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84B1 -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84B1
KR101845984B1 KR1020170082838A KR20170082838A KR101845984B1 KR 101845984 B1 KR101845984 B1 KR 101845984B1 KR 1020170082838 A KR1020170082838 A KR 1020170082838A KR 20170082838 A KR20170082838 A KR 20170082838A KR 101845984 B1 KR101845984 B1 KR 10184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housing
rod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정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진 filed Critical 정재진
Priority to KR1020170082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05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utput members or actuators
    • F15B2211/7051Linear outpu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린더를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이 외면의 각종 해양 부착생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이의 교체 및 해양 부착생물 제거기능을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BUOY STRUCTURE FOR FLOATING STRUCTURE ON WATER}
본 발명은 부이의 교체 및 해양 부착생물 제거기능을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수산 양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각종 수상 구조물을 지지 또는 연결하는 등에 사용되는 부력체로써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통상 일면이 수면 아래에 침지된 상태로 부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각종 수상 구조물의 지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이는 그 상부면에 수상 구조물을 지지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지지판을 결합하여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4), 및 부이(4)의 상면에 장착되어 작업 수행을 위한 어구를 해수면에 띄우기 위한 체결구조체(6)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부이(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대(16)의 내부에 부이(4)를 위치시키고 이를 일정간격마다 결속용 로프(12)로 결속하여 사용한다.
아울러, 다른 형태로는 특허문헌 1(도 2 참조)에서와 같이, 일정 부력을 갖고, 그 외주연에 일정간격으로 제2로프결속홈(24)이 형성된 사출 부구(22)와, 그 사출 부구(22)의 상면에 로프(48)로 장착되고, 상면에 구비되고 작업 수행을 위한 어구를 해수면에 평행하게 띄울 수 있게 된 연결구조체(30)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조체(3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결속되는 결합대(8)와, 상기 연결구조체(30)와 결합대(8)를 결속하는 로프(48)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구조체(30)는 그 하면이 상기 사출 부구(22)의 외주연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그 상면은 해수면과 평행하게 된 상판(32)과; 상기 상판(32)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출 부구(22)의 외주연에 밀착되는 측면 밀착부(36)와, 상기 상판(32)과 측면 밀착부(36)에 각각 연장되어 결합대(8)의 측면에 밀착되는 고정턱(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32)에는 일정간격으로 원형형상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부피 변형 완충공(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양식장 부자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부이의 침지면에 부착된 조개나 따개비 등의 해양 부착생물 제거 수단이 부재함에 따라 부이의 수명이 짧고 부이의 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오염된 부이는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야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부이를 교체하기 위해 수상구조물 전체를 이동 및 정비해야하는 등 부이의 교체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부이의 침지면에 조개나 따개비 등의 해양 생물이 부착되면 부이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부이의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개나 따개비 등의 해양 부착생물 제거 수단이 부재함에 따라, 현재 당업계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007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를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이 외면의 각종 해양 부착생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이의 교체 및 해양 부착생물 제거기능을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부이(B)의 이동로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부이(B); 및 상기 부이(B)를 가압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 삽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를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이동로 중에서, 부이(B)가 배출되는 방향의 끝단 외주면을 따라 이물질 제거판(10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재(200)는, 하우징(100)의 상면 일단에 구비되는 실린더 본체(201); 유압 또는 공압을 바탕으로 실린더 본체(201)에 삽입된 상태로 압축 또는 인장되는 로드(202); 및 상기 로드(202)의 끝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로드(202)의 압축동작을 부이(B)로 전달하는 가압판(20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를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이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이 외면의 각종 해양 부착생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이의 교체 및 해양 부착생물 제거기능을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해양 부착생물이 제거된 부이를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과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부이(B) 및 실린더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수상구조물을 지지하는 베이스가 되는 동시에 내부에 부이(B)를 포함하여 수상에서 부유되며, 상기 부이(B)가 삽입 또는 배출되는 이동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이(B)는 부력체로써 이미 공지된 다양한 부력체의 사용이 가능하며, 후술되어질 실린더부재(20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서 삽입 또는 배출된다.
상기 실린더부재(200)는 상기 부이(B)를 가압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 삽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다양한 실린더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며, 일 예로 하우징(100)의 상면 일단에 실린더 본체(201)가 구비되고, 로드(202)가 유압 또는 공압을 바탕으로 실린더 본체(201)에 삽입된 상태로 압축 또는 인장되며, 상기 로드(202)의 끝단에 구비되는 가압판(203)을 매개로 상기 로드(202)의 압축동작을 부이(B)로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의 동작을 살펴보면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이(B)의 교체가 필요할 때, 실린더부재(200)의 로드(202) 및 가압판(203)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00)과 가압판(203)의 사이에 새로운 부이(B')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유압 또는 공압을 바탕으로 로드(202)를 실린더 본체(201) 내부로 압축시키면 로드(202)의 끝단에 구비된 가압판(203)이 새로운 부이(B')를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로 밀어넣게 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기존에 삽입된 부이(B)가 하우징(100) 외부로 밀려나가게 되고, 이로 인해 새로운 부이(B')로 교체된다.
여기서, 상기 부이(B) 및 하우징(100)의 구분 단위나 갯수는 수상구조물의 종류나 규모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상 구조물의 이동 또는 정비 없이도, 실린더부재(200)를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이(B)를 아주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써 부이(B)의 교체와 동시에 조개나 따개비 등과 같은 해양 부착생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 이동로 중에서, 부이(B)가 배출되는 방향의 끝단 외주면(특히 해양 부착생물이 많이 부착되는 부이(B)의 침지면)을 따라 부이(B)의 외경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된 이물질 제거판(101)이 구비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배출되는 부이(B)의 외면이 상기 이물질 제거판(101)과 접촉하여 부이(B) 외면의 각종 해양 부착생물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제거판(101)의 설치 위치는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부이의 종류나 해양 부착생물의 부착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200)를 이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부이(B)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이(B) 외면의 각종 해양 부착생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이(B)의 교체 및 해양 부착생물 제거기능을 동시에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이물질 제거판
B : 부이 200 : 실린더부재
201 : 실린더 본체 202 : 로드
203 : 가압판

Claims (3)

  1.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부이(B)의 이동로가 형성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부이(B); 및
    상기 부이(B)를 가압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이동로에 삽입 또는 배출되도록 하는 실린더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 이동로 중에서, 부이(B)가 배출되는 방향의 끝단 외주면을 따라 이물질 제거판(10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200)는,
    하우징(100)의 상면 일단에 구비되는 실린더 본체(201);
    유압 또는 공압을 바탕으로 실린더 본체(201)에 삽입된 상태로 압축 또는 인장되는 로드(202); 및
    상기 로드(202)의 끝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로드(202)의 압축동작을 부이(B)로 전달하는 가압판(2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KR1020170082838A 2017-06-29 2017-06-29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KR10184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38A KR101845984B1 (ko) 2017-06-29 2017-06-29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838A KR101845984B1 (ko) 2017-06-29 2017-06-29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84B1 true KR101845984B1 (ko) 2018-04-05

Family

ID=6197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838A KR101845984B1 (ko) 2017-06-29 2017-06-29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23B1 (ko) 2020-08-12 2021-11-19 동화기술 주식회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회전식 부력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19A (ja) 2001-06-26 2003-01-08 Herabuna Sogo Kenkyusho:Kk 浮桟橋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200475727Y1 (ko) 2012-12-11 2014-12-29 김재운 폰툰 조립체
KR101603530B1 (ko) 2015-07-23 2016-03-15 동문이엔티(주) 수질 환경 측정을 위한 폰툰-부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419A (ja) 2001-06-26 2003-01-08 Herabuna Sogo Kenkyusho:Kk 浮桟橋
KR101162007B1 (ko) 2011-03-15 2012-07-03 윤강호 개량형 양식장 부자
KR200475727Y1 (ko) 2012-12-11 2014-12-29 김재운 폰툰 조립체
KR101603530B1 (ko) 2015-07-23 2016-03-15 동문이엔티(주) 수질 환경 측정을 위한 폰툰-부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923B1 (ko) 2020-08-12 2021-11-19 동화기술 주식회사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회전식 부력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912B2 (en) Hydraulic cylinder contamination prevention system
DK1917180T3 (da) Skibsskrog omfattende mindst en ponton
ATE510763T1 (de) Anordnung für den einsatz einer nutzlast aus einem u-boot
GB2372236A (en) Cooling water system
KR101845984B1 (ko) 수상 구조물용 부이 구조체
NO20013132D0 (no) Arbeidsskip
KR102106376B1 (ko) 해수전지용 해양생물 부착 방지장치
CN105830975A (zh) 一种人工构建的海底鱼礁
BRPI0508339A (pt) estrutura de flutuação
KR101895581B1 (ko) 해조류 양식용 부상 조립체
ATE258131T1 (de) Verstäuung mit ummantelung zur verminderung der verschmutzung eines schiffes
CN107691389B (zh) 一种水陆两用螃蟹抓捕装置
ZA202213518B (en) Unmanned ship for floating garbage cleaning on water surface
CN208349166U (zh) 一种半潜式网笼用led沉水灯
KR200359227Y1 (ko) 수중 정화용 수초 블록
ZA202309237B (en) A water cleaning boat
JP2002294651A (ja) 水中生物付着防止具および水中生物付着防止方法
ATE320174T1 (de) Runde flosse zum züchten von zweischaligen meerestieren
KR100433190B1 (ko) 해저 침체물 수거장치
KR200255980Y1 (ko) 램프가 없는 비대칭 쌍동형 청소선
FR2405196A1 (fr) Reservoir sous-marin fixe pour emmagasiner du petrole brut a des profondeurs elevees et moyennes et procede d'installation d'un tel reservoir
KR200400929Y1 (ko) 수산양식용 부자
US20240124106A1 (en) Boat Hul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GB2403689B (en) A boat with perimeter float particularly a pneumatic life raft
CN201914422U (z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