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9007A -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9007A
KR20040009007A KR1020020042783A KR20020042783A KR20040009007A KR 20040009007 A KR20040009007 A KR 20040009007A KR 1020020042783 A KR1020020042783 A KR 1020020042783A KR 20020042783 A KR20020042783 A KR 20020042783A KR 20040009007 A KR20040009007 A KR 20040009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chloromethane
general formula
added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732B1 (ko
Inventor
박외숙
권석형
김주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렉스진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2-0042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73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9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9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7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 C07D49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강하, 항암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다음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광학합성의 프로프란리그난 화합물, 그 거울상 이성질체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 R2, R3는 같거나 또는 다른 수소 또는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The preparation of asymmetric furofuranelignan compound}
본 발명은 혈압강하제, 항암제 및 항산화제등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광학합성의 푸로푸란리그난계 화합물인 다음의 일반구조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상기식에서 R1, R2, R3는 같거나 또는 다른 수소,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 함께 메틸렌옥디시기를 나타낸다.
세사민 양감빈
유데스민
기존의 (-), (+)-세사민, (-), (+)-유데스민, (-), (+)-양감빈의 제조방법은 머캅토숙신산 (mercaptosuccinic acid)을 염기 존재 하에서 방향족 알데하이드와 축합 반응하여 4-아릴락톤 이성체 화합물인 혼합물을 얻는다. 이들을 분리하여 방향족 알데하이드를 축합 반응하고, 환원한 후 디알콕실레이션하여 (-)-유데스민을 제조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제조방법은 이성체 혼합물로 얻어지므로 수율이 저조할뿐만아니라, 이성체를 분리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L-타르타르산 에틸에스테르 (diethyl L-tartrate)을 출발물질로 하여 분자내 이종 딜스알더 (intramolecular hetero Diels-Alder) 반응을 주 반응으로 하여 (-)-세사민을 합성하였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반응경로가 22단계로 (-)-세사민을 제조함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나아가 고순도의 (-), (+)-세사민, (-), (+)-유데스민, (-), (+)-양감빈을 각각 광학활성형태로 제조기술 방법의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원료를 사용하여 용이한 제조 공정으로 일반구조식 (1)로 표시되는 (-), (+)-세사민, (-), (+)-유데스민, (-), (+)-양감빈을 광학활성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반식 (I)로 표시되는 (+)-세사민, (+)-유데스민, (+)-양감빈 및그들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합성방법을 제시한다.
(1)
여기서 R1, R2, R3는 같거나 또는 다른 수소,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나타낸다.
첫째,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적인 유기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에틸에테르)에 혼합하고, 염기(부틸리튬, 소디움하이드라이드)조건하에서 교반한 다음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XCOCH2CH2COX : X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을 가한 후 저온 교반하여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다.일반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 (톨루엔, 벤젠,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에 혼합하고, 염기(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조건하에서 다이알킬보론트리플레이트를 가하여 보론에놀레이트를 얻는다. 이 반응혼합물에 아릴알데히드를 저온조건 하에서 가한 후 교반하고 여기에 약산 (묽은 황산, 묽은 염산)을 가하여 일반식 (5)로 표기되는 화합물을 만든다.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일반적인 유기용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다이에틸에테르, 벤젠,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에 혼합하고, DIBAL(다이아이소부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로 환원하여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만든다. 일반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반적인 유기용매 (다이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에 혼합한 후, 트리에틸실란-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로 환원하여, 일반식 (1)로 표시한 화합물을 광학활성형태로 얻는다. 또한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는 일반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거울상이성질체로부터 광학활성형태로 얻었다.
이를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상기식에서 R1, R2, R3는 수소,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나타내며, R은 벤질, 페닐 또는 아이소프로필기이며, X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세사민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1,4-비스(4(S)-벤질-2-옥사졸리딘-3-일)부탄-1,4-다이온의 합성
실시예 1
4(S)-벤질-2-옥사존리디논 (3.90 g, 22.0 mmol)의 THF (66 mL) 용액을 질소 기류 -76 ℃에서 1.6 Mn-부틸리튬 (13.2 mL, 21.0 mmol)을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20 분간 교반하였다. 여기에 염화숙신산 (1.55 g, 10.0 mmol)를 THF (5 mL)에 녹인 용액을 10분간에 걸쳐서 첨가하고 30분간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액에 포화 염화암모늄 (100 mL)을 가한 후 ethyl acetate (70 mL)로 3회 추출하고, 이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포화식염수로 세척하였다. 이 혼합물을 건조, 여과, 감압 증류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3 혼합용매)]하여 백색의 생성물 (3.87 g, 89%)을 얻었다.
mp : 55-57 ℃
1H NMR (300 MHz, CDCl3) δ 7.33-7.19 (m, 10 H), 4.67 (br s, 2 H), 4.16 (t,J=8.8 Hz, 4 H), 3.32 (s, 4 H), 3.22 (d,J=13.3 Hz, 2 H), 2.82 (dd,J=12.9,J=9.3 Hz,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72.36, 154.01, 135.71, 129.91, 129.74,
129.32, 127.69, 66.77, 55.43, 38.04, 30.49
IR (νmax, KBr) 1781, 1697, 1376 cm-1
[α]20D (c=1.0, MeOH) +104
실시예 2
3(S),4(S)-비스(벤조[1,3]다이옥솔-5-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S),4(S)-c]푸란-1,4-다이온의 합성
1,4-비스(4(S)-벤질-2-옥사졸리딘-3-일)부탄-1,4-다이온 (2.0 g, 4.6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18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0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부틸보론 트리플레이트 (10.0 mL, 10.0 mmol)를 10분에 걸쳐서 가하고, 10분 후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을 dichloromethane (4.6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같은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고, -78℃로 냉각한 후 피페로날 (piperonal; 1.8 g 12.0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 (4.6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0분간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0 ℃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메탄올 (27 mL), 포화 인산이수소 칼륨 (18 mL), 28% 과산화수소수 (18 mL)를 차례로 가한 후, 실온에서 8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 (3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4 혼합용매)]하여 백색의 생성물 (1.60 g, 91%)을 얻었다.
mp. 124-126℃
1H NMR (300 MHz, CDCl3) δ 6.81 (s, 4 H), 6.75 (s, 2 H), 5.99 (s, 4 H),
5.82 (s, 2 H), 3.54 (s, 4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75.33, 149.22, 148.99, 132.36, 119.18,
109.41, 105.87, 102.28, 82.48, 48.94
IR (νmax, KBr) 1772, 1498, 1247, 1038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382 (M+), 307, 154 (base peak)
[α]20D (c=1.0, MeOH) +69
실시예 3
3(S),6(S)-비스(벤조[1,3]다이옥솔-5-일)테트라하이트로푸로[3(S),4(S)-c]푸란-1,4-다이올의 합성
3(S),6(S)-비스(벤조[1,3]다이옥솔-5-일)테트라하이드로[3(S),4(S)-c]푸란-1,4- 다이온 (1.40 g, 3.67 mmol)을 테트라하이트로푸란 (3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25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아시소부틸알루니늄하이드라이드 (diisobutylaluminium hydride (14.7 mL, 14.7 mmol))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 (30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다이클로로메탄 (100 mL)을 가하고, 여과 후, 다이클로로메탄 (20 mL)로 5회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증류하여 생성물을 얻었다. 이 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2 혼합용매)]하여 백색의 생성물 (0.63 g, 45%)을 얻었다.
mp. 152-154℃
1H NMR (300 MHz, CDCl3) δ 7.05-6.76 (m, 6 H), 5.97 (s, 4 H), 5.82 (s, 2 H), 4.95 (d,J=7.2Hz 2 H), 3.19 (br s,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54.77, 1141.72, 133.87, 119.81, 110.14,
105.85, 102.33, 101.23, 82.48, 46.44
IR (νmax, KBr) 3329, 3197, 1493, 1250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386 (M+), 307, 154 (base peak)
실시예 4
(+)-Sesamin
3(S),6(S)-비스(벤조[1,3]다이옥솔-5-일)테트라하이드로푸란[3(S),4(S)-c]푸란-1, 4-다이올 (200 mg, 0.52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3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10 ℃로 냉각한 후 트라이에틸 실란 (0.25 mL, 1.56 mmol)을 가하고, 보론크로플루오라이드 다이에틸 에테르 (0.1 mL, 1.1 mmol)를 같은 온도에서 적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시간동안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포화탄산나트륨 수용액 (20 mL)을 가하고 다이클로로메탄 (15 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4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110 mg, 60%)을 얻었다.
mp. 121-122 ℃
1H NMR (300 MHZ, CDCl3) δ 6.85-6.77 (m, 6 H), 5.95 (s, 4 H), 5.39 (s, 1 H)
, 4.33-4.39 (m, 1 H), 4.18 (dd,J=9.2,J=6.0 Hz, 2 H), 3.91 ( d=9.2 Hz 1 H), 3.57 (dd,J=9.2 Hz,J=7.4 Hz, 1 H),
13C NMR (75.47 MHz, CDCl3)δ 175.33, 149.22, 148.99, 132.36, 119.18,
109.41, 105.87, 102.28, 82.48, 48.94
IR (νmax, KBr) 3020, 2930, 2891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α]20D (c=1.0, MeOH) +68
B) 양감빈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실시예 5
3(S),6(S)-비스(3,4,5-트라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 H ,3 H -푸로[3(R),4(R)-c]푸란-1,4-다이온
1,4-비스(4(S)-벤질-2-옥사졸리딘-3-일)부탄-1,4-다이온 (1.1 g, 2.5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0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부틸보론 트리플레이트 (5.5 mL, 5.5 mmol)를 10분에 걸쳐서 가하고, 10분 후 다이아시소프로필 아민을 다이클로로메탄 (2.5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같은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고, -78℃로 냉각한 후 트라이에톡시벤즈알데하이드 (1.4 g 7.0 mmol)를 다이클로로메탄 (5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0분간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0 ℃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메탄올 (15 mL), 포화 수소화인산 칼륨 수용액 (10 mL), 28% 과산화수소수 (10 mL)를 차례로 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 (25 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2 : 3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759 mg, 64%)을 얻었다.
mp. 170 ~ 171℃
1H NMR (300 MHz, CDCl3) δ 6.51 (s, 4 H), 5.87 (s, 2 H), 3.87 (s, 12 H), 3.81 (s, 6 H), 3.57 (s,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74.94, 153.94, 138.30, 133.64, 101.25,
81.58, 60.86, 56.34, 48.47
IR (νmax, KBr) 1778, 1600, 1520, 1261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474 (M+), 307, 55 (base peak)
[α]20D (c=1.0, CHCl3) +39
실시예 6
3(S),6(S)-비스(3,4,5-트라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 H ,3 H -푸로[3(S),4(S)-c]푸란-1,4-다이올
3(S),6(S)-비스(3,4,5-트라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H,3H-푸로-[3(S),4(S)-c]푸란-1,4-다이온 (400 mg, 0.84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1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25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아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3.8 mL, 3.8 mmol)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 (10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다이클로로메탄 (60 mL)를 가하고, 여과 후, 다이클로로메탄 (10 mL)로 5회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증류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3 : 1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265 mg, 66%)을 얻었다.
mp. 202-203℃
1H NMR (300 MHz, CDCl3) δ 6.74 (s, 4 H), 5.63 (s, 2 H), 4.98 (s, 2 H),
3.88 (s, 12 H), 3.83 (s, 6 H), 3.28 (s, 2 H),
3.14 (br s,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53.01, 139.40, 136.71, 103.81, 100.62,
84.51, 61.12, 60.22, 56.03
IR (νmax, KBr) 3415, 3384, 1593, 1133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478 (M+), 307, 154 (base peak)
실시예 7
(+)-양감빈 (yangambin)
3(S),6(S)-비스(3,4,5-트라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H,3H-푸로- [3(S),4(S)-c]푸란-1,4-다이올 (147 mg, 0.31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10 ℃로 냉각한 후 트라이에틸 실란 (0.11 mL, 0.93 mmol)을 가하고, 보론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르 (62 μL, 0.68 mmol)를 같은 온도에서 점적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시간동안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포화탄산나트륨 수용액 (15 mL)을 가하고 다이클로로메탄 (10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1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48 mg, 35%)을 얻었다.
mp. 117-119℃
1H NMR (300 MHz, CDCl3) δ 6.57 (s, 4 H), 4.76 (d,J=4.3 Hz, 2 H), 4.31(dd,J=9.1 Hz,J=6.9 Hz, 2 H), 3.94 (dd,J=9.1 Hz,J=3.6 Hz, 2 H), 3.88 (s, 12 H), 3.84 (s, 6 H), 3.11 (ddd,J=6.9 Hz,J= 4.3 Hz,J= 3.9 Hz,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75.33, 153.25, 137.37, 102.52, 85.94, 71.97, 60.85, 56.07, 54.51
IR (νmax, KBr) 2927, 1759, 1593, 1461, 1126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446 (M+, base peak), 154, 181
[α]20D (c=1.0, MeOH) +104
C) 유대스민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실시예 8
3(S),6(S)-비스(3,4-다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 H ,3 H -푸로[3(S),4-(S)-c]푸란-1,4-다이온
1,4-비스(4(S)-벤질-2-옥사졸리딘-3-일)부탄-1,4-다이온 (2.2 g, 5.0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0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부틸보론 트리플레이트 (11.0 mL, 11.0 mmol)를 10분에 걸쳐서 가하고, 10분 후 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 아민을 다이클로로메탄 (5.0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혼합액을 같은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고, -78℃로 냉각한 후 다이메톡시벤즈알데하이드 (2.3 g 14.0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 (10 mL)에 녹인 용액을 10분에 걸쳐서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0분간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0 ℃가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메탄올 (30 mL), 포화 인산수소칼륨 (20 mL), 28% 과산화수소수 (20 mL)를 차례로 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 (40 mL)로 5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1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1.13 g, 65%)을 얻었다.
mp. 203-204℃
1H NMR (300 MHz, CDCl3) δ 6.86 (s, 4 H), 6.79 (s, 2 H), 5.89 (s, 2 H), 3.90 (s, 6 H), 3.87 (s, 6 H), 3.57 (s,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74.96, 149.62, 130.38, 116.72, 111.39, 107.88, 81.79, 56.11, 56.03, 48.38
IR (νmax, KBr) 1780, 1490, 1242, 1045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414 (M+), 307, 154 (base peak)
[α]20D (c=1.0, CHCl3) +53
실시예 9
3(S),6(S)-비스(3,4-다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 H ,3 H -푸로[3(S),4- (S)-c]푸란-1,4-다이올
3(S),6(S)-비스(3,4-다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H,3H-푸로[3-(S),4(S)-c]-푸란-1,4-다이온 (500 mg, 1.2 mmol)을 다이클로로메탄 (2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25 ℃로 냉각한 후 1.0 M (in dichloromethane) 다이아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4.8 mL, 4.8 mmol)를 천천히 가하고, 같은 온도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후, 물 (20 mL)를 천천히 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에 다이클로로메탄 (120 mL)를 가하고, 여과한 후, 다이클로로메탄 (20 mL)로 5회 추출하였다. 이 추출물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증류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3 : 1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300 mg, 63%)을 얻었다.
mp. 181-182℃
1H NMR (300 MHz, CDCl3) δ 7.01 (d,J=9.8 Hz, 4 H), 6.91 (s, 2 H), 4.83 (d,J=5.8 2 H), 3.96 (s, 6 H), 3.87 (s, 6 H), 3.10(br s,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52.99, 137.39, 135.70, 103.80, 100.67, 84.33, 65.07, 60.00, 55.30
IR (νmax, KBr) 3345, 3301, 1245
MS m/z (relative intensity) 478 (M+), 307, 154 (base peak)
실시예 10
(+)-Eudesmin
3(S),6(S)-비스(3,4-다이메톡시페닐-5-일)테트라하이드로-1H,3H-푸로[3- (S),4(S)-c]푸란-1,4-다이올 (320 mg, 0.77 mmol) 을 다이클로로메탄 (150 mL)에 녹인 용액을 질소 기류하에 -10 ℃로 냉각한 후 트라이에틸 실란 (0.19 mL, 1.16 mmol)을 가하고,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르 (78 μL, 0.85 mmol)를 같은 온도에서 적가하였다. 이 반응혼합액을 2시간동안 같은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포화탄산나트륨 수용액 (30 mL)을 가하고 다이클로로메탄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여과 후, 감압 농축하여 조생성물을 얻었다. 이 조생성물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에틸 아세테이트 : 헥산 = 1 : 4 혼합용매)]하여 생성물 (132 mg, 44%)을 얻었다.
mp. 67-68.5℃
1H NMR (300 MHz, CDCl3) δ 6.91 (d,J=2.0 Hz, 2 H), 6.88 (dd,J=8.3 Hz,J=2.0 Hz, 2 H), 6.84 (d,J=8.3 Hz, 2 H) 4.76(d,J=4.4 Hz, 2 H), 4.26 (dd,J=9.5 Hz,J=7.3 Hz, 2 H), 3.91 (dd,J=9.5 Hz,J=3.9 Hz, 2 H), 3.88 (s, 6 H), 3.90 (s, 6 H), 3.12 (ddd,J=7.3 Hz,J=4.4 Hz,J=3.9 Hz, 2 H)
13C NMR (75.47 MHz, CDCl3) δ 149.22, 148.99, 132.36, 130.12, 119.18, 109.41, 105.87, 102.28, 82.48, 48.94
IR (νmax, KBr) 1772, 1498, 1247, 1038 cm-1
MS m/z (relative intensity) 386, 154 (base peak), 136
[α]20D (c=1.0, MeOH) +84
본 발명은 용이하고 간단한 반응공정으로, 광학순도가 높은 (-), (+)-세사민, (-), (+)-유데스민, (-), (+)-양감빈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에서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반구조식 (6)의 화합물을 트리에틸실린-보론트리풀루오라이드로 환원시켜서 광학합성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거울상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 R3는 같거나 또는 다른 수소,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나타낸다.
  2. 일반구조식 (5)의 화합물을 DIBAL(다이이이소부틸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로 환원시켜서 광학합성의 일반식 (6)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거울상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 R3는 같거나 또는 다른 수소, 메톡시기 또는 인접하는 그룹과 함께 메틸렌디옥시기를 나타낸다.
  3. 일반구조식 (4)의 화합물을 염기조건하에서 다이알킬보론트리플레이트를 반응시켜서 보론에놀레이트를 얻고, 이 반응혼합물에 일반구조식 (7)의 아릴알데히드와 반응시키고 산을 가하고 처리하여 광학합성의 일반구조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거울상 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2-0042783A 2002-07-20 2002-07-20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KR10045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83A KR100457732B1 (ko) 2002-07-20 2002-07-20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783A KR100457732B1 (ko) 2002-07-20 2002-07-20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9007A true KR20040009007A (ko) 2004-01-31
KR100457732B1 KR100457732B1 (ko) 2004-11-17

Family

ID=3731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783A KR100457732B1 (ko) 2002-07-20 2002-07-20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94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60068192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160068193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9621B2 (ja) * 1986-09-01 1997-02-05 ダイセル化学工業 株式会社 リグナン類の光学分割方法
JP3283274B2 (ja) * 1991-06-15 2002-05-20 サントリー株式会社 新規組成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94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피지 조절 및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20160068192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 또는 개선하는 조성물
KR20160068193A (ko) 2014-12-05 2016-06-15 (주)아모레퍼시픽 (-)-유데스민을 함유하는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732B1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27727A1 (en) Method of preparing (3R, 3aS, 6aR) -3-hydroxyhexahydrofuro [2,3,-b] furan and related compounds
KR900004129B1 (ko) 포도필로톡신 및 그 관련화합물의 제조용 중간생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2516886A (ja) クレイスタンチンの製造方法
AU607337B2 (en) Intermediates for the production of epipodophyllotoxin and related compound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JPH01199929A (ja) ピクロポドフィリンおよびその関連化合物の製造用中間体ならびにその中間体の製造法
KR100457732B1 (ko) 광학합성의 비대칭 푸로푸란리그난 화합물의 신규 제조방법
KR20090105309A (ko) 광학활성을 갖는 5-히드록시-3-옥소헵타노에이트 유도체의제조방법
KR20160070457A (ko) 루비프로스톤의 제조방법 및 그를 위한 중간체
US20040106808A1 (en) Processes for preparing calanolide a and intermediates thereof
KR100558849B1 (ko) 두 개의 엑소 메틸렌을 가지는 8각형 고리화합물과 이의제조방법
KR100543172B1 (ko) 테레인 화합물의 제조방법
KR100558848B1 (ko) 두 개의 엑소 메틸렌을 가지는 7각형 고리화합물과 이의제조방법
Yamauchi et al. First highly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dihydrosesamin, a trisubstituted tetrahydrofuran-type of lignan, by using highly erythro-selective aldol condensation
KR100841592B1 (ko) 벤조디옥솔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KR100531117B1 (ko) 신규 3,4-다이엑소메틸렌 테트라하이드로파이란 유도체 및이들의 제조방법
KR20130114877A (ko) 푸로푸란 리그난 화합물 제조 방법
JP4488161B2 (ja) 光学活性α−シリルメチル−β−ヒドロキシスルホキシド化合物の製造法
CN117865974A (zh) 一种Rhynchines A-E化合物的合成方法
EP1997815B1 (en) Method for producing flavan derivatives
JP2675569B2 (ja) 2,3−ジヒドロベンゾフラン誘導体の製造方法
TW202317527A (zh) 貝前列素或光學活性物之合成中間物及其製造方法
KR100645373B1 (ko) 세 고리형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락톤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0197787B1 (ko) 캄토테신과 그 유도체의 합성 중간체의 부제합성방법
KR100952808B1 (ko) Egonol의 효율적 전합성
Amer et al. Total Synthesis of (±)-Meridinol,(±)-Epimeridinol, and a Related Cyclolign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