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0519A -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 - Google Patents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0519A
KR20040010519A KR10-2003-7002876A KR20037002876A KR20040010519A KR 20040010519 A KR20040010519 A KR 20040010519A KR 20037002876 A KR20037002876 A KR 20037002876A KR 20040010519 A KR20040010519 A KR 20040010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oupling
flake
bond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말초우
다니엘 후
티모시 블렌케
제프리 라드케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1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5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2013/510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being embos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93Comprising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impregnation or bo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결합된 복합재, 그러한 결합된 복합재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및 박편 요소의 결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결합된 복합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 재료에 의해, 서로에게 결합된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갖는다. 접착 재료는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재료는 그 접착 재료의 위치에서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킨다. 결합 패턴은 결합 패턴 상에 부여된 응력을 분포, 소산 및 종결시키기 위해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우선적으로 향하게 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다.

Description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TEAR-RESISTANT PATTERN-BONDED LAYERS FOR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결합 패턴에 의해 함께 결합된 시트 재료의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의 결합된 복합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용도 중의 하나는 흡수성 제품의 외측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결합시키는 것이다.
흡수성 제품은 오랫동안 개인 위생 용품으로서 알려져 왔다. 흡수성 제품은 예를 들면 기저귀, 배변연습용 팬츠, 실금용 제품, 여성의 생리용 패드 등으로서 사용된다. 그러한 흡수성 제품은 뇨, 월경액 또는 혈액과 같은 액상 신체 배출물을 흡수하고 저장하도록 설계되고 제작된다. 여성의 생리용 패드는 예를 들면 월경 전에, 중에 또한 후에 배출된 액체를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흡수성 제품에서, 다른 층 또는 성분들이 서로에게 결합되는 제품의 부분은 상당한 응력 집중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으며, 통상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흡수성 제품에서는 그러한 응력 하에 그 결합된 위치에서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 흡수성 제품에 사용되는 통상의 패턴에서, 결합 위치는 원형 결합 요소의 균일한 교차 직선 및 직렬로 배치된다. 본원의 발명자는 그러한 결합 구조가, 흡수성 제품이 인열되고 그 인열이 결합 패턴의 측연부를 따라서 확대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음을 주지하였다. 그러한 통상의 패턴의 인열 특성은 유공지 형태에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역점을 두는 문제점은, 결합된 복합재 또는 흡수성 제품의 결합 패턴에서의 파괴 가능성을 억제하는 구조를 가진 결합 패턴을 나타내는 결합된 복합재, 및 그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흡수성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 범위의 독립항에서 개시되고 기술된 결합된 복합재 및 흡수성 제품에 의해 이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성 제품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의 유리한 실시태양은 종속항,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된 재료의 직선 파괴를 억제하고 결합 패턴의 실질적인 면 내에 초기에 집중된 힘의 소산 (dissipating)을 촉진시키는 결합 패턴을 도입함으로써 결합된 복합재 또는 흡수성 제품의 인열 용이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요약
제1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결합된 복합재를 포함한다. 결합된 복합재는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 재료에 의해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를 포함한다. 접착 재료는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재료는 그 접착 재료의 위치에서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킨다. 결합 패턴은 접착 재료와 결합 요소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결합 패턴은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전형적으로 결합 요소들의 중심에 있는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갖는다.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진다.
결합 패턴은 결합 요소에 의해 점유되는 패턴 면적의 분율에 의해 일반적으로 정해지는 패턴 밀도를 갖는다.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요소는 측연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결합 요소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어 패턴 면적의 결합 요소 분율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패턴의 비교적 덜 조밀한 부분, 및 측연부로부터 먼 패턴 면적의 결합 요소 분율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결합 패턴의 비교적 더 조밀한 부분이 형성된다.
결합 패턴은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대향 관계로 서로를 향하게 하는 힘을 가하도록 하여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부착시키는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한다.
결합 요소에 해당하는 결합은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 재료, 압력 및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를 통합적으로 가함으로써 활성화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은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또한 그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은 또한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전형적으로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내측으로 또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포함한다. 전달 및 소산 요소의 각각의 것은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을 수 있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접착 재료는 접촉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이액성 화학적 활성화 접착제, 및 그러한 접착 재료의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한다.
접착 재료는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은 결합 패턴 내의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횡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결합 요소는 결합 패턴을 패턴 세그먼트의 반복 배열로 형성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실질적으로 전부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한다.
제2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대향 관계로 서로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게 하여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부착시키는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하는 결합 패턴을 포함한다. 결합 요소에 해당하는 결합은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 재료, 압력 및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 중의 하나를 통합적으로 가함으로써 활성화된다. 접착 재료는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된다.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은 결합 패턴 내의 접착 재료의 외측 횡연부를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또한 그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다. 각각의 전달 및 소산 요소는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그것은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제3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 및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바람직하게는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또한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서로의 간격 미만인 응력 수용 요소로부터의 제2 거리로 바람직하게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각각의 전달 및 소산 요소는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그것은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다. 그러한 실시태양에서,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것을 돕는다.
제4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정면부, 배면부 및 정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걸쳐 존재하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을 포함한다. 흡수성 제품은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를 포함한다. 흡수성 제품은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된 접착 재료를 더 포함한다. 접착 재료는 그 접착 재료의 위치에서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결합시키고, 접착 재료와 결합 요소의 조합으로 결합 패턴이 정의된다. 흡수성 제품은 또한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포함한다.
제5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은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결합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접착 재료를 결합될 각각의 박편 재료의 면적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결합될 영역에 함께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또한, 그 방법은 결합될 영역에 포함되는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를 향하여 서로 표면 대 표면 접촉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고 또한 결합될 영역 내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열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함으로써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하고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일반적으로 그 주위의 접착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도 1A, 1B 및 1C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결합 패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2B, 2C, 2D는 특정 결합 요소 외에 접착 재료를 이용하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결합 패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각각 도 1A 및 1C의 결합 패턴의 각각의 요소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는 대표적인 흡수성 제품으로서, 측면 이음새를 따라 각각 도 1A및 1C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한쌍의 배변연습용 팬츠를 나타낸다.
도 5는 또다른 대표적인 흡수성 제품으로서, 외측 커버에 이어 (ear)를 부착시키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측면 이음새를 따라 도 1C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는 기저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연속 결합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결합 닙의 대표적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이격된 위치에서의, 결합 패턴의 폭을 가로지르는 결합 요소의 복합재 접촉 길이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도 7의 표에 예시된 각각의 이격된 위치의 복합재 접촉 길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음 설명에 기재되거나 또는 도면에 예시된 성분의 구성 또는 배열의 상세한 내용에 그의 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태양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각종 방식으로 실시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이용되는 용어 또는 술어는 설명 및 예시를 목적으로 하며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성분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 1A 및 1B는 본원과 일괄 양도되고 본원에 그의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2000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651,042호에 더욱 충분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결합 패턴 (10)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나타낸다. 결합 패턴 (10)은제1 측연부 (16), 제2 측연부 (18) 및 결합 요소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결합 패턴 (10)을 축 (20)의 제1면 상의 제1 대향 패턴 조합 (22) 및 축 (20)의 대향 제2면 상의 제2 대향 패턴 조합 (24)으로 구분하는 중앙 길이방향 축 (20)을 갖는다. 결합 패턴 (10)은 중앙 길이방향 축 (20)을 따라 측정된 거리에 의하여 정의된 패턴 길이, 및 결합 패턴 (10)의 제1 측연부 (16) 및 제2 측연부 (18) 사이의 거리로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W"을 갖는다. 상응하게, 결합 패턴 (10)의 전체 면적은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 (10)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면적으로서 정의되며, 그 결합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측연부 (16 및 18)의 경계 내에 한정된다.
본 발명의 제품 이용에서, 결합 패턴은 제1 및 제2 박편, 예를 들면 시트 재료 요소를 대향 관계로 서로를 향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게 하여 반복 결합 세그먼트로서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부착시키는 반복 배열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한다. 결합 요소의 것은 측연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적어도 길이방향 축 주위까지, 길이방향 축에 대해 약 10° 내지 약 65°,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50°의 각도 "α"로 결합 패턴에 걸쳐 가로방향으로 퍼져있다. 가장 바람직한 각도는 약 25° 내지 약 40°이다. 도면에 예시된 각도는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약 30°를 나타낸다.
도면에는 레그 (26)가 직선인 것으로 나타내어져 있지만,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레그가 곡선일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각각의 각도 "α"는 레그의 각각의 곡률에 따른 그러한 레그의 길이에 따라 가변적이다.
결합 폭은 결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간격 및 결합 요소와 측연부 (16, 18) 사이의 간격을 포함하여,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패턴의 폭에 걸쳐 배열된 결합 요소에 해당하는 단부 대 단부 길이에 의해 정의된다. 결합 폭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측정될 수 있으며, 그러한 결합 폭은 패턴 폭을 따라 걸쳐 있다. 따라서, 결합 폭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일정 위치에서의 패턴 폭 "W"에 해당한다.
각각의 결합 요소에서의 결합 요소 접촉 길이는 결합 폭을 따라 상응하게 정해진다. 각각의 결합 폭을 따른 결합 요소 접촉 길이의 추가적 조합은 각각의 결합 폭을 따라 복합재 접촉 길이가 정해지게 한다.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동일하게 이격된 간격에서 취해진 복합재 접촉 길이는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를 정의한다. 패턴 길이를 따른 일정 위치에서의 복합재 접촉 길이는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에서 약 13%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 이하 만큼 가변적이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대향 패턴 조합 (22 및 24)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서로의 오프-셋 거울 상으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패턴 조합 (22 및 24)은 대향 패턴 조합이 그러한 오프셋의 표현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비대칭이도록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위치된다. 대향 패턴이 서로에 대해 비대칭이긴 하지만, 제1 대향 패턴 조합 (22) 및 제2 대향 패턴 조합 (24) 둘다는 내부적으로는 대칭일 뿐만 아니라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그의 반복 세그먼트를 표현한다.
결합 패턴 (10)은 다수의 결합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측연부 (16, 18)에 인접한 결합 요소는 측연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결합 요소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어 패턴의 측연부에서 멀리 있는 곳 보다 측연부에서 덜 조밀한 패턴 밀도가 형성된다.
결합 패턴 (10)은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결합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반복 결합 세그먼트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세그먼트 패턴에 따라 이격된 일정 세트의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반복된 결합 요소 조합을 형성하는 다수의 결합 요소가 그러한 결합 세그먼트를 형성하긴 하지만, 모든 결합 요소가 결합 세그먼트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규칙적으로 반복되지 않거나, 또는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다른 결합 요소와 함께 협력적으로 참여하지 않을 정도로 나머지 결합 패턴의 외측에 멀리 있는 하나 이상의 방치 결합 요소를 이용하는 유사한 결합 패턴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든다.
예시된 결합 패턴은 결합 요소의 제1 부-배열로서 제1 측연부 (16) 및 제2 측연부 (18)에 또는 인근에, 즉 인접하여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수용 요소 (12)를 포함한다. 수용 요소 (12)는 전형적으로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된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전형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 (12)의 내측으로 전형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결합 패턴 요소의 제2 부-배열을 형성한다. 각각의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제1 단부 (28) 및 제2단부 (29), 및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길이방향 축의 외측으로 뻗어있으며 응력 수용 요소 (12) 사이의 외측으로 배치된 연결 위치 (27)에서 만나는 레그 (26)를 갖는다. 응력 수용 요소 (12)는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대향 측연부 상에 교대로 배치된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대향 면 상에 일반적으로 각각의 응력 수용 요소 사이에 교대로 배치된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따라서 결합 패턴 (10)의 결합 요소 폭에 소정의 면대면 균형을 제공한다.
다음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결합 패턴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결합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반복되는 결합 세그먼트는 하나 이상의 응력 수용 요소 (12) 및 하나 이상의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를 포함하며, 요소 (12 및 14)는, 각 응력 수용 요소 (12)가 길이방향 축 (20)의 대향 면 상의, 전달 및 소산 요소, 또는 응력 종결 요소, 또는 둘다, 또는 다른 균형 요소(들)에 의해 균형잡혀지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세그먼트 패턴에 따라서 이격된다.
예를 들어 도 1A 및(또는) 1B에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일정 위치에서의 일정한 결합 폭을 따라서, 도 3A에 나타낸 가상 선 (80)은 길이방향 축 (20)의 제1 면 상의 응력 수용 요소 (12) 및 그 축의 대향 면 상의 해당하는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각각의 레그 (26)를 가로지른다. 도 3A에 정의되고 예시된, 결합 패턴의 폭에 걸쳐있는 각각의 가상 선을 따른 가장 먼 결합 요소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는 결합 패턴 폭의 약 70% 이상 내지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 폭의 약 75% 이상 내지 약 90% 이하,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 폭의 약 80% 이상 내지 약 85% 이하를 나타낸다.
복합재 접촉 길이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결합 패턴의 폭의 100% 미만으로서 예시되며, 여기서 전달 및 소산 요소는 측연부 (16,18)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외측부 (82)는, 복합재 접촉 길이가 웹의 길이를 따른 일정 위치에서 결합 패턴의 폭의 100%가 될 수 있도록 측연부 (16,18)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각각의 레그 (26)의 외측으로 배치된 부분은 결합 패턴 (10)의 형성 중에 예를 들면 각각의 응력 수용 요소 (12)를 균형 잡아주는 길이방향 축의 대향 면 상에 균형있는 지지를 제공한다.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양 방향으로 퍼져있으므로, 그 요소 (14)는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어느 한 방향으로부터 생긴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각도 "α" 는 결합 패턴의 내부로의 응력의 전달을 촉진시키기 쉬우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로부터 내측의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결합 패턴에 유입되는 응력을 전달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중앙 길이방향 축 (20)의 대향 면 상에 위치된 대향 패턴 조합의 유사성 때문에, 결합 패턴은 결합이 형성되는 동안 패턴의 한 면 상에 발휘되는 닙 힘을 효과적으로 균형 잡아주면서 결합 패턴의 대향 면 상의 닙 힘을 균형 잡아준다.
도 1A의 구조로 시작하여 도 1B에 의해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도 1A에서 (27)에서 레그가 연결되는 전달 및 소산 요소의 부분은 절단되어 각각의 공여 전달및 소산 요소와 동일한 패턴 면 상의 중앙 길이방향 축 (20)에 또는 인근에 있는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각각의 응력 종결 요소 (13)를 제공하게 된다. 응력 종결 요소 (13)는 축 (20) 인근의 결합 패턴의 내부로 전달된 응력의 발생, 소산 및 바람직하게는 종결을 조정하기 쉽다.
예를 들어 흡수성 제품의 신체측 라이너 또는 외측 커버에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된 재료의 레질리언스는, 조절된 패턴 밀도와 함께 결합 패턴이 그 결합 패턴의 길이 또는 폭을 따른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결합 패턴 상에 부여된 각종 힘을 길이방향 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향하게 하고, 전달하고 분포시킴으로써, 본 발명은 전형적으로 결합 패턴의 측연부 부분이 갖고 있는 응력의 해당 부분을 결합 패턴의 측연부가 갖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일정한 힘이 결합 패턴 상에 부여될 때 각각의 측연부가 갖고 있는 응력은,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의 경우가 원형 결합 요소의 선 및 열의 대칭 배열된 사각형 패턴을 갖는 종래의 결합 패턴 보다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은 그러한 통상의 결합 패턴 보다 더 많은 전체 응력을 견딜 수 있다. 따라서, 그 결합 패턴은 통상의 직선 배열된 결합 패턴의 직선의 유공상 파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통상의 결합 패턴 보다 더 많은 정도의 응력을 상응하게 견디고 분포시킬 수 있다.
결합 패턴 (10)은 재료의 길이 전체를 따라, 또는 인용된 예의 경우 개인 위생용 흡수성 제품의 길이 또는 폭의 일부를 따라 재료의 시트를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결합 패턴 (10)은 또한 각각의 가공물의 불연속 부분을 예를 들면 길이및(또는) 폭으로 한정된 특정 구조로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결합 패턴 (10)은 또한 하나를 넘는 구조에 따라서 가공물 부분을 통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결합 패턴 (10)은 또한 웹 재료의 한정된 길이를 따라서 재료를 통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이용에서, 결합 패턴 (10)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요소 또는 가공물을 상대적으로 더 큰 요소 또는 가공물에 결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 제품에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예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체결 이어를 외측 커버에 결합시키고, 레그 플랩을 외측 커버 또는 신체측 라이너에 결합시키고, 봉쇄 플랩을 신체측 라이너에 결합시키고 랜딩 대역을 외측 커버에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일반적으로 패턴 면적의 한정된 부분 내의 결합 요소의 간격 및 수에 의해 정해지는 패턴 밀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요소는 측연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결합 요소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어 패턴의 측연부에서 멀리 있는 곳 보다 그 측연부에서 덜 조밀한 패턴 밀도가 형성된다.
도 1C는 제1 측연부 (16) 및 제2 측연부 (18)를 갖는 결합 패턴 (10)을 나타낸다. 중앙 길이방향 축 (20)은 결합 패턴 (10)을 제1 패턴 조합 (22) 및 제2 대향 패턴 조합 (24)으로 구분한다. 결합 패턴 (10)은 일반적으로 중앙 길이방향 축 (20)을 따라 패턴이 펼쳐지는 거리로서 정의된 패턴 길이, 및 제1 측연부 (16) 및 제2 측연부 (18) 사이의 거리로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W"을 갖는다. 상응하게, 결합 패턴의 전체 면적은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면적으로서 정의된다.
도 1C 및 3B의 실시태양은 본원과 일괄 양도되고 본원에 그의 전문이 참고로 인용된, 2000년 8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651,041호에 더욱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중앙 길이방향 축 (20)과 제1 측연부 (16) 사이에 위치된 도 1C의 결합 패턴 (10)의 부분은 제1 패턴 조합 (22)을 구성한다. 상응하게, 중앙 길이방향 축 (20)과 제2 측연부 (18) 사이에 위치된 결합 패턴 (10)의 부분은 제2 대향 패턴 조합 (24)을 구성한다. 도 1C의 실시태양에서, 제1 대향 패턴 조합 (22) 및 제2 대향 패턴 조합 (2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합 요소의 배열 및 결합 요소 관계를 나타내며 서로의 오프-셋 거울 상으로서 이용된다. 제1 및 제2 패턴 조합은 대향 패턴 조합이 서로에 대하여 비대칭이도록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위치된다. 대향 패턴이 서로에 대해 비대칭이긴 하지만, 두 패턴 조합 (22) 및 패턴 조합 (24)은 내부적으로는 대칭일 뿐만 아니라 결합 패턴 (10)의 길이에 대하여 대칭이다.
한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일반적으로 패턴 면적의 한정된 부분 내의 결합 요소의 간격 및 수에 의해 정해지는 패턴 밀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요소는 측연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결합 요소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어 패턴의 측연부에서 멀리 있는 곳 보다 그 측연부에서 덜 조밀한 패턴 밀도가 형성된다.
도 1C의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대향 패턴 조합의 각각은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응력 수용 요소 (12), 응력 수용 요소 (12)의 내측으로 배치된 전달 및소산 요소 (14), 및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내측으로 배치된 응력 종결 요소 (13)를 포함한다.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른, 반복된 요소 조합 및 공간적 배열을 형성하는 그러한 다수의 결합 요소는 반복 패턴을 형성한다.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측연부 (16 및 18)에 인접하여 배치된 응력 수용 요소 (12)는 도 1C에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결합 요소의 제1 부-배열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결합 패턴 요소의 제2 부-배열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전달 및 소산 요소는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 (12)의 내측으로 배치된다.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종결 요소 (13)의 제3 부-배열은 일반적으로 중앙 길이방향 축 (20)의 대향 면 상에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내측으로 배치되며 그 축을 따라 배향된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1개의 응력 수용 요소 (12) 및 2개의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조합은 결합 패턴의 양측 상의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며, 그에 따라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요소 배치의 면대면 진행을 제공한다. 따라서, 결합 패턴 조합 (22 및 24)은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비대칭이므로 그에 의해 총체적인 결합 요소 폭이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상대적으로 더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러한 분포는 회전 결합 닙에 사용된 롤의 유효 수명에 도움이 된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또한 제1 단부 (28) 및 제2 단부 (29)를 갖는 것으로 정의된다.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제1 단부 (28)는 제2 단부 (29)에비해 결합 패턴의 내부에 배치된다.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제2 단부 (29)는 응력 수용 요소 (12)의 각각의 것 사이에 내측에 있는 결합 패턴의 각각의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패턴 내에 외측으로 위치된다. 전달 및 소산 요소 (14)의 제2 단부 (29)는 또한 각각의 요소 (14)의 제2 단부가 동일한 요소 (14)의 제1 단부 (28) 보다 평면도에서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다는 점에서 제1 단부 (28)와 구별된다.
수개의 결합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패턴의 총 결합 면적의 약 10% 내지 약 40%를 점유한다. 결합 패턴 (10)의 더욱 바람직한 이용에서, 결합 요소는 결합 패턴의 총 결합 면적의 약 12% 내지 약 30%를 점유한다. 결합 패턴 (10)의 더더욱 바람직한 이용에서, 결합 요소는 결합 패턴의 총 결합 면적의 약 15% 내지 약 25%를 점유한다. 특정의 바람직한 분율은 패턴 및 방법에 따라서 또한 결합되는 재료를 고려하여 가변적이다. 결합 요소 분율이 너무 낮으면, 요소가 서로를 협력적으로 지지할 수가 없으므로 응력이 결합 패턴 내에서 적절하게 감소될 수 없고 최소 결합 요소 밀도가 부족하여 결합된 복합재의 층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요소 분율이 너무 높으면, 결합 요소 사이의 웹의 면적은, 결합 패턴 영역 내의 웹 재료의 비결합된 영역이 응력을 인접 결합 요소 사이에 효과적으로 분포시키거나 또는 응력을 예를 들면 결합 패턴의 비결합된 부분 내에 내부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광범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재료의 길이 전체를 따라, 또는 본원에 인용된 예의 경우 흡수성 제품의 길이 또는 폭의 전체를 따라 재료의 시트를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예를 들면 흡수성 제품의 한정된 길이의 불연속 세그먼트를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예를 들면 흡수성 제품의 길이의 가변-폭 세그먼트를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결합되는 재료의 한정된 길이를 따라서 재료를 통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모든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 (10)은 분리된 별개의 가공물과 같은 더 작은 요소를 일반적으로 무한 웹과 같은 더 큰 요소에 결합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결합 요소 (12, 13, 14)는 닙에서의 압력과 함께 초음파 에너지, 열 에너지 등을 이용함으로써 형성된 결합 면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결합을 형성하는 다른 방법은 결합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되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화학적 접착제 재료와 같은 접착 재료는 그러한 결합 요소와 함께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착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결합 요소 (12, 13, 14)에 의해 정해지는 바와 같은 결합 패턴 내에 이용되며 결합 요소에 의해 정해진 바와 같은 결합 패턴의 폭으로부터 외측으로 또는 내측으로 걸쳐 있을 수 있다. 그러한 접착 재료는 서로에게 결합되는 박편 재료의 하나 또는 둘다에 도포될 수 있다. 그러한 접착 재료를 박편 요소에 도포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은 서로에게 결합될 재료에 접착 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한 통상적인 방법과 같이 가변적이다. 따라서, 접착 재료의 전형적인 도포 방법은 노즐로부터의 분무, 코팅 롤로부터의 코팅, 이송 롤 코팅, 침지 도포, 와이어 로드 살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가장 통용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접착제는 액체 접착제이거나, 또는 서로에게 결합되는 박편 재료에 도포하기 전에 예를 들어 용융에 의해 활성화되어 결합될 재료로의 도포를 위해 일시적으로 액체가 되며, 또한 그러한 도포 후에 그러한 접착 재료는 고체 또는 변형성 플라스틱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유체 접착제가 박편 시트 재료의 하나 또는 둘다에 도포된 후, 시트 재료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닙 내의 압력과 함께 시트 재료를 접착제를 통해 서로에게 결합시키는 결합 접촉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한 닙은, 나타내어진다면, 도 6에서 접착제 어플리케이터 (70)와 닙 (60) 사이에 있을 것이다. 그렇게 접착제로 결합된 시트 재료는 그후에 결합 요소 (12, 13, 14) 등이 발생되는 곳인 닙 (60)을 통과한다.
접착제가 박편 시트 재료에 도포될 때 전형적으로 액체이거나, 또는 적어도 유동성이라면, 유동성/유체 접착제는 이동성이고, 즉 액체, 유동성, 유체 상태인 동안 그러한 접착제 상에 발휘되는 힘에 의해 주위로 이동되기 쉽다. 그러한 결합 작용에 이용될 때 접착제의 그러한 유동성의 결과는, 접착제 결합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힘 뿐만 아니라 분리 결합 요소 (12, 13, 14)를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힘이, 접착제가 해당하는 닙을 통과할 때 상응하게 액체 접착제 상에 유체 압력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닙 (60) 또는 이전의 닙에서의 그러한 유체 압력은 그러한 유체 접착제를 더 낮은 유체 압력의 영역으로 흐르도록 한다. 더 낮은 유체 압력의 그러한 영역은 닙 (60)으로부터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존재한다. 접착제의 길이방향 이동이 압력을 일시적으로 제거하긴 하지만, 기재가 닙을 통해 계속 전진할 때 이동된 접착제는 각각의 닙에 재유입된다. 따라서, 유체 접착제의 특정 요소 상의 유체 압력의 영구적인 제거는 닙/결합 패턴의 폭을 횡단하는 접착제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동된 접착제는 닙을 통해 닙의 하류측 밖으로 가로지른다. 접착제의 그러한 횡단 이동은, 접착제의 그러한 이동이 결합 패턴의 접착 재료 부분의 하나 또는 둘다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한정하도록 접착 재료에 의해 한정되는 결합 패턴의 그 부분의 폭이 팽창되게 할 수 있다.
일부 또는 모든 결합 요소 주위의 접착 재료와 함께 결합 요소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총체적인 결과는 결합 패턴 상에 부여된 응력의 통합적인 분포, 소산 및 종결의 협력 작용이다. 조합된 접착 재료의 패턴은 응력 분포를 위한, 에너지 흡수를 위한 또한 결합 패턴에서의 시트 재료의 파괴를 억제하기 위한, 두 층의 해당하는 영역의 이용을 촉진시킨다.
접착제의 그러한 이동성 때문에, 놓여지는 접착제 패턴의 폭 및 놓여질 접착 재료의 밀도는 결합 닙에서 가해진 압력의 양, 닙에 형성된 결합 요소의 밀도 및 간격, 및 닙에서 결합되는 요소에 가해진 압력의 균일성과 함께 모두가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표적 폭 및 표적 위치에 도달하는데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착제는 결합될 재료 (예를 들면, 기재/웹)에 도포된 후에 또한 접착제가 아직 이동성인 동안 닙을 통과한다. 따라서, 닙에서 발휘되는 압력은 접착제가 기재 또는 웹에서 특히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접착제 패턴의 폭을 잠재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일단 접착제가 부동 형태, 예를 들면 결합 닙의 하류로 복귀되면, 형성된 폭은 안정된다. 그러한 안정된 폭은 도 2A, 2B, 2C 및 2D에 각각의 도면의 대향 면에서 대쉬 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먼저 도 2A를 참고로 하면, 접착제 패턴 (11)의 제1 측연부 (16)는 일반적으로 결합 요소의 패턴 (10)의 외측 말단과 일치한다. 도 2A는 제1 측연부 (16)에서 닙에서의 압력의 결과로서 접착 재료의 횡방향 이동을 동반할 수 있는 비평활함을 나타내는 더 파형인 선을 예시한다. 도 2A에서의 제2 측연부 (18)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이것이 결합 닙에서의 접착제의 이동에 의해 영향받지 않는 측연부의 더욱 대표적인 것이다.
도 2B는 접착제 패턴 (11) 및 그에 따른 결합 패턴의 측연부 (16, 18)가, 결합 요소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결합 패턴의 그 부분으로부터 결합 패턴 (10)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확대될 수 있는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도 2C는 결합 패턴 (10)이 더 적은 면 상에서 접착제 패턴 (11)이 결합 요소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결합 패턴 (10)의 제2 측연부 (18)와 일치하며, 결합 패턴 (10)의 대향 면 상에서 접착제가 결합 요소로부터 약간 외측으로 확대되어 결합 요소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결합 패턴의 폭의 그 부분 외측에 파형 측연부 (16)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접착제가 결합 요소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결합 패턴의 폭의 그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확대되는 것은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접착제는 응력이 임의의 결합 요소에 도달하기 전에 접착제가 응력을 수용하고 응력을 두 박편 요소에 분포시키도록, 응력 제거의 전진 영역 제1 선을 제공한다.
두번째,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그의 적용 범위 전면에 걸쳐 일정하게 분포되는 경우, 접착제는 결합 요소에 의해 한정된 분리 영역에만 또는 시트 재료 요소 중 단 하나에만 대립되는 것으로서, 응력에 의해 영향받는, 기재 또는 시트 재료의 전체 결합된 영역에 걸쳐서 두 박편 웹 요소에 연속 응력 분포를 제공하며, 그에 의해 박편 요소 내의 응력 분포의 균일성이 향상되어 전형적으로 응력의 소산 및 종결이 향상되는 결과가 생긴다.
도 2D는 접착제 패턴 (11)의 외측 연부가 결합 요소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측연부 (16,18)로부터 내측으로 분포되어 있는 실시태양을 예시한다. 결합 패턴의 내부로 응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의 접착제의 그러한 내측 분포는 접착 재료가 최대 효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패턴 위치에서 결합 패턴 내에 접착 재료의 강도를 집중시킨다. 즉, 접착제의 강도는 응력의 소산을 최대로 필요로 하는 영역에 집중되지만, 결합 요소에는 응력을 수용하고 결합 패턴의 내부로 향하게 하는 일이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측연부 내측의 접착제 패턴의 이점은 결합 패턴에 의해 영향받기 쉬운 박편 요소의 영역 전체에 걸쳐 응력의 분포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접착 재료가 응력 수용, 분포, 전달, 소산 및 종결을 조절하는데 결합 요소와 함께 작업하는 정도까지, 결합 패턴은 결합 요소 및 접착 재료의 복합재로서 정의된다.
접착제 패턴이 적어도 결합 요소에 의해 한정되는 측연부의 내측으로부터 측연부까지 이르는 경우, 예를 들면, 응력 수용체 요소 사이의 접착제는 접착제 재료의 연부를 나타내는 대쉬 선에서 응력 수용체 요소 사이의 응력 수용 반응을 개시하기 쉽다. 접착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그러한 위치에서의 응력에 대한 반응 개시는 인접하지만 전위된 응력 수용 요소로 또는 인접하지만 전위된 전달 및 소산 요소로 응력을 이동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연부 (16) 또는 (18)에서 접착제 재료가 존재하지 않는 어느 경우에서든, 응력에 대한 반응은 응력이 응력 수용 요소를 연결하는 직선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결합 패턴의 측연부를 가로지르는 곳인 국소 영역으로부터 전달됨으로써, 응력 수용 반응은 다소 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접착제 패턴은 일반적으로 응력을 적어도 결합 패턴 내로 내측으로 향하게 한다. 접착제 패턴은 전형적으로 결합 패턴의 폭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서 연속적이며, 전형적으로 결합 요소 상에 부여된 응력의 분포 및 소산을 공유하는 정도까지 결합 요소와 상호작용한다. 전형적으로, 접착제 패턴은 길이방향 축 (20)의 양측 상에 어느 정도까지 확대되며, 일반적으로 도 2A, 2B, 2C, 2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축 (20)을 따라 중심을 두고 있다.
접착 재료 패턴에 의해 한정되는 폭 내에서, 접착 재료는 전형적으로 그러한 폭을 따라 연속적이며, 그러한 폭은 전형적으로 일정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그러한 일정한 폭을 유지하는 제조 능력 내에서 일정하다. 도면에 나타낸 폭 편차는 전형적으로 상용화에서 직면하는 변화를 예시할 목적으로 과장되게 표현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편차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공학적 작업이 그러한 편차를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측연부는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시키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그 면적에 의해 기능적으로 한정될 수 있긴 하지만, 측연부는 구조적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즉, 응력을 흡수 및 소산시키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그 영역의 주변 부분은 패턴의 측연부를 구성할 수 있다. 특정 위치에서의 그러한 영역의 주변 부분은 중앙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되고 특정 위치에서의 결합 요소, 예를 들면 응력 수용체 요소의 외측으로 배치된 결합된 면적으로서 정해질 수 있다.
도 3A는 도 1A에 예시된 결합 패턴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각각의 결합 요소들 사이의 관계 및 하부 배치된, 예를 들면 앤빌 롤 (62B) (도 6) 및 상부 배치된 롤 (62A) 둘다의 마모 수명을 증가시키기 위해 각각의 결합 요소를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그러한 공간적 관계의 총체적 효과를 예시하는 것을 돕기 위해 결합 패턴 (10)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게 이격된 가상 연결 선 (80)을 포함한다.
도 3A는 도 1A에서의 다중 반복으로 예시된 결합 패턴의 단일 반복을 나타낸다. 도 3A에서, 수개의 결합 요소는 길이방향 축 (20)에 수직이고 선 (80)에 평행으로 뻗어 있는 동일하게 이격된 가상 증분 선 (84)에 의해 나뉘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도 3A에서, 각각의 다섯번째 선 (84)은 선 (80) 중의 하나와 일렬이다. 따라서, 각각의 다섯번째 선 (84)은 가상 선 (80)의 해당하는 것의 길이의 증분 부분을 나타낸다.
선 (80)은 선 (84)의 의미를 지표화하고 평가하기 위한 편리한 도구로서 사용된다. 각각의 선 (84) 사이의 간격 및 선 (80)의 빈도수는 사용자의 분석을 위해 편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인접 가상 증분 선 (84) 사이의 거리는 약 0.008 inch이다. 그러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평가되는 패턴의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다. 가상 증분 선 (84)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결합 패턴의 폭 "W"을 나타낸다. 각각의 그러한 거리는 해당하는 가상 선 (80)을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5개의 증분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예시된 결합 패턴은, 그의 모든 단면을 포함하여 하나의 선 (84)에 의해 가로질러진 각각의 결합 요소에 의해 정해지는 하나의 선 (84)의 각각의 선 세그먼트의 길이의 합계를 나타내는 복합재 접촉 길이를, 0.010 inch의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 내로 유지하도록 설계된다. 예시된 결합 패턴은 또한 닙을 형성하는데 협력적인 돌출부 또는 랜드가 복합재 접촉 길이를 정의하고, 세그먼트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속 인접 선 (84)을 따라 측정된 바와 같이 비교적 일정한 총합 폭을 갖게 되도록 설계되며, 여기서 연속 세그먼트는 그들 자체내에서 내부적으로 일정하고 서로에 대해서 일정하다.
도 1A 및 1B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주요 이점 중의 하나는 본 발명의 초음파 결합 실시태양에서의 동력 피드백 차단의 감소이다. 그러한 피드백 차단은 예를 들면 회전 앤빌 상에서의 통상의 결합 패턴의 특징의 결과로서 일어난다. 동력은 혼 및 앤빌 중의 하나 또는 둘다로부터 방출된 힘과 조합된, 회전 앤빌, 예를 들면 (62B)의 회전의 함수일 수 있다. 방출된 힘은 경시적으로 가해진 압력, 초음파 에너지 및 열 에너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힘일 수 있다. 결합 패턴의 폭에 걸친 동력 분포의 증가 및 감소는 앤빌의 적어도 완전한 원주 회전을위한 일정 결합 패턴에 대한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와 비교된 복합재 접촉 길이의 편차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통상의 결합 패턴은 각각의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에 비해 복합재 접촉 길이의 광범위한 편차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복합재 접촉 길이의 일정한 비례적 편차는 통상의 결합 패턴에 대한 동력 분포의 동일한 비례적 편차를 일으킨다. 편차는 전형적으로 수반되며, 예를 들면 결합 패턴은 원형 결합 요소의 연속 선형 배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 1A 및 1B의 실시태양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앤빌이 완전한 회전을 이룰 때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로부터 약 13% 이하의 복합재 접촉 길이의 편차를 나타낸다. 닙에서의 접촉 면적이 각각의 복합재 접촉 길이의 함수일 때,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로부터 편차가 없는 것에 의해 증명되는 그러한 실시태양의 동력 분포의 일관성은 또한 혼 및 앤빌 사이의 저항성의 일관성의 지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태양에서와 같이,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로부터의 각각의 복합재 접촉 길이의 편차가 감소된 결과 결합 패턴의 폭에 걸친 동력 분포가 일정하게 되고 동력 피드백 차단이 감소되거나 피해지게 된다.
또한, 패턴의 면대면 균형 및 복합재 접촉 길이의 일관성은 2가지의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먼저, 굴곡 응력은 샤프트 지지 롤 (62A, 62B) 상에서 감소된다. 두번째, 롤 (62B)이 패턴화된 롤인 경우, 특히 롤 (62A) 상의 면대면 표면 마모는 비교적 더욱 균일하여 그러한 복합재 접촉 길이의 일관성을 나타내지 않는 패턴 보다 더 긴 롤 수명을 제공한다.
도 3A에 대해서 보면, 복합재 접촉 길이는 측연부 (16 및 18) 사이의 일정한가상 증분 선 (84)에 의해 가로질러지는 결합 요소의 폭을 따른 선 길이의 합계로서 정의된다.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각각의 결합 요소 상의 가상 증분 선의 길이는 전형적으로 약 0.030 inch이며, 전체 패턴 폭 "W"는 약 0.38 inch이다. 그러한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복합재 접촉 길이의 편차는 그러한 세그먼트의 평균 복합재 접촉 길이의 0.010 inch 이내이어야 한다.
도 3A에 대해서 보면,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의 중요한 것은, 웹 및(또는) 가공물 내의 결합 요소의 형성 중에 닙 내의 결합 접촉의 위치가 길이방향 축 (20)의 양측 상의 결합 요소에 의해 일관되게 나타내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응력 수용 요소 (12)가 닙 내의 압력을 수용하고 있는 때에, 축 (20)의 대향 면 상의 전달 및 소산 요소 (14)도 또한 닙 내의 압력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용 요소 (12)로부터 발생되는 지지 롤 샤프트 상의 힘은, 롤의 가공 면 상에 대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로부터 발생되고 제1 힘을 균형잡기 쉬운 제2의 힘에 의해 무효화된다. 도 7 및 8은 도 3A에 나타낸 60 선 조합 (84)의 각각에 대한 그러한 분석을 예시한다.
샤프트 응력의 감소 이외에, 앤빌 롤 상의 그러한 균형있는 패턴은 롤 (62A)의 가공 표면의 폭을 가로질러 균형있는 마모를 제공한다. 그러한 개선된 마모는 초음파 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이 형성될 때 사용되는 초음파 혼 (62A)에서 특히 유용하다. 사실상, 개선된 표면 마모는 롤 (62A, 62B)가 다른 베이스 직경을 갖는 경우 더욱 명확하다. 초음파 결합 방법에서, 앤빌 롤 (62B)은 초음파 혼의 공명을 부적절하게 감소시키지 않기 위하여 초음파 혼의 것과 다른 직경을 갖도록설계된다. 추가로, 다른 직경을 갖는 앤빌은 앤빌의 해당하는 표면 부분과 반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혼의 각각의 표면 부분과 관련있는 마모를 피한다.
이를 위하여, 그렇게 정의된 결합 패턴의 폭에 걸친 각각의 가상 선을 따른 결합 요소의 가장 먼 것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각각의 세그먼트에서의 결합 패턴의 폭 "W"의 70% 이상의 폭을 나타내는 일부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패턴은 적합하게 균형잡힌 면대면일 수 있다. 원위 단부 사이의 바람직한 거리는 폭 "W"의 약 80% 내지 85%이다. 거리는, 예를 들면 결합 요소 (14)가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퍼져 있는 경우 100%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일부 실시태양에서는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서 형성된 결합의 길이 방향을 따른 응력 전달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결합 패턴의 디자인은 응력이 본원에 교시된 바와 같이 수용 결합 요소, 예를 들면 응력 수용 요소 (12)로부터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해서 또한 측연부로부터 멀리 어떻게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도 3B에 대해서 보면, 수용 요소 (12A)에서 수용된 응력 벡터 (72)는 응력 수용 면과 대향된 수용 요소 면 상의 최소 반경의 위치에서 수용 요소 (12A)로부터 전해진다. 대쉬 선 (92)은 수용 요소 (12A)에서 멀어져서 전달 및 소산 요소 (14A, 14B)로 응력이 이동되는 경로를 예시한다. 수용된 응력은 마찬가지로 요소 (14A, 14B)의 대향 면으로 전해지고, 거기에서 최소 반경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요소 (14C) 및 종결 요소 (13A)로 전해지고, 거기에서 요소 (12B) 및 (12C)로 전해진다. 결합 패턴을 통과하여 그 내부로 힘을 전달하는 상기 경로는 도 3B에서 경로 (92)로서 나타내어진다. 나타낸 경로는 본 발명의 결합 패턴 내의 힘의 분포를예시하는 것일뿐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예시는 수용 요소 사이 (12) 사이의 각도 "α" 및 간격이 주어지면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이 결합 패턴의 내부로 응력을 활발하게 향하게 함을 알려주는 것이며, 이때 다수의 결합 요소는,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서의 1개 또는 2개의 결합 요소가 가해진 전체 힘을 부담하지 않도록 동시에 응력의 일부를 흡수한다. 힘 벡터 (72)의 예에서, 응력은 4개의 결합 요소 (14A, 14B, 14C 및 13A)에 의해 주로 보유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그중 3개는 수용 요소 (12A) 보다 크기가 더 크며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수용 요소 (12A) 보다 더 많은 양의 응력을 견딜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은 결합 요소 사이의 접착제 재료의 지지와 함께 결합 패턴의 결합 요소의 다양하고 상이한 기능화의 조합으로서 작용한다.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에 따른 단위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결합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진다.
응력이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을 나타내는 결합된 복합재 또는 흡수성 제품에 가해질 때, 응력은 초기에는 응력 수용 요소 (12)와 같은 연부 결합 요소에 의해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서 수용되며 수용된 응력의 실질적인 부분은 전형적으로는 가장 가까운 결합 요소, 즉 하나 이상의 전달 및 소산 요소로 전달된다. 가장 가까운 결합 요소가 결합 패턴 상에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결합 패턴을 설계함으로써, 응력의 실질적인 부분은 각각의 측연부로부터 멀어져서 결합 패턴의 내측으로 전달되고, 그에 의해 측연부에서 소산되고, 흡수되는 응력의 양은 결합패턴 내로 내측으로 전달되는 응력의 양에 의해 적어진다. 길이방향 축과의 각도 "α" 에서 요소 (14)를 배치함으로써, 응력은 내측으로 이동하여 결합 요소에서 결합 요소로 전달될 뿐만 아니라 결합 요소 (14)의 길이를 따라서 그러한 요소의 내부 단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형성된 응력이 측연부로부터 내측으로의 전달에 의해 측연부에서 감소되는 만큼, 측연부는 사용되지 않은 응력 수용 능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은 다른 유사한 통상의 결합 패턴에 비해 증가된 응력 보유 능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의 증가된 응력 보유 능력은 각각의 결합 요소 사이의 협력적인 관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결합 요소의 구조 및 배향에 기인한다. 응력 수용 요소 (12)는 초기에는 응력을 수용하고 패턴 내의 가장 가까운 결합 요소, 예를 들면 요소 (14)에 내측으로 응력을 전해준다.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는 결합 패턴의 내부로 더 내측으로 응력을 향하게 하고 응력은 결합 패턴의 내부로 소산된다.
따라서, 결합되는 재료의 인열 강도가 과도하지 않다는 가정하여,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은, 결합 패턴 상의 힘 발생된 응력이 최고인 패턴 주변에 대한 인접한 결합 위치 사이에 더 큰 거리를 제공함으로써, 통상의 결합 패턴에 비해 결합된 복합재, 예를 들면 결합된 흡수성 제품에 증가된 내인열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패턴은 또한 혼 및 앤빌 사이의 비교적 일정한 표면적 접촉 및 면대면 접촉 균형을 제공함으로써 회전식 혼 및 앤빌 시스템의 구조적 통합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이 길쭉한 결합 요소로 설명되긴 하였지만, 원형 결합 요소의 수 및 배위가 응력을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서 멀리 내측으로 향하게 하기 위해 본원에 교시된 원리와 일치하기만 한다면 제한된 수의 원형 결합 요소가 결합 패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은 통상적으로 약 15% 내지 약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40%의 결합 밀도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결합 밀도"는 결합 요소, 예를 들면 응력 수용 요소 (12), 응력 전달 및 소산 요소 (14) 및(또는) 응력 종결 요소 (13)에 의해 점유되는 결합 면적의 분율을 의미한다. 그러한 결합 요소의 서로의 간격은 결합 패턴의 비결합된 부분에 걸쳐 있는 응력을 선택적이긴 하지만 박편 시트 재료의 접착 결합된 부분을 통하여 다수의 결합 요소에 분포시키며,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의 결합 요소 뿐만 아니라 결합되는 재료의 상대적으로 더 큰 면적에 걸쳐 응력 분포가 향상된다. 그러한 증가된 응력 분포는 결합 패턴의 국소 면적에 의해 보유되는 응력의 정도를 감소시키도록 작용하여 결합된 재료에 의해 경험되는 최대 응력 반응 강도가 저하된다.
도 4A 및 4B에 대해서 보면, 예시적인 흡수성 제품, 즉 한쌍의 배변연습용 팬츠 (30)는 각각 도 1A 및 1C의 결합 패턴 (10)의 사용을 예시한다. 도 4A 및 4B에서, 배변연습용 팬츠는 정면부 (34), 배면부 (38) 및 정면부와 배면부 사이에 걸쳐 존재하는 가랑이부 (36)를 갖는다. 도 4A 및 4B의 흡수성 제품은 외측 커버 (42)로서 시트 또는 웹 재료의 액체 불투과성 외측 제1 박편 요소, 신체측 라이너 (44)로서 시트 또는 웹 재료의 액체 투과성 신체측 제2 박편 요소 및 외측 커버와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 액체 흡수성 코어 (46)를 포함한다. 측면 이음새 (32)는 예시된 결합 패턴 (10)을 이용하여 측연부 (45)에서 정면 및 배면 부분을 연결한다. 레그 탄성체 (40)는 레그 개방부 (49)를 따라 걸쳐 있다.
각종 직물 및 부직포는 신체측 라이너 (44)를 제작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 (44)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 공중합체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디드 웹, 또는 유공 또는 망상 필름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또한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천연 및(또는) 합성 섬유로 구성된 카디드 및(또는) 본디드 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 (44)는 또한 소수성 재료가 계면활성제로 처리되거나 또는 일정한 습윤성 및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가공된 실질적으로 소수성인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 (44)는 예를 들면, 약 22 g/㎡의 기초 중량 및 약 0.06 g/㎤의 밀도를 갖는 웹으로 형성된 약 2.8-3.2 데니어 섬유를 이용하는 부직, 스펀본디드, 폴리프로필렌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직물은 그후에 약 0.3 중량%의 적합한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된다. 신체측 라이너 (44)는 또한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신체측 라이너 (44)는 다공성 포옴, 망상 포옴, 천공 중합체 필름, 중합체 섬유 및 천연 섬유와 같은 재료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는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재료, 및 당 업계에 공지된 다른 재료에 상응하는 다수의 성분 또는 층에 의해 길이, 폭 및(또는) 두께 면에서 정의될 수 있다.
흡수성 제품의 외측 커버 (42)는 실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외측 커버는 박막 플라스틱 또는 다른 연질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커버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 공중합체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의 필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외측 커버는 약 0.012 ㎜ 내지 약 0.051 ㎜의 두께를 갖는다. 외측 커버 (42)가 더욱 직물상 느낌을 가져야 한다면, 외측 커버는 부직 웹,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디드 웹의 표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015 ㎜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그곳에 열적으로 또는 달리 적층된, 필라멘트 당 1.5 내지 2.5 데니어의 두께를 갖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디드 웹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부직 웹은 약 24 g/㎡의 기초 중량을 갖는다. 또한, 외측 커버 (42)는 흡수성 코어 (46)에 인근의 또는 인접한 선택된 영역에 소정의 액체 불투과도를 부여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처리된 직물 또는 부직 섬유상 웹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의 제1 박편 요소 (42)는 임의로 흡수성 코어 (46)로부터, 외측 커버 (42)를 거쳐 주위 환경으로 증기를 방출시키면서 액체 배출물이 외측 커버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미공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외측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 중의 하나 또는 둘다는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섬유의 혼합물, 공중합체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는 신체측 라이너 (44) 및 외측 커버 (42)의 하나 또는 둘다에 대해 필름 형태, 고체 또는 망상, 또는 부직 섬유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재료의 분야의 숙련인에게 공지된 모든 통상의, 공통의 또한 일반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제한되지 않는 가공 조제, 화학 안정제, 하나를 넘는 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용화제, 및 충전제가 상기 중합체 재료의 정의에 포함된다.
흡수성 코어 (46)는 적합하게는 초흡수성 재료로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고흡수성 재료와 조합된, 셀룰로오스 플러프의 웹과 같은 친수성 섬유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흡수성 코어 (46)는 초흡수성 히드로겔 형성 입자 및 목재 펄프 플러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목재 펄프 플러프 대신에, 합성 중합체, 예를 들면 멜트블로운 섬유 또는 조합된 합성 및 천연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초흡수성 재료는 친수성 섬유와 실질적으로 균질 혼합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성 코어 (46)에 결합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6)는 초흡수성 재료와 조합된, 비크레핑된 통기 건조된 (UCTAD) 셀룰로오스 재료를 임의로 포함하는 섬유상 웹의 라미네이트, 또는 국소 영역에 초흡수성 재료를 유지하기 위한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6)는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코어(46)는 직사각형, I-형 또는 T-형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 (46)는 흡수성 제품이 전형적으로 가랑이부에서의 폭 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허리 부분을 포함하는 한 흡수성 제품의 배면부 또는 정면부에서 보다 가랑이부에서 더 좁은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 (46) 내의 고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또는 개질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고흡수성 재료는 무기 재료, 예를 들면 실리카겔, 또는 유기 화합물, 예를 들면 가교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선택적으로 가교된 재료인 "초흡수제"는 정상적으로는 수용성인 재료를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지만 팽윤성으로 효과적으로 만들기 위한 임의의 수단을 의미하며, 따라서 흡수제 특성은 이용가능하지만 팽윤된 재료는 수성 액체를 흡수한 후에 실질적으로 고정된다. 그러한 수단은, 예를 들면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리적 엉킴, 결정성 도메인, 공유 결합, 이온성 착화 및 회합, 친수성 회합, 예를 들면 수소 결합, 및 소수성 회합 또는 반데르 바알스 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및(또는) 4B에 예시된 바와 같은 흡수성 제품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 사이의 결합 패턴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약 4 ㎜ 내지 약 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 내지 약 14 ㎜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태양에서, 결합 패턴의 폭은 약 4 inch 이하일 수 있다.
결합 패턴의 폭이 클수록, 응력 감소 과정에 더 많은 재료가 포함될 수 있지만, 더 많은 재료가 사용되고, 일정 수의 결합 요소에 대해서는 응력이 종결되지않고 결합 패턴을 통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결합 요소 대 패턴 면적 비가 너무 작으면, 요소가 서로를 협력적으로 지지할 수가 없으므로 응력이 결합 패턴 내에서 적절하게 감소될 수가 없고 최소 결합 요소 밀도가 부족하여 결합된 복합재의 층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반대로, 결합 패턴의 폭이 작을수록, 사용되는 재료의 양이 작지만, 응력을 각각의 측연부에서의 유입 위치로부터 멀리 효과적으로 확산시키고 응력을 감소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바람직한 특정 폭의 선택은 본 발명의 원리를 고려하는 것을 포함하여 일정한 상황에서 존재하는 기술적 특징을 기준으로 판단된다.
도 5는 도 1C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기저귀 (50)를 예시한다. 기저귀 (50)는 정면부 (34), 배면부 (38) 및 정면부 (34) 및 배면부 (38)를 연결하는 가랑이부 (36)를 갖는다.
기저귀 (50)는 시트 재료의 제1 박편 요소로서 액체 불투과성 외측 제1 커버 (42), 제2 박편 요소로서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44) 및 외측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의 액체 흡수성 코어 (46)를 포함한다. 또한, 측연부는 참조 번호 (32)로서 표시되고, 레그 탄성체는 참조 번호 (40)로서 표시되고, 기저귀 이어는 참조 번호 (48)로서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연속 결합 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결합 닙 (6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결합 닙 (60)은 두 회전 롤 (62A), (62B) 사이에 형성된다. 에너지가 롤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닙 (60) 내의 가공될 재료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만 하면, 롤 (62A), (62B)은 서로에 대하여각을 이룬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6에서, 롤 (62A), (62B)은 롤 (62A)이 롤 (62B)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의 결합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시트 재료의 제1 웹 (64) 및 시트 재료의 제2 웹 (66)은 화살표 (65, 67)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도 6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급되고, 도 6에 나타낸 기계의 결합 닙 (60)에서 대향 관계로 서로를 향해 추진되어 제1 및 제2 박편 시트 재료를 서로에게 부착시키는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한다.
본원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결합 요소는 원하는 형태의 접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다른 단계 중에서 특히 예를 들면 웹 (64 및 66)을 닙 (60)에서 서로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롤 중의 하나, 예를 들면 롤 (62A)은 일반적으로 평활한 외부 원주 표면을 갖지만, 롤 (62B)과 같은 다른 롤은 예를 들면 도 1A, 1B 및 1C에 반영된 결합 패턴에 대한 디자인 및 위치에 해당하는, 랜드로서 불리우기도 하는 융기된 결합 돌출부의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롤 (62A)의 외표면이 돌출부를 보충하는 톱니 모양을 가질 수 있지만, 그러한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웹 (64, 66)이 닙을 통과할 때, 조합된 롤 (62A, 62B)은 각각의 돌출부에 해당하는 웹 상의 위치에서 웹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예를 들면 결합 요소 (12, 13 및 14)에서의 접착제 반응이 활성화된다.
각각의 결합 요소와 같이 형상화된 돌출부는 롤 (62B)의 외부 원주 상의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뻗어있다. 돌출부는 각각의 결합 요소를 형성하게 하는 원위 랜드 표면에서 종결된다. 그러한 전형적인 돌출부는 예를 들면 약 0.10 inch 이하의 높이 및 약 0.06 inch 이하의 폭일 수 있다. 높이는, 예를 들면 결합이 형성되고 있는 웹 재료와 실제로 이어지는, 롤의 베이스 원주 표면에서부터 원위 선단, 또는 랜드까지의 돌출부의 치수로서 정의된다. 돌출부의 측면은 예를 들면, 약 5 ° 내지 약 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내지 약 50 °의 각도에서 롤의 베이스 원주 표면으로부터, 앤빌 롤의 표면 상의 각각의 위치에서 베이스 원주 표면에 수직인 각도로 뻗어있다.
결합 패턴 및 개개의 결합 요소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압력, 열에너지 및 압력, 또는 초음파-주파수 에너지 및 압력을 결합 닙 (60) 내의 가공물에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각종 방법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를 위해 정의된 가공물은 웹 (64), 웹 (66) 및 형성된 결합된 복합재 (68)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에너지가 이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앤빌 롤 (62B)은 초음파 혼의 공명 주파수를 유해하게 간섭하지 않도록, 당 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은 적절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1A-1C 및 2A-2D 중 하나 이상에 예시된 실시태양에서, 도 6에 기재되고 예시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 패턴은 최종 흡수성 제품 내의 측면 이음새 (32)의 극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예를 들면 중첩된 웹을 연결할 수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제품은 전형적으로 다른 재료의 2개 이상의 층 또는 부분 층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임의로 다른 요소와 함께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료의 2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형적인 재료는 직물 또는 부직포, 또는 중합체 필름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가공물로서 불리우는 흡수성 제품 전구체는 재료의 연속적으로 가공된, 연속 길이의 복합 웹의 일부로서 정의될 수 있다. 가공물이 형성될 때, 결합 패턴은 흡수성 제품이 완전히 마무리된 또는 부분적으로 마무리된 흡수성 제품으로서, 웹으로부터 절단되기 전 또는 후에 예를 들면 측면 이음새 (32)에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이 결합된 복합재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 패턴을 이용하는 하나의 방법 만을 나타내긴 하지만, 플런지 또는 프레스 혼을 이용하여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다른 방법, 또는 예를 들면 압력,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에너지를, 접착제와 함께 이용하여 결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방법이 예상된다.
접착제 어플리케이터 (70) 및 닙 (60) 사이의 분리 닙을 통해 시트 재료를 통과시키는 것이 이전에 제안되긴 하였지만, 점각된 접착제 결합된 영역 (94) 내의 두 시트 재료 사이의 접착은, 별법으로 웹 (64, 66)이 닙 (60)을 통과한 후에 예를 들면 결합 닙에서의 분리 결합 단계에서 발생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닙 (60)은 결합 요소 (12, 13, 14) 및 접착 재료에 의해 활성화되는 접착제 결합 둘다를 발생시키도록 작용한다.
추가로, 도 4A 및 4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외부 커버 및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할 수 있는 가능한 재료서 언급된 재료들은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제품을 제작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재료이다.
당 업계의 숙련인은 본 발명의 취지에서 벗어나지 않고 예시된 실시태양에 관해 본원에 개시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특정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관해 위에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수많은 재배열, 변형 및 변화에 적합하며, 그러한 모든 배열, 변형 및 변화가 첨부된 청구 범위의 영역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다음 청구 범위가 수단 및 기능 용어를 사용하는 정도까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태양에 나타낸 것과 구조적으로 동등하지 않은 것을 본원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4)

  1.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 및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 재료 위치에서 상기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요소와 조합되어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결합 패턴이 일반적으로 상기 결합 요소에 의해 점유되는 패턴 면적의 분율에 의해 정해지는 패턴 밀도를 가지며,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요소가 측연부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결합 요소 보다 서로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있어 패턴 면적의 결합 요소 분율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결합 패턴의 비교적 덜 조밀한 부분, 및 측연부로부터 먼 패턴 면적의 결합 요소 분율에 의해 측정되는 바와 같은, 결합 패턴의 비교적 더 조밀한 부분이 형성되는, 결합된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패턴에 해당하는 결합이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 재료, 압력 및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 중의 하나를 가함으로써 활성화되는 결합된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패턴이
    (a)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또한 그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 및
    (b)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이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각각이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으며,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더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접촉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이액성 화학적 활성화 접착제, 및 그러한 접착 재료의 혼합물 및 블렌드로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50% 이상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75% 이상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실질적으로 모든 패턴 영역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결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의 약 15% 내지 약 50%를 점유하는 결합된 복합재.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외측부가 상기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배치된 결합된 복합재.
  13.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 및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 재료 위치에서 상기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요소와 조합되어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가 함께 결합될 때 상기 박편 요소들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횡방향으로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14. 제13항에 있어서,
    (d)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또한 그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 및
    (e)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이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각각이 상기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으며,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더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접촉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이액성 화학적 활성화 접착제, 및 그러한 접착 재료의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50% 이상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결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의 약 15% 내지 약 50%를 점유하는 결합된 복합재.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외측부가 상기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배치된 결합된 복합재.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가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 축의 외측으로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65°의 각도로 뻗어있는 레그를 갖는 결합된 복합재.
  22.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 및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 재료 위치에서 상기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요소와 조합되어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결합 요소에 해당하는 결합이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 재료, 압력 및 열 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 중의 하나를 통합적으로 가함으로써 활성화되고,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며,
    (d)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제1 거리로 이격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 및
    (e)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또한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서로의 간격 미만인 응력 수용 요소로부터의 제2 거리로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더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달 및 소산 요소가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상기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으며,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가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결합된 복합재.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접촉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이액성 화학적 활성화 접착제, 및 그러한 접착 재료의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결합된 복합재.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50% 이상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결합된 복합재.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결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의 약 15% 내지 약 50%를 점유하는 결합된 복합재.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외측부가 상기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배치된 결합된 복합재.
  31.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 재료 위치에서 상기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요소와 조합되어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 재료; 및
    (d)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한정하며,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또한 그 측연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응력 수용 요소의 제1 부-배열; 및
    (d) 상기 결합 요소의 것으로서,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결합 패턴의 측연부의 내측으로 또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이 결합 패턴의 내부를 향하여 배치된 제1 단부를 가지며, 각각이 상기 응력 수용 요소의 각각의 것 사이의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인접한 제2 단부로 뻗어 있으며,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로 내측으로 향하게 하고 그러한 응력을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시키는 것을 돕는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분리된 별개의 이격된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제2 부-배열을 더 포함하는,
    정면부, 배면부 및 상기 정면부와 상기 배면부 사이에 걸쳐있는 가랑이부를 갖는 흡수성 제품.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접촉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고온 용융 접착제, 이액성 화학적 활성화 접착제, 및 그러한 접착 재료의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가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분포 및(또는) 분산되며, 상기 접착 재료의 그러한 분포 및(또는) 분산이 결합 패턴 내의 상기 접착 재료의 하나 이상의 외측 연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흡수성 제품.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재료의 외측 연부가 결합 패턴의 패턴 면적의 약 50% 이상에 해당하는 접착 재료 패턴을 형성하는 흡수성 제품.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가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서로를 향하여 결합 패턴의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 축의 외측으로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65°의 각도로, 일반적으로 응력 수용 요소 사이에서 서로에게 연결되는 레그의 외측으로 배치된 부분으로 뻗어있는 레그를 갖는 흡수성 제품.
  38.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요소가 상기 결합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면적의 약 15% 내지 약 50%를 점유하는 흡수성 제품.
  39.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및 소산 요소의 외측부가 상기 결합 패턴의 측연부에 배치된 결합된 복합재.
  40. (a) 접착 재료를 결합될 각각의 박편 재료의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제1 및 제2 박편 요소의 적어도 하나에 도포하고;
    (b) 제1 및 제2 박편 요소를 결합될 영역에 함께 포함되도록 하고;
    (c) 제1 및 제2 박편 요소가 결합될 영역에 포함되는 서로와 결합 접촉하도록 하는 힘을 가하고, 결합될 영역 내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에 열에너지 또는 초음파 주파수 에너지 중의 하나를 가함으로써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을 형성하고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일반적으로 그 주위의 접착 재료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활성화된 접착 재료와 조합된 길쭉한 결합 요소의 배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결합 패턴의 내부를 통해 뻗어 있는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갖는 결합 패턴을 포함하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결합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결합 패턴이, 상기 결합 패턴 외측으로부터 부여된 부 응력이 각각의 측연부로부터 멀리 또한 상기 결합 패턴으로 내측으로 우선적으로 향하고 실질적으로 결합 패턴의 내부에서 소산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
    제1 박편 요소 및 제2 박편 요소를 서로에게 결합시키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및 그러한 중합체 재료의 공중합체, 혼합물 및 블렌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박편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편 요소 및 상기 제2 박편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로서, 웹의 주표면에서 웹의 내부로 뻗어 있는 무작위로 이격된 다수의 작은 개구를 형성하는 섬유상 웹을 포함하는 박편 요소를 선택하는 방법.
  43.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박편 요소; 및
    (c) 상기 결합 요소의 것에 인접한 또한 그 주위의 제1 및 제2 박편 요소 사이에 배치되며, 접착 재료 위치에서 상기 박편 요소들을 서로에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결합 요소와 조합되어 결합 패턴을 형성하는 접착 재료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결합 패턴이, 상기 결합 패턴 외측으로부터 부여된 부 응력이 각각의 측연부로부터 멀리 또한 상기 결합 패턴으로 내측으로 우선적으로 향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 결합된 복합재.
  44. (a) 제1 박편 요소로서 시트 재료의 제1층; 및
    (b)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 요소에 의해 상기 제1 박편 요소에 결합된 제2 박편 요소를 포함하며,
    결합 패턴이 패턴 길이, 결합 패턴의 제1 및 제2 측연부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패턴 폭 및 중앙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결합 패턴의 측연부 및 그러한 측연부 사이의 해당하는 패턴 면적은 일반적으로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결합 패턴 내로 수용된 응력을 결합 패턴의 작용에 의해 흡수 및 소산하는데 참여하는 각각의 박편 요소의 면적에 의해 정해지며,
    결합 패턴이, 상기 결합 패턴 외측으로부터 부여된 부 응력이 각각의 측연부로부터 멀리 또한 상기 결합 패턴으로 내측으로 우선적으로 향하도록 배열되고 구성된, 결합된 복합재.
KR10-2003-7002876A 2000-08-30 2001-08-30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 KR20040010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2918900P 2000-08-30 2000-08-30
US60/229,189 2000-08-30
PCT/US2001/027267 WO2002017843A2 (en) 2000-08-30 2001-08-30 Tear-resistant pattern-bonded layers for absorbent article
US09/944,242 US6652501B2 (en) 2000-08-30 2001-08-30 Tear-resistant adhesive/combination bond pattern
US09/944,242 2001-08-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519A true KR20040010519A (ko) 2004-01-31

Family

ID=2692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876A KR20040010519A (ko) 2000-08-30 2001-08-30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6652501B2 (ko)
EP (1) EP1322269A2 (ko)
JP (1) JP2004520961A (ko)
KR (1) KR20040010519A (ko)
AU (1) AU2001288639A1 (ko)
MX (1) MXPA03001533A (ko)
PL (1) PL366061A1 (ko)
WO (1) WO200201784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80B1 (ko) * 2015-03-12 2016-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 대상체에 전도성 접착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9006B2 (en) 2002-08-23 2010-01-19 Sloan-Kettering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Synthesis of epothilones, intermediates thereto and analogues thereof
US20040102125A1 (en) * 2002-11-27 2004-05-27 Morman Michael Tod Extensible laminate of nonwoven and elastomeric material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JP4683522B2 (ja) * 2003-11-28 2011-05-18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US20050137549A1 (en) * 2003-12-22 2005-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Use of swirl-like adhesive patterns in the formation of absorbent articles
US20060047260A1 (en) * 2004-09-02 2006-03-02 Gregory Asht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telescoping waist
CN101128174B (zh) * 2005-03-02 2010-11-17 Sca卫生产品股份公司 一次性卫生短裤
US8716547B2 (en) 2005-05-13 2014-05-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s
US8221379B2 (en) * 2005-06-17 2012-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tear resistance and softness
CN101222894B (zh) * 2005-07-14 2011-03-02 Sca卫生产品股份公司 吸收性制品
CA2777730A1 (en) 2005-09-29 2007-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de seam for disposable garment
EP1983952A4 (en) * 2006-02-13 2011-05-25 Sca Hygiene Prod Ab METHOD FOR REINFORCING A BOND BETWEEN BANDS OF MATERIAL AND AN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BANDS OF BONDED MATERIAL
JP4975811B2 (ja) 2006-06-21 2012-07-11 エスセーアー・ハイジーン・プロダクツ・アーベー ベルト付吸収性衣類
RU2404057C2 (ru) * 2006-07-13 2010-11-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Шов, соединяющий вмест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а рулонных материала
DE102006046420A1 (de) * 2006-09-22 2008-04-03 Paul Hartmann Ag Hygieneartikel oder OP-Abdeckungsartikel oder OP-Bekleidungsartikel zum einmaligen Gebrauch
JP4490405B2 (ja) * 2006-09-29 2010-06-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DE102006050971A1 (de) * 2006-10-23 2008-04-24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r Inkontinenzartikel
WO2008069281A1 (ja) * 2006-12-08 2008-06-12 Uni-Charm Corporation 吸収性物品
JP4916303B2 (ja) * 2006-12-28 2012-04-11 花王株式会社 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5254570B2 (ja) * 2007-05-24 2013-08-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161491B2 (ja) * 2007-05-30 2013-03-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RU2445055C1 (ru) * 2007-12-20 2012-03-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AU2007362867B2 (en) * 2007-12-20 2013-04-04 Sca Hygiene Products Ab A seam joining together at least two web materials
DE102009059886A1 (de) 2009-03-26 2010-10-14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DE102009015041A1 (de) 2009-03-26 2010-09-30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CN102548517B (zh) * 2009-07-03 2014-05-07 Sca卫生用品公司 具有压花的弹性侧裁片的吸收性物品
JP5075901B2 (ja) * 2009-09-30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95320B2 (ja) * 2010-01-21 2015-04-0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1106663A1 (en) * 2010-02-25 2011-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 patterns for fibrous webs
DE102010026643A1 (de) 2010-07-09 2012-01-12 Paul Hartmann Ag Absorbierende Inkontinenzwegwerfwindel mit Seitenabschnitten
CZ2011163A3 (cs) * 2011-03-25 2012-10-03 Pegas Nonwovens S.R.O. Zpusob vytvárení pojené netkané textilie a netkaná textilie
US9408761B2 (en) 2011-03-25 2016-08-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with nonwoven web component formed with loft-enhancing calendar bond shapes and patterns
EP2750650B1 (en) 2011-08-31 2021-06-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member having bonded reinforcing layer
JP5922391B2 (ja) * 2011-12-13 2016-05-24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10064767B2 (en) 2012-08-01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structure with enhanced tactile softness attributes and providing relatively low humidity
EP2879637B1 (en) * 2012-08-01 2020-08-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aper structure with enhanced tactile softness attributes
USD714560S1 (en) 2012-09-17 2014-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heet material for an absorbent article
CZ2012655A3 (cs) * 2012-09-21 2014-04-02 Pegas Nonwovens S.R.O. Netkaná textilie se zlepšenou měkkostí a způsob výroby této textilie
WO2014069142A1 (ja) * 2012-10-31 2014-05-0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161029B2 (ja) * 2013-06-28 2017-07-12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着用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D757452S1 (en) * 2014-04-02 2016-05-31 Whirlpool Corporation Plate with tread pattern
JP5895019B2 (ja) * 2014-04-28 2016-03-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吸収性物品
CA2889643C (en) * 2014-05-01 2022-08-16 Terry Vanhyfte Ultrasonic edge sealing of sheet molding compound carrier film
US10611131B2 (en) * 2016-04-19 2020-04-07 Aplix Perforated stretch laminate
ITUA20163073A1 (it) * 2016-05-02 2017-11-02 Pantex Int S P A Materiale multistrato comprendente almeno uno strato di tessuto non tessuto
JP6301435B1 (ja) * 2016-10-31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3727256B1 (en) 2017-12-21 2024-02-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sagg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WO2019125232A1 (en) *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bsorbent article with channel sealing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PL3727258T3 (pl) 2017-12-21 2024-04-02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rtykuł chłonny ze zmniejszonym zwiotczeniem
CN111479541B (zh) 2017-12-21 2021-09-28 易希提卫生与保健公司 具有包括焊接点的密封装置的吸收性物品
WO2019125227A1 (en) 2017-12-21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n absorbent article for newborn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bsorbent article
JP7101248B2 (ja) 2017-12-21 2022-07-14 エシティ・ハイジーン・アンド・ヘルス・アクチエボラグ 幅が一定である密封アレンジメントを備え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EP3791840B1 (en) * 2017-12-21 2023-09-06 Gdm S.P.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USD882276S1 (en) * 2018-05-22 2020-04-28 Berry Global, Inc. Nonwoven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32037A (en) * 1971-01-28 1973-10-03 Courtaulds Ltd Joining fabrics
DE3009465C2 (de) * 1980-03-10 1985-09-19 Lignotock Verfahrenstechnik Gmbh, 1000 Berlin Schichtfasermatte zur Herstellung von räumlich verpreßten Formteilen im Trockenverfahren
US4493868A (en) 1982-12-14 1985-01-15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bulk bonding pattern and method
US4949668A (en) 1988-06-16 1990-08-21 Kimberly-Clark Corporation Apparatus for sprayed adhesive diaper construction
AU7059994A (en) * 1993-06-25 1995-01-17 Procter & Gamble Company, The Disposable training pants having a non-perforated tear line
CA2175792C (en) * 1993-11-17 2000-10-31 Dean Van Phan Process of making absorbent structures and absorbent structures produced thereby
JP2580207Y2 (ja) * 1993-12-10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CA2130426A1 (en) 1994-03-14 1995-09-15 David Peter Kielpikowski Containment flap construction
WO1996021760A1 (fr) * 1995-01-12 1996-07-18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Corps elastique composite a caracteristiques d'elongation multietage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0800808B1 (en) * 1995-10-27 2008-05-28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5843057A (en) * 1996-07-15 1998-1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lm-nonwoven laminate containing an adhesively-reinforced stretch-thinned film
US6132409A (en) * 1996-08-29 2000-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with aperture aligned for receiving fecal material
US6133501A (en) * 1996-10-24 2000-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retaining structure for receiving and retaining fecal material
ES2189893T3 (es) * 1996-12-20 2003-07-16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integridad y captacion mejoradas.
US6346097B1 (en) * 1997-08-08 2002-02-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 with expandable BM containment
USD412508S (en) 1997-08-11 1999-08-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pattern of a seam for a disposable article
US5964742A (en) * 1997-09-15 1999-10-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bonding patterns producing fabrics with improved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US6909028B1 (en) 1997-09-15 2005-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able breathable elastic garments
JP3492205B2 (ja) * 1998-06-30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3851737B2 (ja) * 1999-01-21 2006-11-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用吸収性物品
JP3510149B2 (ja) * 1999-05-10 2004-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処理物品
JP3527435B2 (ja) * 1999-05-21 2004-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467429B2 (ja) * 1999-06-09 2003-11-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透液性表面シート
WO2001049333A2 (en) * 1999-12-30 2001-07-12 Osteotech, Inc. Methods for manufacturing skeletal implants
JP3541157B2 (ja) * 2000-02-18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080B1 (ko) * 2015-03-12 2016-04-2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착 대상체에 전도성 접착체를 형성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17843A3 (en) 2002-05-30
US6837961B2 (en) 2005-01-04
WO2002017843A2 (en) 2002-03-07
US20030065295A1 (en) 2003-04-03
MXPA03001533A (es) 2003-06-24
US20030069554A1 (en) 2003-04-10
JP2004520961A (ja) 2004-07-15
PL366061A1 (en) 2005-01-24
AU2001288639A1 (en) 2002-03-13
US20020048652A1 (en) 2002-04-25
US6652501B2 (en) 2003-11-25
EP1322269A2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10519A (ko) 흡수성 제품용 내인열성 패턴 결합된 층
US6713159B1 (en) Tear-resistant bond pattern
US6717028B1 (en) Bond pattern
AU2018201789B2 (en)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11389345B2 (en)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US20230018131A1 (en) Absorbent article with body conforming structure
JP5328273B2 (ja) 体液吸収性物品
US10639215B2 (en)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US6620490B1 (en) Tear-resistant bond pattern
KR102546493B1 (ko) 흡수 용품
US7594906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retchable reinforcement member
EP1818035B1 (en) Method for producing an absorbent sheet
US20050148964A1 (en) Absorbent structure having profiled stabilization
JP6689317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JP7118105B2 (ja) 吸収性物品の吸収体
JP2019136152A (ja) Sapシート、および吸収性物品
JP2021115383A (ja) 吸収性物品
JP2021053235A (ja) 吸収性物品
JP2020116154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