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20B1 -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20B1
KR101588820B1 KR1020150144171A KR20150144171A KR101588820B1 KR 101588820 B1 KR101588820 B1 KR 101588820B1 KR 1020150144171 A KR1020150144171 A KR 1020150144171A KR 20150144171 A KR20150144171 A KR 20150144171A KR 101588820 B1 KR101588820 B1 KR 10158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pipe
insertion hole
cros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균
Original Assignee
안원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균 filed Critical 안원균
Priority to KR102015014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20B1/ko
Priority to PCT/KR2016/011287 priority patent/WO20170654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8Landing stages for vessels
    • B63B273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원력 형성과 구조 안정이 향상된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수개의 부력파이프에 무게중심을 형성 할 수 있는 자중값 높은 부력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해상부유구조물이 태풍, 바람, 파도 등의 외력에도 균형을 유지하므로 구조 안정성 증대 및 복원력이 형성될 수 있는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Buoyance body and offshore floa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원력 형성과 구조 안정이 향상된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다수개의 부력파이프에 무게중심을 형성 할 수 있는 자중값 높은 부력체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해상부유구조물이 태풍, 바람, 파도 등의 외력에도 균형을 유지하므로 구조 안정성 증대 및 복원력이 형성될 수 있는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해상부유구조물인 부잔교, 해상가두리양식장, 부유식 해상레저시설, 부유식 해상낚시터, 해상작업선, 해상바지, 부유소파제, 부교, 부유데크 등은 부유구조물 하부에 부력구조를 설치하여 부상시키고 있는데, 이러한 부구는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계류된다.
상기 부구를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수단은 부유체의 특성과 제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기존의 해상부유물은 부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티로폼 부자, 부력파이프, 목재 등을 이용했고, 스티로폼 부자의 경우 내구성이 약하여 해양 환경을 심각하게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국제 환경규약에 따라 국내에서도 스티로폼 부자를 사용한 가두리 양식장의 신설이 금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내부식성과 내파능력 및
친환경성이 매우 우수한, 버트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융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한 부력파이프 및 브라켓으로 구성된 해상 부유구조물로 대체하고 있다.
폴리에틸렌 해상부유구조물의 일반적 구조로는 평바지 형태로 하부에 다수의 부력재를 평행되게 일렬로 배열된 형태로 제작되나, 일반적인 해상구조물인 선박, 함체 등은 복원력 및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감을 증대하기 위한 구조인 역삼각형 구조의 흘수선과 해상구조물의 하부에 무게중심을 두어 외력에 의한 좌초,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고 그 재료는 강철,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된다.
폴리에틸렌 해상부유구조물의 무게중심은 구조물 하부 어디에도 구조적 장치가 없는 평면구조로 흘수선이 매우 높은 구조, 또한 폴리에틸렌 해상부유구조물의 자중값은 폴리에틸렌 재료의 특성상 물과 비슷한 0.95의 비중을 가지고 있어 흔들림, 좌초, 복원력 부족등 안정감이 취약한 문제가 있어 해상에 부유되는 시설로 구조적 안정과 안전한 구조물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부력파이프들을 하부의 홀에서 지지하고, 상면에는 발판부재들을 결합하도록 된 해상 구조물용 부력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서로 결합되는 인접한 커플링들에 의해 지지되는 부력파이프들 사이의 보수유지용으로 접근가능하게 공간이 확보되도록 커플링에는 하나의 부력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홀이 양측면이 경사진 하부에 하나만 형성되고, 하단부가 홀을 향하여 경사져 있고, 상측의 발판부재들과 부력파이프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도록 격자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측방에서 결합되는 인접한 커플링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일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한편, 타측면에는 인접한 커플링의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원통형부분이 일체로 형성된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은 대형의 부력파이프들을 일정 간격으로 유지함과 동시에 대형 해상구조물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부력파이프들 사이의 간격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부력파이프와 브라켓 상면에 조립되는 발판부재들 사이의 간격 또한 증대시켜 수중에서 유지되는 부력파이프들에 대하여 작업자가 보수유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폴리에틸렌 부력파이프의 자중이 매우 가벼워 해상에서 태풍, 파랑, 파도에 의해 흔들림이 항상 발생하고 구조적측면에서 브라켓과 상부발판이 조립 구조연결위치에서 이탈하거나,
조립된구간의 손상으로 인해 구조물의 변형과 내구력이 떨어지고 부력파이프의 부력공간 침수로 부력유지 기능을 상실하고, 해상 부유구조물하부 평구조의 취약함으로 복원력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전복 및 좌초의 위험성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흔들리는 부유구조물 위에서 사용자의 크고 작은 안전사고 발생, 사용 편리성 저하 등 부유구조물 안정성이 형성되지 않아 상시사용자의 안전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582호(2008.02.15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33504호(2014.08.18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는 장치로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는 몸체의 양단에 설치되는 환봉형 밀폐단관으로 이루어진 자중값 높은 부력체를 다수개의 부력파이프들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해상부유구조물이 태풍, 바람, 파도 외력에도 부력 및 균형을 유지하고 흔들림을 감소하여 구조안정성 향상과 복원력을 형성하며 구조물 하부 부력구조에 무게중심을 낮춰 외력에 의한 침몰, 좌초를 막을 수 있는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부력체는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롤링, 이탈, 쏠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중값을 높여 부유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부력체(40)로서,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중공형이며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고 자중값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고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력체를 이용한 해상 부유구조물은 최상단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며 일단 또는 역삼각형의 다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브라켓(20);
상기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
상기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부력파이프(30)의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 중공형으로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며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에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설치되는 로프(420)가 연결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412) 내측에 사방향으로 관통된 십자형삽입홀(416)과 일단면 중앙에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과 연통되게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비된 자중값 높은 부력체(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는 원형의 연결링(431)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단부에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삽입되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구조물의 계류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구조물.
본 발명은 내부에 충진재가 주입된 원통형의 몸체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환봉형 밀폐단관으로 이루어진 부력체를 다수개의 부력파이프에 일체형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부력파이프의 무게중심값을 높일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자중값을 높이거나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중값 높은 부력체로 인해 해상부유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춰주므로 부력파이프의 균형유지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복원성을 형성시키므로 전복, 좌초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상부유시설물 이용자의 흔들림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이는 효과와 해상부유구조물 상에서 각종 활동시 넘어지거나 울렁거림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상부유구조물이 인접한 선박, 해상시설에 부딪혀 발생하는 피해를 감소 경제적 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설치된 해상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상세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봉형 밀폐단관을 도시한 상세도.
<6A-환봉형 밀폐단관 정단면도, 6B-환봉형 밀폐단관의 측단면도, 6C-연결부재가 결합된 환봉형 밀폐단관의 측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는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롤링, 이탈, 쏠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중값을 높여 부유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부력체(40)로서,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중공형이며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고 자중값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고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은 상기 부력파이프(30)를 밀폐시키는 마감캡으로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는 오목홈(412) 내측에 사방향으로 관통된 십자형삽입홀(416)과, 일단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관통되어 상기 십자형삽입홀(416)과 연통되게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되며,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는 계류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도록 원형의 연결링(431) 외측으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및 일자형삽입홀(417)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단부에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삽입되고 고정홀(432)을 관통하여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목홈(412)에는 자중값을 높이기 위해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연결된 로프(4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양단면에는 인접하는 상기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의 외경과 대응되는 삽입홈(4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 부력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은 최상단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며 일단 또는 역삼각형의 다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브라켓(20);
상기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
상기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부력파이프(30)의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 중공형으로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며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에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설치되는 로프(420)가 연결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412) 내측에 사방향으로 관통된 십자형삽입홀(416)과 일단면 중앙에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과 연통되게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비된 자중값 높은 부력체(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는 원형의 연결링(431)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단부에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삽입되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구조물의 계류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가 설치된 해상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력체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환봉형 밀폐단관을 도시한 상세도<6A-환봉형 밀폐단관 정단면도, 6B-환봉형 밀폐단관의 측단면도, 6C-연결부재가 결합된 환봉형 밀폐단관의 측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은 가벼운 중량과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관통홀이 형성되어 각 부력파이프(30)가 관통되게 결합되고,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를 해상에서 지지하기 위해 측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서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력파이프(30)는 폴리에틸렌 재질이며 내부에 부력공간을 갖도록 내부 중공형으로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해상 부유구조물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자중값을 높혀 무게중심을 형성하는 부력체(40)는 상기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일체형으로 융착 결합되며, 부력체(40)의 자중에 의해 브라켓(20)에 각각 설치된 부력파이프(30)의 무게중심을 낮춰주므로 균형유지 및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랑, 너울, 또는 심한 파동 등에 의한 부력파이프(30)의 롤링 및 피칭, 이탈, 유동 등을 방지하고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와의 연결을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체(4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설치되는 환봉형 밀폐단관(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00)는 상기 브라켓(20)의 관통홀에 결합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재질이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내부 중공형이고 내부에는 자중값을 높이기 위한 충진재(C)가 주입된다.
또한 상기 몸체(400)는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400)에 주입되는 충진재(C)는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하여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400)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은 상기 몸체(400)와 동일한 재질로서 상기 몸체(400)의 양단부에 각각 맞대 융착으로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몸체(400)를 밀폐시키며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와도 맞대 융착으로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환봉형의 막힌 단관이며 중앙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오목홈(412)이 형성된다.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 형성된 오목홈(412)은 상기 부력체(40)의 자중값을 더욱 높여 부력체의 무게중심을 낮추고져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고정된 로프(420)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무게추(421)는 돌, 멍, 쇠 등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는 상기 몸체(400)에 결합된 브라켓(20)이 태풍이나 심한 파도 등에 의해 몸체(400)의 결합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브라켓(20)의 관통홀 직경보다 크게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되어 브라켓(20)을 몸체(400)의 결합위치에 고정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는 양단면으로 결합되는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와의 융착결합 및 밀폐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의 외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삽입홈(415)이 형성된다.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은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재질로 몸체(400) 및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에 맞대 융착시 융착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은 단일로도 사용가능하여 구조물의 끝단에 설치되는 부력파이프(30)의 일단을 밀폐시키는 마감캡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고, 신규로 연장되는 해상부유구조물에 설치되는 부력파이프를 기존의 해상부유구조물에 설치된 부력파이프에 맞대융착할 경우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기존에는 구조물 계류 또는 인양시 계류줄 또는 체인을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유파이프에 감아서 묶는 방법을 이용하여 계류줄 또는 체인이 부력파이프의 외면에서 미끄러지면서 계류줄 또는 체인이 이탈하고, 연성값이 높은 폴리에틸렌 재질의 부력파이프가 꺽이고 잦은 마찰에 의해 부력파이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오목홈(412) 내측으로는 상,하,좌,우의 십자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된 십자형삽입홀(416)이 형성되고,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일단면 중앙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관통되되, 상기 십자형삽입홀(416)의 중앙부로 연통되게 관통되는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되어 계류줄, 체인 등을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상기 일자형삽입홀(417)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구조물의 계류고정 및 인양, 견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원형의 연결링(431)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431)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되,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및 일자형삽입홀(417)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돌출되며 일단부에는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430)의 설치는 상기 연결링(431)이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일단면 또는 일측으로 설치되도록 연결부재(430)를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 삽입하고 볼트를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 삽입하되 상기 연결부재(430)의 고정홀(432)을 관통하여 삽입하고, 볼트는 양단을 너트로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430)가 환봉형 밀폐단관(410)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구조물(부유파이프, 해상부유구조물)의 계류고정, 인양, 견인시에 상기 연결부재(430)의 연결링(431)이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일단면 또는 일측으로 설치되어 샤클, 계류줄, 체인 등을 연결링(431)에 손쉽게 고정시키므로 구조물을 안정성있게 고정시킬뿐 아니라 구조물의 인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부력체(40)를 이용하여 해상부유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다.
최상단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20)에 각각 부력파이프(30)를 관통시켜 설치하되, 상기 브라켓(20)은 다수개를 일단 또는 역삼각형의 다단 형태로 설치하여 무게중심이 하부로 집중되므로 브라켓(20)이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에는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충진재(C)가 주입된 원통형의 몸체(400) 양단으로 환봉형상이며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일체형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자중값을 높인 부력체(40)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다수개 선택적으로 설치하되 맞대 융착으로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부력체(40)의 자중에 의해 구조물의 자중값을 높혀 파랑, 너울, 심한 파도 등에 의한 외력에도 부력파이프(30)의 롤링 및 피칭, 결합위치에서의 이탈 및 유동 등을 방지하여 해상 구조물이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며 전복, 좌초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과 구조체가 인접한 선박 등의 부유체를 훼손하는 것을 저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는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 형성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 원형의 연결링(431)이 부력파이프(30)의 끝단에 설치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일단면 또는 부력체(40)에 설치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430)를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 삽입한 후 볼트 및 너트로 고정시켜 준다.
그래서 해상부유구조물의 계류 및 인양시에 상기 연결링(431)에
샤클, 계류줄, 체인 등을 손쉽게 연결하여 안정성있고 용이하게 해상부유구조물을 계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해상부유구조물은 각 부력체(40)와 부유파이프(30)를 맞대 융착시킨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부력파이프(30)의 움직임에도 브라켓과 상부발판 등 조립된 연결부위가 분리, 손상, 갈라짐, 이탈되는 문제점을 차단하여 어떠한 외력에도 구조가 변형, 손상되지 않게 유지할 수 있으며, 자중값을 높이거나 조절하여 무게중심이 선박처럼 홀수선 아래에 있어 해상부유구조물의 전복, 좌초, 흔들림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안정된 구조와 복원력을 형성하여 시설이용자의 안전과 해상부유구조물의 내구성이 증진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발판
20-브라켓
30-부력파이프
40-부력체
C-충진재
400-몸체
410-환봉형 밀폐단관
412-오목홈
414-이탈방지턱
415-삽입홈
416-십자형삽입홀
417-일자형삽입홀
420-로프
421-무게추
430-연결부재
431-연결링
432-고정홀

Claims (7)

  1.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롤링, 이탈, 쏠림을 감소시키기 위한 자중값을 높여 부유구조물의 무게중심을 낮추는 부력체(40)로서,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중공형이며 상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는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고 자중값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고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에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이 형성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성되며,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은 상기 부력파이프(30)를 밀폐시키는 마감캡으로 사용가능하고,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에는 오목홈(412) 내측에 사방향으로 관통된 십자형삽입홀(416)과 일단면 중앙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관통되어 상기 십자형삽입홀(416)과 연통되게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는 계류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도록 원형의 연결링(431) 외측으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및 일자형삽입홀(417)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단부에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삽입되고 고정홀(432)을 관통하여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412)에는 자중값을 높이기 위해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연결된 로프(4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양단면에는 인접하는 상기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400) 및 부력파이프(30)의 외경과 대응되는 삽입홈(4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체.
  7. 최상단부에 다수의 발판(10)이 결합되며 일단 또는 역삼각형의 다단 형태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브라켓(20);
    상기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어 브라켓(20)을 해상에 부유시키는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
    상기 다수개의 부력파이프(3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외력에 의한 부력파이프(30)의 흔들림을 감소시키기 위해 브라켓(20)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부력파이프(30)의 직경과 동일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 중공형으로 내부에 콘크리트, 돌, 모래, 물, 쇠가루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충진재(C)가 주입되는 원통형의 몸체(400)와 상기 몸체(400)의 양단에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몸체(400)를 밀폐시키며 인접하는 부력파이프(30)와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환봉형상으로 중앙부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파인 오목홈(412)에 하단부에 무게추(421)가 설치되는 로프(420)가 연결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탈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412) 내측에 사방향으로 관통된 십자형삽입홀(416)과 일단면 중앙에서 상기 십자형삽입홀(416)과 연통되게 일자형삽입홀(417)이 형성된 환봉형 밀폐단관(410)이 구비된 자중값 높은 부력체(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환봉형 밀폐단관(410)의 상기 십자형삽입홀(416) 또는 일자형삽입홀(417)에는 원형의 연결링(431)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며 일단부에 고정홀(432)이 형성된 연결부재(430)가 삽입되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구조물의 계류 및 인양을 용이하게 하도록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부유구조물.
KR1020150144171A 2015-10-15 2015-10-15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58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71A KR101588820B1 (ko) 2015-10-15 2015-10-15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PCT/KR2016/011287 WO2017065462A1 (ko) 2015-10-15 2016-10-10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171A KR101588820B1 (ko) 2015-10-15 2015-10-15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820B1 true KR101588820B1 (ko) 2016-01-26

Family

ID=5530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171A KR101588820B1 (ko) 2015-10-15 2015-10-15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8820B1 (ko)
WO (1) WO201706546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39B1 (ko) 2016-07-05 2017-03-14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716340B1 (ko) 2016-12-30 2017-03-27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825931B1 (ko) 2017-05-22 2018-02-09 (주)지주 건현 조절이 가능한 수상 구조물
KR101998054B1 (ko) * 2019-05-13 2019-07-08 이현상 수상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JP2019127812A (ja) * 2018-01-25 2019-08-01 栄一 上野 津波防止システム。
KR102628366B1 (ko) * 2022-12-08 2024-01-23 주식회사 블로우 수질 정화 기능이 구비된 부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43925B (zh) * 2020-10-10 2022-07-19 江苏科技大学 一种浮式阻流与阻沙多功能装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76Y1 (ko) * 2000-12-21 2001-09-25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연결소켓이 일체로 구비된 이중벽 편수관
KR200438582Y1 (ko) 2007-02-14 2008-02-21 인재훈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20100003809A (ko) * 2008-07-02 2010-01-12 이종태 파이프소켓용 그랩링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101240871B1 (ko) * 2012-12-31 2013-03-12 주식회사 프라코 조립식 부잔교
KR101433504B1 (ko) 2013-01-22 2014-08-22 (주)아이시스이엔씨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954Y1 (ko) * 2012-01-10 2014-04-01 김은숙 부유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흔들림을 감소시키는 웨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9076Y1 (ko) * 2000-12-21 2001-09-25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연결소켓이 일체로 구비된 이중벽 편수관
KR200438582Y1 (ko) 2007-02-14 2008-02-21 인재훈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20100003809A (ko) * 2008-07-02 2010-01-12 이종태 파이프소켓용 그랩링
KR20110124696A (ko) * 2011-01-28 2011-11-17 (주)제이씨 수상 산책로
KR101240871B1 (ko) * 2012-12-31 2013-03-12 주식회사 프라코 조립식 부잔교
KR101433504B1 (ko) 2013-01-22 2014-08-22 (주)아이시스이엔씨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339B1 (ko) 2016-07-05 2017-03-14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716340B1 (ko) 2016-12-30 2017-03-27 고덕선 수평 복원력이 빠른 부력구조물
KR101825931B1 (ko) 2017-05-22 2018-02-09 (주)지주 건현 조절이 가능한 수상 구조물
JP2019127812A (ja) * 2018-01-25 2019-08-01 栄一 上野 津波防止システム。
KR101998054B1 (ko) * 2019-05-13 2019-07-08 이현상 수상 부유 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2628366B1 (ko) * 2022-12-08 2024-01-23 주식회사 블로우 수질 정화 기능이 구비된 부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462A1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820B1 (ko)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ES2516590B1 (es) Estructura sumergible de soporte activo para torres de generadores y subestaciones o elementos similares, en instalaciones marítimas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CN110382781B (zh) 用于在海洋环境中利用重力铺设建筑物、设备和风力涡轮机的基础的海事结构
JP2017521296A5 (ko)
KR102252117B1 (ko) 해저 기부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120079447A (ko) 근해 부력식 시추, 생산, 저장 및 하역 구조물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JP2016070053A (ja) 鉄材テトラポッドを利用した防波構造物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EP3286069B1 (fr) Support flottant avec section horizontale variable avec la profondeur
CN113982025A (zh) 一种海上风机的导管架基础结构及其施工方法
EP3490882B1 (fr) Support flottant comportant un flotteur et une plaque d&#39;amortissement munie d&#39;une rangee d&#39;orifines
CN107268649B (zh) 一种提高筒型基础的浮运水封与负压下沉稳定性的装置
WO2011139650A2 (en) Boom mooring system
NO136422B (ko)
CN205409135U (zh) 固定网箱用拼装式水泥墩锚系统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CN103552659A (zh) 能够快速布设的轻型航道浮标
CN102991646A (zh) 一种重力锚及其制造方法
KR101227185B1 (ko) 안정성이 높은 콘크리트 부체
CN205337233U (zh) 一种用于网箱养殖的水泥墩锚
US20070204785A1 (en) Ballast extension-submersion truss stable platform
CN211646447U (zh) 一种用于海上风电基础的抗冰锥结构
EP3490883B1 (fr) Éolienne marine comprenant une éolienne et un support flott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