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2675A -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2675A
KR20040002675A KR1020030041376A KR20030041376A KR20040002675A KR 20040002675 A KR20040002675 A KR 20040002675A KR 1020030041376 A KR1020030041376 A KR 1020030041376A KR 20030041376 A KR20030041376 A KR 20030041376A KR 20040002675 A KR20040002675 A KR 20040002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electrical
control assembly
power terminal
outpu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718B1 (ko
Inventor
기에셰르만
빠뜨리끄라르셰
알랑모이유
Original Assignee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슈나이더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 에스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4000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 H01H71/082Connections between juxtaposed circuit bre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Patch Board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전기스위치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Protection and Control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각 장치는, 각 박스(30, 10)의 입력측(34b, 14b)과 출력측(34a, 14a) 각각에 대한 수평 접속영역 위로 돌출되는 입력측 및 출력측 도체접속스트립(Input Side and Output Side Conducting Connection Strip, 39b, 19b와 39a, 19a)이 제공된 박스를 구비한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1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과 상기 제2전기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를 클램핑하여, 이에 따라 상기 두 전기장치 사이의 기계적인 장착을 제공하는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Common Power Terminal Block, 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Electromagnetic Protection and Control Assembly}
본 발명은 몇 개의 전기스위치 장치의 기계적 장착과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촉기(Contactor),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차단스위치(Isolating Switch), 퓨즈차단스위치(Fused Isolating Switch), 열적 릴레이(Thermal Relay) 또는 저압 전기분배나 제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유사 전기장치와 같은, 적어도 2개의 전기장치의 조합을 포함한 어셈블리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의 구성에 사용 가능한 전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모터(보통 "모터시동 어셈블리"라 부른다)나 어떠한 다른 저압 다중극 전기로드(Multipole Electrical Load)의 보호 및 제어를 목적으로 한 어셈블리에 있어서, 회로차단기나 퓨즈차단스위치와 같은 제1전기보호장치는 접촉기와 같은 제2전기제어장치와 흔히 종속(Cascade)으로 사용되며, 이들 두 장치들은 서로 연결된다. 열적 보호 릴레이와 같은 다른 장치들이 이들 조합에 추가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접속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빨리 조기에 그러한 모터시동 어셈블리를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셈블리/와이어링(Assembly/Wiring)을 하는 동안 비용과 시간을 절약하고, 상기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전기박스 또는 캐비넷(Cabinet)에서의 공간을 축소하려는 명백한 이유로, 특히, 제조될 전기적인 연결수들을 최소화하고 다른 관련 장치들의 전체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들 사이에서 접속을 형성하는 모든 도체들(와이어(Wire), 바(Bar))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미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있는데, 특히 EP0588712에는, 특정부품이 상기 두 전기장치 사이에 고정되고, 상기 부품은 기계적 전기적으로 더 빠르게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두 전기장치에 대하여 대응하는 터미널 블럭(Terminal Block)에 연결될 수 있도록 고체 도체(Rigid Conductor)를 통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상기 두 장치의 터미널 블럭에 대한 접속 작업을 필요로 하며, 상기 부품을 삽입하기 위하여 상기 두 부품을 서로 분리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다.
WO0046880에는, 상기 전기장치들이 상호접속블럭(Interconnection Block)이 상기 두 장치 사이의 전방으로부터 직접 삽입되는 탄성터미널(Elastic Terminal)을 구비한 터미널 블럭을 포함하는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다른 기계적 장착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두 장치에 대한 보조 기계적 장착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은, 특히 고전력 전류, 예컨대 400V에서 32A 정도나 그 이상의 전류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에 자주 사용되는 스크류 터미널에는적합하지 않다. 더욱이, 상호접속블럭은 각 유니트(Unit)에 대하여 특별한 터미널 블럭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의 접속을 간단하며 신뢰성있고 경제적으로 하기 위하여, 몇 개의 전기장치의 기계적 전기적 조합을 종속(Cascade)으로 용이하게 배치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두 전기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대한 일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면도로서, 상기 두 전기장치의 도체접속스트립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어셈블리의 조합에 사용된 전기스위치장치의 박스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에 따른 제거가능한 터미널 블럭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의 터미널 블럭에 대한 정면도를 도시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30 .... 박스(Box)
14a, 34a ... 출력측
14b, 34b ... 입력측
19a, 39a .... 출력측 도체접속스트립
19b, 39b .... 입력측 도체접속스트립
40, 50, 60 ....파워터미널 블럭(Power Terminal Block)
42 .... 스크류(Screw)
44 .... 개구부(Opening)
45 .... 지지장치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전기스위치장치와 제2전기스위치장치를 포함하고, 각 장치는, 수직축을 따라 각 박스의 입력측과 출력측 각각에 대한 수평접속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Power Terminal Block)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입력측 및 출력측 도체접속스트립(Input Side and Output Side Conducting Connection Strip)이 제공된 박스를 구비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 배치된다. 상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과 상기 제2전기장치의 대응하는 입력측 접속스트립을 클램핑(Clamping)하여, 이에 따라 상기 두 전기장치 사이를 기계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장치에 대한 박스는, 상기 제2전기장치 박스의 입력측 수평지지영역에 강제로 접촉하는 출력측 수평지지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은, 상기 제2전기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으로부터, 상기 접속스트립의 수직축에 직각 방향을 따라 치우쳐 있다. 상기 제거가능한 터미널 블럭들은, 동일하며 상호 교환가능하고 상기 전기장치들의 박스에 배치된 보조수단과 함께 작동하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두 전기장치로부터 형성된 어셈블리에 의해 차지하는 공간은, 하나가 다른 것을 대체하기 때문에 최적화되며, 상기 어셈블리와 상기 어셈블리의 와이어링은, 상기 두 장치의 전기적 접속과 기계적 장착을 이루도록 두 장치의 박스 사이에 통상의 터미널 블럭이 하나만 있기 때문에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서 상술한 것과 같은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일체화될 수 있는 전기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박스의 입력측과 출력측 위 각각에 수평접속영역에 대한 수직축을 따라 돌출하여 제거가능하고 파워터미널 블럭의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는, 입력측 및 출력측 접속 도체스트립이 제공된 박스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들은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을 따라 상기 전기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으로부터 치우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통합될 수 있는 파워터미널 블럭을 기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적어도 두 전기장치를 포함하는데, 이 경우에서는 회로차단기와 접촉기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전기장치, 예컨대3개의 장치-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 접촉기와 열적 릴레이로 조립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저압 전기분배나 제어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전기장치에 응용될 수도 있음은 명백하다.
도 3과 도 4는, 회로차단기 형태의 예로서, 그러한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로 일체화될 수 있는 다중극 전기스위치장치를 도시한다. 상기 전기장치는, 프레임(Frame), 섹션(Section) 및/또는 보드(Board) 위에 상기 장치를 장착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 배면(32)의 반대쪽에 유도장치(Manoeuvr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는 전면(31)과 전체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인 박스(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박스(30)는 수평의 출력측면(33a, 34a)의 반대쪽에 수평의 입력측면(33b, 34b)을 구비한다. 입력측면 위의 도체접속스트립(39b)들은 상기 박스(30)의 수평의 입력측면(33b, 34b) 위로 수직축(X)을 따라 돌출되며, 상기 박스(30)의 출력측면 도체스트립(39a)들은 상기 박스(30)의 수평의 출력측면(33a, 34a) 위로 상기 동일한 수직축(X)를 따라 반대방향쪽으로 돌출된다. 분명하게, 입력측 접속스트립과 출력측 접속스트립은 상기 스위치장치의 각 극(Pole)에 대응하며, 상기 극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사용될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3개의 입력측과 3개의 출력측 접속스위치를 내장하고, 그 결과 3극장치(Three-Pole Device)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에는, 고전류, 예컨대 400V에서 32A 정도나 그 이상의 전류의 순환을 위한 충분히 큰 동일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딱딱한 도체스트립(39a, 39b)이 제공된다. 상기 도체스트립들은 보통 금속, 특히 구리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30)의 수평의 출력측면(33a, 34a)과 수평의 입력측면(33b, 34b)이 서로 떨어진 몇개의 수평면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의 출력측면(33a, 34a)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의 출력측 영역(33a)과, 상기 출력측 도체스트립(39a)이 돌출되어 단차가 진 수평의 출력측 접속영역(34a)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의 입력측면(33b, 34b)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의 입력측 영역(33b)과, 상기 입력측 도체스트립(39b)이 돌출되어 단차가 진 수평의 입력측 접속영역(3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측 지지영역(33a)과 입력측 지지영역(33b)은 상기 박스(30)의 배면(32)에 더 가깝고, 이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출력측 접속영역(34a)과 입력측 접속영역(34b) 사이의 거리보다 더 크다.
상기 박스(30)의 출력측 접속영역(34a)과 입력측 접속영역(34a)은,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40)이 이들의 각각에 놓일 수 있도록 배열되며, 그 결과 외부도체들과 상기 박스(30)의 접속스트립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분명히,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파워터미널 블럭(40)의 이러한 형식에서의 파워터미널 개수는, 설치될 스위치장치에서의 극의 개수와 동일하다. 그것은 2개의 대향한 수평면(41, 49)과, 터미널 클램핑 스크류(Termainal Clamping Screw, 42)가 근접하게 되는 수직전면을 갖는 평행육면체이다.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의 각 터미널에는, 하나 혹은 몇 개의 전기도체들이 상기 스크류(42)의 나사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수평면(41, 49)이 통과하는 수직개구부(Vertical Opening, 44)가 있다. 터미널 블럭(40)의 폭은 상기 박스(40)의 폭과 거의 같다.
따라서, 각 접속스트립(39a, 39b)은, 접속터미널 블럭(40)의 수평면(41, 49)의 하나가 상기 박스(30)의 접속영역(34a,34b)과 접속할 때 대응하는 개구부(44)에 삽입된다. 보통은, 파워터미널 블럭(40)의 각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부(44)에 위치한 클램핑 케이지(Clamping Cage, 43)와 함께 동작하는 클램핑 스크류(42)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42)가 조여질 때, 상기 케이지(43)는 상기 개구부(44)에 존재하는 도체들을 클램핑하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클램핑은 상기 접속스트립과 상기 개구부(44)에서 준비된 어떠한 다른 도체 사이의 유효한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상기 접속터미널 블럭(40)을 상기 스위치장치의 박스(30)에 고정시킨다.
더욱이,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의 수평면(41, 49) 중 적어도 하나에는 지지장치(45)가 제공되어 상기 전기장치의 박스(30) 위에 파워터미널(40)의 안내, 위치조정 및 지지를 도와준다. 이들 지지장치(45)들은, 상기 박스(30)의 각 출력측과 입력측 접속영역(34a, 34b) 위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측과 입력측(35a, 35b) 위의 보조수단과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지지장치들은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의 수평면(41)의 앞부분 위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핀(Pin, 45)으로 구성된다.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이 상기 박스(30)와 접촉하여 설치될 때, 이들 핀들은 상기 박스(30)의 접속영역(34a, 34b)의 앞부분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개수의 캐비티(Cavity, 35a, 35b)에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티(35a, 35b)의 형상은 상기 핀(45)의 형상에 들어맞는다. 일단 상기 접속스트립(39)이 상기 개구부(44)에 맞물리고 상기 스크류(42)를 조이기 전에, 상기 터미널 블럭(40)은상기 박스(30)의 접속영역(34a, 34b)을 따라 상기 지지영역(33a, 33b)과 접촉될 때까지 상기 수평면(41)을 뒤쪽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영구 위치에 들어간다. 이러한 작동 중에, 상기 핀(45)은 상기 대응하는 캐비티(35a, 35b)에 맞물려 상기 터미널 블럭을 유지하고 그것을 상기 박스 근처에 위치시킨다.
상기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40)은, 단일 터미널 블럭(40)이 박스(30)의 출력측 또는 그것을 돌린 후의 입력측에 관계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 수직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면(41)에는 상기 수직 중앙면의 각 측면 위에 위치한 두개의 핀(45)이 제공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기재한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는, 상술한 것과 유사한 제1전기스위치장치와 제2전기스위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전기장치(30)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2전기장치는 수평의 출력측면(13a, 14a)과 반대쪽에 수평의 입력측면(13b, 14b)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평행육면체 형상의 박스(Box, 1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장치의 박스(10)의 폭은 상기 제1장치의 박스(30)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상기 입력측(19b)과 출력측(19a) 위의 도체접속스트립들은 수직축(X)을 따라 상기 수평면인 각각의 입력측과 출력측 위로 돌출된다. 상기 수평의 출력측면(13a, 14a)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출력측 지지영역(13a)과, 상기 출력측 접속스트립(19a)이 돌출되며 단차져 있는 수평의 출력측 접속영역(14a)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평의 입력측면(13b, 14b)은, 적어도 하나의 수평 입력측 지지영역(13b)과, 상기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이 돌출되며 단차져 있는 수평의 입력측 접속영역(14b)으로 구성된다. 상기 출력측과 입력측지지영역(13a, 13b)들은, 상기 박스(10)의 배면에 더 가깝고, 또한 상기 출력측과 입력측 접속영역(14a, 14b)보다 서로 떨어져 있다. 캐비티 35a, 35b와 마찬가지로, 캐비티 15a, 15b는 상기 박스(10)의 입력측과 출력측 접속영역(14a, 14b)의 앞부분에 배치되며,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 지지핀들은 상기 캐비티들에 들어맞는다.
상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가 일단 조립되면, 상기 박스(30, 10)들은, 상기 제1전기장치의 박스(30)의 출력측 지지영역(33a)이 상기 제2전기장치의 박스(10)의 입력측 지지영역(13a)과 접촉하도록 상기 접속스트립의 수직축(X)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다른 쪽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의 수직치수는, 상기 두 전기장치의 박스들이 그들 사이에 공간이 없이 접촉하기 때문에 최소화된다.
제거가능한 출력측 파워터미널 블럭(50)은, 상기 제2박스(10)의 출력측 접속스트립(14a)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어셈블리의 출력측 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출력측 터미널 블럭(50)의 스크류들은, 상기 터미널 블럭들이 상기 박스와 접촉하여 고정되어 상기 출력측 접속스트립(19a)이 외부 출력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조여진다. 마찬가지로, 제거가능한 입력측 파워터미널 블럭(60)은, 상기 제1박스(30)의 입력측 접속스트립(34b)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어셈블리의 입력측 위에 설치된다. 상기 입력측 터미널 블럭(60)의 스크류들은, 상기 터미널 블럭(60)들이 상기 박스에 근접하게 고정되어 상기 입력측 접속스트립(39b)이 외부 입력측 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도록 조여진다.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50, 60)들은 상술한 파워터미널 블럭(40)과 동일하다.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 50, 60)들은, 상기전기장치의 박스들과 접촉한 상태로 터미널 블럭의 안내, 위치조정 및 지지를 도와주기 위해 박스(30, 10)에 있는 보조형상의 캐비티(35a, 35b, 15a, 15b)와 함께 작동하는 지지핀(45, 55, 65)들을 포함한다.
박스의 동일한 수평면의 접촉스트립(Contact Strip)과 접속스트립(Connection Strip) 사이의 단차는, 상기 박스(30, 10)들이 그들의 지지스트립을 통해 서로 근접하게 놓을 때, 상기 제1박스(30)의 출력측 접속영역(34a)과 상기 제2박스(10)의 입력측 접속영역(14b) 사이에 생기는 공간이, 제거가능한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40)에 의해 차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터미널 블럭(40)이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 파워터미널 블럭(60, 50)들과 동일하고, 그 결과 모든 파워터미널 블럭(40, 50, 60)들이 서로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어셈블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여러 부품 개수를 줄이는 것이다. 상기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40)의 지지핀(45)들은 상기 박스(30)의 캐비티(35a, 35b)와 관계가 있다. 상기 통상의 터미널 블럭(40)은 상기 지지핀(45)이 [쐐기(Shim, 70)를 통해] 상기 제2박스(10)의 캐비티들과 연관될 수 있도록 뒤바뀔 수 있다.
따라서, 두 전기장치로 구성된 이러한 형식의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는 3개의 터미널 블럭(40, 50. 60)을 포함하는 반면, 두 터미널 블럭들은 보통 장치마다 필요하다.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40)은 몇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과 상기 제2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들은, 일단 상기 통상의 터미널 블럭(40)의 개구부(44)에 삽입되면, 상기 3개의 조임스크류(42)에대한 클램핑 동작으로 상기 제2장치의 대응하는 입력측 접속스트립과 상기 제1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의 2대 2 전기접속을 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클램핑 동작은 상기 두 장치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조인다. 이러한 기계적인 장착으로 인해, 상기 장치의 하나만, 예컨대 제1장치(30)는, 프레임, 섹션 또는 보드나 상기 통상의 터미널 블럭(40)에 의해서만 위치를 유지하는 다른 장치들과 같은 지지체 위에, 그 배면(32)을 통해 고정되어야 한다. 상기 두 장치들은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체에 장착되기 전에 서로 조립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를 설치하는데에는 하나의 지지체만이 필요하다.
상기 두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인 장착을 유효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은, 상기 접속스트립의 수직축(X)에 직각방향을 따라 상기 제2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으로부터 약간 치우져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박스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들은 상기 박스(10)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으로부터 뒤쪽으로 치우쳐 있다. 분명히, 이들은 앞쪽으로 치우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상기 입력측 접속스트립으로부터 상기 출력측 접속스트립이 옆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치우침(Offset)은, 상기 어셈블리가 조립될 때 상기 박스(30, 10)를 서로 근접하여 놓는데 방해받지 않도록 충분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어셈블리가 일단 설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접촉영역(49)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통상의 터미널 블럭(40)의 스크류(42)가 조여지면, 이러한 치우침으로 인해 상기 제1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이 상기 제2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와겹쳐 가지런히 놓일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출력측과 입력측 접속스트립의 길이는, 상기 제1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과 상기 제2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이 겹쳐서, 상기 두 장치들 사이에서 신뢰성이 있는 기계적 지지와 만족할만한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충분히 큰 접촉영역(49)를 제공하여 상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를 통해 순환하는 전류에 맞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전기장치를 포함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동일한 파워터미널 블럭(40, 50, 60)들을 유지함으로써 상술한 어셈블리에 제3의 전기장치를 추가하는 것은 용이하다. 상기 제3전기장치의 박스는, 예컨대 열적 릴레이의 경우와 같이 상기 박스(10) 출력측 위에 놓이면,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10)의 출력측 접촉스트립(13a)에 근접하여 놓일 것이고, 상기 파워터미널(50)은 제2, 제3장치의 박스 사이에서 통상의 터미널 블럭으로서 작동할 것이다. 상기 제3터미널 블럭의 출력측 위의 접속스트립은 상기 제2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으로부터 약간 치우치게 설계될 것이다. 반대로, 상기 제3전기장치가 상기 박스(30)의 입력측 위에 있다면, 상기 입력측 지지영역(33b)에 근접하여 놓일 것이고, 상기 파워터미널(60)은 제1, 제3장치의 박스 사이에서 통상의 터미널 블럭으로서 작동할 것이다. 상기 제3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은 상기 제1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으로부터 약간 치우쳐야 한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일부 스위치장치들은, 상기 접속스트립의 출력 앞에서 수평의 입력측과 출력측면 위의 접속스트립의 앞부분 위에서 치우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과 도 2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기장치의 입력측과 출력측 접속영역(14a, 14b)에는 상기 접속스트립(19a, 19b)의 바로 앞에서 그러한 단차(Setback)가 제공된다. 상술한 어셈블리를 제조하려면, 이러한 단차는, 상기 박스(10)와 접촉한 파워터미널 블럭(40, 50)의 지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박스(10)와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 50) 사이에 쐐기 70 또는 70'를 각각 삽입함으로써 폐쇄될 수도 있다. 이들 쐐기(70, 70')들은 동일하며 수직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들은 평행육면체이며, 상기 단차와 거의 동일하고 그 폭은 상기 전기장치의 박스의 폭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한 상기 어셈블리의 일반적인 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 이들을 상기 단차에 채울 수 있다. 이들은 상기 박스(10)의 캐비티(15a, 15b)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지지핀(Support Pin)이 존재하는 제1수평면과, 인접한 파워터미널 블럭의 지지핀과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캐비티를 갖는 대향하는 제2수평면을 포함한다.
분명히,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상세하게 다른 변형과 개량을 구상하고, 동등한 수단의 사용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몇 개의 전기장치의 기계적 전기적 조합을 종속(Cascade)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어,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의 접속을 간단하며 신뢰성있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11)

  1. 제1전기스위치장치와 제2전기스위치장치를 포함하고, 각 장치는, 수직축을 따라 각 박스(30, 10)의 입력측(34b, 14b)과 출력측(34a, 14a) 각각에 대한 수평 접속영역으로부터 돌출되며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Power Terminal Block, 40, 50, 60)의 개구부(44)에 삽입될 수 있는 입력측 및 출력측 도체접속스트립(Input Side and Output Side Conducting Connection Strip, 39b, 19b와 39a, 19a)이 제공된 박스(30, 10)를 구비하고,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수직축(X)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1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과 상기 제2전기장치의 대응하는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을 클램핑(Clamping)하여, 이에 따라 상기 두 전기장치 사이를 기계적으로 장착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Power Terminal Block, 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Assembly).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장치의 박스(30)는, 상기 제2전기장치 박스(10)의 입력측 수평지지영역(13b)에 강제로 접촉하는 출력측 수평지지영역(3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40)은, 상기 제1전기장치의 박스(30)의 출력측 수평접속스트립(34a)과 상기 제2전기장치의 박스(10)의 입력측 수평접속스트립(14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은, 상기 제2전기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19b)으로부터 상기 접속스트립의 수직축(X)에 직각 방향을 따라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1장치의 박스(30)의 입력측 접속스트립(39b)이 맞을 수 있는 제거가능한 입력측 파워터미널 블럭(60), 상기 제2장치의 박스(10)의 출력측 접속스트립(19a)이 맞을 수 있는 제거가능한 출력측 파워터미널 블럭(50)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과 출력측 파워터미널 블럭(50, 60)들은 동일하며 상기 통상의 파워터미널 블럭(40)과 상호 호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블럭(40, 50, 60)들은, 상기 전기장치들의 박스(30, 10)에 배치된 보조수단(35a, 35b, 15a, 15b)과 함께 작동하는 지지장치(45, 55, 6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파워터미널 블럭(40)의 수평면(41) 위에 존재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핀(Pin, 4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전기장치의 박스(10)와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40) 사이에 쐐기(Shim, 70)가 삽입되고, 상기 쐐기(70)에는 상기 박스(10)에 배치된 보조수단(15b)과 함께 작동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9. 박스(10, 30)의 각각의 입력측(34b, 14b)과 출력측(34a, 14a) 위의 수평접속영역 위에 수직축(X)을 따라 돌출되며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40, 50, 60)의 개구부(44)에 삽입될 수 있는 입력측 및 출력측 접속도체스트립(39b, 19b와 39a, 19a)이 제공된 박스(10, 30)를 포함하는 전기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는, 상기 청구항들 중 하나에 따른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로 일체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스위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의 출력측 접속스트립(39a)은, 수직축(X)의 직각방향을 따라 상기 전기장치의 입력측 접속스트립(39b)으로부터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스위치장치.
  11. 전기스위치장치용 제거가능한 파워터미널 블럭에 있어서,
    개구부(44)를 포함하고, 각 개구부는 전기스위치장치의 하나 또는 몇개의 도체접속스트립(19a, 19b, 39a, 39b)을 둘러싸서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와 일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터미널 블럭.
KR1020030041376A 2002-06-25 2003-06-25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KR100988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7964 2002-06-25
FR0207964A FR2841377B1 (fr) 2002-06-25 2002-06-25 Ensemble de protection et de commande electromagne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675A true KR20040002675A (ko) 2004-01-07
KR100988718B1 KR100988718B1 (ko) 2010-10-18

Family

ID=2971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376A KR100988718B1 (ko) 2002-06-25 2003-06-25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40823B2 (ko)
EP (1) EP1376637B1 (ko)
JP (1) JP4242214B2 (ko)
KR (1) KR100988718B1 (ko)
CN (1) CN1256748C (ko)
ES (1) ES2408307T3 (ko)
FR (1) FR2841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0732B2 (en) * 2005-10-25 2016-12-0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fficient purging
DE102005026714B3 (de) * 2005-06-09 2006-12-14 Siemens Ag Schutzeinrichtung mit einer Schutzschaltereinheit und mit einer Überspannungsschutzeinheit
CN102184806B (zh) * 2011-04-11 2014-04-09 欣灵电气股份有限公司 多用途继电器
FR2999781B1 (fr) * 2012-12-18 2015-01-02 Schneider Electric Ind Sas Dispositif modulaire de commutation electrique comportant au moins un bloc de coupure unipolaire et ensemble de commutation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US10597129B1 (en) 2013-03-15 2020-03-24 Stefan Broinowski Marine ducted propeller mass flux propulsion system
CN107248625A (zh) * 2017-04-27 2017-10-13 海宁市海创通日用品科技有限公司 快速两端电线排
DE102018202793A1 (de) * 2018-02-23 2019-08-29 Ellenberger & Poensgen Gmbh Schutzschaltergehäuse
GB201813253D0 (en) 2018-08-14 2018-09-26 Eaton Intelligent Power Ltd Space saving electrical devices arrangement for installation on a mounting rail and connector devices for a space saving electrical devices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150C (ko) 1908-08-12 1910-07-13
JPS4914930B1 (ko) * 1970-04-15 1974-04-11
US4171862A (en) * 1977-04-09 1979-10-23 Ellenberger & Poensgen Gmbh Terminal board for electrical equipment
JPS5797380U (ko) 1980-12-06 1982-06-15
US4606592A (en) * 1982-03-18 1986-08-19 Vernitro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l plug and socket modules
US4527849A (en) * 1983-07-29 1985-07-09 Allied Corporation Snap-in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devices
DD224150A1 (de) * 1984-05-17 1985-06-26 Oppach Schaltelektronik Motorschutzrelais
DE8434232U1 (de) * 1984-11-22 1989-11-0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Überlastrelais
US4872855A (en) * 1988-06-03 1989-10-10 Connectron, Inc. Adjustable terminal block equipment
DE9211314U1 (de) * 1992-08-22 1992-10-29 RIA electronic Albert Metz, 7712 Blumberg Mehrpolige Anschlußklemme
FR2695754B1 (fr) * 1992-09-16 1994-11-18 Telemecanique Pièce d'association d'un contacteur avec un disjoncteur.
DE4234619C2 (de) * 1992-10-14 1994-09-22 Kloeckner Moeller Gmbh Mit Schützen zu kombinierendes Überlastrelais
US5606299A (en) * 1995-11-14 1997-02-25 Eaton Corporation Modular surge suppressor
EP0880806A4 (en) 1996-02-02 1999-05-06 Berg Tech Inc MODULAR POWER CONNECTOR FOR SWITCHING
FR2761538B1 (fr) * 1997-04-01 1999-05-14 Schneider Electric Sa Ensemble de depart-moteur
US5873753A (en) * 1997-08-13 1999-02-23 Stoneridge, Inc., Alphabet Division Terminal block having secondary lock member
JP3213573B2 (ja) * 1997-10-30 2001-10-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スイッチ内蔵制御機器
FR2776840B1 (fr) * 1998-03-27 2000-05-19 Schneider Electric Sa Installation de raccordement electrique entre un ensemble d'appareils electriques et un systeme de controle et de commande
FR2787917B1 (fr) * 1998-12-23 2001-03-16 Schneider Electric Ind Sa Appareil electrique tel un disjoncteur ou un interrupteur modulaire
FR2789525B1 (fr) * 1999-02-05 2001-03-16 Schneider Electric Sa Appareil interrupteur electrique et ensemble a assemblage rapide
US6379196B1 (en) * 2000-03-01 2002-04-30 General Electric Company Terminal connector for a circuit breaker
US6262880B1 (en) * 2000-04-05 2001-07-17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mounting assembly with moveable remote termina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31354A (ja) 2004-01-29
CN1256748C (zh) 2006-05-17
CN1487548A (zh) 2004-04-07
EP1376637A1 (fr) 2004-01-02
ES2408307T3 (es) 2013-06-20
EP1376637B1 (fr) 2013-04-24
FR2841377B1 (fr) 2004-08-06
JP4242214B2 (ja) 2009-03-25
KR100988718B1 (ko) 2010-10-18
US20040042148A1 (en) 2004-03-04
FR2841377A1 (fr) 2003-12-26
US6840823B2 (en) 2005-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4068B1 (ko)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RU222206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выключ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быстросоединяемый узел
US7084727B2 (en)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uniform control tile
US11521817B2 (en)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switching device
KR100988718B1 (ko) 전자기 보호 및 제어 어셈블리
US5483213A (en) Terminal block with terminal-locking slot
US5600291A (en) Contactor device
US4802059A (en) Multiple low-voltage circuit breaker having bus bars
US6388894B1 (en) Pre-wiring device for contactors
JPH11297179A (ja) 回路遮断器およびその主回路端子アダプタ
EP1346387A1 (en) Supporting base for a circuit breaker
JP2007288963A (ja) プラグイン分電盤
EP3756206B1 (en) Circuit breaker housing
JP7019095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および電気機器
JP4117776B2 (ja) 回路遮断器の電圧切替装置
JP3414259B2 (ja) 接続変換アダプタ
KR20090097028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JPH10257617A (ja) 分電盤
JPH09298026A (ja) 多極回路遮断器
JPH03129630A (ja) 漏電遮断器
KR100510712B1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JP2003242875A (ja) 回路遮断器
KR20040050724A (ko) 전자접촉기의 도선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