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362B1 -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Google Patents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5362B1 KR101485362B1 KR1020140127668A KR20140127668A KR101485362B1 KR 101485362 B1 KR101485362 B1 KR 101485362B1 KR 1020140127668 A KR1020140127668 A KR 1020140127668A KR 20140127668 A KR20140127668 A KR 20140127668A KR 101485362 B1 KR101485362 B1 KR 1014853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trapod
- steel
- steel columns
- water
- column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455273 Tetrapod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8 Limes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94 fiberbo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28 lime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해저에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각 철재기둥에 내부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통수구멍이 형성된 하부 테트라포드;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수에 따라 해수면 아래로 침수되거나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중간 테트라포드;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항상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 주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상부 테트라포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테트라포드의 제작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장기간 동안 해류 및 파도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되며,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해저에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각 철재기둥에 내부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통수구멍이 형성된 하부 테트라포드;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수에 따라 해수면 아래로 침수되거나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중간 테트라포드;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항상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 주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상부 테트라포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테트라포드의 제작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보다 장기간 동안 해류 및 파도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되며, 환경보호와 자원재활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안가에 설치되는 방파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제작성 및 이동성, 그리고 내구성, 재활용성이 뛰어난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에는 파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파구조물이 시공되는 예가 많다.
상기 방파구조물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테트라포드(Tetrapod)는 1949년 프랑스의 Neyrpic사에서 개발한 콘크리트 이형블록이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는 4개의 뿔 모양 다리를 가지며, 소파(消波)를 위한 방파제 및 호안에 사용되어 파랑 에너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테트라포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파압, 파의 처오름 및 반사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블록끼리 서로 맞물려 급경사나 비탈면에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중심위치가 낮고 안정성이 좋아 콘트리트 블록에 비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현재까지 대부분의 방파제 공사에는 테트라포드를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의 변천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의 형태를 (b)의 형태로 개선하여 조도와 공극률을 증대시켰으나 블록이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c)와 같이 적절한 각주의 길이를 구하고 접합부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중앙으로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크기와 곡률을 더 붙였다.
또한, 시공시 각주 선단이 파손되지 않도록 모서리를 정리하여 수리적, 강도적으로 우수한 형태로 발전하였다.
상기 테트라포트는 최초 제작 후 7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계 각국의 해상 소파 구조물로 이용되며, 그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제방이나 방파제의 외항 쪽에 설치되어 파력을 감쇄하도록 적층 설치하는 테트라포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테트라포드는 중앙에서 각기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 각 몸체의 내측영역에 결속끈부재가 각각 설치되고, 각 몸체가 만나는 영역에서 서로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상기 각 결속끈부재를 연결고리가 각각 결합시켜 상기 각 결속끈부재가 각 연결고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호안 방파제의 테트라포드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호안 방파제의 테트라포드는 테트라의 체적 당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콘크리트 보다 비중이 높은 철광석을 내재시킨 상태로 테트라포드를 성형토록 함으로써 기존의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되는 테트라포드에 비해 체적당 하중이 증가되도록 하여 거치 후 해수의 흐름이나 파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거치된 위치를 안정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무단의 위치변동이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파 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테트라포드는 내부에 물고기가 서식할 수 있는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의 사용량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을 포함하는 종래의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콘크리트재질의 테트라포드의 제작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무게가 무거워 운반 및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의 강도가 부족하여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될 뿐 아니라 시공후에도 해류나 파도에 의해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시공후에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의 주성분인 시멘트의 석회석 등의 유해물질이 방출되므로 바다 생물의 식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콘크리트 테트라포드를 재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테트라포드의 제작 및 취급,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테트라포드 제작원가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취급과정이나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파랑에 의한 테트라포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파랑의 압력을 감쇄할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해저에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각 철재기둥에 내부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통수구멍이 형성된 하부 테트라포드;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수에 따라 해수면 아래로 침수되거나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중의 어느 하나의 철재기둥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중간 테트라포드;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항상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된 상부 테트라포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가 상부 수직 철재기둥, 하부 수직 철재기둥,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이 접합된 형태이고,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가 상부 수직 철재기둥, 하부 수직 철재기둥,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이 접합된 형태이고,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가 하부 수직 철재기둥과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이 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의 각 철재기둥의 외주 및 외측단에 통수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철재기둥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멍이 중간 테트라포드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의 철재기둥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멍이 상부 테트라포드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각 테트라포드의 각 철재기둥이 접합측 직경과 외측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은 각 테트라포드의 각 철재기둥이 접합측 직경보다 외측 직경이 작은 콘기둥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강관과 강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각 테트라포드를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부품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중공체로 제작되는 각 테트라포드의 운반이나 시공이 용이하게 되어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시공하는 과정에서 각 테트라포드에 바닷물 또는 물을 충전하여 충분한 중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으로 해류 및 파도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시공전의 각 테트라포트의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강하게 되므로 운반이나 그 밖의 취급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의 우려가 적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시공후에 해류 및 파도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 변형이 없게 되므로 장기간 동안 보다 안정적으로 파랑을 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시공후에 각 테트라포드에서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게 되어 바다 생물의 식생에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해상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에 의하면, 사용을 마친 각 테트라포드를 바다에서 수거하여 다른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의 변천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7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10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11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7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10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도 11은 동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100)은 하부 테트라포드(110), 중간 테트라포드(120), 상부 테트라포드(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하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하부 테트라포드(110)는 해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항상 침수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는 상부 수직 철재기둥(111), 하부 수직 철재기둥(112),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13)이 접합된 형태이다.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각 철재기둥(111)(112)(113)의 외측단은 밀폐되고, 접속측단은 개방된다.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각 철재기둥(111)(112)(113)의 외주 및 외측단에는 통수구멍(114)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해저에 투입되는 때에 각 통수구멍(114)을 통해 각 철재기둥(111)(112)(113)의 내부에 바닷물이 충전된다.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는 다수개가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중간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중간 테트라포드(120)는 해저에 일정 높이로 적층된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조수에 따라 해수면 아래로 침수되거나 해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는 전술한 하부 테트라포드(110)와 마찬가지로 상부 수직 철재기둥(121), 하부 수직 철재기둥(122),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23)이 접합된 형태이다.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각 철재기둥(121)(122)(123)의 외측단은 밀폐된다.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상부 수직 철재기둥(121)의 외측단에는 각 철재기둥(121)(122)(123)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24)이 형성된다.
상기 물주입구멍(124)은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125)를 통해 밀폐된다.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10)는 전술한 하부 테트라포드(12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경사방향으로 설치되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된다.
도 7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상부 테트라포드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상부에 일정 높이로 적층된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항상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전술한 하부 테트라포드(110), 중간 테트라포드(120)와 달리 상부 수직 철재기둥이 없고, 하부 수직 철재기둥(132)과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33)이 접합된 형태이다.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각 철재기둥(132)(133)의 외측단은 밀폐되고, 접속측단은 개방된다.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32) 중의 어느 하나의 외측단에는 각 철재기둥(132)(133)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34)이 형성된다.
상기 물주입구멍(134)은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135)를 통해 밀폐된다.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하부 수직 철재기둥(132)이 중간 테트라포드(130)의 각 철재기둥(121)(122)(123) 사이의 틈새로 삽입되고 중앙 수평 철재기둥(133)이 중간 테트라포드(130)의 각 철재기둥(121)(122)(123)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100)은 바닷물의 수위가 가장 낮은 간조시에는 하부 테트라포드(110)를 통해 해저 부분 및 해수면 부위의 파랑을 감쇄한다.
또한, 바닷물의 수위가 가장 높은 만조시에는 하부 테트라포드(110)를 통해 해저 부분의 파랑을 감쇄하고, 내부에 물이 충전된 중간 테트라포드(120)를 통해 해수면 부위의 파랑을 감쇄한다.
상기에서 내부에 물이 충전된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중간 테트라포드(120) 및 하부 테트라포드(120)를 가압하여 전체 방파구조물이 위치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파랑을 감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100)의 하부 테트라포드(110), 중간 테트라포드(120),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강관 및 강판을 절단, 용접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테트라포드(110)(120)(130)의 제작과정에서 바닷물에 접촉되는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외부 표면,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외부 표면에는 바닷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식도료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100)의 하부 테트라포드(110), 중간 테트라포드(120),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중공상으로 형성되어 시공전에는 비교적 가볍게 되므로 운반 및 취급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시공하는 과정에서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내부에는 바닷물이 충전되고,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내부 및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내부에는 물이 충전되므로 기존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은 수준의 중량감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으로 파랑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100)의 하부 테트라포드(110), 중간 테트라포드(120),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중공상의 철재로 제작되므로 무게가 가볍고 강도가 강하게 되어 시공전에 운반이나 그 밖의 취급과정에서의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의 우려가 적게 된다.
또한, 시공후에도 파랑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 변형이 없게 되므로 장기간 동안 보다 안정적으로 파랑을 감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각 테트라포드는 접합측 직경과 외측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태가 아니라 접합측 직경보다 외측 직경이 작은 콘기둥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콘기둥 형태의 테트라포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의 각 테트라포드의 철재기둥 형태 및 개수는 예측 가능한 범위내에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통수구멍(114),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물주입구멍(124),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물주입구멍(134)의 형태나 위치, 개수도 예측 가능한 범위내에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물주입구멍(124)이나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물주입구멍(134)은 물의 주입이 용이하도록 중앙 수평 철재기둥의 외주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100 : 방파구조물
110 : 하부 테트라포드
111, 112, 113 : 철재기둥
114 : 통수구멍
120 : 중간 테트라포드
121, 122, 123 : 철재기둥
124 : 물주입구멍
130 : 상부 테트라포드
132, 133 : 철재기둥
134 : 물주입구멍
110 : 하부 테트라포드
111, 112, 113 : 철재기둥
114 : 통수구멍
120 : 중간 테트라포드
121, 122, 123 : 철재기둥
124 : 물주입구멍
130 : 상부 테트라포드
132, 133 : 철재기둥
134 : 물주입구멍
Claims (7)
- 삭제
- 해저에 설치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111)(112)(113)을 구비하며, 각 철재기둥(111)(112)(113)에 내부로 바닷물이 유입되는 통수구멍(114)이 형성된 하부 테트라포드(110);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조수에 따라 해수면 아래로 침수되거나 해수면 위로 노출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121)(122)(123)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121)(122)(123)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121)(122)(123)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24)이 형성된 중간 테트라포드(120);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항상 해수면 위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철재기둥(132)(133)을 구비하며, 다수의 철재기둥(132)(133)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132)(133)의 내부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34)이 형성된 상부 테트라포드(1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는,
상부 수직 철재기둥(111), 하부 수직 철재기둥(112),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13)이 접합된 형태이고,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는,
상부 수직 철재기둥(121), 하부 수직 철재기둥(122), 그리고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23)이 접합된 형태이고,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는,
하부 수직 철재기둥(132)과 120°로 배열된 3개의 중앙 수평 철재기둥(133)이 접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테트라포드(110)의 각 철재기둥(111)(112)(113)의 외주 및 외측단에 통수구멍(1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철재기둥(121)(122)(123)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121)(122)(123)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24)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멍(124)은 중간 테트라포드(12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125)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철재기둥(132(133) 중의 어느 하나에 각 철재기둥(132)(133)의 내부에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물주입구멍(134)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입구멍(134)은 상부 테트라포드(130)의 내부에 물을 주입한 후에 판상마개(135)를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668A KR1014853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JP2015174929A JP2016070053A (ja) | 2014-09-24 | 2015-09-04 | 鉄材テトラポッドを利用した防波構造物 |
TW104129836A TW201623739A (zh) | 2014-09-24 | 2015-09-09 | 使用鋼消波塊的防波堤結構 |
PH12015000313A PH12015000313A1 (en) | 2014-09-24 | 2015-09-15 | Breakwater structure using steel tetrap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7668A KR1014853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85362B1 true KR101485362B1 (ko) | 2015-01-26 |
Family
ID=5259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7668A KR101485362B1 (ko) | 2014-09-24 | 2014-09-24 |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2016070053A (ko) |
KR (1) | KR101485362B1 (ko) |
PH (1) | PH12015000313A1 (ko) |
TW (1) | TW201623739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956B1 (ko) * | 2015-12-30 | 2016-03-11 |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 소파블록 |
KR101639187B1 (ko) * | 2016-02-29 | 2016-07-13 |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 소파블록 |
KR101957688B1 (ko) * | 2018-12-11 | 2019-03-13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사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57689B1 (ko) * | 2018-12-11 | 2019-03-13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절곡된 원기둥을 이용한 사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63099B1 (ko) * | 2019-01-11 | 2019-03-27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소파블록 제조용 코어기둥 및 이를 사용한 소파블록 |
KR101972769B1 (ko) * | 2018-12-11 | 2019-04-29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육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72771B1 (ko) * | 2018-12-11 | 2019-09-02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절곡된 원기둥을 이용한 육면체형 소파블록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759834B (zh) * | 2020-08-26 | 2022-04-01 | 國立中山大學 | 消波塊的排列結構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395Y1 (ko) * | 2002-11-18 | 2003-03-07 | 주식회사 에코비전 | 테트라포드 |
KR20040095470A (ko) * | 2003-05-09 | 2004-11-15 | 유동훈 | 강재 소파 블록 |
KR101214463B1 (ko) * | 2011-12-14 | 2012-12-21 | 이승현 |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
KR101395056B1 (ko) * | 2013-05-22 | 2014-05-19 | 최미영 | 피복재와 인공어초를 위한 펜타포드형 소파블록, 그 거치방법 및 제작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424539Y1 (ko) * | 1965-07-05 | 1969-10-16 | ||
JPS516448B1 (ko) * | 1966-08-25 | 1976-02-27 | ||
JPS53139307A (en) * | 1977-05-12 | 1978-12-05 | Sukeo Tsurumi | Framework for sixxleg block |
JPS5456228A (en) * | 1977-10-11 | 1979-05-07 | Iori Kikuchi | Hollow fourrlegs block |
JPS565018U (ko) * | 1979-06-19 | 1981-01-17 | ||
JPS58178707A (ja) * | 1982-04-13 | 1983-10-19 | Takenaka Komuten Co Ltd | 消波工 |
GB2197370A (en) * | 1986-09-03 | 1988-05-18 | Juei Jse Lin | Wave dissipation device |
JP5876301B2 (ja) * | 2012-01-25 | 2016-03-02 |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 水域構造物 |
-
2014
- 2014-09-24 KR KR1020140127668A patent/KR10148536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
- 2015-09-04 JP JP2015174929A patent/JP2016070053A/ja active Pending
- 2015-09-09 TW TW104129836A patent/TW201623739A/zh unknown
- 2015-09-15 PH PH12015000313A patent/PH12015000313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6395Y1 (ko) * | 2002-11-18 | 2003-03-07 | 주식회사 에코비전 | 테트라포드 |
KR20040095470A (ko) * | 2003-05-09 | 2004-11-15 | 유동훈 | 강재 소파 블록 |
KR101214463B1 (ko) * | 2011-12-14 | 2012-12-21 | 이승현 | 다각형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
KR101395056B1 (ko) * | 2013-05-22 | 2014-05-19 | 최미영 | 피복재와 인공어초를 위한 펜타포드형 소파블록, 그 거치방법 및 제작방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2956B1 (ko) * | 2015-12-30 | 2016-03-11 |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 소파블록 |
KR101639187B1 (ko) * | 2016-02-29 | 2016-07-13 |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 소파블록 |
KR101957688B1 (ko) * | 2018-12-11 | 2019-03-13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사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57689B1 (ko) * | 2018-12-11 | 2019-03-13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절곡된 원기둥을 이용한 사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72769B1 (ko) * | 2018-12-11 | 2019-04-29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육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72771B1 (ko) * | 2018-12-11 | 2019-09-02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절곡된 원기둥을 이용한 육면체형 소파블록 |
KR101963099B1 (ko) * | 2019-01-11 | 2019-03-27 | 정품건설산업 주식회사 | 소파블록 제조용 코어기둥 및 이를 사용한 소파블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6070053A (ja) | 2016-05-09 |
PH12015000313A1 (en) | 2017-10-02 |
TW201623739A (zh) | 2016-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85362B1 (ko) |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 |
JP6279147B2 (ja) |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 |
EP2993345B1 (en) | Floating structure | |
KR102252117B1 (ko) | 해저 기부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 |
KR102368919B1 (ko) |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 |
KR101588820B1 (ko) |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
KR101602956B1 (ko) | 소파블록 | |
KR102196017B1 (ko) | 수상 부유 구조물 | |
CN109763455B (zh) | 透空式防波堤 | |
JP5136589B2 (ja) | 水中構造物の補強梁と補強工法 | |
KR102310131B1 (ko) |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 |
KR101252709B1 (ko) | 부력 프리플렉션을 갖는 해상 부유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CN204059175U (zh) | 一种漂浮码头的混凝土浮桥 | |
WO2014042370A1 (ko) | 폐타이어를 이용한 콘크리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과 해안구조물 | |
JP2015105468A (ja) | 護岸構造 | |
KR101240871B1 (ko) | 조립식 부잔교 | |
CN103758180B (zh) | 一种防护装置 | |
CN105926531B (zh) | 一种基于frp材料的箱网型浮式防波堤 | |
KR102253127B1 (ko) | 다기능 부유체 | |
KR102301787B1 (ko) | 방괴 유닛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 |
CN104109996B (zh) | 一种漂浮码头的混凝土浮桥 | |
KR200475727Y1 (ko) | 폰툰 조립체 | |
KR101639187B1 (ko) | 소파블록 | |
JP5458441B2 (ja) | 環境配慮型海上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102368917B1 (ko) |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방파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