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727Y1 - 폰툰 조립체 - Google Patents

폰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727Y1
KR200475727Y1 KR2020120011686U KR20120011686U KR200475727Y1 KR 200475727 Y1 KR200475727 Y1 KR 200475727Y1 KR 2020120011686 U KR2020120011686 U KR 2020120011686U KR 20120011686 U KR20120011686 U KR 20120011686U KR 200475727 Y1 KR200475727 Y1 KR 200475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upper plate
plate portion
opening
pont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793U (ko
Inventor
김재운
Original Assignee
김재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운 filed Critical 김재운
Priority to KR2020120011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72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4Floating bridges, e.g. pontoon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태풍 등의 영향에 의한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부력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대형으로의 제조시에도 제조 단가가 저렴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폰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저면에는 복수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면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된 복수의 부력통;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수용홈 내에 수용된 부력통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부력통의 외면을 감싸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폰툰 조립체{pontoon assembly}
본 고안은 폰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력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원치않는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며, 부식이나 썩는 등의 성분 변형으로 인해 해양을 오염시키는 우려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폰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리나 시설이라 함은 요트나 보트 등의 해상 위락용 소형 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해역 공간과 이에 관련된 제반 시설을 의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리나 시설은 통상 육지와의 연결을 위한 갱웨이(gang way)와, 이 갱웨이에 연결되면서 보행 통로로의 역할 및/혹은, 각종 선박의 정박 영역을 형성하는 해상 통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해상 통로는 복수의 폰툰 조립체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만들어지며, 이와 같은 폰툰 조립체는 통상 통로의 표면을 형성하는 상판과, 이 상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부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복수의 부력부재가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상기 상판은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판을 각각 연결함으로써 해상 통로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폰툰 조립체는 상기 각 부력부재가 통상의 스티로폼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판은 통상의 목재로 형성됨에 따라 해수(海水)의 영향 및 태풍 등의 영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로 인해 상기 폰툰 조립체로부터 파손된 조각에 의한 환경 오염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폰툰 조립체는 상기 상판과 상기 부력부재 간의 결합 구조가 부실하여 태풍 등이 발생될 경우 서로 간이 쉽게 분리되어 버렸던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부력부재의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각 부력부재 간의 부력 차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상판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물론,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952461호에서는 기존의 폰툰 어셈블리를 개선하여 부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을 제안하였으나, 이러한 본 출원인의 기술은 소형의 해상 통로에 적합한 구성일 뿐 대형의 해상 통로에 적용할 경우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높을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태풍 등의 영향에 의한 파손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부력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대형으로의 제조시에도 제조 단가가 저렴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폰툰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폰툰 조립체에 따르면 저면에는 복수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면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된 복수의 부력통;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수용홈 내에 수용된 부력통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력통의 외면을 감싸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에는 상기 상판부의 상면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부의 각 수용홈 내에 이르기까지 수직하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통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의 관통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각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통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은 상기 부력통이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부력통의 일부가 요입되도록 곡면을 가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력통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 외측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에는 개폐마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폰툰 조립체는 상판부의 저면에 부력통을 장착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과 더불어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부력통은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력통의 내부로는 해수 등의 각종 주입물에 대한 주입 및 취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력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폰툰 조립체는 합성수지 혹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태풍이나 물성 변형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부력통의 경우는 폐드럼통을 재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폰툰 조립체로의 제조시에도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의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의 정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의 측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의 저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폰툰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의 외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폰툰 조립체는 상판부(100)와, 복수의 부력통(200) 및 고정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판부(100)는 수면 위로 노출되면서 해상 통로의 바닥을 이루는 부위로써, 저면에는 복수의 수용홈(110)이 요입 형성되고, 상면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상판부(100)에는 상기 상판부(100)의 상면을 통과하여 상기 상판부(100)의 각 수용홈(110) 내에 이르기까지 수직하게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120)이 형성되며, 상기 상판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각 관통공(1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커버(1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한 상판부(100)의 구조는 상면의 경우 해상 통로의 발판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관통공(120)은 개폐커버(130)로 덮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 중 상기 관통공(120)에 발이 빠짐에 따른 보행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상판부(100)는 합성수지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판부(100)가 해수면에 떠 있는 구조물임을 고려할 때 해수에 의한 부식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사출 공정으로 성형할 수 있음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상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상판부(100) 그 자체로도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부력통(200)은 상기 상판부(100)가 해수면에 떠 있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써,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된다.
상기 각 부력통(200)은 상기 상판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110)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판부(100)의 저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상판부(100)와 상기 부력통(200)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부력통(200)에 의한 부력의 영향을 상기 상판부(100)가 온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부력통(2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100)에 형성되는 수용홈(110)은 상기 부력통(200)이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부력통(200)의 일부가 요입되도록 곡면을 가지게 형성된다. 이의 구조는 상기 부력통(200) 내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은 최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부력통(200)이 상기 수용홈(110) 내에 정확히 일치된 상태로 수용되면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상판부(100)에 형성되는 수용홈(110)은 상기 부력통(200)의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에 해당되는 깊이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력통(200)이 상기 수용홈(110) 내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풍이나 거친 파도에 의한 상기 부력통(200)의 원치않는 탈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부력통(200)의 노출 부위가 과도하게 작음에 따른 부력의 부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력통(200)의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100)에 형성된 관통공(120)과 연통되는 연통공(2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120) 및 연통공(220)을 통해 상기 부력통(200) 내부에 물을 채워넣거나 혹은, 채워진 물을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력통(200)에 대한 부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폰툰 조립체를 서로 연결하더라도 특정 폰툰 조립체의 상판부(100)가 여타 폰툰 조립체의 상판부(100)들에 비해 과도하게 돌출되거나 혹은, 요입되더라도 서로 간의 높낮이를 적절히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부력통(2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110) 외측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구(210)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210)에는 개폐마개(23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구(210)의 구조는 해당 폰툰 조립체가 수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구(210)를 개방하는 조작으로도 상기 부력통(200) 내부 공간으로 바닷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펌프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부력통(200) 내부로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력통(200)은 통상의 철제 폐드럼통 혹은, 합성수지재 폐드럼통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판부(100)에 형성되는 수용홈(110)은 통상적인 드럼통의 규격에 맞게 형성하고, 폐드럼통의 둘레면에는 상기 상판부(100)의 관통공(120)과 일치되는 연통공(220)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폐드럼통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저렴한 비용으로 폰툰 조립체의 제조가 가능할 뿐 아니라 자원 재활용을 통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장점을 가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상판부(100)의 각 수용홈(110) 내에 수용되는 각 부력통(2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상판부(100)의 저면에 양 끝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부력통(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로프 혹은, 체인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300)는 하나의 부력통(200) 마다 적어도 둘 이상으로 제공함이 상기 부력통(2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더욱 바람직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0)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각각의 부력통(2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폰툰 어셈블리의 조립 및 설치 과정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판부(100)와 복수의 부력통(200) 및 복수의 고정부재(300)를 각각 준비한다.
상기 상판부(100)는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하여 준비하며, 상기 각 부력통(200)은 폐기된 폐드럼통의 둘레면에 연통공(220)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구비된다. 물론, 상기 각 부력통(200) 역시 별도의 사출 성형을 통해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각 구성들 중 상기 상판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110)에 상기 각 부력통(200)을 각각 수용한다.
상기 부력통(200)은 수평 방향으로 뉘어진 구조로 상기 수용홈(110) 내에 수용됨으로써 길이 방향으로의 유동은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부력통(200)에 형성된 연통공(220)은 상기 상판부(1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 형성된 관통공(120)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부력통(200)을 상기 상판부(100)의 수용홈(110) 내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면서 상기 부력통(20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감싸도록 고정하며, 이로 인해 상기 부력통(200)이 상기 상판부(100)의 수용홈(110) 내로부터 원치않게 분리됨은 방지된다.
결국, 전술된 과정에 의해 폰툰 조립체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렇게 제조된 폰툰 조립체는 해상 통로의 설치를 위한 장소에서 복수를 서로 결합하여 해상 통로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각 폰툰 조립체를 조립하여 해상 통로를 만드는 과정에서는 상기 각 폰툰 조립체의 설치 위치나 주변 구조물(예컨대, 난간이나 지면과의 결합 부위 등)에 따라 각 폰툰 조립체의 높낮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한 수평 상태가 아닌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각 폰툰 조립체를 이루는 부력통(200) 내로 해수를 주입하거나 혹은, 그 일부를 빼내는 작업을 통해 모든 폰툰 조립체의 높낮이를 균일하게 함과 더불어 각 폰툰 조립체가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예를 들어, 어느 한 폰툰 조립체가 여타의 폰툰 조립체에 비해 상부로 돌출된 상태라면 해당 폰툰 조립체의 상판부(100)에 형성된 각 관통공(120)을 개방한 후 해당 관통공(120)을 통해 각 부력통(200) 내로 해수를 공급하거나 혹은, 각 부력통(200)의 개폐구(210)를 개방하여 해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폰툰 조립체의 전체적인 부력을 줄임에 따라 여타 폰툰 조립체와의 높이를 맞추는 것이다.
또한, 어느 한 폰툰 조립체가 어느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라면 높이가 높은 측에 위치된 각 부력통(200) 내로 해수를 주입하는 과정을 통해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기울어진 측인 높이가 낮은 측에 위치된 각 부력통(200) 내의 해수를 일부 빼냄으로써 해당 폰툰 조립체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폰툰 조립체에 대한 높낮이 및 수평 조절이 완료되면 각 폰툰 조립체의 상판부(110)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개폐커버(130)로 덮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관통공(120)에 의한 보행자의 발빠짐과 같은 안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부력통(200) 내에 주입하는 주입물이 해수임을 그 예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부력통(200) 내에 주입할 수 있는 주입물은 일반적인 수돗물이 될 수도 있고, 흙이나 모래 혹은, 돌 등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부력 조절시 상기 주입물을 일부 빼내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할 때도 있음을 고려함과 더불어 상기 주입물의 구입에 따른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해수를 이용함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폰툰 조립체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합성수지 혹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태풍이나 물성 변형 등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특히 부력통(200)의 경우는 폐드럼통을 재활용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의 폰툰 조립체로의 제조시에도 제조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 상판부 110. 수용홈
120. 관통공 130. 개폐커버
200. 부력통 210. 개폐구
220. 연통공 230. 개폐마개
300. 고정부재

Claims (5)

  1. 저면에는 복수의 수용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면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 내에 일부가 수용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상판부의 저면으로부터 외향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부력통; 그리고,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상기 각 수용홈 내에 수용된 부력통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각 부력통의 외면을 감싸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서 수용홈 내에 이르기까지 관통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부력통의 상면에는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부력통 내로 해수를 주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각 관통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커버가 설치되며;
    상기 상판부 저면의 수용홈은 원통상의 부력통이 수평하게 눕혀진 상태로 상기 부력통의 일부가 요입되도록 곡면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통의 양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 외측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에는 개폐마개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폰툰 조립체.
KR2020120011686U 2012-12-11 2012-12-11 폰툰 조립체 KR200475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86U KR200475727Y1 (ko) 2012-12-11 2012-12-11 폰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686U KR200475727Y1 (ko) 2012-12-11 2012-12-11 폰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93U KR20140003793U (ko) 2014-06-19
KR200475727Y1 true KR200475727Y1 (ko) 2014-12-29

Family

ID=5244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686U KR200475727Y1 (ko) 2012-12-11 2012-12-11 폰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7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84B1 (ko) 2017-06-29 2018-04-05 정재진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166B1 (ko) 2020-02-24 2020-11-02 주식회사 에스디산업기술 다목적 부잔교와 이를 이용한 플로팅 도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49U (ko) * 1999-04-12 1999-08-05 장종윤 부상파이프상에 덥게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JP2001112371A (ja) * 1999-10-15 2001-04-24 Kanayama Kasei Kk フロート
KR200434196Y1 (ko) *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0952461B1 (ko) * 2009-10-28 2010-04-13 김재운 마리나 시설용 해상 통로 및 이에 적용되는 폰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49U (ko) * 1999-04-12 1999-08-05 장종윤 부상파이프상에 덥게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JP2001112371A (ja) * 1999-10-15 2001-04-24 Kanayama Kasei Kk フロート
KR200434196Y1 (ko) * 2006-07-11 2006-12-18 이태윤 부력체
KR100952461B1 (ko) * 2009-10-28 2010-04-13 김재운 마리나 시설용 해상 통로 및 이에 적용되는 폰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84B1 (ko) 2017-06-29 2018-04-05 정재진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793U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KR10229282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485362B1 (ko)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KR102205978B1 (ko) 부력 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919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소파제
NO313664B1 (no) Flytende flerbruksplattformkonstruksjon samt fremgangsmåte for oppbygning av denne
KR200475727Y1 (ko) 폰툰 조립체
CN103010615A (zh) 一种具有系泊功能的水面储油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353849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작 방법 및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NO131179B (ko)
KR100952910B1 (ko) 부양식 수문 독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CN202914866U (zh) 浮子阀
KR101000964B1 (ko) 폰툰형 구조물
CN104164885A (zh) 一种沉箱的拖航方法
KR101595227B1 (ko) 에어튜브를 이용한 케이슨용 차수 시스템
KR101000965B1 (ko) 폰툰형 구조물
WO2020019559A1 (zh) 浮力塔平台及该平台安装方法
KR101540393B1 (ko) 해양플랜트용 부유 도크
KR101252708B1 (ko) 해중 공간을 구비한 해상 부유식 구조물 직접 시공 방법
KR102376885B1 (ko) 스폰손을 탑재한 코퍼댐의 부력구조
KR200409137Y1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KR101687988B1 (ko) 개량형 폰툰
KR102445095B1 (ko) 부력조절이 가능한 콘크리트 폰툰을 이용한 해상 부유식 주차장
KR100911836B1 (ko) 고강도 바지선
KR20070040112A (ko) 레저 선박용 정박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