2 날, 도면 부호 22는 제 2 테이퍼(32)를 통해 제 2 날(21)에 연결된 작은 직경의 제 1 날, 도면 부호 4 는 제 1 날(22)의 팁측에 형성된 스카프, 도면 부호 5, 6, 7 은 각각 바늘 구멍, 바늘끝, 긴 홈을 나타낸다.
스카프(4)는, 자루(1)쪽으로 바늘 구멍(5)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긴 홈(7)이 형성된 표면의 반대 표면상에 형성된다. 스카프(4)가 형성된 제 1 날(22)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스카프(4)의 반대측 부분이 외부 돌출하여 크랭크(8)를 형성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프(4)에 인접하는 바늘 구멍(5)의 단부(9)는 제 1 날(22)의 윤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d)로 외부 돌출하여 볼록 돌기를 형성한다. 도면 부호 10 은 바늘 구멍(5)의 양쪽 측벽을 나타낸다.
바늘이 직물을 관통할 때에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테이퍼(31, 32)를 포함하는 제 2 날(21) 및 제 1 날(22)의 양쪽 외부 측면에는 도 3d 및 도 3e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1)는 날 외에 바늘 구멍(5)을 따라 바늘끝(6)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 긴 홈(7)의 깊이 방향의 날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홈(7)의 깊이 방향 높이(L1)와 너비 방향 너비(L2)가 동일하거나 또는 높이(L1)가 너비(L2)보다 더 크도록하는 단면을 제 1 날(22) 및 제 2 날(21)이 갖는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바늘 구멍(5)의 단부(9)만이 제 1 날(22)의 윤곽으로부터 높이(d)로 외부 돌출한다 하더라도, 바늘 구멍(5)의 양쪽 측벽(10)의 꼭대기(101)는 바늘 구멍(5)의 돌출 단부(9)와 균형을 맞추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구멍(5)의 단부(9)와 동일한 높이로 또한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바늘 구멍 단부(9)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바늘 구멍(5)의 측벽(10)의 꼭대기(101)는, 바늘 실이 바늘 구멍 단부(9)를 통과할 때 바늘 실의 파손을 줄이고 이로써 바늘 실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은, 바늘 구멍 단부(9)의 돌출에 의해 크랭크(8)의 외부 돌출 높이를 가능한 한 낮게 제한하면서 스카프(4)의 깊이를 가능한 한 깊게 증가시킴으로써 직물 실의 파손 및 스티치 건너뜀의 복합 문제를 해소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의 주요 부분은 종래의 재봉틀 바늘의 주요 부분과 비교하여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재봉틀 바늘에 크랭크(54)만이 제공되어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D)를 갖는 스카프(5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크랭크(54)가 높이(H)를 가질 필요가 있는 경우, 동일한 깊이(D)를 갖는 스카프(4)를 형성하기 위해, 높이(d) 만큼 돌출된 바늘 구멍 단부(9)를 갖는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은 바늘 구멍 단부(9)의 돌출 높이(d)와 동일한 치수 만큼 스카프(4)의 바닥면이 얇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카프의 바닥부 사이의 높이차 만큼 크랭크(54)의 돌출 높이(H)가 감소될 수 있고,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크랭크(8)의 돌출 높이(h)는h=H-d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충분한 깊이의 스카프(4)의 형성에 의해, 재봉중에 루프가 회전 후크의 팁에 의해 확실히 잡힐 수 있으므로, 스티치 건너뜀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동시에, 크랭크(8)의 높이가 종래의 재봉틀 바늘의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바늘이 직물을 관통할 때 저항이 더 작아져서 결과적으로 직물 실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직물의 관통중에 관통 저항이 낮아짐으로써, 바늘의 구부러짐이 거의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바늘이 바늘판 또는 바늘 받침부와 충돌하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바늘의 파손이 방지된다.
바늘 구멍 단부(9)의 돌출 높이(d)와 크랭크(8)의 돌출 높이(h)의 합계(d+h)가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제 1 날(22)의 높이(L1)의 30%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d 참조).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가 제 1 날(22) 및 제 2 날(21)의 양쪽 측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이 직물(55)을 관통할 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1)에 의해 바늘과 직물(55)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므로, 접촉 영역이 더 작아져서 접촉 저항이 낮아지고, 그 결과 직물의 관통중에 관통 저항 및 바늘 열이 감소한다. 그와 반대로, 오목부가 없는 종래의 재봉틀 바늘의 경우에, 날(50)의 전체 외주면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55)과 접촉하고, 그 결과 직물의 관통중에 관통 저항 및 바늘 열이 증가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선으로 표시된 종래의 재봉틀 바늘과는 다르게, 바늘 구멍(5)의 돌출 단부(9)의 꼭대기 부근으로부터 바늘끝(6)쪽으로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바늘끝의 테이퍼 각( θ)이 더 작아지게 되므로, 종래의 재봉틀 바늘과 비교하여 더 날카로운 바늘끝(6)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바늘 구멍(5)의 양쪽 측벽(10)의 꼭대기(101)가 바늘 구멍(5)의 돌출 단부(9)의 꼭대기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므로, 바늘 실을 보호하여 바늘 실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8a 및 도 8b에는 바늘이 바늘판의 구멍을 관통할 때의 재봉틀 바늘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a는 도 13b의 종래의 재봉틀 바늘에 의해 얻어진 위치도이며, 반면에 도 8b는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에 의해 얻어진 위치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큰 크기의 크랭크(54)는 날(50)로부터 일방향으로만 돌출하고, 따라서 크랭크(54)의 크기에 따라서 바늘은 바늘판의 구멍(15)을 관통하기가 어렵다. 이와 반대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바늘 구멍 단부(9)는 크랭크(8)의 정반대측에 날(22)로부터 돌출하고 크랭크(8)의 돌출 높이는 바늘 구멍(5)의 돌출 단부(9) 때문에 감소되므로, 결과적으로 크랭크(8)의 돌출부는 바늘판의 구멍(15)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의 어떠한 바늘판도 손상되지 않은 채로 사용될 수 있고, 바늘판을 전용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과 같은 작업이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도 9a 내지 도 1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바늘의 제 2 실시형태가 도시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이들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시 반복하지 않는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은 자동화 재봉틀 등에 적합한 형상을 갖는 재봉틀 바늘을 예시하고, 제 1 실시형태의 재봉틀 바늘과의 단순한 차이점은, 날(2)이 단일 단의 구성을 채택하고, 바늘의 팁 단부에서의 바늘 구멍 부분(12)(도 9b 참조)이 바늘의 중심축(O)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기다란 직선 형상(예를 들어 직선부의 길이는 약 2 mm)을 갖도록 형성되어 바늘끝이 타원형 원뿔 형상(도 11a 참조)이고, 날(2)의 양쪽 측벽에는 어떠한 오목부도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이다(도 11d 참조).
제 2 실시형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구멍 부분(12)이 기다란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중에 회전 후크의 바늘 낙하부(13) 또는 바늘 낙하 구멍과 바늘 사이의 간극(14)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바늘의 진동이 작게 억제되고, 그 결과 스티치 건너뜀이 더욱 감소된다. 직선부가 짧은 경우에 있어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후크의 바늘 낙하부(13)와 바늘 사이의 간극(14)은 더 커지게 되고, 그 결과 바늘의 진동이 더 커진다. 다른 부분의 형상 뿐만 아니라 작용 및 효과도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재봉틀 바늘에실 홈으로서 긴 홈만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은 공지된 짧은 홈이 형성된 재봉틀 바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봉틀 바늘에 따르면, 긴 홈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날의 표면에는 바늘 구멍의 자루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카프가 제공되어 있고, 스카프가 형성되어 있는 날의 부분에는 부분의 측면이 바늘의 중심축에 대해 스카프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외부 돌출하도록 크랭크가 형성되어 있고, 스카프에 인접하는 바늘 구멍의 단부는 날의 윤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외부 돌출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에 의해, 크랭크의 돌출 높이가 감소하여 직물에 대한 관통 저항이 낮아지고, 이에 의해 직물 실 파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구조에 의해 바늘 구멍의 돌출 단부와 형성된 스카프를 갖는 날의 크랭크의 조합에 의해 스카프가 더 깊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스티치 건너뜀이 방지된다. 따라서, 고속의 다기능 재봉틀 및 다양화된 직물 재료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스티치 건너뜀 및 직물 실 파손의 복합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바늘의 중심축에 대해 정반대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하는 바늘 구멍의 돌출 단부 및 완만한 크랭크를 이용함으로써, 재봉틀 바늘의 각 부분에 대한 방사상 돌출 거리는 동일한 스카프 깊이가 얻어지는 경우라도 종래의 재봉틀 바늘의 거리의 반 정도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직물의 관통중에 관통 저항을 낮출 수 있고, 이에 의해 바늘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용 재봉틀 부품의 사용이 불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늘 구멍의 측벽의 꼭대기는 바늘 구멍의 돌출 단부의 꼭대기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그러한 구조는 바늘 구멍 단부에서 바늘 실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바늘의 팁 단부에서의 바늘 구멍 부분은 바늘의 중심축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한 구조는 회전 후크의 바늘 낙하 구멍과 바늘 사이의 간극을 추가로 감소시켜 바늘의 진동을 추가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스티치 건너뜀이 더 긍정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긴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가 긴 홈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날이 형성된다. 그러한 구조는 긴 홈의 깊이 방향으로의 날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날의 적어도 양쪽 측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는 직물과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켜 직물 실 파손 및 바늘 열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이고 현재적인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본원에 자세히 개시되었지만, 독창적인 개념이 다양하게 구현되어 채용될 수 있고, 첨부된 청구항이 종래 기술에 의해 제한된 것을 제외하고 변형예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자루(1), 상기 자루(1)에 연결된 날(2; 21, 22), 상기 날(2; 21, 22)의 말단에 형성된 바늘끝(6), 상기 바늘끝(6)의 부근에 형성된 바늘 구멍(5), 및 상기 날(2; 21, 22)을 따라 상기 바늘 구멍(5)으로부터 연장하는 긴 홈(7)을 포함하는 재봉틀 바늘에 있어서,
    긴 홈(7)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이격된 날(2; 21, 22)의 표면에는 바늘 구멍(5)의 자루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스카프(4)가 제공되어 있고;
    스카프(4)가 형성되어 있는 날(2; 22)의 부분에는 상기 부분의 측면이 바늘의 중심축(O)에 대해 상기 스카프(4)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외부 돌출하도록 크랭크(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카프(4)에 인접하는 상기 바늘 구멍(5)의 단부(9)는 상기 날(2; 22)의 윤곽으로부터 소정의 높이(d)로 외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8)의 돌출 높이(h)와 상기 바늘 구멍(5)의 단부(9)의 돌출 높이(d)의 합계 치수는 상기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날(2; 22)의 높이(L1)의 30% 이내로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구멍(5)의 양쪽 측벽(10)은 상기 바늘 구멍(5)의 단부(9)의 높이(d)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꼭대기(1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끝(6) 부근의 날(2)의 바늘 구멍 부분(12)은 바늘의 중심축(O)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끝(6) 부근의 날(2)의 바늘 구멍 부분(12)은 바늘의 중심축(O)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L1)가 상기 긴 홈(7)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L2)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날(2; 21, 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L1)가 상기 긴 홈(7)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L2)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날(2; 21, 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L1)가 상기 긴 홈(7)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L2)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날(2; 21, 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긴 홈(7)의 깊이 방향으로의 높이(L1)가 상기 긴 홈(7)의 너비 방향으로의 너비(L2)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이상인 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날(2; 21, 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21, 22)의 적어도 양쪽 측면에는 오목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날(21, 22)의 적어도 양쪽 측면에는 오목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날(21, 22)의 적어도 양쪽 측면에는 오목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날(21, 22)의 적어도 양쪽 측면에는 오목부(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 바늘.
KR1020030057588A 2002-08-23 2003-08-20 재봉틀 바늘 KR101030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43197A JP4043319B2 (ja) 2002-08-23 2002-08-23 ミシン針
JPJP-P-2002-00243197 2002-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163A true KR20040018163A (ko) 2004-03-02
KR101030934B1 KR101030934B1 (ko) 2011-04-27

Family

ID=3118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7588A KR101030934B1 (ko) 2002-08-23 2003-08-20 재봉틀 바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86315B2 (ko)
EP (1) EP1391548B1 (ko)
JP (1) JP4043319B2 (ko)
KR (1) KR101030934B1 (ko)
CN (1) CN100519877C (ko)
DE (1) DE60318656T2 (ko)
HK (1) HK1063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36415A1 (en) * 2008-08-07 2010-02-11 Tyco Healthcare Group Lp Surgical needle with reduced contact area
PL2896732T3 (pl) * 2014-01-21 2016-12-30 Igła szwalnicza z podwójną ochroną
PL3153617T3 (pl) * 2015-10-08 2018-11-30 Groz-Beckert Kg Igła do maszyny do szycia i sposób szycia
USD851907S1 (en) * 2016-08-29 2019-06-25 Nicole Lynn Hiza Hand sewing needle having periodic markings
JP6876299B2 (ja) * 2017-07-20 2021-05-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ステッチ加工部品の製造方法及び縫い針
KR101928061B1 (ko) 2017-09-27 2019-02-26 이기선 재봉틀의 바늘대와 재봉틀바늘 결합구조
CN109440316A (zh) * 2018-12-28 2019-03-08 吴江市宝鑫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用缝纫针
ES2955796T3 (es) 2020-12-16 2023-12-07 Groz Beckert Kg Aguja con cavidad para máquina de coser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1171A (en) * 1948-05-11 Needle
US3862611A (en) * 1973-12-12 1975-01-28 Maruzen Sewing Machine Sewing machine needle
US3929082A (en) * 1975-04-16 1975-12-30 Singer Co Needles for tufting or the like
JPS559320Y2 (ko) * 1975-05-08 1980-02-29
US3954072A (en) * 1975-05-28 1976-05-04 The Singer Company Needles for tufting or the like
DE3027534A1 (de) * 1980-07-21 1982-02-18 Josef 5100 Aachen Zocher Naehmaschinen-nadel
JPS6027554B2 (ja) * 1981-12-25 1985-06-29 オルガン針株式会社 ミシン針
US4458614A (en) * 1982-01-08 1984-07-10 Organ Needle Co. Ltd. Sewing machine needle
DE8315049U1 (de) * 1983-05-21 1983-09-29 Fa. Jos. Zimmermann, 5100 Aachen Tuftingnadel
JPS6040278U (ja) 1983-08-26 1985-03-20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ひだ取り装置
DE3636706A1 (de) 1986-10-28 1988-05-05 Singer Spezialnadelfab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olbennadeln fuer naehmaschinen sowie eine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kolbennadel
JPS6388282U (ko) * 1986-11-25 1988-06-08
JP2557366Y2 (ja) * 1991-03-29 1997-12-10 オルガン針株式会社 ミシン針
JP3125504B2 (ja) 1993-03-02 2001-01-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針板
DE19921913C2 (de) * 1999-05-12 2001-06-13 Groz Beckert Kg Nähmaschinennadel mit schlankem Öhr
DE19932288C2 (de) * 1999-07-10 2001-11-29 Groz Beckert Kg Nähmaschinennadel mit verbesserter Schlingenbildung
DE10008447C2 (de) * 2000-02-23 2002-07-25 Groz Beckert Kg Nähnadel zum multidirektionalen Nähen
KR200401422Y1 (ko) 2005-09-08 2005-11-15 서현배 전동미싱의 주름량 자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81280A (ja) 2004-03-18
KR101030934B1 (ko) 2011-04-27
EP1391548B1 (en) 2008-01-16
DE60318656D1 (de) 2008-03-06
HK1063065A1 (en) 2004-12-10
EP1391548A1 (en) 2004-02-25
CN100519877C (zh) 2009-07-29
CN1487136A (zh) 2004-04-07
US6986315B2 (en) 2006-01-17
US20040038000A1 (en) 2004-02-26
JP4043319B2 (ja) 2008-02-06
DE60318656T2 (de)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934B1 (ko) 재봉틀 바늘
US3469548A (en) Needle for sewing or the like
US6952999B2 (en) Sewing machine needle
US3862611A (en) Sewing machine needle
US6332417B1 (en) Sewing machine needle having a slender eye
JP4069270B2 (ja) 本縫い2本針ミシンの釜装置
JP2001348763A (ja) 編み機ニードル
CN101481858B (zh) 缝纫机针
US6318280B1 (en) Sewing machine needle having offset eye webs
US5465674A (en) Overedge stitch sewing device
US20190112739A1 (en) Sewing machine needle
US2824533A (en) Sewing machine needles
JPH06254282A (ja) ミシンの針板
CN211645546U (zh) 一种智能手套机叉刀
US5492072A (en) Half-turn hook with loop positioning surfaces
CN214496705U (zh) 一种包缝机的送料压脚结构
CN112941742B (zh) 一种反手拷边机用双针链条针位机构
CN218540038U (zh) 一种旋梭碗结构
JPS58112584A (ja) ミシン針
JP2001355166A (ja) 緯編み機、特に丸編み機用のラッチニードル
US947484A (en) Sewing-machine needle.
KR200375556Y1 (ko) 환편기용 실절단 바늘
JPS6141495A (ja) ミシンの3本糸かがり縫い用孔付き上部フツク
US4681047A (en) Structure of an upper hook provided with a hole and used in sewing machines for making overedge stitches
JPH021407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