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7736A - 영구앵커 1 - Google Patents

영구앵커 1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7736A
KR20100117736A KR1020090036355A KR20090036355A KR20100117736A KR 20100117736 A KR20100117736 A KR 20100117736A KR 1020090036355 A KR1020090036355 A KR 1020090036355A KR 20090036355 A KR20090036355 A KR 20090036355A KR 20100117736 A KR20100117736 A KR 20100117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steel wire
permanent
wir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훈
Original Assignee
송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훈 filed Critical 송태훈
Priority to KR102009003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7736A/ko
Publication of KR20100117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사면의 안정화, 부력에 대한 대책, 흙막이 공법 등에 널리 이용되는 앵커에 있어서, 지하에 매설되는 강선의 끝을 정착부와 일체로 성형 함으로써 방수 및 부식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정착을 위한 복잡한 구조를 일체 성형으로 간편화하여 작업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Figure P1020090036355
앵커, 방수, 일체, 강선, 성형

Description

영구앵커 1{Permanent anchor 1}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널리 이용되는 앵커 공법에 관한 것으로, 힘을 전달하는 강선이 부식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 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강선을 지하에 고정시키는 정착부를 형성하는 영구앵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을 지반에 정착하는데 사용되는 영구앵커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방수 구조와 정착부의 구조가 개선된 영구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 공법은 토목이나 건축 공사에서 임시 구조물 혹은 영구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하에 정착된 고강도의 강선을 보강할 지점에 연결하고 그 강선에 높은 인장력을 도입하여 불안정한 부분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앵커는 정착되는 지반의 종류에 따라 암반앵커(Rock anchor) 또는 그라운드앵커(Ground anchor)로 구분하기도 하고,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타이백(tieback) 또는 타이다운(tiedown)으로 분류하기도 하며, 주입되는 그라우트 압력에 따라 저압형 앵커 그리고 고압형 앵커로 분류된다. 또한, 영구앵커는 지하수 침출지나 경사지, 지진 발생지 등에 건축물을 시공할 때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영구적으로 설치하는 앵커이고, 제거식 앵커는 주변에서 실시되는 지하공사 등에 앵커가 장애가 된다고 예상되는 경우에 공사완료 후 강선을 제거하는 형식의 앵커이다. 본 발명은 영구앵커에 관한 것이다.
영구앵커에서는 앵커 정착력의 불변성이 요구되므로 앵커체의 영구적 기능 확보가 필수적이며, 특히 강선 및 기타 정착을 위한 부재들의 부식 방지를 위하여 앵커의 방수, 방식 등 자체 보호기능의 확보가 요구된다. 영구앵커는 가설앵커와 달리 특히 방수성과 방식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앵커의 사용 목적인 정착력 확보를 위한 정착부의 구조가 견고해야 한다. 특히, 강선이 정착부와 일체로 움직여야 하고, 큰 힘을 받더라도 정착부에서 강선이 빠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영구앵커는 영구옹벽, 사면 안정, 구조물의 부상 방지, 지하구조물 보강, 구조체의 외력 안정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완벽한 방수기능과 함께 강선과 일체화되는 정착부를 가지는 영구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구앵커는 강선과 완벽하게 일체로 거동하는 정착부를 가지며, 강선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잡한 부재의 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영구앵커는,
일단부가 지상에 정착되며, 지중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긴 천공홀 내부에 채 워진 그라우팅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튜브로 감싸지는 강선의 타단부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지상에서 고정되고 타단부는 서로 꼬인 상태로 엮인 구조로 결속된 복수 개의 강선;
상기 강선 타단부의 엮인 구조로 결속된 부분을 내부에서 포함하도록 고정하며, 일체로 성형된 정착부;
그 타단부가 상기 정착부의 일단부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강선을 그라우팅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강선의 외주를 감싸는 보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를 제공한다.
강선의 타단부의 엮인 부분을 꼬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결속하는 고정구를 정착부 내부에 더 포함하여 성형할 수 있다.
정착부의 일단부와 보호튜브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팩커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정착부의 외주면에는 요철을 형성하여 주변 그라우팅재와의 정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정착부가 천공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정착부의 외주면에 더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꼬인 상태로 엮인 구조는 강선의 와이어를 풀어진 상태로 엮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선은 통상 7가닥의 와이어를 한쪽 방향으로 꼬아서 만든 것으로 이러한 강선 타단부의 와이어를 풀어서 복잡한 모양으로 서로 엮어두면 인장력을 받을 때 뽑히지 않고 정착부와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이때에도 엮어진 와이어의 형태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정착부 내부에 포함하여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영구앵커는 정착부의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고, 특히 방수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한, 강선의 정착을 위한 복잡한 구조나 부재가 없고 강선이 정착부 내에서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큰 하중을 받더라도 강선이 뽑힐 위험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엮인 강선(11)의 타단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정착부(12)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완벽한 방수를 위하여 보호튜브(13)의 타단부를 정착부(12)의 일단부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되도록 성형한다. 이러한 일체 성형의 경우 어떠한 연결 방법보다 확실한 방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강선(11)의 타단부를 서로 엮어서 고정되게 한 후 틀(금형 등) 속에서 정착부(12)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강선(11)의 타단부와 정착부(12)는 완전하게 일체로 거동하게 된다. 정착부(12)는 앵커의 힘을 주변의 그라우팅을 통해 지반으로 전달해야 하므로 주변 그라우팅과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필요한데, 도 1에서와 같이 정착부(12)의 외주면에 요철(121)을 형성하여 하중 전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요철(121)의 형태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정착부(12)를 성형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서로 꼬인 상태로 엮어서 고정시킨 강선(11)의 타단부를 틀(금형 등) 속에 넣고 용융된 플라스틱 혹은 비철금속을 주입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어떠한 방법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성형 방법은 주입하는 재질, 주입 속도, 성형 속도, 성형 기계, 틀의 특성 등 다양한 조건에 맞게 수백 가지의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므로 설계자의 의도대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나의 강선(11)을 하나의 보호튜브(13)로 감싸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하나의 보호튜브로 2개 이상의 강선을 감싸서 그라우팅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 별도로 표기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보호튜브 내에 2개 이상의 강선을 삽입하고, 강선의 타단부를 정착부 내에 꼬인 상태로 엮어주면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도 보호튜브와 정착부(12)는 기밀을 유지하면서 연결되어야 한다.
틀 속에 강선(11)의 타단부를 삽입하여 성형해야 하므로, 틀과 보호튜브(13)를 연결하는 팩커(20)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틀을 제작할 때 보호튜브(13)를 고정하고 강선(11)의 일단부를 틀 밖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상 2가닥 이상의 강선을 고정해야 하므로 미리 강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팩커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팩커(20)는 다수개의 보호튜브(13)를 기밀을 유지하면서 내부에 고정시키면 되고,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두 개의 부재(21, 22)를 결합할 때 보호튜브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강선(11)의 타단부를 서로 엮어서 그 형태를 고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고정구(31)를 설명한 것이다. 강선(11)의 타단부를 서로 엮어두는 것 만으로는 강선의 형태를 틀 속에 고정시키기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고정구(31)를 이용하여 그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31)는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강선(11)의 엮어진 부분의 타단부측 끝부분을 묶어주는 것만으로도 꼬인 상태로 엮어진 강선이 풀어지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도 4는 2개의 강선(11)을 서로 엮어서 고정시키고자 할 때 적용하기 위한 부가부재(41)로써, 2개의 강선의 타단부를 엮어서는 고정이 되지않고 쉽게 풀려버리는 경우에 부가부재를 추가하여 함께 엮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강선(11)을 구성하는 통상 7가닥의 와이어(51)를 풀어준 후 와이어들을 서로 엮어서 정착부(12) 내부에 포함되도록 일체로 성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앵커에 이용하는 강선(11)은 통상 7가닥의 와이어를 꼬아서 만든 것으로, 그 타단부를 풀어서 서로 엮어주는 경우 여러 가닥의 강선을 엮어주는 것과 동일한 일체화 효과가 발생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뽑히지 않게 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강선(11)의 타단부를 풀어서 와이어(51)를 서로 엮어주는 실시예를 나타내었지만, 단 한 개의 강선의 타단부를 풀어서 원래의 모양과는 다르게 다시 엮어주거나, 2개 이상의 강선 타단부를 풀어서 와이어들을 서로 엮어주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도 역시 와이어(51)들을 엮어준 형태 유지를 위한 고정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강선(11)의 타단부와 일체로 성형된 본 발명의 정착부(12)의 외주면에 정착부가 천공홀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61), 강선의 간격을 유지해주는 간격재의 기능을 하는 간격가이드(62)를 형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표시하지 않았지만 통상 앵커체는 원형 단면으로 지중에 길게 천공된 천공홀에 삽입되어, 앵커체를 그 천공홀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간격재 혹은 스페이서 등으로 불리는 부재를 여러 개 추가로 부착하여 설치하게 된다. 도 6의 안내부재(61)는 정착부(12)의 위치를 천공홀 중심에 고정시켜주기 위하여 정착부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앵커는 통상 4개 혹은 6개 등 다수개의 강선을 필요로 하므로 이들 강선 사이에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재를 길이 방향을 따라 여러 군데 설치하게 된다. 도 6의 간격가이드(62)는 이러한 간격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착부(1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같은 천공홀 내에 있는 다른 앵커체의 강선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의 영구앵커는 강선의 타단부를 정착부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견고하고 방수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플라스틱 혹은 비철금속 등을 재료로 한 다양한 방법으로 정착부를 강선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사시도)
도 2 : 팩커의 실시예
도 3 : 고정구의 실시예
도 4 : 부가부재를 이용하여 강선을 엮은 실시예
도 5 : 강선의 타단부를 풀어서 와이어를 서로 엮은 실시예
도 6 : 정착부의 외주면에 안내부재 등을 구비한 실시예
** 도면 각부의 명칭 **
11 : 강선 12: 정착부
13 : 보호튜브 121 : 요철
20 : 팩커(21+22)
21 : 팩커의 부재(자) 22 : 팩커의 부재(웅)
31 : 고정구
41 : 부가부재
51 : 와이어
61 : 안내부재 62 : 간격가이드

Claims (7)

  1. 일단부가 지상에 정착되며, 지중에 형성된 원형 단면의 긴 천공홀 내부에 채워진 그라우팅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튜브로 감싸지는 강선의 타단부를 지중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부는 지상에서 고정되고 타단부는 서로 꼬인 상태로 엮인 구조로 결속된 복수 개의 강선;
    상기 강선 타단부의 엮인 구조로 결속된 부분을 내부에서 포함하도록 고정하며, 일체로 성형된 정착부;
    그 타단부가 상기 정착부의 일단부와 기밀을 유지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강선을 그라우팅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강선의 외주를 감싸는 보호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강선의 타단부의 엮인 부분을 꼬인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결속하는 고정구를 정착부 내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정착부의 일단부와 보호튜브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강선의 간격을 유지하고 기밀을 유지하는 팩커를 더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정착부의 외주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가 천공홀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정착부의 외주면에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꼬인 상태로 엮인 구조는 강선의 와이어를 풀어진 상태로 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7. 제6항에 있어서,
    강선의 와이어를 풀어진 상태로 엮인 부분이 풀어지지 않도록 결속하는 고정구를 정착부 내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구앵커
KR1020090036355A 2009-04-27 2009-04-27 영구앵커 1 KR20100117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55A KR20100117736A (ko) 2009-04-27 2009-04-27 영구앵커 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355A KR20100117736A (ko) 2009-04-27 2009-04-27 영구앵커 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736A true KR20100117736A (ko) 2010-11-04

Family

ID=4340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355A KR20100117736A (ko) 2009-04-27 2009-04-27 영구앵커 1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77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305A (zh) * 2018-11-23 2019-03-22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高压旋喷式螺旋锚复合基础及其制作方法
KR20220112001A (ko) 2021-02-03 2022-08-10 박유빈 하루 한알 운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5305A (zh) * 2018-11-23 2019-03-22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高压旋喷式螺旋锚复合基础及其制作方法
KR20220112001A (ko) 2021-02-03 2022-08-10 박유빈 하루 한알 운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9513B2 (ja) 中空柱状物の補強方法。
CA2245121C (en) Injection-anchor
KR101244746B1 (ko) 패커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175112B1 (ko) 다용도 네일링 앵커 및 그 시공방법
JP6872231B2 (ja) 長期耐久性を有する岩盤斜面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97672B1 (ko) 강연선의 꼬임을 방지하는 앵커 구조
KR101471487B1 (ko) 다용도 하중 분산형 그라운드 앵커체
KR20100117736A (ko) 영구앵커 1
JP4780781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橋脚の耐震補強工法
KR101595306B1 (ko) 회전에 의한 기계식 정착형 어스 앵커 및 이의 시공 공법
US4126001A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soil structure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101285031B1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101165692B1 (ko) 다용도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871467B1 (ko) 지압형 앵커 및 이 시공방법
KR100869369B1 (ko) 다발강관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식의 지반보강장치 및 이를통한 지반보강공법
KR20140029675A (ko) 일체형 앵커캡을 갖는 어스앵커 구조체
KR20100117737A (ko) 영구앵커 2
KR20140049729A (ko) 강연선 제거형 그라운드 앵커
KR20100117738A (ko) 영구앵커 3
KR20100010044A (ko) 그라우팅 강관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