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510A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510A
KR20040017510A KR1020020049590A KR20020049590A KR20040017510A KR 20040017510 A KR20040017510 A KR 20040017510A KR 1020020049590 A KR1020020049590 A KR 1020020049590A KR 20020049590 A KR20020049590 A KR 20020049590A KR 20040017510 A KR20040017510 A KR 2004001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strand
ring
wir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020049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7510A/ko
Publication of KR2004001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1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에 사용되는 언본디드 강연선 내부의 그리스를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거할 강연선의 외주면 소선들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중앙부 소선의 끝을 구부려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를 만들고 전연결고리 제거드럼 와셔 후연결고리를 가지는 그리스 제거기를 고리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제거기와, 당겨지는 강연선에 전연링을 끼운 후 강연선 끝 부분의 외주면 소선들을 꼬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 풀어서 풀어진 각각의 외주면 소선에 순차적으로 보강띠재를 감고 풀었던 강연선을 다시 꼬아주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 다음 보강띠재들을 강연선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번 돌려서 강연선을 감싸는 형대로 감아준 다음 강연선이 제거될 때 전연링과 보강띠재들이 피복 내부의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제거기 및 그리스제거방법과, 당겨지는 강연선 끝의 외주면 소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중앙부 소선에 암콘과 숫콘으로 구성된 웨지콘 부재를 설치한 다음 중앙부 소선의 끝에 연결고리를 만들어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제거기 및 그리스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언본디드 강연선 피복내 그리스를 제거함으로써 지하수 및 지중 환경오염을 방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Grease Removable Methods and Devices for Ground Anchor}
본 발명은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앵커(removable ground anchor)에 사용된 언본디드 강연선(unbonded strand)에서 지하수 오염 및 지중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그리스(grease)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에 사용되는 언본디드 강연선의 내부에 채워진 그리스를 공사후 그라운드앵커로부터 강연선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동시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중 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거식 그라운드앵커는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하는 공법이다. 대형 빌딩 등의 건축공사에서는 깊은 지하층을 건설하게 되는데 이때 공사중 수직으로 절단된 지하벽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지하 연속벽을 건설하며 이렇게 건설된 연속벽이 전도 등의 형태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방법으로 그라운드 앵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공사를 마친 후 지하 연속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그라운드 앵커에서 강연선을 제거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보이는 것과 같이,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강연선(11)은, 통상 직경 12.7(mm) 혹은 15.2(mm)의 것으로 7개의 소선을 꼬아서 만드는 강연선(strand)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강연선이 지중에서 시멘트 페이스트인 시멘트 모르타르와 접촉하여 고정 부착되거나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연선을 통상의 프라스틱 피복을 이용하여 씌우고 피복과 강연선의 사이에는 공지의 방청 및 윤활 재료인 그리스(grease)를 채워 넣고 있다.
도 1은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의 개념도를 보인 것이다. 지하로 파내려 가면서 형성한 지하 연속벽(1)에 그라운드앵커 특히 제거식 그라운드앵커(2)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의 설치 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제거식 그라운드앵커는 지하 연속벽을 통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지중에 천공을 실시하여 앵커체를 삽입할 앵커공(4)을 뚫고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체(5)를 삽입하고는 시멘트 모르타르(8)를 채워 넣은 다음 일정기간 양생을 실시한 후에 언본디드 강연선(7)을 통상의 유압 인 장기를 이용하여 강하게 인장하여 공지의 앵커 정착구(9)를 이용하여 지하 연속벽에 고정함으로써 지하 연속벽이 전도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내하체(6)에 언본디드 강연선(7)을 밴딩을 이용하여 묶어서 형성된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체(5)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강연선(11)을 보호하기 위해 피복(13)을 씌우고 강연선(11)과 호스(13)의 사이의 공간 및 강연선의 꼬임에의해 형성된 골 등에 공지의 그리스(12)를 채워 넣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공지의 강연선은 중앙에 중앙부 소선(15)을 두고 다시 그 외주를 따라 6개의 외주면 소선(14)을 배치한 다음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꼬아서 만들어 진다. 따라서 꼬임방향을 따라 외주면 소선 사이의 골이 존재하게 되며 이 골 및 피복과의 사이을 그리스(13)가 채우고 있다.
상기 그리스(grease)는 앵커 제거시 호스(13)로부터 강연선(11)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또 호스가 손상을 입어 시멘트 모르타르(8)가 호스(13)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그리스(12)와 혼합되도록 하여 시멘트 모르타르(8)의 양생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호스(13)와 강연선(11) 사이에는 그리스(12)를 채워 넣고 있다.
그러나 호스로부터 강연선을 뽑아내더라도 대부분의 그리스는 호스에 묻어지중에 영원히 묻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도 2 및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언본디드 강연선이 U자로 절곡되는 부분에서 심하게 일어나며 강연선이 U절곡부를 돌아서 나오는 과정에서 좁아진 공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그리스를 남겨 두고 강연선만 뽑혀 나오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앵커는 도 2에 보이는 바와같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지중에 매설되며 따라서 호스에 묻어서 지중에 잔류하고 있는 그리스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내려 결국에는 끝단으로 몰리게 되면서 시간이 흐름과 함께 지중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되며 따라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을 기름으로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도 5는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의 내하체, 도 6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제거 개념도를 보인 것이다. 제거식 그라운드앵커는 도 5와 같은 형상을 가진 내하체에 언본디드 강연선을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철재 밴드를 이용하여 밴딩을 실시한다. 도 2 및 도 6은 내하체에 언본디드 강연선을 밴딩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제거 개념도를 보인 것이다. 토목공사를 완료하여 그라운드앵커가 더 이상 필요 없는 상황이 되면 지중에 설치된 그라운드앵커로부터 강연선을 지상으로 발출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도 6은 그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공지의 앵커 정착구(9)의 정착을 해제한 다음 강연선의 한쪽끝을 잡아 당기게 되면 반대편의 강연선은 U자로 계속해서 절곡이 되면서 결국에는 끌려오면서 제거된다. 그런데 이때 도 6의 도면의 중하단에 부분 확대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언본디드 강연선(7)은 끌려 가면서도 지중에 영원히 매립되는 피복(12)에 대부분의 그리스(11)를 남겨두게 된다. 즉 강연선(11)을 제거한 후의피복(12) 내부을 닦어 보면 많은 양의 피복내 잔류 그리스(32)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6은 이러한 상황을 보인 것으로 피복내 잔류 그리스(32)는 지중 오염원이 되는 것이다. 통상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경우 꼬임 강연선(2)의 외경은 12.7(mm)이며 호스(3)와 강연선(11)의 사이에는 그리스가 빈틈없이 채워지고 있다.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한 본은 통상 그리스로 채워진 4내지 6~8선의 언본디드 강연선을 사용하며 앵커 한 본의 길이는 통상 십 수 미터에서 수 십 미터에 이른다. 이러한 앵커가 중형 공사현장의 경우에도 통상 수 백 본에서 때로는 1000본 이상이 사용된다. 즉 많은 양의 그리스가 앵커의 피복 내부에 잔류하여 지중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중에 매설된 강연선이 부식되어 토양을 오염할 수 있다고 하여 강연선을 제거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강연선을 제거하였다고 하더라도 앵커의 피복에 묻어 지중에 잔류한 그리스는 더욱 심각한 지중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라운드앵커 제거시 즉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강연선을 지상으로 발출하여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복 내부에 잔류하는 그리스를 제거함으로써 그리스로 인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오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연선 제거시, U자로 절곡된 강연선의 한 쪽 끝을 잡아 당기게 되면 자연히 다른 쪽 끝은 지중으로 끌려 들어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U자 절곡된 강연선의 당기고 끌려가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끌려 들어가는 쪽 강연선의 끝 부분에 그리스 제거장치를 부착하여, 강연선이 피복 내부로 당겨지면서 제거되는 과정에서 당겨지는 강연선의 끝 부분에 부착된 그리스 제거장치가 피복 내부에 묻어 있는 그리스를 동시에 제거하면서 끌려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연선의 당겨지는 쪽 끝을 택하여 중앙부 소선은 일정 길이가 남도록 하는 상태에서 외주면 소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남겨진 중앙부 소선의 끝을 꼬아서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그리고는 1단 제거기의 전연결고리를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에 걸어서 연결하며 이때 1단 제거기에는 1단 제거드럼이 끼워져 있고 다시 통상의 와셔가 1단 제거드럼의 뒷 부분을 받치고 있으며 1단 제거기의 끝 부분은 후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동일한 과정을 거쳐, 2단 제거기의 전연결고리를 1단 제거기 후연결고리에 연결함으로써 다시 2단 제거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복수 개로 설치된 그리스 제거기들은 강연선이 피복 내부로 끌려갈 때 같이 피복 내부로 끌려 들어가면서 피복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그리스를 닦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방법을 발명하였는바, 강연선은 꼬임 강선이라는 특성상 그 꼬임 방향과 반대로 돌리면 외주면 소선들이 작은 힘으로도 풀리게 되는데 강연선의 이러한 풀림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당겨지는 강연선의 끝 부분의 소선들을 꼬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 풀어서 각각의 외주면 소선에 순차적으로 보강때재를 감고는 다시 풀어진 강연선을 꼬아준다. 그러면 각각의 소선에 감겨진 보강띠재는 강선의 꼬임과 함께 강하게 소선에 결속이 되는데이때 일정길이로 남은 보강띠재를 강연선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번 돌려서 강연선을 감싸는 형태로 감아준다. 이때 강연선에 감겨진 보강띠재들의 앞 부분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통상의 링 형태의 전연링이 위치할 수 있도록 보강띠재들을 감기 전에 먼저 끼워준 다음에 보강띠재들을 감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된 전연링과 보강띠재들은 강연선이 피복 내부로 끌려갈 때 같이 피복 내부로 끌려 들어가면서 피복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그리스를 닦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방법을 발명하였는바, 강연선의 당겨지는 쪽 끝을 택하여 중앙부 소선은 일정 길이가 남도록 한 상태에서 외주면 소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남겨진 중앙부 소선에 암콘과 숫콘으로 구성된 웨지콘 부재를 설치한 다음 중앙부 소선의 끝에 연결고리를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연결고리에는 상기의 그리스 제거기들이 연결될 수 있다. 중앙부 소선에 채워진 웨지콘 부재는 강연선이 당겨질 때 오히려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웨지콘 부재는 강연선이 당겨질 때 피복 내부로 같이 끌려가게 된다. 웨지콘 부재는 강한 금속으로 만들게 되는데 강한 금속의 특성상 끌려가면서 피복 내부에 묻은 그리스를 닦아줌과 함께, 피복의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강제로 모양을 형성시켜주는 역할을 아울러 수행함으로써,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그리스 제거기들이 원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과 장치들은 강연선 제거시 피복내 잔류 그리스를 아울러 제거함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오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개념도
도 2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4는 7본 꼬임 강연선의 단면 및 측면도
도 5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내하체
도 6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제거 개념도
도 7-1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
도 7-2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 상세
도 7-3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의 또다른 예
도 7-4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의 또다른 예
도 7-5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의 또다른 예
도 7-6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장면
도 8-1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또다른 실시예
도 8-2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측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장면
도 9-1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또다른 실시예
도 9-2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웨지콘 부재 상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하연속벽 2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3 : 정착지반 4 : 앵커공
5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6 : 내하체
7 : 언본디드 강연선 8 : 시멘드 모르타르
9 : 앵커 정착구
11 : 강연선 12 : 피복
13 : 그리스 14 : 외주면 소선
15 : 중앙부 소선
21 : U자형 절곡홈 22 : 내하체 선단
23 :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 24 : 상측 결속부
25 : 하측 결속부 26 : 상하 연결부재
31 : 제거되는 강연선 32 : 피복내 잔류 그리스
41 : 절단된 외주면 소선 42 :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
43 : 용접부 44 : 1단 제거기 전연결고리
45 : 1단 제거기 46 : 1단 제거드럼
47 : 와셔 48 : 1단 제거기 후연결고리
51 : 2단 제거기 전연결고리 52 : 2단 제거기
53 : 2단 제거드럼 54 : 2단 제거기 후연결고리
61 : 드럼몸체 62 : 중앙통공
63 : 전연부컷 64 : 테이퍼홀
65 : 보조링 66 : 와이어 브러쉬
71 : 1단부 제거된 그리스 72 : 2단부 제거된 그리스
81 : 보강띠재 82 : 골채움재
83 : 전연링 84 : 그리스
91 : 웨지콘 부재 92 : 후단 제거기 연결고리
101 : 암콘 102 : 숫콘
103 : 숫콘 전연부 104 : 암콘 내경나선부
105 : 숫콘 얹힘부 106 : 중앙통공
107 : 절단부 108 : 당김방향 화살표
109 : 암콘에 대한 반력방향 화살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1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를 보인 것으로, 당겨질 쪽의 강연선에서 중앙부 소선은 제외하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단된 외주면 소선(41)의 상태가 되도록 외주면 소선들을 일정한 길이만큼 절단한 후, 남겨진 중앙부 소선을 둥근 형태등으로 말아서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42)를 형성한다. 이때 고리의 끝 부분과 중앙부 소선을 용접하여 용접부(43)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튼튼히 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42)에는 1단 제거기(45)를 연결하는데, 이때 제거기는 도면7-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철선의 양편에 고리를 형성하고 중앙에는 제거드럼(46,53) 및 와셔(47)을 설치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1단 제거기(45)는 한편에는 1단 제거기 전연결고리(44)를 가지며 다른 편에는 1단 제거기 후 연결고리(48)를 가진다. 이때 전연결고리(44)와 후연결고리(48)의 사이에는 1단 제거드럼(46)이 끼워지고 1단 제거드럼(46)의 뒤에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통상의 와셔(47)를 끼워서 1단 제거드럼(46)의 뒷부분을 받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42)에 1단 제거기(45)를 연결한 후에는, 상기 1단 제거기와 동일한 혹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2단 제거기(52)를 1단 제거기 후연결고리(48)에 2단 제거기 전연결고리(51)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이때 2단 제거기(52)도 상기 1단 제거기(45)에 설명한 바와 같이 2단 제거기 전연결고리(51), 2단 제거드럼(53), 와셔(47), 2단 제거기 후연결고리(54)의 순서로 만들어 진다. 본 설명에서는 1단과 2단의 두 단계를 예시하였으나 연결고리의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하거나 혹은 감소할 수 있다.
도 7-2, 도 7-3, 도 7-4, 도 7-5는 상기 도 7-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46,53)의 상세 및 여러 예를 보인 것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 상세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중공 봉 형태의 모양을 가진 것으로, 일정 길이의 둥근 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61)가 있으며 몸체의 한편에는 일정한 각도로 모따기를 한 형태의 전연부 컷(63)이 있으며 드럼몸체(61)의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6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46,53)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드럼몸체(61)는 구리 등과 같은 경금속, 우레탄, 고무, 프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도 7-3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 제거드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중공 봉 형태의 모양을 가진 것으로, 일정 길이의 둥근 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61)가 있으며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62)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중앙통공(62)의 한편은 점점 그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취하는 통상의 테이퍼 형태를 연상시키는 테이퍼홀(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46,53)을 보여주고 있다.
도 7-4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의 또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중공 봉 형태의 모양을 가진 것으로, 일정 길이의 둥근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61)가 있으며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62)이 있으며 이때 드럼몸체(61)의 외주면에는 통상의 링과 같은 부재를 끼워넣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그 자리에 통상의 링 형상을 가지는 보조링(65)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46,53)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보조링(65)의 단면은 둥글거나 혹은 네모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5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제거드럼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으로,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구멍 등을 청소할 때 사용하는 통상의 기구인 와이어 부러시(66)를 보인 것으로 통상의 와이어 브러쉬를 상기 도 7-1에 설명한 바와 같은 전후의 연결고리를 가지는 형태로 개조하여 그리스 제거기(45,52)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6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장면을 보인 것으로, 도면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그림 우측에 보이는 화살표는 강연선이 당겨지는 방향을 예시한 것으로 그리스 제거기들의 진행 방향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피복(12) 내부를 따라 진행하는 다단으로 설치된 그리스 제거기는 각각의 1 단 2단 제거드럼(46,53)이 피복(12) 내부를 강제로 끌려가면서 피복 내부에 남아 있는 그리스(71,72)를 닦아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제거드럼(46,53)들은 상기의 도 7-2, 도 7-3, 도 7-4, 도 7-5에서 설명한 각각의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1은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강연선(11)은 꼬임강선이라는 특성상 그 꼬임 방향과 반대로 돌리면 외주면 소선(14)들이 작은 힘으로도 풀리게 되는데 강연선의 이러한 풀림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당겨지는 강연선(11)의 끝 부분의 외주면 소선(14)들을 꼬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 풀어서, 이렇게 풀어진 각각의 외주면 소선(14)에 순차적으로 보강띠재(81)를 감고는 풀었던 강연선(11)을 다시 꼬아주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다. 그러면 각각의 외주면 소선(14)에 감겨진 보강띠재(81)들은 강연선의 꼬임과 함께 강하게 각각의 외주면 소선(14)에 결속이 되며 이때 일정 길이로 남은 보강띠재(81)들을 강연선(11)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 번 돌려서 강연선(11)을 감싸는 형대로 감아준다. 이때 보강띠재(81)를 강연선(11)의 외주면을 따라 감기 전에 강연선(11) 소선들 사이에 형성된 골에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고무 프라스틱 혹은 철제등의 재료를 골채움재(82)로 이용하여 채워준 다음에 그 위로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보강띠재(81)들을 강연선(11)의 외주면을 따라 감아줄 수 있다. 도 8-2에 보이는 것과 같이 강연선(11)에 감겨진 보강띠재(81)들의 앞 부분에는 일정한 높이를 가는 통상의 링 형태의 전연링(83)이 위치할 수 있도록 보강띠재(81)들을 감기 전에 강연선(11)에 끼워준 다음에 보강띠재(81)들을 감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된 전연링(83)과 보강띠재(81)들은 강연선(11)이 피복 내부로 끌려갈 때 같이 피복 내부로 끌려 들어가면서 피복 내부에 존재하는 잔류 그리스(13)를 닦게 된다.
도 8-2는 상기의 도 8-1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측면도를 보인것으로 강연선(11)에 전연링(83)이 위치하고 그 뒷편으로 보강띠재(81)들이 강연선(11)을 감싸며 감겨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8-3은 상기 도 8-1, 도 8-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방법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장면을 보인 것으로 전연링(83)과 보강띠재(81)를 감은강연선(11)들이 피복 내부를 통과하면서 피복 내부에 도포된 그리스(13)을 제거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있다.
도 9-1과 도 9-2는 본 발명의 그리스 제거기의 또 다른 실시예 및 그리스 제거기의 웨지콘 부재 상세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담고이다. 도 9-1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강연선(11)의 당겨지는 쪽 끝을 택하여 중앙부 소선(15)은 일정 길이가 남도록 한 상태에서 외주면 소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절단된 외주면 소선(41)을 형성하고는 남겨진 중앙부 소선(15)에 암콘(101)과 숫콘(102)으로 구성된 웨지콘 부재(91)를 설치한 다음 중앙부 소선(15)의 끝에 연결고리(42)를 만든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연결고리에는 상기의 그리스 제거기(45,52)들이 연결될 수 있다. 중앙부 소선(15)에 채워진 웨지콘 부재(91)는 강연선(11)이 당겨질 때 오히려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웨지콘 부재(91)는 강연선(11)이 당겨질 때 피복 내부로 같이 끌려가게 된다. 웨지콘 부재(91)는 강한 금속으로 만들게 되는데 강한 금속의 특성상 끌려가면서 피복 내부에 묻은 그리스를 닦아줌과 함께, 피복의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강제로 모양을 형성시켜주는 역할을 아울러 수행함으로써,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그리스 제거기(45,52)들이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도 9-2는 도 9-1을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웨지콘 부재의 상세를 보인 것으로, 웨지콘 부재(91)는 암콘(101)과 숫콘(102)으로 구성되며,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암콘(101)은 둥근 형상의 봉에 내부를 가공하여 통상의 테이퍼 형상의 구멍을 형성한 모양을 한 것으로, 당겨지는 방향의 외주의 각진 면에는 모따기를 실시한 숫콘 전연부(103)을 형성하고 내부의 구멍은 통상의 테이퍼 형상으로 가공하여 역시 테이퍼콘의 형상을 취하는 숫콘(102)이 자연스럽게 얹힐 수 있는 숫콘 얹힘부(105)를 형성하게 된다. 숫콘(102)은 그 중심에는 중앙통공(106)을 가지는 통상의 테이퍼콘 형상을 한 것으로 중앙통공(106)에는 암콘 내경나선부(104)를 형성하여 그 이빨로 체결되는 상대편을 파고들어 강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높이 방향으로 2 혹은 그 이상의 조각이 되도록 절단한 절단부(107)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암콘(101)과 숫콘(102)은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결합이 되어 암콘 내경나선부(104)에 형성된 이빨로 중앙부 소선(15)을 강하게 파고들며 물리게 하여 결속시킨다. 도면에 보이는 오른쪽을 향하고 있는 큰 화살표는 강연선 제거시 당겨지는 방향을 가리키고자 표시한 것으로 즉 당김방향 화살표(108)이며 그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작은 두 개의 화살표는 강연선이 당겨질 때 피복과 마찰로 생길 암콘에 대한 반력방향 화살표(109)를 보인 것이다. 암콘(101)과 숫콘(102)으로 구성된 웨지콘 부재(91)는 웨지콘 결합의 특성상 반력(109)이 클수록 오히려 체결력은 더욱 증가하게 되어 강하게 결속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앙부 소선(15)에 채워진 웨지콘 부재(91)는 강연선(11)이 당겨질 때 오히려 조여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이렇게 설치된 웨지콘 부재(91)는 강연선(11)이 당겨질 때 피복 내부로 같이 끌려가게 된다. 웨지콘 부재(91)는 강한 금속으로 만들게 되는데 강한 금속의 특성상 끌려가면서 피복 내부에 묻은 그리스를 닦아줌과 함께, 피복의 형상이 원형이 되도록 강제로 모양을형성시켜주는 역할을 아울러 수행함으로써, 연결고리를 통해 연결되는 그리스 제거기(45,2)들이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리스 제거기를 통해 강연선 제거와 동시에 피복 내부에 존재하는 그리스를 제거함으로써 기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및 지중오염을 방지해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제거할 강연선의 외주면 소선들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중앙부 소선의 끝을 구부려 중앙부 소선 연결고리를 만들고, 전연결고리 제거드럼 와셔 후연결고리를 가지는 그리스 제거기를 고리 연결방식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제거기
  2. 상기 청구항 1에서 일정 길이의 둥근 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가 있으며 몸체의 한편에는 전연부 컷이 있으며 드럼몸체의 중앙에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중앙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
  3. 상기 청구항 1에서 일정 길이의 둥근 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가 있으며 중심에는 중앙통공(62)이 있고 중앙통공의 한편은 점점 그 직경이 커지는 통상의 테이퍼 형태의 테이퍼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
  4. 상기 청구항 1에서 일정 길이의 둥근 형태를 가지는 드럼몸체가 있으며 중앙에는 중앙통공이 있으며 드럼몸체의 외주면에는 통상의 링 부재를 끼워넣을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그 자리에 통상의 링 형상을 가지는 보조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드럼
  5. 상기 청구항 1에서 통상의 기구인 와이어 부러시를 전후의 연결고리를 가지는 형태로 개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 제거기
  6. 당겨지는 강연선에 전연링을 끼운 후, 강연선 끝 부분의 외주면 소선들을 꼬임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려 풀어서 풀어진 각각의 외주면 소선에 순차적으로 보강띠재를 감고 풀었던 강연선을 다시 꼬아주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린 다음 보강띠재들을 강연선의 외주면을 따라 여러 번 돌려서 강연선을 감싸는 형대로 감아준 다음 강연선이 제거될 때 전연링과 보강띠재들이 피복 내부의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제거기 및 그리스 제거방법
  7. 당겨지는 강연선 끝의 외주면 소선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고 중앙부 소선에 암콘과 숫콘으로 구성된 웨지콘 부재를 설치한 다음 중앙부 소선의 끝에 연결고리를 만들어 그리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스 제거기 및 그리스 제거방법
KR1020020049590A 2002-08-21 2002-08-21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7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90A KR20040017510A (ko) 2002-08-21 2002-08-21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590A KR20040017510A (ko) 2002-08-21 2002-08-21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10A true KR20040017510A (ko) 2004-02-27

Family

ID=3732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590A KR20040017510A (ko) 2002-08-21 2002-08-21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75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26B1 (ko) * 2010-12-09 2013-02-12 김용만 윤활제 제거장치
KR101370025B1 (ko) * 2013-10-17 2014-03-05 정영철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4345U (ko) * 1978-02-20 1979-08-30
JPS5687186U (ko) * 1979-12-10 1981-07-13
JPS5868997U (ja) * 1981-11-04 1983-05-11 株式会社ハツコ− 管内部插通用ロ−プ
JPS609593U (ja) * 1983-04-15 1985-01-23 株式会社 モルテン 液体管洗浄具
JPS6039388U (ja) * 1983-08-25 1985-03-19 東京電設サ−ビス株式会社 管路内テレビ調査用排水具
JPS62166297A (ja) * 1986-01-17 1987-07-22 Dia Chem Kk 流体管内推進清掃具
JPH01231980A (ja) * 1988-03-10 1989-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管内作業用ピグ
JPH01270988A (ja) * 1988-04-20 1989-10-30 Osaka Gas Co Ltd 管内壁面のクリーニング用ピグ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H0270768A (ja) * 1988-05-25 1990-03-09 Fsk Corp プラズマ重合による基体表面コーティング法
JPH02150079A (ja) * 1988-11-30 1990-06-08 Oki Electric Ind Co Ltd スーパールミネッセントダイオード
JPH02284683A (ja) * 1989-04-24 1990-11-22 Hakko Co Ltd 管内の残留物回収方法
JPH0924353A (ja) * 1995-07-13 1997-01-28 Susumu Seino 配管用のブレード型清掃具
KR19980046815A (ko) * 1996-12-13 1998-09-15 이두철 건식 방식의 세관 슬러지 청소 장치
KR20000009315U (ko) * 1998-11-02 2000-06-05 이구택 개스 배관내의 타르 제거장치
JP2000167607A (ja) * 1998-12-08 2000-06-20 Sanyo Special Steel Co Ltd コ−ルドピルガーミル製品内面油の除去装置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4345U (ko) * 1978-02-20 1979-08-30
JPS5687186U (ko) * 1979-12-10 1981-07-13
JPS5868997U (ja) * 1981-11-04 1983-05-11 株式会社ハツコ− 管内部插通用ロ−プ
JPS609593U (ja) * 1983-04-15 1985-01-23 株式会社 モルテン 液体管洗浄具
JPS6039388U (ja) * 1983-08-25 1985-03-19 東京電設サ−ビス株式会社 管路内テレビ調査用排水具
JPS62166297A (ja) * 1986-01-17 1987-07-22 Dia Chem Kk 流体管内推進清掃具
JPH01231980A (ja) * 1988-03-10 1989-09-18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管内作業用ピグ
JPH01270988A (ja) * 1988-04-20 1989-10-30 Osaka Gas Co Ltd 管内壁面のクリーニング用ピグ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JPH0270768A (ja) * 1988-05-25 1990-03-09 Fsk Corp プラズマ重合による基体表面コーティング法
JPH02150079A (ja) * 1988-11-30 1990-06-08 Oki Electric Ind Co Ltd スーパールミネッセントダイオード
JPH02284683A (ja) * 1989-04-24 1990-11-22 Hakko Co Ltd 管内の残留物回収方法
JPH0924353A (ja) * 1995-07-13 1997-01-28 Susumu Seino 配管用のブレード型清掃具
KR19980046815A (ko) * 1996-12-13 1998-09-15 이두철 건식 방식의 세관 슬러지 청소 장치
KR20000009315U (ko) * 1998-11-02 2000-06-05 이구택 개스 배관내의 타르 제거장치
JP2000167607A (ja) * 1998-12-08 2000-06-20 Sanyo Special Steel Co Ltd コ−ルドピルガーミル製品内面油の除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226B1 (ko) * 2010-12-09 2013-02-12 김용만 윤활제 제거장치
KR101370025B1 (ko) * 2013-10-17 2014-03-05 정영철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0112A (en) Method of shoring and apparatus therefor
WO2018146431A1 (fr) Dispositif d'ancrage pour paroi moulee precontrainte
JPH0617580B2 (ja) 取り外し可能な引張材
KR20040017510A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06642A (ko) 제거식 유턴 앵커용 내하체
US20040231740A1 (en) Method for repairing pipes
EP06535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iping from the ground
JP2618850B2 (ja) 高耐力杭の施工法
JP2008013996A (ja) ネット連結方法及びネット連結具
KR200296409Y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CA1059351A (en) Cable bolt
KR102199131B1 (ko) 영구형 앵커
JP3057625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
KR200313709Y1 (ko) 그라운드 앵커
JP2852218B2 (ja) 緊張材
JP3065966B2 (ja) 籠 体
JPH0941371A (ja) 除去アンカーおよび除去アンカー工法
JP3347703B2 (ja) 擁壁工法
KR102657622B1 (ko) 지표면의 안정을 도모하는 보강장치
KR200291883Y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그리스 제거기
CN216999371U (zh) 一种预应力涵结构
CN215629434U (zh) 一种悬浇箱梁纵向预应力筋总体穿索套筒组件
CN213086789U (zh) 一种便于拆卸的预应力锚索
KR101284182B1 (ko) 프리스트레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록볼트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JP3078241B2 (ja) 超耐久性引張型永久アンカー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