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0965B1 - 인장재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인장재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965B1
KR101260965B1 KR1020110005390A KR20110005390A KR101260965B1 KR 101260965 B1 KR101260965 B1 KR 101260965B1 KR 1020110005390 A KR1020110005390 A KR 1020110005390A KR 20110005390 A KR20110005390 A KR 20110005390A KR 101260965 B1 KR101260965 B1 KR 101260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hole
pressing
fluid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080A (ko
Inventor
김성희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김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김성희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1020110005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9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강연선 제거장치는,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피복과, 상기 인장재와 상기 피복 사이에 윤활제가 채워진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을 감싸며, 내주면이 상기 수용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유체가 채워지도록 상기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체공과, 상기 유체가 배출 및 주입되는 제2 유체공이 형성된 실린더부재;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이동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출몰되는 이동부재;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는 웨지조립체;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지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포함하여서,상기 제1 유체공을 통해 주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블럭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밀려 이동하면서 상기 인장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장재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teel Strand}
본 발명은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거식 앵커에 시공된 강연선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라운드 앵커(Ground anchor)는 토목이나 건축 공사 등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고정용 장치로서, 각종 구조물이나 건축물을 지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굴착에 의해 형성된 지면의 측벽이 붕괴되지 않도록 설치한 지지벽을 상기 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그라운드 앵커는, 지반에 천공한 천공홀에 삽입된 후 그라우트(grout)에 의해 고정되어 구조물이나 건축물 또는 지지벽을 해당 위치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최근의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지하 앵커가 인접하여 건축되는 건축물의 시공상의 애로를 초래하고 법적으로 인접 지역을 침범하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제거식 앵커 시공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제거식 앵커는 유턴(U-turn) 방식의 제거앵커와, 일자식 제거양커로 크게 분류된다. 유턴식 제거앵커는 영문 유(U)자 형태로 인장재를 구성하여 시공 후에 어느 일방을 당겨 제거하는 방식이고, 일자식 제거앵커는 각각의 인장재에 특수한 내하체를 삽입하여 설치 후에 인장재를 회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이다.
제거식 앵커 인장재의 경우, 가시설에 사용되는 예가 대부분이며, 설치 후 2 년 이내에 본 건축물의 시공과 함께 제거된다. 제거식 앵커의 제거는 일반적으로 크레인 등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한다. 따라서, 중장비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이 과하게 요구되고, 시간 및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가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제거식 앵커의 인장재를 제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지반(S) 내부로 천공홀(5)에 삽입되는 강연선(1)은 중심에 인장재(2)가 배치되고, 그 주위에 피복(3)이 감싸고 있으며,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윤활제(4)가 채워져 있다. 윤활제(4)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그리스(Grease)가 사용된다.
도2를 참조하면, 크레인 등의 중장비(미도시)를 이용하여 인장재(2)를 하나씩 인발하여 제거할 때, 인장재(2)가 당겨지면서 윤활제(4)가 천공홀(5) 외부로 유출되게 되고, 유출된 그리스가 주변을 오염시키고 건축시공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천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인장재를 좁은 공간에서 신속하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할 때 인장재와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되는 인장재 제거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는,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피복과, 상기 인장재와 상기 피복 사이에 윤활제가 채워진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수용관; 상기 수용관을 감싸며, 내주면이 상기 수용관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에 유체가 채워지도록 상기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체공과, 상기 유체가 배출 및 주입되는 제2 유체공이 형성된 실린더부재;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이동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단부로부터 출몰되는 이동부재;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는 웨지조립체; 상기 이동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지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지지블럭;을 포함하여서, 상기 제1 유체공을 통해 주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블럭이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밀려 이동하면서 상기 인장재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에 상기 웨지조립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럭과 결합되는 덮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의 타단부에 윤활제 제거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는,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관부재; 상기 관부재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및 상기 인장재 통과하는 제2 통과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탄성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압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와, 상기 제1 가압부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는 상기 관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와, 상기 제2 가압부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와 결합되는 제2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가압부재에는 상기 실린더부재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는, 천공홀에 삽입되어 있는 인장재를 좁은 공간에서 신속하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인장재를 인발하여 제거할 때 인장재와 피복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1 및 도2는 종래 천공홀에 삽입된 인장재의 제거시 윤활제가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5는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6는 본 발명 실시예에 채용된 윤활제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7는 도6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8는 본 발명 실시예에 채용된 윤활제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
도9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제거식 앵커 시공시 지반으로 천공된 천공홀에는 강연선(1; 도1 참조)이 삽입된다. 상기 강연선(1)은 중심에 배치된 인장재(2)와, 그 주위를 감싸는 피복(3)과, 상기 인장재(2)와 피복(3)의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윤활제(4)로는 일반적으로 그리스(Greas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인장재(2)를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4는 도3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도4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00)는, 수용관(110), 실린더부재(120), 이동부재(130), 웨지조립체(140), 및 지지블럭(15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관(110)는 천공홀로부터 돌출되는 인장재(2)가 통과되는 관형의 부재이다. 상기 수용관(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인장재(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에 구멍이 뚫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부재(120)는 상기 수용관(110)을 감싼다.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내주면은 상기 수용관(1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공간부(123)를 형성한다. 상기 공간부(123)에 유체가 채워진다. 상기 유체를 채우기 위해서,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2 유체공(121,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고, 상기 제2 유체공(122)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 및 주입된다. 즉, 상기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제2 유체공(122)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고, 상기 제2 유체공(122)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공간부(123)에 삽입된다.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이동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출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재(130)는 상기 수용관(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이 상기 수용관(11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슬라이딩되고, 그 외주면은 상기 실린더부재(120)와 접촉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지지블럭(150)은 상기 이동부재(130)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주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30)가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블럭(150)이 상기 이동부재(130)에 의해 밀려 이동한다. 상기 지지블럭(150)에는 후술할 웨지조립체(14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홀(151)이 형성된다.
상기 웨지조립체(140)는 인장재(2)를 파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지조립체(140)는 복수의 절편(141)으로 이루어지며, 각 절편(141)이 모여 인장재(2)가 삽입되는 구멍(142)을 형성하고, 그 전체적인 형상은 원뿔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블럭(150)에 상기 웨지조립체(1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블럭(150)에는 덮개부재(160)가 결합되어 웨지조립체(1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00)는 윤활제 제거장치(2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인장재가 인발되어 제거될 때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가 천공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즉, 인장재(20)는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를 통과한 후에 실린더부재(120)를 관통한다.
도6는 본 발명 실시예에 채용된 윤활제 제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관부재(10), 탄성부재(20), 제1 가압부재(30), 및 제2 가압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재(10)는 양측 단부가 개방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장재(2)가 관통한다. 상기 관부재(10)의 양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부재(10)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관부재(10)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가능하다. 상기 탄성부재(20)로는 예컨대, 고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20)는 탄성변형시 관통공의 내주면이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하고, 탄성부재(20)의 외주면은 관부재(10)의 내주면과 밀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제1 탄성부재(21)와 제2 탄성부재(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부재(21)에는 인장재(2)가 관통하는 제1 관통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22)에는 인장재(2)가 관통하는 제2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관통공(211)과 제2 관통공(222)은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탄성부재(21)와 제2 탄성부재(22)는 후술할 가압판(5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탄성부재(21)의 길이와 상기 제2 탄성부재(22)의 길이의 합은 관부재(10)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제1,2 탄성부재(21,22)로 구성하였으나, 가압판(50)이 제거된 상태에서 하나의 탄성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을 물론이고, 제3의 탄성부재를 추가로 배치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제1,2 관통공(211,222)은 제1,2 탄성부재(21,22)의 중심에 배치되어 하나의 인장재(2)가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를 다양하여 변경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2 가압부재(30,40)는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여 탄성변형시키기 위해서 마련된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상기 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부재(10)와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에는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3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통과공(34)은 제1 구멍(311)과, 제2 구멍(3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제1 가압부(31)와, 제1 커버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31)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압부(31)는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을 가압하고, 중심에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구멍(31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는 상기 제1 가압부(3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에는 상기 관부재(10)가 수용되는 제1 수용홈(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수용홈(33)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10)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 커버부재(32)의 중심에는 상기 제1 구멍(311)과 연통되는 제2 구멍(32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의 구성은 상기 제1 가압부재(30)의 구성과 유사하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상기 관부재(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관부재(10)와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타측을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을 가압한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는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2 통과공(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통과공(44)은 제3 구멍(411)과, 제4 구멍(4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제1 가압부재(30)와 마찬가지로 제2 가압부(41)와, 제2 커버부재(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압부(41)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탄성부재(20)를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압부(41)는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을 가압하고, 중심에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3 구멍(411)이 형성된다.
물론,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제1,2 통과공(34,44)이 개수 및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31)와 상기 제2 가압부(41)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여 제1,2 탄성부재(21,22)를 탄성변형시킨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는 상기 제2 가압부(4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에는 상기 관부재(10)가 수용되는 제2 수용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수용홈(43)의 내주면과 상기 관부재(10)의 외주면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 커버부재(42)의 중심에는 상기 제3 구멍(411)과 연통되는 제4 구멍(4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2 커버부재(32,42)가 상기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2 가압부(31,41)가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게 된다.
도7를 참조하면, 상기 제1,2 가압부(31,41)는 제1,2 구간(D1,D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구간(R1)은 제1,2 통과공(34,44)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는 구간이며, 상기 제2 구간(R2)은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 두께 지점으로부터 그 두께가 감소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멍(31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까지의 수직거리(D1)은 상기 제1 구간(R1)의 최대두께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구간(R2)의 일단부까지의 수직거리(D2)보다 짧다.
즉, 제1 가압부(31)의 두께(제1 커버부재(32)로부터 상기 관부재(10) 내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가장 커지는 지점은 상기 관부재(10)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관부재(10)의 반경의 1/2보다 작은 지점에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제1 가압부(31)가 제1 탄성부재(21)를 가압할 때 제1 탄성부재(21)는 인장재(2) 주위에서 보다 많은 탄성 변형이 유도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압부재(30)의 제1 통과공(34)에는 상기 관부재(10) 내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면(6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60)은 제1 커버부재(32)에 형성된 제2 구멍(321)에 형성된다. 상기 인장재(2)는 상기 경사면(60)에 의해 제1 커버부재(32)를 통하여 관부재(1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타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20)가 삽입되는 삽입홈(4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가압판(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관부재(10) 내에 삽입되고, 제1,2 탄성부재(21,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판(50)은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2 가압부(31,41)가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압할 때, 그 반작용력에 의해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의 탄성변형을 촉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판(50)의 중심에는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다. 물론, 관통공의 개수 및 배치가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장재(2)가 동시에 통과되도록 제3 통과공(51)이 개수 및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50)은 확장부(52)를 구비한다.
상기 확장부(52)는 상기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 지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분이다. 도8에서 상기 인장재(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확장부(52)까지의 수직거리(D3)는 상기 확장부(52)로부터 상기 관부재(10)의 내주면까지의 수직거리(D4)보다 짧게 구성된다.
이는 상기 제1,2 가압부(31,41)의 제1,2 구간(D1,D2)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유함이다. 즉, 제1,2 탄성부재(21,22)가 탄성변형되면서 인장재(2)를 가압할 때, 인장재(2) 주면에서 보다 많은 탄성변형을 유도하기 확장부(52)를 인장재(2) 측에 근접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에 따른 본 실시예의 인장재 제거장치(10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인장재를 윤활제 제거장치(200)를 삽입한다.
도8를 참조하면,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관부재(10)의 중앙부에 가압판(50)이 삽입되며, 가압판(50)을 중심으로 제1,2 탄성부재(21,22)가 관부재(10)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21)의 일측에 제1 가압부(31)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버부재(32)가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 가압부(31)를 관부재(1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한편, 제2 탄성부재(22)의 일측에 제2 가압부(41)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버부재(42)가 관부재(10)와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2 가압부(41)를 관부재(10)의 내측으로 가압한다.
결국, 상기 제1,2 가압부(31,41)가 제1,2 탄성부재(21,22)를 가압하고, 제1,2 탄성부재(21,22)는 탄성변형되면서 인장재(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50)의 확장부(52)와, 제1,2 가압부(31,41)에서 두께가 증대되는 부분이 제1,2 탄성부재(21,22)를 더욱 가압하여 제1,2 탄성부재(21,22)는 인장재(2)의 인근에서 보다 많은 탄성변형이 유도된다. 도8를 참조하면, 제1,2 가압부(31,41) 및 가압판(50)에 의해 탄성변형된 제1,2 탄성부재(21,22)의 모습이 도시된다.
이어서, 제2 가압부재(40)의 삽입홈(45)에 실린더부재(120)를 삽입한다. 이때, 인장재(2)는 수용관(110)을 관통하여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이어서,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에 지지블럭(150)을 안착시키고, 지지블럭(150)의 안착홀(151)을 통과한 인장재(2)를 웨지조립체(140)에 결합한다.
이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면 이동부재(130)가 유압에 의해 뒤로 후퇴하여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웨지조립체(140)가 안착된 지지블럭(150)이 이동부재(130)와 함께 뒤로 후퇴하면서 인장재(2)를 당기게 된다. 이때, 제2 유체공(122)으로부터는 유체가 배출되게 된다.
이동부재(130)가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까지 최대로 후퇴하면, 제2 유체공(122)을 통해 유체를 주입하여 이동부재(130)를 윤활제 제거장치(200)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인장재(2)가 제거된다.
이처럼,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00)는, 유압을 이용하여 강연선(1)을 당겨 제거하는 방식으로, 종래 인장재를 제거하기 위해 중장비를 이용하는 것보다 좁은 공간에서 활용가능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강연선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인장재 제거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인장도구, 예컨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장재(2)를 인발할 때, 피복(3)과 인장재(2)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는 외부로 유출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00)는 윤활제 제거장치(200)를 채용함으로써,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강하게 밀착하고 있으므로, 인장재(2)의 외주면을 타고 윤활제(4)가 천공홀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도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인장재 제거장치(100)는 천공홀의 입구부에 설치되고, 인장재(2)를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인발할 때, 인장재(2)와 피복(3) 사이에 채워진 윤활제(4)는 천공홀 내부에 잔류하게 될 뿐, 천공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천공홀의 외부가 윤활제(4)로 오염되지 않게 되며, 후속하는 작업시 공사현장을 깨끗하게 보존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0... 인장재 제거장치 110... 수용관
120... 실린더부재 121... 제1 유체공
122... 제2 유체공 123... 공간부
130... 이동부재 140... 웨지조립체
150... 지지블럭 151... 안착홀
160... 덮개부재 200... 윤활제 제거장치
10... 관부재 20... 탄성부재
21... 제1 탄성부재 211... 제1 관통공
22... 제2 탄성부재 222... 제2 관통공
30... 제1 가압부재 31... 제1 가압부
32... 제1 커버부재 33... 제1 수용홈
34... 제1 통과공 311... 제1 구멍
321... 제2 구멍 40... 제2 가압부재
41... 제2 가압부 42... 제2 커버부재
43... 제2 수용홈 44... 제2 통과공
45... 삽입홈 411... 제3 구멍
421... 제4 구멍 50... 가압판
51... 제3 통과공 52... 확장부
60... 경사면 1... 강연선
2... 인장재 3.... 피복
4... 윤활제

Claims (6)

  1. 인장재와, 상기 인장재를 감싸는 피복과, 상기 인장재와 상기 피복 사이에 윤활제가 채워진 강연선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를 천공홀로부터 제거하는 인장재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수용관(110);
    상기 수용관(110)을 감싸며, 내주면이 상기 수용관(11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공간부(123)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123)에 유체가 채워지도록 상기 유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제1 유체공(121)과, 상기 유체가 배출 및 주입되는 제2 유체공(122)이 형성된 실린더부재(120);
    상기 공간부(123)에 삽입되며,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이동하여 그 일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출몰되는 이동부재(130);
    상기 인장재를 파지하는 웨지조립체(140); 및
    상기 이동부재(130)의 일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웨지조립체(140)가 안착되는 안착홀(151)이 형성된 지지블럭(150);을 포함하여서,
    상기 제1 유체공(121)을 통해 주입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30)가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지지블럭(150)이 상기 이동부재(130)에 의해 밀려 이동하면서 상기 인장재가 제거되며,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타단부에 윤활제 제거장치(200)가 구비되며,
    상기 윤활제 제거장치(200)는,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부재(10);
    상기 관부재(10)에 삽입되며,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탄성변형가능하며, 탄성변형시 상기 인장재(2)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탄성부재(20);
    상기 인장재(2)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34)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10)의 일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재(30);및
    상기 인장재(2) 통과하는 제2 통과공(44)이 형성되어 상기 관부재(10)의 타측에 결합되며, 결합시 상기 탄성부재(20)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럭(150)에 상기 웨지조립체(1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블럭(150)과 결합되는 덮개부재(1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0)는, 상기 제1 가압부재(30)에 의해 가압되는 제1 탄성부재(21)와, 상기 제1 탄성부재(21)와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 의해 가압되는 제2 탄성부재(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2 탄성부재(21,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인장재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51)이 형성된 가압판(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부재(30)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31)와, 상기 제1 가압부(3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되는 제1 커버부재(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압부재(40)는 상기 관부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20)를 가압하는 제2 가압부(41)와, 상기 제2 가압부(41)의 외측에서 상기 관부재(10)와 결합되는 제2 커버부재(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장재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재(40)에는 상기 실린더부재(120)의 타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장재 제거장치.
KR1020110005390A 2011-01-19 2011-01-19 인장재 제거장치 KR10126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390A KR101260965B1 (ko) 2011-01-19 2011-01-19 인장재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390A KR101260965B1 (ko) 2011-01-19 2011-01-19 인장재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80A KR20120084080A (ko) 2012-07-27
KR101260965B1 true KR101260965B1 (ko) 2013-05-06

Family

ID=4671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390A KR101260965B1 (ko) 2011-01-19 2011-01-19 인장재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9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8B1 (ko) * 2006-08-01 2007-10-17 (주)대영 토목공사용 인장재의 인장실린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8B1 (ko) * 2006-08-01 2007-10-17 (주)대영 토목공사용 인장재의 인장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080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537B2 (en) Method of supporting a rock wall
KR100949196B1 (ko) 강연선 재인장 장치
CN105874120B (zh) 绳索的末端固定方法及带末端固定件的绳索、用于绳索的末端固定方法的末端配件
CN102203382A (zh) 岩石锚缆索
TR201808886T4 (tr) Öngerilmeli diyafram duvar ve bu tür bir duvarı gerçekleştirme yöntemi.
EP2410222A1 (de) Vorrichtung zum Befestigen und Abdichten einer durch eine Wandöffnung einer Gebäudewand führenden Leitung
CN110747855B (zh) 一种采用双套管拔除超长桩的方法
CN107708948A (zh) 连续纤维增强材料张紧装置、连续纤维增强材料的张紧方法及楔体
JP2008095400A (ja) 斜材ケーブル撤去方法
KR101059863B1 (ko) 스프링에 의한 확장 쐐기형 하중 다단 지지 앵커
KR101427340B1 (ko) 강관말뚝 압입장치 및 압입 강관말뚝 공법
KR101583271B1 (ko) 말뚝압입장치 및 압입말뚝공법
KR101260965B1 (ko) 인장재 제거장치
JP2007046418A (ja) 除去式アンカーの定着具及びその定着方法
KR101232226B1 (ko) 윤활제 제거장치
KR101255746B1 (ko) 강연선 제거장치
KR20090091273A (ko) 일체식 분산압축형 앵커 및 이를 이용한 가압그라우팅 앵커링 공법
JP2006225887A (ja) 除去式アンカーの定着具
KR101288104B1 (ko) 강연선 가이드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CN111997048B (zh) 一种多功能重复利用的可回收锚杆或锚索
DE102017103758A1 (de) Verfahren zum Einbringen eines Rohrs in einen Untergrund und Anordnung eines Rohrs im Untergrund
JP6877237B2 (ja) 緊張材用定着具、及び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
RU2365729C1 (ru) Вставной кольцевой уступ обсадной колонны скважин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доставки и установки в обсадной колонне
JP3955533B2 (ja) 除去式アンカーの定着具と定着方法
KR101595837B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실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