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7325A -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7325A
KR20040007325A KR1020030047131A KR20030047131A KR20040007325A KR 20040007325 A KR20040007325 A KR 20040007325A KR 1020030047131 A KR1020030047131 A KR 1020030047131A KR 20030047131 A KR20030047131 A KR 20030047131A KR 20040007325 A KR20040007325 A KR 2004000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rotor
magnet
coil
po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483B1 (ko
Inventor
미야와키마코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8More than two members
    • G03B9/22More than two members each moving in one direction to open and then in opposite direction to close,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02K21/145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having an annular armature c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axially facing the armatures, e.g. hub-type cycle dynam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6/00Machines adapted to function as torque motors, i.e. to exert a torque when stall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구동장치는, 링 형상의 회전자와,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연장하는 코일과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자는, 원주의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가진다. 상기 제 1자극부는,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면과 대면한다. 제 2자극부는, 제 2자극부와 제 1자극부 사이에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자석부의 또 다른 면에 대면한다. 상기 코일은,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한다. -0.333X+0.7>Y(식중, Y는,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제 1자극부의 중심각의 비이고, X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의 비임)의 조건을 만족한다.

Description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LIGHT-AMOUNT REGULATING APPARATUS, AND LENS DRIVING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설치된 셔터 디바이스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동장치와 광량조절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촬상 디바이스로서의 CCD 등을 이용함으로써 시야상을 광전변환하여 기록매체에 정지화상의 정보로서 기록하는 디지털 카메라는 한층 더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노광동작의 일례를 하기 설명한다.
촬영하기에 앞서 주전원을 초기에 투입시켜, 촬상 디바이스를 동작상태가 되게 하고, 따라서 촬상 디바이스가 노광 가능한 개방 위치에서 셔터 블레이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촬상 디바이스에 의해 전하의 축적, 방출 및 전송이 반복되고, 화상 모니터에 의해 피사계의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릴리즈 버튼을 압하할 때, 그 시점에서 촬상 디바이스의 출력에 대응하여 조리개값과 노광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노광장치의 직경을 협소하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조리개 블레이드가 구동되어 소정의 조리개값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전하축적의 개시명령이 축적된 전하를 방출하는 촬상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동시에, 노광시간을 제어하는 회로는 트리거신호로서 상기 개시명령을 수신할 때 동작하기 시작한다. 소정의 노광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셔터 블레이드는 촬상 디바이스의 노광을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로 구동된다. 상기 촬상 디바이스의 노광을 차단할 때, 축적된 전하는 전송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화상기록장치에 의해 영상정보가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전하를 전송하는 동안 촬상 디바이스의 노광을 차단하여, 전송시간동안 소망하지 않는 광에 기인한 전하의 변화를 방지한다.
도 15는, 소형의 조리개장치 또는 셔터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장치에서, 조리개 블레이드 또는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광로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조리개 장치와 셔터 장치의 외경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5에서, (101)은, 외부면 부분이 N과 S자극으로 교대로 자화된 원통형 회전자를 나타낸다. (102a),(102b)는, 상기 회전자를 샌드위치하는 회전자의 축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된 코일을 나타낸다. (103a),(103b)는, 자성재료로 형성된 고정자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자(103a)는, 코일(102a)에 의해 자기적으로 여자되고, 상기 고정자(103b)는, 코일(102b)에 의해 자기적으로 여자된다. 각각의 고정자(103a),(103b)는, 외부 실린더와 내부 실린더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실린더는, 축방향에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부 자극부를 가지고, 상기 외부 자극부는, 회전자(101)의 외부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 실린더는, 축방향에서 평판 형상으로 연장되는 내부 자극부를 가지고, 상기 내부 자극부는, 회전자(101)의 내부면에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104a),(104b)는, 각각 상기 고정자(103a),(103b)의 내부 실린더에 고정된 보조 고정자를 나타낸다. (105)는, 비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소정의 위상 시프트에 의해 상기 고정자(103a),(103b)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링을 나타낸다. 상기 코일(102a),(102b)에 전력을 공급할 때, 고정자(103a),(103b)와 보조 고정자(104a),(104b)의 외부 자극부는 여자되고, 상기 회전자(101)는 소정의 위치에 이르러서 회전한다. (106)은, 회전자(101)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상기고정자(101)와 함께 회전하는 출력링을 나타낸다. (107)은, 상기 출력링(106) 위에 핀과 맞물리는 홈이 형성된 판을 나타낸다. 상기 홈은, 출력링(106)의 회전범위를 규제한다. (108a),(108b)는, 각각 출력링(106)의 핀과 맞물리는 셔터 블레이드를 나타내고, 그 개방조건은 회전자(101)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변경된다.
도 16은, 내부 중공을 형성함이 없이 모터의 외경이 상당하게 감소되는 다른 종래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 (201)은, 부분(201a),(201b)이 N과 S자극으로 자화되는 원통형 회전자(201)를 나타낸다. (201c)는, 회전자(20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암(arm)을 나타낸다. 구동핀(201d)은, 상기 회전자(201)의 회전축 방향으로 상기 암(201c)으로부터 연장된다. (202)는, 상기 회전자(201)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코일을 나타낸다. (203)은, 연자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코일(202)에 의해 여기된 고정자를 나타낸다. 상기 고정자(203)는, 상기 회전자(201)의 외부면과 대면하는 외부 자극부(203a)와, 상기 회전자(201)에 삽입된 내부 실린더와를 가진다. (204)는, 고정자(203)의 내부 실린더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자(201)의 내부면에 대면하는 보조 고정자를 나타낸다. 상기 코일(202)에 전력을 공급할 때, 외부 자극부(203a)와 보조 고정자(204)가 여자되고, 상기 회전자(201)는 소정의 위치에 이르러서 회전한다. (207),(208)은, 셔터 블레이드를 나타내고, (205)는 판을 나타낸다. 상기 셔터 블레이드(207),(208)는, 판(205)의 핀(205b),(205c)이 각각 삽입된 홀 부분(207a),(208a)의 부근에서 각각 회전한다. 구동핀(201d)은, 긴 홀(207b),(208b)과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206)은, 상기 회전자(201)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긴 홀(207b),(208b)의 단부에 대해 구동핀(201d)이 압하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을 나타낸다. 상기 코일(202)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206)의 탄성력에 대하여 회전자(201)와 함께 구동핀(201d)이 회전하면, 셔터 블레이드(207),(208)가 홀 부분(207a),(208a)의 부근에 각각 회전한다. 따라서, 판(205)의 개구부(205a)가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코일(20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비틀림 스트링(206)의 탄성력은 셔터 블레이드(207),(208)가 개구부(205a)를 폐쇄할 때의 상태로 되게 한다. 코일(202)에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202)는 비틀림 스프링(206)의 탄성력에 대하여 회전한다. 셔터 블레이드(207),(208)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는, 전류가 증가한 크기만큼 확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1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광량조절장치를 예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블레이드 부재가 폐쇄될 때의 조건을 예시한 도 2의 단면도(C-C).
도 4는, 블레이드 부재가 개방될 때의 조건을 예시한 도 2의 단면도(C-C).
도 5는, 자석의 회전부와 코깅토크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자석의 크기, 자석에서의 자극의 중심각 및 고정자에서의 자극부의 중심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7의 모터 모델의 구조를 도시한 테이블.
도 8은, 코깅토크, 통전토크 및 회전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코깅토크, 통전토크 및 회전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코깅토크, 통전토크 및 회전위상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실험적인 모터모델의 자석의 크기, 상기 자석에서의 자화부의 중심각 및 상기 모터모델의 고정자에서의 자극부의 중심각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2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3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구동장치의 제 4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셔터 블레이드 구동장치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다른 종래의 셔터 블레이드 구동장치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석 1a,1b,1c,1d : 자화부
1h,1i : 구동핀 2 : 코일
2a : 보빈 3 : 제 1고정자
3i : 원통형 결합부 3a,3b,3c,3d,3e,3f,3g,3h : 제 1자극부
4 : 제 2고정자 4a,4b,4c,4d,4e,4f,4g,4h : 제 2자극부
5 : 판 5a,6a : 개구부
5b,5c,5f,5g : 핀 6 : 정면판
7,8,9,10 : 블레이드 부재 5d,5e,7b,8b,9b,10b,13b,20b : 긴 홀
13 : 필터판 7a,8a,9a,10a,13a,32a,32b : 원형 홀
13c : ND필터 20 : 조리개판
20c : 조리개부 31 : 경통부재
32 : 렌즈유지부재 33 : 렌즈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원주의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가진 링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면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또 다른 면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와를 포함하는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장치에서, -0.333X+0.7>Y(식중, Y는,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제 1자극부의 중심각의 비이고, X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의 비임)의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구조에서,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이 없이 코깅토크에 기인하여 2개의 회전 위치의 각각에서 회전자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 개구부를 가지는 판 및 광량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개구부를 통과한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구동장치, 렌즈 및 렌즈유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조에서, 통전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 렌즈가 구동될 수 있고, 상기 회전자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광선의 초점길이는, 공급된 전류의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설명 이외의 기타 목적과 이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종래기술의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된다. 상세 설명에서는, 그의 일부를 구성하고 또한 본 발명의 일례를 예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그러나, 그러한 예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철저하게 규명하지 못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상세 설명 다음의 청구항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광량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블레이드 부재가 폐쇄될 때의 조건을 예시한 도 2의 단면도(C-C)이며, 도 4는, 블레이드 부재가 개방될 때의 조건을 예시한 도 2의 단면도(C-C)이다. 도 3과 도 4에서, 보빈과 코일은 도시하지 않고, 자석(1)(후술함) 위에 형성된 구동핀(1h) 근처의 부분은 연장하는 방식으로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 (1)은, 중공 원형판의 형상으로 링 형상의 자석을 나타낸다. 자석(1)은 플라스틱 자성재료로 구성되고, 링의 중심 위치의 축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자로서 작용한다. 그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1)의 양측의 대향면은, 각각 원주의 방향을 따라 16개의 N과 S자극으로 교대로 자화된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화부(1a),(1c)는 N극으로 자화되는 반면에, 자화부(1b),(1d)는 S극으로 자화된다. 그 이면의 부분은, 반대 자극으로 각각 자화된다. (2)는, 링 형상의 코일을 나타낸다. 코일(2)은, 자석(1)의 외주측 및 그 위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코일(2)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재료로 형성된 보빈(2a)에 감겨진 전도성 도선을 포함한다. 회전축의 방향으로의 보빈(2a)의 두께는, 자석(1)보다 약간 두껍게 설정된다. 광량조절장치의 구동장치는 1개의 위상 구동의 방법을 채용하므로, 1개의 코일이면 충분하다.
(3)은, 연자성 재료로 형성된 제 1고정자를 나타낸다. 상기 제 1고정자(3)는, 사이에 공간을 두고 45도의 등각형상으로 형성된 8개의 제 1자극부(3a),(3b),(3c),(3d),(3e),(3f),(3g),(3h)를 포함한다. 즉, 자석(1)에서의 자극의 수가 NA인 경우, 제 1자극부의 NA/2수는 그 사이에 720/NA각의 각공간을 가지고 형성된다.
(4)는, 연자성 재료로 형성된 제 2고정자를 나타낸다. 상기 제 2고정자(4)는, 사이에 공간을 두고 45도의 등각형상으로 형성된 8개의 제 2자극부(4a),(4b),(4c),(4d),(4e),(4f),(4g),(4h)를 포함한다. 즉, 자석(1)에서의 자극의 수가 NA인 경우, 제 2자극부의 NA/2수는 그 사이에 720/NA각의 각공간을 가지고 또한 형성된다.
원통형 결합부(3i)는, 상기 제 1고정자(3)의 외주부 위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i)는,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가 서로 결합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결합부(3i) 이외의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의 부분은, 각각 평판에 의해 형성된다.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어 형상의 자극부 (3a) 내지 (3h)와 (4a) 내지 (4h)는, 평판에 절결부를 설치함으로써 각각 형성된다. 코일(2)과 자석(1)은, 결합된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에 배치된다. 제 1고정자(3)와 자석(1)의 한쪽면과, 제 2고정자(4)와 자석(1)의 다른쪽면은, 각각 그 사이의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서로 대향한다.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 1자극부 (3a) 내지 (3h)는 모두 동일한 자극으로 자화되는 반면에, 제 2자극부 (4a) 내지 (4h)는 모두 제 1자극부 (3a) 내지 (3h)와 반대되는 자극으로 자화된다.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는, 공통 위상을 가지고 결합되어, 제 1자극부 (3a) 내지 (3h)는, 제 2자극부 (4a) 내지 (4h)에 각각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결합부(3i)에 의해 결합된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 및 코일(2)은 자기회로를 구성한다. 기타 고정자는 자극부만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 중의 하나는, 절결부없이 평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바로 설명한 구조보다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 양쪽에 자극부를 가진 구조에서, 회전토크가 더욱 크다.
(11)은, 자석(1)의 내주부에 고정된 베어링 링을 나타낸다. (12)는,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간에 고정된 베어링을 나타낸다. 자석(1)과 제 1고정자(3)간에 또한 자석(1)과 제 2고정자(4)간에 각각 소정의 공간이 생성될 수 있어서, 상기 베어링 링(11)은, 상기 베어링(12)의 외주면과 맞물리고, 자석(1)이 연속하여 위치되는 면에 슬라이드된다.
(5)는, 광량조절장치의 판(5)을 나타낸다. 광로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5a)는, 상기 판(5)의 중심부에 형성된다. 제 1고정자(3)는 상기 판(5)의 표면에 고정되고, 개구부(6a)를 가진 정면판(6)은 상기 판(5)의 다른 면에 고정된다. 상기 판(5)과 정면판(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블레이드 부재(7),(8),(9),(10)는 상기 공간에 배치된다.
2개의 구동핀(1h),(1i)은, 제 1고정자(3)과 대면하는 자석(1)의 표면 위에 형성된다. 상기 구동핀(1h),(1i)는, 플라스틱 자성재료 중의 자석(1)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구동핀이 자석에 분리형성된 후 정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구동판(1h),(1i)은 비교적 저비용으로 위치에러가 감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핀(1h),(1i)은, 상기 판(5)에 형성된 아치형의 긴 홀(5d),(5e)에 삽입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긴 홀(5d),(5e)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블레이드 부재(7),(9)의 원형 홀(7a),(9a)은, 상기 판(5)의 상기 핀(5b),(5c)과 각각 맞물리고, 긴 홀(7b),(9b)은, 자석(1)의 구동핀(1h)과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또한, 블레이드 부재(8),(10)의 원형 홀(8a),(10a)은, 상기 판(5)의 상기 핀(5f),(5g)과 회전가능하게 각각 맞물리고, 긴 홀(8b),(10b)은, 자석(1)의 구동핀(1i)과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자석(1)이 회전하면, 블레이드 부재(7),(9)는 각각 구동핀(1h)에 의해 압하되고, 상기 핀(5b),(5c)과 맞물린 상태에서 원형 홀(7a),(9a)의 부근에서 회전한다. 또한, 블레이드 부재(8),(10)는 각각 구동핀(1i)에 의해 압하되고, 상기 핀(5f),(5g)과 맞물린 상태에서 원형 홀(8a),(10a)의 부근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부재(7),(8),(9),(10)에 의해 형성된 개구부의 사이즈는 다양하게 되어, 상기 판(5)의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블레이드 부재(7),(8),(9),(10)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자석(1)보다 약간 두꺼운 보빈(2a)의 두께와, 제 1고정자(3)와 제 2고정자(4)의 두께와의 합으로만 된다. 따라서, 상당히 박형인 구동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 중의 하나로부터 흐르는 대부분의 자속은, 한쪽의 자극부에 대향하게 배치된 다른쪽 자극부로 흐른다. 따라서, 상기 자속은 상기 자극부 사이에 배치된 자석(1)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큰 회전토크를 얻을 수 있다.
자석(1)의 회전위치를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단면도(C-C)이다. 도 3은,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가 폐쇄될 때(최소 개구직경)의 자석(1)의 회전도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가 판(5)의 개구부(5a)로부터 후퇴될 때(최대 개구직경)의 자석(1)의 회전도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의 상태에서, 코일(2)에 소정의 방향으로의 전류가 공급되어, 제 1고정자의 제 1자극부와 제 2고정자의 제 2자극부가 각각 S극과 N극으로 자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자석(1)의 이면의 N극의 중심부(도 3과 도 4에서, 자석(1)의 이면은 제 1자극부와 대면함)는 제 1자극부의 중심부와 대면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석(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핀이 긴 홀(5d)의 측벽과 접하고 있는 도 4에 예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코일(2)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자석(1)은 상기 회전위치에 유지된다.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어,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가 각각 N극과 S극으로 자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자석(1)의 이면의 S극의 중심부는 제 1자극부의 중심부와 대면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자석(1)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핀이 긴 홀(5d)의 다른 측벽과 접하고 있는 도 3에 예시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여기서, 코일(2)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자석(1)은 상기 회전위치에 유지된다.
도 5는, 코일(2)과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간에 작용하는 코깅토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좌표는, 자석(1)과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간에 발생한 자력(인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횡좌표는, 자석(1)의 회전위상을 나타낸다.
자석(1)이 E1(E2)점으로 표시된 회전위치에 있으면, 상기 자석(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코깅토크는, 자석(1)이 외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자석(1)에 작용한다. 상기 자석(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코깅토크는, 자석(1)이 외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자석(1)에 작용한다. 따라서, 자석(1)은 E1(E2)점을 향하여 복귀된다. 그 결과, 자석(1)이 E1점 또는 E2점으로 표시된 위치에 있으면,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코깅토크에 의해 자석(1)은 상기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F1점, F2점 또는 F3점으로 표시된 회전위치는, 코깅토크의 작용방향이 그러한 경계점에서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는 E1점 또는 E2점과 마찬가지이지만, 코깅토크의 작용방향은, E1점 또는 E2점과 반대이다. 따라서, 자석(1)의 회전위치가 F1점, F2점 및 F3점과 일치하는 한 상기 자석(1)은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진동과 장치의 위치에서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 회전위치가 F1점, F2점 또는 F3점으로부터 일탈하는 경우, 코깅토크는 자석(1)에 작용하여 F1점, F2점 또는 F3점에 가장 근접한 E1점과 E2점 중의 하나에 이르러서 회전시킨다. 따라서, 장치를 실제로 사용할 때 진동과 같은 환경을 고려하여, 코깅토크에 의해 F1점, F2점 또는 F3점에서 자석(1)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E1점과 E2점으로 표시된 위치 등의 회전위치는, 자석(1)이 코깅토크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때 360/NA의 간격으로 존재한다(여기서, NA는 자석의 자극의 수임). 안정적인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는, F1점, F2점 및 F3점 등의 불안정한 위치이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 시뮬레이션의 결과로부터, 자석(1)의 사이즈와, 자석(1)에서 각각의 자극의 각도(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각인 도 3에 예시한 B부분) 및 자석(1)에 대향하는 제 1자극부의 대향각도(제 1자극부와 회전자의 회전중심부에 의해 형성된 아치형의 중심각인 도 3에 예시한 A부분)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코일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에 제 1자극부와 자석(1)간의 인력의 상태가 변화한다는 것이 명백하게 된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안정적인 E1점과 E2점의 위치는, 자석의 사이즈와 자석에서 자화부의 중심각 및 제 1자극부의 중심각에 따라서 변화한다. 즉, 상기 변화에 따라서,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자화부의 중심에 대면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와, 자석(1)에서 자화부 사이의 경계가 제 1자화부의 중심에 대면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경우에서 개별적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횡자표는,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회전축의 방향으로의 두께)의 비를 나타내고, 종좌표는,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대면한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의 비(즉, 자석의 각각의 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자극부의 중심각의 비)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자석의 외경이 18mm이고, 두께는 0.05mm이고, 자석의 자극의 수는 16개인 경우,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는 18×π/16이고, 따라서 자석에서의 각각의 극의 외주 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의 비의 횡좌표의 값은, 0.141이 된다. 또한, 각각의 자극부의 중심각이 13.5°인 경우, 자석에서의 각각의 극의 중심각이 22.5°이므로, 자석에서의 각각의 극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대면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의 비의 종좌표의 값은, 0.600이 된다.
도 6에서, 구획점은, 최소의 코깅토크를 가지는 모델에서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대면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의 비를 가리킨다.
도 6에서, 횡좌표 X는,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에 대한 자석의 두께의 비를 나타내고, 종좌표 Y는, 자석의 각각의 자극의 각도에 대한 자석을 대면하는 각각의 자극부의 대향각의 비를 나타내고, 상기 점은, 대략 Y=-0.333X+0.7로 규정되는 선(1)과 대략 Y=-0.333X+0.9로 규정되는 선(2)으로 둘러싸는 영역 내에 있다.
도 6에서, 선(1) 아래의 영역(즉, Y<-0.333X+0.7의 영역)에서, 자석의 극의 중심이 자극부의 중심을 대면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선(2) 위의 영역(즉, Y>-0.333X+0.9의 영역)에서, 자석의 극 사이의 경계가 자극부의 중심과 대면하는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선(1)과 선(2)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서(즉, -0.333X+0.7<Y<-0.333X+0.9의 조건을 만족할 때), 코깅토크는 가장 작아지고, 따라서 자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E1점과 E2점은 명백하게 사라진다.
실험결과는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고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도 5와 마찬가지로, 종좌표는, 자석(1)과 제 1고정자(3) 및 제 2고정자(4)간에 발생한 자력(인력)의 크기를 나타내고, 횡좌표는, 자석(1)의 회전위상을 나타낸다.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지 않을 때의 코깅토크와, 3V의 전압이 코일(2)의 단자를 통하여 인가될 때 발생하는 통전 토크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터 모델에서, 자석의 외경은 16mm이고, 자석의 내경은 14mm이고, 자석의 자극의 수는 40개이고, 코일의 권수는 105회이고, 저항은 1065Ω이며, 고정자의 외경은 19.1mm이다.
도 8에서, 자극부의 중심각(도 3에서 A가 가리킴)은 4.5°이고, X=0.455, Y=0.50이다. 도 9에서, 자극부의 중심각은 5.63°이고, X=0.455, Y=0.625이다.도 10에서, 자극부의 중심각은 7.2°이고, X=0.455, Y=0.80이다.
선(1)과 선(2)을 예시하고 있는 도 11에서, 도 8, 도 9 및 도 10의 구조는 각각 A, B 및 C가 가리킨다.
도 8에 도시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장치(즉, 자극부의 중심각(A)이 4.5°인 장치)에서는, X=0.455, Y=0.50이다. 따라서, Y<-0.333X+0.7의 조건을 만족하고, 자석의 안정적인 위치는 자화부의 극중심이 자극부의 중심과 대면하는 위치이다.
도 9에 도시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장치(즉, 자극부의 중심각(A)이 5.63°인 장치)에서는, X=0.455, Y=0.50이다. 따라서, -0.333X+0.7<Y<-0.333X+0.9의 조건을 만족하고, 코깅토크는 매우 작다.
도 10에 도시된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장치(즉, 자극부의 중심각(A)이 7.2°인 장치)에서는, X=0.455, Y=0.80이다. 따라서, Y>-0.333X+0.9의 조건을 만족하고, 자석의 안정적인 위치는 자화부의 극 사이의 경계가 자극부의 중심과 대면하는 부분이다.
상기 언급한 제 1실시예에서, 구동장치의 사이즈는, Y>-0.333X+0.7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코일(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은 경우, E1점과 E2점은,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의 중심 위치와 대면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상기 자석(1)은,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상기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나,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의 중심 위치와 완전하게 대면하는 경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의 동등한 토크가 자석(1)에 작용하므로, 코일(2)에 공급된 전류의 방향이 전환될 때에도 자석(1)은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의 중심 위치와 완전하게 대면될 수 없도록, 구동핀(1h(1i))과 맞물린 상태에서 자석(1)의 회전범위가 긴 홀(5d(5e))에 의해 제한된다.
자석(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고정자의 자극부(3a)의 중심(R1)과 대면하는 위치 전방의 α°위치에서 구동핀(1h)이 긴 홀(5d)의 측벽과 접한다. 따라서, 자석(1)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자석(1)의 회전위치는 도 5에 예시한 G점이고, 코깅토크에 의한 자석(1)의 유지토크(반시계 방향으로 자석(1)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 즉, 도 5에 예시한 E1점으로 자석(1)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는 T1이다. 이 상태에서, 제 1자극부(3a)와 상기 제 1자극부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는 각각 S극과 N극으로 자화되고, 자석(1)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자석(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제 1고정자의 자극부(3b)의 중심(R2)과 대면하는 위치 전방의 β°위치에서 구동핀(1h)이 긴 홀(5d)의 측벽과 접한다. 따라서, 자석(1)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 때, 자석(1)의 회전위치는 도 5에 예시한 H점이고, 코깅토크에 의한 자석(1)의 유지토크(시계 방향으로 자석(1)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 즉, 도 5에 예시한 E2점으로 자석(1)을 회전시키기 위한 토크)는 T2이다. 이 상태에서, 제 1자극부(3a)와 상기 제 1자극부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는 각각 N극과 S극으로 자화되고, 자석(1)은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5에 예시한 안정적인 위치 E1과 E2가 α와 β이 범위 내에 있지 않도록 α와 β를 설정하는 경우, 코일(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코깅토크에 의하여, 자석(1)은 도 3 또는 도 4에 예시한 위치에 항상 유지된다. 자석(1)의 유지위치가 절환되는 경우, 자석(1)은 코깅토크의 방향이 전환되는 F2 후방의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코일(2)에만 전류가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정적인 위치 E1과 E2가 α와 β이 범위 내에 있도록 α와 β를 설정하는 경우, 자석(1)에서 자화부의 중심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의 중심 위치와 완전하게 대면할 수 없다. 따라서, 코일(2)에 공급된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에도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의 동등한 토크가 자석(1)에 작용하므로, 자석(1)은 회전될 수 없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는, 자석(1)과의 연동관계로 회전한다. 자석(1)이 도 3의 상태에 있으면,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는, 판(5)의 개구부(5a) 위에 중첩되지 않는 위치로 오게 된다. 자석(1)이 도 4의 상태에 있으면,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는, 폐쇄되어 판(5)의 개구부(5a)에 중첩되는 위치로 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5a)가 폐쇄된다. 따라서, 코일(2)로의 통전을 전환함으로써,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는, 선택적으로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코일(2)로의 통전이 개방과 폐쇄 상태에서 중단되는 경우에도,자석(1)의 위치는 코깅토크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진동 등의 외부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의 위치는 전력을 소비하는 일없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의 셔터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고,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링 형상의 상기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렌즈가 광량조절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2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기호에 의해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실시예는,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의 위치가 개방 위치(최대 개구경)와 폐쇄 위치(최소 개구경)간에 제어될 수 있는 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인 반면에, 제 2실시예는, 촬상 디바이스에 입사하는 광량이 피사계의 휘도에 따라서 조절되는 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2실시예의 광량조절장치에서, ND(중립 밀도) 필터판은, 자석(1)의 회전과의 연동관계로 구동되고, 개구부(5)를 통과하는 광량은, 개구부에 입사하는 광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된다.
(13)은, 광량조절부재인 ND필터판을 나타낸다. 필터판(13)의 원형 홀(13a)은, 판(5)의 핀(5b)과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긴 홀(13b)은 자석(1)의 구동핀(1h)과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제 1실시예의 블레이드 부재 (7) 내지 (10)와 마찬가지로, 자석(1)이 회전하면, ND필터판(13)이 구동핀(1h)에 의해 압하되고, 핀(5b)과 맞물리는 원형 홀(13a)의 부근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ND필터(13c)가 판(5)의 개구부(5a)의 전면에 오게 할 때의 상태와, ND필터(13c)가 판(5)의 개구부(5a)로부터 후퇴될 때의 상태간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코일(2)로의 통전이 중단된 경우에도, 개구부(5a)에 중첩되고 후퇴된 ND필터(13c)의 상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광량조절장치의 제 3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기호에 의해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3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5a)보다 작은 개구부를 가지는 이동가능 조리개판을 제 2실시예의 ND필터판(13)의 위치에서 이용한다.
도 13에서, (20)은, 차광 특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조리개판을 나타낸다. 조리개판(20)의 원형 홀(20a)은, 판(5)의 핀(5b)과 맞물리고, 긴 홀(20b)은 자석(1)의 구동핀(1h)과 접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자석(1)이 회전하면, 조리개판(20)은, 구동핀(1h)에 의해 압하되고, 상기 핀(5b)과 맞물린 원형 홀(20a) 부근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개구부(5a)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조리개부(20c)가 판(5)의 개구부(5a)의 전면으로 오게 될 때의 상태와, 조리개부(20c)가 판의 개구부(5a)로부터 후퇴될 때의 상태간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5a)를 통과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3실시예에서, 코일(2)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개구부(5a)에 중첩되고 후퇴된 조리개부(20c)의 상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구동장치의 제 4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4에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부분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참조기호에 의해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4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구동장치를 이용함으로써 2개의 조리개 위치간에 렌즈의 위치를 용이하게 절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2개의 조리개 위치는, 무한히 먼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적합한 렌즈 위치와, 짧은 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하기에 적합한 렌즈 위치이다.
(31)은, 원통형 경통부재를 나타낸다. 암 나선부는 내주부 위에 형성되고, 제 1고정자(3)는 경통부재(31)에 고정된다. (32)는, 상기 경통부재(31)의 내부부에 배치된 렌즈를 유지하기 위한 렌즈유지부재를 나타낸다. 숫 나선부는, 외주부 위에 형성되고, 상기 숫 나선부는 경통부재(31)의 암 나선부와 회전가능하게 맞물린다. 원형 홀(32a),(32b)은, 렌즈유지부재(32) 내에 형성되고, 자석(1)의 구동핀(1h),(1i)는, 각각 원형 홀(32a),(32b)와 맞물린다.
자석(2)이 회전하면, 렌즈유지부재(32)는 구동핀(1h),(1i)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렌즈유지부재(32)와 렌즈(33)는, 숫 나선부와 암 나선부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자석(1)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광선의 초점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구동핀(1h),(1i)의 길이는, 렌즈유지부재(32)가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도 맞물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값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제 4실시예에서, 코일(2)로의 통전이 중단된 경우에도, 렌즈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조가 간단하게 될 수 있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1)의 내부와 고정자(3),(4)가 광로로서 이용되므로, 렌즈구동장치는, 렌즈에 반지름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된 경우보다 모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서, 자석의 자극의 수는 16개이지만, 변경된 구조는, 1개의 N극과 1개의 S극을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자극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자극부와 제 2자극부는, 각각 복수의 이를 가지는 기어구성을 이루지만, 변경된 구조는, 자석의 N극과 S극의 2개의 극에 대면하는 적어도 1개의 기어 형상의 자극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장치에 설치된 코일로의 통전이 중단된 경우에도, 자석으로 구성된 회전자는 2개의 소정의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원주의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가진 링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면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또 다른 면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한 코일과;
    를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있어서,
    하기 조건:
    -0.333X+0.7>Y
    (식중, Y는,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제 1자극부의 중심각의 비이고, X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의 비임)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회전자의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의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을 대면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자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2개의 소정의 회전위치간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전자가 유지되는 위치가 절환되면,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대향하게 되는 영역으로 상기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킨 후, 상기 코일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장치.
  4. 원주의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가진 링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출력부재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면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또 다른 면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한 코일과;
    개구부를 가지는 판과;
    상기 출력부재에 의해 구동하고 상기 판의 상기 개구부 위에 이동하고, 또한상기 개구부를 통과하는 광량을 변화시키는 광량조절부재와;
    를 포함하는 광량조절장치에 있어서,
    하기 조건:
    -0.333X+0.7>Y
    (식중, Y는,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제 1자극부의 중심각의 비이고, X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의 비임)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조절장치는, 회전자의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 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의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을 대면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자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2개의 소정의 회전위치간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전자가 유지되는 위치가 절환되면,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대향하게 되는 영역으로 상기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킨 후, 상기 코일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조절장치.
  7. 원주의 방향을 따라 분할되어 상이하게 자화되는 자석부를 가진 링 형상의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축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면에 대면하여 형성된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의 사이에 상기 자석부를 샌드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에 수직인 상기 자석부의 또 다른 면에 대면하는 제 2자극부와;
    상기 제 1자극부와 상기 제 2자극부를 자기적으로 여자하고, 상기 회전자에 대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배치한 코일과;
    상기 회전자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광선이 통과하는 렌즈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렌즈의 광축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유지부재와;
    를 포함하는 렌즈구동장치에 있어서,
    하기 조건:
    -0.333X+0.7>Y
    (식중, Y는,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중심각에 대한 각각의 제 1자극부의 중심각의 비이고, X는, 회전축의 방향으로 상기 자석부의 두께에 대한 상기 자석부에서의 각각의 자극의 외주 길이의 비임)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구동장치는, 회전자의 회전범위가 상기 자석부와상기 제 1자극부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서로 대향하는 영역을 포함하지만 상기 자석부에서의 상기 자극의 중심이 상기 제 1자극부의 중심을 대면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도록, 상기 회전자의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규제부재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2개의 소정의 회전위치간에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회전자가 유지되는 위치가 절환되면, 자력에 기인하여 인력의 방향이 대향하게 되는 영역으로 상기 코일로의 통전에 의해 상기 회전자를 회전시킨 후, 상기 코일로의 통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구동장치.
KR1020030047131A 2002-07-11 2003-07-11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567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2171A JP4164297B2 (ja) 2002-07-11 2002-07-11 駆動装置、光量調節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JP-P-2002-00202171 2002-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325A true KR20040007325A (ko) 2004-01-24
KR100567483B1 KR100567483B1 (ko) 2006-04-03

Family

ID=3011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7131A KR100567483B1 (ko) 2002-07-11 2003-07-11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81772B2 (ko)
JP (1) JP4164297B2 (ko)
KR (1) KR100567483B1 (ko)
CN (1) CN1294687C (ko)
MY (1) MY1290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47B1 (ko) * 2013-06-18 2014-12-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초소형 조리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756B2 (ja) * 2002-07-10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4455407B2 (ja) * 2005-05-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JP4849516B2 (ja) 2005-10-21 2012-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US7513702B2 (en) * 2005-11-16 2009-04-07 Va, Inc. Non-contact shutter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US7787198B1 (en) * 2007-08-31 2010-08-31 Tessera MEMS Technologies, Inc. Lens barrel assembly
US7883280B2 (en) * 2008-03-12 2011-02-08 Va, Inc. Shutter activation system
US8128296B2 (en) * 2009-01-26 2012-03-06 Va, Inc. Shutter assembly
US8313255B2 (en) * 2009-01-26 2012-11-20 Va, Inc. Shutter assembly with drive ring-mounted magnet
US8333521B2 (en) 2010-04-01 2012-12-18 Va, Inc. Shutter assembly with rotating magnet
US10382698B2 (en) * 2015-09-30 2019-08-13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CN106628064A (zh) * 2016-11-25 2017-05-10 蒋沁攸 一种变径游泳圈
US20220291474A1 (en) * 2019-09-13 2022-09-15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WO2021237713A1 (zh) * 2020-05-29 2021-12-0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快门及拍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9424A (en) * 1952-03-24 1954-09-21 Thomas E Clagett Dual-indicia container
US4899145A (en) * 1985-07-03 1990-02-06 Shin Meiwa Industry Co., Ltd. Encoder and method of adjusting magnetic fields of the same
US4932542A (en) * 1989-09-13 1990-06-12 Great Truth Co., Ltd. Beverage container having a dynamic ornament mounted thereto
US5105940A (en) * 1990-05-30 1992-04-21 Great Truth Co., Ltd. Receptacle
US5029700A (en) * 1990-05-30 1991-07-09 Great Truth Co., Ltd. Receptacle and amusement device
US5269717A (en) * 1992-11-12 1993-12-14 Genin Trudeau Dishware having a liquid-filled rim and eating implements
JPH07107720A (ja) * 1993-08-09 1995-04-21 Mitsubishi Materials Corp 円板状のロータ部を有するモータ
US5419436A (en) * 1993-12-27 1995-05-30 Kablooe Products, Inc. Cup with article receiving area on bottom surface
US5684761A (en) * 1996-02-02 1997-11-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winging type power generator
US5803306A (en) * 1997-01-15 1998-09-08 High Point Accessories, Inc. Novelty cup
JP4378039B2 (ja) 2000-07-28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モータ、光量調整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4636658B2 (ja) 2000-08-02 2011-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量調整装置
JP3684184B2 (ja) 2001-09-28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手段を有する光学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247B1 (ko) * 2013-06-18 2014-12-30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초소형 조리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45682A (ja) 2004-02-12
JP4164297B2 (ja) 2008-10-15
KR100567483B1 (ko) 2006-04-03
CN1476148A (zh) 2004-02-18
CN1294687C (zh) 2007-01-10
MY129046A (en) 2007-03-30
US6781772B2 (en) 2004-08-24
US20040008425A1 (en)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9516B2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KR100567483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JP5358823B2 (ja) 回転型アクチュエータ
US6821033B2 (en) Electromagnetic actuator and shutter device for camera
KR100552557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정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KR100552226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JPS62131238A (ja) レンズ鏡筒および絞りシヤツタの駆動装置
KR100494329B1 (ko) 모터 및 촬영장치
JP2007037269A (ja) 駆動装置及び光量調節装置
JPH06324378A (ja) 電磁駆動シャッター装置
KR100512250B1 (ko) 구동장치, 광량조절장치, 및 렌즈구동장치
JP2001350172A (ja) 光量調整装置及びこの光量調整装置を組込んだ光学装置
JP3977178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4204311B2 (ja) 光量調節装置
JP2006171346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撮像装置
JP2005057902A (ja) 駆動装置及び光学装置
JP3573537B2 (ja) カメラの駆動装置用パルスモータ
JPH0157887B2 (ko)
JP4429208B2 (ja) 駆動装置
JPH073389Y2 (ja) レンズシャッタ
JP2005208232A (ja) 駆動装置および光量調節装置
JPS58181028A (ja) 電磁駆動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S60242412A (ja) 撮影レンズ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