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504B1 -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 Google Patents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504B1
KR101433504B1 KR1020130007144A KR20130007144A KR101433504B1 KR 101433504 B1 KR101433504 B1 KR 101433504B1 KR 1020130007144 A KR1020130007144 A KR 1020130007144A KR 20130007144 A KR20130007144 A KR 20130007144A KR 101433504 B1 KR101433504 B1 KR 101433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ody
buoyant
outer tube
tub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382A (ko
Inventor
주형중
남정훈
이남형
서수홍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시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시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아이시스이엔씨
Priority to KR102013000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5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8Rafts, i.e. free floating waterborne vessels, of shallow draft, with little or no freeboard, and having a platform or floor for supporting a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0Foamed synthetic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관 구조로 부력체를 구성하여 부력체 내관을 보호하고, 부력체 외관내로 침수가 발생되더라도 부력이 유지되며, 부력체를 견고하게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력체 외관과, 부력체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력체 내관과, 부력체 외관의 양단에 접합되어 누수 침입을 차단하는 밀폐뚜껑을 갖는 이중관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 외관의 상부 양단에 각기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과; 상기 이중관 부력체를 상기 연결재에 고정시키는 부력체 고정수단; 및 상기 연결재에 연결되어 복수개 이상의 이중관 부력체에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Double pipe using Buoyance body module}
본 발명은 해상 및 내수면에 구조물을 부상시켜 놓기 위해 사용되는 부력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관 구조로 부력체를 구성하여 부력체 내관을 보호하고, 부력체 외관내로 침수가 발생되더라도 부력이 유지되며, 부력체를 견고하게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부력체는 해상 및 내수면에 다양한 목적의 구조물을 부상시켜 놓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부력체의 형상은 원통 형태를 갖는 스티로폼을 이용하며, 원통형 스티로폼에 막재 커버를 씌워 타이밴드로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나면 해수가 커버 내부로 침투하여 염분에 의해 원통형 스티로폼의 강도 등이 취약해져 일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더욱이 파도나 강풍 등에 의해 막재 커버 및 원통형 스티로폼이 쉽게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1차적으로 원통형 스티로폼을 감싸는 커버의 방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2차적으로 방수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2차 부력을 발생시켜 부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026543호로서, 부력체 지지장치와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체가 제시되어 있다. 이는 해상 또는 호수에 설치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체가 삽입되는 부력체 지지부와, 상기 부력체 지지부에 형성되며 결합공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고정부를 가지는 브라켓들과, 상기 각 브라켓들의 결합공들에 끼워져 부력체가 지지된 브라켓들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바로 이루어진 부력체 지지 장치들과, 상기 부력체가 지지된 부력체 지지장치의 고정바를 상호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하는 상판유닛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구조체를 제안한다.
그러나 전자의 배경기술은 부력체 내부로 침수가 일어날 경우 부력 기능이 즉시 상실되어 안전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특허등록 등록번호 제10-0880853호로서, '이피에스를 이용한 부력체 및 이 부력체를 이용한 폰툰'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면이 개방된 통체로서, 마주보고 있는 2개의 측벽은 암수결합을 위한 요철벽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벽면에는 판재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형성부가 내측벽면으로부터 대칭되게 돌출되며, 저면의 모서리부위에는 연결공이 타공된 받침대가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측벽의 상면에는 수개의 너트공이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너트공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수개의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덮여 고정됨으로써 밀폐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너트공에 부합되는 위치에 볼트공이 타공되며, 상기 몸체부의 측벽 상단과 암수결합할 수 있도록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그루브가 마련되며,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지지판이 직립하게 설치되는 뚜껑부; 상기 가이드홈형성부에 수직방향으로 끼워져 상기 내부 공간을 3개의 단위공간으로 구획하는 동시에, 완전히 끼워져 하단이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뚜껑부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서,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해 반복적으로 절곡되어 요철면을 가지는 형태이며, 경량화를 위해 곳곳에 구멍이 타공된 보강판; 상기 단위공간에 끼워지는 이피에스 재질의 경량블록; 상기 몸체부의 바닥판 또는 상기 뚜껑부의 저면중 어느 한 곳 이상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량블록 내부에 박히게 되는 압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은 몸체부의 단위공간에 경량블록이 전체적으로 채워지는 구조이므로 발포 재료를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51091호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8089호
본 발명은 이중관 구조로 부력체를 구성하여 부력체 내관을 보호하고, 부력체 외관내로 침수가 발생되더라도 부력이 유지되며, 부력체를 견고하게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력체 외관과, 부력체 외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력체 내관과, 부력체 외관의 양단에 접합되어 누수 침입을 차단하는 밀폐뚜껑을 갖는 이중관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 외관의 상부 양단에 각기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과;
상기 이중관 부력체를 상기 연결재에 고정시키는 부력체 고정수단; 및
상기 연결재에 연결되어 복수개 이상의 이중관 부력체에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 내관은 1개 이상의 중공홀을 갖고 자체부력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공홀에는 인서트 관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 내관은 부력체 외관내에 삽입된 1개 이상의 원형 또는 다각형의 인서트 관과 상기 부력체 외관과의 사이에 충전되어 1개 이상의 중공홀을 갖고 우레탄폼 또는 스티로폼 등 자체 부력을 갖는 것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는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과, 부력체 외관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수평판과 수직판을 연결하는 라운드판으로 구성된 한 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력체 고정수단은 양단이 각기 하나 이상의 연결재의 하부측 절곡 단부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 접합되는 개방형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력체 고정수단은 한 쌍의 연결재의 상,하부 절곡 단부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부력체 외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폐쇄형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력체 고정수단은 상기 부력체 외관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어 한 쌍의 연결재의 라운드 판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원형의 인너 체결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력체 고정수단은 상기 부력체 외관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어 하나 이상의 연결재의 라운드 판에 볼트와 너트로 체결 접합되는 호형의 인너 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의 내부에는 수평판과 수직판 및 라운드판에 보강리브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는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 부력체 외관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수직판을 연결하는 라운드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는 부력체 외관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된 라운드판, 라운드판의 양단에 상향으로 입설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접합 날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는 부력체 외관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된 라운드판, 라운드판의 양단에 상향으로 입설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접합 날개, 접합 날개와 라운트판에 접합되어 있는 보강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재는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수평판과, 수평판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 수직판의 하단에서 부력체 외관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절곡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견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체 고정수단은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부를 양단에 갖는 U자형의 강봉 또는 강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은, 부력체 내·외관을 구성한 이중관 구조로 구성하여 부력체 내관이 부력체 외관에 의해 보호되고, 부력체 외관 내부로 침수가 발생되더라도 부력체 내관 자체의 부력 발생에 의해 부력이 유지되어 내구성과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부력체 내관은 중공 형태로 구성되어져 발포재의 량이 적게 충전됨으로써 경제적인 부력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부력체 연결재과 부력체 고정수단에 의해 부력체가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어 부력체 모듈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견고한 부력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연결재의 변형예가 포함된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다른 실시 예로서 연결재의 변형예가 포함된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형태 연결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연결재을 적용한 도 1의 연결부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 연결재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연결재과 폐쇄형 밴드의 결합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재과 인너체결링의 분해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조립상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재과 인너띠판의 분해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조립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보강리브를 갖는 각 연결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연결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연결재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나타낸 조립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력체 고정수단인 강봉 또는 강선을 디양한 연결재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력체 모듈(10)은, 수중에서 부력을 받는 복수개 이상의 이중관 부력체(12)와, 이중관 부력체(12)에 탑재되는 베이스 프레임(13)과, 이중관 부력체(12)측에 복수개 이상으로 배치되어 베이스 프레임(13)에 연결되는 연결재(14 또는 14a)와, 이중관 부력체(12)를 상기 연결재(14 또는 14a)에 고정시키는 부력체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관 부력체(12)는, 도 2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력체 외관(121)과, 부력체 외관(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력체 내관(122)과, 부력체 외관(121)의 양단에 접합되어 있는 밀폐뚜껑(123)을 포함한다.
부력체 외관(121)은 경질의 플라스틱관 또는 탄소섬유 복합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력체 외관(121)의 길이와 외경은 베이스 프레임(13)에 탑재되는 구조물(예로, 태양광 모듈)을 수면위로 부상시키기 위한 부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부력체 내관(122)은 1개 이상의 중공홀(122a)을 갖는 우레탄폼 또는 스티로폼 등의 자체부력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고, 발포체의 중공홀(122a)에는 인서트 관(124)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 내관(122)은 부력체 외관(121)내에 삽입된 1개 이상의 인서트 관(124)과, 인서트 관(124)과 부력체 외관(121)과의 사이에 충전되는 발포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서트 관(124)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태로서 플라스틱관, 지관(종이관) 등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인서트 관(124)은 부력체 외관(1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따라서 인서트 관(124)을 하나 사용하면 도 2와 같이 중앙에 하나의 중공홀(122a)을 갖는 부력체 내관(122)이 부력체 외관(121)내에 충전되어 구성되며, 도 3과 같이 인서트 관(124)을 4개 사용하면 4개의 중공홀(122a)을 갖는 부력체 내관(122)이 부력체 외관(121)내에 충전되어 구성된다.
이같이 인서트 관(124)은 부력체 내관(122)에 하나 이상의 중공홀(122a)을 형성시킴으로써 발포 재료의 충전량을 감소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다.
밀폐뚜껑(123)은 부력체 외관(121)의 단부를 폐쇄시키는 면적을 갖는 원판형이나 또는 외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구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3)은 본 실시 예에서 H자 단면을 갖는 강재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구조나 특정한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연결재(14)는 도 4와 같이 기본적으로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141a)을 갖고 베이스 프레임(13)에 부착되는 수평판(141), 수평판(141)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142),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 단부(145)와 하부 단부(146)로 양단이 절곡되어 수평판(141)과 수직판(142)을 연결하는 라운드판(143)으로 구성된다. 연결재(14)는 후술할 다양한 부력체 고정수단에 의해 변형이 가해진다. 연결재(14)는 이중관 부력체(12)의 부력체 외관(121)에 2개소 이상 설치된다.
제 1실시 예의 부력체 고정수단은 도 4a 및 도 4b에서와 같이 양단이 각기 한 쌍의 연결재(14,14)의 하부측 절곡 단부(146)에 볼트(17a)와 너트(17b)의 체결로 접합되는 개방형 밴드(16)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형 밴드(16)의 내면이 부력체 외관(121)을 하부에서 감싸서 한 쌍의 연결재(14,14)에 연결된다.
제 2실시 예의 부력체 고정수단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한 쌍의 연결재(14)의 상,하부 절곡 단부(145,146)에 형성된 장공(145a,146a)을 관통하여 부력체 외관(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폐쇄형 밴드(16a)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개의 폐쇄형 밴드(16a)로 구성하였으나 1개의 폐쇄형 밴드(16a)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5b와 같이 폐쇄형 밴드(16a)의 내면 전둘레가 부력체 외관(121)의 전둘레를 감싸서 한 쌍의 연결재(14,14)에 연결시킨다. 여기서, 개방형 밴드(16)와 폐쇄형 밴드(16a)는 예로, 스테인레스 판재로 제작할 수 있다.
제 3실시 예의 부력체 고정수단은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부력체 외관(121)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어 한 쌍의 연결재(14,14)의 라운드 판(143,143)에 볼트(17a)와 너트(17b)로 체결 접합되는 원형의 인너 체결링(1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인너 체결링(16b)은 부력체 외관(121)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외경을 갖는다.
4실시 예의 부력체 고정수단은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부력체 외관(121)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어 한 쌍의 연결재(14,14)의 라운드 판(143,143)에 볼트(17a)와 너트(17b)로 체결 접합되는 호형의 인너 띠판(16c)으로 구성된다.
한편, 연결재(14)는 보강을 위해 수평판(141)과 수직판(142) 및 라운드판(143)에 도 8a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보강리브(147a)가 더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재(14a)이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연결재(14a)은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수평판(141')과, 수평판(14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142',142'),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절곡 단부(146,146)를 갖고 수직판(142',142')을 연결하는 라운드판(14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재(14a)에 연결되는 부력체 고정수단은 상술한 실시 예의 것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연결재(14a)에 폐쇄형 밴드(16a)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재(14a)은 도 9와 같이 보강을 위해 보강리브(147a')를 더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력체 모듈(10)은 도 1과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이중관 부력체(12)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이중관 부력체(12)는 연결재(14 또는 14a)과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13)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이중관 부력체(12)의 설치 개수 및 배치 방법은 베이스 프레임(13)에 탑재되는 구조물의 중량과 부상 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것으로 특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설치된 부력체 모듈(10)은 다양한 실시 예의 부력체 고정수단에 의해 도 1, 도 4b, 도 6b 및 도 7b와 같이 이중관 부력체(12)가 확고하게 연결재(14 또는 14a)를 통해 베이스 프레임(13)에 고정되어져 해상의 파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부상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밀폐뚜껑(123)의 밀폐력이나 부력체 외관(121)에 문제가 생겨 부력체 외관(121)의 내부로 침수가 일어나더라도 부력체 내관(122)이 갖는 부력에 의해 해상 구조물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결재(14a)는 도 11의 (가)와 같이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된 라운드판(143'), 라운드판(143')의 양단에 상향으로 입설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접합 날개(149)를 갖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나)와 같이 연결재(14a)는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된 라운드판(143'), 라운드판(143')의 양단에 상향으로 입설되어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면에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접합 날개(149), 접합 날개(149)와 라운트판(143')에 접합되어 있는 보강판(149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와 같이 연결재(14a)는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을 갖는 수평판(141')과, 수평판(141')의 양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142',142'), 수직판(142',142')의 하단에서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절곡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견착판(143a',143a')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부력체 고정수단은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볼트가 체결되는 나사부를 양단에 갖는 U자형의 강봉(30) 또는 강선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이중관 부력체
13: 베이스 프레임
14, 14a: 연결재
121: 부력체 외관
122: 부력체 내관
16a: 폐쇄형 밴드
16b: 인너 체결링
16c: 인너 띠판

Claims (14)

  1. 원통형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는 부력체 외관(121)과, 부력체 외관(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부력체 내관(122)과, 부력체 외관(121)의 양단에 접합되어 누수 침입을 차단하는 밀폐뚜껑(123)을 갖는 이중관 부력체(12)와;
    상기 부력체 외관(121)의 상부 양단에 각기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재(14 또는 14a)와;
    상기 이중관 부력체(12)를 상기 연결재(14 또는 14a)에 고정시키는 부력체 고정수단; 및
    상기 연결재(14 또는 14a)에 연결되어 복수개 이상의 이중관 부력체(12)에 지지되어 있는 베이스 프레임(1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재(14)는,
    복수 개 이상의 상부 체결구멍(141a)을 갖는 수평판(141)과, 수평판(141)의 일단에 직각으로 연결된 수직판(142)과, 부력체 외관(121)의 외경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호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절곡되어 수평판(141)과 수직판(142)을 연결하는 라운드판(143)으로 구성된 한 쌍을 갖고;
    부력체 고정수단은 한 쌍의 연결재(14)의 상,하부 절곡 단부(145,146)에 형성된 장공(145a,146a)을 관통하여 부력체 외관(1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폐쇄형 밴드(16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 내관(122)은 1개 이상의 중공홀(122a)을 갖고 자체부력을 갖는 발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홀(122a)에는 인서트 관(124)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14)의 내부에는 수평판(141)과 수직판(142) 및 라운드판(143)에 보강리브(147a 또는 147a')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007144A 2013-01-22 2013-01-22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KR101433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44A KR101433504B1 (ko) 2013-01-22 2013-01-22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44A KR101433504B1 (ko) 2013-01-22 2013-01-22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82A KR20140094382A (ko) 2014-07-30
KR101433504B1 true KR101433504B1 (ko) 2014-08-22

Family

ID=5174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144A KR101433504B1 (ko) 2013-01-22 2013-01-22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820B1 (ko) 2015-10-15 2016-01-26 안원균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947320B1 (ko) * 2018-08-02 2019-02-21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KR101947319B1 (ko) * 2018-08-02 2019-02-21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610B1 (ko) * 2018-11-07 2019-03-04 주식회사 혁신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고정밴드가 일체로 형성된 부표
KR102005924B1 (ko) * 2018-12-20 2019-08-01 에프엔에스솔루션 주식회사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102014832B1 (ko) * 2019-02-22 2019-08-27 방관수 양식장용 수상 태양광 발전장치
CN112189606B (zh) * 2020-10-30 2022-09-13 徐州企润食品有限公司 一种锦鲤养殖用网箱养殖浮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060A (ko) * 2009-08-21 2011-03-02 오세진 진동 및 충격 완화를 위한 파이프 부력체 고정 방법
KR20110020495A (ko) * 2009-08-24 2011-03-03 국태주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20110047003A (ko) * 2009-10-29 2011-05-0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구조물의 부유구 고정장치
KR101175766B1 (ko) * 2012-02-10 2012-08-21 주식회사 코와스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부력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060A (ko) * 2009-08-21 2011-03-02 오세진 진동 및 충격 완화를 위한 파이프 부력체 고정 방법
KR20110020495A (ko) * 2009-08-24 2011-03-03 국태주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20110047003A (ko) * 2009-10-29 2011-05-0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유식 구조물의 부유구 고정장치
KR101175766B1 (ko) * 2012-02-10 2012-08-21 주식회사 코와스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부력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820B1 (ko) 2015-10-15 2016-01-26 안원균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1947320B1 (ko) * 2018-08-02 2019-02-21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KR101947319B1 (ko) * 2018-08-02 2019-02-21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82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504B1 (ko) 이중관을 사용한 부력체 모듈
KR101535781B1 (ko) 부력 관의 밀폐 소켓
RU2012107912A (ru) Резервуар с армированной гофрированной мембраной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101545729B1 (ko) 충격완충기능을 갖는 해상구조물용 브라켓
KR101175766B1 (ko) 설치가 용이한 조립식 부력구조물
KR101986978B1 (ko) 해상부유구조물
US20160332704A1 (en) Prefabricated pontoon
WO2011014052A1 (en) Floating frame and its components for aquaculture
KR200444674Y1 (ko) 부교
KR20170082756A (ko) 부상식 수상구조물
US5888024A (en) Marine dock and flotation tank
KR101203084B1 (ko) 폰툰을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101586438B1 (ko) 부유체 및 이를 갖는 부유식 프레임
KR102162066B1 (ko) 무천공 태양광발전 수상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336647B1 (ko) 부력체 고정장치를 갖는 부유식 태양전지판의 지지구조물
KR101815251B1 (ko) 수상구조물용 부력관의 밀폐용 연결소켓과 이를 이용한 부력조립체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20110020495A (ko)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US10183803B2 (en) Floating roof for storage tanks
KR200491375Y1 (ko) 브라켓 일체형 부자
JP2005143458A (ja) フロ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生け簀
KR200389497Y1 (ko) 원통형 저장 탱크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