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2226B1 - 윤활제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제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2226B1 KR101232226B1 KR1020100125662A KR20100125662A KR101232226B1 KR 101232226 B1 KR101232226 B1 KR 101232226B1 KR 1020100125662 A KR1020100125662 A KR 1020100125662A KR 20100125662 A KR20100125662 A KR 20100125662A KR 101232226 B1 KR101232226 B1 KR 1012322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ing
- tension
- lubricant
- hol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윤활제 제거장치는,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피복과 상기 인장재와 상기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를 갖는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윤활제가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윤활제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인장재 통과하는 제2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윤활제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공홀에 삽입되는 인장재를 제거하는 제거식 앵커 공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시 인장재와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윤활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는 토목이나 건축 공사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용 장치로서, 각종 구조물이나 건축물을 지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굴착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측벽이 붕괴되지 않도록 설치한 지지벽을 상기 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에 천공한 천공홀에 삽입된 후 그라우트(grout)에 의해 고정되어 구조물이나 건축물 또는 지지벽을 해당 위치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최근의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지하 앵커가 인접하여 건축되는 건축물의 시공상의 애로를 초래하고 법적으로 인접 지역을 침범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제거식 앵커 시공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제거식 앵커는 유턴(U-turn) 방식의 제거앵커와, 일자식 제거양커로 크게 분류된다. 유턴식 제거앵커는 영문 유(U)자 형태로 인장재를 구성하여 시공 후에 어느 일방을 당겨 제거하는 방식이고, 일자식 제거앵커는 각각의 인장재에 특수한 내하체를 삽입하여 설치 후에 인장재를 회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제거식 앵커 인장재의 경우, 가시설에 사용되는 예가 대부분이며, 설치 후 2 년 이내에 본 건축물의 시공과 함께 제거된다. 제거식 앵커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한다.
도1 및 도2는 종래 제거식 앵커의 인장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지반(S) 내부로 천공홀(5)에 삽입되는 강연선(1)은 중심에 인장재(2)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 피복(3)이 감싸고 있으며,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윤활제(4)가 채워져 있다. 윤활제(4)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리스(Grease)가 사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크레인 등의 중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인장재(2)를 하나씩 인발하여 제거할 때, 인장재(2)가 당겨지면서 윤활제(4)가 천공홀(5) 외부로 유출되게 되고, 유출된 그리스가 주변을 오염시키고 건축시공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공홀 내부에 삽입된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할 때 인장재와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윤활제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는,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피복과, 상기 인장재와 상기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를 갖는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윤활제가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윤활제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제1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강선이 통과하는 제2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탄성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제3 통과공이 형성된 지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확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재의 중심과 상기 확장부까지의 수직거리는 상기 확장부로부터 상기 관부재의 내주면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와 결합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가압부는 상기 제1,2 통과공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제1 구간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그 두께가 감소하는 제2 구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장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까지의 수직거리은 상기 제1 구간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구간의 일단부까지의 수직거리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가압부재의 제1,2 통과공은 상기 관부재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 커버부재에는 상기 관부재가 수용되는 제1,2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수용홈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는, 천공홀 내에 삽입되어 있는 인장재를 당겨서 제거할 때, 인장재와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1 및 도2는 종래 천공홀에 삽입된 인장재의 제거시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윤활제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거식 앵커 시공시 지반으로 천공된 천공홀에는 강연선(1)이 삽입된다. 상기 강연선(1)은 중심에 배치된 인장재(2)와, 그 주위를 감싸는 피복(3)과, 상기 인장재(2)와 피복(3)의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윤활제(4)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Greas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장재(2)를 인발하여 천공홀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가 천공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1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100)는, 관부재(10), 탄성부재(20), 제1 가압부재(30), 및 제2 가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재(10)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재(2)가 관통한다. 상기 관부재(1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부재(1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관부재(10)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20)로는 예컨대,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시 관통공의 내주면이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탄성부재(20)의 외주면은 관부재(10)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제1 탄성부재(21)와 제2 탄성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21)에는 인장재(2)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22)에는 인장재(2)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공(211)과 제2 관통공(222)은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21)와 제2 탄성부재(22)는 후술할 가압판(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탄성부재(21)의 길이와 상기 제2 탄성부재(22)의 길이의 합은 관부재(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제1,2 탄성부재(21,22)로 구성하였으나, 가압판(50)이 제거된 상태에서 하나의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제3의 탄성부재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제1,2 관통공(211,222)은 제1,2 탄성부재(21,22)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나의 인장재(2)가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를 다양하여 변경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 가압부재(30,40)는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상기 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부재(10)와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에는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과공(34)은 제1 구멍(311)과, 제2 구멍(3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제1 가압부(31)와, 제1 커버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31)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31)는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을 가압하고, 중심에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구멍(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는 상기 제1 가압부(3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에는 상기 관부재(10)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홈(33)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10)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의 중심에는 상기 제1 구멍(311)과 연통되는 제2 구멍(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의 구성은 상기 제1 가압부재(30)의 구성과 유사하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상기 관부재(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부재(10)와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타측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는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2 통과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통과공(44)은 제3 구멍(411)과, 제4 구멍(4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제1 가압부재(30)와 마찬가지로 제2 가압부(41)와, 제2 커버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부(41)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압부(41)는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을 가압하고, 중심에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3 구멍(411)이 형성된다.
물론,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제1,2 통과공(34,44)이 개수 및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31)와 상기 제2 가압부(41)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여 제1,2 탄성부재(21,22)를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는 상기 제2 가압부(4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에는 상기 관부재(10)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홈(43)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10)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의 중심에는 상기 제3 구멍(411)과 연통되는 제4 구멍(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커버부재(32,42)가 상기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2 가압부(31,41)가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게 된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제1,2 가압부(31,41)는 제1,2 구간(D1,D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구간(R1)은 제1,2 통과공(34,4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는 구간이며, 상기 제2 구간(R2)은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 두께 지점으로부터 그 두께가 감소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장재(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까지의 수직거리(D1)은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구간(R2)의 일단부까지의 수직거리(D2)보다 짧다.
즉, 제1 가압부(31)의 두께(제1 커버부재(32)로부터 상기 관부재(10)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장 커지는 지점은 상기 관부재(1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부재(10)의 반경의 1/2보다 작은 지점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제1 가압부(31)가 제1 탄성부재(21)를 가압할 때 제1 탄성부재(21)는 인장재(2) 주위에서 보다 많은 탄성 변형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제1,2 가압부재(30,40)의 제1,2 통과공(34,44)에는 상기 관부재(10)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6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60)은 제1,2커버부재에 형성된 제2,4 구멍에 형성된다. 상기 인장재(2)는 상기 경사면(60)에 의해 제1,2 커버부재(32,42)를 통하여 관부재(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100)는 가압판(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관부재(10) 내에 삽입되고, 제1,2 탄성부재(2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2 가압부(31,41)가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반작용력에 의해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의 탄성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판(50)의 중심에는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다. 물론,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제3 통과공(51)이 개수 및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0)은 확장부(52)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부(52)는 상기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 지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분이다. 도3에서 상기 인장재(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확장부(52)까지의 수직거리(D3)는 상기 확장부(52)로부터 상기 관부재(10)의 내주면까지의 수직거리(D4)보다 짧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1,2 가압부(31,41)의 제1,2 구간(D1,D2)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유함이다. 즉, 제1,2 탄성부재(21,22)가 탄성변형되면서 인장재(2)를 가압할 때, 인장재(2) 주면에서 보다 많은 탄성변형을 유도하기 확장부(52)를 인장재(2) 측에 근접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윤활제 제거장치(1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100)는, 관부재(10)의 중앙부에 가압판(50)이 삽입되며, 가압판(50)을 중심으로 제1,2 탄성부재(21,22)가 관부재(10)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에 제1 가압부(31)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32)가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 가압부(31)를 관부재(1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한편,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에 제2 가압부(4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부재(42)가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2 가압부(41)를 관부재(1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결국, 상기 제1,2 가압부(31,41)가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고, 제1,2 탄성부재(21,22)는 탄성변형되면서 인장재(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50)의 확장부(52)와, 제1,2 가압부(31,41)에서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이 제1,2 탄성부재(21,22)를 더욱 가압하여 제1,2 탄성부재(21,22)는 인장재(2)의 인근에서 보다 많은 탄성변형이 유도된다. 도5를 참조하면, 제1,2 가압부(31,41) 및 가압판(50)에 의해 탄성변형된 제1,2 탄성부재(21,22)의 모습이 도시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인장도구, 예컨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장재(2)를 인발할 때, 피복(3)과 인장재(2)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는 외부로 유출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100)가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강하게 밀착하고 있으므로, 인장재(2)의 외주면을 타고 윤활제(4)가 천공홀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제거장치(100)는 천공홀의 입구부에 설치되고, 인장재(2)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발할 때,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는 천공홀 내부에 잔류하게 될 뿐,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천공홀의 외부가 윤활제(4)로 오염되지 않게 되며, 후속하는 작업시 공사현장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관부재 20... 탄성부재
21... 제1 탄성부재 211... 제1 관통공
22... 제2 탄성부재 222... 제2 관통공
30... 제1 가압부재 31... 제1 가압부
32... 제1 커버부재 33... 제1 수용홈
34... 제1 통과공 311... 제1 구멍
321... 제2 구멍 40... 제2 가압부재
41... 제2 가압부 42... 제2 커버부재
43... 제2 수용홈 44... 제2 통과공
411... 제3 구멍 421... 제4 구멍
50... 가압판 51... 제3 통과공
52... 확장부 60... 경사면
1... 강연선 2... 인장재
3.... 피복 4... 윤활제
21... 제1 탄성부재 211... 제1 관통공
22... 제2 탄성부재 222... 제2 관통공
30... 제1 가압부재 31... 제1 가압부
32... 제1 커버부재 33... 제1 수용홈
34... 제1 통과공 311... 제1 구멍
321... 제2 구멍 40... 제2 가압부재
41... 제2 가압부 42... 제2 커버부재
43... 제2 수용홈 44... 제2 통과공
411... 제3 구멍 421... 제4 구멍
50... 가압판 51... 제3 통과공
52... 확장부 60... 경사면
1... 강연선 2... 인장재
3.... 피복 4... 윤활제
Claims (10)
- 인장재(2)와, 상기 인장재(2)를 감싸는 피복(3)과, 상기 인장재(2)와 상기 피복(3)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를 갖는 강연선(1)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2)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할 때 상기 윤활제(4)가 상기 천공홀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윤활제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부재(10);
상기 관부재(10)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20);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34)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30); 및
상기 인장재(2) 통과하는 제2 통과공(44)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10)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제1 가압부재(30)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탄성부재(21)와, 상기 제1 탄성부재(21)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탄성부재(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 가압판(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 지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확장부(5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2)의 중심과 상기 확장부(52)까지의 수직거리(D3)는 상기 확장부(52)로부터 상기 관부재(10)의 내주면까지의 수직거리(D4)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31)와, 상기 제1 가압부(3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41)와, 상기 제2 가압부(4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되는 제2 커버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윤활제 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가압부(31,41)는 상기 제1,2 통과공(34,4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는 제1 구간(R1)과,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그 두께가 감소하는 제2 구간(R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2)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까지의 수직거리(D1)은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구간(R2)의 일단부까지의 수직거리(D2)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가압부재(30,40)의 제1,2 통과공(34,44)은 상기 관부재(10)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6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커버부재(32,42)에는 상기 관부재(10)가 수용되는 제1,2 수용홈(33,43)이 형성되고, 상기 제1,2 수용홈(33,43)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10)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제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662A KR101232226B1 (ko) | 2010-12-09 | 2010-12-09 | 윤활제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5662A KR101232226B1 (ko) | 2010-12-09 | 2010-12-09 | 윤활제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4433A KR20120064433A (ko) | 2012-06-19 |
KR101232226B1 true KR101232226B1 (ko) | 2013-02-12 |
Family
ID=4668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5662A KR101232226B1 (ko) | 2010-12-09 | 2010-12-09 | 윤활제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2226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1883Y1 (ko) * | 2002-07-08 | 2002-10-11 | 이상섭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그리스 제거기 |
KR20040017510A (ko) * | 2002-08-21 | 2004-02-27 | 이상섭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2010
- 2010-12-09 KR KR1020100125662A patent/KR1012322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1883Y1 (ko) * | 2002-07-08 | 2002-10-11 | 이상섭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그리스 제거기 |
KR20040017510A (ko) * | 2002-08-21 | 2004-02-27 | 이상섭 |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피복내 그리스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4433A (ko) | 2012-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004461B1 (en) | Cable anchorage with bedding material | |
CN102203382A (zh) | 岩石锚缆索 | |
CN101078212B (zh) | 一种锚具及其去除方法 | |
AU1318499A (en) | Method, member and tendon for constructing an anchoring device | |
TR201808886T4 (tr) | Öngerilmeli diyafram duvar ve bu tür bir duvarı gerçekleştirme yöntemi. | |
KR20100046796A (ko) | 지압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 |
CN110747855B (zh) | 一种采用双套管拔除超长桩的方法 | |
CN113653520B (zh) | 一种对拉让压注浆锚索及其支护方法 | |
JP2008095400A (ja) | 斜材ケーブル撤去方法 | |
KR101059863B1 (ko) | 스프링에 의한 확장 쐐기형 하중 다단 지지 앵커 | |
KR101232226B1 (ko) | 윤활제 제거장치 | |
KR20050017160A (ko) | 복수의 정착날개를 갖는 고강성 앵커 | |
KR101260965B1 (ko) | 인장재 제거장치 | |
KR20120068424A (ko) | 그라운드 앵커체용 간격재 및 상기 간격재를 이용한 비제거식 케이블 볼트 앵커 설치구조 | |
KR20150104277A (ko) | 말뚝압입장치 및 압입말뚝공법 | |
JP4366597B2 (ja) | 既設杭の切断・撤去方法 | |
KR101255746B1 (ko) | 강연선 제거장치 | |
KR101765536B1 (ko) |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재 제거장치 | |
KR20160066766A (ko) | 마찰형 복합 그라운드앵커 | |
JP2006225887A (ja) | 除去式アンカーの定着具 | |
DE102017103758A1 (de) |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Rohrs in einen Untergrund und Anordnung eines Rohrs im Untergrund | |
JP2019183885A (ja) | 既設管の更生用支保装置 | |
KR100729661B1 (ko) | 지반개량앵커 시공방법 | |
KR200344958Y1 (ko) | 웨찌콘 스프링과 웨찌 인발 스프링을 이용한 인장재제거식 앵커 해드 | |
JP2008280826A (ja) | アンカーの引抜き力アップ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