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6409Y1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 Google Patents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6409Y1
KR200296409Y1 KR2020020022690U KR20020022690U KR200296409Y1 KR 200296409 Y1 KR200296409 Y1 KR 200296409Y1 KR 2020020022690 U KR2020020022690 U KR 2020020022690U KR 20020022690 U KR20020022690 U KR 20020022690U KR 200296409 Y1 KR200296409 Y1 KR 200296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unbonded
hemispherical
coating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6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 부성산업엔지니어링
이 창 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성산업엔지니어링, 이 창 훈 filed Critical (주) 부성산업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200226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6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6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6409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에 사용되는 언본디드 강연선 내부의 그리스를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연선에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를 코팅하고 피복을 씌운 언본디드 강연선과, 강연선에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를 코팅한 후에 내측 피복, 외측 피복을 실시하고 그 사이에 분리재를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과, 강연선에 내측 분리재와 내측 피복 그리고 외측 분리재와 외측 피복을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고안하였다. 또한 언본디드 강연선을 내하체에 밴딩하는 과정에서 언본디드 강연선의 위에 피복 보호재를 씌우고 밴딩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아울러 한편에는 반구형 내하체 선단이 있으며 내부에는 끝은 막힌 중공이 있고 외주에는 요철이 있으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이 다수 개 있고 반구형 내하체 선단에는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내하체를 고안하였다. 이로써 언본디드 강연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언본디드 강연선에서 그리스를 제거함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오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Description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Removable Ground Anchor}
본 고안은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앵커(removable ground anchor)에 사용된 언본디드 강연선(unbonded strand)에서 지하수 오염 및 지중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공지의 그리스(grease)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언본디드 강연선의 손상을 유발하는 형성을 가진 종래의 내하체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목공사에 사용되는 제거식 그라운드앵커에서 언본디드 강연선과 또 언본디드 강연선의 찢어짐 등의 잦은 손상을 유발하는 종래의 내하체 형상을 개선하면서 아울러 언본디드 강연선의 내부에 채워진 그리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앵커 및 언본디드 강연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지중환경오염을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거식 그라운드앵커는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 사용하는 공법이다. 대형 빌딩 등의 건축공사에서는 깊은 지하층을 건설하게 되는데 이때 공사중 수직으로 절단된 지하벽면이 붕괴되지 않도록 지하 연속벽을 건설하며이렇게 건설된 연속벽이 전도 등의 형태로 붕괴되지 않도록 지탱하는 방법으로 그라운드 앵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도심지의 경우에는 공사를 마친 후 지하 연속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한 그라운드 앵커에서 강연선을 제거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공법에 사용되는 강연선은, 통상 직경 12.7(mm) 혹은 15.2(mm)의 것으로 7개의 소선을 꼬아서 만드는 강연선(strand)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강연선이 지중에서 시멘트 페이스트인 시멘트 모르타르와 접촉하여 고정 부착되거나 또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연선을 통상의 프라스틱 호스를 이용하여 씌우고 호스와 강연선의 사이에는 공지의 재료인 그리스(grease)를 채워 넣고 있다.
도 1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개념도를 보인 것이다. 지하로 파내려 가면서 형성한 지하 연속벽(1)에 그라운드 앵커 특히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2)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는 지하 연속벽을 통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지중에 천공을 실시하여 앵커공(4)을 뚫고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5)를 삽입한 후에 시멘트 모르타르(8)를 채워 넣고는 일정기간 양생을 실시한 후에 언본디드 강연선(7)을 통상의 유압 인장기를 이용하여 강하게 인장하여 공지의 앵커 정착구(9)를 이용하여 지하 연속벽에 고정함으로써 지하 연속벽이 전도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내하체(6)에 종래의 언본디드 강연선을 밴딩을 이용하여 묶어서 형성된 종래의 제거식그라운드 앵커(5)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강연선(11)을 보호하기 위해 호스(13)를 끼우고 강연선(11)과 호스(13)의 사이 공간 및 강연선의 꼬임에 의해 형성된 골 등에 공지의 그리스(12)를 채워 넣은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그리스(grease)는 앵커 제거시 호스(13)로부터 강연선(11)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과, 또 호스가 손상을 입어 시멘트 모르타르(8)가 호스(13) 내부로 침투하더라도 그리스(12)와 혼합되도록 하여 시멘트 모르타르(8)의 양생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호스(13)와 강연선(11) 사이에는 그리스(12)를 채워 넣고 있다.
그러나 호스로부터 강연선을 뽑아내더라도 대부분의 그리스는 호스에 묻어 지중에 영원히 묻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도 2 및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언본디드 강연선이 U자로 절곡되는 부분에서 심하게 일어나며 강연선이 U절곡부를 돌아서 나오는 과정에서 좁아진 공간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그리스를 남겨 두고 강연선만 뽑혀 나오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앵커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지중에 매설되며 따라서 호스에 묻어서 잔류하고 있는 그리스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 내려 결국에는 끝단으로 몰리게 되면서 시간이 흐름과 함께 지중으로 서서히 스며들게 되며 따라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을 기름으로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도 4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제거 개념도, 도 6은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내하체의 형상을 보인 것이며, 또 7은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 상태도를 보인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내하체에 밴딩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사용하는데 이때 밴딩(51) 재료로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통상의 스틸밴드(steel band)를 이용하여 강하게 압박하여 채결하는 바 이때 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로 인하여 피복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53)을 입거나 혹은 날카롭게 파여 외부의 작은 힘으로도 파손부위가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부위의 호스는 강연선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강제로 U자 형상으로 절곡되면서 끌려나오는 강연선과의 마찰로 인해 심하게 파손되게 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호스의 파손부위로 몰리게 되는 그리스가 땅속으로 스며들게 된다.
또한 초기 앵커 설치과정에서도 지중에 천공된 앵커공 내부에 존재하는 날카로운 돌조각 등으로 인해 앵커체를 지중으로 밀어 넣는 과정에서 피복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이 밴딩된 부분의 손상은 더욱 심하다. 내하체 주변의 시멘트 모르타르(8)는 앵커 인장 중이나 또는 앵커 제거 후에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대부분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찢어진 호스와 크랙 등을 통해 그리스는 자연스럽게 지중으로 흘러들게 되며 이는 심각한 지하수 및 지중 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통상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경우 꼬임 강연선(2)의 외경은 12.7(mm)이며 호스(3)와 강연선(11)의 사이에는 그리스가 빈틈없이 채워지고 있다.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한 본은 통상 그리스로 채워진 4내지 6~8선의 언본디드 강연선을 사용하며 앵커한 본의 길이는 통상 십 수 미터에서 수 십 미터에 이른다. 이러한 앵커가 중형 공사현장의 경우에도 통상 수 백 본에서 때로는 1000본 이상이 사용된다. 즉 많은 양의 그리스가 앵커의 호스 내부에 잔류하여 지중 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중에 매설된 강연선이 부식되어 토양을 오염할 수 있다고 하여 강연선을 제거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 강연선을 제거하였다고 하더라도 앵커의 호스에 묻어 지중에 잔류한 그리스는 더욱 심각한 지중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강연선을 지상으로 발출하는 과정에서도 강연선에 묻어서 나오는 그리스는 지상의 건축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본 고안은 앵커의 내하체와 강연선에 씌워지는 피복 및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밴딩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그리스를 제거하면서도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환경오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의 그리스를 사용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대신하여, 강연선에는 통상의 방청유, 페인트, 락카, 식물성 기름 등을 혹은 이들과 미끄럼 보조재를 혼합하여 만든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의 코팅을 실시하고 다시 피복을 씌워서 만드는 언본디드 강연선과, 상기와 같이 강연선에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의 코팅을 실시한 후에 내측 피복을 실시하고 그 위에 외측 피복을 실시하면서 상기 내측 피복과 외측 피복이 접합되지 않도록 분리재를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과, 강연선에 내측 분리재와 내측 피복 그리고 외측 분리재와 외측 피복을 순차적으로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고안하였다.
또한 언본디드 강연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의 언본디드 강연선을 내하체에 밴딩하는 과정에서 언본디드 강연선의 위에 피복 보호재를 씌우고 밴딩을 실시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아울러 한 쪽은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반구형 내하체 선단이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물체에 내부에는 한쪽 끝은 막힌 중공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원주를 가지는 다수 개의 요철을 형성하며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 U자형 혹은 유사한 모양의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을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하고, 그 중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을 반구형 내하체 선단을 따라 반원형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내하체를 고안하였다.
이들로써 언본디드 강연선의 손상을 방지하고 불가피하게 언본디드 강연선의 외측이 손상을 입어도 내측은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본디드 강연선에서 그리스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기름으로 인한 지하수 및 지중 환경오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도 1은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개념도
도 2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4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제거 개념도
도 5-1은 본 고안의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5-2는 본 고안의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5-3은 본 고안의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그라운드 앵커의 내하체
도 7은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
도 8-1은 본 고안의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
도 8-2는 본 고안의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
도 9-1는 본 고안의 내하체의 입체도
도 9-2는 본 고안의 내하체의 단면도
도 9-3은 본 고안의 내하체의 연결개념도
도 10은 본 고안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하연속벽 2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3 : 정착지반 4 : 앵커공
5 :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6 : 내하체
7 : 언본디드 강연선 8 : 시멘드 모르타르
9 : 앵커 정착구
11 : 강연선 12 : 그리스
13 : 호스
20 : 강연선 21 :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
22 : 피복 23 : 내측 피복
24 : 분리재 25 : 외측 피복
26 : 내측 분리재 27 : 외측 분리재
30 : 반원형 내하체 선단 31 :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
32 : 필렛부 33 : 걸림턱
34 : 상측 결속부 35 : 하측 결속부
36 :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 37 : 상하 연결봉
38 : 요철 39 : 연결구 돌기
40 : 연결구홈
50 : 언본디드 강연선 51 : 밴딩부
52 : 종래의 내하체 53 : 피복 상처부위
60 : 피복 보호재
70 : 반구형 내하체 선단 71 :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
72 :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 73 : 중공부
74 : 요철 75 : 연결구 돌기
80 : 반구형 내하체 81 : 밴딩부
82 : 피복 보호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1은 본 고안의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도 3과 같이 기존의 그리스(12)를 사용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대신하여, 강연선(20)의 표면을 따라 통상의 방청유, 페인트, 락카 등의 방청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이들과 미끄럼 보조물질 예컨데 공지의 활석가루와 같은 것들을 혼합하거나 각기 사용하여 강연선의 부식을 막으면서도 미끄럼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21)를 만들어 코팅을 실시하고 다시 피복(22)을 씌워서 만드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피복은 예컨데 공지의 물질인 폴리에틸렌(PE), PVC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영구형 그라운드 앵커와는 달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경우에는 지중 설치기간은 2년 이하로 규정되어 있지만 통상은 몇 개월을 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방청유, 페인트, 락카 혹은 이들과 활석가루 등을 혼합한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21)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기간중 충분한 정도의 방청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5-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도 5-1에 보인 바와 통상의 방청유, 페인트, 락카 등의 방청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물질 또는 이들과 미끄럼 보조물질 예컨데 공지의 활석가루와 같은 것들을 혼합하여 강연선의 부식을 막으면서도 미끄럼을 유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21)를 코팅한 후에 내측 피복(23)을 실시하고 그 위에 외측 피복(25)을 실시하면서 상기 내측 피복(23)과 외측 피복(25)이 접합되지 않도록 분리재(24)를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보인 것이다. 이때 내측 피복과 외측 피복은 예컨데 공지의 물질인 폴리에틸렌(PE), PVC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재는 내측 피복(23)과 외측 피복(25)이 접합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젤, 윤활유, 식물성 기름 등이나 활석분말 혹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분말형태의 물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얇으면서도 질긴 성질을 가진 알루미늄 박지나 또는 기름종이 등 두 피복간의 접합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보인 것과 같은 언본디드 강연선은 강연선(20)과 내측 피복(23)등이 외측 피복(25)으로부터 각각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앵커 설치기간 중에 외측 피복(25)이 손상을 입더라도 손상부위를 통해 침투하는 물이나 시멘트 모르타르(8) 등을 내측 피복(23)이 차단하여 강연선(20) 부위까지 침투하는 경우는 없게 된다. 또한 이러한 다중 피복의 형태를 취함으로써 모든 피복이 동시에 손상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그리스를 제거하여도 피복(23,25)으로터 강연선(20)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강연선(20)에 내측 분리재(26)와 내측 피복(23) 그리고 외측 분리재(27)와 외측 피복(25)을 순차적으로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보인 것이다. 이때 내측 분리재(26)로는 예컨데 얇으면서도 질긴 알루미늄 박지 또는 기름 종이 혹은 질긴 알루미늄 박지 또는 기름 종이 등에 공지의 활석 가루 또는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분말형태의 물질 등을 묻힌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호스(13)와 강연선(11) 사이를 가득 채우던 지하수 및 지하환경 오염의 주범인 그리스(12)를 제거하는 대신 다중 피복의 형상을 취함으로써, 피복 손상의 가능성을 줄이면서도 또한 피복들과 강연선 등이 각각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강연선(20)을 제거하는 기능은 여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종래의 그라운드 앵커의 내하체(6)를 보인 것으로, 종래의 내하체는 한편에는 U자 형상의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31)을 가지는 반원형 내하체 선단(30)을 가지며,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31)의 외벽 부위와 상측 결속부(34)가 만나는 부분에는 필렛 형상을 가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에는 요철(38)을 가진 상하 연결봉(37)이 있으며 양편으로는 상측 결속부(34)와 하측 결속부(35)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하 연결봉(37)의 외경은 상측 결속부(34) 및 하측 결속부(35)의 외경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측 결속부(34)와 하측 결속부(35)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언본디드 강연선(7)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U자형 홈의 형상을 가진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를 보인 것으로, 종래의 도 6에서 예시한 종래의 내하체에 U자 형상으로 절곡한 언본디드 강연선(7)을 철제 밴드를 이용하여 결속하는 밴딩부(51)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강연선은 공지의 피아노강으로 만들어져 강연선 하나의 인장강도가 18.7(ton) 이상이 되는 매우 강한 재료인 관계로 반드시 철제 밴드를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매우 강한 힘으로 결속하게 된다.
그런데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밴딩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공지의 철제 밴드를 사용하는 바 밴딩 과정에서 언본디드 강연선의호스(13)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며 보다 나은 경우라도 상기의 철제 밴드가 호스(13)를 일정 정도 파고 들어가는 등의 피복 손상부위(53)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도 6의 종래의 내하체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하 연결봉(37)의 외경이 상측 결속부(34) 및 하측 결속부(35)의 외경보다 현저히 작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하 연결봉(37)의 외경은 상측 결속부(34) 및 하측 결속부(35)에 형성된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36)들을 통해 결속된 언본디드 강연선(7)과도 틈이 형성될 정도로 작게 되어 있어 밴딩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밴드의 결속력에 의해 강연선이 상하 연결봉(37)쪽으로 즉 내측으로 휠 정도로 상하 연결봉(37)의 외경은 적게 되어 있어 따라서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철제 밴드로 인해 언본디드 강연선(7)의 호스(13)가 손상될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
또한 그라운드 앵커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게 되는 바, 깊이 형성된 예컨데 십 수 미터에서 수 십 미터까지 천공한 앵커공(4)에 조립된 앵커체를 삽입하게 되는 바, 지중에 형성된 앵커공(4)의 내벽에는 날카롭게 형성된 작은 돌조각 혹은 내벽에 돌출된 날카로운 모서리 등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지중에 형성된 앵커공(4)에 도 2의 그림에 예시된 조립된 앵커체를 밀어넣는 과정에서 마찰과 걸림 등으로 해서 수 차례 혹은 그 이상으로 앵커체를 당겼다 밀고 혹은 유압기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밀어 넣는 등의 행위를 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내하체는 그 선단에 걸리턱(33)을 가지는 바 이 걸림턱(33)은 지면과의 마찰 혹은 저항을 더욱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앵커체를 앵커공 내부로 밀어 넣는 과정을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내하체 삽입 과정에서 도 6에 예시한 종래의 내하체 형상에 기인하여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앵커체는 언본디드 강연선(7)이 자연스럽게 외부로 노출이 되는 바, 앵커공(4) 내의 상기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는 돌조각 혹은 내벽에 돌출된 날카로운 모서리 등으로 인해 노출된 언본디드 강연선(7)의 피복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며, 또한 이 과정에서 도 7에 예시한 철제 밴드에 의해 형성된 피복 손상부위(53)의 손상은 더욱 확대된다. 따라서 시멘트 모르타르(8)를 앵커공(4) 내부에 채워 넣는 과정에서 이렇게 형성된 손상부를 통하여 시멘트 모르타르(8)가 언본디드 강연선 호스(13)의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그리스(12)를 호스(13) 사이에 그리스(12)를 가득 채워 넣는 이유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호스(13) 내부로 침투한 시멘트 모르타르(8)가 양생되면서 강연선(11)과 호스(13)가 일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기름 성분인 그리스는 시멘트의 양생을 저지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예시한 종래의 내하체 및 언본디드 강연선은 그 형상과 결속방법 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피복이 손상될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8-1은 본 고안의 종래의 내하체와 언본디드 강연선의 결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언본디드 강연선(7,50)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막고자하는 고안을 보인 것이다. 상기의 설명한 바와 같이 피복 손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부위는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내하체(52)와 언본디드강연선(7)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언본디드 강연선(7,50)만으로 구성되는 바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영향으로 자체가 손상되는 일은 적다. 따라서 도 8-1에 예시한 본 고안은 피복의 손상이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 부위에 피복 보호재(60)를 더한 것을 보이고 있다. 피복 보호재(60)는 예컨데 중공 파이프를 반으로 혹은 그 이상으로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형태를 가지며 그 재료로는 예컨데 철 혹은 비철금속 또는 프라스틱, 고무 등 철제 밴드의 날카로운 모서리로부터 언본디드 강연선(7,50)의 피복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앵커공 내부에 형성된 작은 돌조각 혹은 내벽에 돌출된 날카로운 모서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8-2는 밴딩부(51)에만 국부적으로 피복 보호재(60)를 사용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피복 보호재(60)는 피복 손상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바 언본디드 강연선(50) 내부에 채워진 그리스(12)를 사용하지 않아도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도 8-1의 고안에도 불구하고 도 6, 도 7,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종래의 앵커의 내하체(52)로는 언본디드 강연선(7,50)이 내하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없다.
도 9-1 및 도 9-2, 도 9-3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도 9는 본 고안의 반구형 내하체(80)의 입체도를 보인 것이며, 도 9-2는 도 9-1에 보인 입체도를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반구형 내하체(80)는 예컨데 요철이 형성된 포탄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한편에는 반구형으로 형성된 반구형 내하체 선단(70)을 가지며 그 아래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의 물체에 요철(74)이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이는 하나 혹은 다수개가 형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반구형 내하체(8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는 반원형 혹은 U자형 등으로 파인 홈을 형성하여 언본디드 강연선(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72)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복수개의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72)들 중에서 마주보는 두 개의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72)을 상기의 반구형 내하체 선단(70)을 따라 U자 형상이 되도록 연장하며 형성하여 서로 만나게 만든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71)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71)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반구형 내하체(80)의 중앙에는 한편은 막힌 중공부(73)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무게를 줄이거나 혹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9-1 및 도 9-2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보인 종래의 내하체(52)와는 달리 내하체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언본디드 강연선(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언본디드 강연선(50)이 외부와의 마찰로 인해 손상되는 피해를 막을 수 있으며, 또한 반구형 내하체 선단(70)은 그 형상이 둥글고 부드러운 반구형의 형상을 취하고 있으므로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앵커공(4)에 조립된 앵커체를 삽입할 때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도 6에 보인 종래의 내하체(52)의 선단부가 가지는 걸림턱(33)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앵커체의 앵커공(4) 내로의 삽입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또한 언본디드 강연선(50)의 손상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9-3은 도 9-1 및 도 9-2의 반구형 내하체(80)를 복수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즉 도 9-3의 왼편에 보이는 그림과 같이 반구형 내하체 선단(70)을 제거하고 대신에 상대편에 형성된 중공부(7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원추형 혹은 원통형 등으로 형성된 연결구 돌기(75)를 형성하여 상대편의 중공부(73)에 끼워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빈구형 내하체(80)와 언본디드 강연선(50)의 결속도를 보인 것으로 도 9-1 및 도 9-2에 보인 본 고안의 반구형 내하체(80) 복수개에 도 8-1 및 도 8-2에 보인 본 고안의 피복 보호재(60)를 사용하여 도 5-1, 도 5-2, 도 5-3에 보인 본 고안의 언본디드 강연선(50)을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밴딩부(81)을 이용하여 밴딩하여 결합 조립한 형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내하체의 형상을 개선하고 피복 보호재를 도입하며 또한 언본디드 강연선의 피복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작업 능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서는 피복 내부에 채워진 그리스(grease)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기름에 의해 지하수 및 지하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획기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한편에는 반구형 내하체 선단이 있는 일정한 길이의 봉 형상의 반구형 내하체로 내부에는 한쪽 끝은 막힌 중공이 있고 외주에는 복수 개의 요철이 있으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이 다수 개 있고 반구형 내하체 선단에는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내하체에, 언본디드 강연선을 U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과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에 끼워 넣고는 내하체와 밴딩을 실시하는데 언본디드 강연선과 밴드 사이에는 피복 보호재를 끼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2. 상기 청구항 1에서 한편에는 반구형 내하체 선단이 있는 일정한 길이의 봉 형상의 반구형 내하체로 내부에는 한쪽 끝은 막힌 중공이 있고 외주에는 복수개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요철이 있으며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이 다수 개 있고 반구형 내하체 선단에는 하나 혹은 복수개의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내하체
  3. 상기 청구항 1에서 강연선에 방청 및 미끄럼 보조재를 코팅하고 피복을 씌운 언디드 강연선 및 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4. 상기 청구항 1에서 강연선에 방청재 혹은 미끄럼 보조재를 코팅한 후에 내측피복과 외측 피복을 실시하고 그 사이에 분리재를 채워 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 및 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5. 상기 청구항 1에서 강연선에 내측 분리재와 내측 피복 그리고 외측 분리재와 외측 피복을 씌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본디드 강연선 및 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6. 상기 청구항 1에서 언본디드 강연선을 내하체에 밴딩하는 과정에서 언본디드 강연선의 위에 피복 보호재를 씌우고 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7. 상기 청구항 1에서 반구형 내하체의 반구형 내하체 선단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연결구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구형 내하체
  8. 한편에는 U자 형상의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을 가지는 반원형 내하체 선단을 가지며, 언본디드 강연선 절곡홈의 외벽 부위와 상측 결속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필렛 형상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요철을 가진 상하 연결봉)이 있으며 양편으로는 상측 결속부와 하측 결속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 결속부)와 하측 결속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언본디드 강연선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U자형 홈의 형상을 가진 언본디드 강연선 결속홈이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에 언보디드 강연선을 U자 형태로 절곡하고 밴딩할 때 피복 보호재를 씌우고 밴딩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2020020022690U 2002-07-29 2002-07-29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200296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90U KR200296409Y1 (ko) 2002-07-29 2002-07-29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690U KR200296409Y1 (ko) 2002-07-29 2002-07-29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6409Y1 true KR200296409Y1 (ko) 2002-11-23

Family

ID=7312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690U KR200296409Y1 (ko) 2002-07-29 2002-07-29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64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66B1 (ko) * 2011-06-17 2013-08-01 김용만 제거식 앵커용 내하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66B1 (ko) * 2011-06-17 2013-08-01 김용만 제거식 앵커용 내하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7756C (en) Yieldable cone bol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HUE027337T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a tube of optical cables in solid soil
PL202247B1 (pl) Żyła indywidualnie zabezpieczona, sposób wytwarzania żyły indywidualnie zabezpieczonej i zastosowanie żyły indywidualnie zabezpieczonej
US20140255107A1 (en) Self-centralizing soil nail and method of creating subsurface support
CN101906977A (zh) 井下软岩巷道大变形塌方预防及治理方法
TR201808886T4 (tr) Öngerilmeli diyafram duvar ve bu tür bir duvarı gerçekleştirme yöntemi.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200296409Y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US9273442B2 (en) Composite self-drilling soil nail and method
CA2809139C (en) Composite and self-centralizing soil nails and methods
KR20180019274A (ko) 앵커 어셈블리
KR200261932Y1 (ko) 압축형제거용앵커
KR100776620B1 (ko) 바타입 앵커
CA1059351A (en) Cable bolt
WO2014071442A1 (en) Rock bolt
CN209907383U (zh) 一种压力分散型锚索
KR20200041095A (ko) 영구형 앵커
CN106930283B (zh) 一种端头开花的拉压复合型锚索及制安方法
KR20040017510A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US4427718A (en) Wedge encapsulation method
JP6037253B1 (ja) エポキシ樹脂で被覆したpc鋼より線を用いた金属製グラウンドアンカーの構造および製作方法と設置工法
KR200291883Y1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그리스 제거기
KR100526265B1 (ko) 부산물이 남지 않는 네일제거형 네일링 공법 및 그 네일구조
CN212958697U (zh) 一种快装预应力锚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