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6386A -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6386A
KR20040016386A KR1020030052630A KR20030052630A KR20040016386A KR 20040016386 A KR20040016386 A KR 20040016386A KR 1020030052630 A KR1020030052630 A KR 1020030052630A KR 20030052630 A KR20030052630 A KR 20030052630A KR 20040016386 A KR20040016386 A KR 20040016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communicatio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boom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2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8409B1 (ko
Inventor
이와이히로시
가마에구치신지
야마다켄이치
아사히나도시히로
야마모토아쓰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6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유지한 채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고, 목에 거는 경우에 밸런스 좋게 걸 수 있도록 한다.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는, 그 케이스(103)에 접속된 양단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갖는 붐(boom)부(110)를 구비하고, 붐부(110)와 케이스(103)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110h)를 구비하고 있다. 붐부(110)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중앙부와, 중앙부에서 굴곡된 2개의 단부(端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붐부(110)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202)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무선통신장치{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주로 휴대전화 단말장치 등, 통신기기의 지지장치 또는 지지부재에 있어서 특징을 갖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전화 단말장치 등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소형화, 박형화(薄型化)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는, 종래 기술의 전화기로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의 송수신이나, WWW(world wide web)에 의한 웹페이지의 열람 등을 실행하는 데이터 단말장치에 변모를 이루고 있고, 그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디스플레이의 대화면화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는 폴딩(folding) 타입 휴대전화 단말이 보급되고 있다.
도 33(a)는, 종래 기술의 폴딩 타입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의 접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33(b)는 그 측면도이다. 도 33(a) 및 도 33(b)에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는, 상측 케이스(152)와 하측 케이스(103)가 힌지(hinge)부(104)로써 접을 수 있도록 접속되어서 구성되어 있고, 상측 케이스(152)에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서 송수신하거나 저장한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5)와, 통화시에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용 음성(音聲) 구멍부(106)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부터의 전파의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휩 안테나(whip antenna)인 외부 안테나(1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케이스(103)에는, 버튼 조작을 실행하는 키보드(107)와, 충전지(108)와, 마이크로폰(10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안테나 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용 안테나에 있어서, 하우징(housing)에,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는 폐위치(閉位置)로부터 하우징과 각도적으로 벌어진 작동 위치까지 움직이도록 피벗(pivot)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제1플립(flip)을 포함하는 안테나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안테나에 있어서, 접지면으로서의 도전 소자를 구비한 제2플립이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과 인접하는 폐위치와, 하우징 및 제1플립의 양쪽으로부터 각도적으로 벌어진 동작 위치와의 사이를 움직인다. 제1 및 제2플립이 폐위치에 있을 때, 그것들은, 제어장치를 덮어서, 해당 안테나가 하우징의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 동작 위치에서는, 안테나 소자 및 도전소자가, 사용자에 의한 간섭을 받기 어렵고, 또한 무선 네트워크의 주파수에 최적으로 동조된 안테나를 형성한다.
(특허문헌 1)
특표2002-516503호 공보.
그러나, 도 33(a) 및 도 33(b)에 도시된 외부 안테나(153)는, 상측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주머니에서 꺼낼 때에 걸리거나, 바지 주머니에 넣은 채, 의자에 앉았을 때에 외부 안테나(153)가 강하게 눌리는 경우가 있는 등,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한, 주머니에 넣지 않고 목에 거는 경우에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안테나(153)가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의 상부의 우측이나 왼쪽의 어느 쪽인가의 단부에 위치하는 비대칭 구조이므로, 무게 중심(重心)이 중심(中心)으로부터 벗어나서,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는, 하우징과 제1플립과 제2플립을 구비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또한,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제1플립의 치수가 크므로 사용자에게 방해가 되고, 조작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유지한 채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목에 거는 경우에 밸런스 좋게 걸 수 있도록 좌우 대칭인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성능 향상과 디자인 향상의 양쪽을 겸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인, 폴딩(folding)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의 평면도,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측면도.
도 2는 도 1(a)에 나타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a)의 하측 케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b)의 하측 케이스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형태로서, 역(逆) F 안테나 소자(4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c)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형태로서,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d)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형태로서, 사행상(蛇行狀; meander) 안테나소자(6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e)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실시형태로서, 헬리컬 도체(70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0f)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형태로서, 사행상 도체(71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1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g)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7실시형태로서, (a)는 3차원적으로 굴곡한 사행상 도체(72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2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h)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도 10(a)의 사행상 도체(721) 및 방사 도체(702)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제8실시형태의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제9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9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9실시형태의 변형예인,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0실시형태의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801a)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1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i)의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2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j)의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3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k)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의 측면도.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를 평면(1300) 위에 놓은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14실시형태인,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의 측면도.
도 20은 도 19(a) 및 도 19(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의 하측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5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m)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m)의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m)의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6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n)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의 측면도.
도 23은 도 22(a) 및 도 22(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를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제17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o)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o)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o)의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8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p)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측면도.
도 26은 도 25(a) 및 도 25(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하측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제19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q)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의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제20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r)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의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1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측면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1실시형태의 변형예인,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s)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제22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t)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측면도.
도 32는 도 31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하측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붐(boom)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나사부(142a, 142b)의 구체적인 구성예의 상면도이며, (d)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t)의 나사부(142a, 142b)의 구체적인 구성예의 측면도.
도 33은 종래 기술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의 평면도이고, (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의 측면도.
도 34는 종래 기술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51)를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1a 내지 101t, 801, 801a, 900, 900a: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2: 상측 케이스
103: 하측 케이스
104: 힌지부
105, 803: 디스플레이
106, 804: 스피커용 음성 구멍부
107, 805: 키보드
108, 806: 충전지
109, 807: 마이크로폰
110, 131, 132, 141, 808, 8O8a, 901, 1301: 붐(boom)부
110a, 110b, 133: 스트랩 부착부
110h, 110hl, 110h2, 110h3, 110h4, 110h11, 110h12, 110h13, 110h21, 110h22, 110h23, 110h31, 110h32: 관통 구멍
111, 125: 스트랩 부착 부재
111a: 부착부
111b: 스트랩 삽통부(揷通部)
112, 126: 스트랩
113, 114, 133h, 133hl, 133h2: 관통 구멍
121, 122, 123, 124, 127: 보강 부재
142a, 142b: 나사부
201, 705: 하측 기판
130, 202, 700, 710, 720, 1101, 1201: 안테나 소자
203: 급전점
204: 무선 통신회로
205: 무선 송신회로
206: 무선 수신회로
207: 서큘레이터
208: 급전 케이블
400: 역(逆) F 안테나 소자
BP: 분기부
500: 헬리컬 안테나 소자
501: 헬리컬 도체
600: 사행상(蛇行狀; meander) 안테나 소자,
601: 사행상 도체
701: 헬리컬 도체
702: 방사 도체
703: 급전 도체
711, 721: 사행상 도체
802: 케이스
902: 서브디스플레이
1102, 1202: 도체선
1103, 1104: 나사
1301a: 붐부의 중앙 부분
제1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에 접속된 양단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붐(boom)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붐부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굴곡된 2개의 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양단의 두께는, 상기 붐부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양단의 폭은, 상기 붐부의 중앙부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저면(底面)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그 중앙부가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저면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붐부는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료인 유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도체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비여진(非勵振)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의 단부(端部)에 접속된 판 형상의 스트랩(strap) 부착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부착부의 내부와 표면의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비여진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의 단부와의 접속부의 두께는,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로부터 멀리 있는 부분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헬리컬 (helical)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사행상(蛇行狀; meander)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행상 도체는 3차원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에 접속된 양단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붐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붐부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굴곡된 2개의 단부를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붐부는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붐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서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부와 케이스와의 사이의 공간에는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상기 붐부에 스트랩을 붙여서 목에 걸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고,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목에 걸었을 때에, 상기 장치의 좌우의 밸런스를 용이하게맞출 수 있다.
제2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의 단부에 접속된 판 형상의 스트랩 부착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스트랩 부착부의 내부와 표면의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서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그 관통 구멍에 스트랩을 붙여서 목에 걸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가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고,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목에 걸었을 때에, 상기 장치의 좌우의 밸런스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여러가지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1실시형태)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b)는 그 측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 나타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부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상측 케이스(102)와, 대략 직방체 형상의 하측 케이스(103)와, 상측 케이스(102) 및 하측 케이스(103)를 연결하는 힌지부(104)와, 상측 케이스(10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05) 및 스피커용 음성 구멍부(106)와, 하측 케이스(103)에 각각 설치된 키보드(107), 충전지(108), 마이크로폰(109) 및 붐부 (1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 상측 케이스(102)와 하측 케이스(103)가 힌지부(104)를 통해서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는 힌지부 (104)에 의해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서 송수신하거나, 또는 저장한 문자나 화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5)는, 상측 케이스(102)에서의,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가 접어졌을 때에 내측이 되는 내면 (102s)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무선 수신회로(206)(도 2참조)에 접속된 스피커(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이 스피커 위에 위치하여 통화시에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용 음성 구멍부(106)는, 상측 케이스 (102)의 디스플레이(105)가 설치된 내면(102s)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05)를 사이에 두고 힌지부(104)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버튼 입력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보드(107)는, 하측 케이스(103)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가 접어졌을 때에 내측이 되는 내면(103s)에 설치되고, 마이크로폰(109)은, 하측 케이스(103)의 키보드(107)가 설치된 내면(103s)에 있어서, 키보드(107)를 사이에 두고 힌지부(104)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충전지(108)는 하측 케이스(103)의 키보드(107)와는 반대측의 외면(103t)(이하, 저면이라고 한다)에 설치된다.
붐부(110)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가로 폭보다도 긴 길이를 갖는 원주 형상의 유전체 부재로 구성되고, 그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그 양단이 동일한 길이 만큼 굴곡되어 있다. 붐부 (110)의 양단은,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면 (103u)은, 하측 케이스(103)의 키보드(107)가 설치된 내면(103s)과, 그 내면(103s)에 대향하는 반대측의 저면(103t)을 연결하는 면으로서, 또한 힌지부(104)에 인접해 있다. 이 때, 붐부(11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110)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케이스가 그 폭 방향의 중심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좌우 대칭이 되고, 또한, 붐부(110)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103)의 저면(103t)보다도 외측(도 1(b)에서는, 케이스로부터 우측)에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붐부(110)의 중심부의 길이 방향은,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측면(도 1(b)의 지면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에, 하측 케이스(103)의 저면(103t)과 평행이 되어서, 붐부(110)가 하측 케이스 (103)의 저면(103t)과 단차 없이, 저면(103t)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에서 연장되어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 (103)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내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관통 구멍(110h)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 1(a) 및 도 1(b)에는, 외부 안테나 등, 기타 돌출물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안테나가 내장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 하측 기판(20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붐부(110)의 내부와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 연장되어 있으며,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파장을 λ로 하여, λ/4의 길이를 갖는 모노폴(monopole) 스트립 도체로 구성되는 안테나 소자(202)가 설치되어 있다. 안테나 소자(202)는, 하측 케이스(103) 내에 설치된 급전점(203)을 통해서 하측 기판(201)상에 설치된 무선 통신회로(204)와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회로(204)는, 무선 송신회로(205)와, 무선 수신회로(206)와, 서큘레이터(2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전점 (203)은,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서큘레이터(207)에 접속된다. 이 때, 안테나 소자(202)의 입력 임피던스와, 급전 케이블(208)의 특성 임피던스와, 무선 통신회로(204)의 출력 임피던스가 예를 들면 50Ω등의 소정의 임피던스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서큘레이터(207)에는, 무선 송신회로(205)와 무선 수신회로(206)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로부터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의 정보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경우에는, 무선 송신회로(205)는, 반송파를 상기 정보 신호에 따라서 디지털 변조한 후, 더욱 주파수가 높은 무선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고 또한 전력 증폭함으로써, 송신 무선 신호를 발생하고, 이 송신 무선 신호는, 서큘레이터 (207), 급전 케이블(208) 및 급전점(203)을 통해서 안테나 소자(202)에 입력되어서, 상기 송신 무선 신호가 안테나 소자(202)로부터 공간에 방사된다. 한편, 음성, 데이터, 화상 등의 정보 신호에 의해서 변조된 무선 신호를 수신 무선 신호로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서 수신할 때는, 안테나(202)에서 수신된 수신 무선 신호는, 급전점(203), 급전 케이블(208) 및 서큘레이터를 통해서 무선 수신회로(206)에 입력되고, 무선 수신회로(206)는, 입력된 무선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더욱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한 후, 디지털 복조함으로써, 정보 신호를 발생시켜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붐부(110)의 내부에 안테나 소자(202)를 형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153)(도 33참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전파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므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 의하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서 꺼낼 때에 외부 안테나가 걸리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 기술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a) 및 도 1(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목에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부착부(111a)와 스트랩 삽통부(揷通部)(111b)로 이루어지고, 소위「커넥터」라고 하는 스트랩 부착 부재(111)를 사용하여,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 스트랩(112)을 부착하였다. 상세하게는, 스트랩 부착 부재(111)의 부착부(111a)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붐부(1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외주면에 밀착해서 연결되고, 또한, 스트랩 (112)은, 스트랩 부착 부재(111)의 스트랩 삽통부(111b)를 통과한다. 여기서, 스트랩 삽통부(111b)는, 스트랩을 삽통시키기 위한, 예를 들면 원형의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는,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103)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공간내에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관통 구멍 (110h)이 있으므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110)에 스트랩(112)을 부착하여 목에 걸 수 있지만,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외부 안테나(153)(도 33참조)를 사용하지 않아도 좋기 때문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좌우 대칭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목에 걸었을 때에 용이하게 좌우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 의하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를 사용하여 통신할 때에, 붐부(110)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 수도 있게 되어서, 이에 따라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의 제1변형예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a)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의 예에서는, 원주 형상의 유전체를 굴곡시켜서 붐부(110)를 형성한 것에 대해서, 도 4(a)의 변형예에서는, 등각(等脚) 사다리꼴의 평행 평판 형상의 유전체로 구성되는 스트랩 부착부(110a)에 있어서, 스트랩을 통과시키는 구형(矩型) 형상의 관통 구멍(113, 1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다리꼴 판 형상의 스트랩 부착부 (110a)는, 사다리꼴의 서로 평행한 변 중의 한 쪽이, 도 1(a) 및 도 1(b)의 붐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a)의 하측 케이스(도 1(a) 및 도 1(b)의 103)의 상면(103u)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스트랩 부착부 (110a)의 중앙부에는, 2개의 관통 구멍(113, 114)이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a)의 폭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에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트랩 부착부(110a)에는, 도 2와 마찬가지로 안테나 소자(202)가 매입(埋入)된다. 또한, 스트랩 부착부(110a)에 2개의 관통 구멍(113, 114)이 스트랩을 부착하기 위한 개구로서 형성됨으로써, 특별한 부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스트랩을 직접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a)에 부착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형태의 제2변형예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b)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b)의 변형예에서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b)는, 구형의 평행 평판 형상을 갖는 유전체로 구성되는 스트랩 부착부(110b)에 있어서, 2개의 관통 구멍(113, 1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스트랩 부착부(110b)는, 구형 형상인 것을 제외하고는 도 4(a)의 스트랩 부착부(110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2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붐부(110)의 내부에 스트립 도체의 모노폴 안테나인 안테나 소자(202)를 형성한 예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기타의 안테나 구성을 사용해도 좋다. 그 예로서,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2 내지 제7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c, 101d, 101e, 101f, 101g, 101h)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형태로서, 역(逆) F 안테나 소자(4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c)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역 F 안테나 소자(400)는, 각각 스트립 도체로 구성된, 제1안테나 부분(401)과, 제2안테나 부분(402)과, 제3안테나 부분(40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역 F 안테나 소자(400)의 제1안테나 부분(401)의 일단은급전점(203)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분기점 BP에 접속된다. 또한, 제2안테나 부분 (402)의 일단은 분기점 BP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하측 케이스(103)내의 하측 기판 (201)에 형성된 접지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접지된다. 또한, 제3안테나 부분(403)의 일단은 분기점 BP에 접속되고, 이 제3안테나 부분(403)은 분기점 BP로부터 붐부(110)의 한 쪽 단부로부터 붐부(110)내를 통해서 그 반대측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제1안테나 부분(401)과, 제3안테나 부분(403)과의 길이의 합계는,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파장의 1/4의 길이로 설정되고, 제1 및 제3안테나 부분(401, 403)의 조합은 1/4 파장의 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또한, 제2안테나 부분(402)과, 제3안테나 부분(403)과의 길이의 합계는,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파장의 1/4의 길이로 설정되고, 제2 및 제3안테나 부분(401, 403)의 조합은 1/4 파장의 모노폴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한다.
또한, 급전점(203)은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하측 기판(201)상의 무선 통신회로(204)에 접속되고, 이 때, 급전점(203)에 있어서의 안테나 소자(202)의 입력 임피던스와, 급전 케이블(203)의 특성 임피던스와, 무선 통신회로(204)의 출력 임피던스는, 예를 들면 50Ω인 임피던스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3개의 안테나 부분(401, 402, 403)으로 이루어지는 안테나 장치는 역 F형 안테나 소자(400)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c)는, 붐부(110)내에 역 F 안테나 소자(400)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도 1(a) 및 도 1(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3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3실시형태로서,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d)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는, 붐부(110)의 내부와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 예를 들면 스트립 도체를 사용해서 형성되고,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는, 그 스트립 도체의 중간의 일부분에 있어서, 나선(螺旋) 형상의 헬리컬 도체(5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의 일단은, 급전점(203) 및 급전 케이블 (208)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d)는, 붐부(110)내에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도 1(a) 및 도 1(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고, 이 헬리컬 안테나 소자(500)에 의하면, 원편파(圓偏波)의 무선 신호를 소정의 지향 특성으로써 송수신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4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4실시형태로서, 사행상(蛇行狀; meander) 안테나 소자(6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e)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사행상 안테나 소자(600)는, 붐부(110)의 내부와 하측 케이스 (103)의 내부에, 예를 들면 스트립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사행상 안테나 소자 (600)는, 붐부(110)내에, 꼬불꼬불한 형상의 사행상 도체(6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행상 안테나 소자(600)의 일단은, 급전점(103) 및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e)는, 붐부(110)내에 사행상 안테나 소자(600)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도 1(a) 및 도 1(b)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0)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고, 본 실시형태의 사행상 안테나 소자 (600)에 의하면, 사행상 도체(601)를 구비했으므로, 도 1(a) 및 도 1(b)의 제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대역폭이 좁아지고, 또한 안테나의 이득이 저하한다.
(제5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제5실시형태로서, 헬리컬 도체(70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0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f)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f)의 안테나 소자(70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트립 도체를 사용하여 형성되고, 나선 형상의 안테나 길이 단축용 헬리컬 도체(701)와, 3개소에서 구부러진 직선 도체인 방사(放射) 도체(702)와, 급전 도체(70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헬리컬 도체(701) 및 급전 도체(703)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f)의 하측 케이스(103)내에 설치되는 한편, 방사 도체(702)는 붐부(110)내에 형성된다. 안테나 소자(700)의 헬리컬 도체 (701)의 일단은 방사 도체(702)의 일단에 접속되고, 방사 도체(702)의 타단은 붐부(110)내에서 개방단(開放端)을 형성한다. 한편, 헬리컬 도체(701)의 타단은 급전 도체(703) 및 급전점(203)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안테나 소자(700)의 스트립 도체는,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파장을 λ로 하여 약 λ/4의 전기장(電氣長)을 가지고 있어서, 급전 도체(703)의 급전점(203)측에서는 전류가 커지고, 방사 도체(702)의 개방단측에서는 전계가 커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소자(700)의 급전점(203) 근방인 하측 케이스(103)내에 헬리컬 도체(701)를 구비함으로써, 헬리컬 도체(701)로써 전류의 경로를 길게 하고, 그것에 따라서, 안테나 소자(700)의 전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700)를 여진(勵振)했을 때에, 방사 도체(702)로부터 방사되는 전계가 기타 부분에 비교하여 강하므로, 방사 도체(702)와, 하측 기판(705)의 접지 도체 및 힌지부(예로서, 도 1(a) 및 도 1(b)의 힌지부(104) 등으로서, 도체로써 구성될 때)와의 사이의 전자계(電磁界) 결합이 강해지고, 이미지(image) 전류가 하측 기판(705)의 접지 도체 및 힌지부(접지 도체)에 흐른다. 이 결과, 잠재적으로, 안테나 소자(700)로부터 전파를 방사하기 어려워질 염려가 있다. 이 경우, 방사 도체(702)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의 공간(도 8에서는, 관통 구멍(110h))이 유전체로 충전(充塡)된 경우, 전자계 결합이 더욱 강해지므로, 더욱 전파를 방사하기 어렵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사 도체(702)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에 공극(空隙)인 관통 구멍(110h)을 구비함으로써, 여기에 유전체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상기 전자계 결합을 낮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붐부(110)의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고, 시각을 통한 미감(美感)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f)에 있어서는, 급전점(203) 근방에 헬리컬 도체(70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00)를 구비했으므로, 안테나 소자 (700)의 실질적인 안테나 길이를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형태로서, 사행상 도체(71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1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g)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소자(710)는, 사행상 도체(711)와, 방사 도체(702)와, 급전 도체(7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8의 헬리컬 도체(701) 대신에, 꼬불꼬불한 형상의 사행상 도체(71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는, 제5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7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제7실시형태로서, 도 10(a)는, 3차원적으로 구부린 사행상 도체(721)를 포함하는 안테나 소자(720)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h)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사행상 도체(721) 및 방사 도체(702)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소자(720)는, 사행상 도체(721)와, 방사 도체(702)와, 급전 도체(7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도 8의 헬리컬 도체(701) 대신에, 꼬불꼬불한 형상의 사행상 도체 (72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는, 제5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사행상 도체(721)는, 3차원 방향으로 절곡(折曲)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실시형태)
상기한 제1 내지 제7실시형태에서는,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스트레이트(straight)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붐부를형성할 수 있다. 도 11(a)와 도 11(b)에, 붐부(808)를 형성한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1(a)는 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갖는 케이스(802)를 구비하고, 케이스(802)의 조작면(802s)의 상측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에서 송수신하거나, 또는 저장한 문자나 화상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803)가 설치되고, 디스플레이(803)의 상측에는 통화시에 통화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는 스피커(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이 스피커 위에 형성된 스피커용 음성 구멍부(80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803)의 하측에는, 버튼 입력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키보드(805)가 설치되고, 키보드(805)의 하측에는 마이크로폰(807)이 설치되고, 조작면(802s)과는 반대측인, 대향하는 케이스(802)의 저면(802t)에는, 충전지(8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802)의 조작면(802s)과 저면(802t)을 연결하는 상면(802u)에, 안테나 소자(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매입된 붐부(808)가 연결되어 있다. 붐부(808)는, 도 1(a) 및 도 1(b)의 붐부(110)와 마찬가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801)의 가로 폭보다도 긴 원주 형상의 유전체로 구성되고, 그 길이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면을 대칭면으로 하여 대칭이 되도록, 그 양단이 동일한 길이 만큼 굴곡되어 있으며, 붐부(808)의 양단은 케이스(802)의 상면(802u)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붐부(808)를 포함하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케이스(802)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이 되고, 또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808)가 케이스(802)의 저면(802t)에 평행하며, 붐부(808)와 저면(802t)이 단차 없이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는, 상기의 제1 내지 제7실시형태에 의한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붐부(808)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7실시형태에서 설명된 어느 하나의 안테나 소자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의 제1 내지 제8실시형태에서는, 유전체 재료로 구성되는 붐부(110, 808)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이 안테나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내릴 수 있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소자의 주위를 수지로써 고정함으로써, 붐부(110, 808) 및 안테나 소자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제1 내지 제8실시형태에서는, 붐부(110, 808)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한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붐부(110, 808)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지 않고, 안테나 소자를 케이스 내부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과제인, 주머니에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꺼낼 때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다.
(제9실시형태)
도 12(a)는 본 발명에 의한 제9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를 접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12(b)는 그 측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있어서, 붐부(901)는, 상측 케이스(102)에 있어서, 힌지부(104)가 설치된 상면(102u)과는 반대측으로 대향하는, 스피커용 음성 구멍부(106)가 형성된 측의 하면(102d)에 설치되고, 상측 케이스(102)의 내면(102s)에 대응하는 외면(102t)의 중앙부에, 서브디스플레이(90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상면(102u) 및 하면(102d)으로 했지만, 사용 상태에 따라서 상하 관계는 변화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 (902)는 주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를 접은 상태에서 사용되고, 시각, 전파 상태, 충전지 잔량 및 착신 메시지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가 서브디스플레이(902)를 구비한 경우에는, 서브디스플레이(902)에 표시되는 문자나 그림의 방향에 따라서, 접은 상태에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900)의 상측이 어느 쪽인가가 결정되지만,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를 접었을 때에 힌지부(104)가 하단이 되도록 서브디스플레이(902)를 배치하면, 본 실시형태와 같이, 붐부(901)를 힌지부(104)와는 반대측으로, 게다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의 단부인 하면(102d)에 배치함으로써, 목에 건 경우에 해당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900)를 손에 들었을 때에, 사용자가 서브디스플레이(902)에 표시되는 문자나 그림을 올바른 방향에서 볼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제1내지 제7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붐부(901)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해도 좋다.
도 13(a)는, 본 발명에 의한 제9실시형태의 변형예인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900a)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3(b)는 그 측면도이다. 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9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와 비교해서, 붐부(901)를,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과 대향하는 하면(103d)에 연결한 것이 상이하다. 이 경우, 제9실시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 이외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를 열어서 사용하는 통화시에는, 붐부(901)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의 하단이 되어서, 붐부(901)와 인체와의 거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으므로, SAR(Specific Absorption Rate; 비흡수율(比吸收率))의 최대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900a)의 힌지부(104) 또는 그 근방을 잡아서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인체에 의한 전자적(電磁的) 영향을 비교적 받기 어렵게 할 수 있고, 통화시에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10실시형태)
도 14(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0실시형태의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그 측면도이다. 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는,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8실시형태에 비교해서, 붐부(808a)를 케이스(802)의 상면(802u)에 대향하는 하면 (802d)에 연결한 것이다. 붐부(808a)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한 경우, 통화시에는 붐부(808a)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의 하단이 되어서, 인체와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와의 거리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으므로, SAR의 최대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801a)의 상부 근방(상면(802u)의 근방)을 잡아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체에 의한 전자적 영향을 비교적 받기 어렵게 할수 있고, 통화시에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11실시형태)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1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i)의 하측 케이스의 구체적인 구성을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1/4 파장의 모노폴 안테나인, 안테나 소자(1101)는 붐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서, 그 일단은 급전점(203)에 접속되고, 그 타단은 개방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급전점 (203)은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붐부(110)의 내부의 하측 케이스(103)측에, 도체선(1102)이 안테나 소자(1101)와는 소정의 거리 만큼 사이를 두고, 안테나 소자(1101)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체선(1102)의 양단은 각각,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 근방의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서, 각각 나사(1103, 1104)에 감겨지고, 이 나사(1103, 1104)에 의해서 하측 케이스(103)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i)에 있어서는, 도체선(1102)에 의해서 붐부(110)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체선(1102)을 안테나 소자(1101)와 전자적으로 결합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도체선 (1102)을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안테나 소자(1101)의 지향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비여진 소자인 도체선(1102)과 안테나 소자 (1101)가 서로 상이한 주파수대를 커버하도록 공진시킴으로써, 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i)를 2개의 주파수대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
(제12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제12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j)의 구성예를 투시도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하는 도체선(1202)을, 하측 케이스(103)로부터 보아서, 안테나 소자(1201)보다도 외측에 설치해도 좋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1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이상 설명한 제11 및 제12실시형태에 의한 도체선(1102, 1202)을, 제1 내지 제10실시형태 중의 어느 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체선(1102, 1202)을 붐부(110)내에 형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체선(1102, 1202) 대신에, 붐부(110)의 외측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마그네슘 합금이나 아연 합금으로 된 도체 재료로써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도체 재료를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도체 재료 부분에 급전하여, 안테나 소자(1201)의 일부로서 동작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도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3실시형태)
도 17(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3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7(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제1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에 비교해서, 하측 케이스(103)로부터 멀리 있는 붐부(1301)의 중앙 부분(1301a)이, 하측 케이스(103)의 저면(103t)의 연장면으로부터, 힌지부(104)를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붐부(1301)가저면(103t)으로부터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에 의하면, 붐부(1301)가 저면(103t)으로부터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를 책상이나 바닥 등의 평면(1300) 위에 놓은 경우에,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103)의 저면(103t)이 그 하측 단부를 제외하고, 평면(130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를 평면(1300) 위에 둔 상태에서 끌어서 이동시켜도, 하측 케이스(103)의 저면(103t)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의 각도가 경사져 있으므로, 책상 등의 위에 놓은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05)나 서브디스플레이(도 1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고, 예로서, 도 13(a)에 도시된 서브디스플레이(902) 등을 의미함)의 표시가 보기 쉽게 된다. 또한, 스틸 책상 등의 금속판상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를 놓은 경우에도, 안테나 소자가 형성된 붐부(1301)의 선단의 중앙 부분(1301a)만이 스틸 책상에 접촉할 뿐이므로, 금속판과의 전자계 결합에 의한 안테나 이득의 열화를 비교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붐부(1301)를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도 18과 같이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를 평면(1300) 위에 놓은 경우에, 잘못해서 밟는 등, 상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한 경우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k)가 쉽게 부수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붐부(1301)를, 제1 내지 제12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구성해도 좋다.
(제14실시형태)
도 19(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4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9(b)는 그 측면도이며, 도 20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체적인 구성을 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는,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에 비교해서, 붐부(1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110c)와,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의 폭 방향의 중앙부(103uc)와의 사이에 연결되는, 유전체로 구성되는 원주 형상의 보강 부재(121)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의 관통 구멍은, 좌우에 위치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0hl, 110h2)으로 분할된다.
도 19(a)와 도 19(b)에 있어서, 외부 안테나 등의 기타의 돌출물을 구비하고 있지 않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에 있어서,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 하측 기판(201)이 설치되어 있고, 붐부(110)의 내부와 하측 케이스(103)의 내부에 설치된 모노폴 안테나 소자(202)의 일단은, 급전점(203) 및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와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에 의하면, 원주 형상의 보강 부재(121)를 구비함으로써, 붐부(110)에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를 낙하한 경우에도 파손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서는, 붐부(110)의 내부에 모노폴 안테나 소자(202)를 형성하였지만,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내지 제7실시형태에 의한 안테나 소자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붐부(110)의 외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도체 재료를 형성해서 안테나 소자를 구성해도 좋고, 이에 따라서, 붐부(110)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어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가 바닥 등의 지면에 낙하한 경우에 쉽게 파손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5실시형태)
도 21(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5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m)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m)는,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의 제1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에 비교해서, 붐부(110)의 중앙부(110c)를 제외한 양측 부분(110a, 110b)의 길이 방향의 각각 대략 중앙부 사이에,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연결된,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원주 형상의 보강 부재(122)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의 관통 구멍은, 상하에 위치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0h3, 110h4)으로 분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m)는, 제14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보강 부재(122)를 예를 들면 도체 재료로 구성하고, 이에 따라서, 붐부(110)내에, 형성된 안테나 소자(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동작시에, 이 보강 부재 (122)를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시켜도 좋다.
상기의 제14 및 제15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보강 부재(121, 122)는 붐부(110) 또는 하측 케이스(103)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추가로 붐부(110)의 강도를 더욱 대폭으로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121, 122)를 유전체 재료로써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강 부재(121, 122)를 소정의 합금을 이용해서 형성해도 좋다.
(제16실시형태)
도 22(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6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를 접은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22(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는, 도 19에 도시된 보강 부재(121) 대신에, 각각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원주 형상의 제1 및 제2보강 부재(123, 1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110)에 있어서, 그 중앙부(110c) 근방이지만, 중앙부(110c)를 사이에 끼운 양측의 위치 부분에 부호(110ca, 110cb)를 붙이고,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에 있어서, 그 중앙부(103uc) 근방이지만, 중앙부(103u)를 사이에 끼운 양측의 위치 부분에 부호(103uca, 103ucb)를 붙인다. 여기서, 제1보강 부재(123)는, 붐부(110)의 부분(110ca)과,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 (103u)의 부분(103uca)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제2보강 부재(124)는, 붐부(110)의 부분(110cb)과,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의 부분(103ucb)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은,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관통 구멍(110h11)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0h12, 110h13)으로 분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를 끈이나 스트랩 등을 이용해서 목에 걸어서 지지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110)의 중앙부(110c)에 관통 구멍(110h11)이 형성되어서, 이 관통 구멍(110h11)을 통해서 스트랩(126)을 결합하기 위한 스트랩 부착 부재(125)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를 스트랩(126)으로써 목에 건 경우에 용이하게 좌우의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부재(123, 124)는, 붐부(110)의 관통 구멍 (110h11)에 통과시킨 스트랩 부착 부재(125)가 폭 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기능하므로, 목에 건 경우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n)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7실시형태)
도 24(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7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o)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4(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o)는,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9(a) 및 도 19(b)의 제14실시형태에 비교해서, 유전체로 구성되는 원주 형상의 보강 부재(121) 대신에, Ⅴ자 형상의 보강 부재(1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4(a) 및 도 24(b)에 있어서, 보강 부재(127)의 Ⅴ자의 하단부(127a)는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의 중앙부(103uc)에 연결되고, 보강 부재(127)의 Ⅴ자의 2개의 상단부(127b, 127c)는 각각, 붐부(110)의 중앙부(110c) 근방으로서, 중앙부(110c)의 양측의 위치인 각 부분(110ca, 110cb)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붐부(110)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은, 그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보강 부재(127)와 붐부(110)와의 사이에 형성된 관통 구멍(110h21)과, 그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관통 구멍(110h22, 110h23)으로 분할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o)에 의하면, 제14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갖는 동시에, 시각을 통한 미감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 또는 2개의 보강 부재(121, 122, 123, 124, 127)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3개 이상의 보강 부재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보강 부재(121, 122, 123, 124, 127)를, 유전체 대신에, 마그네슘이나 아연 등의 도전성의 재료로써 구성함으로써, 보강 부재를 비여진 소자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안테나의 지향성을 변화시키거나, 복수의 주파수대에서 공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유전체로 구성되는 붐부(110)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한 경우, 안테나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붐부(110)내에 형성한 안테나 소자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주위를 붐부(110)의 수지 재료로써 고정함으로써, 붐부(110) 및 안테나 소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6 및 제17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보강 부재(123, 124, 127)는 붐부 (110) 또는 하측 케이스(103)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고, 이 경우에는 붐부(110)의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123, 124, 127)를 유전체 재료로 구성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강 부재(123, 124, 127)를 소정의 합금을 사용해서 형성해도 좋다.
(제18실시형태)
도 25(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8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5(b)는 그 측면도이며, 도 26은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하측 케이스(103)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부를 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0의 제14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1)와 비교해서, 모노폴 안테나 소자(202) 대신에, 대략 T자 형상의 안테나 소자(1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6에 있어서, 안테나 소자(130)는, 붐부(110)에 매입된 수평 방향의 안테나 부분(129)과, 보강 부재(121)에 매입된 수직 방향의 안테나 부분(128)으로 구성되고, 수평 방향의 안테나 부분(129)은, 안테나 부분(128)과의 접속점(129c)을 경계로 하여, 좌측 안테나 부분(129a)과, 우측 안테나 부분(129b)으로 분할된다. 접속점(129c)은, 안테나 부분(128), 급전점(203) 및 급전 케이블(208)을 통해서 무선 통신회로(204)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안테나 소자(130)에 있어서, 안테나 부분(128, 129a)은 1/4 파장의 제1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하는 한편, 안테나 부분(128, 129b)은 1/4 파장의 제1모노폴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따라서, 안테나 소자(130)는, 2개의 모노폴 안테나를 구비한 2공진 안테나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붐부(110) 및 보강 부재(121)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또한, 보강 부재(121)를 안테나 소자의 수용(收容) 부재로서 이용함으로써, 안테나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고, 원하는 안테나 특성을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급전점(203)을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폭 방향의 중앙 부근에 배치함으로써, 안테나 소자 (130)를 대략 좌우 대칭 구조로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통화시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를 손으로 잡는 경우에 있어서, 왼손으로 잡는 경우와 오른손으로 잡는 경우에 대략 동일한 안테나 특성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121)를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p)의 폭 방향의 중앙 부근에 배치한 구성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보강 부재(121)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보강 부재(121)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하여, 각각의 보강 부재내에 안테나 소자의 일부를 매입(埋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14 내지 제18실시형태에 의한 보강 부재를, 제1 내지 제13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형성해도 좋다.
(제19실시형태)
도 27(a)는, 본 발명에 의한 제19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7(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는,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a) 및 도 1(b)의 제1실시형태에 비교해서, 2개소에서 굴곡된 원주 형상의 붐부(110) 대신에, 원주 형상의 유전체로써 구성되고 아치 형상(원호의 일부의 형상)을 갖는 붐부(13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붐부(131)와, 하측 케이스 (103)의 상면(130u)과의 사이에, 관통 구멍(110h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아치 형상의 붐부(131)를 구비했으므로, 2개소에서 굴곡된 붐부(110)에 비교해서,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목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를 걸어서 지지하는 경우에, 밸런스 좋게 걸 수 있고, 또한, 시각을 통한 미감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q)에, 제14내지 제18실시형태에 의한 1개 이상의 보강 부재를 추가로 구비해도 좋고, 이에 따라서, 기계적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제20실시형태)
도 28(a)는, 본 발명에 의한 제20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8(b)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는,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7(a) 및 도 27(b)의 제19실시형태에 비교해서, 원주 형상의 유전체로써 구성되고 아치 형상을 갖는 붐부(131) 대신에,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및 높이가 변화된 형상의 유전체로써 구성되고 아치 형상을 갖는 붐부(1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붐부(131)와,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30u)과의 사이에, 관통 구멍(110h3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8(a) 및 도 28(b)에 있어서, 붐부(132)의 중앙부(132c)의 두께를 tl로 하고, 두께 방향에 수직인 면내에 있어서의 폭을 wl로 하며, 또한 하측 케이스 (103)의 상면(130u)에 연결된 각각의 단부 부근의 두께를 t2로 하고 폭을 w2로 한다. 여기서, 도 2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wl보다 폭 w2 쪽이 커지도록 붐부 (132)를 형성함으로써, 붐부(132)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연결부 근방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의 낙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tl보다 두께 t2 쪽이 커지도록 붐부(132)를 구성함으로써, 붐부(132)와 하측 케이스(103)와의 연결부 근방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붐부의 두께를 t2로부터 tl로 되도록 테이퍼(taper) 형상으로 매끄럽게 변화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완만한 아치 형상을 나타내고, 시각을 통한 미감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4 내지 제18실시형태에서 설명된 1개 이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해도 좋고, 이에 따라서, 기계적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붐부(132)의 폭과 두께 모두가 붐부(132)의 중앙 부근보다도 하측 케이스(103)와의 연결부 부근에서 커지는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붐부(132)상에서 폭과 두께의 어느 한 쪽만을 변화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제21실시형태)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제21실시형태의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9(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1s)의 평면도이고, 도 29(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는,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하의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도 4(a)에 도시한 등각(等脚) 사다리꼴의 평행 평판 형상의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스트랩 부착부(110a) 대신에, 등각 사다리꼴의 대략 판 형상의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스트랩 부착부(133)를 구비하였다. 여기서, 스트랩 부착부(133)에 있어서, 그 중앙부(133c)의 두께를 tl로 하고,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30u)에 연결된 하측 부근의 두께를 t2로 한다. 여기서,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tl보다 두께 t2 쪽이 커지도록 스트랩 부착부(133)를 형성하였다.
(2) 스트랩 부착부(133)의 중앙부(133c)에 있어서, 스트랩을 통과시키기 위한 타원 형상의 관통 구멍(133h)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트랩 부착부(133)와 하측 케이스 (103)와의 연결부 근방의 기계적 강도를 강화할 수 있고,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r)의 낙하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랩 부착부(133)의 두께를 t2로부터 t1이 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매끄럽게 변화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스트랩 부착부(133)의 형상은 단순한 구형이 아니고, 시각을 통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133h)을 스트랩 부착부(133)의 중앙부(133c) 부근에 형성했으므로, 스트랩 등을 관통 구멍(133h)에 통과시켜서 목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를 건 경우에, 스트랩이 이동하는 범위를 좁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9의 예에 의하면, 도 23에 나타난 스트랩 부착 부재(125) 등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트랩을 직접 스트랩 부착부(133)에 부착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제21실시형태의 변형예인,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0(a)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평면도이고, 도 30(b)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는, 도 30(a) 및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9의 제21실시형태에 비교해서, 1개의 타원 형상의 관통 구멍(133h) 대신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스트랩 부착부(133)의 중앙 부근에, 원형인 2개의 관통 구멍(133h1, 133h2)을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변형예에서도, 도 29에 나타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s)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30의 예에 의하면, 도 23에 나타난 스트랩 부착 부재(125)와 같은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스트랩을 직접 스트랩 부착부(133)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 제19내지 제21실시형태에 의한 스트랩 부착부(133)를 제1 내지 제18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제22실시형태)
도 31(a)는, 본 발명에 의한 제22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를 접은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1(b)는 그 측면도이다. 또한, 도 32(a)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배면도이고, 도 32(b)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붐부(141)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32(c)는 붐부(141)를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의 하측 케이스(103)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부(142a, 142b)의 구체적인 구성예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2(d)는 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는,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의 붐부(110)에 비교해서, 붐부(141)의 양단을 나사부(142a, 142b)를 이용하여 하측 케이스(103)에 끼워맞춰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2(a)에 있어서, 붐부(141)의 양단은 나사부(142a, 142b)에 의해서 하측 케이스(103)의 상면(103u)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하측 케이스(103)에 있어서, 나사부(142a, 142b)를 끼워맞추는 부분에는, 나사부(142a, 142b)에 대응하는 나사 홈(103na, 103n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142a, 142b)는, 도 32(c) 및 도 3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의 중심부 부근은 공동(空洞)(142c)으로 되어 있고, 외측에는 나사 홈(142n)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142a, 142b)의 머리 부분에는, 나사 드라이버 등으로 나사를 끼울 수 있도록 홈(142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142a, 142b)는,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붐부(141)의 2개의 양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나사부(142a, 142b)가 붐부(14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붐부(141)의 2개의 양단부의 직경은 각각 나사부(142a, 142b)의 공동부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에 있어서, 붐부(141)의 단부에 구비된 나사부(142a, 142b)는 내부가 공동(142c)으로 되어 있으므로, 붐부(141)를 고정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나사 드라이버 등으로써 붐부(141)를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로부터 착탈할 수 있고, 크기나 색, 형상이 상이한 붐부(141)를 휴대형 무선통신장치(101t)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나사부(142a, 142b)로써, 붐부(141)와 하측 케이스 (103)를 연결하는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연결 수단을 사용하여 이것들을 연결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1개 이상의 보강 부재를 구비해도 좋고, 이에 따라서, 기계적 강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붐부(141)의 크기를 변경하면, 붐부(141)의 표면 또는 내부에 설치된 안테나 소자의 크기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큰 크기의 붐부(141)에는 크기가 큰 안테나 소자를 배치할 수 있고, 그러한 붐부(141)내의 안테나 소자(25)는, 고이득이면서 또한 광대역인 안테나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통화시에 있어서 인체 두부와 안테나 소자와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인체의 영향에 의한 안테나 방사 특성의 열화(劣化)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착탈 가능한 붐부(141)를, 제1내지 제21실시형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적용해도 좋다. 또한, 제14 내지 제22실시형태에서는, 폴딩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냈지만, 스트레이트 타입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사에,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붐부 또는 스트랩 부착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제14 내지 제22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붐부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해당 안테나 소자의 공진 주파수를 낮출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의 주위를 수지로써 고정함으로써, 붐부 및 안테나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양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4 내지 제22실시형태에서는, 붐부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는 구성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붐부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하지 않고,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내에 안테나 소자를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 기술의 과제인, 주머니에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꺼낼 때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제14 내지 제22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붐부의 구성 및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스트랩 등의 끈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이면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에 의하면, 양호한 안테나 방사 특성을 유지한 채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주머니에 넣어도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목에 거는 경우에 밸런스 좋게 걸 수 있도록 좌우 대칭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성능과 디자인의 양쪽을 겸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에 접속된 양단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붐(boom)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붐부와 상기 케이스와의 사이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폭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굴곡된 2개의 단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아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양단의 두께는, 상기 붐부의 중앙부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양단의 폭은, 상기 붐부의 중앙부의 폭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저면(底面)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서 연장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그 중앙부가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저면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탄력성이 있는 수지 재료인 유전체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는 도체 재료로써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붐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비여진(非勵振)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5.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의 단부에 접속된 판 형상의 스트랩(strap) 부착부를 구비한 휴대형 무선통신장치로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적어도 1개의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랩 부착부의 내부와 표면의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안테나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의 내부와 표면 중 한 쪽에 상기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비여진 소자의 적어도 일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의 단부와의 접속부의 두께는, 상기 스트랩 부착부에 있어서의 휴대형 무선통신장치의 케이스로부터 멀리 있는 부분의 두께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8.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헬리컬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사행상(蛇行狀; meander) 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상 도체는 3차원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무선통신장치.
KR1020030052630A 2002-07-31 2003-07-30 휴대형 무선 통신 장치 KR100998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2785 2002-07-31
JP2002222785 2002-07-31
JP2003018752 2003-01-28
JPJP-P-2003-00018752 2003-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386A true KR20040016386A (ko) 2004-02-21
KR100998409B1 KR100998409B1 (ko) 2010-12-03

Family

ID=3044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2630A KR100998409B1 (ko) 2002-07-31 2003-07-30 휴대형 무선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7650B2 (ko)
EP (2) EP1388910B1 (ko)
KR (1) KR100998409B1 (ko)
CN (1) CN1479408B (ko)
DE (1) DE60324068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71B1 (ko) * 2007-07-13 2009-05-1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받침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5821A1 (en) 2003-02-06 2004-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boom portion
US7412267B2 (en) * 2003-10-30 2008-08-1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device with a combination attachment and acoustic port
JP4300210B2 (ja) * 2004-11-18 2009-07-2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携帯型無線機
JP4291258B2 (ja) * 2004-12-27 2009-07-08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折畳み式携帯電話機
WO2007043138A1 (ja) * 2005-10-04 2007-04-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折畳式携帯無線装置
TW200737908A (en) * 2006-03-27 2007-10-01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07281258A (ja) * 2006-04-07 2007-10-25 Sony Corp 携帯装置
JP2007295459A (ja) * 2006-04-27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20080190976A1 (en) * 2007-02-12 2008-08-14 Chen Franklin Fk Bridged arc antenna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JP4894740B2 (ja) * 2007-12-03 2012-03-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9089136A1 (en) * 2008-01-07 2009-07-16 Etymotic Research, Inc. Two-way communication device with detachable boom
US8106837B2 (en) * 2008-09-26 2012-01-3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Equipment housing with integral antenna
US8199493B2 (en) * 2009-08-20 2012-06-12 Nokia Corporation Rotational apparatus for communication
US20110117975A1 (en) * 2009-11-17 2011-05-19 Etymotic Research, Inc. Two-Way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25532A1 (en) * 2012-11-08 2014-05-08 University Of Utah Tattooed antennas
US9042846B2 (en) * 2013-02-27 2015-05-26 Motorola Solutions, Inc. Portable radio having accessory interface
JP5907479B2 (ja) * 2013-03-22 2016-04-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電子機器
US9680202B2 (en) * 2013-06-05 2017-06-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antenna windows on opposing housing surfaces
WO2016061722A1 (zh) * 2014-10-20 2016-04-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体式通信设备
EP3067982B1 (de) * 2015-03-13 2017-05-03 Gigaset Communications GmbH Patchantenne für tragbare elektronische funkvorrichtungen
GB2571279B (en) 2018-02-21 2022-03-09 Pet Tech Limited Antenna arrangement and associate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557A (ja) 1993-05-20 1994-12-02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無線機
JPH084726A (ja) 1994-06-22 1996-01-09 Sekisui Jushi Co Ltd 圧着式ポールのストッパー構造
US5590416A (en) * 1995-06-08 1996-12-31 Ericsson Inc. Canted antenna for a cellular radiotelephone
JP3745038B2 (ja) 1996-07-30 2006-02-15 ボッシュ・レックスロス株式会社 可変容量ポンプを使用したブリードオフ制御方法
GB2325109B (en) * 1997-05-09 2001-08-22 Nokia Mobile Phones Ltd Portable radio telephone
DE29711698U1 (de) * 1997-07-03 1997-09-04 Dosch & Amand Gmbh & Co Kg Kommunikationseinsteckkarte
JPH11163628A (ja) 1997-11-25 1999-06-18 Hitoshi Tokumaru 無線端末装置
US5995052A (en) 1998-05-15 1999-11-30 Ericsson Inc. Flip open antenna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4495290B2 (ja) 1999-03-08 2010-06-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D434739S (en) 1999-03-17 2000-12-0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telephone device
WO2001009976A1 (de) 1999-07-29 2001-02-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nkgerät mit einem gehäuse, in das eine hohlform zur aufnahme eines antennenelements integriert ist
CN1196049C (zh) * 1999-08-27 2005-04-06 西门子公司 具有投影器的小型通信和/或数据处理装置
EP1087461B1 (en) 1999-09-21 2013-02-27 Alcatel Lucent Mobile radio equipment with yoke antenna
JP2001119463A (ja) 1999-10-08 2001-04-27 Sankiden Yugenkoshi 携帯端末装置用ホルダー
US6377223B1 (en) 1999-11-11 2002-04-23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Portable patient monitor with antenna integrated into handle
EP2264397B1 (de) * 1999-12-08 2015-10-07 PRÜFTECHNIK Dieter Busch AG Lagemesssonde zum gegenseitigen Ausrichten von Körpern und Verfahren zum gegenseitigen Ausrichten von Körpern
KR100613913B1 (ko) 2000-01-11 200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기록재생기의 데이터 기록 방법
US6292145B1 (en) * 2000-02-02 2001-09-18 Sun Yu Angled antenna for portable telephone
US6973016B2 (en) 2000-03-13 2005-12-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emperature based recording/reproduction conditions
SE518813C2 (sv) 2000-04-18 2002-11-26 Ericsson Telefon Ab L M Flerbandsantenn och portabel telekommunikationsapparat innefattande en sådan antenn
CN1367943A (zh) * 2000-06-01 2002-09-04 三菱电机株式会社 天线元件及携带式信息终端
US6625469B1 (en) 2000-08-09 2003-09-23 Motorola, Inc. Upper support assembly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702817B2 (ja) 2000-09-13 2005-10-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AU2002213017A1 (en) 2000-10-10 2002-04-22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ata entry device
DE10053817A1 (de) 2000-10-30 2002-05-02 Soft Edv Gmbh H Anordnung zur drahtlosen Informationsübertragung
WO2002089123A1 (fr) 2001-04-27 2002-11-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que optique enregistrable, appareil d'enregistrement de disque optique, appareil de reproduction de disque optique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sur disque optique enregistrable
EP1414105A1 (en) * 2001-07-30 2004-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ntenna switch and portable apparatus
JP2003203341A (ja) 2001-11-02 2003-07-18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US7180451B2 (en) * 2002-01-22 2007-02-20 Gps Industries, Inc. Endurable sports PDA with communications capabilities and accessorie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671B1 (ko) * 2007-07-13 2009-05-14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받침기능을 구비한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8910A2 (en) 2004-02-11
EP1388910B1 (en) 2008-10-15
US7457650B2 (en) 2008-11-25
EP1388910A3 (en) 2004-03-03
EP2164234A1 (en) 2010-03-17
CN1479408A (zh) 2004-03-03
KR100998409B1 (ko) 2010-12-03
CN1479408B (zh) 2012-06-27
DE60324068D1 (de) 2008-11-27
US20050075082A1 (en) 200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409B1 (ko) 휴대형 무선 통신 장치
JP4786197B2 (ja) 携帯無線装置
JP3955041B2 (ja) 携帯電話機
US9105966B1 (en) Antenna with an exciter
KR2013002220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2004134975A (ja) 通信端末
JP2004134976A (ja) 通信端末
US20090061967A1 (en) Portable wireless apparatus and antenna structure
EP2343772B1 (en) Mobile terminal
JP2007088692A (ja) 携帯無線機
JP2003069441A (ja) 折り畳み型携帯無線機
JP2004072605A (ja) 携帯無線通信端末
JPWO2006077983A1 (ja) 携帯端末
JP4371914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4315290B2 (ja) 携帯無線装置及びアンテナ装置
US8660620B2 (en) Antenna built in mobile terminal
JP4097577B2 (ja) 携帯無線通信装置
JP2007104493A (ja) 無線装置
JP4417172B2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2033804A (ja) 携帯無線装置
KR20090079720A (ko) 외장 케이스 일체형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JP2006166225A (ja) 折畳式携帯無線装置
KR101098419B1 (ko) 듀얼공진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JP2009188714A (ja) 携帯電話装置
JP2005303542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