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8077A -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8077A
KR20040008077A KR1020030045305A KR20030045305A KR20040008077A KR 20040008077 A KR20040008077 A KR 20040008077A KR 1020030045305 A KR1020030045305 A KR 1020030045305A KR 20030045305 A KR20030045305 A KR 20030045305A KR 20040008077 A KR20040008077 A KR 2004000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dhesive
thermosensitive
sel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752B1 (ko
Inventor
요시다신이치
산본기노로미츠
사토요시노리
사토미노루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아이아이 피 앤드 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providing current or voltage to the thermal head
    • B41J2/355Control circuits for heating-element se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0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 B65C9/24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 B65C9/25Gluing the labels or articles by heat by thermo-activating the g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15Preparing the labels or articles, e.g. smoothing, removing air bubbles
    • B65C2009/0018Preparing the labels
    • B65C2009/0028Preparing the labels for activating the glue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패턴으로 열 활성화할 수 있고, 상기 시트의 전체 면에 걸쳐 적어도 소정의 점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이것을 채용한 프린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열 활성화 장치는, 일측 상에 인쇄 가능면과 타측 상에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지는 시트 형상 기판을 포함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상기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가열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가능한 발열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서멀 헤드와, 1회 이상의 전압 펄스를 통전을 위하여 복수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하여,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해 한번에 열 활성화 가능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영역을 열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제어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고, 복수 회수의 전압 펄스가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되어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전압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전압 펄스에 의하여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어셈블리{A THERMAL ACTIVATION DEVICE FOR HEAT-SENSITIVE SELF-ADHESIVE SHEET AND A PRINTER ASSEMBLY}
본 발명은, 통상시에는 비점착성이나, 가열될 때 점착성을 발현하는 감열성 점착제층이 시트 형상 기판의 일 측에 형성되어, 예컨대 부착용 라벨로서 이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상기 열 활성화 장치를 채용한 프린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서멀 헤드의 에너지 제어에 유리하게 적용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의 설명)
최근, 상품에 부착되어 바코드나 가격 표시 등에 이용되는 많은 라벨은, 기록면(인쇄 가능면)의 뒷면 상에 감압 점착제층이 제공되어, 그 위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박리지(세퍼레이터)를 가지는 상태로 보관된다. 불행히도, 이 형태의 부착용 라벨은 사용할 때 박리지를 감압 점착제층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있어서, 항상 쓰레기가 발생한다.
박리지가 불필요한 시스템으로서, 라벨 형상 기판의 뒷면 상에 통상시에는 비점착성이나, 가열될 때 점착성을 발현하는 감열성 점착제층을 갖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이 개발되었다. 반면에,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의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열하기 위한 열 활성화 장치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가열 수단으로서 서멀 헤드를 채용한 열 활성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통상, 서멀 헤드는 발열 소자들(저항체)의 어레이를 포함하여, 이들 발열 소자에 전압으로 통전시키는 것에 의해 발열시킨다. 이 서멀 헤드를 채용한 열 활성화장치에서, 발열 소자들의 어레이는 동시에 소정의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일제히 통전된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은 발열 소자의 어레이와 수직인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라인 단위로 열 활성화됨으로써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은 그 전체 면 상에 점착력이 발현하게 된다.
이러한 열 활성화 장치에 의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을 열 활성화하는 경우,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이 지지재(라벨을 부착한 물품 등)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기 위한 크기의 점착력의 개발이 중시된다.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의점착면 전체가 강한 점착력(한번 부착되면, 라벨이 절대로 벗겨질 수 없거나, 강제로 벗겨지면 파손되는 정도의)을 가질 수도 있는 방식으로 열 활성화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 지지재로부터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의 큰 점착력은 또한, 부착된 라벨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라벨이 쉽게 제거될 수 없다는 단점을 유발한다. 예컨대, 비행기에 탑승하기 전에 확인된 수화물 상에 사용하기 위한 라벨은, 수화물을 받은 후 이들 라벨이 대개 불필요하므로,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을 열 활성화시키는 에너지를 제어하여, 발현되는 점착력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멀 헤드를 채용한 열 활성화 장치의 경우, 전압 펄스의 크기나 펄스 폭(전압인가 시간)에 의해 인가 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다.
불행히도, 그 내부에 발현되는 점착력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몇몇 종류의 감열성 점착제가 있다. 도 9의 실선(T1)으로 나타낸 특성 곡선을 가지는 점착제의 경우, 예컨대 적어도 F1의 점착력(강한 점착력)은 적어도 E1의 에너지를 인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F2 이상 F1미만의 점착력(약한 점착력)의 발현은 인가되는 에너지가 E1 내지 E2의 범위로 한정하도록 전압 펄스의 크기나 펄스 폭을 제어해야 한다. 또한, 점착제의 인가 에너지와 점착력과의 관계는 환경온도에 의존하고(예컨대, 도 9의 T1, T2 참조),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라벨을 사용하는 환경 온도에서 펄스 전압의 크기나 펄스 폭의 제어가 복잡해 질수도 있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이 그 감열성 점착 라벨 전체 면에 걸쳐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보다, 부분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국부적인 곳에 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력을 제어하기 위한 대안적인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즉, 라벨 총면적에 대하여 강한 점착력을 가지는 부분의 면적의 비가 조정되어, 라벨 전체 영역으로서의 점착력의 정도를 조정한다(일본국 특개평 제2000-48139호 공보).
그러나, 상기 기술에 따르면, 전혀 점착력을 가지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점착력을 가지지 않는 부분이 라벨의 단부 근처에 존재하는 경우, 라벨이 쉽게 벗겨질 수 있어서, 짐을 조심하여 취급하지 않으면 짐에 부착된 라벨이 분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기술은 실용적이지 않다. 열 활성화가 라벨의 테두리 가장자리(프레임 형태)에 중점적으로 행해지는 경우, 라벨 전체 면으로서의 점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라벨 중앙부를 점착력이 없는 부분이 차지하여, 라벨의 중앙부에 공기가 침입될 가능성이 보다 많다. 침입된 공기는 지지재로부터 라벨을 들어올려, 라벨의 외관 품질을 저하시킨다. 부가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어떤 부분을 열 활성화하고, 어떤 부분을 열 활성화하지 않은 지를 나타내기 위한 열 활성화 패턴을 작성하는 것도 성가신 작업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적용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열 활성화할 수 있고,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전체 면 상에 적어도 소정의 크기의 점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열 활성화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린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실행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는, 일 측 상에 인쇄 가능면을 가지고, 타측 상에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지는 시트 형상 기판을 포함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가열 수단이고,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하게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서멀 헤드; 및 통전을 위하여 다수의 발열 소자에 1회 이상의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하여 한번에 열 활성화될 수 있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영역을 열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제어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고, 복수회의 전압 펄스가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전압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전압 펄스에 의하여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에 다양한 패턴으로 점착력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열 활성화를 수행할 수도 있으므로, 시트의 점착력 또는 점착 패턴이 시트의 사용에 따라 자유롭게 제어된다. 또한, 인접하는 도트 영역 상에 상이한 정도의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것도 가능하여, 계층적으로 점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
이 방식에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는, 상기 에너지 제어수단이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하여 한번에 열 활성화가능한 영역의 임의의 도트 영역을 선택하여, 여기에 제1 에너지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보다 높은 제2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멀 헤드에 의하여 한번에 열 활성화되도록 영역의 모든 도트 영역이 적어도 약한 점착력을 발현하도록 열 활성화되는 것이 보증된다.
시트가 부착된 시트가 후에 제거되도록 요구될 수도 있는 지지재 상에서 사용되는 경우, 예컨대 시트의 대부분의 영역 상에 약한 점착력을 발현하고, 시트의 테두리 가장자리(프레임 형상)와 같은 특히 중요한 부분 상에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열 활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열 활성화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은 필요한 점착력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박리된다. 또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는 그 전체 면 상에 지지재에 부착되어, 시트와 지지재 간의 틈으로의 공기 침투가 없다. 따라서, 외관 품질도 악화되지 않는다.
역으로, 시트가 벗겨질 필요가 없는 경우, 열 활성화 장치는, 시트의 전체 면 상에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것 대신, 시트 전체에 소망량의 점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열 활성화를 위한 보다 적은 에너지를 요하여, 전력 저감에 기여한다.
강한 점착력이란, 한번 부착되면 시트가 절대로 벗겨지지 않거나, 강제로 벗기면 파손되는 크기의 점착력을 의미한다. 반면, 약한 점착력이란, 시트가 지지재(카드 보드와 같은)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표면에 점착제(풀)를남기지 않도록 벗겨지는 크기의 힘을 의미한다. 수치 표현으로 나타내면, 강한 점착력은 통상적으로 1000gf/40mm-폭 내지 2000 gf/40mm-폭의 범위에 있는 반면, 약한 점착력은 통상적으로 800 gf/40mm-폭 이하의 범위에 있다.
여기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는,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이, 인가되는 전압 펄스의 크기, 펄스 폭, 또는 인가 회수를 설정하는 인가 조건 설정 수단과, 전압 펄스를 인가할 때 마다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하는 발열 소자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가 소망의 점착력이나 사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종류를 지정하면, 인가 조건 설정 수단은 자동적으로 펄스 전압, 펄스 폭 및 인가 회수를 설정하는 동안, 발열 소자 설정 수단은 자동적으로 통전될 발열 소자(들)를 선택한다.
이는 시트의 열 활성화를 통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소망의 점착력의 발현을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는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패턴 정보를 격납한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가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발열 소자 설정 수단은 상기 열 활성화 패턴에 따라 인가 조건 및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각각 설정한다. 이는 또한 소망의 패턴으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열 활성화를 용이하게 한다.
여기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는 상기 열 활성화 가열 수단에 의해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가 열 활성화되는 곳의 근방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경 온도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가 조건 설정 수단은 상기 환경온도 측정 수단에 의한 온도에 따라서 인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경 온도 측정 수단은, 예컨대 제어 보드 상에 마련한 온도 측정용 서미스터(thermistor) 등이 생각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억 수단은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각 종류의 점착제의 온도 특성 정보를 격납하여, 사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종류에 따라 검색되는 상기 온도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 조건을 설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인가 조건이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재설정되므로, 용이하게 소망의 점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린터 어셈블리는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와,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열 활성화 장치와 상기 인쇄 수단은 동일한 제어 유닛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 어셈블리는 필요한 점착력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자기 점착 라벨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활성화 장치를 채용한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P)의 제어계의 예시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 활성화 유닛(50)에 의해 실현되는 열 활성화 패턴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의 집합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되는 열 활성화 패턴의 각 부분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발열 소자들을 통전시키는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의 집합이다.
도 5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열 활성화 패턴의 각 부분을 열 활성화하기 위하여 발열 소자들을 통전시키는 다른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의 집합이다.
도 6은 에너지 제어 수단으로서 CPU(101)가 실행하는 에너지 제어 처리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에너지 제어 수단으로서 CPU(101)가 실행하는 에너지 제어 처리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에너지 제어 수단으로서 CPU(101)가 실행하는 다른 에너지 제어 처리의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의 점착제의 점착력과 인가 에너지의 관계 및 환경 온도 특성 곡선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 20 : 롤 홀더 유닛
30 : 인쇄 유닛 31 : 발열 소자
32 : 인쇄 서멀 헤드 33 : 인쇄 압반(platen) 롤러
40 : 커터 유닛 41 : 가동 블레이드
42 : 고정 블레이드 50 : 열 활성화 유닛
51 : 발열 소자 52 : 열 활성화 서멀 헤드
53 : 열 활성화 압반 롤러 54 : 삽입 롤러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 활성화 장치 및 이것을 채용한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P)의 배열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P)는 롤에 권회된테이프형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유지하는 롤 홀더 유닛(20)과,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 유닛(30)과,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는 커터 유닛(40)과,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하는 열 활성화 장치로서의 열 활성화 유닛(5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컨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은, 라벨 기판에 그 전면 상에 단열층 및 감열 발색층(인쇄가능 면)이 형성되고, 그 이면 상에 감열성 점착제를 건조 도포하여 형성되는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감열성 점착제층은, 열가소성 수지, 고체 가소제 등을 그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감열성 점착제로 형성된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상기 단열층을 가지지 않은 것이나, 감열 발색층의 상부에 보호층 또는 유색 인쇄층(미리 인쇄된 층)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인쇄 유닛(30)은, 도트 인쇄를 수행하도록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폭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발열 소자들(저항체)(31)을 갖는 인쇄 서멀 헤드(32)와, 상기 인쇄 서멀 헤드(32)에 대해 압력을 받는 인쇄 압반 롤러(33) 등을 포함한다. 서멀 헤드(32)는, 세라믹 기판의 위에 배치된 다수의 발열 소자들(31) 상에 결정화 유리의 보호층이 마련된 공지의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의 인쇄 헤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서멀 헤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쇄 유닛(30)은 인쇄 압반 롤러(33)를 회전구동하는, 예컨대 전기 모터, 기어 어레이 등을 포함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계를 포함한다. 이 구동계는 인쇄 압반 롤러(33)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롤로부터 풀어내어, 상기 풀어낸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에 인쇄 서멀 헤드(32)로 인쇄하면서 소정 방향으로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반출한다. 도 1에서, 인쇄 압반 롤러(3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우측을 향하여 전달된다.
인쇄 유닛(30)은 나선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과 같은 도시하지 않은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가압 수단의 탄원력은 인쇄 서멀 헤드(32)를 인쇄 압반 롤러(33)에 대하여 바이어스되도록 한다. 이 때, 인쇄 압반 롤러(33)의 회전축이 발열 소자들(31)의 어레이와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인쇄 서멀 헤드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전체 폭에 걸쳐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커터 유닛(40)은 인쇄 유닛(30)에 의하여 인쇄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도록 동작한다. 커터 유닛은 전기 모터와 같은 구동원(미도시)에 의하여 동작되는 가동 블레이드(41)와, 상기 가동 블레이드(41)와 대향 배치된 고정 블레이드(42)를 포함한다.
열 활성화 유닛(50)으로부터의 상부에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존재를 검출하는 라벨 검출 센서(112)가 마련되어 있다.
열 활성화 유닛(50)은, 발열 소자(51)를 가지는 가열 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으로서의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와, 예컨대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서 회전되어 인쇄 유닛(30)으로부터의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와 열활성화 압반 롤러(53) 간의 공간으로 도입시키는 삽입 롤러(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는 인쇄 서멀 헤드(32)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열 활성화 서멀 헤드는, 세라믹막 위에 형성된 다수의 발열 저항체 표면 상에 결정화 유리의 보호층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지의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의 인쇄 헤드와 동일한 배열을 가진다. 따라서,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와 인쇄 서멀 헤드(32)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공유하여, 비용 감소를 달성한다.
열 활성화 유닛(50)은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 및 삽입 롤러(54)를 회전시키는, 예컨대 전기 모터와 기어 어레이를 포함하는 구동계를 포함한다. 이 구동계는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 및 삽입 롤러(54)를 회전 구동시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소정 방향(우측을 향하여)으로 반송시킨다.
또한, 열 활성화 유닛(50)은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를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에 대하여 바이어스하기 위한 가압 수단(나선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과 같은)을 포함한다. 이 경우,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의 회전축은 발열 소자(31)의 어레이와 평행으로 유지되어, 열 활성화 서멀 헤드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전체 폭에 걸쳐 동일한 압력으로 가압될 수도 있다.
인쇄 유닛(30) 및 열 활성화 유닛(50)에 배치된 압반 롤러(33, 53) 및 삽입 롤러(54)는 고무, 플라스틱, 우레탄, 불소수지, 및 실리콘 수지와 같은 탄성 부재로 형성된다.
도 2는 서멀 프린터 어셈블리(P)의 제어 블록도이다. 서멀 프린터어셈블리(P)의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을 통괄하고 에너지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CPU(101)와, CPU(101)에 의해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ROM(102)과, 각종 인쇄 포맷 등을 격납하는 RAM(103)과, 인쇄 데이터, 인쇄 포맷 데이터 등을 입력, 설정 또는 호출하기 위한 조작부(104)와, 인쇄 데이터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5)와, 제어 유닛과 구동부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하는 인터페이스(106)와, 인쇄 서멀 헤드(32)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07)와,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08)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절단하는 가동 블레이드(41)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109)와, 인쇄 압반 롤러(33)를 구동하는 제1 스테핑 모터(110)와,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 및 삽입 롤러(54)를 구동하는 제2 스테핑 모터(111)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존재를 검출하는 라벨 검출 센서(112)와, 환경 온도 센서(113)를 포함한다.
ROM(102)은, 예컨대 환경 온도, 인가 에너지, 및 발현된 점착력 간의 관계, 각 점착제의 온도 특성 등을 포함하는, 감열성 접착체의 각 종류에 대한 정보를 격납한다. 또한, ROM(102)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를 격납하여, 이용자가 등록된 열 활성화 패턴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배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어셈블리(P)에 의한 일련의 인쇄 및 열 활성화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으로는, CPU(101)로부터 공급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인쇄 유닛(30)에 의하여 소망의 인쇄 동작이 수행되고, 커터 유닛(40)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절단 동작이 수행되고, 열 활성화유닛(50)은 소정의 에너지로 열 활성화 동작을 수행한다.
우선, 인쇄 유닛(30)의 인쇄 압반 롤러(33)가 회전되어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풀고, 그 인쇄 가능면(감열 발색층)상에 인쇄 서멀 헤드(32)에 의해서 서멀 인쇄가 행해진다. 이어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인쇄 압반 롤러(33)의 회전에 의해서 커터 유닛(40)으로 반송된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또한 반송되어 열 활성화 유닛(50)의 삽입 롤러(54)에 의해서 열 활성화 유닛(50)으로 도입된 후, 소정의 타이밍으로 동작되는 가동 블레이드(41)에 의해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다.
이때, 열 활성화 유닛(50)으로부터의 상부에 배치된 라벨 검출 센서(112)로부터 송신된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CPU(101)는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에 대한 에너지 제어를 시작한다. 반면, 라벨 검출 센서(112)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제1 스테핑 모터(110)와 동기하여 제2 스테핑 모터(111)의 동작을 트리거하여, 삽입 롤러(54) 및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열 활성화 유닛(50)으로 원활하게 반송된다.
계속해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열 활성화 서멀 헤드(52)(발열 소자들(51)) 및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 간에 끼워져 지지된 상태로, 소정의 타이밍으로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51)에 의하여 가열된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진다. 이 때의 수행된 상세한 에너지 제어는 후술한다.
이어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열 활성화 압반 롤러(53)의 회전에 의하여 배출되어, 일련의 인쇄 및 열 활성화 처리가 완료된다.
라벨 검출 센서(112)에 의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종단의 검출에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이 열 활성화 유닛(50)으로부터 배출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다음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인쇄, 반송 및 열 활성화가 시작되는 배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열 활성화 유닛(50)에 의해 실현되는 열 활성화 패턴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3에서, 간격이 좁은 해칭의 영역은 강한 점착력을 가지는 부분을 나타내는 반면, 간격이 넓은 해칭의 영역은 약한 점착력을 가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은, 열 활성화 유닛(50)에 삽입될 때, 라벨의 폭을 따라 어레이에 배열된 다수의 발열 소자들(51)에 의해 1라인씩 열 활성화된다.
도 3a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테두리 가장자리 상에 강한 점착력의 프레임형 부분을 형성하는 열 활성화 패턴을 도시한다. 도 3b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테두리 가장자리로부터 내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강한 점착력의 프레임형 부분을 형성하는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열 활성화 패턴에 의하면, 활성화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은 적어도 그 전체 면 상에 약한 점착력을 가지고, 따라서 라벨의 일부가 뒤틀린다면, 뒤틀린 부분은 절대로 라벨의 분리를 유발하지 않는다.
도 3c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4 코너의 각각을 정점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의 저변 부분에 강한 점착력의 부분을 형성하는 열 활성화 패턴을 도시한다. 이 열 활성화 패턴은 박리가능한 라벨의 열 활성화에 유리하다. 대부분의 시트가 약한 점착력을 가지므로, 시트는 박리되기 쉽다. 그러나, 시트는 국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가져서, 모르는 사이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d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중심적으로 약한 점착력의 마름모형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마름모형 부분 주위에 강한 점착력의 부분을 형성하는 열 활성화 패턴을 도시한다. 이 열 활성화 패턴에 의하면, 시트 전체로서의 점착력을 손상시키지 않고, 열 활성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전력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폭을 따라 연장된 직선 부분(A, B, C) 각각을 열 활성화시킬 때에 설정되는 발열 소자들의 통전 패턴의 예를 각각 도시한다. 단순성을 위하여, 본 실시예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폭 방향 열 활성화를 위하여 12개의 발열 소자들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폭은 12개의 도트 영역으로 분할되고, 그 각각은 각 발열 소자들에 의해 열 활성화된다.
도 4에서, 폭이 넓은 해칭 부분은 제1 전압 펄스가 인가되는 도트를 나타내난 반면, 폭이 좁은 해칭 부분은 제2 전압 펄스가 인가되는 도트를 나타낸다. 제 1 전압 펄스는 1회시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펄스 전압 및 펄스 폭으로 설정된다. 제2 전압 펄스는 1회로 제1 전압 펄스가 인가된 도트 영역으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펄스 전압 및 펄스 폭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전압 펄스에 의하여 인가된 에너지를 E1으로 나타내고, 제2 전압 펄스에 의해 인가된 에너지를 E2로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 상에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에너지가 E1로 되는 반면,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에너지는 E1 + E2로 된다.
도 4a는 도 3a에 도시된 직선 부분(A)의 열 활성화에 대하여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도 3a의 직선 부분(A)이 열 활성화될 때, 1회째에 12개의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전체 도트 영역으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킨 후, 2회째로서 제2 전압 펄스를 모든 발열 소자들에게 인가하여 모든 도트 영역들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킨다.
도 4b는 도 3a의 직선 부분(B)의 열 활성화에 대하여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에 12개의 모든 발열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전체 도트 영역들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킨 후, 2회째로서 1번째와 12번째로 위치하는 양단의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행하여 제2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통전된 발열 소자들에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킨다.
도 4c는 도 3b의 직선 부분(C)을 열 활성화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1회째에 12개의 모든 발열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행하여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전체 도트 영역으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킨 후, 2회째로서 2번째와 11번째로 위치하는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행하여 제2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통전된 발열 소자들에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영역에 대응하는 발열 소자에는통전을 위하여 제1 전압 펄스만을 인가할 수도 있는 반면,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영역에 대응하는 발열 소자에는 통전을 위하여 제1 및 제2 전압 펄스를 인가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1회째와 2회째에 대한 통전 설정을 반대로 행하여도 동일한 패턴으로 점착력이 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제1 전압 펄스와 제2 전압 펄스는 동일한 전압과 펄스를 가질 수도 있다.
도 5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폭을 따라 연장된 직선 부분(A, B, C) 각각을 열 활성화시킬 때에 설정되는 발열 소자들에 대한 통전 패턴의 다른 예를 각각 도시한다. 도 5에서, 단일 해칭 부분은 제3 전압 펄스가 인가되는 도트를 나타내는 반면, 이중 해칭 부분은 제4 전압 펄스가 인가된 도트를 나타낸다. 제3 전압 펄스는, 1회시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도록 하는 펄스 전압 및 펄스 폭으로 설정된다. 제4 전압 펄스는 1회시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 도록 하는 펄스 전압 및 펄스 폭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제3 전압 펄스에 의하여 인가된 에너지를 E3으로 나타내고, 제4 전압 펄스에 의하여 인가되는 에너지를 E4로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에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에너지는 E3로 되는 반면,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에너지는 E4로 된다. 이들 에너지들과 도 4에 도시된 에너지들 간의 관계는 E1= E3, E1 + E2 = E4로 된다.
도 5a는 도 3a의 직선 부분(A)을 열 활성화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상기 패턴은 12개의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행하여 제4 전압 펄스를 1회 인가함으로써 1회로 열 활성화되는 모든 도트 영역으로부터 강한점착력을 발현시킨다.
도 5b는 도 3a의 직선 부분(B)을 열 활성화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1회째에 2번째 내지 11번째의 발열 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3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킨 후, 2회째에 1번째와 12번째로 위치하는 양단의 발열 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4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킨다.
도 5c는 도 3b의 직선 부분(C)을 열 활성화하는 경우에 설정되는 패턴을 도시한다. 1회째에 1번째, 3번째 내지 10번째, 및 12번째의 발열 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3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이들 발열 소자들에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킨 후, 2회째에 2번째와 11번째로 위치하는 발열 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하여 제4 전압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이들 발열 소자들에 대응하는 도트 영역들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킨다.
소망의 패턴으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방법은 상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패턴이 고려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턴은 열 활성화 처리 시간, 소비 전력, 및 제어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열 활성화 장치로서의 열 활성화 유닛(50)은 통전되는 발열 소자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패턴으로 열 활성화하도록 되어 있다. 부가하여, 열 활성화 유닛은 한번에 열 활성화되는 영역에 전압 펄스를 2회 이상 인가하는 방식으로 하여 열 활성화를 행하므로, 강한 점착력 부분과 약한 점착력부분을 혼재시키는 상태가 형성된다. 또한, 열 활성화 유닛은 보다 세밀한 제어하에 점착력을 단계적으로 발현시키는(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점착력) 열 활성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에너지 제어 수단으로서 CPU(101)가 실행하는 에너지 제어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이 제1 전압 펄스(에너지 E1) 및 제2 전압 펄스(에너지 E2)의 적용에 의하여 열 활성화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단계 S101에서, 라벨 검출 센서(112)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유무를 판정한다.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는, 라벨 검출 센서(112)로부터 검출 신호가 송신될 때까지, 단계 S101의 동작이 반복된다.
단계 S101에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S102로 제어 플로가 이행하여 열 활성화 패턴을 획득하고, 이어 단계 S103에 의하여 사용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의 종류를 획득한다. 여기서, 열 활성화 패턴 및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의 종류는 이용자에 의한 조작부(104)로부터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RAM(103)에 격납된다.
다음 단계 S104에서, 획득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온도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획득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에 대응하는 정보가 ROM(102)에 격납되는 경우는 ROM(102)으로부터 정보를 획득하는 반면, 그러한 정보가 ROM(102)에 격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디폴트 온도 특성 정보(열 활성화에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디폴트 온도 특성 정보로서 사용가능한 정보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를 기초로 한 점착제의 환경 온도, 인가 에너지, 및 발현되는 점착력의 관계, 아크릴 수지의 탄화 온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에, 단계 S105에서, 환경 온도 센서(113)로부터 실제 환경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획득된 환경 온도 정보와 단계 S104에서 획득된 점착제의 온도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되는 최적 에너지를 결정하여, 상기 최적 에너지를 인가하는 조건을 설정한다(단계 S106). 예컨대, 인가 조건 설정 수단은 인가 회수, 펄스 전압의 크기, 및 펄스 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인가 조건은 한번에 열 활성화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영역(1 라인)마다 설정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된 도면 부호(A)로 제어 플로가 이행하여,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설정하여 전압 펄스가 인가됨으로써 열 활성화를 수행한다. 단계 S107에서, 라인이 동일 레벨의 점착력(강한 점착력 또는 약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지를 판정한다.
라인이 상이한 레벨의 점착력을 발현하는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108로 이행하여,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 후,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109). 다음, 단계 S102로 획득된 열 활성화 패턴으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도트 영역을 판독하여, 대응하는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다. 제2 전압 펄스를 상기 설정된 발열 소자들에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111).
라인이 동일 레벨의 점착력을 발현하는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112로 이행하여, 전부 1라인이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지를 판정한다. 강한 점착력이 발현된다고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113으로 이행하여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 후,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하고(단계 S114), 이어서 제2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115).
단계 S112에서, 전체 라인이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지 않는 것으로(약한 점착력을 발현)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116으로 이행하여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 후, 제1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117).
1 라인의 열 활성화가 종료한 뒤, 단계 S118에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전체 면이 열 활성화되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열 활성화가 종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에너지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열 활성화가 종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107로 이행하여 다음 라인 영역의 열 활성화를 시작한다. 라인의 열 활성화의 각 종료시, 열 활성화 장치의 반송 수단은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을 반송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에 인가되는 최적의 에너지를 보증하여, 소망 레벨의 점착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인가 조건(전압 펄스의 크기, 펄스 폭 등) 및 통전되는 발열 소자를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 패턴으로 열 활성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인가 조건 및 발열 소자(들)의 통전은 1 라인 열 활성화 처리마다 설정될 수도 있고, 1 라인 열 활성화마다 환경 온도 정보를 취득하여 재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전압 펄스(에너지 E3) 및 제4 전압 펄스(에너지 E4)의 인가에 의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을 열 활성화시키는 경우의 에너지 제어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에너지 제어 처리는, 발열 소자의 설정 및 전압 펄스의 인가 처리에서만 도 4에 대응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에너지 제어와는 다르다. 즉, 인가 조건의 설정(도 6의 단계 S101∼단계 S106)까지의 제어 플로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에너지 제어 플로의 일부를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도 6의 부호(A)에 계속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우선, 단계 S207에서, 라인 영역이 동일한 레벨의 점착력(강한 또는 약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지를 판정한다.
라인 영역이 상이한 레벨의 점착력을 발현하는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208로 이행하여, 단계 S102에서 획득된 열 활성화 패턴으로부터 약한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도트 영역을 판독하는 반면, 대응하는 발열 소자들이 통전되도록 설정되어 제3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209). 이 후, 단계 S102에서 획득된 열 활성화 패턴으로부터 강한 점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한 도트 영역을 판독하여, 대응하는 발열 소자들(단계 S208에서 설정된 것 이외의 다른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행한다(단계 S210). 제4 전압 펄스가 열 활성화를 위하여 대응하는 발열 소자들에 인가된다(단계 S211).
반면, 라인 영역이 동일 레벨의 점착력을 발현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제어 플로는 단계 S212로 이행하여, 전체 1 라인이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강한 점착력이 발현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213으로 이행하여 모든 발열 소자들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 후, 제4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214).
단계 S212에서 전체 라인이 강한 점착력을 발현하지 않은(약한 점착력을 발현)것으로 판정한 경우는, 제어 플로는 단계 S215로 이행하여 모든 발열 소자에 대하여 통전 설정을 한 후, 제3 전압 펄스를 인가하여 열 활성화를 행한다(단계 S216).
1 라인의 열 활성화의 완료후, 제어 플로는 단계 S217로 이행하여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전체 면이 열 활성화되는 지가 판정된다. 열 활성화가 종료된다고 판정된 경우는, 에너지 제어 처리가 종료된다. 열 활성화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제어 플로는 단계 S207로 이행하여 다음 라인 영역의 열 활성화가 시작된다.
본 발명자에 의하여 달성된 본 발명이 그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열 활성화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패턴 외의 다른 다양한 패턴에 따른 열 활성화 처리를 할 수 있다. 예컨대, 강한 점착력을 가지는 도트 영역과 약한 점착력을 가지는 도트 영역이 서로 교대하고 있거나, 강한 점착력을 가지는 부분과 약한 점착력을 가지는 부분이 동심원형 또는 서로 교대하는 동심원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패턴을 고려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는, 환경 온도 센서(113)로부터 실제 환경 온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환경 온도 정보와 사용되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점착제의 온도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인가되는 최적 에너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 에너지를 인가하는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정을 가진다. 그러나, 환경 온도가 지지재의 온도와 동일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지지재가 예컨대, 냉동품인 경우, 지지재는 0℃ 이하의 온도를 가진다. 지지재가 가열품인 경우는, 지지재는 고온이 된다. 이는 환경 온도 센서(113)로 측정된 온도(열 활성화 장치가 설치된 환경의 온도, 통상 실온)로부터 상당한 차이를 유발한다. 이 경우, 지지재의 온도는 조작부(104)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미리 입력되어, 환경 온도로서 설정하는 것으로, 이것을 기초로 최적 에너지가 결정되어 인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접근법으로서,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의 전면(또는 이면)에 감열성 점착제의 종류나 상기 감열성 점착제를 열 활성화시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 레벨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를 부착할 수도 있다. 바코드 판독 센서(bar code reader)는 감열성 자기 점착 라벨(60)에 부착된 바 코드를 판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점착제의 온도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도 6의 단계 S104∼S106).
상기 실시예는, 예컨대 본 발명이 서멀 프린터 같은 서멀 프린트 시스템의 프린터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열 전사 시스템, 잉크 젯 프린트 시스템, 및 레이저 프린트 시스템의 프린터 어셈블리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서, 각 프린트 시스템용으로 적절하게 처리되는 인쇄가능면을 가지는 라벨이 서멀 프린트층의 인쇄가능면을 가지는 라벨 대신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 활성화 장치는 일측 상에 인쇄 가능면과 타측 상에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지는 시트 형상 기판을 포함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상기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가열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가능한 발열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서멀 헤드와, 1회 이상의 전압 펄스를 통전을 위하여 복수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하여,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해 한번에 열 활성화 가능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영역을 열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제어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고, 복수 회수의 전압 펄스가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되어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전압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전압 펄스에 의하여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열 활성화 장치는 발현되는 점착력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임의의 패턴으로 점착력을 발현시키는 방식으로 열 활성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인접하는 도트 영역으로부터 상이한 점착력의 정도를 발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 능력은 시트의 사용에 따라 시트의 점착력 또는 점착 패턴이 자유롭게 제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6)

  1. 일측 상에 인쇄 가능면과 타측 상에 감열성 점착제층을 가지는 시트 형상 기판을 포함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상기 감열성 점착제층을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가열 수단으로서 작용하고, 개별적으로 통전 제어가능한 발열 소자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서멀 헤드; 및
    1회 이상의 전압 펄스를 통전을 위하여 복수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하여,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해 한번에 열 활성화 가능한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의 영역을 열 활성화시키는 에너지 제어 수단을 적어도 구비하고,
    복수 회수의 전압 펄스가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들에 인가되어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는 경우에,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전압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전압 펄스에 의하여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한번에 상기 서멀 헤드에 의하여 열 활성화 가능한 영역의 임의의 도트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여기에 제1 에너지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보다 높은 제2 에너지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제어 수단은,
    인가되는 전압 펄스의 크기, 펄스 폭, 또는 인가 회수를 임의로 설정하는 인가 조건 설정 수단; 및
    전압 펄스가 인가될 때 마다 통전되는 발열 소자(들)를 선택할 수 있는 발열 소자 설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를 열 활성화시키기 위한 열 활성화 패턴에 관한 정보를 격납하는 기억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가 조건 설정 수단 및 상기 발열 소자 설정 수단은 각각 상기 열 활성화 패턴에 기초하여 인가 조건 및 통전되는 발열 소자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활성화 가열 수단에 의하여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가 열 활성화되는 장소의 부근의 온도를 측정하는 환경 온도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가 조건 설정 수단은 상기 환경 온도 측정 수단에 의한 온도에 기초하여 인가 조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6. 제 1 항에 따른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와, 상기 감열성 자기 점착 시트 상에 인쇄하기 위한 인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열 활성화 장치와 상기 인쇄 수단은 동일한 제어 유닛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어셈블리.
KR1020030045305A 2002-07-17 2003-07-04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어셈블리 KR10092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08556 2002-07-17
JP2002208556A JP4201246B2 (ja) 2002-07-17 2002-07-17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077A true KR20040008077A (ko) 2004-01-28
KR100929752B1 KR100929752B1 (ko) 2009-12-03

Family

ID=29774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5305A KR100929752B1 (ko) 2002-07-17 2003-07-04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75955B2 (ko)
EP (1) EP1382456B1 (ko)
JP (1) JP4201246B2 (ko)
KR (1) KR100929752B1 (ko)
DE (1) DE603082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1944B2 (en) * 2004-04-20 2006-05-30 Premark Feg L.L.C. Scale and related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promotion offer labels using label stock with heat activated adhesive
US7104713B2 (en) * 2004-10-14 2006-09-12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for a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JP4563163B2 (ja) * 2004-12-13 2010-10-1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方法および装置と該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GB0520305D0 (en) * 2005-10-06 2005-11-16 Skanem Uk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packaging
US8764323B2 (en) * 2007-12-31 2014-07-01 Ncr Corporation Heat-activated linerless label
US9352580B2 (en) * 2007-12-31 2016-05-31 Ncr Corporation Printer with adhesive capabilities
JP5135584B2 (ja) * 2008-02-27 2013-02-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ラベル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製造システム
JP5207292B2 (ja) * 2008-04-30 2013-06-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ラベル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製造装置
JP2013043670A (ja) * 2011-08-23 2013-03-04 Seiko Instruments Inc 粘着力発現ユニット、粘着ラベル発行装置及びプリンタ
US20130164069A1 (en) * 2011-12-21 2013-06-27 Ctpg Operating, Llc Printer with a programmable array
JP6009853B2 (ja) * 2012-07-30 2016-10-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粘着力発現ユニット、粘着ラベル発行装置、及びプリンタ
EP3356144B1 (en) 2015-10-02 2020-12-23 Assa Abloy Ab Card substrate laminating device and method
US20220063294A1 (en) * 2020-08-31 2022-03-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Liner-less label printer system and method
CN112589914B (zh) * 2020-12-18 2022-11-15 昆明和裕胶粘制品有限公司 环保无分解耐高温不干胶的标签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1249D0 (en) * 1992-05-27 1992-07-08 Ceetak Developments Limited Heating control means
JP3623084B2 (ja) 1996-10-18 2005-02-23 株式会社リコー 感熱性粘着ラベルの熱活性化方法及び感熱性粘着ラベルの貼り付け方法
JPH1178098A (ja) * 1997-09-01 1999-03-23 Brother Ind Ltd 感熱記録装置
JP3365307B2 (ja) * 1998-04-30 2003-01-08 株式会社寺岡精工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
JP3782895B2 (ja) 1998-07-27 2006-06-07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カード処理装置
ES2269067T3 (es) * 1999-04-22 2007-04-01 Ricoh Company, Ltd. Activar y grabar mediante calor una etiqueta adhesiva termosensible.
US6828017B2 (en) * 2000-09-29 2004-12-07 Ricoh Company, Ltd. Heat-sensitive adhes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same and method of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08277T2 (de) 2007-09-20
EP1382456A1 (en) 2004-01-21
EP1382456B1 (en) 2006-09-13
DE60308277D1 (de) 2006-10-26
US6875955B2 (en) 2005-04-05
US20040045953A1 (en) 2004-03-11
JP4201246B2 (ja) 2008-12-24
JP2004053756A (ja) 2004-02-19
KR100929752B1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752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어셈블리
KR101081664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프린터
KR100929754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프린터
JP2007008509A (ja)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及び台紙レスラベル用紙の切断方法
JP4497800B2 (ja) 感熱性粘着シートの熱活性化装置およびプリンタ装置
US5383731A (en) Printing device having a print media detector
KR100929751B1 (ko) 감열성 점착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를 가지는 서멀 프린터
JP3365307B2 (ja) 台紙レスラベルプリンタ
KR20040030200A (ko) 감열성 자기 접착성 시트용 열 활성화 장치 및 이를사용한 프린터
US8269808B2 (en) Printer
EP1669295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rmally activating heat-sensitive adhesive sheet
JP2005001151A (ja) プリンタ装置
JP2004202894A (ja) Rfidラベル作成機
JP4499231B2 (ja) ラベル発行装置
JP4755899B2 (ja) Rfidラベル発行装置
JP4346918B2 (ja) 台紙なしラベルの印字方法
JPH05139055A (ja) 感熱記録媒体と感熱記録方法
JP2006007733A (ja) 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