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766B1 - 옹벽 구조 - Google Patents

옹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766B1
KR101501766B1 KR20140169753A KR20140169753A KR101501766B1 KR 101501766 B1 KR101501766 B1 KR 101501766B1 KR 20140169753 A KR20140169753 A KR 20140169753A KR 20140169753 A KR20140169753 A KR 20140169753A KR 101501766 B1 KR101501766 B1 KR 101501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soil layer
foundation concrete
water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9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조원
Original Assignee
(주)원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원앤티에스
Priority to KR20140169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양측으로 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기초콘크리트;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의 상기 유로 전방에 고정되는 석재; 상기 유로에 채워지는 제1골재; 상기 석재 후방에 성토된 토사층; 상기 석재와 상기 토사층을 연결하여, 상기 석재를 고정하는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토사층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토사층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로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 구조{Structure of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옹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 벽체를 의미한다. 즉 옹벽은 지반이 안정된 경사보다 가파른 경사로 형성되었을 경우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흙을 쌓아 올릴 때, 산을 깎아 낼 때, 해안을 메울 때 등에 필요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옹벽은 콘크리트, 철근?콘크리트, 벽돌 등의 다양한 재료로 축조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재료로 만들어진 옹벽은,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옹벽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위압감을 조성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친환경, 녹색 성장 등의 환경 친화적 산업 발전이란 사회적 이슈와 맞물려, 식생 포대를 활용한 옹벽이 다양한 곳에서 축조되고 있으나, 식생 포대를 활용한 옹벽은 구조적 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6713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옹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양측으로 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기초콘크리트;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의 상기 유로 전방에 고정되는 석재; 상기 유로에 채워지는 제1골재; 상기 석재 후방에 성토된 토사층; 상기 석재와 상기 토사층을 연결하여, 상기 석재를 고정하는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토사층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토사층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로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초콘트리트의 하면 후방에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석재의 하측이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가 양생될 수 있다.
상기 석재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되는 하부석재와, 상기 하부석재의 상측에 하측이 고정되는 상부석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석재는 상기 상부석재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석재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의 제1하부석재부와, 상기 제1하부석재와 일측이 연결되고,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의 제2하부석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옹벽구조는 상기 제1하부석재부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하부석재부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와 각각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하부지지석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석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사층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상부석재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상부석재부와, 상기 제1상부석재부와 일측이 연결되고,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2상부석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상부석재부 및 제2상부석재부의 하부는 각각 상기 제1하부석재부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옹벽 구조는 상기 제1상부석재부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상부석재부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와 각각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된 상부지지석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상부지지석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사층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석재부 및 상기 제2하부석재부는, 각각, 하단이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제1석재와, 일단은 상기 제1석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석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석재부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는, 각각, 상기 토사층에 고정되는 제3석재와, 일단은 상기 제3석재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4석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골재는 잔 골재(fine aggregate) 또는 굵은 골재(coarse aggregate)일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토사층에 배치되어, 상기 토사층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는 물 수집부와, 상기 물 수집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물 수집부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유로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수집부는, 하면에는 상기 안내관과 연통되는 물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채워지는 제2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에 의하면, 토사층을 지지하는데 있어 구조적으로 안정할 뿐 아니라, 석재를 사용하여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4는 도 1의 옹벽 구조가 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옹벽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4는 도 1의 옹벽 구조가 시공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이 예에 따른 옹벽 구조(100)는, 기초콘크리트(110), 석재(120), 제1골재(130), 토사층(140) 및 배수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10)는 지면(11)에 설치되어 상기 석재(120)를 고정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10)는, 철근 및 콘크리트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10)는 현장에서 타설되어 경화되는 공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리케스트(precast) 공법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기초콘크리트(110)가 현장에서 타설되어 경화되는 공법으로 만들어 질 경우, 상기 석재(120)와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결합은, 상기 석재(120)의 하측이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삽입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110)가 양생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상면에는 유로(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110a)에는 물이 흐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하면 후방에는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1)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석재(120)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상기 기초콘크리트(110)가 상기 석재(120)의 자중에 의해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로(110a)는, 외부의 수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110a)는 상기 배수부(150) 또는 상기 토사층(140)을 통해 유입된 물을, 외부의 수로로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로(110a)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상면 후측에서 양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골재(130)는 상기 유로(110a)에 수용된다.
즉, 상기 제1골재(130)는, 상기 유로(110a)에 채워지므로, 상기 토사층(140)에 포함된 토양에 의해 상기 유로(110a)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골재(130)는 잔 골재(fine aggregate) 또는 굵은 골재(coarse aggregat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골재(130)로 채워진 상기 유로(110a)의 공극률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1골재(130)는 잔 골재 또는 굵은 골재 중 어는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제1골재(130)는 잔 골재 또는 굵은 골재가 서로 섞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석재(120)는 플레이트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재(120)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상면의 상기 유로(110a) 전방에 고정된다.
즉, 상기 옹벽 구조(100)는 지면(100)에 상기 기초콘크리트(110)가 고정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의 상면에는 상기 석재(120)가 고정되며, 상기 석재(120)의 후측에는 상기 토사층(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사층(140)은, 상기 석재(1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토사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존의 토사와 상기 석재(120) 사이에 새롭게 성토된 토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사층(140)의 상면에는 식물(12) 등이 식재될 수 있다.
다시 상기 석재(12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석재(120)는 하부석재(121)와 상부석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석재(120)는 상기 하부석재(121)와 상기 상부석재(122)가 상하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석재(121)는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석재(122)는 상기 하부석재(121)의 상측에 하측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석재(121)는 상기 상부석재(122)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석재(1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토사층(140)의 방향으로 후퇴된 형상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석재(121)는, 제1하부석재부(1211)와 제2하부석재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석재(121)는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는 각각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는 각각 후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 각각은, 제1석재(1201)와 한 쌍의 제2석재(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석재(1201)의 하단은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에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석재(1202) 하단도 상기 기초콘크리트(11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석재(1202)는 각각 일단이 상기 제1석재(1201)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한 쌍의 제2석재(1202)의 일단이 각각 상기 제1석재(120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토사층(140)으로부터 상기 제1석재(1201)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한 쌍의 제2석재(1202)가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석재(121)는 하부지지석재(1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는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와 각각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는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의 제2석재(1202)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의 제2석재(1202)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가 상기 토사층(140)에 의해 전방으로 전복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옹벽 구조(100)는 와이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는 상기 와이어(160)에 의해 상기 토사층(14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석재(1201)에서, 상기 한 쌍의 제2석재(1202)로 전달된 하중은,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를 통해 상기 와이어(16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토사층(140)에 매립된 지지물(161)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제1석재(1201)와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토사층(140)에 매립된 지지물(161)과 연결되어 상기 제1석재(1201)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석재(122)는, 제1상부석재부(1221)와, 제2상부석재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와 제2상부석재부(1222)는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의 일측은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의 일측과 연결된다.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및 제2상부석재부(1222)의 양측 하부는 각각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와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의 상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및 제2상부석재부(1222)는, 각각, 제3석재(1203)와 한 쌍의 제4석재(1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석재(1203)는 토양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4석재(1204)는 일단이 상기 제3석재(1203)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이 후방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석재(122)는, 제3석재(1203)를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제4석재(1204)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4석재(1204)의 하부는 상기 제1하부석재부(1211) 또는 상기 제2하부석재부(1212)의 상부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상부석재(122)는, 상부지지석재(1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석재(1223)는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와 각각 연결되며, 후방으로 돌출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상부지지석재(1223)는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의 제4석재(1204)와,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의 제4석재(1204)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와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가 상기 토사층(140)에 의해 전방으로 전복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석재(1223)는 상기 와이어(160)에 의해 상기 토사층(140)을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토사층(140)에 매립된 지지물(161)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지지석재(1213)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사층(140)에서 상기 제1상부석재부(1221) 및 상기 제2상부석재부(1222)로 전달되는 하중은, 상기 상부지지석재(1223)를 통해 상기 와이어(16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제3석재(1203)와도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토사층(140)에 매립된 지지물(161)과 연결되어 상기 제3석재(1203)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50)는, 일측은 상기 토사층(140)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유로(110a)와 연결되어 상기 토사층(140)에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로(110a)로 안내한다.
상기 배수부(150)는, 수집부(151)와 안내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151)는 상기 토사층(140)에 배치되어, 상기 토사층(140)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고, 상기 안내관(152)은, 상기 물 수집부(151)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유로(110a)와 연결되어, 상기 물 수집부(151)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유로(110a)로 안내하는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물 수집부(151)는, 케이스(1511)와 상기 제2골재(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511)의 하면에는 상기 안내관(152)과 연통되는 물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골재(1512)는 상기 케이스(1511)에 채워져, 상기 케이스(1511)가 상기 토사층(140)에 포함된 토사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유동할 수 있는 공극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옹벽 구조
110:기초콘크리트
120:석재
130:제1골재
140:토사층
150:배수부

Claims (16)

  1. 지면에 설치되며, 상면의 양측에 물이 흐르는 유로가 형성된 기초콘크리트;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유로 전방에 배치된 하부석재;
    하측이 상기 하부석재의 상측에 연결되는 상부석재;
    상기 하부석재 및 상기 상부석재의 후방에 성토된 토사층;
    상기 하부석재 및 상기 상부석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하부석재와 상기 상부석재를 상기 토사층에 고정하는 와이어; 및
    일측은 상기 토사층에 배치되며, 타측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토사층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유로로 안내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석재는, 하단이 상기 기초콘크리트에 고정된 제1석재 및 일단은 상기 제1석재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석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하부석재부; 및
    각각의 하부석재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각각의 하부석재부와 연결되며, 상기 토사층 내에 배치되는 하부지지석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석재는, 상기 하부지지석재의 상방에 배치되며 하단이 상기 토사층에 고정되는 제3석재 및 일단은 상기 제3석재의 양측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4석재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부석재부; 및
    각각의 상부석재부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상기 각각의 상부석재부와 연결되며, 상기 토사층 내에 배치되는 상부지지석재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콘트리트의 하면 후방에 하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된 옹벽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석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석재가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삽입된 후, 상기 기초콘크리트가 양생되는 옹벽 구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하부지지석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사층과 연결된 옹벽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석재부의 하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하부석재부의 상부에 연결된 옹벽 구조.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상부지지석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토사층과 연결된 옹벽 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채워지는 제1골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골재는 잔 골재(fine aggregate) 또는 굵은 골재(coarse aggregate)인 옹벽 구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토사층에 배치되어, 상기 토사층으로 유입되는 물을 수집하는 물 수집부와,
    상기 물 수집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유로와 연결되어, 상기 물 수집부에서 수집된 물을 상기 유로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포함하는 옹벽 구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물 수집부는,
    하면에는 상기 안내관과 연통되는 물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채워지는 제2골재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
KR20140169753A 2014-12-01 2014-12-01 옹벽 구조 KR101501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753A KR101501766B1 (ko) 2014-12-01 2014-12-01 옹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9753A KR101501766B1 (ko) 2014-12-01 2014-12-01 옹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766B1 true KR101501766B1 (ko) 2015-03-16

Family

ID=5302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9753A KR101501766B1 (ko) 2014-12-01 2014-12-01 옹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506B1 (ko) * 2017-06-07 2018-03-23 장윤석 자연석을 이용한 석벽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403B1 (ko) * 2005-11-14 2006-06-19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0657773B1 (ko) * 2006-02-21 2006-12-14 주식회사 에코밸리 환경친화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33660B1 (ko) * 2009-08-04 2009-12-23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25072B1 (ko) * 2011-07-04 2012-03-21 무성토건 주식회사 경관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0403B1 (ko) * 2005-11-14 2006-06-19 주식회사 평화티씨엠 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와 인접한 친환경적인 옹벽 시설물
KR100657773B1 (ko) * 2006-02-21 2006-12-14 주식회사 에코밸리 환경친화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33660B1 (ko) * 2009-08-04 2009-12-23 동양이앤씨 주식회사 석축 지지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25072B1 (ko) * 2011-07-04 2012-03-21 무성토건 주식회사 경관을 고려한 보강토 옹벽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506B1 (ko) * 2017-06-07 2018-03-23 장윤석 자연석을 이용한 석벽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32857A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JP6335569B2 (ja) 地盤造成工法および地盤構造
CN101509243A (zh) 一种阶梯式堤岸生态护岸方法
KR100629722B1 (ko) 급경사 배수로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배수블록
KR101244710B1 (ko)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KR101501766B1 (ko) 옹벽 구조
CN102425175B (zh) 山区大型弃碴场加固防护构造
CN204356788U (zh) 柔性减胀生态护坡构造
KR20150065476A (ko) 개구형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KR101215838B1 (ko)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JP2006037700A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擁壁構造
KR10150173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앵커고정 옹벽 구조물
JP2018204391A (ja) ふとん篭及びこれを用いた傾斜地補強構造
JP2009293331A (ja) 地盤改良体からなる擁壁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250499B1 (ko) 식생 옹벽용 블록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CN110714479B (zh) 内嵌碎石柱的透水型重力式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JP7343188B2 (ja) 谷地形用排水構造および暗渠ブロック
KR101109641B1 (ko) 저류형 농수로의 시공방법
JP3190429U (ja) 通水体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200413303Y1 (ko) 강재 빔을 이용한 산벽 구조체
CN110714478A (zh) 一种透水格栅型重力生态挡土墙结构
Lui et al. Stormwater detention in road shoulder using StormPav green pavement system
KR100960906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수직 옹벽 설치구조
KR10149299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