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1699A -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1699A
KR20040001699A KR1020020037005A KR20020037005A KR20040001699A KR 20040001699 A KR20040001699 A KR 20040001699A KR 1020020037005 A KR1020020037005 A KR 1020020037005A KR 20020037005 A KR20020037005 A KR 20020037005A KR 20040001699 A KR20040001699 A KR 2004000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herbal
ful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3342B1 (ko
Inventor
조동욱
강봉주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3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33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4Dioscoreaceae (Yam family)
    • A61K36/8945Dioscorea, e.g. yam, Chinese yam or water y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본 발명은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 7-22중량부, 산약(山藥 : Dioscoreae Radix) 3-9중량부,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3-9중량부, 복령(茯笭: Poria ) 3-9중량부, 목단피(牧丹皮:Moutan Radicis Cortex) 3-9중량부, 및 택사(澤瀉: Alismatis Rhizoma) 3-9중량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Herbal medicnes for treating damage of neuronal cells}
본 발명은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한방에서 신장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던 육미지황원을 주재료로 하는 중풍 등 뇌혈관 질환의 치료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 (중풍)은 뇌 조직에 산소와 포도당 같은 영양분을 공급하는 뇌혈관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기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좁아지거나 파열되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
뇌혈관질환(cerebrovascular disease)은 뇌의 정상적인 혈액공급의 장애에 의한 모든 신경질환(neurologic deficit)을 나타내는 것으로,뇌혈관사고(cerebrovascular accident, CVA) 또는 뇌졸중 (stroke)이라고 하는데 한의학에서 중풍이라고 불려진 병과 같다. 발생빈도(incidence), 유병률(prevalence rate), 사망률이 높은 중요한 질환이며, 특히 뇌졸중이란 신경장애 소견이 24시간 이상 지속하는 (혹은 24시간 이내 사망) 뇌혈관에서 기인하는 급성 뇌 장애(neurological deficit) 를 말하는 것이다. 정맥염, 정맥류(aneurysm), 고혈압, 동맥경화 및 혈전색전증 등이 원인이 되어 혈류량 감소, 허혈 또는 출혈 등을 나타내게 되고, 손상 받은 부위와 허혈, 경색이나 출혈의 정도에 따라 의식장애나 마비 등 증상은 다양하다.
뇌졸중은 국내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망원인중 하나이며, 평균수명의 연장에 따라 고령층의 인구증가에 따라서 심장질환 및 악성 종양과 함께 성인의 3대 사인을 이루고 있다.
90년대에는 중풍의 치료에 대한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아직도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뇌졸중의 치료에서 뇌조직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뇌졸중 치료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뇌졸중의 치료의 목적은 ① 위험인자를 감소시키는 것과 ② 이미 있는 병변을 미리 치료하여 재발을 막고 ③ 뇌경색이 왔을 때 뇌부종을 감소시키고, 허혈상태인 곳은 적절하게 순환되게 하여 이차적인 뇌손상을 줄이는 것이다.
중풍에 대해서는 동서양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1958년에 최초로 중풍을 NINDB-I분류를 하였다. 그후 1975년에 이를 수정 보완하여NINCD-II분류를 하였으며, 또한 1981년에는 NINCDS에서 역학조사를 통하여 이를 진단기준에 첨가하여 분류하였고, 1990년에는 NINDD-III분류를 통하여 더욱 체계적이고 세분화하여 정교하게 수정 보완한 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초적인 분류를 통하여 임상에서도 이에 준 하는 많은 체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서양의학에서 임상연구 뿐만이 아니라 기초적인 연구가 매우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방적인 치료는 미국 서부에서 침구치료에 대한 임상적인 연구가 있으나 매우 미진한 면이 많고 기존의 침구치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현재 서양의학적인 진단기기 (뇌전산화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뇌혈류초음파)등을 통하여 객관적인 진단에 임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한약물의 임상보고가 매우 많이 발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뇌혈관 질환에 효능이 있는 새로운 한약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허혈/재관류시 쥐뇌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시료를 투여한 쥐의 뇌 절편 사진.
본 발명자들은 뇌졸중 등, 뇌혈관질환에 효능이 있는 한약재 조성물을 연구, 검색한 결과 육미지황원이 뇌신경세포의 허혈성 및 산화적 손상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육미지황원은 동의보감에 의하면 치신수부족(治腎水不足)이라 하여 주로 신장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한방 처방으로서, 그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제신질환, 방광질환, 구루병. 바세도우씨병, 백내장, 변비, 사지번열, 폐결핵.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은 육미지황원의 처방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 7-22중량부, 산약(山藥 : Dioscoreae Radix) 3-9중량부,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3-9중량부, 복령(茯笭: Poria) 3-9중량부, 목단피(牧丹皮:Moutan Radicis Cortex) 3-9중량부, 및 택사(澤瀉: Alismatis Rhizoma) 3-9중량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약재 조성물은 숙지황 15중량부, 산약 5.63 중량부, 산수유 5.63 중량부, 복령 5.63 중량부, 목단피 5.63 중량부, 및 택사 5.63 중량부로 구성된다.
중풍의 모델로서 Focal cerebral ischemia의 흰쥐모델로서 MCA occlusion (MCAo)은 1975년부터 사용되었는데 (Robinson, 1975), 사람의 임상증상과 유사하여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육미지황원의 중풍에 대한 약효 효능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탕제의 준비 및 추출
숙지황 150g, 산약 56.3g, 산수유 56.3g, 복령 56.3g, 목단피 56.3g, 및 택사 56.3g을 증류수 2ℓ에 부가하여 밤새 침지시킨 후, 약탕기에서 30분간 다시 가열한 다음 추출액을 분리하였다. 다시 2ℓ의 증류수를 부어 재탕으로 2시간 더 가열한 다음, 추출액을 분리하여 처음 추출액에 부가하였다.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농축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수거하였다. 이 상징액을 3MM 여과지로 여과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킨 후, -20℃에서 보관하며 하기 실시예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MCA Occlusion 모델을 이용한 뇌신경세포의 허혈성 손상에 대한 치료 효능 실험
1) 실험동물
체중 150∼180 g의 웅성 Sprague-Dawley 흰쥐를 실험실 조건에서 적응시키면서 물과 사료를 충분히 공급하면서 사육하여 280∼320 g이 될 때 선별하여 실험전날 물만 공급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2) 중대뇌동맥 폐쇄 모델 제조
Zea-Longa의 방법을 응용한 Intraluminal suture method를 사용하였다. 25 ㎜의 4-0 나이론 봉합사의 끝 부분에서 약 5 ㎜길이를 실리콘으로 코팅하되 지름이 0.28∼0.30 ㎜가 되게 제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흰쥐를 70% N₂O와 30% O₂가 섞인 혼합가스에 5%의 이소플루란으로 전마취를 한 후 목 전방 부위 중앙을 피부절개하고 오른쪽 경동맥과 외경동맥(ECA)을 주위조직과 신경들로부터 조심스럽게 분리하였다. 외경동맥 분지인 상부갑상선동맥과 후두동맥을 전기소작기로 소작하고 내경동맥의 분지인 익돌근구개동맥을 전기소작하고 외경동맥을 자르고 probe를 외경동맥에서 내경동맥으로 삽입하되 총경동맥분지에서 약 18∼20 ㎜정도 삽입한 후 실로 고정하였다. 피부절개부위를 다시 봉합한 후 마취에서 자연회복시켰다. 수술 60분 후 같은 방법으로 재마취하여 Probe를 후퇴시켜 재관류시켰다. 재관류 후 48시간 뒤에 경추탈골시켜 2분 이내에 뇌를 적출하여 2 ㎜ 두께로 7개의 절편을 얻었다. 2% 트리페닐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가 들어 있는 16 웰 플래이트에 조직을 충분히 담그고 37℃ 에서 30분동안 방치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고정시켜 조직을 관찰하였다. 모든 수술과정은 수술현미경하에서 시행하였으며, 이소플루란을 2%로 계속 유지하면서 수술현미경하에서 시행하였다. 체온이 37℃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램프를 쬐어주었다.
3) 시료의 투여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료 (300 ㎎/㎏, p.o.)을 중대뇌동맥 폐쇄와 동시에 1회, 90분 후 1회 투여하였다.
4) 뇌경색 부위 관찰
고정된 7개의 조직을 디지털 카메라로 하나씩 촬영한 후 컴퓨터에 옮겼고, 이미지 분석프로그램인 Optimas 6.5(Bioscan)를 이용하여 허혈부위의 부피를 계산하였다. 허혈이 유발되지 않은 좌반구의 전체부피에서 우반구의 손상되지 않은 부위를 뺀 실제 조직손상부위를 좌반구 전체에서 퍼센트로 계산하였다.
(허혈이 유발되지 않은 좌반구의 부피) - (허혈이 유발된 우반구의 조직손상이 없는 부위의 부피) = 뇌허혈 유발로 인해 손상된 조직의 부피
(뇌허혈 유발로 인해 손상된 조직의 부피) / (허혈이 유발되지 않은 좌반구의 부피) ×100 = 전체 반구(Hemisphere)에서의 허혈로 인한 조직손상 부피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도시하였다.
또, TTC 염색 이후 절개된 쥐의 뇌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다. 각 슬라이스의 두께는 2 ㎜였다.
5) 결과
MCAo 쥐 모델의 뇌손상에 대한 작용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은 30.7±7.92%의 뇌손상을 보인 반면, 실시예 1의 시료를 투여한 군은 약 23.5%로 뇌손상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도 1) 또, TTC 염색 이후에 각각의 조직샘플을 살펴보면 대조군에 비해 실시예 1의 시료를 투여한 군의 피질의 경색 부위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었다. (도 2)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약재 조성물은 뇌허혈로 유발된 손상 조직부위를 회복시키고, 피질의 경색을 감소시키는 효능이 있어, 뇌졸중의 치료제로 유용하다.

Claims (4)

  1. 건조중량비로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 7-22중량부, 산약(山藥 : Dioscoreae Radix) 3-9중량부,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3-9중량부, 복령(茯笭: Poria) 3-9중량부, 목단피(牧丹皮:Moutan Radicis Cortex) 3-9중량부, 및 택사(澤瀉: Alismatis Rhizoma) 3-9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숙지황 15중량부, 산약 5.63 중량부, 산수유 5.63 중량부, 복령 5.63 중량부, 목단피 5.63 중량부, 및 택사 5.63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3. 건조중량비로 숙지황(熟地黃 :Rehmanniae radix preparat) 7-22중량부, 산약(山藥 : Dioscoreae Radix) 3-9중량부, 산수유(山茱萸: Corni Fructus) 3-9중량부, 복령(茯笭: Poria) 3-9중량부, 목단피(牧丹皮:Moutan Radicis Cortex) 3-9중량부, 및 택사(澤瀉: Alismatis Rhizoma) 3-9중량부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치료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숙지황 15중량부, 산약 5.63 중량부, 산수유 5.63 중량부, 복령 5.63 중량부, 목단피 5.63 중량부, 및 택사 5.63 중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뇌졸중 치료제.
KR1020020037005A 2002-06-28 2002-06-28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KR100543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005A KR100543342B1 (ko) 2002-06-28 2002-06-28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005A KR100543342B1 (ko) 2002-06-28 2002-06-28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699A true KR20040001699A (ko) 2004-01-07
KR100543342B1 KR100543342B1 (ko) 2006-01-20

Family

ID=3731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005A KR100543342B1 (ko) 2002-06-28 2002-06-28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33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816A1 (en) * 2005-05-23 2006-11-30 Tong Yang Moolsan, Co., Lt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ioscorea opposita thunb show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rain disease
WO2007049932A1 (en) * 2005-10-28 2007-05-03 Sun-Yeou Kim Extract of the family dioscoreacea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pheral neuropathy comprising the same
KR100780180B1 (ko) *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42052B1 (ko) * 2004-05-19 2008-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뇌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5395A (ko) * 2019-01-04 2020-07-15 위영만 신경계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188A (ja) * 1993-12-17 1995-07-11 Tsumura & Co 新規アリソールおよびアリソール類を有効成分とする脳機能改善剤
AU2000272667A1 (en) * 2000-09-13 2002-04-29 Jiangsu Kanion Pharmaceutical Co. Pharmaceutical composition treating gynecological blood stasis diseases, cardio and cerebral vascular diseases, respiratory diseases and the like
TWI381852B (zh) * 2005-09-27 2013-01-11 Sigma Tau Ind Farmaceuti 生物素二胺基衍生物類及其與大環螯合劑之共軛物
KR101336217B1 (ko) * 2011-11-11 2013-12-03 근로복지공단 의지용 소켓에 사용하기 위한 섬유 강화 수지 적층체, 그를 포함하는 의지용 소켓 및 의지용 소켓의 제조방법
US9069364B2 (en) * 2012-03-23 2015-06-3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Enhanced on-time generator
KR101371740B1 (ko) * 2012-09-07 2014-03-12 기아자동차(주) 배터리 냉난방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052B1 (ko) * 2004-05-19 2008-06-30 한국 한의학 연구원 뇌혈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06126816A1 (en) * 2005-05-23 2006-11-30 Tong Yang Moolsan, Co., Ltd.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dioscorea opposita thunb showing neuronal cell-protecting activity for preventing and treating brain disease
WO2007049932A1 (en) * 2005-10-28 2007-05-03 Sun-Yeou Kim Extract of the family dioscoreacea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pheral neuropathy comprising the same
US8202554B2 (en) 2005-10-28 2012-06-19 Sun-Yeou Kim Extract of the family dioscoreaceae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eripheral neuropathy comprising the same
KR100780180B1 (ko) *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20200085395A (ko) * 2019-01-04 2020-07-15 위영만 신경계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3342B1 (ko) 200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78482B (zh) 一种治疗骨伤骨折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698020B (zh) 一种治疗股骨头坏死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846975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用途和制剂
KR100543342B1 (ko) 뇌신경세포의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 조성물
CN111184792B (zh) 一种治疗膝骨关节炎的中药组合物
CN104027449A (zh) 一种治疗风湿关节疼痛、骨质增生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846762B (zh) 一种药物组合物及其用途和制剂
CN109260397A (zh) 一种治疗眼底血管性疾病的中药组合物
CN110237161B (zh) 用于治疗绝经综合征的药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853575A (zh) 一种内服外敷用于促进神经外科术后康复的儿童中药配方
CN105434799A (zh) 一种制备治疗老年性骨折的中药组合物的方法
CN104623057A (zh) 一种治疗糖尿病足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04523861A (zh) 一种用于治疗中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4344422B (zh) 一种防治术后气血亏虚肠燥证便秘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0546567C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中药软胶囊及其制备
CN108938718A (zh) 一种用于治疗脑中风的中药组合物及其制剂的制备方法
CN107913374A (zh) 一种治疗结石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5177690B (zh) 一种用于治疗骨性关节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478007C (zh) 跌打风湿增生膏及其制备方法
CN101156904B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963498A (zh) 一种用于术后康复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40721B (zh) 一种具有治疗神经源性膀胱症的中药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596523A (zh) 一种用于促进股骨颈骨折愈合的中药药物
CN116983341A (zh) 中药粘毛蓼在制备防治中风药物方面的应用
CN105596687A (zh) 用于治疗围绝经期综合征的中药药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