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956B1 - 소파블록 - Google Patents

소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956B1
KR101602956B1 KR1020150189159A KR20150189159A KR101602956B1 KR 101602956 B1 KR101602956 B1 KR 101602956B1 KR 1020150189159 A KR1020150189159 A KR 1020150189159A KR 20150189159 A KR20150189159 A KR 20150189159A KR 101602956 B1 KR101602956 B1 KR 101602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ing
pipe
spiral
connecting pip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Priority to KR102015018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에 착지되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 한 쌍의 착지파이프를 이격하여 교차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 착지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각 착지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의 외주에 스파이럴형 유도돌기가 마련되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여 해수의 압력 및 파랑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파블록 { WAVE REDUCING BLOCK }
본 발명은 연안쪽으로 작용하는 해수의 압력 및 파랑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파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 형태로 감아서 원통형 본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스파이럴 형태로 마련되는 용접비드를 해수 유도돌기로 활용하여 파도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가에는 파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파구조물이 시공되는 예가 많다.
상기 방파구조물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테트라포드(Tetrapod)는 1949년 프랑스의 Neyrpic사에서 개발한 콘크리트 이형블록이다.
일반적으로 테트라포드는 4개의 뿔 모양 다리를 가지며, 소파(消波)를 위한 방파제 및 호안에 사용되어 파랑 에너지를 약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테트라포드는 무근 콘크리트로 제작되고 표면이 곡면으로 되어 있어 파압, 파의 처오름 및 반사파를 감소시킬 수 있고, 블록끼리 서로 맞물려 급경사나 비탈면에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단면을 얻을 수 있고, 블록의 중심위치가 낮고 안정성이 좋아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현재까지 대부분의 방파제 공사에는 테트라포드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제방이나 방파제의 외항 쪽에 설치되어 파력을 감쇄하도록 적층 설치하는 테트라포드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파를 효과적으로 포말되게 할 수 있는 다수개의 유공이 있는 강판으로 이루어진 외부 구조물; 상기 외부 구조물에서 1차적으로 포말된 파를 더욱 포말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공이 형성된 강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구조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 구조물; 및 연속적인 파에 의한 상기 외부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고, 상기 내부 구조물의 지지를 위하여 각 모서리를 연결하는 브레이싱(Bracing);을 포함하는 강재 소파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수평 철재기둥으로 이루지어고, 철재기둥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하상용 강재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880호(2012년 09월 12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95470호(2004년 11월 15일 공개)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120522호(1987년 07월 31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을 비롯한 종래의 테트라포드는 거푸집을 사용하는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번거롭고, 운반 및 시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의 테트라포드는 강도가 부족하여 운반 및 시공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될 뿐 아니라 시공 후에도 해류나 파도에 의해 서로 부딪히는 과정에서 파손될 우려가 많게 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의 테트라포드는 시공후에 주성분인 시멘트의 석회석 등의 유해물질이 방출되므로 바다 생물의 식생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강재 소파블록은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와 마찬가지로 제작이 어렵고, 콘크리트 테트라포드와 다른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소파효율이 그다지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하상용 강재블록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시공이 어렵고,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소파효율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바다에 시공된 상태에서 해수의 압력과 파랑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취급과정이나 사용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파랑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적고, 보다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해수의 압력과 파랑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소파블록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에 착지되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 한 쌍의 착지파이프를 이격하여 교차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 착지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각 착지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의 외주에 스파이럴형 유도돌기가 마련되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착지파이프의 외주 하단 부위가 착지면에 접촉되거나 착지파이프의 하단 일측 부위가 착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착지파이프가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 원통형 본체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형성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착지파이프의 양단 부위가 마감원판을 통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연결파이프가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 원통형 본체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형성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연결파이프의 직경이 착지파이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착지파이프의 스파이럴형 유도돌기 및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가 왼나사 형태 또는 오른나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착지파이프의 내부로 투입되는 연결파이프의 일측 외주 상부에 충전재 투입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은 충전재가 바텀애쉬, 흙, 바텀애쉬와 자갈 등을 혼합한 콘크리트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착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외주면에 마련된 스파이럴형 유도돌기를 통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여 해수의 압력 및 파랑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강도가 뛰어난 철재의 착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사용함으로써 취급과정이나 시공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의 우려가 적게 되고, 보다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해류 및 파도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시공 후에 충전재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착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에서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게 되어 바다 생물의 식생에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해상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띠형의 철판으로 원통형의 착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고, 착지파이프와 연결파이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스파이럴형 유도돌기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파블록에 의하면, 착지파이프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파이프의 외주 일측 상부에 마련된 충전재 투입유도홈을 착지파이프 및 연결파이프에 충전재를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철 파이프와 결속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충전재 충전과정을 예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해수 유도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철 파이프와 결속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은 착지파이프(110), 연결파이프(120), 충전재(130)를 포함한다.
착지파이프(110)는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100)에 착지되는 것이다.
착지파이프(110)는 외주 하단 부위가 착지면(G)에 접촉되거나 하단 일측 부위가 착지면(G)에 접촉된다.
착지파이프(110)는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111)를 가지며, 원통형 본체(111)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가 마련된 형태이다.
착지파이프(110)의 외주 일측 중앙에는 연결파이프 접속구멍(113)이 형성된다.
착지파이프(110)의 양단 부위는 마감원판(114)을 통해 밀폐된다.
연결파이프 접속구멍(113)의 직경은 착지파이프(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연결파이프(120)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를 연결하는 것이다.
연결파이프(120)의 직경은 착지파이프(110)의 연결파이프 접속구멍(113)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연결파이프(120)는 외주 하단부위가 착지면(G)에 접촉되는 착지파이프(110)와 하단 일측 부위가 착지면(G)에 접촉되는 착지파이프(110)를 연결한다.
연결파이프(120)는 일 착지파이프(110)와 다른 착지파이프(110)를 "+" 형으로 연결한다.
즉, 수직상태의 연결파이프(110)와 수평상태의 연결파이프(110)를 이격하여 교차시킨 형태로 연결한다.
연결파이프(120)의 양단은 각 착지파이프(110)의 연결파이프 접속구멍(113)에 삽입되고, 삽입부위가 용접되어 착지파이프(110)에 고정된다.
연결파이프(120)도 착지파이프(110)와 마찬가지로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121)를 가지며, 원통형 본체(121)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22)가 마련된 형태이다.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22)는 연안쪽으로 이동하는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왼나사 형태 또는 오른나사 형태로 형성된다.
착지파이프(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연결파이프(120)의 일측 외주 상부에는 충전재 투입유도홈(123)이 형성된다.
충전재(130)는 전체 중량의 증가를 위해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의 내부에 충전되는 것이다.
충전재(130)는 바텀애쉬, 흙, 바텀애쉬와 자갈 등을 혼합한 콘크리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텀애쉬(Bottom-Ash)는 화력발전에서 석탄의 연소시 노벽 등에 부착되어 있다가 자체 무게에 의해 보일러 바닥이 떨어진 후 수집된 것이다.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충전재 충전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의 충전재 충전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일 착지파이프(110)의 외주 하단 부위를 착지면(G)에 접촉시키고 다른 착지파이프(110)의 하단 일측 부위를 착지면(G)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하단 일측 부위가 착지면에 접촉되어 일정 경사로 기울어진 착지파이프(110)의 상단부에서 충전재(130)를 투입한다.
상기에서 일정 경사로 기울어진 착지파이프(110)의 내부 상부로 충전재(130)가 투입되는 과정에서 경사 착지파이프(110)의 내부로 투입된 연결파이프(120)의 일측 외주 상부에 마련된 충전재 투입유도홈(124)으로 낙하하는 충전재(130)는 연결파이프(120)를 통해 외주 하단 부위가 착지면(G)에 접촉된 착지파이프(110) 내부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양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 내부에 충전재(130)를 충전한 후에는 경사 착지파이프(110)의 상단부를 밀폐원판(114)으로 밀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은 기존 콘크리트 재질의 테트라포드와 마찬가지로 연안의 바다에 투입 및 적층 설치되어 연안쪽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파랑 및 압력을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은 강도가 뛰어난 철재의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를 사용함으로써 취급과정이나 시공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의 우려가 적게 되고, 파랑의 압력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 변형이 없게 되므로 보다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해류 및 파도에 대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은 시공 후에 충전재(13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로부터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게 되므로 바다 생물의 식생에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므로 해상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의 해수 유도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에 있어서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는 띠형 철판을 원통형으로 감고 스파이럴 형태의 띠형철판의 접촉면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본체(111)(121)의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마련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122)를 통해 그에 작용하는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기 때문에 해수의 압력 및 파랑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일 착지파이프(110)를 일방향으로 유도된 해수를 연결파이프(120)를 통해 다른 방향으로 굴절하고, 연결파이프(120)에서 유도된 해수를 다른 착지파이프를 통해 또 다른 방향으로 굴절함으로써 해수의 압력 및 파랑을 더욱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에 있어서 사용되는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의 제작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착지파이프(110)는 직경이 1550mm 정도이고 길이가 5000mm 정도이고, 연결파이프(110)와 직경이 1500mm 정도이고 길이가 2800mm 정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과 같이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를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아서 제작하게 되면 높이가 높고 길이가 짧은 고가의 철판을 원형으로 말아서 제작하는 것에 비해 훨씬 저렴하게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파블록(100)은 착지파이프(110)와 연결파이프(120)를 제작함에 있어서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 형태로 감아 원통형 본체(111)(121)를 형성하고, 원통형 본체(111)(121)의 각 접촉부위 외측를 스파이럴 형태로 용접하는 과정에서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21)(122)를 간편하게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소파블록
110 : 착지파이프
112 : 스파이럴형 유도돌기
120 : 연결파이프
122 : 스파이럴형 유도돌기
130 : 충전재

Claims (9)

  1.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에 착지되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를 이격하여 교차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20);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30);를 포함하고,
    각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외주에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122)가 마련되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고,
    착지파이프(110)는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111);
    원통형 본체(111)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형성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에 착지되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를 이격하여 교차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20);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30);를 포함하고,
    각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외주에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122)가 마련되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고,
    연결파이프(120)는
    높이가 낮고 길이가 긴 띠형 철판을 스파이럴형으로 감은 원통형의 본체(121);
    원통형 본체(121)의 스파이럴형 밀착부위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외측 용접비드를 통해 형성되는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연결파이프(120)의 직경은 착지파이프(1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7. 삭제
  8. 해저면 또는 다른 소파블록에 착지되는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
    한 쌍의 착지파이프(110)를 이격하여 교차한 상태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120);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내부에 충전되는 충전재(130);를 포함하고,
    각 착지파이프(110) 및 연결파이프(120)의 외주에 스파이럴형 유도돌기(112)(122)가 마련되어 해수를 스파이럴형으로 회전 유도하고,
    착지파이프(1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연결파이프(120)의 일측 외주 상부에 충전재 투입유도홈(1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블록.
  9. 삭제
KR1020150189159A 2015-12-30 2015-12-30 소파블록 KR101602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159A KR101602956B1 (ko) 2015-12-30 2015-12-30 소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159A KR101602956B1 (ko) 2015-12-30 2015-12-30 소파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956B1 true KR101602956B1 (ko) 2016-03-11

Family

ID=5558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159A KR101602956B1 (ko) 2015-12-30 2015-12-30 소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95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01B1 (ko) * 2016-04-14 2017-06-16 주식회사 스틸플라워피앤씨 철제 소파블록 적층방법
KR102085363B1 (ko) *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20198893A1 (es) * 2019-04-05 2020-10-08 •Data53 Spa Unidad de hormigón para amortiguar el efecto del oleaje y proteger costas, playas, lagos, embalses, puertos y otros, del efecto adverso del oleaje y corrientes hidrodinámicas del agua
KR102307307B1 (ko) 2021-05-18 2021-09-30 주식회사 디에이솔루션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는 철제 소파블록
WO2023177263A1 (ko) * 2022-03-17 2023-09-2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944U (ko) * 1975-11-06 1977-05-10
JPS62120522A (ja) 1985-11-21 1987-06-01 Fuji Heavy Ind Ltd 車両用変速機の遠隔操作装置
KR20040095470A (ko) 2003-05-09 2004-11-15 유동훈 강재 소파 블록
KR20120100880A (ko) 2012-08-29 2012-09-12 한국해양연구원 테트라포드
KR20140146364A (ko) * 2013-06-17 2014-1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 블록
KR101485362B1 (ko) * 2014-09-24 2015-01-26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KR20150053103A (ko) * 2013-11-07 2015-05-15 (주)나우앤하우 상쇄돌기가 구비된 터널형 침식방지 잠재블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2944U (ko) * 1975-11-06 1977-05-10
JPS62120522A (ja) 1985-11-21 1987-06-01 Fuji Heavy Ind Ltd 車両用変速機の遠隔操作装置
KR20040095470A (ko) 2003-05-09 2004-11-15 유동훈 강재 소파 블록
KR20120100880A (ko) 2012-08-29 2012-09-12 한국해양연구원 테트라포드
KR20140146364A (ko) * 2013-06-17 2014-12-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파 블록
KR20150053103A (ko) * 2013-11-07 2015-05-15 (주)나우앤하우 상쇄돌기가 구비된 터널형 침식방지 잠재블록
KR101485362B1 (ko) * 2014-09-24 2015-01-26 주식회사 스틸플라워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101B1 (ko) * 2016-04-14 2017-06-16 주식회사 스틸플라워피앤씨 철제 소파블록 적층방법
WO2020198893A1 (es) * 2019-04-05 2020-10-08 •Data53 Spa Unidad de hormigón para amortiguar el efecto del oleaje y proteger costas, playas, lagos, embalses, puertos y otros, del efecto adverso del oleaje y corrientes hidrodinámicas del agua
KR102085363B1 (ko) * 2019-12-12 2020-03-05 (주)네오테크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07307B1 (ko) 2021-05-18 2021-09-30 주식회사 디에이솔루션 견고한 결속력을 가지는 철제 소파블록
WO2023177263A1 (ko) * 2022-03-17 2023-09-21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956B1 (ko) 소파블록
KR101485362B1 (ko)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JP5741881B2 (ja) 浮体構造物
KR102252117B1 (ko) 해저 기부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263254B1 (ko) 연안에서의 활동을 위한 해저 터미널
KR101972769B1 (ko) 육면체형 소파블록
KR20230110476A (ko) 해저케이블 보호 장치
US4052862A (en) Method of submerging pipelines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2312995B1 (ko) 소파블록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CN108643120A (zh) 一种弹性支撑的浮板式防波堤
JP6007388B2 (ja) 流体力低減構造及び流体力低減構造の構築方法
KR102521912B1 (ko)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수중 개비온
CN112112182A (zh) 一种导管架平台
KR102310868B1 (ko) 하천 및 해안 법면의 토사유실을 방지하는 구조체 및 그 거치방법
KR101957688B1 (ko) 사면체형 소파블록
JP4958593B2 (ja) 構造物の地震・津波対策構造
KR101639187B1 (ko) 소파블록
CN103758180B (zh) 一种防护装置
KR20160021321A (ko) 소파블록
JP2010163771A (ja) 構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及び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KR20150066045A (ko) 선박의 복선 계류용 펜더
CN218779457U (zh) 一种钢套箱式导航墙结构
KR20210054612A (ko) 방괴 유닛을 포함하는 항만 구조물
CN116084446A (zh) 一种用于加固深厚软土地基的海上风电单桩基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