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918A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918A
KR20040008918A KR1020020042656A KR20020042656A KR20040008918A KR 20040008918 A KR20040008918 A KR 20040008918A KR 1020020042656 A KR1020020042656 A KR 1020020042656A KR 20020042656 A KR20020042656 A KR 20020042656A KR 20040008918 A KR20040008918 A KR 20040008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quid crystal
data
data line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4495B1 (ko
Inventor
이승우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495B1/ko
Priority to US10/617,026 priority patent/US7450098B2/en
Priority to JP2003276182A priority patent/JP4378125B2/ja
Priority to TW092119734A priority patent/TWI249723B/zh
Priority to CNB031550355A priority patent/CN100388343C/zh
Publication of KR20040008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패널의 상하에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와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구동 방식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가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에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였던 전압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 전압의 극성을 바꾼 후,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임의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와 그 바로 다음의 인접한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 사이에는 그 화상 데이터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의 화상 데이터를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사용하면, 프리차지 전압과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구동 방식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패널의 상하에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와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의해 액정 패널 상의 화소를 미리 구동한 후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실제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로 상기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나 텔레비전 등의 표시 장치 분야에서는 대화면화,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음극선관(CRT : cathode-ray tube) 대신에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플랫 패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어 컴퓨터용 표시장치, 액정 텔레비젼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실용화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패널은 매트릭스 형태로 화소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그에 대향하는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 기판 사이에는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이 주입된다. 상기 두 기판 사이에는 전계가 인가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기판을 투과하는 빛의 양이 제어되어 원하는 화상(image)에 대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한편, 표시 장치의 화면이 대형화하고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액정 패널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를 액정 패널의 상하에 배치하는 듀얼 구동(dual drive)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상기 듀얼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의 상하에 구비된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액정 패널에 공급되어 화상 표시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하에 배치된 데이터 구동부에는 화상 데이터와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가 공급되어야 하므로, 주변 회로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이 액정 패널의 상하에 구비되어야 한다. 대화면 및 고해상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이 차지하는 면적이 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회로 부품으로 인한 비용 상승도 문제가 된다.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의 액정 표시 장치는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나오게 된다. 즉,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은 액정 패널의 상하에 데이터 구동부를 배치하는 점에서는 상기 듀얼 구동 방식과 동일하지만, 상하의 데이터 구동부의 기능이 동일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데이터 라인의 화소를 프리차지(precharge)시키고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는 원래 인가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는 점에서 상기 듀얼 구동 방식과는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단순히 액정 패널의 임의의 데이터 라인을 1 수평 주사 기간 중 일부의 시간 동안 미리 설정한 특정 레벨의 전압으로 구동하고, 이어서 1 수평 주사 기간의 나머지 시간 동안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데이터 라인을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으로 구동한다. 즉,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미리 설정한 전압을 수평 주사 기간 중 일부의 시간 동안에만 데이터 라인에 단순히 인가하면 되므로, 그 기능 및 구조가 매우 단순해진다. 따라서, 상기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은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위한 인쇄 회로 기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SOG(Silicon On Glass) 방식에 의해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액정 패널 상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1에는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이 적용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임의의 데이터 라인 전압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1 수평 주사 기간 중 구간 I에서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전압(Vpr(n))이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며, 구간 II에서는 원래 표시하고자 한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다. 도 1의 전압 파형은 도트 반전 방식일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즉, 1 게이트 라인 단위로 게이트 라인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공통 전압(common voltage)을 기준으로 반전된다. 따라서,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전압도 정극성과 부극성에 각각 적용되는 2 레벨을 필요로 한다.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서 미리 설정되는 전압은 데이터 전압의 범위를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얻어진 특정 값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에서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가 특정 레벨의 전압으로 액정 패널의 데이터 라인을 미리 구동하므로, 상기 구간 II에서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압과 상기 특정 레벨의 전압은 그 값이 크게 차이날 수 있다. 따라서, 각 화소에서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가해진 전압이 상기 차이의 정도에 따라 크게 증가 또는 감소되어야 한다. 이것은 고해상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화소를 충분히 구동하지 못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즉, 해상도가 증가하여 1 화소를 구동하는 시간이 감소할 때,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 의해 미리 충전된 전압을 목표 레벨로 변화시키는 데에 시간이 소비되므로,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정보를 구동하는 시간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 하에서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가 임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함에 있어서, 인접한 라인의 화소에는 화상 데이터 전압의 변화가 매우 작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에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었던 전압을 저장한 후, 그 전압의 극성만 반전시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함으로써 마스터-슬레이브 구동시 프리차지 전압과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 사이의 전압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마스터-슬레이브 구동 방식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라인 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에 적용되는 구동 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상기 도 3의 회로에서 각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정 패널 20 : 게이트 구동부
30 :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 40 :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
50 : 타이밍 제어부 60 : 전압 발생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 화소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
외부의 그래픽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액정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시키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액정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계조 전압과 게이트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게이트 전압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의 게이트 라인을 1 수평 주사 기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 별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화상 데이터에맞는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압을 1 수평 주사 기간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 상의 각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는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 및,
1 주기 이전의 수평 주사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상기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1 주기 이전의 수평 주사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 라인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현재의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상기 극성이 반전된 전압을 프리차지 전압으로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는 반전 구동부로 구성된 다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구동 회로는 데이터 라인별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가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에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가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였던 전압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 전압의 극성을 바꾼 후,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통상, 임의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와 그 바로 다음의 인접한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 사이에는 그 화상 데이터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의 화상 데이터를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사용하면, 프리차지 전압과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구성 및 그 효과는 아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0), 게이트 구동부(20),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 타이밍 제어부(50) 및 전압 발생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 패널(10)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 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화소는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각 화소는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이 각각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연결되는 화소 캐패시터(도시하지 않음) 및 스토리지 캐패시터(storage capacitor)(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소 구조에서는 게이트 구동부(20)에 의해 해당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이 펄스 형태로 인가되면, 상기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이어서,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에 의해 각 데이터 라인에 프리차지 전압이 인가되고, 순차적으로,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에 의해 각 데이터 라인에 화소 정보를 포함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이 전압은 해당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거쳐 화소 캐패시터와 유지 캐패시터에 인가되어, 이들 캐패시터가 구동됨으로써 소정의 표시 동작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가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에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가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였던 전압을 저장하고 있다가, 이 전압의 극성을 바꾼 후(극성 반전 구동 방식이 적용될 경우를 가정함),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데이터 라인에 인가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통상, 임의의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와 그 바로 다음의 인접한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 사이에는 그 화상 데이터의 변화가 거의 없으므로,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의 화상 데이터를 그 다음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사용하면, 프리차지 전압과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크게 감소된다. 이것은 프리차지 전압에서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으로 변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이에 따라, 액정 구동 시간이 감소되고, 액정 충전 특성이 향상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50)는 외부의 그래픽 소스(graphic source, 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RGB 화상 데이터(RGB Data), 동기 신호(Sync)를 제공받아서,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에 맞게 상기 RGB 화상 데이터(RGB Data)의 데이터 포맷(format)을 변환하고, 상기 액정 패널(10)의 구동을 위하여 게이트 구동부(20)와, 마스터 및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30, 40)에서 필요로 하는 제어신호(CONT, SW)를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전압 발생부(60)는 액정 패널(10)의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에 실제로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 계조 전압(Vgray)과 게이트 온/오프 전압(Vgate)을 생성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계조 전압(Vgray)은 다수의 전압 레벨을 가지며,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에 전송된다.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50)에서 제공된 RGB 화상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계조 전압(Vgray)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전압으로 액정 패널(10)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는 상기 게이트 온/오프 전압(Vgate)으로 액정 패널(10)을 구동하며, 게이트 온 전압을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인가함으로써 각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를 1 수평 주사 기간 단위로 선택한다.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는 다수의 데이터 구동 IC(data driver IC)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50)로부터 공급되는 RGB 화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래치(latch)시켜서 점순차 방식의 데이터 배열을 선순차 방식으로 바꾸고, 각 화상 데이터에 맞는 계조 전압을 선택하여 병렬적으로 배열한 후, 이 전압들을 화상 데이터 전압으로서 액정 패널(10) 상의 각 데이터 라인에 동시에 인가한다.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는 상기 액정 패널(10) 상의 데이터 라인마다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구동 회로로 이루어지며, 각 구동 회로의 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는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에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었던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극성 반전 구동 방식이 적용될 경우, 상기 저장된 화상 데이터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해당 데이터 라인에 다시 인가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의 구동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는 상기 도 2의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40)를 구성하는 구동 회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상기 도 3의 각 노드 및 스위칭 신호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의 구동 회로는 액정 패널(10) 상의 각 데이터 라인마다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이전 수평 주사 기간 동안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던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캐패시터(Cs), 데이터 라인과 상기 캐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W2),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이 서로 연결되고 비반전 입력단(+)은 상기 캐패시터(Cs)와 스위칭 소자(SW2)의 접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산 증폭기(OP1), 비반전 입력단(+)에 공통 전압(Vcom)이 연결되고 반전 입력단(-)과 출력단이 저항(R2)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된 연산 증폭기(OP2),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과 상기 연산 증폭기(OP2)의 반전 입력단(-) 사이에 연결된 저항(R1), 상기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과 상기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SW1)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 증폭기(OP1)는 에미터 팔로워(emitter floower)의 연결 상태를 가지며, 일종의 버퍼(buffer)로서 동작하여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을 출력단에 제공한다. 상기 연산 증폭기(OP2)는 일반적인 가산기(adder)로 동작하며, 반전 입력단(-)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상기 반전된 전압을 비반전 입력단(+)의 전압과 합하여 출력단에 제공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SW1, SW2)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5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SW)에 의해 그 스위칭 상태가 제어되며, 1 수평 주사 기간 중 소정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되고, 나머지 기간 동안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SW2)가 턴온된다. 즉, 두 스위칭 소자(SW1, SW2)는 서로 교대로 턴온된다.
도 4의 파형도를 참조하면, 1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이 시작되기 전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SW1)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스위칭 소자(SW2)가 온 상태이다. 이 때에는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에 의해 바로 직전 수평 주사 기간의 화상 데이터 전압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다. 이와 동시에, 스위칭 소자(SW2)가 온 상태이므로, 상기 데이터 라인 전압은 캐패시터(Cs)에 충전된다. 도 4에서 노드 C의 전압 △Vd는 직전 수평 주사 기간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을 나타낸다. 상기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인 노드 A의 전압은 상기 캐패시터(Cs)에 충전된 전압이 그대로 나타난다. 상기 노드 A의 전압은 연산 증폭기(OP2)에 의해 반전된 후, 공통 전압(Vcom)과 합해져서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인 노드 B에 나타난다. 그러나, 스위칭 소자(SW1)가 오프 상태이므로, 상기 노드 B의 전압은 데이터 라인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연산 증폭기(OP2)에서는 공통 전압(Vcom)이 반전된 전압과 합해지는데, 이것은 극성 반전이 공통 전압(Vcom)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즉, 상기 연산 증폭기(OP2)의 비반전 입력단에 연결되는 바이어스 전압은 극성 반전의 기준 전압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공통 전압을 기준으로 극성 반전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기준 전압이 적용될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이어서, 다음의 수평 주사 기간이 시작된다. 수평 주사 기간의 처음 단계는 프리차지 기간이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W2)가 턴오프된다. 따라서, 노드 B의 전압이 노드 C를 거쳐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다. 즉, 바로 직전의 수평 주사 기간 동안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었던 전압이 현재의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프리차지 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프리차지 기간이 완료되면, 스위칭 소자(SW1)는 턴오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SW2)는 턴온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30)에서 화상 데이터 전압이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의 전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SW2)의 턴온에 의해 캐패시터(Cs)에 충전된다.
도 4의 노드 C 전압의 파형을 참조하면, 프리차지 기간 동안에 바로 직전 수평 주사 기간에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었던 전압으로 프리차지가 이루어짐으로써 액정 화소에 충전되는 전압의 변화가 종래에 비해 훨씬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종래에는 특정 레벨의 프리차지 전압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충전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과 프리차지 전압 사이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접한 게이트 라인에 연결된 화소에 인가되는 화상 데이터 전압은 그 변화가 매우 작기 때문에, 1 수평 주사 기간 이전의 화상 데이터 전압을 현재의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전압으로 사용하면, 프리차지 전압과 실제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 사이의 전압차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되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 회로는 정밀한 프리차지 전압의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설계하기가 쉽고 공정 마진도 증가된다. 따라서, 종래의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 회로에 비해 크게 부품 가격을 상승시키지 않으면서 충전 특성 개선의 효과는 매우 크다.
이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는 1 수평 주사 기간 직전에 데이터 라인에 인가되었던 전압을 저장한 후, 그 전압의 극성만 반전시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함으로써 마스터-슬레이브 구동시 프리차지 전압과 원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 데이터 전압 사이의 전압 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충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 화소로 이루어지는 액정 패널;
    외부의 그래픽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서 상기 액정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시키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액정 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계조 전압과 게이트 전압을 생성하는 전압 발생부;
    상기 게이트 전압을 이용하여 액정 패널의 게이트 라인을 1 수평 주사 기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 별로 상기 타이밍 제어부의 화상 데이터에 맞는 계조 전압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전압을 1 수평 주사 기간의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 상의 각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는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 및,
    1 주기 이전의 수평 주사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상기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에 상기 극성 반전된 전압을 프리차지 전압으로서 인가하는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와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액정 패널의 상하에 각각 배치되며, 1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에는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가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에 프리차지 전압을 인가하고, 1 수평 주사 기간의 나머지 기간에는 상기 마스터 데이터 구동부가 화상 데이터 전압을 상기 액정 패널 상의 데이터 라인에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데이터 구동부는,
    1 주기 이전의 수평 주사 기간 동안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서 저장된 데이터 라인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 후, 현재의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상기 극성이 반전된 전압을 프리차지 전압으로서 상기 데이터 라인에 인가하는 반전 구동부로 구성된 다수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각 구동 회로는 데이터 라인별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데이터 라인의 화상 데이터 전압을 저장하기 위한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와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수평 주사 기간 중 데이터 라인에 화상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턴온되는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압을 버퍼링시키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 구동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소정의 극성 반전의 기준 전압을 상기 극성이 반전된 화상 데이터 전압에 합하는 연산 증폭기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과 상기 데이터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1 수평 주사 기간의 프리차지 기간 동안 턴온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반전의 기준 전압은 공통 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20042656A 2002-07-19 2002-07-19 액정 표시 장치 KR10086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56A KR100864495B1 (ko) 2002-07-19 2002-07-19 액정 표시 장치
US10/617,026 US7450098B2 (en) 2002-07-19 2003-07-11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data drivers in master-slave configur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3276182A JP4378125B2 (ja) 2002-07-19 2003-07-17 液晶表示装置
TW092119734A TWI249723B (en) 2002-07-19 2003-07-18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data drivers in master-slave configura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B031550355A CN100388343C (zh) 2002-07-19 2003-07-19 包括主-从结构数据驱动器的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656A KR100864495B1 (ko) 2002-07-19 2002-07-19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918A true KR20040008918A (ko) 2004-01-31
KR100864495B1 KR100864495B1 (ko) 2008-10-20

Family

ID=3043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656A KR100864495B1 (ko) 2002-07-19 2002-07-19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50098B2 (ko)
JP (1) JP4378125B2 (ko)
KR (1) KR100864495B1 (ko)
CN (1) CN100388343C (ko)
TW (1) TWI2497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87A (ko) * 2016-03-25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2328B1 (ko) * 2019-05-21 2020-05-19 주식회사 에이코닉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85581B2 (en) * 2004-03-11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riving voltage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driving voltage control method
KR100635503B1 (ko) * 2005-01-31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귀환 회로부가 구비되는 액정표시장치
US8416163B2 (en) * 2005-04-06 2013-04-09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97057B1 (ko) * 2005-12-12 2012-1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I298470B (en) * 2005-12-16 2008-07-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and the image-driving method thereof
WO2007097060A1 (ja) * 2006-02-24 2007-08-30 Sharp Kabushiki Kaish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TWI345748B (en) * 2006-09-05 2011-07-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58644B1 (ko) * 2006-09-20 201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구동 방식을 이용한 소스 드라이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395603B2 (en) 2007-01-26 2013-03-12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374889B1 (ko) * 2007-01-26 2014-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8216425A (ja) * 2007-03-01 2008-09-1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TWI334126B (en) * 2007-07-17 2010-12-01 Au Optronics Corp Voltage adjusting circuit,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015638B1 (ko) 2012-01-03 2019-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2304807B1 (ko) * 2014-08-18 2021-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4537999B (zh) * 2015-01-08 2017-08-08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依据系统复杂程度灵活配置的面板内部接口及其协议
JP6597807B2 (ja) 2018-01-23 2019-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ー、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9584834B (zh) * 2019-01-22 2020-05-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10400547A (zh) * 2019-06-06 2019-11-01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11223T2 (de) * 1993-04-30 1999-02-18 Ib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liminieren des Übersprechens in einer Flüssigkristall-Anzeigeeinrichtung mit aktiver Matrix
JP3102666B2 (ja) * 1993-06-28 2000-10-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0756544A (ja) * 1993-08-20 1995-03-03 Fujitsu Ltd 表示装置
JP3482683B2 (ja) * 1994-04-22 2003-12-22 ソニー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5945972A (en) * 1995-11-30 1999-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device
JPH10198311A (ja) * 1996-12-30 1998-07-31 Casio Comput Co Ltd 液晶駆動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6771133B2 (en) * 1997-10-21 2004-08-03 Emhiser Research Limited Phase-locked oscillator with improved digital integrator
JP2000200069A (ja) 1998-12-30 2000-07-18 Casio Comput Co Ltd 液晶駆動装置
US6873313B2 (en) * 1999-10-22 2005-03-29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777913B2 (ja) * 1999-10-28 200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駆動回路及び液晶表示装置
JP3800912B2 (ja) * 2000-03-13 2006-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1305509A (ja) * 2000-04-10 2001-10-31 Ind Technol Res Inst マルチステージ液晶ディスプレイ充電の駆動回路
KR100759967B1 (ko) * 2000-12-16 2007-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랫 패널 표시 장치
KR100819138B1 (ko) * 2001-08-25 2008-04-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패널의 구동장치 및 그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3787A (ko) * 2016-03-25 2017-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2328B1 (ko) * 2019-05-21 2020-05-19 주식회사 에이코닉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495B1 (ko) 2008-10-20
JP4378125B2 (ja) 2009-12-02
CN1487493A (zh) 2004-04-07
TWI249723B (en) 2006-02-21
US7450098B2 (en) 2008-11-11
CN100388343C (zh) 2008-05-14
US20040012553A1 (en) 2004-01-22
JP2004054292A (ja) 2004-02-19
TW200426764A (en) 200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95B1 (ko) 액정 표시 장치
TW444184B (en) Driving system of an LCD device and LCD panel driving method
US6384817B1 (en) Apparatus for applying voltages to individual columns of pixels in a color electro-optic display device
JP2997356B2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2006006154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50030284A (ko) 스캔 드라이버와,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JP2005031202A (ja) 容量性負荷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JP2007279539A (ja) ドライバ回路、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086449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90002994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과 표시 장치
US6417847B1 (en) Flat-panel display device,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driving flat-panel display device
JP2018092140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0302972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10036308A (ko) 이종 반전 구동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40016029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20050019172A (ko) 소스 구동 회로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480176B1 (ko) 2-도트 인버젼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10001735A1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for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4777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56903B1 (ko) 플리커링을 줄이기 위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53782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KR100777703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443248B1 (ko) 전압 레벨 안정화를 위한 액정 표시 장치
KR10107440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7187567A (ja)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