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5976A - 의약 액제 - Google Patents

의약 액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5976A
KR20040005976A KR10-2003-7015168A KR20037015168A KR20040005976A KR 20040005976 A KR20040005976 A KR 20040005976A KR 20037015168 A KR20037015168 A KR 20037015168A KR 20040005976 A KR20040005976 A KR 2004000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fudosteine
liquid
pharmaceutical
swee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064B1 (ko
Inventor
오스기토모히코
후시미마스나리
무라타유타카
가네코테츠오
이마모리가츠미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미쯔비시 웰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미쯔비시 웰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5Aller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0Expect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푸도스테인 및 산을 함유하여 되는 의약 액제 및 더욱이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함유하는 상기의 의약 액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의약 액제는 장기간 보존해도, 변색이나 침강이 생기지 않고, 또한, 복용하기 쉬운 푸도스테인 함유 의약 액제이다.

Description

의약 액제 {LIQUID DRUG PREPARATIONS}
푸도스테인은 하기 일반식(I)
로 표시되는 S-(3-히드록시프로필)-L-시스테인의 일반명으로, 거담작용을 가지는 약제로서 유용한 것이다(일본국 특공평 7-88352호).
즉, 만성 기관지염이나 기관지 천식환자에서는, 기도 상피 점막하선의 비대나 배세포의 지나친 형성에 의한 기도 점액 분비가 증대하거나, 또는, 질병 중 점액소의 과분비는 담의 객출 장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말초 기도에서는 "담이 가슴에 결리는 느낌"을, 또한, 중추 기도에서는 "담의 뱉어내기 어려움(담의 끊어지기어려움)" 등의 자각 증상을 유발한다. 푸도스테인은 임상 용량에서 이들 증상을 유의에 개선하는 작용을 가지기 때문에, 거담제로서의 유용성이 높은 것이다.
종래, 푸도스테인의 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담체로서 전분 등을 사용한 고형 제제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평 11-35459호). 그러나, 천식 등의 환자에게 보다 복용하기 쉬운 액제에 대해서는, 안정성의 문제 때문에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상이었다.
즉, 푸도스테인은, 수용액 상태에서는 경시적으로 변색하거나, 침강이 생기거나 한다. 이러한 현상은, 직접 약효에는 영향은 없으나, 경구로 복용하는 환자의 불안을 초래하고, 상품성을 현저하고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푸도스테인은, 특이한 맛을 갖고 있어 복용시 불쾌감을 일으키기 때문에, 감미제를 첨가하여 시럽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럽제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당이나 글루코오즈를 푸도스테인의 시럽제에 첨가하면, 이들 당과 푸도스테인이 반응을 일으켜, 용액이 갈변하여 버린다. 이 현상도 역시 크고,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장기간 보존해도, 변색이나 침강이 생기지 않고, 또한 복용하기 쉬운 푸도스테인 함유 의약 액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의약 액제의 제공을 그의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푸도스테인을 함유하는 의약 액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푸도스테인을 함유하면서 장기간 보존해도 변색, 침강 등의 발생이 없고, 거담제로서 유리하게 사용되는 의약 액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푸도스테인 액제의 조성 및 첨가 배합물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푸도스테인은 중성 영역에서는 변색하기 쉬우나, 일정한 산성 영역에서는 변색하기 어렵고, 또한, 침강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음을 발견했다. 또한,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이용함으로서, 용액의 갈변의 문제도 회피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푸도스테인 및 산을 함유하여 되는 의약 액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함유하는 상기 의약 액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의약 액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푸도스테인의 용액에 산을 가하여 pH를 산성으로 함으로써 조제된다.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함유되는 푸도스테인의 함유량은, 특히 제약은 없지만, 1∼20wt/vol%(이하, "%" 로 나타낸다) 정도이고, 바람직하기로는 2∼10%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8%이다.
또한, 푸도스테인을 용해하는 용매로서는, 물이 이용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무수 에탄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60, 폴리옥실 35 피마자유,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마크로골 200, 마크로골 300, 마크로골 400, 마크로골 600, 마크로골 4000, 라울로마크로골 등의용매를 더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 첨가되는 산으로서는, 유기산 및 무기산을 들 수 있다. 이 중 무기산으로서는, 염산, 인산, 황산 등을 이용할 수가 있으며, 또한, 유기산으로서는, 아세트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젖산, 푸말산, 숙신산, 아디핀산, 글루콘산, 글루코노-d-락톤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이들 산은, 단독으로도,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서 이용해도 괜찮다.
상기의 산을 가하는 것으로, 본 발명 의약 액제의 pH를 산성으로 할 수가 있지만, 그의 pH는 5.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4.0∼2.5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는 더욱이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되는 당알코올의 예로서는, 알도오즈 또는 케토오즈의 카르보닐기를 환원하여 얻을 수 있는 쇄상 다가 알코올 및 환식 당알코올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3∼11의 D-소르비톨, D-만니톨, 크실리톨, 에리쓰리톨, D-아라비톨, 둘시톨 등의 쇄상 다가 알코올, 멀티톨, 팔라티니트(환원 파라티노오즈), 크실로오스, 이노시톨, 락티톨 등의 환식 당알코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D-소르비톨, D-만니톨, 크실리톨, 및 에리쓰리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감미도 감미료의 예로서는, 스테비아, 아스파르탐, 타우마틴, 슈크라로오즈, 사카린 또는 그의 염, 글리시리친산 또는 그의 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중, 스테비아, 아스파르탐, 사카린, 사카린나트륨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감미제는 2종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 있어서, 당알코올 또는 트레할로오즈를 배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1∼50%이고, 바람직하기로는 5∼4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30% 이다. 또한, 고감미도 감미료를 배합하는 경우의 첨가량은, 0.01∼1.0%이다. 이 범위의 양의 감미제를 배합함으로써, 액제의 갈변을 막으면서, 푸도스테인이 가지는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는 또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임의 성분을 가할 수 있다. 이 임의 성분으로서는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르멜로오즈 나트륨, 크산탄검, 결정 셀루로오즈·카르멜로오즈 나트륨, 히드록시에틸셀루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루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루로오즈,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점조제, 소르빈산 또는 그의 염, 벤조산 또는 그의 염, 파라벤류 (에틸 p-옥시벤조에이트, 메틸 p-옥시벤조에이트, 부틸 p-옥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등) 등의 보존제, 천연 착색료(캐라멜, S-캐로틴 등), 합성 착색료(식용 색소, 인산리보플라빈나트륨 등) 등의 착색료, 오렌지유, 레몬유, 멘톨, 바닐린, 과실계 플래이버(스트로베리, 파인애플, 오렌지, 애플, 레몬, 라임, 그레이프 프루츠 등), 생약계 플래이버 (허브, 민트 등), 드링크계 플래이버(코코아, 홍차, 레몬 소다 등), 과자계 플래이버 (초콜릿, 요구르트 등) 등의 향료 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해 얻어진 본 발명의 의약 액제는 경구 거담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푸도스테인 액제에 대한 pH의 영향의 검토:
푸도스테인 8g를 함유하는 수용액의 pH를 적당한 양의 인산 또는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해, pH 2로부터 pH 7로 조정하고, 전량을 표 1에 나타낸 pH로 조정하고, 정제수로 전량 100㎖로 하여 각종 pH의 푸도스테인 액제를 제조했다. 이 액제를 70℃에서 7일간 보존하고, 용액중의 푸도스테인의 잔존율, 변색의 유무 및 침강의 발생에 대해서 조사했다. 푸도스테인의 잔존율은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법에 의해 푸도스테인 량을 정량하여 이들로부터 산출했다. 또한, 변색 및 침강의 유무는 하기 기준에 따른 목시 관찰에 의해 평가했다. 이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변색 평가기준;
평가: 내용
(-) : 액제의 색에 변화 없음.
(±): 액제의 색에 약간의 변화가 있음.
(+) : 액제의 색에 변화가 있음.
(++): 액제의 색에 현저한 변화가 있음.
침강 평가 기준:
평가 내용
(-) : 침강의 발생 없음.
(±): 약간의 침강의 발생이 있음.
(+) : 침강의 발생이 있음.
(결과)
표 1
pH 7.0 pH 6.0 pH 5.0 pH 4.0 pH 3.5 pH 3.0 pH 2.5 pH 2.0
정 량 치(잔존율 %) 99.4 100.4 100.1 101.1 100.3 100.7 100.0 99.9
변 색 ++ + ± - - - - -
침 강 - - - - - - ± ±
이 결과로부터, 푸도스테인의 액제는 pH가 5.0 이하, 특히 pH 3.0에서 4.0의 범위에서 안정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7일 후의 각 pH의 변화는 거의 없고, 오차 범위내이었다.
실시예 2
푸도스테인 액제에 있어서의 pH 조절제의 종류의 검토:
푸도스테인 8g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표 2에 나타낸 각종 산을 가하여 pH 3.5로 조정한 후, 정제수로 전량 100㎖로 하여 푸도스테인 액제를 제조했다. 이것을 70℃에서 7일간 보존하고, 변색의 유무를 시험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결과)
표 2
정량치잔존율(%) 변색
염산 99.7 -
인산 100.5 -
황산 100.3 -
아세트산 101.2 -
말산 99.3 -
시트르산 100.7 -
타르타르산 100.7 -
젖산 99.5 -
푸말산 98.8 -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의약 액제에는 무기산도, 유기산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7일 후의 각각의 산에 의한 pH의 변화는 거의 없고, 오차범위내이었다.
실시예 3
푸도스테인 액제에서의 감미제의 종류의 검토:
푸도스테인 8g 및 표 3에 나타낸 감미제 20g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인산을 사용하여 pH 3.5로 조정하고, 정제수로 전량 100㎖로 하여 푸도스테인 액제를 제조했다. 이것을 70℃에서 7일간 보존하고, 변색 유무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결과)
표 3
정량치잔존율(%) 변색
정제 백당 90.5 + +
글루코오즈 78.8 + +
프락토오즈 90.7 + +
이성화당 90.8 + +
D-소르비톨 100.7 -
D-만니톨 99.3 -
크실리톨 100.3 -
에리쓰리톨 99.5 -
트레할로오즈 100.2 -
환원 맥아당 시럽* 99.9 -
*: 말티톨, 소르비톨, 올리고당 알코올의 혼합물
이 결과로부터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를 이용하는 경우에, 푸도스테인의 잔존율이 높고, 또한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7일 후의 각각의 감미제에 의한 pH의 변화는 거의 없고, 오차 범위내이었다.
실시예 4
푸도스테인 액제에 있어서의 감미제의 종류의 검토:
푸도스테인 8g 및 표 4에 나타낸 감미제 0.1∼0.2g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인산을 이용하여 pH 3.5로 조정하고, 정제수로 전량 100㎖로 하여 푸도스테인 액제를 제조했다. 이것을 70℃에서 7일간 보존하고, 변색의 유무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결과)
표 4
첨가량(g) 정량치잔존율(%) 변색
스테비아 0.2 100.4 -
아스파르탐 0.2 99.1 -
사카린 나트륨 0.1 99.4 -
이 결과로부터 감미제로서 고도 감미료를 이용하여도 푸도스테인의 잔존율이 높고, 또한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5
푸도스테인 액제에 있어서의 당알코올의 첨가량의 검토:
푸도스테인 8g 및 표 5에 나타낸 양의 D-소르비톨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인산을 이용하여 pH 3.5로 조정하고, 정제수로 전량 100㎖로 하여 푸도스테인 액제를 제조했다. 이것을 70℃에서 7일간 보존하고, 잔존율, 변색의 유무 및 침강의 발생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검토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결과)
표 5
정량치잔존율(%) 변색 침강
0% 99.6 - -
10% 99.4 - -
20% 99.0 - -
30% 99.3 - -
40% 99.9 ± +
50% 100.4 + +
이 결과로부터 당알코올의 함유량이 40%이하, 특히 30%이하에서 안정한 액제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7일 후의 D-소르비톨의 함량 차이에 의한 pH의 변화는 거의 없고, 오차 범위내이었다.
실시예 6
푸도스테인 배합 경구 의약 액제:
하기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경구 의약 액제를 조제했다. 이 것의 pH는 3.7이었다.
(처방)
푸도스테인 8g
D-소르비톨 15g
캐라멜 100mg
벤조산나트륨 70mg
말산 적당량
향료(요구르트계) 100mg
정제수로 전량 100㎖
이것은 푸도스테인의 함량의 저하 및 변색, 침강의 발생이 없는 안정한 제제이었다. 또한, D-소르비톨, 향료의 첨가에 의해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고 있었다.
실시예 7
푸도스테인 배합 경구 의약 액제:
하기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경구 의약 액제를 조제했다. 이 것의 pH는 3.7이었다.
(처방)
푸도스테인 8g
에리쓰리톨 20g
캐라멜 100mg
벤조산나트륨 70mg
인산 적당량
향료(오렌지계) 100mg
정제수로 전량 100㎖
이것은 푸도스테인 함량의 저하 및 변색, 침강의 발생이 없는 안정한 제제이었다. 또한, 에리쓰리톨, 향료의 첨가에 의해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고 있었다.
실시예 8
푸도스테인 배합 경구 의약 액제:
하기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경구 의약 액제를 조제했다. 이 것의 pH는 3.7이었다.
(처방)
푸도스테인 8g
환원 맥아당 시럽 20g
(멀티톨, 소르비톨, 올리고당 알코올의 혼합물)
캐라멜 100mg
벤조산나트륨 70mg
사과산 적당량
향료(멘톨계) 100mg
정제수로 전량 100㎖
이것은 푸도스테인 함량의 저하 및 변색, 침강의 발생이 없는 안정한 제제이었다. 또한, 환원 맥아당 시럽, 향료의 첨가에 의해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고 있었다.
실시예 9
푸도스테인 배합 경구 의약 액제:
하기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경구 의약 액제를 조제했다. 이 것의 pH는 3.7이었다.
(처방)
푸도스테인 8g
트레할로오즈 20g
캐라멜 100mg
벤조산나트륨 70mg
인산 적당량
향료(초콜릿계) 100mg
정제수로 전량 100㎖
이것은 푸도스테인 함량의 저하 및 변색, 침강의 발생이 없는 안정한 제제이었다. 또한, 트레할로오즈, 향료의 첨가에 의해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고 있었다.
실시예 10
푸도스테인 배합 경구 의약 액제:
하기 처방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따라서 경구 의약 액제를 조제했다. 이 것의 pH는 3.7이었다.
(처방)
푸도스테인 8g
스테비아 100mg
캐라멜 100mg
벤조산나트륨 70mg
사과산 적당량
향료(스트로베리계) 100mg
정제수로 전량 100㎖
이것은 푸도스테인 함량의 저하 및 변색, 침강의 발생이 없는 안정한 제제이었다. 또한, 스테비아, 향료의 첨가에 의해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의약 액제는 푸도스테인을 함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성이 높고, 장기간 보존해도 변색이나 침강을 일으키지 않는 안정인 제제이다. 또한, 감미료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배합한 본 발명의 의약 액제는 갈변을 일으키는 일 없고, 푸도스테인의 특이한 맛을 마스킹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 액제는, 섭취하기 쉬운 경구 액제로 하여 거담제 등으로서 상품성의 높은 것이다.

Claims (6)

  1. 푸도스테인 및 산을 함유하여서 되는 의약 액제.
  2. 제 1항에 있어서, pH가 5.0이하인 의약 액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감미제로서 당알코올, 트레할로오즈 또는 고감미도 감미료를 함유하는 의약 액제.
  4. 제 3항에 있어서, 당알코올이 D-소르비톨, D-만니톨, 크실리톨 또는 에리쓰리톨인 의약 액제.
  5. 제 3항에 있어서, 고감미도 감미료가 스테비아, 아스파르탐, 사카린 또는 사카린 나트륨인 의약 액제.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1항에 있어서, 산이 염산, 인산, 황산, 말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젖산 및 푸말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인 의약 액제.
KR1020037015168A 2001-05-25 2002-05-24 의약 액제 KR10090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6840A JP3805646B2 (ja) 2001-05-25 2001-05-25 医薬液剤
JPJP-P-2001-00156840 2001-05-25
PCT/JP2002/005043 WO2002096407A1 (fr) 2001-05-25 2002-05-24 Preparations de medicaments liqui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976A true KR20040005976A (ko) 2004-01-16
KR100900064B1 KR100900064B1 (ko) 2009-05-28

Family

ID=1900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168A KR100900064B1 (ko) 2001-05-25 2002-05-24 의약 액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592372B2 (ko)
EP (1) EP1391202B1 (ko)
JP (1) JP3805646B2 (ko)
KR (1) KR100900064B1 (ko)
CN (1) CN1259910C (ko)
AT (1) ATE518523T1 (ko)
CA (1) CA2448083C (ko)
ES (1) ES2366945T3 (ko)
TW (1) TWI230063B (ko)
WO (1) WO20020964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4026C (zh) * 2005-09-23 2008-07-23 北京德众万全药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含福多司坦的口服药物组合物
CN101152172B (zh) * 2006-09-29 2010-05-12 北京德众万全药物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口服固体组合物
JP2009001548A (ja) * 2007-05-21 2009-01-08 Daiichi Sankyo Healthcare Co Ltd トレハロースからなる気道杯細胞過形成抑制剤。
EP2065038A1 (en) 2007-11-30 2009-06-03 Pharnext New therapeutic approaches for treating Charcot-Marie-Tooth disease
US9393241B2 (en) 2009-06-02 2016-07-19 Pharnext Compositions for treating CMT and related disorders
EP2263665A1 (en) * 2009-06-02 2010-12-22 Pharnext New compositions for treating CMT and related disorders
LT3003268T (lt) 2013-06-05 2018-12-10 Pharnext Stabilūs peroraliniai tirpalai, skirti kompleksiniam aktyviam farmaciniam ingredientui (api)
US10383870B2 (en) 2016-06-10 2019-08-20 Pharnext Early treatment of CMT disease
CN106361689A (zh) * 2016-09-24 2017-02-01 北京万全德众医药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口服溶液及其制备方法
CN109925300A (zh) * 2017-12-19 2019-06-25 北京盈科瑞创新药物研究有限公司 一种福多司坦雾化吸入用溶液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7605A (en) * 1874-02-17 Improvement in grindlng-mills
FR2187326B1 (ko) * 1972-06-15 1975-10-17 Rech Pharm Scientifiques
JPH0813737B2 (ja) * 1986-12-19 1996-02-14 杏林製薬株式会社 シロツプ剤
JPH0788352B2 (ja) * 1988-06-16 1995-09-27 エスエス製薬株式会社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システイン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去痰剤
US5010069A (en) * 1989-05-15 1991-04-23 Marion Laboratories, Inc. Stable liquid form of 5-aminosalicylic acid
JPH0558887A (ja) 1991-09-06 1993-03-09 Kyorin Pharmaceut Co Ltd 吸入剤
JPH0558888A (ja) 1991-09-06 1993-03-09 Kyorin Pharmaceut Co Ltd 吸入剤
JP4098850B2 (ja) 1997-07-16 2008-06-11 久光製薬株式会社 S−(3−ヒドロキシプロピル)−l−システインを含有する経口用製剤
JP2000256192A (ja) 1999-03-05 2000-09-19 Nissho Corp カルボシステイン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1033A (zh) 2004-07-07
JP3805646B2 (ja) 2006-08-02
ATE518523T1 (de) 2011-08-15
KR100900064B1 (ko) 2009-05-28
EP1391202A4 (en) 2010-03-17
EP1391202B1 (en) 2011-08-03
CA2448083C (en) 2011-03-29
WO2002096407A1 (fr) 2002-12-05
US20040147609A1 (en) 2004-07-29
EP1391202A1 (en) 2004-02-25
CA2448083A1 (en) 2002-12-05
JP2002348236A (ja) 2002-12-04
TWI230063B (en) 2005-04-01
US7592372B2 (en) 2009-09-22
ES2366945T3 (es) 2011-10-26
CN1259910C (zh)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1219B2 (en) Flavoring systems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uch compositions
KR101490721B1 (ko) 감칠맛을 가진 디페리프론용 액상 제제
KR100900064B1 (ko) 의약 액제
US6114324A (en) Oral liquid antidepressant solution
JP5660817B2 (ja) スマトリプタンコハク酸塩を含有する内用液剤
JP2004161679A (ja) 内服用液剤
US20060100271A1 (en) Stabilized aqueous ranitidine compositions
CA2417258A1 (en) Flavoring systems 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uch compositions
US5698562A (en) Palatable trimethoprim oral solution
US20050136116A1 (en) Stabilized prednisolone sodium phosphate solutions
JP4972311B2 (ja) イソソルビドの苦味が軽減された経口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422370B2 (ja) 経口用液体組成物
JP2012107060A (ja) イソソルビドの苦味が軽減された経口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US6265449B1 (en) Aqueous compositions comprising ranitidine and LCMT sucrose
JP2007008852A (ja) プラバスタチンを含有する水性製剤の安定化方法
JP5433508B2 (ja) ゾルピデム酒石酸塩含有内用液剤
US20060127472A1 (en) Taste-masked prednisolone oral formulations
WO2024116198A1 (en) Oral liquid formulation of empagliflozin or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JP5412708B2 (ja) 内服用液剤組成物
KR20030042547A (ko) 레보설피리드 액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088116A (ja) 水性内服液剤組成物
KR20030047503A (ko) 소브레롤·아세트아미노펜 복합 건조시럽제 및 액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6

Effective date: 200902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103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006

Effective date: 2009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