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714B1 -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 Google Patents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714B1
KR101297714B1 KR1020110064730A KR20110064730A KR101297714B1 KR 101297714 B1 KR101297714 B1 KR 101297714B1 KR 1020110064730 A KR1020110064730 A KR 1020110064730A KR 20110064730 A KR20110064730 A KR 20110064730A KR 101297714 B1 KR101297714 B1 KR 101297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eight
breakwater
tetra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396A (ko
Inventor
한동권
Original Assignee
한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권 filed Critical 한동권
Priority to KR102011006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714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지지부의 넓이보다 더 큰 넓이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 및 지지부와 확장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지지부와 확장부 내부에 마련되는 골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TETRAPOD FOR BREAKWATER}
본 발명은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과 항만 또는 호안 등에는 그 해안선 근방에 위치하는 시설물을 파도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제방에 방파제가 축조된다. 이러한, 방파제는 파랑이 심하게 발생될 때 외해로부터 끊임없이 밀려오는 파도가 부딪치면서 파도의 파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방파제의 내부에 정박되어 있는 선박이나 그 내부에 시공된 여러 가지 시설물 등이 보다 안정하게 보호된다.
또한, 방파제는 수심과 기초지반 또는 파도의 성질이나 크기에 따라 파도가 육지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 중점을 두어 물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도록 구성된 사석이나 콘크리트 블록을 쌓아올린 사석방파제 또는 적립식제 방파형태로 시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공된 방파제에는 파도가 밀려오는 외측에 설치되어 파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테트라 포드(Tetrapod)가 적층된다. 이러한 테트라 포드는 프랑스에서 처음 발명된 것으로, 방파제나 강바닥을 보호하는 데 주로 쓰이며, 방파제로 밀려드는 파고나 파력에 따라 그 규격이 다양하게 제작된다.
통상 우리나라에서는 테트라 포드가 작게는 5t, 크게는 60t 정도의 중량을 가지도록 제작되어 사용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축조되는 종래의 테트라 포드는 서로 맞물리도록 적층 및 연결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각각의 테트라 포드가 파도에 의해 개별적으로 유동되면서 방파제에서 미끄러져 유실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에 의해서만 제작되므로 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방파제를 따라 상하좌우 적층되는 것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과, 상기 지지부의 넓이보다 더 큰 넓이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의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골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외면에 미끄럼 방지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단면에 미끄럼 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격부재는, 폴리에스테르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골격부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35~38 중량%, 상기 유리섬유 60 ~ 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에 의하면, 파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가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100)는 방파제로 밀려오는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방파제의 외측에 좌우상하로 연속되게 적층된다.
이러한, 테트라 포드(100)는 파도가 적층된 내부로 유입되면서 파쇄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된 부위에 파도가 유입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테트라 포드(100)는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110)과, 이 지지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장부(120) 및 테트라 포드(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골격부재(130)를 포함한다.
지지부(110)은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여 4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원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110)은 상호 적층되는 테트라 포드(100)가 파랑에 의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그 외면에 미끄럼 방지테(111)가 돌출 형성된다.
미끄럼 방지테(111)는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테트라 포드(100)의 지지부(110) 외면에 접촉되어 상호 접촉되는 테트라 포드(100)의 지지부(110)에서 발생되는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 즉, 지지부(110)에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테(111)에 의해 상호 적층되는 테트라 포드(100)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더하여, 미끄럼 방지테(111)는 고무 또는 우레탄에 의해 제작되어 지지부(110)에 부착되는데, 이러한 미끄럼 방지테(111)는 콘크리트에 의해 테트라 포드(100)가 양생될 때 지지부(110)의 외면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110)에 탄성을 가지는 미끄럼 방지테(111)가 일체로 향상되므로, 테트라 포드(100)가 적층될 때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되어 테트라 포드(10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부(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확장부(120)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지지부(110)의 단부 넓이보다 더 큰 넓이를 가지도록 지지부(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확장부(120)는 테트라 포드(100)가 상호 적층될 때 이웃하는 테트라 포드(100)의 지지부(110) 및 확장부(120)에 걸릴 수 있도록 그 두께가 지지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처럼, 지지부(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확장부(120)에 의해 테트라 포드(10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테트라 포드(100)의 무게 중심이 확장부(120)에 위치하게 되므로, 테트라 포드(100)가 바닥에 더욱 안정되게 지지된다.
또한, 확장부(120)는 원뿔 형태의 지지부(110)에 더욱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지지부(110)에서 돌출 형성되는 부위에 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부(120)는 경사면(121)과 원뿔 형태의 지지부(110) 외면이 이루는 각도가 커지게 되어 원뿔 형태의 지지부(110)에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테트라 포드(100)가 더욱 안정되게 적층됨은 물론 테트라 포드(100)의 상호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더하여, 경사면(121)에는 고무 또는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부재(123)가 결합되어, 경사면(121)이 지지부(110)에 접촉될 때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테트라 포드(100)를 적층할 때 테트라 포드(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호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그 결합된 형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또한, 확장부(120)에는 테트라 포드(100)에 올라가는 보행자들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면 및 외면에 미끄럼 방지홈부(12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테트라 포드(100)는 콘크리트의 양생을 통해 제작되며, 이때, 그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골격부재(130)가 구비된다.
골격부재(130)는 구조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하여 취약해 질 수 있는 지지부(110)과 확장부(120)의 연결부위를 더욱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골격부재(130)는 테트라 포드(100)의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유리섬유(Fiberglass)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30)는 폴리에스테르 35 중량% ~ 38 중량%와, 유리섬유 62 중량% ~ 65 중량%가 혼합된다. 이러한, 골격부재(130)는 폴리에스테르가 테트라 포드(100)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유리섬유는 테트라 포드(100)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골격부재(130)는 폴리에스테르가 35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그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폴리에스테르가 38 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테트라 포드(100)의 압축강도가 저하되어 테트라 포드(100)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와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는 골격부재(130)는 철근과 비교하여 그 원가가 저렴하기 때문에 테트라 포드(100)의 제조원가을 절감시킬 수 있다.
다음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를 이용하여 제작한 시편의 물성을 나타낸 실험결과이다.
아래와 같은 실험을 함에 있어 시편의 크기를 가로 25cm, 세로 25cm, 길이 50cm로 하여 3개의 공시체를 각각 제작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를 측정하였다.
여기서, 비교예1은 콘크리트만으로 제작된 것이고, 비교예2는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것이다.
Figure 112011050207325-pat00001
위의 표 1은 본 실시 예와 비교예1,2의 물성비교실험 결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30)를 이용한 블록은 비교예1과 비교하여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2와 비교해서는 압축강도 및 휨강도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골격부재(130)를 이용하여 테트라 포드(100)를 제작할 경우 철근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유사한 강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110) 및 확장부(120)는 모래 12~17 중량%, 자갈 60~70 중량%, 고로슬래그 10~18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자갈이 60 중량% 미만으로 혼합되면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의 보습성은 향상되나 및 투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서 사용되는 시멘트는 고로슬래그, 석고, 수산화나트륨, 생석회, 소석회, 석회석 및 조경제(早硬劑)를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며, 분말도가 4000~6000 cm2/g를 가지도록 분쇄하여 사용한다.
뿐만 아니라, 지지부(110) 및 확장부(120)는 황토 18~26 중량%, 자갈 55~65 중량%, 고로슬래그 10~14중량%, 물 3~5 중량%로 혼합된 고로슬래그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 황토를 혼합하게 되면 우수가 투수성 블록을 통과하여 지면으로 배수되는 동안 우수에 함유된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이 흡수되므로, 수질이 개선되어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
황토의 혼합양이 18중량%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상기 고로슬래그에 의해 황토의 성분이 대부분 희석되어 투수성 블록의 유해물질 흡수효과가 나타나지 않게 되고, 황토가 26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투수성 블록의 압축강도, 휨강도 및 인장강도 등이 저하되어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른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100)를 방파제 전방의 지면에 설치하게 되면 확장부(120)에 의해 그 무게 중심이 지면에 접촉되는 확장부(120)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면에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테트라 포드(100)가 상호 적층될 때 지지부(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확장부(120)가 지지부(110) 및 확장부(120)에 걸리게 되므로, 상호 적층된 테트라 포드(100)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하여, 원뿔 형태의 지지부(110)과 경사면이 형성되 확장부(120)에 의해 상호 적층되는 테트라 포드(100)의 접합면이 넓어지게 되어 상호 결합력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테트라 포드 110 : 지지부
111 : 미끄럼 방지테 120 : 확장부
121 : 경사면 123 : 완충부재
130 : 골격부재

Claims (10)

  1. 파랑의 파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방파제를 따라 상하좌우 적층되는 것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넓이보다 더 큰 넓이를 가지도록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확장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골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층되어 접하는 지지부나 확장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외면 전체에 걸쳐 미끄럼 방지테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확장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적층되어 접하는 지지부나 확장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적층되는 지지부나 확장부로부터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완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골격부재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확장부의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와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단면에 미끄럼 방지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부재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35~38 중량%, 상기 유리섬유 60 ~ 6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테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우레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9.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확장부는 모래 12~17 중량%, 자갈 60~70 중량%, 고로슬래그 10~18중량%, 물 3~5 중량%를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10.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확장부는 황토 18~26 중량%, 자갈 55~65 중량%, 고로슬래그 10~14중량%, 물 3~5 중량%를 포함하는 고로슬래그 콘크리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KR1020110064730A 2011-06-30 2011-06-30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KR10129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30A KR101297714B1 (ko) 2011-06-30 2011-06-30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730A KR101297714B1 (ko) 2011-06-30 2011-06-30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96A KR20130003396A (ko) 2013-01-09
KR101297714B1 true KR101297714B1 (ko) 2013-08-20

Family

ID=4783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730A KR101297714B1 (ko) 2011-06-30 2011-06-30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7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92A (ko) 2014-05-19 2015-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파력 감쇄기구를 갖는 테트라포드
WO2019160217A1 (ko) * 2018-02-14 2019-08-22 상록엔비텍(주) 다기능성 어초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8893A1 (es) * 2019-04-05 2020-10-08 •Data53 Spa Unidad de hormigón para amortiguar el efecto del oleaje y proteger costas, playas, lagos, embalses, puertos y otros, del efecto adverso del oleaje y corrientes hidrodinámicas del agua
KR102239894B1 (ko) * 2020-08-12 2021-04-12 김동역 컴파운드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202A (ja) * 1996-02-28 1997-09-02 Chubu Kohan Kk 水中ブロック
KR20040006401A (ko) * 2002-07-12 2004-01-24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84679A (ko) * 2007-03-14 2008-09-19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
KR100939186B1 (ko) * 2008-02-28 2010-01-28 전종태 인명사고 방지용 테트라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7202A (ja) * 1996-02-28 1997-09-02 Chubu Kohan Kk 水中ブロック
KR20040006401A (ko) * 2002-07-12 2004-01-24 (주)레코기술 옹벽 구축용 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084679A (ko) * 2007-03-14 2008-09-19 가부시키가이샤 후도 테트라 소파블록
KR100939186B1 (ko) * 2008-02-28 2010-01-28 전종태 인명사고 방지용 테트라포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92A (ko) 2014-05-19 2015-11-3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파력 감쇄기구를 갖는 테트라포드
WO2019160217A1 (ko) * 2018-02-14 2019-08-22 상록엔비텍(주) 다기능성 어초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96A (ko) 2013-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714B1 (ko) 방파제용 테트라 포드
KR102166388B1 (ko) 친환경 헥사콘
KR101485362B1 (ko)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KR101609463B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갖는 모래유실 방지용 잠제블록
KR102215515B1 (ko) 결속용 클램프
KR102097760B1 (ko) 해안침식 방지용 블록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CN106194212B (zh) 一种抗泥石流和落石冲击的棚洞顶部结构及施工方法
KR101461515B1 (ko) 해안 양빈 시공용 친환경 구조체를 사용한 친환경 양빈 시공 방법
CN105084823A (zh) 高强度钢筋混凝土管涵及其制备方法
KR101500978B1 (ko) 친환경 지압블럭, 친환경 지압블럭 충전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친환경 지압블럭 시공방법
KR101328837B1 (ko) 골격을 강화한 콘크리트 폰툰
CN105060789A (zh) 耐寒混凝土箱涵及其制备方法
KR101389557B1 (ko) 호안블록 및 이를 구비한 호안블록유닛
JP6327215B2 (ja) 重力式防波堤
KR20090068865A (ko) 친환경 생태옹벽 블록
CN106906712B (zh) 竹筋混凝土路面结构及其设计方法
CN209854770U (zh) 一种水工泄水建筑物混凝土底板防冲砸橡胶铺垫
CN208701738U (zh) 一种立体加筋刚柔复合生态挡土墙
CN208586630U (zh) 桩基础以及具有该桩基础的木平台
CN208219692U (zh) 一种改良型输送管道保护基础结构
RU119353U1 (ru) Гибкий защитный бетонный мат для неровн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KR20090068864A (ko) 친환경 논두렁용 블록
CN205444101U (zh) 一种加强型扭工字护面块体
CN105084822A (zh) 防冻钢筋混凝土箱涵及其制备方法
CN205530125U (zh) 一种适用于水利工程上的生态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