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567B1 -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 Google Patents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567B1
KR101789567B1 KR1020160181260A KR20160181260A KR101789567B1 KR 101789567 B1 KR101789567 B1 KR 101789567B1 KR 1020160181260 A KR1020160181260 A KR 1020160181260A KR 20160181260 A KR20160181260 A KR 20160181260A KR 101789567 B1 KR101789567 B1 KR 101789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lock
concrete
slope
tensil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호
김병일
Original Assignee
비알테크(주)
주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알테크(주), 주재호 filed Critical 비알테크(주)
Priority to KR102016018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앵커 인장재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탈경사면 설치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불가피한 한계성을 지지부재와, 하부플레이트와, 앵커공 보강재와, 그리고 콘크리트와 서로 합성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되어 이탈각의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가 접면된 앵커블록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Concrete anchor block for strengthening an anchor component force on the slope}
본 발명은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앵커 인장재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탈경사면 설치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불가피한 한계성을 지지부재와, 하부플레이트와, 앵커공 보강재와, 그리고 콘크리트와 서로 합성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되어 이탈각의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가 접면된 앵커블록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뿐 아니라 콘크리트앵커블록과 앵커 인장재 설치경사각사이의 이탈각에 대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비탈경사면에 따른 이탈각 조정과 관계없이 콘크리트앵커블록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격자 형태로 앵커블록의 설치하는 것 역시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앵커블록의 수압지지부에 일정길이의 장식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칼러 장식부재의 삽입이나 칼라 몰탈의 타설이 가능하여 격자 형태의 앵커블록의 외관이 자연환경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지반앵커공법은 깊은 굴착, 옹벽보강, 터널, 절토사면 등 분야에 적용된다.
앵커의 사용목적에 따라 가설앵커와 영구앵커로 구분된다. 깊은 굴착은 가설앵커에 해당되며, 터널, 절토사면 등은 영구앵커에 해당된다.
지반앵커공법은 흙 또는 암반 등 지반내부에 인장재를 설치하여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반과 그라우트의 마찰저항력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도록 한 공법이다.
지반앵커의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지반 내의 소요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정착장(bond length)과 정착장이 발휘되는 저항력을 구조체에 전달하는 자유장(free length), 필요한 하중을 목적으로 하는 구조체에 직접 작용토록 하는 정착구(anchorage zone)로 이루어진다.
인장재로서는 스트랜드(strand), 강봉, 와이어 등이다. 최근에는 스트랜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7연선 스트랜드(7 wire strand)의 기계적 특성에 대한 제원이 KS D 3505에 제시되어있다.
정착구는 일반적으로 「앵커블록 + 지압판 + 앵커(정착)헤드」로 구성된다(도1 및 도2참조). 인장재는 정착헤드에 고정된다. 앵커블록은 대부분 콘크리트로 제작된다.
앵커블록은 접지면과의 밀착효과를 위해 십자형태의 격자블록이 주로 사용된다.
격자블록은 서로 격자 형태를 이루므로 비탈경사면 보강공사에 많이 사용된다.
지압판은 프리스트레스 앵커력을 앵커블록에 직접 작용하도록 하는 부재이다.
앵커 인장재와 지압판과 앵커블록의 관계는 도2와 같다.
도2에서와 같이 프리스트레스가 가해진 앵커 인장재는 비탈경사면에 설치된 앵커블록을 관통하여 지압판에 정착된다. 앵커 인장재의 설치각도는 일반적으로 30~45o가 바람직하다. 이는 그라우트의 주입성과, 경화에 따라 발생되는 잔류 슬라임 및 블리딩이 앵커 정착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때 앵커블록이 비탈경사면에 설치되고, 앵커 인장재의 설치각도가 상기와 같이 주어진다하더라도 프리스트레스 인장재의 힘의 방향과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은 일치되어야한다.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이를 정착하는 지압판과는 직각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지압판이 놓이는 앵커블록의 정착부역시 도2에서와 같이 경사면이다.
지압판과 앵커블록의 정착부 경사면에 대하여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이 직각이어야 하므로 앵커 인장재가 관통하는 앵커블록의 앵커공의 방향은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된 방향이어야 한다.
그러나 프리스트레스 인장재의 힘의 방향과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을 일치시키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일이다.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앵커블록은 정착부 경사면을 비탈면에 맞춰 수시로 조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앵커 인장재의 설치각도를 이에 맞춰서 조정하는 것 역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앵커 인장재가 관통하는 앵커블록의 앵커공의 방향을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되게 그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앵커블록에다 정착부의 경사면과 앵커 인장재가 관통하는 앵커공이 형성된다하더라도 이를 비탈면의 경사와 앵커 인장재의 설치각도에 맞춰 제작할 수 없기 때문에 프리스트레스 인장재의 힘의 방향과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이 일치되지 않아 비탈면경사방향으로의 앵커 분력의 발생이 불가피하다.
이 앵커 분력은 앵커블록의 앵커공의 상ㆍ하부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그 지지점의 콘크리트가 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앵커 분력이 더 커지게 되면 지지점의 콘크리트가 파손되기까지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앵커의 정착에서 직진성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예컨대, 비교적 휨성이 좋은 스트랜드를 사용하는 앵커와 강봉을 사용하는 앵커는 허용오차에 대한 기준이 서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기준은 도3와 같다. 도3에서와 같이 웨지 정착오차가 5mm를 초과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인장재가 정상적으로 정착되지 않은 것이므로 주의를 요하도록 규정되어있다.
비탈면경사방향으로의 앵커 분력은 앵커의 경사수평각이 커질수록 커질 뿐 아니라 앵커 인장재와 지압판과의 직각에서 이탈된 각이 커질수록 커진다.
앵커 인장재와 지압판과의 이탈각θ으로 인해 앵커 인장재가 앵커블록의 콘크리트 앵커공에 직접 상하부 지지점에 접면되어 그 상하부 지지점의 콘크리트에 파손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이탈각 θ에 의한 비탈면경사방향으로의 앵커 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와 앵커블록의 콘크리트 앵커공의 상하부 지지점과의 관계를 보인 상태도이다.
앵커 인장재는 QPF이다. QPF는 프리스트레스 인장재의 힘의 방향이다.
QPV는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이다. θ는 그 이틸각이다. QP는 앵커콘크리트블록의 앵커공에 삽입된 앵커 인장재다. PF는 지중에 설치된 인장재이다.
프리스트레스 앵커력F가 도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앵커인장재 QP는 앵커블록의 앵커공 P점과 Q점에 위치된다. 프리스트레스 앵커력F가 도입되면, 이탈각 θ로 인해 P점은 앵커공 a점으로, Q점은 b점으로 이동되어 PQ 앵커인장재의 상하지지점이 된다. 앵커인장재의 a, b 상하지지점으로 이동은 비탈경사면방향의 앵커분력 H에 의해 이루어진다. a, b점의 이동방향은 서로 정반대다.
H = Fsinθ이다.
지지점 a, b에서 PQ 앵커인장재가 앵커블록의 콘크리트와 직접 접면되는 곳이다.
지지점 a, b는 H의 앵커인장력에 대하여 취약한 곳이다. H의 앵커인장력으로 인해 지지점 a, b의 콘크리트가 깨지기 때문이다. 지지점 a, b에서 깨지게 되면 서로 반대방향으로 PQ 앵커인장재가 이동되게 되므로 그 이탈각이 커져 비탈경사면방향의 앵커분력 H도 더한층 커지게 된다.
이제, 이탈각θ에 따른 비탈경사면방향의 앵커분력 H의 크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5와 같은 설계조건이고, 이탈각 θ가 5o일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5의 설계하중 : 1단 ; Fd = 300kN, 2단, 3단 ; Fd = 400kN
이 설계하중은 사면안정해석 결과 얻어진 임의 해석단면에서 필요한 앵커력에 대한 비탈경사면 보강 영구앵커의 설계조건이다.
앵커력 300~400kN에서 이탈각 θ가 5o일 경우 비탈경사면 H의 앵커분력은,
H = (300~400kN)sin5o = (300~400kN) x (0.0871557) = (26.16~34.88)kN = (2.616~3.488)ton 이다.
H의 앵커분력이 앵커블록의 앵커공의 지지점 a, b의 콘크리트에 작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앵커공의 지지점 a, b의 콘크리트는 앵커인장재의 앵커분력H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a, b점의 지지반력이 서로 반대방향이므로 a, b점이 깨지게 되면 서로 이탈각이 합력됨으로써 콘크리트 앵커공이 더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프리스트레스 인장재의 힘의 방향과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 20-0457690호(지반보강용 블록)가 개시되어있다(도6a, b, c 참조).
도6b에 따르면, 종래기술은 블록본체(100)의 관통공(130)과 안착홈(110)의 경사면(120)을 서로 직각되게 한 것이다. 관통공(130)에 삽입된 앵커(8)의 축방향과, 경사면(120)에 정착된 프리스트레스 앵커(8)의 힘의 방향이 일치되도록 하기위해서다. 이렇게 되면, 이탈각이 생기지 않아 앵커 분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의 도6b의 경사면(120)과 도2의 지압판이 놓이는 앵커블록의 돌출경사면은 양자모두 프리스트레스 앵커(8)의 힘의 방향과 앵커(8)의 축방향을 서로 일치되게 한 것이다. 다만, 도6b의 경사면(120)이 안착홈(110)에 형성되고, 도2의 경사면이 돌출되어있다는 점에서만 다를 뿐, 이탈각이 발생되지 않도록 직각으로 만나도록 한 것은 양자모두 동일한 개념이다.
종래기술이 도2의 개념과 동일하므로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프리스트레스 앵커(8)의 힘의 방향과 앵커(8)의 축방향을 서로 일치되게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실제 앵커(8) 분력 발생이 불가피하므로 종래기술에도 상기의 도2의 문제점이 그대로 상존하게 된다.
⒜ 본 발명은 앵커 인장재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탈경사면 설치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불가피한 한계성을 지지부재와, 하부플레이트와, 앵커공 보강재와, 그리고 콘크리트와 서로 합성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되어 이탈각의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가 접면된 앵커블록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콘크리트앵커블록과 앵커 인장재 설치경사각사이의 이탈각에 대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비탈경사면에 따른 이탈각 조정과 관계없이 콘크리트앵커블록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격자 형태로 앵커블록의 설치하는 것 역시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또한 앵커블록의 수압지지부에 일정길이의 장식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칼러 장식부재의 삽입이나 칼라 몰탈의 타설이 가능하여 격자 형태의 앵커블록의 외관이 자연환경에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개의 수압지지부(510)와, 그 중앙부에 인장재 앵커공(530)과, 그리고 정착수단(630)에 의해 지압판(600)에 정착되는 앵커 정착부로 형성된 콘크리트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 앵커공(530)을 중심으로 한 앵커 정착부(520)에 지지부재(540)가 정4각형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장재 앵커공(530)은 보강재(532)에 의해 보강되며, 지지부(542)와 볼트부(544)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540)의 지지부(542) 하부와 보강재(532)의 하부는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지지부재(540)의 지지부(542) 하부와 보강재(532)의 하부가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화된 채, 이들 모두가 콘크리트 앵커블록(500)에 매설되고, 상기 지지부재(540)의 상부 볼트부(544)만이 앵커블록(500)의 밖으로 돌출되며, 상부 볼트부(544)는 지압판(600)의 볼트공(620)에 삽입되어 체결너트(546)에 의해 체결되고, 또 프리스트레스 인장력이 가해진 앵커 인장재(700)는 지압판(600)의 앵커정착공(610)에 삽입되어 정착수단(630)에 의해 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이다.
여기에다,
앵커 정착부(520)에서 4개의 수압지지부(510)에 향해 길이방향으로 칼러 장식부재(562)를 삽입ㆍ조립되는 장식 삽입홈(560)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이다.
그뿐 아니라 인장재 앵커공(530)의 보강재(532)는 강재파이프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이다.
또한, 4개의 수압지지부(510)에 형성된 장식 삽입홈(560)에 칼러 몰탈을 채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이다.
본 발명은 앵커 인장재(700)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앵커 인장재(700)의 축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탈경사면 설치용 앵커블록(500)의 불가피한 한계성, 곧 이탈각의 불가피성을 극복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탈각의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블록 앵커공(530)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지 않도록 앵커분력이 집중되는 앵커공(530) 주변강성을 증대시킨 구성이다.
앵커블록 앵커공(530)에 삽입된 앵커 인장재(700)의 앵커분력의 작용점이 도?의 a와 b점이다. 앵커 인장재(700)가 직접 a와 b점에 접면되므로 a와 b점의 강성을 크게 하기위하여 파이프형상의 보강재(532)로 보강된 것이다.
앵커분력의 작용점인 a점에는 보강재(532)와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가 일체화되면서 콘크리트에 매설됨으로써 앵커 인장재(700)가 관통하는 보강재(532)의 강성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된 b점에도 지압판(600)에 의해 보강재(532)의 강성이 강화된 구조이므로 앵커공(530) 주변강성이 더한층 강화된 구성이다.
또한 지지부(542)와 볼트부(544)로 이루어진 지지부재(540)역시 보강재(532)와 같이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가 일체화되면서 보강재(532)와 평행되게 앵커 정착부(520)의 콘크리트에 매설ㆍ합성됨으로써 앵커공(530) 주변강성이 증대된다.
또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됨으로써 비탈경사면에 따른 이탈각 조정과 관계없이 콘크리트앵커블록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앵커블록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것 역시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이다.
이와 같이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화된 보강재(532)와 지지부재(540)가 콘크리트와 합성된 구조이고, 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60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됨으로써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700)가 접면된 앵커공(530)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 본 발명은 앵커 인장재에 가해지는 힘의 작용방향이 앵커 인장재의 축방향과 일치되지 않는 비탈경사면 설치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불가피한 한계성을 지지부재와, 하부플레이트와, 앵커공 보강재와, 그리고 콘크리트와 서로 합성구조가 되게 한 구성이므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되어 이탈각의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가 접면된 앵커블록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고,
⒝ 콘크리트앵커블록과 앵커 인장재 설치경사각사이의 이탈각에 대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비탈경사면에 따른 이탈각 조정과 관계없이 콘크리트앵커블록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격자 형태로 앵커블록의 설치하는 것 역시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인 효과가 있으며,
⒞ 또한 앵커블록의 수압지지부에 일정길이의 장식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칼러 장식부재의 삽입이나 칼라 몰탈의 타설이 가능하여 격자 형태의 앵커블록의 외관이 자연환경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도1] 일반적인 지반앵커의 구성을 나타낸 상태도
[도2] 비탈경사면에 설치된 앵커블록의 돌출경사면과 인장재가 서로 직각으로 만난 모습을 보인 일반적인 상태도
[도3] 앵커 설치에 대한 웨지장착의 허용오차를 나타낸 상태도
[도4] 사면안정 해석단면을 위한 설계 예
[도5] 비탈경사면에 설치된 앵커블록과 앵커인장재간의 이탈각θ로 인해 앵커인장재의 지지점(a, b)이 이동된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6a] 종래기술의 블록본체가 비탈경사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6b] 도6a의 블록본체의 단면도
[도6c] 종래기술의 블록본체의 사시도
[도7a] 본 발명의 앵커블록의 사시도
[도7b] 도7a의 단면도
[도7c] 도7a의 분해도
[도8]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본 발명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앵커블록(500)은 4개의 수압지지부(510)를 갖는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블록이다.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앵커블록(50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압지지부(510)의 중앙부에는 앵커 정착부(520)가 형성된다. 앵커 정착부(520)의 중심부에는 인장재 앵커공(530)이, 그리고 인장재 앵커공(530)은 보강재(532)로 보강된다. 보강재(532)는 파이프형상의 강재이고, 보강재(532)의 하단부는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용접된다.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는 보강재(532)에 대하여 수직이다. 지지부재(540)도 보강재(532)와 같이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용접된다. 지지부재(540)는 지지부(542)와 볼트부(544)로 되어있다.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와 그 위에 용접된 보강재(532)와 지지부재(540)의 지지부(542)는 앵커블록(500)의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다만 지지부재(540)의 볼트부(544)는 콘크리트에 매설되지 않고 앵커블록(500)의 외부로 돌출되어있다.
또한 앵커블록(500)의 수압지지부(510)에 일정길이의 장식 삽입홈(560)이 형성된다. 격자 형태로 설치되는 앵커블록(500)의 외관을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기위해서다. 장식 삽입홈(560)에는 기 제작된 칼러 장식부재(562)를 삽입하거나 칼라 몰탈을 타설이 가능하다.
한편,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앵커블록(500)을 비탈경사면(800)에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앵커블록(500)설치이전에 앵커 인장재(700)가 비탈경사면(800)에 미리 설치된다.
앵커블록(500)과 지압판(600)과 앵커 인장재(700)는 대략 「지압판(600)의 앵커블록(500)에 체결→앵커 인장재(700)의 앵커블록(500)에 삽입→앵커 인장재(700)의 지압판(600)에 정착」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이들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앵커블록(500)의 지지부재(540)의 볼트부(544)에 지압판(600)의 볼트공(620)이 삽입되고, 체결너트(546)에 의해 체결된다.
비탈경사면(800)에 설치되는 콘크리트앵커블록(500)의 인장재 앵커공(530)의 보강재(532)와 지압판(600)의 앵커정착공(610)를 통해 앵커 인장재(700)삽입ㆍ돌출되게 한다. 돌출된 앵커 인장재(700)에 소정의 프리스트레스 인장력을 가하고 정착수단(630)에 의하여 지압판(600)에 정착한다. 정착수단(630)은 일반적으로 정착쐐기 및 정착너트가 널리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화된 보강재(532)와 지지부재(540)가 콘크리트와 합성된 구조이고, 또 합성된 강성의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와 앵커력이 부여된 지압판(60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강성이 더한층 증대됨으로써 앵커분력으로 인한 앵커 인장재(700)가 접면된 앵커공(530)의 콘크리트가 깨지거나 파괴 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또한 앵커 정착부 하부에 위치된 앵커공 주변강성이 증대됨으로써 비탈경사면에 따른 이탈각 조정과 관계없이 콘크리트앵커블록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앵커블록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것 역시 용이하여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이점을 지닌 유용한 발명이다.
500; 콘크리트앵커블록(500), 510; 수압지지부(510), 520; 앵커 정착부(520), 530; 인장재 앵커공(530), 532; 보강재(532), 540; 지지부재(540), 542; 지지부(542), 544; 볼트부(544), 546; 체결너트(546), 550;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 560; 장식 삽입홈(560), 562; 칼러 장식부재(562),
600; 지압판(600), 610; 앵커정착공(610), 620; 볼트공(620), 630; 정착수단(630), 640; 정착쐐기(640),
700; 앵커 인장재(700),
800; 비탈경사면(800),

Claims (4)

  1. 4개의 수압지지부(510)와, 그 중앙부에 인장재 앵커공(530)과, 그리고 정착수단(630)에 의해 지압판(600)에 정착되는 앵커 정착부로 형성된 콘크리트앵커블록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 앵커공(530)을 중심으로 한 앵커 정착부(520)에 지지부재(540)가 정4각형 형상으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장재 앵커공(530)은 보강재(532)에 의해 보강되며, 지지부(542)와 볼트부(544)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540)의 지지부(542) 하부와 보강재(532)의 하부는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지지부재(540)의 지지부(542) 하부와 보강재(532)의 하부가 하단부 지지플레이트(550)에 일체화된 채, 이들 모두가 콘크리트 앵커블록(500)에 매설되고, 상기 지지부재(540)의 상부 볼트부(544)만이 앵커블록(500)의 밖으로 돌출되며, 상부 볼트부(544)는 지압판(600)의 볼트공(620)에 삽입되어 체결너트(546)에 의해 체결되고, 또 프리스트레스 인장력이 가해진 앵커 인장재(700)는 지압판(600)의 앵커정착공(610)에 삽입되어 정착수단(630)에 의해 정착되게 하고, 또한 4개의 수압지지부(510)에 길이방향으로 칼러 장식부재(562)가 삽입ㆍ조립되는 장식 삽입홈(5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81260A 2016-12-28 2016-12-28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KR101789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60A KR101789567B1 (ko) 2016-12-28 2016-12-28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260A KR101789567B1 (ko) 2016-12-28 2016-12-28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567B1 true KR101789567B1 (ko) 2017-10-25

Family

ID=6029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260A KR101789567B1 (ko) 2016-12-28 2016-12-28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5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676B1 (ko) 2019-01-09 2019-03-22 주식회사 한길 사면 보강용 콘크리트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시공법
CN109853589A (zh) * 2018-12-13 2019-06-07 广州市吉华勘测股份有限公司 一种锚索基座
KR20200006329A (ko) * 2018-07-10 2020-01-20 대경지반기술(주) 블록식 보강토 옹벽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694A (ja) * 2002-01-25 2003-07-30 Nisshoku Corp スペーサ構造と法面の補強工法
JP2009270314A (ja) * 2008-05-02 2009-11-19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斜面安定化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支圧部材
KR101181890B1 (ko) * 2012-07-03 2012-09-11 이용교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3694A (ja) * 2002-01-25 2003-07-30 Nisshoku Corp スペーサ構造と法面の補強工法
JP2009270314A (ja) * 2008-05-02 2009-11-19 Nippon Steel & Sumikin Metal Products Co Ltd 斜面安定化工法、及びこれに用いる支圧部材
KR101181890B1 (ko) * 2012-07-03 2012-09-11 이용교 컬러양각 보강블록의 문양구현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329A (ko) * 2018-07-10 2020-01-20 대경지반기술(주) 블록식 보강토 옹벽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16011B1 (ko) * 2018-07-10 2020-05-27 대경지반기술 주식회사 지지구와 지지파일을 이용한 옹벽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853589A (zh) * 2018-12-13 2019-06-07 广州市吉华勘测股份有限公司 一种锚索基座
KR101960676B1 (ko) 2019-01-09 2019-03-22 주식회사 한길 사면 보강용 콘크리트 앵커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보강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288B1 (en) Soil nail apparatus
CN1225969A (zh) 用于构造锚定装置的方法、构件和钢索
JP5023219B2 (ja) プレキャスト仮設構造体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30829B1 (ko)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789567B1 (ko) 앵커분력을 보강한 비탈사면용 콘크리트앵커블록
KR101353882B1 (ko) 근접 병설 터널의 필라부 선보강 및 굴착 시공 방법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KR101672924B1 (ko) 고강도 강판을 이용한 내화용 보강 판넬 및 이의 시공방법
JP6259807B2 (ja) 道路橋防護柵及びその設置工法
JP5113342B2 (ja) 盛土構造物
KR102290220B1 (ko) 부벽형 프리캐스트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JP6811678B2 (ja) 連続繊維補強材を適用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およ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1750908B1 (ko) 와이어 메쉬에 의한 숏크리트 층의 부착ㆍ인장 보강 시스템과 숏크리트 층의 부착ㆍ인장 보강 와이어 메쉬 조립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JP6532906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設置構造
KR100838739B1 (ko) 중력식 철도교각의 내진성능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보강공법
KR20160012670A (ko) 철근연결구 및 이의 콘크리트 매입 시공방법
JP3681367B2 (ja) 鉄骨柱と基礎コンクリートの接合構造
JPH0996197A (ja) 支保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35763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용 수평 전단 연결재
JP4279192B2 (ja) 覆工用pc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45231B1 (ko) 그라운드 앵커의 헤드콘
KR100913320B1 (ko) 다기능 복합형 앵커체
JP7339141B2 (ja) トンネルの被覆構造及び被覆パネル部材
KR102657183B1 (ko) 사후 긴장 및 두부 보강 중공부가 구비된 철근 콘크리트 말뚝의 제조 방법,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말뚝 및 이를 구비한 휨 및 모멘트 보강 말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