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501Y1 -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 Google Patents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501Y1
KR200399501Y1 KR20-2005-0021620U KR20050021620U KR200399501Y1 KR 200399501 Y1 KR200399501 Y1 KR 200399501Y1 KR 20050021620 U KR20050021620 U KR 20050021620U KR 200399501 Y1 KR200399501 Y1 KR 200399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lamp lever
body portion
lev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1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이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규 filed Critical 이철규
Priority to KR20-2005-0021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5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또는 호스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링을 결합시킬 때에 사용되는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에 관한 것으로, 클램프 레버의 재질로서 아연합금을 사용하고 몸체부의 단면을 T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레버의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 및 클램프 레버의 단면계수가 증가되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고, 클램프 레버를 광택 배럴 도금함으로써 걸림부의 표면과 걸림홈부의 표면 사이의 마찰계수가 감소되어 커플링의 체결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CLAMP LEVER FOR COUPLING}
본 고안은 클램프 레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또는 호스를 연결하는 한 쌍의 커플링을 결합시킬 때에 사용하는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에 관한 것이다.
유체 또는 분말을 이송하기 위한 장비와 공급원 사이에 파이프 또는 호스 등을 이용한 관로를 구비하고, 이러한 관로를 연결하여 유체 또는 분말이 누수 또는 누출되지 않고 이송되도록 하되, 필요할 경우에는 간편하게 관로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커플링을 암수 한 쌍으로 구성하여, 일측에 설치된 클램프 레버로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커플링에 사용되는 클램프 레버는 철계 소결합금 또는 인청동을 재질로 사용하므로, 커플링의 본체에 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합금 소재 보다 경도가 높다. 따라서, 커플링 결합시, 커플링의 본체와 클램프 레버의 걸림부의 마찰이 원활하지 못하여 클램프 레버를 작동시키는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클램프 레버는 충분한 굽힘강도를 얻기 위하여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였으므로, 클램프 레버의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도 4는 종래의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클램프 레버(20)는 사각기둥형 몸체부(23)와, 몸체부(23)의 일단에 형성된 타원형의 걸림부(21)로 구성된다. 커플링(도 1의 100)을 결합할 때에 걸림부(21)가 커플링(도 1의 100)의 걸림홈부(도 1의 116)와 마찰하게 되는데, 클램프 레버(20)의 재질에는 철계 소결합금 또는 인청동이 사용되고 커플링(도 1의 100)의 재질로는 알루미늄합금이 사용되므로, 걸림부(21)의 경도가 걸림홈부(도 1의 116) 보다 높기 때문에 클램프 레버(20)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클램프 레버(20)의 작동에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클램프 레버(2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몸체부(23)가 굽힘파괴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몸체부(23)의 단면적을 넓게 형성하기 때문에, 클램프 레버(20)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클램프 레버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작동에 많은 힘이 소요되지 않고, 클램프 레버의 중량을 감소시키되 강도는 감소되지 않는 클램프 레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이 달성되기 위하여, 회동핀에 의해 커플링과 결합되도록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면상 T자를 형성하도록 일면에 리브가 돌출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고정용 링이 결합되는 링홀을 포함하되, 핀홀의 위치는 몸체부를 회동시킴에 따라 걸림부의 일부가 커플링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커플링용 클램프 래버가 제공된다.
걸림부와 몸체부는 아연합금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부 또는 걸림부는 광택 배럴 도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수커플링(110)의 일측에는 호스연결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삽입부(115)가 형성된 중공원통형상을 갖는다. 호스연결부(111)에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돌기부(112)가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호스연결부(111)에 연결된 호스(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부(115)의 중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삽입부(115)의 중심방향으로 오목하게 걸림홈부(116)가 형성된다.
암커플링(130)의 일측에는 삽입부(115)가 삽입되는 삽입구(13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호스연결부(131)가 형성된다. 호스연결부(131)는 수커플링(110)의 경우에서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호스(1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13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삽입구(135)가 형성된 부분의 중단부 중, 삽입부(115)가 삽입되었을 때에 걸림홈부(116)의 위치에 대응되는 곳에는 복수의 통공(136)이 형성된다. 각 통공(136)의 양측에는 한 쌍의 브라켓(137)이 돌출 형성되고, 각 브라켓(137)에는 핀홀(138)이 형성된다.
한 쌍의 브라켓(137) 사이에는 클램프 레버(150)가 결합되는데, 클램프 레버(150)의 일단부에 형성된 핀홀(152)이 한 쌍의 브라켓(137) 사이에 위치되고, 회동핀(139)이 브라켓(137)의 핀홀(138)과 클램프 레버(150)의 핀홀(152)를 관통하여, 클램프 레버(150)가 암커플링(1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클램프 레버(150)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51)가 플램프 레버(150)의 회동에 따라 통공(136)을 통하여 삽입구(135) 내로 돌출될 수 있는데, 걸림부(151)의 형상은 걸림홈부(116)와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다. 단, 걸림홈부(116)의 형상이 곡면이 아닌 경우에는 걸림부(151)의 형상도 걸림홈부(116)의 형상과 대응하여 곡면이 아닌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뒤에서 설명할 걸림홈부(116)의 표면과 걸림부(151)의 표면 사이의 마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구(135) 내에는 패킹(120)이 삽입되는데, 패킹(120)은 내수성, 내유성, 내구성이 뛰어난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커플링(100)을 통과하는 유체 및 분말의 누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변질되지 않도록 한다. 패킹(120)은 삽입부(115)의 단부와 삽입구(135)의 내측에 형성된 턱(13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규격 및 형상을 갖는다. 한편, 호스연결부(111)의 외경은 호스(10)의 규격에 맞게 형성되고, 삽입부(115)의 외경은 삽입구(135)에 맞게 형성되나, 호스연결부(111)와 삽입부(115)의 내경은 커플링(100)을 통과하는 유체 또는 분말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100)은 상술한 형상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합된다.
호스연결부(111)에 호스(10)가 결합된 수커플링(110)의 삽입부(115)가 삽입구(135)에 삽입된 후, 클램프 레버(150)를 회동시켜 걸림부(151)가 통공(136)의 내면으로 돌출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151)와 걸림홈부(116)는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클램프 레버(150)가 호스연결부(131) 방향으로 회동 될수록 걸림부(151)의 표면과 걸림홈부(116)의 표면이 서로 마찰하면서 수커플링(110)이 암커플링(130)에 체결된다. 이때, 삽입부(115)의 단부가 패킹(120)을 가압하여 수커플링(110)과 암커플링(130) 사이가 기밀 또는 수밀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이는 걸림부(151)와 걸림홈부(116)의 곡면이 클램프 레버(150)의 회동에 따라 서서히 패킹(120)을 가압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레버(150)는 단면이 타원형상인 걸림부(151)와, 걸림부(151)에 형성된 핀홀(152)과, 걸림부(151)에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153)와, 몸체부(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154)와, 몸체부(153)의 단부에 형성되는 링홀(155)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링홀(155)에는 고정용 링(도 1의 156)이 결합되는데, 고정용 링(도 1의 156)은 커플링(도 1의 100)이 체결된 후에 주변에서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클램프 레버(150)가 회동되어 체결이 해제되지 않도록, 클램프 레버(150)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커플링(도 1의 100)을 체결하기 위해 클램프 레버(150)를 회동시킬 때에, 걸림부(151)에는 마찰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클램프 레버(150)는 핀홀(152)을 지지점으로 하는 지렛대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몸체부(153)에 강한 굽힘응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몸체부(153)는 굽힘응력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져야 하므로, 몸체부(153)는 큰 단면계수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클램프 레버(150)의 몸체부(153)에는 리브(154)가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153)가 T자형 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단면계수를 증가시켜 몸체부(153)에 가해지는 굽힘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 레버(150)의 재질로는 종래의 철계 소결합금 또는 인청동에 비하여 비중이 작은 아연합금(DC 2종)을 사용한다. 따라서, 클램프 레버(150)의 중량이 감소되고, 몸체부(153)의 단면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충분한 강성이 확보된다.
또한, 클램프 레버(150)에 광택 배럴 도금을 할 수 있다. 배럴 도금은 도금될 물품간에 서로 접촉으로 마찰되어 연마되므로, 표면의 상태가 균일해지고 광택제가 없어도 장시간 도금하면 우수한 광택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 레버(150)의 광택 배럴 도금을 통하여 걸림부(151)의 표면과 걸림홈부(116)의 표면 사이의 마찰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커플링(도 1 의 100)을 체결시키기 위하여 클램프 레버(150)를 회동시킬 때 소요되는 힘이 감소되어, 커플링(도 1의 100)의 체결이 용이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클램프 레버의 재질로서 아연합금을 사용하고 몸체부의 단면을 T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클램프 레버의 중량이 감소되는 효과 및 클램프 레버의 단면계수가 증가되어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고, 클램프 레버를 광택 배럴 도금함으로써 걸림부의 표면과 걸림홈부의 표면 사이의 마찰계수가 감소되어 커플링의 체결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커플링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커플링 110 : 수커플링
120 : 패킹 130 : 암커플링
150 : 조임쇠

Claims (3)

  1. 회동핀에 의해 커플링과 결합되도록 핀홀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일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단면상 T자를 형성하도록 일면에 리브가 돌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고정용 링이 결합되는 링홀을 포함하되,
    상기 핀홀의 위치는 상기 몸체부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부의 일부가 상기 커플링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커플링용 클램프 래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와 상기 몸체부는 아연합금을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상기 걸림부는 광택 배럴 도금된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20-2005-0021620U 2005-07-25 2005-07-25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KR200399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20U KR200399501Y1 (ko) 2005-07-25 2005-07-25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1620U KR200399501Y1 (ko) 2005-07-25 2005-07-25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501Y1 true KR200399501Y1 (ko) 2005-10-25

Family

ID=4370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620U KR200399501Y1 (ko) 2005-07-25 2005-07-25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5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19U (ko)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WO2018004215A1 (ko) * 2016-06-28 2018-01-04 서울특별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JP2021028514A (ja) * 2019-08-09 2021-02-25 小澤物産株式会社 レバー式カップリング及びカップリング用メタルパッキン
KR20220121370A (ko) * 2021-02-25 2022-09-0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19U (ko)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KR200482148Y1 (ko) 2015-01-08 2016-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WO2018004215A1 (ko) * 2016-06-28 2018-01-04 서울특별시 소방용 스탠드 파이프
JP2021028514A (ja) * 2019-08-09 2021-02-25 小澤物産株式会社 レバー式カップリング及びカップリング用メタルパッキン
KR20220121370A (ko) * 2021-02-25 2022-09-01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KR102464957B1 (ko) 2021-02-25 2022-11-09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캠록 커플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체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356B2 (en) Quick connector for fluid conduit
US7044506B2 (en) Quick connector assembly
KR200399501Y1 (ko) 커플링용 클램프 레버
US5722697A (en) Fitting with two tubular members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EP1074781A3 (en) Pipe joint
JP2008540942A (ja) 差し込み固定部を有する迅速連結具
ES2899039T3 (es)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ubería de un toque
JP2009008125A5 (ko)
CN209385877U (zh) 快速连接器
JPH10122460A (ja) 管継手
JP2011047431A (ja) カムアーム式ホースカプラ
KR100553529B1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CN216789496U (zh) 一种管路承插式连接件
JPH0618116Y2 (ja) 管路接続部の締結具
CN215950672U (zh) 一种管道连接器
FI107567B (fi) Pistoliitin painejohtoja varten
TWM325424U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rapid connector
TWM343750U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suitable for various pipes
JP2011247347A (ja) クイックファスナの外れ防止構造
CN215807046U (zh) 一种管路连接装置
CN114382962A (zh) 一种管路承插式连接件
CN215294038U (zh) 管体连接件及设有该管体连接件的连接管
KR200302183Y1 (ko) 호스용 연결 구조물
JP2002039479A5 (ko)
JP4667992B2 (ja) 継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