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6401A -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6401A
KR20040006401A KR1020020040675A KR20020040675A KR20040006401A KR 20040006401 A KR20040006401 A KR 20040006401A KR 1020020040675 A KR1020020040675 A KR 1020020040675A KR 20020040675 A KR20020040675 A KR 20020040675A KR 20040006401 A KR20040006401 A KR 20040006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retaining wall
synthetic resin
resin coating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찬윤
Original Assignee
(주)레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코기술 filed Critical (주)레코기술
Priority to KR1020020040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6401A/ko
Publication of KR2004000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40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을 적층하여 시공되는 옹벽의 뒷채움토 내부에 보강되어 블록의 거동을 방지하는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옹벽 표면재에 결합되며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부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고 앵커블록에 앵커되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 및 지지부는 합성수지 피복재가 입혀진 것이다.

Description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Reinforcement Bar for Retaining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블록, 판넬 및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뒷채움토 내부에 보강되는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록, 판넬 및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블록 뒷쪽에 채워지는 뒷채움토의 측압으로부터 블록의 거동을 방지하기 위해 뒷채움토 내부에 보강재를 보강하게 된다. 이 때, 보강재로는 메탈 메시(Metallic Mesh)(도1참조), 토목섬유 등이 사용된다. 메탈 메시는 산이나 알카리 등에 약하여 부식이 쉽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토목섬유는 강도가 약하며, 십수년이 지나면 부식이 되므로 옹벽의 구조가 점차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적층되는 블록, 판넬 또는 철근콘크리트재료 등의 옹벽 표면재들이 뒷채움토의 토압으로 인한 거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토사에 장기간 매립된 상태에서도 절연성을 가지며 내식성이 강한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보강재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일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타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강재, 11:절곡부,
12:지지부, 13:앵커부,
14:합성수지 피복재, 20:옹벽 표면재,
30:앵커블록.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재는, 옹벽 표면재에 결합되며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끝부분에서 아래 방향으로 절곡되고 앵커블록에 고착되는 앵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 및 지지부는 합성수지 피복재가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보강재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절곡부와 지지부의 절곡 각도는 직각에 가깝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강재의 제조방법은, 보강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에 보호피막을 입히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를 튜브형의 합성수지 피복재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 안으로 삽입된 보강재를 열로 가열하여 합성수지 피복재가 보강재의 표면에 접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를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일측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의 타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옹벽 구축용 보강재(10)는, 3차원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와, 길이방향의 지지부(12)와, 하부방향으로 절곡되는 앵커부(13) 및 외면에 입혀지는 합성수지 피복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곡부(11)는 옹벽 축조시 옹벽 표면재(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좌측 또는 우측 어느 방향으로 절곡되어도 무방하며, 옹벽 표면재의 형상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도 절곡될 수 있다. 이 때, 절곡부(11)는 지지부(12)로부터 직각에 가깝도록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12)는 절곡부(11)와 앵커부(13)를 연결하고 인장력을 받는 부분으로,옹벽 표면재(20)의 거동력을 앵커부(1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앵커부(13)는 앵커블록(30)의 수직공(31)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앵커부가 하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상방향으로 절곡되어도 무방하며, 앵커블록(30)의 형상에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절곡부(11) 지지부(12) 및 앵커부(13)는 일체로 형성된 철근, 철사, 강선, 강연선, 강봉, 파이프, 체인, 와이어 및 FRP 등을 절곡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는 충분한 방식처리가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수지 피복재(14)는 절곡부(11) 및 지지부(12)에 입혀지는 것으로, 고압전류가 흐르는 부근에서도 안전하게 공사할 수 있도록 절연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산, 알카리 등에도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는, 합성수지 피복재(14)는 옹벽 축조시 쇄석, 자갈 등으로부터 절곡부(11) 및 지지부(12)를 보호한다. 한편, 앵커부(13)에는 합성수지 피복재(14)가 입혀지지 않는데, 이는 옹벽 축조시 앵커부(13)를 앵커블록(30)의 수직공(31)에 끼운 후, 그라우팅 재료로 충전하게 됨으로 피복재가 불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의 옹벽 구축용 보강재(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보강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에 보호피막을 입히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를 튜브형의 합성수지 피복재(14)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14) 안으로 삽입된 보강재를 열 또는 레이저 등으로 가열하여 합성수지 피복재가 보강재의 표면에 접착되게 하는 단계와, 절곡부(11)를 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절곡하고 앵커부(13)를 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를 합성수지 피복재(14)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에서 앵커부(13)를 제외한 절곡부(11) 및 지지부(12)를 형성할 부분만 삽입하고, 절곡부(11)를 형성할 끝부분에는 합성수지 피복재(14)의 여유부분을 확보하도록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부(13)를 피복재로 피복하지 않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고, 절곡부(11)를 형성할 끝부분에는 피복재의 여유부분을 확보하는 이유는 절곡부의 선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기 위함이다. 절곡부의 선단부를 밀폐시키므로 부식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선단부를 밀폐시키는 방법은 피복재를 열로 가열한 후 말아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옹벽 구축용 보강재(10)의 사용상태를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층된 옹벽 표면재(20)에 형성된 홈에 보강재(10)의 절곡부(11)를 측방향으로 삽입하고, 뒷채움토에 정착된 앵커블록(30)의 수직공(31)에 앵커부(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본 보강재(10)는 옹벽 표면재의 거동을 앵커블록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옹벽 구축용 보강재는 3차원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표면에 보호피막 및 합성수지 피복재를 입힘으로써, 옹벽을 구축시 적층된 표면재들의 거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탁월한 내식성 및 내구성을 갖는다.

Claims (4)

  1. 옹벽 표면재(20)에 결합되며 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절곡되는 절곡부(11)와, 상기 절곡부(11)에서 연장되는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끝부분에서 좌우상하 어느 방향으로든 절곡되고 앵커블록(30)에 고착되는 앵커부(13)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11) 및 지지부(12)는 합성수지 피복재(14)가 입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1)와 지지부(12)의 절곡 각도는 직각에 가깝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보강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1), 지지부(12) 및 앵커부(13)는 일체로 형성된 철근, 철사, 강선, 강연선, 강봉, 파이프, 체인, 와이어 또는 FR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보강재.
  4. 보강재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에 보호피막을 입히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를 튜브형의 합성수지 피복재(14) 안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합성수지 피복재(14) 안으로 삽입된 보강재를 열로 가열하여 합성수지 피복재가 보강재의 표면에 달라붙게 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를 절곡부(11)와 앵커부(13)를 절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축용 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20020040675A 2002-07-12 2002-07-12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6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675A KR20040006401A (ko) 2002-07-12 2002-07-12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675A KR20040006401A (ko) 2002-07-12 2002-07-12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04A Division KR20050043815A (ko) 2005-03-04 2005-03-04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401A true KR20040006401A (ko) 2004-01-24

Family

ID=3731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675A KR20040006401A (ko) 2002-07-12 2002-07-12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64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660B1 (ko) * 2009-08-04 2009-12-23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68943B1 (ko) * 2009-07-14 2011-09-30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7714B1 (ko) * 2011-06-30 2013-08-20 한동권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KR102413045B1 (ko) * 2021-07-15 2022-06-23 김점용 분체도장 처리된 메쉬휀스용 철망의 도장 보호를 위한 절곡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550U (ko) * 1987-07-03 1989-01-20
US5468098A (en) * 1993-07-19 1995-11-21 Babcock; John W. Segmental, anchored, vertical precast retaining wall system
US5890843A (en) * 1993-10-22 1999-04-06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Vidal Strip for use in stabilized earth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59223A (ja) * 1999-08-23 2001-03-06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擁壁構造
KR20010097072A (ko) * 2000-04-19 2001-11-08 이종하 콘크리트 축조블럭의 밀림방지 및 보강겸용 축조공법과 그축조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0550U (ko) * 1987-07-03 1989-01-20
US5468098A (en) * 1993-07-19 1995-11-21 Babcock; John W. Segmental, anchored, vertical precast retaining wall system
US5890843A (en) * 1993-10-22 1999-04-06 Societe Civile Des Brevets Henri Vidal Strip for use in stabilized earth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1059223A (ja) * 1999-08-23 2001-03-06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擁壁構造
KR20010097072A (ko) * 2000-04-19 2001-11-08 이종하 콘크리트 축조블럭의 밀림방지 및 보강겸용 축조공법과 그축조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943B1 (ko) * 2009-07-14 2011-09-30 (주)대한콜크 띠형 섬유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33660B1 (ko) * 2009-08-04 2009-12-23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97714B1 (ko) * 2011-06-30 2013-08-20 한동권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KR102413045B1 (ko) * 2021-07-15 2022-06-23 김점용 분체도장 처리된 메쉬휀스용 철망의 도장 보호를 위한 절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6278B2 (ja) 易切削性トンネルセグメント構造
JP419489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5349339B2 (ja) 土壌補強構体およびこの構体を構築するための補強部材
JP4235661B2 (ja) グラウンドアンカーおよびグラウンドアンカー工法
JP2017115485A (ja) 道路橋防護柵及びその設置工法
KR20050043815A (ko)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0006401A (ko)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5266584B2 (ja) 防食pc鋼より線組付体、およびアンカー構造の構築方法
JP4944807B2 (ja) 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1789567B1 (ko)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KR20100029714A (ko) 주택 콘크리트 기초의 보강 구조 및 그 보강 공법
KR101083263B1 (ko) 리브의 접착력을 강화시킨 지오그리드 제조방법
KR200420494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KR102199131B1 (ko) 영구형 앵커
JP3681367B2 (ja) 鉄骨柱と基礎コンクリートの接合構造
KR101125615B1 (ko) 지반안정을 위한 앵커지지체 및 그의 시공방법
JP2009185549A (ja) 構造躯体の補強方法および構造躯体
KR20042084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블록
CN219137982U (zh) 一种空心板整体性连接结构
KR101582885B1 (ko) 자유장 구간이 강화된 유닛앵커
JP551234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兼用防食方法とその構造
JP2002227198A (ja) 耐食性グラウンドアンカー
JP5266585B2 (ja) アンカー構造、アンカーケーブル組付体、およびアンカー構造の構築方法
KR20100117736A (ko) 영구앵커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04

Effective date: 200511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1010007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04

Effective date: 2005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