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637Y1 - 전자 오락기 - Google Patents

전자 오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637Y1
KR200399637Y1 KR20-2005-0022281U KR20050022281U KR200399637Y1 KR 200399637 Y1 KR200399637 Y1 KR 200399637Y1 KR 20050022281 U KR20050022281 U KR 20050022281U KR 200399637 Y1 KR200399637 Y1 KR 2003996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onitor
main monitor
closing plate
game prog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2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순
Original Assignee
박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순 filed Critical 박석순
Priority to KR20-2005-00222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6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6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6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6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on the game controller or outside a game boot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임 진행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알기쉽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오락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모니터 및 상기 메인모니터 아래에 위치하며 작동버튼이 장착된 개폐판에 덮혀지며 게임 진행을 입력하는 작동부로 구성한 전자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니터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며 상기 메인모니터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표시하는 보조모니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락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전자 오락기{an electronic game machine}
본 고안은 전자 오락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모니터 상단에 상기 메인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보조모니터를 설치하여 게임진행정보를 사용자에게 보다 알기쉽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오락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오락기로는 단순 놀이기능만을 구비한 오락기와, 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일정 점수이상을 획득하면 경품이나 상품권을 제공하는 오락기가 있다.
후자에 해당하는 전자오락기는 경품이나 상품권을 통해 게임을 즐기는 목적에서 더 한층 성취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통상 직사각 형태의 하우징 전방에 게임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게임 프로그램이 설정된 각종 전자제어유닛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모니터 아래에는 게임을 진행시키는 작동부가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작동부에는 작동버튼외 코인이나 지폐를 투입하는 수납구와, 경품 또는 상품권을 지급하는 인출기가 더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전자오락기는 먼저, 모니터가 하우징 전방에 한기만이 구비됨에 따라 게임 진행상황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조금 복잡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게임의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게임진행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없어 초보자의 경우에는 게임을 숙지하기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동부는 통상 개폐판으로 덮혀져 있는 상태에서 고장등의 수리작업이나 금액인출등의 작업시 상기 개폐판을 개방시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개폐판의 개폐구조가 통상 여닫이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많은 개폐공간을 요하게 되며, 따라서 개폐판을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인근에 위치한 다른 오락기에 방해를 받게 됨으로서 수리작업에 많은 번거로움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인모니터 상단에 별도의 보조모니터를 더 구비함으로서 게임 진행정보를 보다 많이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에게 게임 진행정보를 보다 알기쉽고 신속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오락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동부에 덮혀있는 개폐판의 개폐동작이 전방으로 눕혀지며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인근에 위치한 다른 오락기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개폐판을 개방시켜 수리나 점검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전자 오락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모니터 및 상기 메인모니터 아래에 위치하며 작동버튼이 장착된 개폐판에 덮혀지며 게임 진행을 입력하는 작동부로 구성한 전자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니터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모니터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며 상기 메인모니터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표시하는 보조모니터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오락기를 제시한다.
상기 개폐판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돌출된 측면지지틀 사이에 끼워져 하단에 체결된 힌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눕혀지며 개방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지지틀의 내측에는 폐쇄된 개폐판을 지지하는 받침편들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전자 오락기의 전체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오락기(10)는 하우징(12), 메인모니터(14), 보조모니터(16), 작동부(1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전자 오락기의 외형틀을 이루는 것으로서, 직사각 형태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게임 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 각종 전자제어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전방에는 양측으로 복수개의 측면지지틀(12a)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지지틀(12a) 사이 바닥으로 하면지지틀(12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지지틀(12a)과 하면지지틀(12b)은 후술하는 개폐판(20)을 지지하는 수단들이다.
상기 메인모니터(14)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방 중앙에 위치하며 미 도시된 전자제어유닛의 신호를 받아 게임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상기 보조모니터(16)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모니터(16)는 상기 메인모니터(14) 상단에 위치하며 메인모니터(14)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며 상기 메인모니터(14)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게임 진행상황등의 정보를 하나의 메인모니터(14)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조모니터(16)가 메인모니터(14)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표시하게 됨으로서 보다 많은 양의 게임정보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모니터(14)와 보조모니터(16)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게임 진행방식을 보다 빨리 숙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진행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18)는 상기 메인모니터(14) 아래에 위치하며 게임의 진행을 직접 입력하는 곳으로서, 개폐판(20)에 의해 덮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개폐판(20)은 첨부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태로 하우징(12)의 양측에 돌출된 측면지지틀(12a) 사이에 끼워지며 하단에는 상기 측면지지틀(12a) 사이 바닥을 이루는 하면지지틀(12b)과 힌지(24) 체결되어 조립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개폐판(20)은 개방시, 첨부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쇠(22)의 잠금해지동작에 따라 상기 힌지(24)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눕혀지며(출몰하며) 개방되어 진다. 즉, 상기 개폐판(20)은 종래와 같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방되는 것이 아니라 언급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눕혀지며 개방됨에 따라 작동부(18)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회로기기의 수리나 점검작업시 작업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시켜 인근에 위치한 다른 오락기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나 점검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지지틀(12a)의 내측에는 받침편(26)이 각각 볼트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편(26)은 개방된 개폐판(20)을 폐쇄시키는 동작에서 개폐판(20)을 적정위치에서 받쳐주며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판(20)의 상단에는 일측으로 하나의 작동버튼(28a)과 타측으로 두개의 작동버튼(28b)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작동버튼(28a, 28b)들의 누름동작으로 사용자는 게임 진행방식을 직접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20)의 전방에는 일측으로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수납구(30)가 구비되고, 그 타측으로는 일정점수 이상 획득시 상품권을 배출하는 상품권인출구(32)가 구비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인 전자 오락기(10)의 작용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은 메인모니터(14) 상단에 보조모니터(16)를 더 구비하여 상기 메인모니터(14)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많은 양의 게임정보를 한번에 표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모니터(14)와 보조모니터(16)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되어 게임 진행방식을 보다 빨리 숙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진행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부(18)에 덮혀있는 개폐판(20)이 하단에 체결된 힌지(24)를 중심으로 전방 즉, 앞쪽으로 눕혀지며 개방됨에 따라 작동부(18)에 내장된 각종 회로기기의 수리나 점검등의 작업 위해 개폐판(20)을 개방시킬 때 인근에 위치한 다른 오락기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로 개폐판(20)을 개방시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많은 효과들을 달성한다.
첫 번째로 메인모니터 상단에 별도의 보조모니터를 더 구비함으로서 게임 진행정보를 보다 많이 표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에게 게임 진행정보를 보다 알기쉽게 숙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게임 진행상황을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두 번째로 작동부에 덮혀있는 개폐판의 개폐동작이 전방으로 눕혀지며 개방되도록 함으로서 인근에 위치한 다른 오락기에 방해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리나 점검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오락기의 전체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작동부의 내부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자 오락기 12: 하우징
14: 메인모니터 16: 보조모니터
18: 작동부 20: 개폐판
24: 힌지

Claims (3)

  1.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 전방에 설치되는 메인모니터(14) 및 상기 메인모니터(14) 아래에 위치하며 작동버튼(28a, 28b)이 장착된 개폐판(20)에 덮혀지며 게임 진행을 입력하는 작동부(18)로 구성한 전자 오락기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니터(14)의 상단에는 상기 메인모니터(14)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며 상기 메인모니터(14)와 함께 게임 진행정보를 표시하는 보조모니터(16)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오락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0)은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돌출된 측면지지틀(12a) 사이에 끼워지며 하단에 체결된 힌지(24)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눕혀지며 개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락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틀(12a)의 내측에는 폐쇄된 개폐판(20)을 지지하는 받침편(26)들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오락기.
KR20-2005-0022281U 2005-08-01 2005-08-01 전자 오락기 KR2003996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81U KR200399637Y1 (ko) 2005-08-01 2005-08-01 전자 오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281U KR200399637Y1 (ko) 2005-08-01 2005-08-01 전자 오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637Y1 true KR200399637Y1 (ko) 2005-10-27

Family

ID=43700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281U KR200399637Y1 (ko) 2005-08-01 2005-08-01 전자 오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6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307334A (ja) 遊技機
JP6995318B2 (ja) 遊技機
JP2007020596A (ja) 遊技機
JP2002000798A (ja) 遊技機
KR200399637Y1 (ko) 전자 오락기
JP2003310832A (ja) スロットマシン
JP2003250954A (ja) 遊技機
JP2007202696A (ja) 遊技機
JP2008301864A (ja) 遊技機
JP2008167769A (ja) 遊技機
JP2019030438A (ja) 遊技機
JP4568601B2 (ja) 遊技機
JP2007020800A (ja) 遊技機
JP2015188651A (ja) 遊技機
JP6480301B2 (ja) 遊技機
JP2005334536A (ja) 遊技機
JP2017060715A (ja) 遊技機
JP6671767B2 (ja) 遊技機
JP2002028292A (ja) 弾球遊技機及び弾球遊技機における遊技盤取付方法
JP2017064044A (ja) 遊技機
JPH11146973A (ja) 弾球遊技機
JP5857283B2 (ja) 遊技機
JP2021145981A (ja) 遊技機
JP2023085863A (ja) 遊技機
JP4423395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DISMISS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721

Effective date: 20061101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