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9Y1 - 수산양식용 부자 - Google Patents

수산양식용 부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9Y1
KR200400929Y1 KR20-2005-0024062U KR20050024062U KR200400929Y1 KR 200400929 Y1 KR200400929 Y1 KR 200400929Y1 KR 20050024062 U KR20050024062 U KR 20050024062U KR 200400929 Y1 KR200400929 Y1 KR 200400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h
semi
support
pair
aqua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중
Original Assignee
김일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중 filed Critical 김일중
Priority to KR20-2005-0024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설치나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산양식용 부자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김이나 기타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 지지대(2)에 매달아 바닷물에 띄우는 부자(10)에 있어서, 상기 부자(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개폐가능한 한 쌍의 반중공체(12)와,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2)를 감싸서 지지대(2)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비어 두거나 발포부력체(18) 또는 튜브가 채워진 수산양식용 부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산양식용 부자{Float for marine culture}
본 고안은 수산양식용 부자에 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김이나 기타 수산물의 양식에 사용되며, 설치나 조립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있으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산양식용 부자에 대한 것이다.
김이나 기타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서는 김이 매달리는 지지대를 부자에 결속하여 바다에 띄우고, 이 지지대에 김을 매달아 양식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양식용 부자는 스티로폼으로 성형된 것을 직접 지지대에 끈으로 결속해야 하므로, 결속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견고하게 결속하지 못하면 부자가 지지대에서 떨어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이러한 부자는 스티로폼으로 성형되어 그 강성이 취약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내구연한이 짧으며, 재사용이 곤란하여 한 번 사용 후에는 방치되어 바다환경의 심각한 오염원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수산양식용 부자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여 인건비가 절감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재사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수산양식용 부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김이나 기타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 지지대(2)에 매달아 바닷물에 띄우는 부자(10)에 있어서, 상기 부자(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개폐가능한 한 쌍의 반중공체(12)와,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2)를 감싸서 지지대(2)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비어 두거나 발포부력체(18) 또는 튜브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부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반중공체(12)는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이고, 서로 맞닿는 부위에 결합돌기(22)와 결함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부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16)는 지지대(2)에 비스(26)나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산양식용 부자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부자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부자의 전개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막대형상의 지지대(2)에 한 쌍의 반중공체(12)로 이루어진 부자(10)가 부착된다. 이 부자(10)는 반중공체(1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6)와 일체로 형성되며, 반중공체(12)와 연결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반중공체(12)가 반원통형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반원통형 이외에도 반구형이나 기타 적절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반중공체(12)는 서로 맞물려서 중공원통체를 형성하는데, 서로 맞닿는 부위의 일측에는 결합돌기(2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결합홈(24)이 형성되어 서로 가압끼움될 수 있다.
반중공체(12)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결합돌기(22)와 결합홈(24)이 밀봉적으로 맞물리는 경우에는 비어 둘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부력체(18)를 채워서 바닷물이 침투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중공체(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는 바람직하게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지지대(2)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고, 다수의 관통공(17)이 형성되어 지지대(2)에 비스(26)나 볼트, 기타 적절한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김 등의 수산양식용 부자를 서로 맞물리도록 된 한 쌍의 반중공체(12)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6)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끈으로 부자를 결속하는 번거로움 없이, 반중공체(12) 내부를 그대로 두거나 발포부력체(18) 또는 튜브를 채운 후에, 연결부재(16)로 지지대(2)를 감싸서 비스(26) 등으로 체결하면,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자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인건비가 절감되며, 반중공체(12)를 충분한 강성을 가진 합성수지나 충분한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증대시켜서 장기간 재사용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이고, 부자의 방치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부자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부자의 전개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지지대 10. 부자
12. 반중공체 16. 연결부재
18. 발포부력체 22. 결합돌기
24. 결합홈 26. 비스

Claims (3)

  1. 김이나 기타 수산물을 양식하기 위해 지지대(2)에 매달아 바닷물에 띄우는 부자(10)에 있어서, 상기 부자(10)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서로 맞물려 개폐가능한 한 쌍의 반중공체(12)와,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2)를 감싸서 지지대(2)에 부착 고정되는 연결부재(16)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반중공체(12)를 상호 결합하여 형성되는 내부공간은 비어 두거나 발포부력체(18) 또는 튜브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부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중공체(12)는 반원통형 또는 반구형이고, 서로 맞닿는 부위에 결합돌기(22)와 결함홈(24)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양식용 부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6)는 지지대(2)에 비스(26)나 볼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산양식용 부자.
KR20-2005-0024062U 2005-08-22 2005-08-22 수산양식용 부자 KR200400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62U KR200400929Y1 (ko) 2005-08-22 2005-08-22 수산양식용 부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062U KR200400929Y1 (ko) 2005-08-22 2005-08-22 수산양식용 부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9Y1 true KR200400929Y1 (ko) 2005-11-09

Family

ID=4370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062U KR200400929Y1 (ko) 2005-08-22 2005-08-22 수산양식용 부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662A (ko) * 2021-04-10 2022-10-18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0662A (ko) * 2021-04-10 2022-10-18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KR102466533B1 (ko) 2021-04-10 2022-11-10 최태현 해조류 서식에 적합한 양식용 부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748B1 (ko) 어업용 부구
US9464413B2 (en) Mooring structure with habitat features for marine animals
US20080112759A1 (en) Artificial reef anchor structure
NO330707B1 (no) Habitat for rensefisk og anvendelse av samme
KR200471501Y1 (ko) 폐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인공어초
KR200400929Y1 (ko) 수산양식용 부자
KR20150046416A (ko) 개선된 부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930Y1 (ko) 수산양식용 밴드체결 고리식 부자
KR100896086B1 (ko) 가두리양식장용 전용 활어류 운송 장치
KR200399559Y1 (ko) 낙지 주낙용 모릿줄
KR200411254Y1 (ko) 갯지렁이 양식장치
KR101788562B1 (ko) 부력부재를 이용한 다기능 부어초
CN202385617U (zh) 一种新型人工礁石
KR200317819Y1 (ko) 양식 어망용 부구
KR101624469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KR200400931Y1 (ko) 수산양식용 체결밴드식 부자
KR200436808Y1 (ko) 김 양식용 부구
KR20070022415A (ko) 수산양식용 체결밴드식 부자
JP2011001714A (ja) 環境配慮型海洋構造物
KR200391108Y1 (ko) 다기능 투석용 어초
KR200443092Y1 (ko) 부력파이프를 이용한 침하식 가두리 양식장
JPH10117652A (ja) 投げ釣り等の仕掛けに使用する錘浮遊フロ−ト
CN205431584U (zh) 一种蜂窝式人工鱼礁
CN205431587U (zh) 一种仿生人工鱼礁
CN205455366U (zh) 一种带海浪空压泵的人工鱼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