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709Y1 - 그라운드 앵커 - Google Patents

그라운드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709Y1
KR200313709Y1 KR20-2002-0034231U KR20020034231U KR200313709Y1 KR 200313709 Y1 KR200313709 Y1 KR 200313709Y1 KR 20020034231 U KR20020034231 U KR 20020034231U KR 200313709 Y1 KR200313709 Y1 KR 2003137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head
spring
wedge cone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2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20-2002-00342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7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7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7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지하연속벽 건설시 사용한 앵커를 용이하게 해체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해체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피복이 씌워진 인장재와, 웨지콘을 수용하는 웨지콘 얹힘부와 실린더 중공이 있고 실러링 얹힘부 및 실링볼트 체결부를 가진 헤드 실린더와, 외주면에는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를 가지며 중앙통공이 있고 모자 체결부를 가지며 나선부를 가지는 웨지콘과, 웨지콘의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에 끼워지는 스톱링 스프링과; 웨지콘의 상측부에 얹혀지는 스프링과, 내부에는 모자 내공부가 있고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지는 모자와, 링 형상의 부싱과, 헤드 캡의 디스크 안치부에 끼워지는 중심판과 외판 그리고 날개로 구성된 디스크와, 요철이 있는 내공부를 가지고 하단에는 디스크 안치부를 가지는 헤드 캡과, 중공 테이퍼링 형상의 실러링과, 중공 볼트 형상의 실링볼트와, 복수개의 헤드 실린더 및 인장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연선 통공을 가지며 상부에는 헤드 실린더 얹힘부와 헤드 실린더 결속부가 있고 하외주면에는 내하체 체결부가 있는 내하체 헤드와, 중공 파이프 형상의 내하체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지하연속벽 건설시 사용한 앵커를 용이하게 해체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
영구지반앵커는 지하수 침출지나 경사지, 지진 발생지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때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앵커이고, 공사완료 후 제거하는 지하 고정 구조물로는 가설지반 앵커가 있는 바, 본 고안은 가설지반 앵커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이나 지하철 또는 기타 대형구조물의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에는 지하로 깊이를 더해가면서 주변에 H빔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대형의 괴목을 이용하여 토류벽 또는 지수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횡으로 설치된 횡관류가 받는 주위의 토압은 지하로 들어감에 따라 수백톤에 이르는 압력을 받게 되어 결국 토류벽 등이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토류벽의 붕괴를 막기위해 대형 비임을 이용하여 굴착한 지하공간에 양편의 토류벽을 연결하는 강제지보공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강재지보공은 격자로 설치된 강제비임의 구조물로 인해 원할한 시공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어 작업능률 저하와,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용 상승 및, 막대한 철재 낭비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설지반앵커체로는 공지의 U턴 방식의 앵커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앵커공내에 내하체가 복수개 설치되고, 이 내하체에 U형으로 휨가공한 언본디드 강연선을 감아주는 형태이다.
그런데, 상술한 U턴 방식은 내하체에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통상 7꼬임 PC강연선을 사용하는 강연선을 "U"자 형태로 굽힘가공하여 내하체에 체결하여 사용하는바 강연선 굽힘된 부위는 소성변형이 일어나서 강연선의 원래 물성치 특히 인장강도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앵커체를 해체시킬 때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굽힘 가공된 부위를 한바퀴 돌아오면서 인장재를 인출하여야 하므로 제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인출된 인장재는 내하체(4) 둘레에서 이미 상당량 변형되어 있고 또 자체의 탄성등으로 인해 스프링과 같이 꼬여져 있게 되므로 재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해 작업장 주변을 정돈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그라운드 앵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장재인 7본 꼬임 강연선의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공사 완료 후 앵커체로부터 강연선을 제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7본 꼬임 강연선은 도 3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것으로, 예컨데 통상 인장재(10)라 불리는 7본 꼬임 강연선은 가운데에는 중앙소선(11)을 두고 중앙소선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6개의 외주소선(12)이 뭉쳐진 상태에서 오른방향 혹은 왼방향 등으로 꼬임을 이루면서 구성된 연선이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은 7본 꼬임 강연선은 7개의 소선이 각각 개별로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즉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 만을 타격할 경우 중앙소선(11)은 외주소선(12)에 비해 안쪽으로 들어가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또 6개의 외주소선(12)중 하나 혹은 복수개를 선택하여 부분 타격할 경우에도 타격된 소선은 다른 소선들에 비해 타격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고안의 그라운드 앵커는 7본 꼬임 강연선의 이러한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앵커 해체시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 혹은 외주소선(12)의 일부를 타격함으로서 앵커체로부터 인장재(10)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복이 씌워진 인장재와; 중앙으로 인장재를 통과시키면서 웨지콘을 수용할 수 있는 웨지콘 얹힘부과 웨지콘 얹힘부에 연이어 형성된 실린더 중공이 있고 실러링 얹힘부 그리고 실링볼트 체결부를 가진 헤드 실린더와; 외주면 상측부에는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를 가지며 아래로는 외주면이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통공이 있고 중앙통공 상측부에는 모자체결부를 가지고 아래로는 나선부를 가지는 웨지콘과; 웨지콘의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에 끼워지며 한 부분이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진 스톱링 스프링과; 웨지콘의 상측부에 얹혀지며 웨지콘을 압박하는 스프링과; 웨지콘의 모자 체결부에 끼워지며 내부에는 모자 내공부가 있고 복수개의 절개부를 가지는 닫힌 모자와; 스프링의 상측부에 위치하며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링 형상의 부싱과; 부싱의 윗면에 위치하며 헤드 캡의 디스크 안치부에 끼워지는 중심판과 외판 그리고 날개 등으로 구성된 디스크와; 헤드 실린더의 상측부에 체결되며 요철이 있는 내공부를 가지고 하단에는 디스크 안치부를 가지는 헤드 캡과; 인장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헤드 실린더의 실러링 얹힘부에 끼워지는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링 형상인 실러링과; 인장재에 끼워진 상태에서 헤드 실린더의 실링볼트 체결부에 체결되는 중공 볼트형상의 실링볼트와; 복수개의 헤드 실린더 및 인장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연선 통공을 가지며 상부에는 헤드 실린더 얹힘부와 헤드 실린더 결속부가 있고 하외주면에는 내하체 체결부가 있는 내하체 헤드와; 중공 파이프 형상의 내하체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는 앵커 해체시 인장재의 맞은 편 끝에서 7개의 소선중에서 중앙소선을 타격하여 밀어줌으로서 웨지콘에 채워진 인장재의 중앙소선은 모자의 내공부를 통과하여 디스크를 밀어내면서 굽히고 디스크 안치부로부터 디스크를 분리시켜 위로 밀어 올리는 디스크 분리과정과, 중앙소선에 의해 굽혀지면서 밀린 디스크의 중심판이 모자 내공부의 상단에 맞도록 디스크와 모자가 동시에 밀리게 되면서 아울러 모자에 체결된 웨지콘을 동시에 위로 끌고 올라가게 되어 결국에는 웨지콘을 감싸고 있던 스톱링 스프링이 헤드캡의 디스크 안치부를 만나면서 디스크 안치부의 빈공간으로 끼워지는 스톱링 스프링 체결과정과, 스톱링 스프링이 디스크 안치부에 끼워짐으로서 웨지콘과 헤드 캡 그리고 헤드 실린더가 하나가 됨으로써 웨지콘은 나아가거나 물러남이 없이 할 수 있게 되어 웨지콘에 체결되어 있던 인장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되어있다.
도 1은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1은 종래 U턴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
도 2-2는 본 고안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앵커체의 헤드 실린더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앵커체의 헤드 캡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앵커체의 웨지콘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 앵커체의 디스크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 앵커체의 닫힌 모자의 단면도
도 10-1은 본 고안 앵커체의 스톱링 스프링의 단면도
도 10-2는 본 고안 앵커체의 스톱링 스프링의 변형예
도 11은 본 고안 앵커체의 부싱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 앵커체의 실러링의 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 앵커체의 실링볼트의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
도 15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의 또다른 인장재 제거과정
도 16은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7은 본 고안 앵커체의 개방모자의 단면도
도 18은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
도 19는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20은 본 고안 앵커체의 외요철 웨지콘의 단면도
도 21-1은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도 21-2는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단면도
도 22는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
도 23-1은 본 고안 앵커체의 내하체 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3-2는 본 고안 앵커체의 내하체 헤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앵커공 2 : 앵커체
3 : 앵커헤드 4 : 내하체
5 : 언본디드 강연선 6 : 모르타르
7 : 정착구
10 : 인장재 11 : 중앙소선
12 : 외주소선 13 : 피복
20 : 헤드 캡 21 : 캡 내공
22 : 실린더 조립부 23 : 디스크 안치부
24 : 요철부
30 : 모자 31 : 모자 내공부
32 : 챙부 33 : 절개부
34 : 웨지콘 견인턱 35 : 모자 닫힘부
40 : 디스크 41 : 중심판
42 : 날개 43 : 외판
50 : 부싱 51 : 부싱중공
60 : 스프링
70 : 스톱링 스프링 71 : 스프링판
72 : 절단부 73 : 압축시의 스톱링
80 : 웨지콘 81 : 통공
82 : 절개부 83 : 통공 상단부
84 : 모자 체결부 85 :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
86 : 나선부 87,98 : 경사면
90 : 헤드 실린더 91 : 캡 체결부
92 : 실린더 중공 93 : 웨지콘 얹힘부
94 : 인장재 통공 95 : 실러링 얹힘부
96 : 실링볼트 체결부 97 : 스틸밴드 체결부
100 : 실러링 101 : 실러링 중앙통공
105 : 실링볼트 106 : 실링볼트 중앙통공
107 : 볼트머리부 108 : 볼트 나선부
110 : 개방모자 111 : 모자 중앙통공
112 : 웨지콘 끌음턱 113 : 챙부
115 : 외요철 웨지콘 116 : 외요철
120 : 테이퍼판 스프링 121 : 스프링 중공부
122 : 스프링 챙부 123 : 스프링 날개부
124 : 스프링날개 절개부
130 : 내하체 헤드 131 : 내하체 파이프 체결부
132 : 인장재 통공 133 : 실링볼트 좌부
134 : 인장재 통과홈 135 : 헤드실린더 결속부
136 : 헤드실린더 결속홈 137 : 헤드실린더 체결홈
138 : 헤드실린더 얹힘부
140 : 내하체 파이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부호 140의 내하체 파이프(140)는 통상의 중공 파이프와 같은 중공의 강관의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도 2-2는 본 고안의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설치 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내하체(4)에 복수개의 앵커헤드(3)를 체결한 앵커체(2)를 복수개 설치하고 각각의 앵커헤드(3)에 인장재(10)에 피복(13)이 씌워진 언본디드 강연선(5)을 체결하여 천공된 앵커공(1)에 넣고 모르타르(6)를 채워 넣고 양생한 후 인장을 실시하여 공지의 정착구(7)를 이용하여 구조물에 정착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언본디드 강연선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세하게는 언본디드 강연선을 구성하는 인장재(10)를 보인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인장재(10)인 7본 꼬임 강연선은 가운데에는 중앙소선(11)을 두고 중앙소선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6개의 외주소선(12)이 뭉쳐진 상태에서 오른방향 혹은 왼방향 등으로 꼬임을 이루면서 구성된 연선으로 7본 꼬임 강연선은 7개의 소선이 각각 개별로 움직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의 그라운드 앵커는 7본 꼬임 강연선의 이러한 형상적 특징을 이용하여 앵커 해체시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 혹은 외주소선(12)의 일부를 타격하여 밀어 넣어줌으로서 앵커체로부터 인장재(10)를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일 실시예는 내주면에 경사면(98)을 구비하는 헤드실린더(90)와; 상기 헤드실린더(9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헤드실린더(90)의 경사면(98)에 대응하는 경사면(87)을 가지며, 내부에 인장재(10)가 삽입되는 통공(8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웨지콘(80)과; 상기 복수개의 웨지콘(80)을 결합시키는 스톱링 스프링(70)과; 상기 웨지콘(8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모자체결부(84)에 삽입되는 웨지콘견인턱(34)을 가지고, 내부에 인장재(10)가 삽입되는 모자내공부(31)가 형성되는 모자(30)와; 상기 웨지콘(8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0)과; 상기 스프링(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60)을 지지하는 부싱(50)과; 상기 헤드실린더(9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캡(20)과; 상기 헤드캡(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자(30)와 결합되는 디스크(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 앵커체의 헤드 실린더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헤드 실린더(90)는 전체적으로는 중앙부에 통공을 가지는 형상을 한 것으로 통공의 하단부에는 통상의 나선을 가지고 있어 실링볼트(105)를 체결하는 실링볼트 체결부(96)가 있고, 실링볼트 체결부(96)에 연이어 위로 갈수록 내경부가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진 실러링 얹힘부(95)가 있으며, 실러링 얹힘부(95)는 직선상의 원형 통공인 인장재 통공(94)으로 이어지며, 인장재 통공(94)의 위로는 웨지콘 얹힘부(93)가 이어지는데 웨지콘 얹힘부는 위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98)으로 구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경사면(98)과 대응하는 경사면(87)을 가지는 웨지콘(80)이 끼워지게 되며, 상기 웨지콘 얹힘부(93)에 연이어 직선상의 원형 통공이 이어지는 실린더 중공(92)이 형성되어 있다. 헤드 실린더(90)의 외주면 상단에는 캡 체결부(91)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 체결부(91)는 통상의 나사 가공 등을 통하여 헤드 캡(20)과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주면 아래 부분에는 "ㄷ"자 형상으로 홈이 파인 스틸밴드 체결부(9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틸밴드 체결부(97)는 복수개의 헤드 실린더(90)를 묶는 경우 스틸밴드 체결부(97)에 파인 홈을 통하여 공지의 스틸 밴드를 끼워서 체결하는데 사용한다.
도 6은 본 고안 앵커체의 헤드 캡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헤드 캡(20)은 속이 비어 있으며 한쪽은 막힌 통상의 뚜껑 형상을 가진 것으로, 내부에는 한편이 막힌 캡 내공(21)이 있으며 캡 내공(21)의 벽면에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혹은 다른 형상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24)가 있으며, 요철부의 아래로는 요철부(24) 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 안치부(23)가 있고, 디스크 안치부(23) 아래로는 통상의 체결용 나선을 가지는 실린더 조립부(22)가 있어 상기의 헤드 실린더(90)에 체결되게 된다.도 7은 본 고안 앵커체의 웨지콘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웨지콘(80)은 인장재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은 중앙통공을 가지며 외주 상부는 동일 직경으로 그리고 외주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경사면(87)이 형성된 것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하여 하나의 세트(set)를 이뤄 사용한다. 웨지콘(80)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웨지콘 중앙통공(81)이 있으며, 중앙통공(81)의 아래로부터 일정한 길이에는 통상의 삼각 혹은 사다리꼴 등의 나선을 가지는 나선부(86)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선부(86)의 윗쪽으로는 나선부보다는 직경이 크며 "ㄷ" 자 형상의 홈으로 된 모자 체결부(84)가 있고, 모자 체결부(84)에 연이어는 다시 모자 체결부(84) 보다는 직경이 작은 통공 상단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웨지콘(80)의 외주면은 위로부터 일정한 길이는 외주 상단부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밑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87)이 있으며 이때 외주면 상부의 비테이퍼 부위에는 "ㄷ"자 형상의 홈으로된 스톱링 스프링 얹힘부(85)가 형성되어 있어 링 형상의 스톱링 스프링(70)이 끼워지게 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 앵커체의 디스크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디스크(40)는 중앙부에는 둥글거나 혹은 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판(41)이 있고, 중심판(41)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날개(42)가 복수개 돌출 되어 있으며, 날개(42)의 끝에는 날개보다는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 외판(43)이 붙어 있는 형상을 가진 것으로, 얇은 판재를 가공한 형태의 것으로 재료로는 스프링 강판, 강철 강판 등의 철과 혹은 비철금속, 프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 앵커체의 닫힌 모자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닫힌 모자(30)는 통상의 중절모자와 같은 형상을 가진 것으로, 중앙에는 한쪽은 닫힌 형상의 모자 내공부(31)가 있으며 내공부(31)의 상단부는 닫힌 형상으로 된 모자 닫힘부(35)가 있으며, 외경부 하단에는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돌출된 챙부(32)가 있으며, 챙부(32) 상단부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어 웨지콘(80)을 끌고 올라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웨지콘 견인턱(34)이 있다. 또 모자(30)는 챙부(32)로부터 내공부(31)의 끝까지 즉 닫힘부(35)까지 일정한 폭으로 절개한 절개부(82)를 가지는데 이때 절개부(82)는 도 8에 예시한 디스크(40)의 날개(42)의 폭보다는 넓은 것이어야 하며 절개부(82)의 숫자와 분할각도는 디스크(40)의 날개(40)와 같아서, 디스크(40)의 중심판(41)은 모자(30)의 내공부(31)에 들어가게 되고, 디스크의 날개(42)는 모자의 절개부(82)에 끼워지게 되도록 하여 상기 디스크(40)를 닫힌 모자(3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0-1은 본 고안 앵커체의 스톱링 스프링의 단면도를, 도 10-2는 본 고안 앵커체의 스톱링 스프링의 변형예를 보인 것으로, 스톱링 스프링(70)은 사각형 혹은 원형 등의 단면을 가진 링 형상의 부재로 링을 스프링판(71)이라 하며, 스프링판(71)은 한 곳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 절단부(72)를 가지는 개방형의 구조를 가진 것으로, 도 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경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0-2는 압축력을 가하면 원형보다는 직경이 점점 작아지고 압축력을 해제하면 원래의 직경만큼으로 커지는 기능을 하는 스톱링 스프링(70)을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예시한 스프링(60)은 통상의 압축형 코일 혹은 판 스프링이다.
도 11은 본 고안 앵커체의 부싱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스프링(60)과 디스크(40)의 사이에 위치하며, 스프링(60)의 압축력이 디스크(40)에 가해질 때 순수 전단에 가까운 상태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링형상의 부재이다.
도 12는 본 고안 앵커체의 실러링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실러링(100)은 실러링 중앙통공(101)을 가지는 중공 테이퍼콘 형상의 부재로 헤드 실린더(90)의 실러링 얹힘부(95)에 끼워져 헤드 실린더(90) 외부로부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실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실러링 중앙통공(101)으로는 피복(13)이 씌워진 인장재(10)가 끼워져 통과하게 된다.
도 13은 본 고안 앵커체의 실링볼트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실링볼트(106)는 통상의 중공볼트의 형상을 가진 것으로 피복(13)이 끼워진 인장재(10)가 통과하도록 하는 실링볼트 중앙통공(106)이 있으며, 외주면에는 나선을 가진 볼트 나선부(108)와 볼트 조임에 사용되는 육각, 사각머리 등이 가공된 볼트머리부(107)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에서 도 13까지를 통해 설명한 부재들로 조합되어 구성된 앵커헤드로부터 인장재(10)를 분리하여 발출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좌측 첫 번째의 그림은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을 타격하여 밀어 넣고 있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좌측 두 번째의 그림은 계속적인 타격에 의해 밀어 올려진 중앙소선(11)이 닫힌 모자(30)의 내공부(31)를 통과하여 디스크(40)을 만나 디스크의 중심판(41)을 밀어 올려서 결국에는 디스크(40)가 변형이 되면서 디스크(40)의 외판(43)이 헤드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의 그림은 중앙소선(11)을 계속적으로 타격하여 밀어줌에 따라 닫힌 모자(30)의 모자 닫힘부(35)까지 밀려 올라간 디스크(40)가 이번에는 닫힌 모자(40)를 함께 밀고 올라가고 있으며 밀려 올라가는 닫힌 모자(40)는 웨지콘(80)을 아울러 같이 끌고 올라가게 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끌려 올라가는 웨지콘(80)에 채워진 스톱링 스프링(70)이 헤드 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을 만나 도 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상태에서 회복되면서 직경이 커지면서 스톱링 스프링(70)의 일부가 디스크 안치부(23)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웨지콘(80)에 체결된 스톱링 스프링(70)이 디스크 안치부(23)에도 끼워지게 되면서 통상의 내경 스냅링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어 웨지콘(80)은 스톱링 스프링(70)을 파손하기 전에는 전진 혹은 후진 등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웨지콘(80)의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웨지콘(70)의 인장재(10)에 대한 체결력도 해제된다. 좌측에서 네 번째 그림은 상기 세 번째 그림의 과정을 통해 고정된 웨지콘(70)으로부터 인장재(10)를 분리하여 발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5는 본 고안 앵커체의 일 실시예의 또다른 인장재 제거과정을 보인 것으로, 도 15는 상기 도 14에서 보인 인장재 제거과정의 변형예라 할 수 있다.
좌측 첫 번째의 그림은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을 타격하여 밀어 넣고 있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좌측 두 번째의 그림은 계속적인 타격에 의해 밀어 올려진 중앙소선(11)이 닫힌 모자(30)의 내공부(31)를 통과하여 디스크(40)을 만나 디스크의 중심판(41)을 밀어 올려서 결국에는 디스크(40)가 변형이 되면서 디스크(40)의 외판(43)이 헤드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의 그림은 중앙소선(11)을 계속적으로 타격하여 밀어줌에 따라 닫힌 모자(30)의 모자 닫힘부(35)까지 밀려 올라간 디스크(40)가 이번에는 닫힌 모자(40)를 함께 밀고 올라가고 있으며 밀려 올라가는 닫힌 모자(30)는 웨지콘(80)을 아울러 같이 끌고 올라가게 되는 것을 보인 것으로, 끌려 올라가는 웨지콘(80)에 채워진 스톱링 스프링(70)이 헤드 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을 만나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안치부(23)에 끼워지지 못하고 디스크 안치부(23)를 통과하여 계속적으로 밀려 올라가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좌측에서 네 번째 그림은 상기 세 번째 그림의 과정을 통해 밀려 올라간 디스크(40) 및 스톱링 스프링(70)을 보인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도 6은 헤드 캡(20)의 캡 내공(21)에는 요철부(24)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헤드 캡(20)의 요철부(24)는 요철부(24)까지 밀려 올라간 디스크(40) 및 스톱링 스프링(70)을 다시 밑으로 당길 때 쉽게 밑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의 좌측에서 네 번째 그림은 상기 헤드 캡(20)의 요철부(24)까지 밀려 올라간 디스크(40) 및 스톱링 스프링(70)이 요철에 걸려 밑으로 끌려 내려오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웨지콘(80)으로부터 손쉽게 인장재(10)를 분리하여 발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6은 본 고안 앵커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 17은 본 고안 앵커체의 개방 모자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닫힌 모자(30)를 대신하여 개방모자(110)을 사용한 경우를 보이고 있다.
도 도 17은 본 고안 앵커체의 개방모자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개방모자(110)는 중앙에는 중공인 모자 중앙통공(111)을 가지며, 도 9에서 예시한 닫힌 모자(30)에서와 같이 챙부(113), 웨지콘 견인턱(112)을 가지며, 닫힌 모자(30)와는 달리 모자 닫힘부(35), 절개부(33) 등이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8은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6, 도 17을 통해 보인 개방 모자(110)을 이용하여 웨지콘(80)으로부터 인장재(10)를 제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좌측 첫 번째의 그림은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을 타격하여 밀어 넣고 있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좌측 두 번째의 그림은 계속적인 타격에 의해 밀어 올려진 중앙소선(11)이 개방모자(30)의 모자 중앙통공(111)을 통과하여 디스크(40)을 만나 디스크의 중심판(41)을 밀어 올려서 결국에는 디스크(40)가 변형이 되면서 디스크(40)의 외판(43)이 헤드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좌측으로부터 세 번째의 그림은 중앙소선(11)을 계속적으로 타격하여 밀어줌에 따라 디스크(40)가 헤드 캡(20)의 캡 내공(21)의 깊은 곳까지 밀려 올라간 것을 보여주고 있다. 좌측에서 네 번째 그림은 이번에는 중앙소선(11) 대신에 외주소선(12)을 하나 혹은 복수개 타격하며 밀어 올리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타격을 통해 밀어 올려진 외주소선(12)은 개방모자(110)를 밀어올리게 되며 개방모자(110)는 다시 웨지콘(80)을 동시에 밀어 올리게 된다. 외주소선(12)을 타격함에 따라 밀어 올려진 웨지콘(80)은 웨지콘(80)에 채워진 스톱링 스프링(70)이 헤드 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을 만나 도 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상태에서 회복 되면서 직경이 커지면서 스톱링 스프링(70)의 일부가 디스크 안치부(23)에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웨지콘(80)에 체결된 스톱링 스프링(70)이 디스크 안치부(23)에도 끼워지게 되면서 웨지콘(80)은 스톱링 스프링(70)을 파손하기 전에는 전진 혹은 후진 등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웨지콘(80)의 위치는 고정되게 된다. 아울러 웨지콘(70)의 인장재(10)에 대한 체결력도 해제된다. 좌측에서 다섯 번째 그림은 상기 네 번째 그림의 과정을 통해 고정된 웨지콘(70)으로부터 인장재(10)를 분리하여 발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며, 도 20은 본 고안 앵커체의 외요철 웨지콘의 단면도를, 도 21-1은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분해사시도를, 도 21-2는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단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19는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6의 단면도에 보인 경우와는 형상이 다른 외요철 웨지콘(115)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테이퍼판 스프링(120)을 사용하고 있을 것을 보인 것이다.
도 20은 본 고안 앵커체의 외요철 웨지콘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외요철 웨지콘(115)은 상기 도 7에서 예시한 웨지콘(80)과는 달리 그 외주면 상부에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사다리꼴 형태의 홈으로 구성된 웨지콘 외요철(116)을 가진 것을 볼 수 있다.
도 21-1은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분해사시도, 도 21-2는 본 고안 앵커체의 테이퍼판 스프링의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테이퍼판 스프링(120)은 원판 링 형상의 스프링 챙부(122)가 있으며, 스프링 챙부(122)의 내주면 상단에는 스프링 챙부와 같은 직경의 뿌리 및 라운드를 가지며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안으로 오므려 들면서도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붙여진 복수개의 스프링 날개부(123)가 있으며, 상기 스프링 날개부(123)는 개개로 분리되어 있어 그 사이 사이에는 스프링날개 절개부(124)가 형성되게 되고, 또한 스프링 날개(123)의 안쪽으로는 자연스럽게 스프링 중공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이다. 상기 스프링 날개부(123)는 라운드를 가지는 뿌리부로 인하여 안쪽 아래에서 바깥쪽 위로 밀어 올리는 힘에 의해서는 쉽게 변형이 되나, 역으로 바깥쪽 위로부터 안쪽 아래로 굽히는 힘에 대해서는 저항을 하게 되어, 복수개의 스프링 날개부(123)는 자연스럽게 판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스프링 날개부(123)는 상기 도 20에 도시한 외요철 웨지콘(115)의 웨지콘 외요철(116)에 끼워져 한방향으로의 진행은 원할히 하고 또 다른 방향으로의 진행은 방해하는 스프링이자 스톱퍼(stopper)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2는 본 고안 앵커체의 또다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을 보인 것으로, 상기 도 19, 도 20, 도 21-1, 도 21-2에 예시한 부재들을 이용하여 변형으로 구성된 또다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과정을 보인 것이다. 좌측에서 첫 번째 그림은 헤드 실린더(90)에 외요철 웨지콘(115)을 인장재(10)를 물고 채결한 상태에서, 외요철 웨지콘(115)에 형성된 복수개의 웨지콘 외요철(116)중 최상단의 외요철(116)의 요철부에 테이퍼판 스프링(120)의 스프링 날개부(123)가 끼워지도록, 헤드 실린더(90)의 실린더 중공부(92)에 홈을 파고 테이퍼판 스프링(120)을 체결한 상태로 조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좌측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림은 인장재(10)의 중앙소선(11)을 타격하여 밀어 넣고 있는 과정을 보인 것이며, 그림은 계속적인 타격에 의해 밀어 올려진 중앙소선(11)이 개방모자(30)의 모자 중앙통공(111)을 통과하여 디스크(40)를 만나 디스크의 중심판(41)을 밀어 올려서 결국에는 디스크(40)가 변형이 되면서 디스크(40)의 외판(43)이 헤드캡(20)의 디스크 안치부(23)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 과정과 중앙소선(11)을 계속적으로 타격함으로써 디스크(40)가 헤드 캡(20)의 모자 내공부(21)의 깊은 곳까지 밀려 올라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좌측으로부터 네 번째의 그림은 중앙소선(11) 대신에 외주소선(12)을 하나 혹은 복수개 타격하며 밀어 올리는 과정을 보인 것으로, 타격을 통해 밀어 올려진 외주소선(12)은 개방모자(110)를 밀어 올리게 되며 개방모자(110)는 다시 외요철 웨지콘(115)을 동시에 밀어 올리게 된다. 외주소선(12)으로 인해 밀려 올라가는 외요철 웨지콘(115)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웨지콘 외요철(116)이 헤드 실린더(90)에 체결된 테이퍼판 스프링(120)의 스프링 날개부(123)를 극복하면서 위로 올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외요철 웨지콘(115)은 테이퍼판 스프링(120)의 스프링 날개부(123)을 극복하면서 위로는 쉽게 올라갈 수 있지만 상기 도 21-1, 도 2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밑으로 끌려 내려오는 것은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좌측으로부터 다섯 번째 그림은 외요철 웨지콘(115)이 테이퍼판 스프링(12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외요철 웨지콘(115)으로부터 인장재(10)를 분리하여 발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도 19, 도 20, 도 21-1, 도 21-2, 도 22에서 보인 또다른 실시예에서 개방모자(110) 대신에 닫힌 모자(30)를 사용하고 또한 웨지콘(80)에 스톱링 스프링(70)을 대신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3-1은 본 고안 앵커체의 내하체 헤드의 분해사시도, 도 23-2는 본 고안 앵커체의 내하체 헤드의 단면도을 보인 것으로, 도 1 및 도 2-2에 도시한 내하체(4)의 구성요소인 내하체 헤드(130)을 보인 것이다. 내하체 헤드(130)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복수개의 헤드 실린더(90)를 체결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내하체 파이프(140)와 체결된다. 내하체 헤드(130)는 일정한 길이의 원형 환봉과 같은 부재의 외주면 아랫 부분에는 내하체 파이프(140)와 끼워지도록 그 직경을 조절하여 내하체 파이프 체결부(131)을 형성하고, 윗면에는 헤드실린더 얹힘부(138)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통공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는데 각각의 통공은 피복(13)이 씌워진 인장재(10)가 통과하는 인장재 통공(132)를 형성하며, 상기 인장재 통공(132) 상단에는 헤드실린더 얹힘부(138)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인장재 통공(132)보다는 큰 직경을 가지는 형태의 좌삭부를 형성한 실링볼트 좌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인장재 통공(132)와 인장재 통공 사이에는 헤드 실린더 결속부(135)가 형성되는데, 상기 헤드 실린더 결속부(135)는 헤드 실린더(90)의 외경에 맞도록 헤드실린더 얹힘부(138)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취하며, 헤드 실린더 결속부(135)의 헤드 실린더(90)가 체결되는 부분은 아래에는 헤드 실린더(90)의 외경과 비슷하도록 된 반원형을 취한 헤드실린더 결속홈(136)이 형성되며, 상기 헤드실린더 결속홈(136) 상측부에는 헤드 실린더(90)에 형성된 스틸밴드 체결부(97)와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이를 헤드실린더 체결홈(137)이라 하며 상기 헤드실린더 체결홈(137)에는 헤드 실린더(90)의 스틸밴드 체결부(97)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헤드실린더 얹힘부(138)에 돌출된 형태로 된 헤드실린더 결속부(135)는 용접이음 혹은 통상의 볼트이음 등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내하체 헤드(130)에서 상기 복수개 형성된 인장재 통공(132)들의 사이에는 내하체 헤드(130)의 외주면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반원형 홈 형상으로 된 인장재 통과홈(134)이 복수개 형성되며 이때 인장재 통과홈(134)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반원형 홈들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중앙소선 혹은 외주소선을 타격하여 웨지콘을 밀어 올리면서 웨지콘을 스톱링 스프링 혹은 테이퍼판 스프링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웨지콘으로부터 인장재를 분리 발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장재를 완벽하게 지상으로 발출 제거가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 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내주면에 경사면(98)을 구비하는 헤드실린더(90)와; 상기 헤드실린더(90)의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헤드실린더(90)의 경사면(98)에 대응하는 경사면(87)을 가지며, 내부에 인장재(10)가 삽입되는 통공(81)을 구비하는 복수개의 웨지콘(80)과; 상기 복수개의 웨지콘(80)을 결합시키는 스톱링 스프링(70)과; 상기 웨지콘(8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모자체결부(84)에 삽입되는 웨지콘견인턱(34)을 가지고, 내부에 인장재(10)가 삽입되는 모자내공부(31)가 형성되는 모자(30)와; 상기 웨지콘(8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프링(60)과; 상기 스프링(6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프링(60)을 지지하는 부싱(50)과; 상기 헤드실린더(90)의 상부에 결합되는 헤드캡(20)과; 상기 헤드캡(20)의 내부에 설치되고, 모자(30)와 결합되는 디스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20)의 내주면에 요철부(24)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30)에 디스크(40)가 삽입 결합되는 복수개의 절개부(33)를 형성시키고, 그 상부를 밀폐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30)의 절개부(33)에 삽입 결합되는 디스크(40)가 중심판(41)과, 상기 중심판(41)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날개(42)와, 상기 날개(42)의 단부에 형성되는 외판(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콘(80)의 내부면에 나선부(86)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실린더(90)의 하단 내부에 실러링(100)을 설치시키고, 상기 실러링을 지지하는 실링볼트(105)를 체결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9. 삭제
  10.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30)의 상부가 개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콘(80)의 상부 외주연에 복수개의 외요철(116)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콘(80)을 결합시키는 스프링이 스프링챙부(122)에 복수개의 스프링날개부(123)가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판 스프링(1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운드 앵커.
KR20-2002-0034231U 2002-11-15 2002-11-15 그라운드 앵커 KR2003137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31U KR200313709Y1 (ko) 2002-11-15 2002-11-15 그라운드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231U KR200313709Y1 (ko) 2002-11-15 2002-11-15 그라운드 앵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932A Division KR20040042975A (ko) 2002-11-14 2002-11-14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709Y1 true KR200313709Y1 (ko) 2003-05-22

Family

ID=494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231U KR200313709Y1 (ko) 2002-11-15 2002-11-15 그라운드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70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088B1 (ko) 2005-12-05 2007-11-29 신종덕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KR100784941B1 (ko) * 2005-09-27 2007-12-14 김성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구조
KR100956606B1 (ko) * 2008-11-06 2010-05-12 최정숙 제거형 앵커
KR101020608B1 (ko) * 2008-02-27 2011-03-09 이재일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제거식 그라우팅 앵커
KR101048902B1 (ko) * 2008-10-27 2011-07-12 (주)거원엔지니어링 회동식 앵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941B1 (ko) * 2005-09-27 2007-12-14 김성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체 구조
KR100780088B1 (ko) 2005-12-05 2007-11-29 신종덕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KR101020608B1 (ko) * 2008-02-27 2011-03-09 이재일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제거식 그라우팅 앵커
KR101048902B1 (ko) * 2008-10-27 2011-07-12 (주)거원엔지니어링 회동식 앵커
KR100956606B1 (ko) * 2008-11-06 2010-05-12 최정숙 제거형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5381B2 (ja) 定着装置を構築する方法、部材および鉄筋
KR20040042975A (ko)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WO1995023896A1 (en) Removable ground anchor and method for ground anchorage using such
US4884377A (en) Removable tension member
KR200313709Y1 (ko) 그라운드 앵커
KR101595306B1 (ko) 회전에 의한 기계식 정착형 어스 앵커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0284670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공법
KR101135076B1 (ko) 제거식 앵커의 강연선 제거공법
EP3336259B1 (de) Anker zur verankerung im boden und/oder felsen mit rückbaubarem zugglied
JP2846661B2 (ja) 陸地に定着可能な引張部品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引張部品
US5596854A (en) Post-tensioning anchor head assembly
KR100370339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KR100599332B1 (ko) 열처리 방식을 이용한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
KR101774869B1 (ko) 제거식 앵커용 정착구
CN110685282B (zh) 锚索承载装置、锚索及其张拉施工方法
KR100447996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방법
KR101349259B1 (ko) 더블타입 하이브리드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하중분산형 제거식 앵커 결합 구조
KR200188101Y1 (ko) 그라운드 앵커
KR200443047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DE19626828C2 (de)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s rückbaubaren Verpreßankers mit einem Verpreßkörper und einem oder mehreren angeschlossenen Zuggliedern
GB2101651A (en) A post socket
KR100394542B1 (ko) 그라운드 앵커
JP3581016B2 (ja) 落石抑止抑制工法
KR200392215Y1 (ko) 강연선 인장헤드
JP2002515558A (ja) 仮設地盤アンカー体及び引張ワイヤーの解体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