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660B1 -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660B1
KR100933660B1 KR1020090071502A KR20090071502A KR100933660B1 KR 100933660 B1 KR100933660 B1 KR 100933660B1 KR 1020090071502 A KR1020090071502 A KR 1020090071502A KR 20090071502 A KR20090071502 A KR 20090071502A KR 100933660 B1 KR100933660 B1 KR 100933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vertical
stone
fixture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1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38Evacuating water from cavity walls, e.g. by using weep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트앵커(12)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에 의해 일체화된 개별 장식석(10,11)과, 상기 장식석(10,11)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의 형태로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25)과 횡방향 철근(24)이 배근되어 있으면서 횡방향 철근(24)의 일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지중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6)이 중공부(23)까지 코아 천공(21)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20)과, 상기 장식석(10,11)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형태로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전방에서 수평 정착물(20)의 일면과 연결 보강판(51)에 의해 밀착결합되며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거나 정착물의 역할 외에 배수로 역할도 동시에 하는 수직 정착물(30,31), 및 상기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장식석(10,11)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12)에 양단을 연결하되 사선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인장재(40)로 구성됨으로써, 배수시설과 정착물에 의한 지지구조가 일원화되어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토록 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체로 된 격자 구조 형태의 후방 매립 정착물에 의해 전면 장식석도 일체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Structure for supporting stone wall for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시설과 정착물에 의한 지지구조가 일원화되어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토록 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체로 된 격자 구조 형태의 후방 매립 정착물에 의해 전면 장식석도 일체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시공 및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한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파괴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대책공법으로 안전율 유지법과 안전율 증가법의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강우, 융설 등과 같은 물의 영향에 의하여 사면의 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시켜 사면파괴를 발생시키는 직접적 요인으로부터 사면을 보호하는 소극적 대책방법인 전자의 방법과 불안전하게 판단된 사면의 안전율을 옹벽 등의 저항력을 이용하여 증가시켜 사면파괴의 잠재적 취약성을 개선시키려는 적극적 대책방법이 후자의 방법이다.
상기 안전율 증가법의 하나인 옹벽은 주택부지 및 노변 등에 형성된 경사지, 절토지 및 암반 등의 전면에 이들이 토압 또는 우수 등에 의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벽체로, 벽돌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구축된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옹벽은 그 특성상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게 되어 지지기반의 확보를 위해 설치대상 경사지 또는 암반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공사 후 뒷채움 작업이 많아지게 되어 공사기간이 연장되며 공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옹벽에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될 경우 부분적인 보수가 곤란하고, 콘크리트 옹벽은 콘크리트 특유의 색상 및 획일적인 형태로 인해 주변의 자연경관을 저해시킨다.
또한, 근래에는 자연석을 이용한 전면 장식석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에 대해 수동토압으로 저항하는 방식과 보강토체의 자중에 의하여 전면 장식석에 작용하는 수평토압을 지지하는 방식이 있는데, 전자는 후방의 매립 정착물이 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전면 장식석이 배면수평토압에 밀려 개별적으로 앞으로 밀려나오게 되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는 보강토체를 형성하기 위해 지오그리드의 사용이 불가피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시설과 정착물에 의한 지지구조가 일원화되어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토록 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체로 된 격자 구조 형태의 후방 매립 정착물에 의해 전면 장식석도 일체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시공 및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한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트앵커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에 의해 일체화된 개별 장식석과, 상기 장식석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의 형태로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이 배근되어 있으면서 횡방향 철근의 일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지중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이 중공부까지 코아 천공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과, 상기 장식석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형태로 상기 수평 정착물의 전방에서 수평 정착물의 일면과 연결 보강판에 의해 밀착결합되며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거나 정착물의 역할 외에 배수로 역할도 동시에 하는 수직 정착물, 및 상기 수평 정착물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장식석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에 양단을 연결하되 사선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인장재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본 특 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초 장식석과 수직 정착물의 놓일 지반에 1차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수직 정착물의 하부는 1차 기초 콘크리트에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b) 1차 기초 콘크리트 상면에 일정 개수의 기초 장식석을 거치하고 2차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 장식석을 고정하고 기초 장식석 간에는 세트앵커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장식석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와;
(c) 기초 콘크리트 상부에 유공관을 거치하여 유공관을 최하단 수직 정착물 중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의 중공부와 연결시키고, 유공관이 매입될 정도의 일정 높이까지 골재를 포설 및 다짐한 배수층을 시공하고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와;
(d) 석축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일정 개수의 수평 정착물을 연결 보강판을 이용하여 수직 정착물의 후면에 밀착결합시키는 단계와;
(e) 수평 정착물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기초 장식석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에 인장재의 양단을 연결하되, 인장재를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물망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f) 상층 장식석이 거치될 높이까지 토사를 기초 장식석 후방에 채워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일정치 이상의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작업을 하되, 수직 정착물과 결합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의 상면에는 수평 정착물 중공부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 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부직포를 설치하고 골재포설 후 골재를 부직포로 감싸는 단계, 및
(g) 상층 장식석을 거치하고 난 후 장식석 일체화 과정, 뒷채움 및 다짐과정, 수평 정착물 설치과정, 장식석과 수평 정착물의 연결과정, 뒷채움(골재포설 포함) 및 다짐과정을 설계높이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인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은 배수시설과 정착물에 의한 지지구조가 일원화되어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을 원활히 집수 및 배수토록 함으로써 수압으로 인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일체로 된 격자 구조 형태의 후방 매립 정착물에 의해 전면 장식석도 일체화되어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이고 시공이 간편하며 경제적인 시공 및 부분적인 보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횡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종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평 및 수직 정착물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평 정착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직 정착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f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다단의 석축(90)은 자연석이나 발파석 또는 인공석 등을 이용한 장식석(10,11)으로 형성하게 되고, 상하좌우로 인접하는 장식석(10,11) 간에는 통상적인 세트앵커(12)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장식석(10,11)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장식석(10,11) 간의 공간은 크기가 작은 채움석으로 채울 수도 있고, 토사(80)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장식석(10,11)의 후방에는 장식석(10,11)과 연결되는 인장재(40)의 인장력을 지중에 정착시켜 장식석(10,11)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후방 정착물이 지중에 매입되는데, 기본적으로 상기 후방 정착물은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0,31)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 정착물(20)은 전면 장식석(10,11)의 후면 상부와 인장재(40)로 연결하기 위해 장식석(10,11)의 적층수와 동일한 층수로 설치함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장식석(10,11)의 하부는 기초 콘크리트(71)에 매입되거나 하층 장식석(10,11)의 상부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인장재(40)의 장식석(10,11) 후면에의 연결위치는 장식석(10,11) 후면 상부가 되어야 토압에 대한 장식석(10,11)의 저항력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구조는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보의 형태로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25)과 사각형상의 횡방향 철근(24)이 배근되어 있으면서 횡방향 철근(24)의 일부가 추후 인장재(40)와 결합하기 위해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되어 있고, 수평 정착물(20)의 설치 후 상면이 되는 면에는 지중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수공(26)을 중공부(23)까지 코아 천공(21)토록 하고, 상기 배수공(26) 입구에는 물만 통과시키고 토사나 골재는 통과할 수 없게 하기 위한 소켓(27)을 설치한다.
즉, 석축(90)의 배수시설과 정착물에 의한 석축(90)의 지지구조가 일원화되어 있어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정착물(20)을 석축(9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되, 수평 정착물(20) 간의 연결 부위에서 배수공(26)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모르타르 등을 통해 마무리하고 강재로 된 연결 보강판(50)으로 인접하는 수평 정착물(20)의 양단을 볼팅을 통해 연결 이음하거나 상기 수평 정착물(20)과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콘크리트 커플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수평 정착물(20)의 양단을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보강판(50)은 지중에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등으로 피복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 정착물(30,31)의 구조도 역시 중공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형태로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35)과 사각형상의 횡방향 철근(34)이 배근되어 있고,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는 타입(30)은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전방에서 수평 정착물(20)의 일면과 연결 보강판(51)에 의해 밀착결합되고,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되, 단부가 밀착된 복수의 수직 정착물(30)의 중공부(33)에 철근 등의 보강재(36)를 삽입하여 충진 콘 크리트(37)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다수 개의 수직 정착물(30)을 연결한다.
아울러, 상기 정착물의 역할만 하는 타입외에 수직 정착물(30,31) 중에는 배수로 역할도 동시에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이 일정 개수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도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전방에서 수평 정착물(20)의 일면과 연결 보강판(51)에 의해 밀착결합되고,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되,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 간의 연결 부위에서 중공부(3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모르타르 등을 통해 마무리하고 강재로 된 연결 보강판(50)으로 인접하는 수직 정착물(31)의 양단을 연결 이음하거나 상기 수직 정착물(31)과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중공의 콘크리트 커플러(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인접하는 수직 정착물(31)의 양단을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 보강판(50)은 지중에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등으로 피복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수평 정착물(20)과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교차면에는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23,33)가 배수를 위해 이어지도록 각각 코아 천공(22)을 하여야 한다.
결국, 수평 정착물(20)의 배수공(26)을 통해 유입된 물은 수평 정착물(20)의 중공부(23)와 수평 정착물의 중공부(23)와 이어진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33) 및 수직 정착물의 중공부(33)와 이어져 있고 본 발명인 석축 지지구조 하부에 설치된 유공관(60)을 통해 외부의 우수맨홀(도시하지 않음)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중공부(23)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일정한 경사로 형성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0,31)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상대적으로 수직 하중을 많이 받는, 수평 정착물(20) 하면과 수직 정착물(30,31)의 결합부분에서의 연결 보강판(51)은 'ㄱ'자의 양 날개 사이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보강판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0,31)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의 지지구조가 전도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격자 형태의 지지구조는 후방으로 약간 기울어져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상면에는 수평 정착물 중공부(23)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부직포(28)를 설치하고 골재포설한 배수층(29)을 시공한 후 골재를 부직포(28)로 감싸서 마무리한다.
한편, 상기 전면 장식적(10,11)을 후방의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0,31)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의 지지구조와 연결하기 위해 철근 또는 강선 등의 인장재(40)를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물망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상기 인장재(4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석축구조물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장재(40)는 지중에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에폭시 등으로 피복처리를 함이 바람직하다.
즉,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장식석(10,11)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12)에 인장재(40)의 양단을 연결하되, 그 연결방법은 용접을 하거나 클램프 또는 버클을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장재(40)가 교차하는 부분의 인장재(40) 상호 간에는 용접을 하거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일정한 단면형상의 콘크리트 공시체(41)를 인장재(40) 교차부분에 4개를 밀착배치하여 묶는 방법 등으로 일체화시켜 장식석(10,11)이 토압에 좀 더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인 석축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을 통해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초 장식석(10)과 수직 정착물(30,31)이 놓일 지반에 일정 깊이로 터파기를 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1차 기초 콘크리트(70)를 타설한다.
이 때, 수직 정착물(30,31)의 하부는 1차 기초 콘크리트(70)에 매입되도록 설치하고 최하단 수직 정착물(30,31) 내부에 배근되어 있는 철근의 단부는 외부로 연장되도록 제작하여 1차 기초 콘크리트(70)에 배근된 철근과 용접연결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초 콘크리트(70)와 수직 정착물(30,31)을 일체화하여 석축(9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S10). 여기서, 1차 기초 콘크리트(70)에 매입된 일정 개수의 수직 정착물(30,31)은 뒷채움재로 되메우기작업 전에는 통상의 서포터로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 정착물(30,31)의 설치 간격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석축(90)의 설계 높이가 높을수록 조밀해야 한다.
다음으로, 1차 기초 콘크리트(70) 상면에 일정 개수의 기초 장식석(10)을 거치하고 2차 기초 콘크리트(71)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 장식석(10)을 고정한다(S20). 이 때, 기타설된 1차 기초 콘크리트(70)와 2차 기초 콘크리트(71)의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1차 기초 콘크리트(70)의 상면을 치핑함이 바림직하고, 장식석(10) 간 에는 세트앵커(12)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장식석(10)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추가로 장식석(10,11) 간에 부직포 또는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뒷채움재인 토사(80) 유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그 다음으로, 기초 콘크리트(70,71) 상부에 유공관(60)을 거치하고, 상기 유공관(60)을 일정 개수의 최하단 수직 정착물(30,31) 중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33)와 연결시켜 수직 정착물의 중공부(3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최종적으로 유공관(6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정착물(31)의 소정 위치에서 일면을 중공부(33)까지 코아 천공(32)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공관(60)과 이어지도록 한다.
더불어, 유공관(60)의 설치와 수직 정착물(31)과의 연결이 완료되면 유공관(60)이 매입될 정도의 일정 높이까지 골재를 포설 및 다짐한 배수층(62)을 시공하고 부직포(61)를 설치하게 되는데, 석축 시공 완료 후 석축(90) 배면으로 유입된 물은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33)를 거치거나 직접 유공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석축(90) 배면의 수압으로 인한 전체적인 토압의 증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S30).
그 다음으로, 석축(9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배수공(26)이 형성된 일정 개수의 수평 정착물(20)을 연결 보강판(50)이나 콘크리트 커플러를 이용하여 수직 정착물(30,31)의 후면에 밀착결합시키게 되는데, 이 때, 수평 정착물(20)이 거치되는 높이는 상기 수평 정착물(20)을 기초 장식석(10)의 후면 상부와 인장재(40)로 연결하기 적당한 위치여야 하고 상기 연결 보강판(50)은 형태나 갯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수평 정착물(20)과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교차면에는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23,33)가 배수를 위해 이어지도록 각각 코아 천공(22)을 하여야 한다(S40).
그 다음으로, 기초 장식석(10)을 후방의 수평 정착물(20)과 연결하기 위해 철근 또는 강선 등의 인장재(40)를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물망형태로 시공하게 되는데,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장식석(10)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12)에 인장재(40)의 양단을 연결하되 그 연결방법은 용접을 하거나 클램프 또는 버클을 이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하여, 상기 인장재(40)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분산시켜 안정적인 석축구조물을 형성하게 한다(S50).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재(40)가 교차하는 부분의 인장재(40) 상호 간에는 용접을 하거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일정한 단면형상의 콘크리트 공시체(41)를 인장재(40) 교차부분에 4개를 밀착배치하여 묶는 방법 등으로 일체화시켜 장식석(10,11)이 토압에 좀 더 효율적으로 저항하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상층 장식석(11)이 거치될 높이까지 뒷채움재인 양질의 토사(80)를 기초 장식석(10) 후방에 채워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일정치(95%) 이상의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작업을 하되, 수직 정착물(30,31)과 결합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20)의 상면에는 수평 정착물 중공부(23)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부직포(28)를 설치하고 골재포설 후 골재를 부직포(28)로 감싸서 마무리한다(S60).
그 다음으로, 상층 장식석(11)을 거치하고 난 후 장식석(10,11) 일체화 과 정, 뒷채움 및 다짐과정, 수평 정착물(20) 설치과정, 장식석(11)과 수평 정착물(20)의 연결과정, 뒷채움(골재포설 포함) 및 다짐과정을 설계높이까지 반복 시공한다(S70).
여기서, 상하 장식석(10,11) 간에도 세트앵커(12)로 결합하고 수직 정착물(30,31)은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되,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0) 간의 연결은 단부가 밀착된 복수의 수직 정착물의 중공부(33)에 철근 등의 보강재(36)를 삽입하여 충진 콘크리트(37)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 간의 연결은 중공부(3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모르타르 등을 통해 연결부위를 마무리하고 강재로 된 연결 보강판(50) 또는 콘크리트 커플러로 인접하는 수직 정착물(31)의 양단을 이음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장식석(10,11)의 적층으로 인한 상하 장식석(10,11)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공간에는 미관을 고려한 사이목이 식재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횡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평 및 수직 정착물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평 정착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수직 정착물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f 는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석축 지지구조의 시공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1: 장식석 12: 세트앵커
20: 수평 정착물 30,31: 수직 정착물
21,22,32: 코아 천공 23,33: 중공부
24,34: 횡방향 철금 25,35: 종방향 철근
26: 배수공 27: 소켓
36: 보강재 37: 충진 콘크리트
40: 인장재 41: 콘크리트 공시체
50,51: 연결 보강판 60: 유공관
28,61: 부직포 29,62: 배수층
70: 1차 기초 콘크리트 71: 2차 기초 콘크리트
80: 토사 90: 석축

Claims (11)

  1. 세트앵커(12)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에 의해 일체화된 개별 장식석(10,11)과,
    상기 장식석(10,11)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2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보의 형태로 내부에는 종방향 철근(25)과 횡방향 철근(24)이 배근되어 있으면서 횡방향 철근(24)의 일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지중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6)이 중공부(23)까지 코아 천공(21)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20)과,
    상기 장식석(10,11)에 가해지는 토압에 저항하기 위해 지중에 매입되고 중공부(33)가 형성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형태로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전방에서 수평 정착물(20)의 일면과 연결 보강판(51)에 의해 밀착결합되며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거나 정착물의 역할 외에 배수로 역할도 동시에 하는 수직 정착물(30,31), 및
    상기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장식석(10,11)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12)에 양단을 연결하되 사선방향으로 교차 설치되는 인장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배수공(26) 입구에는 물만 통과시키기 위한 소 켓(2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석축(9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는 상기 수평 정착물(20) 간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 보강판(50) 또는 콘크리트 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보강판(50)은 부식 방지를 위해 에폭시로 피복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는 상기 수직 정착물(30,31) 중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0)은 단부가 밀착된 복수의 수직 정착물(30)의 중공부(33)에 보강재(36)를 삽입하여 충진 콘크리트(37)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는 상기 수직 정착물(30,31) 중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 간의 연결 부위에는 연결 보강판(50) 또는 콘크리트 커플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 보강판(50)은 부식 방지를 위해 에폭시로 피복처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 정착물(20)과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교차면에는 수평 정착물(20)과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23,33)가 배수를 위해 이어지도록 각각 코아 천공(22)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정착물(20)의 상면에는 수평 정착물 중공부(23)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부직포(28)를 설치하고 골재포설한 배수층(29)을 시공한 후 골재를 부직포(28)로 감싸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40)는 부식 방지를 위해 에폭시로 피복처리 하고 인장재 교차부분에는 일정한 단면형상의 콘크리트 공시체(41) 4개를 밀착배치하여 묶는 방법으로 인장재(40)와 콘크리트 공시체(41)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정착물(30,31) 중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33)와 연결시켜 수직 정착물의 중공부(3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최종적으로 유공관(6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 정착물(31)의 소정 위치에서 일면을 중공부(33)까지 코아 천공(32)하여 유공관(60)과 이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10. (a) 기초 장식석(10)과 수직 정착물(30,31)의 놓일 지반에 1차 기초 콘크리트(70)를 타설하되 수직 정착물(30,31)의 하부는 1차 기초 콘크리트(70)에 매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b) 1차 기초 콘크리트(70) 상면에 일정 개수의 기초 장식석(10)을 거치하고 2차 기초 콘크리트(71)를 타설하여 상기 기초 장식석(10)을 고정하고 기초 장식석(10) 간에는 세트앵커(12) 내지는 세트앵커에 준하는 연결구를 이용하여 개별적인 장식석(10)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와;
    (c) 기초 콘크리트(70,71) 상부에 유공관(60)을 거치하여 유공관(60)을 최하단 수직 정착물(30,31) 중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의 중공부(33)와 연결시키고, 유공관(60)이 매입될 정도의 일정 높이까지 골재를 포설 및 다짐한 배수층(62)을 시공하고 부직포(61)를 설치하는 단계와;
    (d) 석축(9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상면에 배수공(26)이 형성된 일정 개수의 수평 정착물(20)을 연결 보강판(50) 또는 콘크리트 커플러를 이용하여 수직 정착물(30,31)의 후면에 밀착결합시키는 단계와;
    (e) 수평 정착물(20) 외부로 연장된 철근과 기초 장식석(10) 후면에 설치된 세트앵커(12)에 인장재(40)의 양단을 연결하되, 인장재(40)를 사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물망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f) 상층 장식석(11)이 거치될 높이까지 토사(80)를 기초 장식석(10) 후방에 채워 다지는 공정을 반복하여 일정치 이상의 다짐도를 갖도록 다짐작업을 하되, 수직 정착물(30,31)과 결합되어 있는 수평 정착물(20)의 상면에는 수평 정착물 중공부(23)로의 토사유입을 방지하고 원활한 배수를 위해 부직포(28)를 설치하고 골재포설 후 골재를 부직포(28)로 감싸는 단계, 및
    (g) 상층 장식석(11)을 거치하고 난 후 장식석(11) 일체화 과정, 뒷채움 및 다짐과정, 수평 정착물(20) 설치과정, 장식석(11)과 수평 정착물(20)의 연결과정, 뒷채움(골재포설 포함) 및 다짐과정을 설계높이까지 반복 시공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시공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g)에서 상하 장식석(10,11) 간에도 세트앵커(12)로 결합하고, 수직 정착물(30,31)을 석축(9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 연결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정착물의 역할만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0) 간의 연결은 단부가 밀착된 복수의 수직 정착물(30)의 중공부(33)에 보강재(36)를 삽입하여 충진 콘크리트(37)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배수로 역할도 하는 타입의 수직 정착물(31) 간의 연결은 중공부(3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모르타르 를 통해 연결부위를 마무리하고 강재로 된 연결 보강판(50) 또는 콘크리트 커플러로 인접하는 수직 정착물(31)의 양단을 이음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축 지지구조 시공방법.
KR1020090071502A 2009-08-04 2009-08-04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33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02A KR100933660B1 (ko) 2009-08-04 2009-08-04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502A KR100933660B1 (ko) 2009-08-04 2009-08-04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3660B1 true KR100933660B1 (ko) 2009-12-23

Family

ID=4168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502A KR100933660B1 (ko) 2009-08-04 2009-08-04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66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668B1 (ko) * 2012-02-07 2012-11-29 김진호 자연석을 이용한 다층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501766B1 (ko) * 2014-12-01 2015-03-16 (주)원앤티에스 옹벽 구조
KR20150145962A (ko) * 2014-06-20 2015-12-31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석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96396B1 (ko) * 2016-06-17 2017-01-16 주식회사 그린텍 자연석 옹벽 구조물
KR102142825B1 (ko) * 2020-02-26 2020-08-07 이영오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의 설치 방법
CN112281638A (zh) * 2020-11-04 2021-01-29 武汉大学 一种筋材紧密布置的双级加筋土桥台及其施工方法
KR102282069B1 (ko) * 2020-11-26 2021-07-27 주식회사 청광개발 배수 기능이 있는 자연석 옹벽 구조
KR102282059B1 (ko) * 2020-11-26 2021-07-27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5434204A (zh) * 2022-10-09 2022-12-06 苏州城南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连接通道及基于其的沉降填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401A (ko) * 2002-07-12 2004-01-24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34651A (ko) * 2005-06-23 2006-12-28 문창석 조경시설물과 그 시공방법
KR100756680B1 (ko)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7144A (ko) * 2007-07-13 2009-01-16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산석을 이용한 옹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401A (ko) * 2002-07-12 2004-01-24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34651A (ko) * 2005-06-23 2006-12-28 문창석 조경시설물과 그 시공방법
KR100756680B1 (ko)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7144A (ko) * 2007-07-13 2009-01-16 비더씨건설 주식회사 산석을 이용한 옹벽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668B1 (ko) * 2012-02-07 2012-11-29 김진호 자연석을 이용한 다층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50145962A (ko) * 2014-06-20 2015-12-31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석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654655B1 (ko) * 2014-06-20 2016-09-07 양지개발 주식회사 뒷돌 고정식 석축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501766B1 (ko) * 2014-12-01 2015-03-16 (주)원앤티에스 옹벽 구조
KR101696396B1 (ko) * 2016-06-17 2017-01-16 주식회사 그린텍 자연석 옹벽 구조물
KR102142825B1 (ko) * 2020-02-26 2020-08-07 이영오 자연석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의 설치 방법
CN112281638A (zh) * 2020-11-04 2021-01-29 武汉大学 一种筋材紧密布置的双级加筋土桥台及其施工方法
CN112281638B (zh) * 2020-11-04 2022-03-01 武汉大学 一种筋材紧密布置的双级加筋土桥台及其施工方法
KR102282069B1 (ko) * 2020-11-26 2021-07-27 주식회사 청광개발 배수 기능이 있는 자연석 옹벽 구조
KR102282059B1 (ko) * 2020-11-26 2021-07-27 주식회사 청광개발 자연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15434204A (zh) * 2022-10-09 2022-12-06 苏州城南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连接通道及基于其的沉降填补方法
CN115434204B (zh) * 2022-10-09 2023-09-01 苏州城南园林绿化工程有限公司 一种钢筋混凝土连接通道及基于其的沉降填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660B1 (ko)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0042716B (zh) 泡沫轻质土高填方路基拓宽施工方法
KR101241566B1 (ko)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2234513B1 (ko) 자립 기둥과 저항 기초 블럭을 이용한 블록식 보강토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공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KR20200124949A (ko) 앵커 인장식 흙막이 구조 및 흙막이 공법
KR20150141264A (ko) 뒷돌 고정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147459B1 (ko) 직립식 절토옹벽 시공방법
KR20100094140A (ko) 건물벽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24713B1 (ko) 피씨벽판을 이용한 선반식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CN110805049B (zh) 一种山体边坡超厚度喷锚永久支护结构的施工方法
KR101230986B1 (ko) 역류방지형 콘크리트 타설구 및 바이브레이터 근입구가 구비된 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외벽 선시공 공법
KR101210368B1 (ko) 커플러와 볼트를 활용하여 가설 흙막이벽과 지하실 외벽을 일체화하는 공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20080025219A (ko)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한 지하벽체의 시공방법 및 지하벽체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
KR102617795B1 (ko) H파일과 철근 스트럭쳐를 결합한 리테이닝 월 시스템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976277B1 (ko) 파이프앵커와 pc블록을 통한 친환경 생태옹벽 시공방법
KR100451429B1 (ko) 폐콘크리트 및 폐석회석을 이용한 복합 블록형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200293048Y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하벽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